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295A - 무알칼리 유리판 - Google Patents
무알칼리 유리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0295A KR20210070295A KR1020217010279A KR20217010279A KR20210070295A KR 20210070295 A KR20210070295 A KR 20210070295A KR 1020217010279 A KR1020217010279 A KR 1020217010279A KR 20217010279 A KR20217010279 A KR 20217010279A KR 20210070295 A KR20210070295 A KR 202100702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ss
- glass
- content
- glass plate
- alkali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10021193 La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00272 alkali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6060 molten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48 rh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031 devit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Substances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066 glass ba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309 mel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3 slow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52 cla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068 Li 2 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16 glass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088 Archimede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3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24 Pilkingt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967 Pt—R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87 alkaline earth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2 di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95 fue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6 glass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3 rh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HOVAHRLVXNVSD-UHFFFAOYSA-N rhodium atom Chemical compound [Rh] MHOVAHRLVXNV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2 rollout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31 stront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HBGXTDRMVNFER-UHFFFAOYSA-L strontium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Sr+2] AHBGXTDRMVNFER-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03C3/09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containing zinc or zirc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rare earth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2—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 C03B5/027—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by passing an electric current between electrodes immersed in the glass bath, i.e. by direct 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55∼80%, Al2O3 10∼25%, B2O3 0∼4%, MgO 0∼30%, CaO 0∼25%, SrO 0∼15%, BaO 0∼15%, ZnO 0∼5%, Y2O3+La2O3 0∼1.0% 미만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알칼리 금속산화물을 함유하지 않고, 변형점이 7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알칼리 유리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TFT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기판 또는 TFT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기판을 유지하는 캐리어 유리에 적합한 무알칼리 유리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은 주지한 대로, 구동 제어를 위해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에는 어모퍼스 실리콘, 저온 폴리실리콘, 고온 폴리실리콘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보급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고해상도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저온 폴리실리콘 TFT는 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지만, 500∼600℃의 고온 성막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리판은 고온 성막 프로세스의 전후에서 열수축량이 커지므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패턴 어긋남을 야기해 버린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고해상도화에는 저열수축의 유리판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추가적인 고정세화가 검토되고 있으며, 그 경우, 유리판을 더욱 저열수축화할 필요가 있다.
유리판의 열수축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서 주로 두가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미리 성막 프로세스의 열처리 온도 부근에 있어서 유리판을 유지하고, 서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서냉시에 유리가 구조완화해서 수축되므로, 나중의 고온 성막 프로세스에서의 열수축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제조 공정수나 제조 시간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유리판의 제조 비용이 고등되어 버린다.
두번째 방법은 유리판의 변형점을 높이는 방법이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단시간에 용융 온도로부터 성형 온도로 냉각된다. 이 영향으로, 유리판의 가상 온도가 높아지고, 유리판의 열수축이 커진다. 그래서, 유리판의 변형점을 높이면, 성막 프로세스의 열처리 온도에 있어서의 유리판의 점도가 커지고, 구조완화가 진행되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유리판의 열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성막 프로세스의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열수축의 저감에 대해서 고변형점화의 효과가 커진다. 따라서, 저온 폴리실리콘 TFT의 경우, 유리판을 될 수 있는 한 고변형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에는 Y2O3 및/또는 La2O3를 포함하는 고변형점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Y2O3 및 La2O3은 희토류 원소이기 때문에, 원료 비용이 높아 유리판의 제조 비용을 고등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기술적 과제는 변형점이 높고, 제조 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는 무알칼리 유리판을 창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의 결과, 각 성분의 함유량을 엄밀하게 규제함과 아울러, 변형점을 소정값 이상으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55∼80%, Al2O3 10∼25%, B2O3 0∼4%, MgO 0∼30%, CaO 0∼25%, SrO 0∼15%, BaO 0∼15%, ZnO 0∼5%, Y2O3+La2O3 0∼1.0% 미만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알칼리 금속산화물을 함유하지 않고, 변형점이 7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Y2O3+La2O3」은 Y2O3과 La2O3의 합량을 가리킨다. 「실질적으로 알칼리 금속산화물을 함유하지 않고」란 유리 조성 중의 알칼리 금속산화물(Li2O, Na2O, K2O)의 함유량이 0.5몰% 미만인 경우를 가리킨다. 「변형점」은 ASTM C336의 방법에 근거해서 측정한 값을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SiO2]+14×[Al2O3]-15×[B2O3]+6×[MgO]+[CaO]+14×[SrO]+16×[BaO]≥360몰%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SiO2]는 SiO2의 몰% 함유량을 가리키고 있고, [SiO2]는 SiO2의 몰% 함유량을 가리키고 있고, [Al2O3]은 Al2O3의 몰% 함유량을 가리키고 있고, [B2O3]은 B2O3의 몰% 함유량을 가리키고 있고, [MgO]는 MgO의 몰% 함유량을 가리키고 있고, [CaO]는 CaO의 몰% 함유량을 가리키고 있고, [SrO]는 SrO의 몰% 함유량을 가리키고 있고, [BaO]는 BaO의 몰% 함유량을 가리키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17.8×[SiO2]+23.1×[Al2O3]+3.7×[B2O3]+12.9×[MgO]+14.1×[CaO]+15.5×[SrO]+15.0×[BaO]+7.2×[ZnO]≥1786몰%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Rh의 함유량이 0.1∼3질량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Rh」는 Rh 뿐만 아니라, RhO2, Rh2O3도 포함하고, RhO2, Rh2O3은 Rh로 환산해서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영률이 8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영률」은 굽힘 공진법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55∼80%, Al2O3 10∼25%, B2O3 0∼4%, MgO 0∼30%, CaO 0∼25%, SrO 0∼15%, BaO 0∼15%, ZnO 0∼5%, Y2O3+La2O3 0∼1.0% 미만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알칼리 금속산화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각 성분의 함유량을 한정한 이유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각 성분의 함유량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표시는 몰%를 나타낸다.
