KR20230132925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925A
KR20230132925A KR1020220029788A KR20220029788A KR20230132925A KR 20230132925 A KR20230132925 A KR 20230132925A KR 1020220029788 A KR1020220029788 A KR 1020220029788A KR 20220029788 A KR20220029788 A KR 20220029788A KR 20230132925 A KR20230132925 A KR 20230132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ser
dial
vehicle
di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화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925A/ko
Publication of KR2023013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개시된 발명은 차량 내 다이얼 조작부의 조작 성능 향상을 위한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는 리스트를 탐색하거나 연속적으로 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버튼식 입력장치에 비해 수행시간이 짧고 사용 편의성이 높으며 조작이 직관적인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드를 구비하여 터치를 통한 명령의 입력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있다.
암레스트에 인접한 센터콘솔에 마련된 다이얼 조작부를 조작할 경우, 운전자는 일반적으로 암레스트에 팔을 거치한 채로 다이얼 조작부를 조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암레스트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 다이얼 조작부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목에 부담이 가해지고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터치조작 시 사용자가 느끼는 손목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를 틸팅시키거나 높낮이를 조절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허용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문자를 입력하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다이얼 조작부를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다이얼 조작부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틸팅하거나 높이를 조절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 조작부는, 상면에 사용자의 터치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방법은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 변경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 변경을 허용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문자를 입력하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다이얼 조작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다이얼 조작부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틸팅하거나 높이를 조절하는 모터에 의해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상면에 사용자의 터치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터치패드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조작부의 터치조작을 통한 문자입력 또는 변속기 레버 제어시 운전자가 느끼는 손목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조작부 위치가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로 자동 변경됨으로 다이얼 조작 또는 문자입력 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을 겪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가 틸팅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를 설정하는 UI에 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가 문자 인식을 위해 틸팅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변속 레버 조작시 다이얼 조작부가 하향 조정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및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600),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의한 차량(100) 및 차량(100)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이얼 조작부(300) 및 다이얼 조작부(300)의 각도와 높이를 변경하는 모터(301)를 포함하고, 차량(100)의 외부 및 내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00), 운전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거나 다이얼 조작부(30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 차량(100) 관련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600), 전술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100)은 통신부(400)를 통해 외부 서버(700)와 통신할 수 있고, 외부 서버(700)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다이얼 조작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이얼 조작부(300)는 차량(100) 내의 기어 박스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차량(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얼 조작부(300)는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장치나 차량(100)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즉, 다이얼 조작부(300)는 공조 장치, 오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로 사용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목적지를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00)의 다이얼 조작부(300)는 위와 같은 차량(100)의 공조 장치, 오디오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이얼을 회전 조작하거나 다이얼 상면에 마련된 터치패널에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모터(301)는 사용자가 위와 같이 다이얼 조작부(300)를 조작하는 경우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이얼 조작부(300) 자체를 틸팅하거나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모터(301)는 다이얼 조작부(300)를 틸팅하거나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 종류와 구성에 제한이 없다.
차량(100)은 제어부(200)에 의해 통신부(400)를 제어하여 외부 서버(700)에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요청하고, 외부 서버(700)로부터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통신부(400)를 제어하여 외부 서버(700)에 현재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외부 서버(700)로부터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다이얼 조작부(300)의 설정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외부 서버(7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401)와 유선 통신부(402)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의 예를 들면, 통신부(400)는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과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등의 제2 세대(2G) 통신 방식,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과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과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와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의 3세대(3G) 통신 방식,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와 와이브로 에볼류션(Wireless Broadband Evolution) 등 4세대(4G)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5세대(5G)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통신부(40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부(402) 및 무선 통신부(40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402)는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부(402)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01)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401)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01)는 교통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40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교통정보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입력부(501)와 출력부(502)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501)는 사용자로부터 다이얼 조작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받아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고, 출력부(502)는 사용자에게 다이얼 조작부(300)의 설정값에 대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실시예에서 사용자 명령을 받는 입력부(501)와 다이얼 조작부(300)의 설정값을 표시하는 출력부(502)가 반드시 AVN 디스플레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AVN 디스플레이가 아니더라도 차량(100)에 탑승한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면 입력부(501)가 될 수 있고, 표시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면 출력부(502)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01)는 자동차용 음성인식 시스템(Automotive Voice Recognition System)이 될 수 있고 출력부(502)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차량(100) 내부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자동차용 음성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음성으로 발화하는 경우 입력된 명령어를 분석하여 명령어에 상응하는 도메인을 판단하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501)가 자동차용 음성인식 시스템이 되면 사용자는 음성으로 다이얼 조작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다이얼 조작부(300)의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600)는 다이얼 조작부(300)의 현재 설정값 및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00)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600)와,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0)는 하나의 메모리(600)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600)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상기의 다이얼 조작부(300), 통신부(400), 사용자 인터페이스(500), 메모리(600)를 제어하여 다이얼 조작부(300)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부(501)에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이와 다이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값을 입력하면, 설정값에 기초하여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문자 인식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만 다이얼 조작부(300)를 틸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리(600)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화 정보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변속기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다이얼 조작부(300)와 사용자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다이얼 조작부(300)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도2이하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후술한다.
