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282A -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282A
KR20210072282A KR1020190162399A KR20190162399A KR20210072282A KR 20210072282 A KR20210072282 A KR 20210072282A KR 1020190162399 A KR1020190162399 A KR 1020190162399A KR 20190162399 A KR20190162399 A KR 20190162399A KR 20210072282 A KR20210072282 A KR 2021007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fixed
support
bol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882B1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9016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8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기둥에 고정되어 발판을 탑재하는 복수 개의 받침대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기둥의 경사면과 상관없이 항상 발판을 수평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교량의 기둥(C)의 수직방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프레임(2);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받침대(3);
상기 받침대(3) 하부에 위치하고, 그 일단이 고정프레임(2)에 타단이 받침대(3)에 각각 왕복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가 설정된 각도 이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부지지대(4);
상기 받침대(3) 단부에 세움 설치되는 외측난간(5); 및
상기 받침대(3)에 탑재되어 점검자의 발판을 제공하는 바닥판(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Angle adjustable bridge check stand}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을 받침 지지하는 기둥에 설치되어 교량 시설물을 점검하는 데 사용하는 교량 점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기둥에 고정되어 발판을 탑재하는 복수 개의 받침대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기둥의 경사면과 상관없이 항상 발판을 수평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구간에는 지형의 특성상 교량이 설치되는 곳이 많다. 이들 교량은 빈번한 차량 주행으로 인한 무게와 진동에 의한 피로 누적, 노후화, 부식, 지반조건, 지진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이러한 교량 점검은 차량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주로 상판 하부에서 진행되는데, 교량의 상판을 받침 지지하는 교대와 교각을 포함하는 기둥 둘레에 점검대를 설치하여 점검자가 이 점검대를 보행하면서 기둥, 상판 및 상판과 상판 연결부 등 교량 전반에 걸쳐 안전점검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상판의 길이방향 전역을 점검할 경우에는 상판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점검대를 설치하여 안전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교량 점검대에 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10-2013-0027819호의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가 공개되었다. 이 기술은 교각(5)에 강재로 제작되어 설치된 난간 지지브라켓(20)과; 일단이 상기 난간 지지브라켓(20)에 각기 삽입 고정되어 수평적으로 설치된 수평지지대(30)와; 상기 수평지지대(30)의 타단에 각기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 조인트 박스(40)와; 상기 조인트 박스(40)에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 수직지지대(50)와; 상기 수평지지대(30)에 안착되어 작업자의 보행을 제공하는 작업발판(60); 및 상기 수직지지대(50)에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핸드레일(70)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은 교각(5)에 설치되는 난간 지지브라켓(20)이 직각형태로 미리 조립되어 있고, 여기에 작업발판(60)이 안착되는 수평지지대(30)를 볼트(130)로 체결고정하게 되므로 설치 후 수평지지대(30)는 항상 교각(5)에 대하여 직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난간 지지브라켓(20)이 설치되는 장소, 즉 교각(5)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난간 지지브라켓(20)과 이에 조립되는 수평지지대(30)도 경사면에 대하여 직각을 형성하게 되므로 결국 작업발판(60)이 수평상태가 되지 않아 점검대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교량 점검대에 관한 다른 종래 기술은 등록특허 제10-1293853호의 교량점검통로가 공고되었다. 이 기술은 교각(5)의 정착면 높낮이에 대응하는 가변 길이를 갖는 메인포스트(20)와; 상기 메인포스트(20)에 일단이 힌지수단으로 결합되어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발판 받침대(30)와; 상기 발판 받침대(30)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엔드 캡(40)과; 상기 엔드 캡(40)에 하단이 끼움 고정되어 입설된 핸드레일 지주(50)와; 상기 메인포스트(20)와 상기 핸드레일 지주(50)에 서로 마주보도록 끼워져 피스로 고정된 후 상기 발판 받침대(30)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클립 홀더(60,60)와; 상기 한 쌍의 클립 홀더(60,60)에 각기 끼움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발판 클립(70,70)과; 상기 한 쌍의 발판 클립(70,70)에 양단이 끼움되어 있는 발판(80); 및 상기 핸드레일 지주(50)에 소정 간격마다 지지되어 있는 복수 개의 핸드레일(90)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도 교각(5)에 설치되는 메인포스트(20)에 발판 받침대(30)가 직각으로 조립될 수 밖에 없으므로 교각(5)이 경사면을 형성할 경우 발판 받침대(30)에 안착된 발판(80)도 그 경사면에 대하여 직각상태로 안착되므로 결국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점검대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 제10-1709111호의 하중 분산 기능이 개선된 교량 점검통로는 베이스플레이트(10)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꺽여진 측벽부(11)에 끼움홈(12)이 절개되어 있고, 이 끼움홈(12)에 발판 받침빔(20)의 일단이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므로 발판 받침빔(20)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직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0)가 경사진 교각(5) 측면에 고정되면 발판 받침빔(20)은 그 경사각만큼 기울어져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종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 제10-1449654호의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 안전점검시설은 각도조절 장공(112d)이 형성된 힌지브래킷(112)이 교량 고정바(111)에 체결 고정되고, 점검로 발판(120)의 각도조절공(113b)이 상기 각도조절 장공(112d)에 일치시켜 이들을 볼트로 체결 고정하여 