SiO2는 유리 골격을 형성하는 성분이며, 변형점을 높이는 성분이다. 따라서, SiO2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60% 이상, 63% 이상, 65% 이상, 67% 이상, 특히 68% 이상이다. 한편, SiO2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고온점도가 높아져서 용융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SiO2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78% 이하, 75% 이하, 74% 이하, 73% 이하, 특히 72% 이하이다.
Al2O3은 유리 골격을 형성하는 성분이며, 또 변형점을 높이는 성분이며, 또한 분상을 억제하는 성분이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0.5% 이상, 11% 이상, 11.5% 이상, 특히 12% 이상이다. 한편, Al2O3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고온점도가 높아져서 용융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22% 이하, 20% 이하, 18% 이하, 16% 이하, 15% 이하, 특히 14% 이하이다.
SiO2와 Al2O3의 합량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1% 이상, 82% 이상, 83% 이상, 84% 이상, 특히 85% 이상이다. SiO2와 Al2O3의 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변형점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SiO2와 Al2O3의 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고온점도가 높아져서 용융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SiO2와 Al2O3의 합량은 바람직하게는 90% 이하, 89% 이하, 88% 이하, 87% 이하, 특히 86% 이하이다.
B2O3은 임의 성분이지만, 소량 도입하면, 용융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B2O3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특히 0.5% 이상이다. 한편, B2O3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변형점이 대폭 저하되거나, β-OH가 대폭 증가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β-OH가 많아지면, 열수축률이 커진다. 따라서, B2O3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 이하, 3.5% 이하, 3% 이하, 2.5% 이하, 2% 이하, 1.5% 이하, 특히 1% 이하이다.
MgO는 고온 점성을 낮추고, 용융성을 높이는 성분이며, 또한 다른 성분과의 밸런스에 의해 내실투성을 높이는 성분이다. 또한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는 영률을 현저히 높이는 성분이다. 따라서, Mg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특히 2% 이상이다. 한편, MgO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변형점이 저하되기 쉬워지거나, 다른 성분과의 밸런스가 무너져서 실투 경향이 강해지거나 한다. 따라서, Mg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15%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5% 이하, 7% 이하, 6.5% 이하, 특히 6% 이하이다.
CaO는 고온 점성을 낮추고, 용융성을 높이는 성분이며, 또한 다른 성분과의 밸런스에 의해 내실투성을 높이는 성분이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특히 2% 이상이다. 한편, CaO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변형점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15%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5% 이하, 7% 이하, 6.5% 이하, 특히 6% 이하이다.
SrO는 고온 점성을 낮추고, 용융성을 높이는 성분이며, 또한 다른 성분과의 밸런스에 의해 내실투성을 높이는 성분이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특히 2% 이상이다. 한편, SrO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변형점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특히 4% 이하이다.
BaO는 고온 점성을 낮추고, 용융성을 높이는 성분이며, 또한 다른 성분과의 밸런스에 의해 내실투성을 높이는 성분이다. 따라서, Ba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0.5%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특히 3% 이상이다. 한편, BaO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변형점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5% 이하, 7% 이하, 6.5% 이하, 특히 6% 이하이다.
SrO와 BaO의 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특히 5% 이상이다. SrO와 BaO의 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용융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SrO와 BaO의 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유리 조성의 성분 밸런스가 손상되어서, 내실투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와 BaO의 합량은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16% 이하, 14% 이하, 12% 이하, 10% 이하, 9% 이하, 특히 8% 이하이다.
