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890A -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 Google Patents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890A
KR20210064890A KR1020190153615A KR20190153615A KR20210064890A KR 20210064890 A KR20210064890 A KR 20210064890A KR 1020190153615 A KR1020190153615 A KR 1020190153615A KR 20190153615 A KR20190153615 A KR 20190153615A KR 20210064890 A KR20210064890 A KR 20210064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op
information
reserv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522B1 (ko
Inventor
임재홍
이상윤
최범서
이윤성
홍주은
김혜인
박성은
안선미
채지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5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하여 교내 순환버스, 일반버스, 광역시외버스 등의 버스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현재 버스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승객 수를 포함하는 예상 승객 정보를 버스기사 단말기에 제공하며,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블루투스 비콘의 적용 범위 내로 들어왔을 때 예약을 가능하도록 하여 버스의 잔여 좌석이없거나 승차가 불가능할 경우 다음버스를 예약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 내 승객 과다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할 수 있는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Circular bus seat reservation system}
본 발명은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하여 교내 순환버스, 일반버스, 광역시외버스 등의 버스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현재 버스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승객 수를 포함하는 예상 승객 정보를 버스기사 단말기에 제공하며,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블루투스 비콘의 적용 범위 내로 들어왔을 때 예약을 가능하도록 하여 버스의 잔여 좌석이없거나 승차가 불가능할 경우 다음버스를 예약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 내 승객 과다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할 수 있는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 예를 들어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일정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에 따라 승차 티켓을 발권 받아야 한다. 한편, 시내 버스의 경우 사용자는 정해진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렸다가 탑승한다. 대중교통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예약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중교통 이용자는 승차 시간, 정류장, 및 좌석 등을 선택하여 예약하고 탑승할 수 있다.
한편, 정기승차 버스는 원거리 대학 캠퍼스의 통학버스, 기업의 통근버스, 대학 캠퍼스 내 순환버스와 같이 등록된 이용객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지정된 승차장을 왕복하는 버스를 지칭한다. 정기승차 버스의 경우에는 특정 사용자가 고정된 버스 노선을 이용하게 된다. 기존의 정기승차 버스의 경우, 좋은 좌석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이 오랜 시간 정류장에서 줄을 서서 버스를 기다려야 하므로, 승차의 불편함, 사용자의 시간 낭비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기승차 버스의 경우 사용자들이 대게 매일 2회씩 이용해야 하므로 이러한 어려움과 문제점이 매일 반복되고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 공개특허공보 제2016-0000921호(2016.1.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스 내 승객들을 위한 정보교환 시스템을 구현하여 위치, 시간, 탑승객 수를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제공받고, 이 버스 정보를 기반으로 정차지점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은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은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서버로부터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노선, 정차 위치 및 배차를 포함한 버스정보를 안내하는 버스정보안내모듈, 버스정보안내모듈을 기반으로 승차할 정류장과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가능한 버스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비콘으로 활성화된 경우,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를 예약할 수 있는 승차예약모듈,승차예약모듈로 예약 후, 하차 정류장이 선택되면 서버로 신호를 송신하여 정차 지점에 맞게 정차버튼의 발광 및 발음을 실행시키는 하차예약모듈, 및 서버의 버스승객카운팅모듈로 카운팅된 탑승객 수를 확인할 수 있는 버스승객확인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은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서버로부터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노선, 정차 위치 및 배차를 포함한 버스정보를 안내하는 버스정보안내모듈, 버스정보안내모듈을 기반으로 승차할 정류장과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가능한 버스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비콘으로 활성화된 경우,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를 예약할 수 있는 승차예약모듈, 승차예약모듈로 예약 후, 하차 정류장이 선택되면 서버로 신호를 송신하여 정차 지점에 맞게 정차버튼의 발광 및 발음을 실행시키는 하차예약모듈, 및 서버의 버스승객카운팅모듈로 카운팅된 탑승객 수를 확인할 수 있는 버스승객확인모듈을 포함하며, 서버는 정류장에 설치된 비콘으로 자동 활성화되어 식별번호가 부여된 수를 카운팅하고, 승차예약모듈로 예약된 승객 수를 카운팅하는 버스승객카운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은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서버로부터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노선, 정차 위치 및 배차를 포함한 버스정보를 안내하는 버스정보안내모듈, 버스정보안내모듈을 기반으로 승차할 정류장과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가능한 버스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비콘으로 활성화된 경우,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를 예약할 수 있는 승차예약모듈, 승차예약모듈로 예약 후, 하차 정류장이 선택되면 서버로 신호를 송신하여 정차 지점에 맞게 정차버튼의 발광 및 발음을 실행시키는 하차예약모듈, 및 서버의 버스승객카운팅모듈로 카운팅된 탑승객 수를 확인할 수 있는 버스승객확인모듈을 포함하며, 서버는 정류장에 설치된 비콘으로 자동 활성화되어 식별번호가 부여된 수와, 승차예약모듈로 예약된 승객 수를 각 카운팅하는 버스승객카운팅모듈을 포함하고, 스마트기기의 승차예약모듈을 통해 승차 예약 시, 목적지까지 잔여 좌석이 없다면, 해당 버스 내 탑승한 승객 중 하차예약모듈로 하차하여 발생하는 좌석으로 일정 구간만 승차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콘을 이용하여 교내 순환버스, 일반버스, 광역시외버스 등의 버스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현재 버스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승객 수를 포함하는 예상 승객 정보를 버스기사 단말기에 제공하며,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블루투스 비콘의 적용 범위 내로 들어왔을 때 예약을 가능하도록 하여 버스의 잔여 좌석이없거나 승차가 불가능할 경우 다음버스를 예약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 내 승객 과다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할 수 있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100)은,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 스마트기기(20), 비콘(30), 및 버스 단말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서버(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0)는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한다.