교량 고정바(111)에 대하여 점검로 발판(120)이 각도 조절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미 언급한 종래 단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는 각도조절 장공(112d)이 형성된 힌지브래킷(112)을 별도로 제작하여(본 발명은 힌지브래킷이 필요없음) 교량 고정바(111)에 고정해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하고, 조립 시 조립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큰 문제점은 점검로 발판(120)이 회전할 수 있는 각도는 힌지브래킷(112)에 형성된 각도조절 장공(112d)의 영역내로 한정되므로 이 각도조절 장공(112d)의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교각의 경사면이 심하게 경사지면 점검로 발판(120)을 수평상태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 제10-1215330호의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는 그의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한 쌍의 앵글 발판 받침대(30,30)는 메인포스트(20)의 설치 기울기에 관계 없이 수평적으로 위치하여 복수 개의 잠금 볼트(40) 및 너트(41)로 메인포스트(20)에 고정 설치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볼트(40)를 삽입하기 위한 체결공들이 일치되는 특정 기울기에 대해서만 앵글 발판 받침대(30,30)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그 나머지 경우에는 체결공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볼트(40)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앵글 발판 받침대(30,30)를 수평상태로 조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 제10-0381724호의 교각 점검대의 경우도 브래킷(10)에 조립된 사각파이프(20)가 직각으로 조립되므로, 브래킷(10)이 설치되는 장소가 경사면을 형성할 경우 시공 후 발판(50)은 이 경사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안착되므로 수평상태를 유지 못하는 종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78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8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91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96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53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1724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교량 점검대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량의 기둥에 고정되어 발판을 탑재하는 복수 개의 받침대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기둥의 경사면과 상관없이 항상 발판을 수평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1)의 구성은 교량의 기둥(C)의 수직방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프레임(2);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받침대(3);
상기 받침대(3) 하부에 위치하고, 그 일단이 고정프레임(2)에 타단이 받침대(3)에 각각 왕복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가 설정된 각도 이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부지지대(4);
상기 받침대(3) 단부에 세움 설치되는 외측난간(5); 및
상기 받침대(3)에 탑재되어 점검자의 발판을 제공하는 바닥판(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받침대(3)는 일단부에 돌출된 아암(32)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힌지축(7a)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부지지대(4)는 일단이 고정프레임(2)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25)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1)와 이 볼트(B-1)에 체결된 너트(N-1)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8)에 힌지축(7b)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3)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33)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2)와 이 볼트(B-2)에 체결된 너트(N-3)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9)에 힌지축(7c)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의 외측난간(5)은 수직부재(51)에 복수 개의 수평부재(52)가 병렬로 관통되어 조립되고, 이 수직부재(51) 하단부가 받침대(3) 타단부에 체결 고정된 고정브래킷(10)에 삽입되어 고정브래킷(10)을 관통하는 볼트(B-4)와 이 볼트(B-4)에 체결된 너트(N-5)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본 발명의 하부지지대(4)는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대구경 지지대(44) 내부에 소구경 지지대(45)가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소구경 지지대(45)의 슬롯(45a)에 머리가 구속되어 대구경 지지대(44)의 슬롯(44a) 외부로 돌출된 볼트(B-5)를 너트(N-6)로 체결하여, 소구경 지지대(45)의 인출 정도에 따라 하부지지대(4)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2) 양측에 병렬로 형성된 각 슬롯(25)에 머리가 구속된 2개의 볼트(B-6)(B-7) 중 어느 하나의 볼트(B-6)가 제3브래킷(11)의 힌지공(11a)이 끼워지고 다른 볼트(B-7)가 회전안내공(11b)이 끼워져 제3브래킷(11)이 힌지공(11a)에 끼워진 볼트(B-6)를 축으로 회전안내공(11b)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각 볼트(B-6)(B-7)에 너트(N-8)가 체결되어 제3브래킷(11)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프레임(2)에 고정하고;
상기 제3브래킷(11)의 후방 수납공간(10b)에 상기 받침대(3)를 수용하여 볼트(B-8)로 체결고정하고;
상기 하부지지대(4)는 일단이 고정프레임(2)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25)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1)와 이 볼트(B-1)에 체결된 너트(N-1)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8)에 힌지축(7b)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3)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33)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2)와 이 볼트(B-2)에 체결된 너트(N-3)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9)에 힌지축(7b)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3) 상부에 위치하고 그 일단이 고정프레임(2)에 타단이 받침대(3)에 각각 왕복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부지지대(12)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3)와 하부지지대(4) 사이에 보강지지대(15)가 더 연결된다.