MgO, CaO, SrO 및 BaO의 합량은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12% 이상, 12.5% 이상, 13% 이상, 13.5% 이상, 특히 14% 이상이다. MgO, CaO, SrO 및 BaO의 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용융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MgO, CaO, SrO 및 BaO의 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변형점이 저하되거나, 유리 조성의 성분 밸런스가 손상되어서, 내실투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MgO, CaO, SrO 및 BaO의 합량은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20% 이하, 16% 이하, 15.5% 이하, 15% 이하, 14.5% 이하, 특히 14% 이하이다.
몰%비 [B2O3]/([SrO]+[BaO])는 바람직하게는 0∼0.5, 0∼0.45, 0∼0.4, 0∼0.35, 0.01∼0.3, 0.05∼0.25, 특히 0.1∼0.2이다. 몰%비 [B2O3]/([SrO]+[BaO])가 상기 범위외로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계에서는 각 성분의 밸런스가 무너져서 내실투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한, 「[B2O3]/([SrO]+[BaO])」는 B2O3의 함유량을 SrO와 BaO의 합량으로 나눈 값을 가리킨다.
[SiO2]+14×[Al2O3]-15×[B2O3]+6×[MgO]+[CaO]+14×[SrO]+16×[BaO]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330% 이상, 350% 이상, 360% 이상, 370% 이상, 380% 이상, 390% 이상, 400% 이상, 410% 이상, 420% 이상, 430% 이상이다. [SiO2]+14×[Al2O3]-15×[B2O3]+6×[MgO]+[CaO]+14×[SrO]+16×[BaO]가 지나치게 작으면, 고변형점, 고영률 및 고내실투성을 겸비하기 어려워진다.
17.8×[SiO2]+23.1×[Al2O3]+3.7×[B2O3]+12.9×[MgO]+14.1×[CaO]+15.5×[SrO]+15.0×[BaO]+7.2×[ZnO]는 바람직하게는 1740% 이상, 1750% 이상, 1760% 이상, 1770% 이상, 1780% 이상, 특히 1786% 이상이다. 17.8×[SiO2]+23.1×[Al2O3]+3.7×[B2O3]+12.9×[MgO]+14.1×[CaO]+15.5×[SrO]+15.0×[BaO]+7.2×[ZnO]가 지나치게 크면 유리판의 열수축이 커지기 쉽다.
[Al2O3]+[B2O3]-[CaO]-[SrO]-[BaO]는 바람직하게는 0% 이상, 0.1% 이상, 특히 1.0% 이상이다. [Al2O3]+[B2O3]-[CaO]-[SrO]-[BaO]가 지나치게 작으면, 유리 중의 비가교 산소 등이 많아지고, 구조적인 불균형이 생기기 쉬워지므로 고온 성막 프로세스에서 유리판이 열수축되기 쉬워진다. 한편, [Al2O3]+[B2O3]-[CaO]-[SrO]-[BaO]가 지나치게 크면, 용융 부하가 높아지거나, 내실투성이 낮아져서 유리판의 제조 비용이 고등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Al2O3]+[B2O3]-[CaO]-[SrO]-[BaO]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6.0% 이하,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3.0% 이하, 특히 2.0% 이하이다.
Y2O3은 변형점, 영률 등을 높이는 성분이지만, 그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밀도, 원료 비용이 증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Y2O3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8%, 0∼0.7%, 0∼0.5%, 0∼0.2%, 특히 0∼0.1%이다.
La2O3은 변형점, 영률 등을 높이는 성분이지만, 그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밀도, 원료 비용이 증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La2O3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8%, 0∼0.7%, 0∼0.5%, 0∼0.2%, 특히 0∼0.1%이다.
Y2O3과 La2O3의 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1.0% 미만, 0∼0.8%, 0∼0.7%, 0∼0.5%, 0∼0.2%, 특히 0∼0.1%이다. 그러나, Y2O3과 La2O3의 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밀도, 원료 비용이 증가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유리 조성 중에 이하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ZnO는 용융성을 높이는 성분이지만, ZnO를 다량 함유시키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고, 또 변형점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Zn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0∼3%, 0∼0.5%, 0∼0.3%, 특히 0∼0.2%이다.
P2O5는 변형점을 유지하면서, Al계 실투 결정의 액상온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성분이지만, P2O5를 다량 함유시키면, 영률이 저하되거나, 유리가 분상되거나 한다. 또한, P는 유리로부터 확산해서 TFT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P2O5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5%, 0∼1.2%, 0∼1%, 특히 0∼0.5%이다.
TiO2는 고온 점성을 낮추고, 용융성을 높이는 성분임과 아울러, 솔라리제이션을 억제하는 성분이지만, TiO2를 다량 함유시키면, 유리가 착색되어 투과율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TiO2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00질량ppm, 0.1∼100질량ppm, 0.1∼50질량ppm, 0.5∼30질량ppm, 1∼20질량ppm, 3∼15질량ppm, 특히 5∼10질량ppm이다.