또한, 서버(10)는 버스승객카운팅모듈(11)을 포함하고, 버스승객카운팅모듈(11)은 정류장에 설치된 비콘(30)으로 자동 활성화되어 식별번호가 부여된 수와, 승차예약모듈(22)로 예약된 승객 수, 하차예약모듈(23)로 예약된 승객 수를 각 카운팅한다.
스마트기기(20)는 서버(10)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하다.
스마트기기(20)로는 PC(Personal Computer), 빔프로젝터와 스크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또한, 스마트기기(20)는 버스정보안내모듈(21), 승차예약모듈(22), 하차예약모듈(23), 및 버스승객확인모듈(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하 버스정보안내모듈(21)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정보안내모듈(21)은 서버(10)로부터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노선, 정차 위치 및 배차를 포함한 버스정보를 안내한다.
일례로, 서버(10)로부터 버스의 GPS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 현재 위치에 따른 정차 정류장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버스 단말기(40)에서 수신하여 승객의 스마트기기(20)에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면, 해당 버스정보가 버스정보안내모듈(21)을 통해 구현된다.
승차예약모듈(22)은 버스정보안내모듈(21)을 기반으로 승차할 정류장과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가능한 버스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비콘(30)으로 활성화된 경우,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를 예약할 수 있다.
하차예약모듈(23)은 승차예약모듈(22)로 예약 후, 하차 정류장이 선택되면 서버(10)로 신호를 송신하여 버스 단말기(40)를 통해 정차 지점에 맞게 정차버튼의 발광 및 발음시키도록 한다.
특히, 스마트기기(20)의 승차예약모듈(22)을 통해 승차 예약 시, 목적지까지 잔여 좌석이 없다면, 해당 버스 내 탑승한 승객 중 하차예약모듈(23)로 하차하여 발생하는 좌석으로 일정 구간만 승차예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승객 A가 기다리는 정류장에서 버스에 승차하여 세 코스를 지나 4번째 정류장에서 하차해야하고, 승객 B가 승객 A가 하차하는 정류장보다 한 코스 전인 3번째 정류장에서 승차하는 것으로 승차예약이 되어있다고 가정하면, 승객 A는 기다리는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에 승차하여 목적지보다 한 정거장 전인 3번째 정류장에서 승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콘(30)이 설치된 정류장 내에 자동활성화된 승객 수가 잔여 좌석보다 많은 경우, 승차예약모듈(22)로 예약한 승객을 우선적으로 탑승하게끔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차예약모듈(22)로 예약을 진행하지 않고 기다리는 승객과 승차예약모듈(22)로 예약한 승객이 있을 경우, 해당 정거장에 정차하는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버스를 승차예약모듈(22)로 예약한 승객 먼저 좌석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차예약모듈(22) 또는 하차예약모듈(23)로 승차 또는 하차를 예약 후, 해당 버스에 승차 또는 하차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 일정 횟수간 패널티를 부과하여 승차예약모듈(22)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승객의 스마트기기(20)가 정류장에 설치된 비콘(30)과 일정거리 내에 진입하여 승차예약모듈(22)로 특정 버스에 대한 승차를 예약하였으나, 승차를 하지 못하였을 경우, 일정 횟수간 승차예약모듈(22)의 사용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어, 승차예약모듈(22)의 남용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버스승객확인모듈(24)은 서버(10)의 버스승객카운팅모듈(11)로 카운팅된 탑승객 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비콘(30)은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20)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
버스 단말기(40)는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10)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2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서버
11 - 버스승객카운팅모듈
20 - 스마트기기
21 - 버스정보안내모듈
22 - 승차예약모듈
23 - 하차예약모듈
24 - 버스승객확인모듈
30 - 비콘
40 - 버스 단말기
100 -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Claims (4)

  1.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
    를 포함하는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2.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
    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서버로부터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노선, 정차 위치 및 배차를 포함한 버스정보를 안내하는 버스정보안내모듈,
    버스정보안내모듈을 기반으로 승차할 정류장과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가능한 버스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비콘으로 활성화된 경우,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를 예약할 수 있는 승차예약모듈,
    승차예약모듈로 예약 후, 하차 정류장이 선택되면 서버로 신호를 송신하여 정차 지점에 맞게 정차버튼의 발광 및 발음을 실행시키는 하차예약모듈, 및
    서버의 버스승객카운팅모듈로 카운팅된 탑승객 수를 확인할 수 있는 버스승객확인모듈
    을 더 포함하는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3.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
    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서버로부터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노선, 정차 위치 및 배차를 포함한 버스정보를 안내하는 버스정보안내모듈,
    버스정보안내모듈을 기반으로 승차할 정류장과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가능한 버스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비콘으로 활성화된 경우,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를 예약할 수 있는 승차예약모듈,