도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회전조작이 가능한 다이얼 조작부(300)를 포함하고, 다이얼 조작부(3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100) 내의 기어 박스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어 박스는 일반적으로 차량(100)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변속을 위한 기어 스틱 및 변속과 관련된 다양한 부품이 설치 또는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각종 버튼이 기어 박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이얼 조작부(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고 회전 조작이 가능한 노브 타입의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300)의 주변에 다이얼 조작부(300)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별도의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얼 조작부(3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방향(R1, R2)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3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이얼 조작부(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조작부(300)는 전후좌우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본체는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본체를 조작하여 본체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소정의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300)의 상면에는 터치를 통한 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드(TP)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 조작부(300)의 터치패드(TP)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TP)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이얼 조작부(300)는 그 내부에 다이얼 조작부(3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이얼 조작부(300) 내부에는 다이얼 조작부(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각 종 부품, 일례로 베어링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축 부재는 다이얼 조작부(300)를 전술한 네 가지 방향(d1 내지 d4)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모터(301)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틸팅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300)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칩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반도체칩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다이얼 조작부(300)의 움직임 또는 다이얼 조작부(300)에 형성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200)나 출력부(502)에 전달할 수 있다.
도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을 겪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다이얼 조작부(300)를 조작할 경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암레스트에 팔을 걸치고 다이얼 조작부(300)를 조작하게 된다.
다이얼 조작부(300)에 대한 회전조작은 손목에 크게 무리가 가지 않을 수 있으나, 다이얼 조작부(300)의 상면에 마련된 터치패드(TP)를 통한 터치입력 시에 사용자는 손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00)은 다이얼 조작부(300)에 대한 터치조작 시에 사용자가 느끼는 손목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다이얼 조작부(300)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부가 틸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부(300)는 사용자가 다이얼 조작부(300)의 터치패드(TP)를 통한 터치입력을 시도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값 만큼 후방으로 틸팅되어, 사용자가 터치패드(TP)를 보다 쉽게 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패드(TP)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때보다, 후방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목에 부담을 덜 느끼면서 터치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이얼 조작부(300)는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하거나 변속기 레버를 조작하기 위해 다이얼 조작부(300)의 위치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낮이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낮이가 변경되면, 터치패드(TP)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나 다이얼 조작부(300) 근처에 구비되는 변속기 레버를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틸팅 뿐 아니라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낮이도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를 설정하는 UI에 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501)에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이와 각도를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200)는 그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이와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8에서는 사용자가 다이얼 조작부(30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바 형태의 조절 막대를 움직여 0부터 100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숫자를 직접 입력하거나 다이얼 조작부(300)의 이미지를 직접 움직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문자 입력시에만 다이얼 조작부(300)의 각도 또는 높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입력부(501)에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문자 입력 시에만 다이얼 조작부(300)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허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패드(TP)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다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손목에 부담이 가중될 수 있으므로, 다이얼 조작부(300)의 틸트를 원하고, 사용자는 이외의 경우 틸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시에만 틸팅 또는 높낮이 조절을 적용하도록 입력부(501)에 설정값을 입력하면, 문자 입력이 필요한 제어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다이얼 조작부(300)를 틸팅 또는 높낮이 조절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다이얼 조작부(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최초에 입력부(501)를 통해 다이얼 조작부(300)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 받으면, 메모리(600)에 상기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00)에 저장되는 설정값은 사용자 별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할 경우, 탑승한 사용자에 대응되는 다이얼 조작부(300) 설정값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초 탑승시에만 다이얼 조작부(300)의 설정값을 입력하면, 이후 탑승시에는 메모리(600)에 저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다이얼 조작부(300)가 변경되므로 편의성이 증대된다.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의 정보를 외부 서버(700)에 요청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700)는 사용자의 지문, 사용자 단말의 인증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통해 현재 탑승한 사용자에 대응되는 다이얼 조작부(300)의 설정값을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다이얼 조작부(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틸팅된 다이얼 조작부(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미리 정해진 터치제스처를 터치패드(TP)에 입력할 수 있다.