SnO2는 고온역에서 양호한 청징작용을 갖는 성분임과 아울러, 변형점을 높이는 성분이며, 또 고온 점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이다. SnO2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0.001∼1%, 0.05∼0.5%, 특히 0.08∼0.2%이다. SnO2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SnO2의 실투 결정이 석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SnO2의 함유량이 0.001%보다 적으면 상기 효과를 향수하기 어려워진다.
SnO2는 청징제로서 적합하지만, 유리 특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 SnO2 이외의 청징제를 사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As2O3, Sb2O3, CeO2, F2, Cl2, SO3, C를 합량으로 예를 들면 0.5%까지 첨가해도 좋고, Al, Si 등의 금속분말을 합량으로 예를 들면 0.5%까지 첨가해도 좋다.
As2O3과 Sb2O3은 청징성이 우수하지만, 환경적 관점에서 최대한 도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s2O3은 유리 중에 다량 함유시키면, 내솔라리제이션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 함유량은 1000질량ppm 이하, 100질량ppm 이하, 특히 30질량ppm 미만이 바람직하다. 또한, Sb2O3의 함유량은 1000질량ppm 이하, 100질량ppm 이하, 특히 30질량ppm 미만이 바람직하다.
Cl은 무알칼리 유리의 용융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고, Cl을 첨가하면, 용융 온도를 저온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청징제의 작용을 촉진시키고, 결과적으로 용융 비용을 저렴화하면서, 유리 제조 가마의 장수명화를 꾀할 수 있다. 그러나, Cl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변형점이 저하된다. 따라서, Cl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특히 0.1% 이하이다. 또한, Cl의 도입원료로서 염화스트론튬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산화물의 염화물, 또는 염화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Rh는 용융 설비에 포함되는 성분이며, 유리를 고온으로 용융하면, 유리 생지 중에 용출하는 성분이다. 한편, Rh는 SnO2와 공존시키면, 유리를 착색시키는 성분이다. Rh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3질량ppm, 0.1∼3질량ppm, 0.1∼3질량ppm, 0.2∼2.5질량ppm, 0.3∼2질량ppm, 0.4∼1.5질량ppm, 특히 0.5∼1질량ppm이다. 또한, 용융 온도를 저하시키면, Rh의 함유량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Ir은 Pt나 Pt-Rh 합금에 비해서 내열성이 높고, 또 용융 유리와의 계면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의 발포를 저감할 수 있는 성분이다. 또한, Ir은 용융 설비에 포함되는 성분이며, 유리를 고온에서 용융하면, 유리 생지 중에 용출하는 성분이다. 한편, Ir의 용출량이 많아지면, 유리 중에 이물로서 석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I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0질량ppm, 0.01∼10질량ppm, 0.02∼5질량ppm, 0.03∼3질량ppm, 0.04∼2질량ppm, 특히 0.05∼1질량ppm이 바람직하다. 또한, 「Ir」은 Ir 뿐만 아니라, IrO2, Ir2O3을 포함하고, IrO2, Ir2O3은 Ir로 환산해서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몰리브덴은 용융 공정에 있어서의 전극에 사용되는 성분이며, 유리를 고온에서 용융하면, 유리 생지 중에 MoO3로서 용출하는 성분이다. MoO3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0질량ppm, 1∼50질량ppm, 3∼40질량ppm, 5∼30질량ppm, 5∼25질량ppm, 특히 5∼20질량ppm이다. 또한, MoO3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용융 유리에 대해서 가열 전극에 의한 통전가열을 행하기 어려워지므로, β-OH를 저감하기 어려워진다.
ZrO2는 용융 공정에 있어서의 내화물에 포함되는 성분이며, 유리를 고온에서 용융하면, 유리 생지 중에 용출하는 성분이다. 또한, ZrO2는 액상온도나 내후성을 높이는 성분이다. 한편, ZrO2의 함유량을 과도하게 감소시킬 경우, 용융 공정에서 고가인 내화물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유리판의 제조 비용을 고등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ZrO2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000질량ppm, 500∼2000질량ppm, 550∼1500질량ppm, 특히 600∼1200질량ppm이 바람직하다.