본 발명은 받침대(3) 상부에 외측난간(5)과 대응되는 내측에 수직부재(16a)와 수평부재(16b)로 구성되는 내측난간(16)이 더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16a)와 고정프레임(2) 사이에 연결부재(17)가 조립되어 상기 수직부재(16a)를 지지토록 한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2)의 횡방향을 감싸 기둥(C)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개방된 중앙에 고정프레임(2)을 밀접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18a)이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앵커볼트(A)가 관통하는 체결공(18b)이 형성되는 보강브래킷(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브래킷(18)은 전방에 볼트(B-9)를 체결하는 나사공(18c)이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면에 고정프레임(2)의 슬롯(25)에 조립된 볼트(B-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부(18d)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는 바닥판을 탑재하는 받침대가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받침대가 하부지지대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고정되므로, 고정프레임이 설치되는 장소, 즉 교량 기둥이 경사면이 되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받침대를 항상 수평상태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이에 안착되는 바닥판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 고정프레임이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이에 연결되는 받침대를 수평태로 고정시켜 그 상부에 받침대를 탑재하면 경사진 고정프레임과 상관없이 점검자가 보행하는 바닥판을 간단히 수평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어 종래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에 하부지지대가 조립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받침대에 하부지지대가 조립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받침대에 하부지지대가 조립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대 타단부에 고정브래킷이 조립된 상태의 배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브래킷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브래킷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과 받침대가 직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는 수평으로 연장된 조립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과 받침대가 둔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는 수평으로 연장된 조립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과 받침대가 예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는 수평으로 연장된 조립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하부지지대가 적용된 점검대 조립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하부지지대를 구성하는 대구경 지지대와 소구경 지지대를 분리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하부지지대 조립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하부지지대가 적용된 점검대 조립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다른 조립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받침대 조립 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실시예의 고정프레임과 받침대가 직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는 수평으로 연장된 조립 측면도
도 19는 도 16의 실시예의 고정프레임과 받침대가 둔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는 수평으로 연장된 조립 측면도
도 20은 도 16의 실시예의 제3브래킷에 받침대가 수용 조립된 상태를 보인 배면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과 받침대가 상부지지대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조립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과 받침대가 상부지지대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우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받침대와 하부지지대가 보강지지대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조립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내측난간이 연결부재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조립 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브래킷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보강브래킷이 고정프레임을 횡방향으로 감싸 교량 기둥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보강브래킷 양측면 상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보강브래킷 양측면 하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9는 도 27의 보강브래킷이 고정프레임 회방향을 감싸 교량 기둥에 고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1)는 교량의 기둥(C)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프레임(2);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받침대(3);
상기 받침대(3) 하부에 위치하고, 그 일단이 고정프레임(2)에 타단이 받침대(3)에 각각 왕복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가 설정된 각도 이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부지지대(4);
상기 받침대(3) 단부에 세움 설치되는 외측난간(5); 및