약속된 특정 패턴을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패드(TP)를 두 번 연속으로 탭하는 등의 제스처를 통해 다이얼 조작부(30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전술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다이얼 조작부(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고,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입력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다이얼 조작부(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즉 제어부(200)는 다이얼 조작부(300)의 터치패드(TP)에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터치조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모터(301)를 구동시켜 다이얼 조작부(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다이얼 조작부가 문자 인식을 위해 틸팅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조작의 의도로 다이얼 조작부(300)를 조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각도와 높이만큼 다이얼 조작부(300)를 틸팅시키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터치조작이 지속되는 동안 다이얼 조작부(300)의 틸팅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 손목 부담 경감 및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서 변속 레버 조작시 다이얼 조작부가 하향 조정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100)의 변속기 레버가 다이얼 조작부(300)보다 전방에 배치된 차량(100)의 경우, 사용자가 변속기 레버를 조작할 때 다이얼 조작부(300)의 상단부와 신체가 간섭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변속기 레버를 작동할 때 마다 변속기 레버와 다이얼 조작부(300)가 신체와 간섭되면 사용자의 차량(100) 사용 편의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다이얼 조작부(300)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변속기 레버 조작의 의도로 다이얼 조작부(300)를 지나가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각도와 높이만큼 다이얼 조작부(300)를 틸팅시키고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변속기 레버를 조작이 지속되는 동안 다이얼 조작부(300)의 틸팅 및 높이 하향 조절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변속기 레버 조작시 손목 부담 경감 및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및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사용자가 다이얼 조작부(300)를 이용하여 차량(100) 제어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입력부(501)를 통해 다이얼 조작부(3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1100). 이후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터치패드(TP)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1110).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내비게이션의 목적지를 입력하는 단계이거나, 차량(100)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황을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터치패드(TP)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상황으로 판단되면(1110의 예), 사용자가 입력부(501)를 통해 입력한 설정값을 확인하여 설정값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30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1130).
제어부(200)는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터치패드(TP)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1110의 아니오), 사용자가 입력부(501)에 문자 입력시에만 다이얼 조작부(300)를 변경하도록 설정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1120).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시에만 다이얼 조작부(300)를 변경하도록 설정하였으면(1120의 예), 다이얼 조작부(300)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문자 입력시에만 다이얼 조작부(300)를 변경하도록 설정하지 않았다면,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300)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1140).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00)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300)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이얼 조작부(300)를 활용함에 있어서 신체의 부담을 줄이고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
차량(100)의 제어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기의 차량(100)에 관한 실시예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차량
200 : 제어부
300 : 다이얼 조작부, 301 : 모터
400 : 통신부, 401 : 무선 통신부, 402 : 유선 통신부
5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501 : 입력부, 502 : 출력부
600 : 메모리
700 : 서버

Claims (16)

  1.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허용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허용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문자를 입력하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다이얼 조작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차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다이얼 조작부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틸팅하거나 높이를 조절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는,
    상면에 사용자의 터치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차량.
  9.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 변경을 허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 변경을 허용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문자를 입력하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및 높이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다이얼 조작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각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다이얼 조작부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틸팅하거나 높이를 조절하는 모터에 의해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틸팅 또는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상면에 사용자의 터치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터치패드에 의해 명령을 입력 받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20029788A 2022-03-10 2022-03-1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30132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88A KR20230132925A (ko) 2022-03-10 2022-03-1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88A KR20230132925A (ko) 2022-03-10 2022-03-1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925A true KR20230132925A (ko) 2023-09-19

Family

ID=8819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788A KR20230132925A (ko) 2022-03-10 2022-03-1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9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9990B2 (en) Touch panel input for automotive devices
US9079498B2 (en) Morphing vehicle user interface
US20160041562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component of a vehicle with a user device
EP2460694A1 (en) Operation system for vehicle
US10618406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11126391B2 (en) Contextual and aware button-free screen articulation
US9904467B2 (en) Display device
US20140180537A1 (en) Moving control console
US11182072B2 (en) Touch screen,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20200215919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main monitor of an autonomous vehicle
CN111231860A (zh) 用于车辆的操作模块、操作方法、操作系统及存储介质
KR102585564B1 (ko)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차량 제어 방법
JP2006096245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KR20230132925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201902862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a layout of applications displayed on a screen
KR102441509B1 (ko)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JP4501067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EP3053765B1 (en)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different user-selectable operating profiles
KR20220052627A (ko)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11542743B2 (en) Automatic vehicle window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3714356B1 (en) Contextual and aware button-free screen articulation
EP1821178B1 (en) Vehicle user interface for entering data into an on-board vehicle system using said interface
KR102681001B1 (ko) 문맥 및 인식 버튼이 없는 화면 아티큘레이션
KR20240076247A (ko)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JP4399728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