Fe2O3은 원료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성분이며, 전기 저항률을 저하시키는 성분이다. Fe2O3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300질량ppm, 80∼250질량ppm, 특히 100∼200질량ppm이다. Fe2O3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원료 비용이 고등되기 쉬워진다. 한편, Fe2O3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용융 유리의 전기 저항률이 상승해서 전기 용융을 행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알칼리 금속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지만, 불가피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알칼리 금속산화물이 불가피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경우, 알칼리 금속산화물의 함유량(Li2O, Na2O 및 K2O의 합량)은 바람직하게는 10∼1000질량ppm, 30∼600질량ppm, 50∼300질량ppm, 70∼200질량ppm, 특히 80∼150질량ppm이다. 특히, Na2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600질량ppm, 50∼300질량ppm, 70∼200질량ppm, 특히 80∼150질량ppm이다. 알칼리 금속산화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고순도 원료의 사용이 불가결로 되고, 배치 비용이 고등한다. 또 전기 전도도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전기 용융이 곤란해진다. 한편, 알칼리 금속산화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막 중에 알칼리 이온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이하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팽창계수는 바람직하게는 46×10-7/℃ 이하, 42×10-7/℃ 이하, 40×10-7/℃ 이하, 38×10-7/℃ 이하, 특히 26×10-7/℃ 이상, 또한 36×10-7/℃ 이하이다. 열팽창계수가 지나치게 높으면, 고온 성막 프로세스에서의 온도 얼룩에 의해 유리판에 국소적인 치수변화가 생기기 쉬워진다.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80g/㎤ 이하, 2.75g/㎤ 이하, 2.70g/㎤ 이하, 2.65g/㎤ 이하, 2.60g/㎤ 이하, 2.55g/㎤ 이하, 특히 2.45∼2.50g/㎤이다. 밀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유리판의 휘어짐량이 커지기 쉽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응력기인의 패턴 어긋남을 조장하기 쉬워진다.
변형점은 75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60℃ 이상, 765℃ 이상, 770℃ 이상, 775℃ 이상, 780℃ 이상, 785℃ 이상, 790℃ 이상, 795℃ 이상, 800℃ 이상이다. 변형점이 너무 낮으면, 고온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 유리판이 열수축되기 쉬워진다.
서냉점은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 805℃ 이상, 810℃ 이상, 820℃ 이상, 830℃ 이상, 840℃ 이상, 특히 850℃ 이상이다. 서냉점이 너무 낮으면, 고온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 유리판이 열수축되기 쉬워진다.
연화점은 바람직하게는 1040℃ 이상, 1060℃ 이상, 1080℃ 이상, 특히 1100℃ 이상이다. 연화점이 너무 낮으면, 고온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 유리판이 열수축되기 쉬워진다.
고온점도 102.5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750℃ 이하, 1720℃ 이하, 1700℃ 이하, 1690℃ 이하, 1680℃ 이하, 특히 1670℃ 이하이다. 102.5dPa·s에 있어서의 온도가 높아지면, 용융성, 청징성이 저하되기 쉬워지고, 유리판의 제조 비용이 고등한다.
영률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81㎬ 이상, 82㎬ 이상, 특히 83㎬ 이상이다. 영률이 너무 낮으면, 유리판의 휘어짐량이 커지기 쉽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응력기인의 패턴 어긋남을 조장하기 쉬워진다.
비영률은 바람직하게는 30㎬/g·cm-3 이상, 31㎬/g·cm-3 이상, 32㎬/g·cm-3 이상, 특히 33㎬/g·cm-3 이상이다. 비영률이 너무 낮으면, 유리판의 휘어짐량이 커지기 쉽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응력기인의 패턴 어긋남을 조장하기 쉬워진다.
β-OH는 유리 중의 수분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β-OH를 저하시키면, 변형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리 조성이 같은 경우라도, β-OH가 작은 쪽이 변형점 이하 온도에서의 열수축률이 작아진다. β-OH는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 0.25/㎜ 이하, 0.20/㎜ 이하, 0.15/㎜ 이하, 특히 0.10/㎜ 이하이다. 또한, β-OH가 지나치게 작으면, 용융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β-OH는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특히 0.03/㎜ 이상이다.
β-OH를 저하시키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함수량이 낮은 원료를 선택한다. (2)유리 중에 β-OH를 저하시키는 성분(Cl, SO3 등)을 첨가한다. (3)노내 분위기 중의 수분량을 저하시킨다. (4)용융 유리 중에서 N2 버블링을 행한다. (5)소형 용융로를 채용한다. (6)용융 유리의 유량을 많게 한다. (7)전기 용융법을 채용한다.
여기에서, 「β-OH」는 FT-IR을 사용해서 유리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하기의 수식 1을 사용해서 구한 값을 가리킨다.