상기 받침대(3)에 탑재되어 점검자의 발판을 제공하는 바닥판(6);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은 설치장소, 일례로 교량에 설치될 경우 상판을 받침 지지하는 교량 기둥(C)에 복수 개가 병렬로 설치되어 받침대(3)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 고정프레임(2)은 받침대(3)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교량 기둥(C)의 수직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고정프레임(2)은 교량 기둥(C)에 앵커볼트(A)로 고정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21)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판(21) 일측면 길이방향에 받침대(3)를 연결하는 몸체(22)가 돌출된다. 상기 베이스판(21)에는 앵커볼트(A)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체결공(23)이 관통된다. 상기 몸체(22)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측면에는 받침대(3)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축(7a)이 관통될 수 있도록 조립공(24)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각각 볼트(B-1) 머리가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25a)을 갖는 슬롯(25)이 개방되어 볼트(B-1)를 수용하여 구속하게 된다. 상기 슬롯(25)에 수용된 볼트(B-1)는 제1브래킷(8) 조립 과정에서 슬롯(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너트(N-1) 체결에 의해 제1브래킷(8)을 슬롯(25)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은 상단부에 커버(B)가 씌워져 몸체(2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몸체(22) 상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의 재질은 점검자가 보행하는 안전시설을 감안하여 강도가 강한 금속재를 사용하며, 구입이 쉽고 가격이 저렴한 금속인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 받침대(3)는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그 상부에 탑재되는 바닥판(6)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3)는 중량체인 바닥판(6)이 탑재되고 또한 점검자가 보행하게 되므로 바닥판(6)과 점검자의 무게에 견딜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리브(31)들이 형성되고,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고정프레임(2)의 몸체(2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아암(32)이 돌출되고 이 아암(32)에는 힌지축(7a)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32a)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3)는 하부 양측면에 제2브래킷(9)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볼트(B-2) 머리가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33a)을 갖는 슬롯(33)이 형성된다. 이 슬롯(33)에 수용된 볼트(B-2)는 제2브래킷(9) 조립과정에서 슬롯(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너트(N-3) 체결에 의해 제2브래킷(9)을 슬롯(33)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받침대(3)의 타단부 양측면에는 외측난간(5)을 고정하는 고정브래킷(10)을 볼트(B-3)로 체결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34)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3)의 조립은 아암(32)의 구멍(32a)을 고정프레임(2)의 조립공(24)에 일치시킨 후 힌지축(7a)을 이들 구멍(32a)과 조립공(24)에 삽입하여 너트(N)로 체결하면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하부지지대(4)는 고정프레임(2)과 받침대(3)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가 설정된 각도, 즉 수평상태 이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봉형상을 갖는 하부지지대(4) 일단부는 제1브래킷(8)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브래킷(9)을 이용하여 받침대(3)에 고정된다.
상기 제1브래킷(8)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고정프레임(2)의 몸체(22)를 내부에 수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중앙부재(81) 일측에 체결공(82a)이 관통된 아암(82)이 연장되고, 타측에 하부지지대(4)를 수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83a)이 관통된 결속부재(83)가 연장된다.
상기 제2브래킷(9)은 도 4와 같이 받침대(3) 하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중앙부재(91) 일측에 체결공(92a)이 관통된 아암(92)이 연장되고, 타측에 하부지지대(4)를 수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93a)이 관통된 결속부재(93)가 연장된다.
하부지지대(4) 조립은, 도 3과 같이 볼트(B-1)를 아암(82)의 체결공(82a)에 먼저 삽입한 다음 이 볼트(B-1)의 머리를 고정프레임(2)의 슬롯(25)에 삽입하여 설치장소로 이동시킨 후 아암(82) 외부로 돌출된 볼트(B-1)에 너트(N-1)를 체결하여 제1브래킷(8)을 슬롯(25) 임의의 위치에 체결 고정한다. 이후 제1브래킷(8)의 결속부재(83) 내부로 하부지지대(4)의 일단을 삽입하여 결속부재(83)의 체결공(83a)과 하부지지대(4)의 체결공(41)을 일치시킨 다음 이 체결공(41)에 힌지축(7b)을 삽입하고 너트(N-2)를 체결하면 제1브래킷(8)에 하부지지대(4) 일단이 고정된다.
계속해서, 도 4와 같이 볼트(B-2)를 아암(92)의 체결공(92a)에 먼저 삽입한 다음 이 볼트(B-2)의 머리를 받침대(3)의 슬롯(33)에 삽입하여 설치장소로 이동시킨 후 아암(92) 외부로 돌출된 볼트(B-2)에 너트(N-3)를 체결하여 제2브래킷(9)을 슬롯(33) 임의의 위치에 체결 고정한다. 