[수 1]
β-OH=(1/X)log(T1/T2)
X:판두께(㎜)
T1:참조 파장 3846cm-1에 있어서의 투과율(%)
T2:수산기 흡수 파장 3600cm-1 부근에 있어서의 최소 투과율(%)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판두께 방향의 중앙부에 오버플로우 합류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이란 쐐기형의 내화물의 양측으로부터 용융 유리를 넘치게 해서, 넘친 용융 유리를 설형의 하단에서 합류시키면서, 하방으로 연신 성형해서 평판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서는 유리판의 표면이 되어야 할 면은 내화물에 접촉하지 않고, 자유 표면의 상태로 성형된다. 이 때문에, 미연마로 표면품위가 양호한 유리판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대면적화나 박육화도 용이하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슬롯 다운법, 리드로우법, 플로트법, 롤아웃법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에 있어서, 판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0.7㎜ 이하, 0.5㎜ 이하, 특히 0.05∼0.4㎜이다. 판두께가 작을수록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을 경량화하기 쉬워진다. 또한, 판두께는 유리 제조시의 유량이나 성형 속도(판당김 속도) 등으로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55∼80%, Al2O3 10∼25%, B2O3 0∼4%, MgO 0∼30%, CaO 0∼25%, SrO 0∼15%, BaO 0∼15%, ZnO 0∼5%, Y2O3+La2O3 0∼1.0% 미만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알칼리 금속산화물을 함유하지 않도록 조합된 유리 배치를 용융로에 투입하고, 가열 전극에 의한 통전가열을 행함으로써, 용융 유리를 얻는 용융 공정과, 얻어진 용융 유리를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판두께 0.1∼0.7㎜의 무알칼리 유리판으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판의 제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용융 공정, 청징 공정, 공급 공정, 교반 공정, 성형 공정을 포함한다. 용융 공정은 유리 원료를 조합한 유리 배치를 용융하고, 용융 유리를 얻는 공정이다. 청징 공정은 용융 공정에서 얻어진 용융 유리를 청징제 등의 작용에 의해 청징하는 공정이다. 공급 공정은 각 공정 사이에 용융 유리를 이송하는 공정이다. 교반 공정은 용융 유리를 교반하고, 균질화하는 공정이다. 성형 공정은 용융 유리를 유리판으로 성형하는 공정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이외의 공정, 예를 들면 용융 유리를 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조절하는 상태 조절 공정을 교반 공정후에 도입해도 좋다.
무알칼리 유리판을 공업적으로 제조할 경우, 일반적으로, 버너의 연소 불꽃에 의한 가열에 의해 용융되고 있다. 버너는 통상, 용융 가마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연료로서 화석 연료, 구체적으로는 중유 등의 액체연료나 LPG 등의 기체연료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연소 불꽃은 화석 연료와 산소 가스와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용융시에 용융 유리 중에 많은 수분이 혼입되므로, β-OH가 상승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열 전극에 의한 통전가열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버너의 연소 불꽃에 의한 가열을 행하지 않고, 가열 전극에 의한 통전가열로 용융하는 것, 즉 완전 전기 용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용융시에 용융 유리 중에 수분이 혼입되기 어려워지므로, β-OH를 0.30/㎜ 이하, 0.25/㎜ 이하, 0.20/㎜ 이하, 0.15/㎜ 이하, 특히 0.10/㎜ 이하로 규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가열 전극에 의한 통전가열을 행하면, 용융 유리를 얻기 위한 질량당 에너지량이 저하됨과 아울러, 용융 휘발물이 적어지므로,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통전가열에 관해서 유리 배치 중의 수분량이 적을수록 유리판 중의 β-OH를 저감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B2O3의 도입원료는 최대의 수분의 혼입원으로 되기 쉽다. 따라서, 저β-OH의 유리판을 제조하는 관점에서 B2O3의 함유량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 유리 배치 중의 수분량이 적을수록 유리 배치가 용융 가마내에 일률적으로 퍼지기 쉬워지므로 균질하고 고품위의 유리판을 제조하기 쉬워진다.
가열 전극에 의한 통전가열은 용융 가마내의 용융 유리에 접촉하도록 용융 가마의 저부 또는 측부에 형성된 가열 전극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전극에 사용하는 재료는 내열성과 용융 유리에 대한 내식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산화주석, 몰리브덴, 백금, 로듐 등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노내 설치의 자유도의 관점에서 몰리브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알칼리 유리판은 알칼리 금속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므로, 전기 저항률이 높다. 따라서, 가열 전극에 의한 통전가열을 행할 경우, 용융 유리 뿐만 아니라, 용융 가마를 구성하는 내화물에도 전류가 흘러서 용융 가마를 구성하는 내화물이 조기에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내 내화물로서 전기 저항률이 높은 지르코니아계 내화물, 특히 지르코니아 전주 벽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용융 유리(유리 조성) 중에 전기 저항률을 저하시키는 성분(Fe2O3 등)을 소량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Fe2O3의 함유량은 50∼300질량ppm, 80∼250질량ppm, 특히 100∼200질량ppm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르코니아계 내화물 중의 ZrO2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상, 특히 90질량% 이상이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표 1∼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시료 No. 1∼679)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료 No. 281∼679의 유리 특성은 실측값이 아닌 조성 팩터로부터 계산한 계산값이다.
우선 표 중의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한 유리 배치를 백금 도가니에 넣은 후, 1600∼1650℃에서 24시간 용융했다. 유리 배치의 용해에 있어서는, 백금 스터러를 사용해서 교반하고, 균질화를 행했다. 다음에, 용융 유리를 카본판 상에 흘려내고, 판형상으로 성형한 후, 서냉점 부근의 온도에서 30분간 서냉했다. 얻어진 각 시료에 대해서 열팽창계수, 밀도, 변형점, 서냉점, 연화점, 고온점도 104.5dPa·s에 있어서의 온도, 고온점도 104.0dPa·s에 있어서의 온도, 고온점도 103.0dPa·s에 있어서의 온도, 고온점도 102.5dPa·s에 있어서의 온도, 영률, 비영률, β-OH를 평가했다.
열팽창계수는 30∼380℃의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딜라토미터로 측정한 값이다.
밀도는 주지의 아르키메데스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변형점, 서냉점, 연화점은 ASTM C336, C338의 방법에 근거해서 측정한 값이다.
고온점도 104.5dPa·s, 104.0dPa·s, 103.0dPa·s, 102.5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영률은 굽힘 공진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비영률은 영률을 밀도로 나눈 값이다.
β-OH는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표 1∼4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료 No. 1∼679는 변형점이 높고, 유리 조성 중에 Y2O3과 La2O3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2
표 50은 β-OH와 열수축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시료 A와 시료 B는 시료 No. 1에 따른 유리 조성을 갖고 있지만, β-OH가 다르다. 이 시료 A, B에 대해서 500℃에서 1시간 유지했을 때의 열수축률과 600℃에서 1시간 유지했을 때의 열수축률을 측정했다.
열수축률은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유리판에 대해서 직선상의 마킹을 평행하게 2개소 각인한 후, 이 마킹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분할하고, 2개의 유리편을 얻는다. 다음에, 한쪽의 유리편에 대해서 상온으로부터 5℃/분의 승온속도로 500℃ 또는 600℃까지 승온하고, 500℃ 또는 600℃에서 1시간 유지한 후, 5℃/분의 강온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한다. 계속해서, 열처리가 완료된 유리편과 미열처리의 유리편을 분할면이 정합하도록 늘어놓고, 접착 테이프로 고정한 후, 양자의 마킹의 어긋남량(△L)을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L/L0의 값을 측정하고, 이것을 열수축률로 한다. 또한, L0은 열처리전의 유리편의 길이이다.
표 50으로부터 유리 조성이 같은 경우라도, β-OH가 낮은 쪽이 열수축률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시료 No. 1, 15, 115의 유리 조성을 갖는 유리에 대해서 기존의 설비를 사용해서 종래의 온도조건으로 용융하고,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유리판을 성형한 후, 형광 X선 분석에 의해 미량 성분의 함유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5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상기 시료 No. 1, 15, 115의 유리 조성을 갖는 유리에 대해서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설비와는 다른 기존 설비를 사용해서 종래보다 고온에서 용융하고,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유리판을 성형한 후, 형광 X선 분석에 의해 미량 성분의 함유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52에 나타낸다.
Claims (5)
-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55∼80%, Al2O3 10∼25%, B2O3 0∼4%, MgO 0∼30%, CaO 0∼25%, SrO 0∼15%, BaO 0∼15%, ZnO 0∼5%, Y2O3+La2O3 0∼1.0% 미만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알칼리 금속산화물을 함유하지 않고, 변형점이 7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알칼리 유리판.
- 제 1 항에 있어서,
[SiO2]+14×[Al2O3]-15×[B2O3]+6×[MgO]+[CaO]+14×[SrO]+16×[BaO]≥360몰%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알칼리 유리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7.8×[SiO2]+23.1×[Al2O3]+3.7×[B2O3]+12.9×[MgO]+14.1×[CaO]+15.5×[SrO]+15.0×[BaO]+7.2×[ZnO]≥1786몰%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알칼리 유리판.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h의 함유량이 0.1∼3질량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알칼리 유리판.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률이 8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알칼리 유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89873 | 2018-10-05 | ||
JPJP-P-2018-189873 | 2018-10-05 | ||
PCT/JP2019/037489 WO2020071193A1 (ja) | 2018-10-05 | 2019-09-25 | 無アルカリガラス板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0295A true KR20210070295A (ko) | 2021-06-14 |
Family
ID=7005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0279A KR20210070295A (ko) | 2018-10-05 | 2019-09-25 | 무알칼리 유리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2077471B2 (ko) |
JP (2) | JP7448890B2 (ko) |
KR (1) | KR20210070295A (ko) |
CN (1) | CN112805255A (ko) |
TW (2) | TWI752356B (ko) |
WO (1) | WO20200711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2112743A (ja) * | 2021-01-22 | 2022-08-03 | Agc株式会社 | フロートガラス基板 |
CN116390896A (zh) * | 2022-05-31 | 2023-07-04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玻璃纤维及玻璃纤维用组合物 |
JP2024039788A (ja) * | 2022-09-12 | 2024-03-25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無アルカリガラス板 |
CN116282902A (zh) * | 2023-01-21 | 2023-06-23 | 武汉理工大学 | 一种无碱基板玻璃 |