이후 하부지지대(4) 타단을 제2브래킷(9)의 결속부재(93) 내부로 삽입하여 결속부재(93)의 체결공(93a)과 하부지지대(4) 체결공(42)을 일치시킨 다음 이 체결공(93a)(42)에 힌지축(7c)을 삽입하고 너트(N-4)를 체결하면 제2브래킷(9)에 하부지지대(4)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지지대(4) 조립이 완료되면 도 2와 같이 받침대(3)는 외팔보 형태와 같이 힌지축(7a)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지만, 그 자유단이 고정프레임(2)에 체결된 하부지지대(4)의 타단부와 일체로 고정되므로 더 이상 하부로 처지지 않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대(4)는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도 12와 같이 대구경 지지대(44) 내부에 소구경 지지대(45)가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소구경 지지대(45)의 슬롯(45a)에 머리가 구속되어 대구경 지지대(44)의 슬롯(44a) 외부로 돌출된 볼트(B-5)를 너트(N-6)로 체결하여, 소구경 지지대(45)의 인출 정도에 따라 하부지지대(4)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립상태를 정리하면, 상기 받침대(3)는 일단부에 돌출된 아암(32)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힌지축(7a)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부지지대(4)는 일단이 고정프레임(2)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25)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1)와 이 볼트(B-1)에 체결된 너트(N-1)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8)에 힌지축(7b)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3)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33)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2)와 이 볼트(B-2)에 체결된 너트(N-3)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9)에 힌지축(7c)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도 2는 일례로 받침대(3)를 수평으로 고정한 것을 보인 것이다. 상기 조립된 상태에서 제2브래킷(9)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받침대(3)는 자유단이 상승하여 수평상태 이상으로 높아지고, 제1브래킷(8)을 하강시키면 받침대(3) 자유단이 하강하여 수평상태 이하로 낮아지게 되므로 하부지지대(4)의 조립 위치에 따라 받침대(3)를 임의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프레임(2)이 교각 기둥(C)을 포함한 설치 장소 어느 곳이든지 경사지게 고정되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고정프레임(2)의 슬롯(25)에 조립되는 받침대(3)와 하부지지대(4)의 조립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받침대(3)를 수평, 수평이하 또는 수평이상의 임의의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실시예는 하부지지대(4)를 별도의 브래킷(D)과 볼트(B-5)를 이용하여 받침대(3) 저면에 형성된 슬롯(36)에 연결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 점검대의 한정된 분야에서 고정프레임(2)의 설치 각도와 상관없이 받침대(3)를 간편하게 수평상태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이 분야에서 진보성을 갖는 발명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3) 자유단 끝에 위치한 타단부에 외측난간(5)이 세움 설치된다. 상기 외측난간(5)은 수직부재(51)에 복수 개의 수평부재(52)가 병렬로 관통하여 조립되고, 수직부재(51) 상단부에는 캡(53)이 끼워진다. 상기 캡(53)에도 수평부재(52)가 끼움되어 수평부재(52)에 조립된 수평부재(52)와 병렬로 배치된다. 수직부재(51)와 수평부재(52) 접면부는 볼트를 체결하여 수평부재(5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또한 캡(53)과 수평부재(52)의 접면부도 볼트로 체결하여 수평부재(52)를 고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외측난간(5)은 고정브래킷(10)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0)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내부에 받침대(3) 타단부 및 외측난간(5)의 수직부재(51)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과 상부가 개방되게 구성된다. 전방 수납공간(10a)에는 받침대(3) 타단부를 수용하게 되고, 후방 수납공간(10b)에는 외측난간(5)의 수직부재(51) 하단부를 수용하게 된다. 전방 수납공간(10a)을 형성하는 양측면에는 볼트(B-3) 체결용 나사공(10a-1)이 형성되고, 후방 수납공간(10b)을 형성하는 양측면에는 볼트(B-4)가 관통하여 너트(N-5)에 체결되는 체결공(10b-1)이 관통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0)은 받침대(3)의 나사공(34)에 체결된 볼트(B-3)에 의해 받침대(3)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 수납공간(10b)에 삽입된 외측난간(5)의 수직부재(51)를 볼트(B-4)를 관통시켜 너트(N-5)로 체결하면 받침대(3), 고정브래킷(10) 및 수직부재(51)가 일체로 되어 외측난간(5)은 고정브래킷(10) 타단부에 견고하게 체결고정되어 난간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정리하면, 상기 외측난간(5)은 캡(51a)을 포함하는 수직부재(51)에 복수 개의 수평부재(52)가 병렬로 관통되어 조립되고, 이 수직부재(51) 하단부가 받침대(3) 타단부에 체결 고정된 고정브래킷(10)에 삽입되어 고정브래킷(10)을 관통하는 볼트(B-4)와 이 볼트(B-4)에 체결된 너트(N-5)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바닥판(6)은 복수 개의 받침대(3) 상부에 탑재되어 점검자가 보행하는 발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공지의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고정프레임(2)과 받침대(3)가 직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3)는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0은 고정프레임(2)과 받침대(3)가 둔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3)는 수평으로 연장된 조립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1은 고정프레임(2)과 받침대(3)가 예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3)는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2는 도 10과 같은 상태이며 하부지지대(4)가 대구경 지지대(44) 내부에 소구경 지지대(45)가 수납되고 이들이 볼트(B-5)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5는 변형된 제1,2브래킷(8)(9)에 하부지지대(4)가 조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6 내지 도 20과 같이 고정프레임(2) 양측에 병렬로 형성된 각 슬롯(33)에 머리가 구속된 2개의 볼트(B-6)(B-7) 중 어느 하나의 볼트(B-6)가 제3브래킷(11)의 힌지공(11a)이 끼워지고 다른 볼트(B-7)가 회전안내공(11b)에 끼워져 제3브래킷(11)이 힌지공(11a)에 끼워진 볼트(B-6)를 축으로 회전안내공(11b)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각 볼트(B-6)(B-7)에 너트(N-8)가 체결되어 제3브래킷(11)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프레임(2)에 고정하고;
상기 제3브래킷(11)의 후방 수납공간(10b)에 상기 받침대(3)를 수용하여 체결고정하고;
상기 하부지지대(4)는 일단이 고정프레임(2)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25)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1)와 이 볼트(B-1)에 체결된 너트(N-1)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8)에 힌지축(7b)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3)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33)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2)와 이 볼트(B-2)에 체결된 너트(N-3)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9)에 힌지축(7c)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도, 시공할 때 볼트(B-6)를 축으로 받침대(3)를 고정하는 제3브래킷(11)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고정프레임(2)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과 상관없이 회전안내공(11b)의 범위 내에서 제3브래킷(11)을 회전할 수 있으므로 받침대(3)를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8 내지 도 1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고정프레임(2)과 받침대(3)가 직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3)는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를 보이고 있고, 도 19는 고정프레임(2)과 받침대(3)가 둔각으로 배치되면서 받침대(3)는 수평으로 연장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0은 제3브래킷(11)에 받침대(3)가 수용되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볼트(B-8)가 제3브래킷(11)과 받침대(3) 상부를 관통하여 너트(N-9)에 체결되고, 받침대(3) 하부 양측에 형성된 슬롯(33)에 구속된 상태로 조립된 볼트(B-2)가 제3브래킷(11)을 관통하여 너트(N-3)에 의해 체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도 21 내지 도 22와 같이 상부지지대(12)를 채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받침대(3) 상부에 위치하고, 그 일단이 고정프레임(2)에 타단이 받침대(3)에 각각 왕복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부지지대(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면과 같이 상부지지대(12)가 고정프레임(2)과 받침대(3)에 연결되어 지지하고 있으므로 받침대(3)는 고정프레임(2)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지지대(12) 일단은 제4브래킷(13)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2)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5브래킷(14)을 이용하여 받침대(3)에 고정되는 데, 제4,5브래킷(13)(14)은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미 설명한 제1,2브래킷(8)(9)과 구성 및 설치상태가 동일 내지 유사하여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3과 같이 상기 받침대(3)와 하부지지대(4) 사이에 보강지지대(15)를 더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하부지지대(4)를 받침대(3) 끝단 부분까지 길게 연장하여 받침대(3)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경우에 사용한다. 하부지지대(4)가 길게 연장되어 받침대(3) 자유단 끝 부분에 고정되면 받침대(3)는 자유단 끝 부분이 하부지지대(4)에 의해 지지되므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반대로 하부지지대(4)는 중앙부분에 집중 굽힘하중이 가해져 강도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받침대(3)와 하부지지대(4) 사이에 보강지지대(15)를 연결하면 보강지지대(15)가 하부지지대(4)의 굽힘하중을 상쇄시켜 받침대(3)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 24와 같이 외측난간(5) 내측에 내측난간(16)을 더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대(3) 상부에 외측난간(5)과 대응되는 내측에 수직부재(16a)와 수평부재(16b)로 구성되는 내측난간(16)이 더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16a)와 고정프레임(2) 사이에 연결부재(17)가 조립되어 상기 수직부재(16a)를 지지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6a) 하단부는 받침대(3)에 고정되는 데, 이는 이미 설명한 슬롯과 브래킷을 이용하여 이동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단순히 고착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난간(16)이 없으면, 도 24와 같이 외측난간(5)으로 멀어진 위치에서 바닥판(6) 아래로 추락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 때문에 점검자는 외측난간(5) 방향으로 이동하여 교량을 점검하게 된다. 외측난간(5)에서 멀어진 곳에서 교량을 자세히 점검할 필요가 있을 때는 추락 위험성 때문에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신체를 외측난간(5)에 걸어 안전을 확보해야 하므로 점검이 불편하고 심리적으로 불안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외측난간(5)과 대응되게 내측에 내측난간(16)이 설치되므로 점검자는 내측난간(16)에 기댄 상태에서도 교량을 점검할 수 있어 교량 점검을 편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2)을 설치장소, 즉 교량의 기둥(C)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보강브래킷(18)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2)을 감싼 상태에서 기둥(C)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고정프레임(2)의 횡방향을 감싸 기둥(C)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개방된 중앙에 고정프레임(2)을 밀접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19a)이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앵커볼트(A)가 관통하는 체결공(18b)이 형성되는 보강브래킷(18)을 더 갖는다.