CN117800596A (zh) * | 2024-01-09 | 2024-04-02 | 青岛融合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低膨胀低收缩低张力高杨氏模量材料及生产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69617B2 (ja) | 2008-05-13 | 2015-08-26 |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希土類含有ガラス材料および基板ならびにこれら基板を含む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80618A (en) | 1977-07-27 | 1979-12-25 | Corning Glass Works | Thin silicon film electronic device |
JPS5769617U (ko) | 1980-10-17 | 1982-04-27 | ||
JPS61261232A (ja) * | 1985-05-13 | 1986-11-19 | Ohara Inc | 耐火・耐熱性ガラス |
US4634684A (en) | 1985-10-23 | 1987-01-06 | Corning Glass Works | Strontium aluminosilicate glass substrate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
US4634683A (en) * | 1985-10-23 | 1987-01-06 | Corning Glass Works | Barium and/or strontium aluminosilicate crystal-containing glasse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
CA1300648C (en) | 1987-04-27 | 1992-05-12 | Francis Willis Martin | Glass-ceramics for electronic packaging |
US4897509A (en) | 1987-04-27 | 1990-01-30 | Corning Incorporated | Glass-ceramics for electronic packaging |
JP3804112B2 (ja) * | 1996-07-29 | 2006-08-02 | 旭硝子株式会社 | 無アルカリガラス、無アルカリ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 |
JP4613635B2 (ja) * | 2005-02-21 | 2011-01-19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
JP6256744B2 (ja) * | 2013-10-17 | 2018-01-10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無アルカリガラス板 |
JP6575223B2 (ja) * | 2014-08-27 | 2019-09-18 | Agc株式会社 | 無アルカリガラス |
JP7004488B2 (ja) | 2015-03-10 | 2022-01-21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基板 |
CN113045197A (zh) * | 2015-04-03 | 2021-06-29 |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 玻璃 |
TWI768463B (zh) | 2015-04-03 | 2022-06-21 | 日商日本電氣硝子股份有限公司 | 玻璃 |
CN107531539A (zh) * | 2015-05-15 | 2018-01-02 |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 强化玻璃板的制造方法、强化用玻璃板及强化玻璃板 |
JP6758608B2 (ja) * | 2015-05-18 | 2020-09-23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無アルカリガラス基板 |
CN109641782B (zh) * | 2016-08-23 | 2022-10-28 | Agc株式会社 | 无碱玻璃 |
WO2018116731A1 (ja) | 2016-12-19 | 2018-06-28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 |
JP6983377B2 (ja) | 2016-12-19 | 2021-12-17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 |
JP7121345B2 (ja) | 2016-12-28 | 2022-08-18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 |
JP6972598B2 (ja) | 2017-03-22 | 2021-11-24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2019
- 2019-09-25 CN CN201980065642.0A patent/CN112805255A/zh active Pending
- 2019-09-25 US US17/282,480 patent/US12077471B2/en active Active
- 2019-09-25 KR KR1020217010279A patent/KR2021007029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09-25 JP JP2020550322A patent/JP7448890B2/ja active Active
- 2019-09-25 WO PCT/JP2019/037489 patent/WO202007119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0-01 TW TW108135402A patent/TWI752356B/zh active
- 2019-10-01 TW TW110145372A patent/TWI843033B/zh active
-
2024
- 2024-02-14 JP JP2024020354A patent/JP2024040438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69617B2 (ja) | 2008-05-13 | 2015-08-26 |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希土類含有ガラス材料および基板ならびにこれら基板を含む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52356B (zh) | 2022-01-11 |
TW202210431A (zh) | 2022-03-16 |
JP2024040438A (ja) | 2024-03-25 |
JP7448890B2 (ja) | 2024-03-13 |
TWI843033B (zh) | 2024-05-21 |
CN112805255A (zh) | 2021-05-14 |
WO2020071193A1 (ja) | 2020-04-09 |
US12077471B2 (en) | 2024-09-03 |
JPWO2020071193A1 (ja) | 2021-09-02 |
TW202031610A (zh) | 2020-09-01 |
US20210380468A1 (en) | 2021-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77412B2 (ja) | 無アルカリガラス基板 | |
KR20210070295A (ko) | 무알칼리 유리판 | |
CN115611511A (zh) | 玻璃基板 | |
JP7197978B2 (ja) | ガラス | |
JP6983377B2 (ja) | ガラス | |
KR102696612B1 (ko) | 유리판 및 그 제조 방법 | |
WO2018116731A1 (ja) | ガラス | |
CN109843817B (zh) | 玻璃 | |
KR20210077729A (ko) | 무알칼리 유리판 | |
KR20220047209A (ko) | 유리 기판 | |
US12122715B2 (en) | Alkali-free glass plate | |
WO2021002189A1 (ja) | ガラス基板 | |
TW202430479A (zh) | 無鹼玻璃板 | |
KR20190139210A (ko) | 유리 기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