상기 보강브래킷(18)은 도 25 내지 도 26과 같이 전방에 볼트(B-9)를 체결하는 나사공(18c)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 27 내지 도 29와 같이 양측면에 고정프레임(2)의 슬롯(25)에 조립된 볼트(B-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부(18d)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이 설치된 교량 기둥(C)에서 분리되면 점검대(1) 자체가 추락하여 인명 손실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제거하기 위해 복수 개의 보강브래킷(18)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각 내부 수납공간(18a)에 고정프레임(2)을 수용한 상태에서 양측 체결공(18b)에 앵커볼트(A)를 끼운 후 너트(N-10)로 체결하면 고정프레임(2)은 자체적으로 앵커볼트(A)에 의해 교량 기둥(C)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고정브래킷(1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기둥(C)에 고정되어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바닥판(6)을 탑재하는 받침대(3)가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받침대(3)가 하부지지대(4)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고정되므로, 고정프레임(2)이 설치되는 장소가 경사면이 되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받침대(3)를 항상 수평상태로 조립할 수 있는 점, 고정브래킷(10)으로 본 발명을 설치장소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점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 분야의 종래 기술보다 진보성을 갖춘 발명이라 하겠다.
1 : 교량 점검대 2 : 고정프레임
3 : 받침대 4 : 하부지지대
5 : 외측난간 6 : 바닥판
10 : 고정브래킷 16 : 내측난간
18 : 보강브래킷

Claims (10)

  1. 교량의 기둥(C)의 수직방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프레임(2);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받침대(3);
    상기 받침대(3) 하부에 위치하고, 그 일단이 고정프레임(2)에 타단이 받침대(3)에 각각 왕복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가 설정된 각도 이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부지지대(4);
    상기 받침대(3) 단부에 세움 설치되는 외측난간(5); 및
    상기 받침대(3)에 탑재되어 점검자의 발판을 제공하는 바닥판(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는 일단부에 돌출된 아암(32)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힌지축(7a)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부지지대(4)는 일단이 고정프레임(2)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25)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1)와 이 볼트(B-1)에 체결된 너트(N-1)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8)에 힌지축(7b)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3)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33)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2)와 이 볼트(B-2)에 체결된 너트(N-3)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9)에 힌지축(7c)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난간(5)은 수직부재(51)에 복수 개의 수평부재(52)가 병렬로 관통되어 조립되고, 이 수직부재(51) 하단부가 받침대(3) 타단부에 체결 고정된 고정브래킷(10)에 삽입되어 고정브래킷(10)을 관통하는 볼트(B-4)와 이 볼트(B-4)에 체결된 너트(N-5)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4)는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대구경 지지대(44) 내부에 소구경 지지대(45)가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소구경 지지대(45)의 슬롯(45a)에 머리가 구속되어 대구경 지지대(44)의 슬롯(44a) 외부로 돌출된 볼트(B-5)를 너트(N-6)로 체결하여, 소구경 지지대(45)의 인출 정도에 따라 하부지지대(4)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프레임(2) 양측에 병렬로 형성된 각 슬롯(25)에 머리가 구속된 2개의 볼트(B-6)(B-7) 중 어느 하나의 볼트(B-6)가 제3브래킷(11)의 힌지공(11a)이 끼워지고 다른 볼트(B-7)가 회전안내공(11b)이 끼워져 제3브래킷(11)이 힌지공(11a)에 끼워진 볼트(B-6)를 축으로 회전안내공(11b)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각 볼트(B-6)(B-7)에 너트(N-8)가 체결되어 제3브래킷(11)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프레임(2)에 고정하고;
    상기 제3브래킷(11)의 후방 수납공간(10b)에 상기 받침대(3)를 수용하여 볼트(B-8)로 체결고정하고;
    상기 하부지지대(4)는 일단이 고정프레임(2)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25)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1)와 이 볼트(B-1)에 체결된 너트(N-1)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8)에 힌지축(7b)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3)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롯(33)에 머리가 구속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트(B-2)와 이 볼트(B-2)에 체결된 너트(N-3)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9)에 힌지축(7b)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 상부에 위치하고, 그 일단이 고정프레임(2)에 타단이 받침대(3)에 각각 왕복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부지지대(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와 하부지지대(4) 사이에 보강지지대(15)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 상부에 외측난간(5)과 대응되는 내측에 수직부재(16a)와 수평부재(16b)로 구성되는 내측난간(16)이 더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16a)와 고정프레임(2) 사이에 연결부재(17)가 조립되어 상기 수직부재(16a)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프레임(2)의 횡방향을 감싸 기둥(C)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개방된 중앙에 고정프레임(2)을 밀접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18a)이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앵커볼트(A)가 관통하는 체결공(18b)이 형성되는 보강브래킷(18)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래킷(18)은 전방에 볼트(B-9)를 체결하는 나사공(18c)이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면에 고정프레임(2)의 슬롯(25)에 조립된 볼트(B-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부(18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KR1020190162399A 2019-12-09 2019-12-09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KR10227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399A KR102270882B1 (ko) 2019-12-09 2019-12-09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399A KR102270882B1 (ko) 2019-12-09 2019-12-09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282A true KR20210072282A (ko) 2021-06-17
KR102270882B1 KR102270882B1 (ko) 2021-06-29

Family

ID=7660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399A KR102270882B1 (ko) 2019-12-09 2019-12-09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8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8322A (zh) * 2021-09-10 2021-11-12 康智鹏 一种安全性高的桥梁施工用支撑托架
KR102407533B1 (ko) * 2021-06-29 2022-06-10 이지용 교량 점검로
KR20230093698A (ko) *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KR102644815B1 (ko) 2023-07-27 2024-03-08 주식회사 인터엑스 사출공정에 적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 품질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560A (ko) * 1999-08-20 2001-03-05 차재복 교량 점검로
KR100381724B1 (ko) 2000-12-19 2003-05-01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각 점검대
KR100499367B1 (ko) * 2002-11-21 2005-07-04 (주)뉴그린 밸리 경사펜스
KR100871410B1 (ko) * 2006-06-21 2008-12-02 (주)한누리 전주용 접이식 작업대
KR101215330B1 (ko) 2012-02-15 2013-01-04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KR20130027819A (ko)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KR101293853B1 (ko) 2012-02-08 2013-08-07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KR101449654B1 (ko) 2014-04-10 2014-10-13 주식회사 삼우기업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 안전점검시설
KR101534016B1 (ko) *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KR101709111B1 (ko) 2016-08-10 2017-02-22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하중 분산 기능이 개선된 교량 점검통로
KR20180028216A (ko) * 2016-09-08 2018-03-16 김종희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560A (ko) * 1999-08-20 2001-03-05 차재복 교량 점검로
KR100381724B1 (ko) 2000-12-19 2003-05-01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각 점검대
KR100499367B1 (ko) * 2002-11-21 2005-07-04 (주)뉴그린 밸리 경사펜스
KR100871410B1 (ko) * 2006-06-21 2008-12-02 (주)한누리 전주용 접이식 작업대
KR20130027819A (ko)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KR101293853B1 (ko) 2012-02-08 2013-08-07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KR101215330B1 (ko) 2012-02-15 2013-01-04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KR101449654B1 (ko) 2014-04-10 2014-10-13 주식회사 삼우기업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 안전점검시설
KR101534016B1 (ko) *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KR101709111B1 (ko) 2016-08-10 2017-02-22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하중 분산 기능이 개선된 교량 점검통로
KR20180028216A (ko) * 2016-09-08 2018-03-16 김종희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33B1 (ko) * 2021-06-29 2022-06-10 이지용 교량 점검로
CN113638322A (zh) * 2021-09-10 2021-11-12 康智鹏 一种安全性高的桥梁施工用支撑托架
KR20230093698A (ko) *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KR102644815B1 (ko) 2023-07-27 2024-03-08 주식회사 인터엑스 사출공정에 적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 품질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882B1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88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량 점검대
US20030221385A1 (en) Post mount
KR101293853B1 (ko) 교량점검통로
KR10234767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
KR101861048B1 (ko) 데크로드 조립식 난간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US200701308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structure on an uneven surface
KR102370194B1 (ko)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2347686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브라켓이 적용된 디자인형 울타리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1828272B1 (ko)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US6526722B1 (en)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KR101775645B1 (ko) 교량 점검용 통로
FI126773B (fi) Kattotyöskentelyn kaiderakenteen pystytukirakenne
KR20190066343A (ko) 난간 연결구조체
KR102066048B1 (ko) 수직 및 수평하중 보강형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20180003332A (ko)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US10612269B2 (en) Fence system
KR100931957B1 (ko) 조립식 펜스
KR101758449B1 (ko) 레벨조정이 가능한 압출형 안전난간
KR102148932B1 (ko) 구조강화지주
GB2253877A (en) Handrai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