    승차예약모듈로 예약 후, 하차 정류장이 선택되면 서버로 신호를 송신하여 정차 지점에 맞게 정차버튼의 발광 및 발음을 실행시키는 하차예약모듈, 및
    서버의 버스승객카운팅모듈로 카운팅된 탑승객 수를 확인할 수 있는 버스승객확인모듈
    을 포함하며,
    서버는
    정류장에 설치된 비콘으로 자동 활성화되어 식별번호가 부여된 수를 카운팅하고, 승차예약모듈로 예약된 승객 수를 카운팅하는 버스승객카운팅모듈
    을 더 포함하는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4. 버스의 위치정보, 운행 정보, 버스 운전자 정보, 버스 내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보와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 수 카운팅, 예약한 승객 수 카운팅을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수집하여 버스 운행과 관련된 장비를 제어 및 통신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지속해서 제공받고, 버스정보를 기반으로 정차 정류장 예약, 알람 설정, 정차버튼 예약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및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어 식별자별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지속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마트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 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비콘; 및
    버스 내 설치되어 승객이 승차 및 하차 시 접촉시킨 교통카드의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고, 서버로부터 버스정보를 제공받아 앞, 뒤 버스의 이격 안내 및 버스 도착 서비스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버스 단말기
    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서버로부터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노선, 정차 위치 및 배차를 포함한 버스정보를 안내하는 버스정보안내모듈,
    버스정보안내모듈을 기반으로 승차할 정류장과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가능한 버스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비콘으로 활성화된 경우, 해당 정류장에 정차할 버스를 예약할 수 있는 승차예약모듈,
    승차예약모듈로 예약 후, 하차 정류장이 선택되면 서버로 신호를 송신하여 정차 지점에 맞게 정차버튼의 발광 및 발음을 실행시키는 하차예약모듈, 및
    서버의 버스승객카운팅모듈로 카운팅된 탑승객 수를 확인할 수 있는 버스승객확인모듈
    을 포함하며,
    서버는
    정류장에 설치된 비콘으로 자동 활성화되어 식별번호가 부여된 수와, 승차예약모듈로 예약된 승객 수를 각 카운팅하는 버스승객카운팅모듈
    을 포함하고,
    스마트기기의 승차예약모듈을 통해 승차 예약 시, 목적지까지 잔여 좌석이 없다면, 해당 버스 내 탑승한 승객 중 하차예약모듈로 하차하여 발생하는 좌석으로 일정 구간만 승차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KR1020190153615A 2019-11-26 2019-11-26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KR102322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15A KR102322522B1 (ko) 2019-11-26 2019-11-26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15A KR102322522B1 (ko) 2019-11-26 2019-11-26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90A true KR20210064890A (ko) 2021-06-03
KR102322522B1 KR102322522B1 (ko) 2021-11-04

Family

ID=7639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615A KR102322522B1 (ko) 2019-11-26 2019-11-26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575B1 (ko) * 2023-01-10 2024-02-29 뉴대진관광(주) 탑승객용 통근버스 이용 프로그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997A (ja) * 2001-02-07 2002-08-23 Casio Comput Co Ltd 乗客端末装置、車両運行管理装置、乗車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96115A (ko) * 2003-10-31 2003-12-24 주식회사 엠키 대중교통을 위한 안내방법 및 시스템
JP2007102390A (ja) * 2005-10-03 2007-04-19 Hitachi Ltd 空席予約システム
KR20110041661A (ko) * 2009-10-16 2011-04-22 (주)엔위즈 좌석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운송 수단,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KR20170075302A (ko) * 2015-12-23 2017-07-03 김기왕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버스 정차버튼 제어 시스템
KR101880715B1 (ko) * 2016-06-30 2018-07-24 오선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997A (ja) * 2001-02-07 2002-08-23 Casio Comput Co Ltd 乗客端末装置、車両運行管理装置、乗車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96115A (ko) * 2003-10-31 2003-12-24 주식회사 엠키 대중교통을 위한 안내방법 및 시스템
JP2007102390A (ja) * 2005-10-03 2007-04-19 Hitachi Ltd 空席予約システム
KR20110041661A (ko) * 2009-10-16 2011-04-22 (주)엔위즈 좌석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운송 수단,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KR20170075302A (ko) * 2015-12-23 2017-07-03 김기왕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버스 정차버튼 제어 시스템
KR101880715B1 (ko) * 2016-06-30 2018-07-24 오선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575B1 (ko) * 2023-01-10 2024-02-29 뉴대진관광(주) 탑승객용 통근버스 이용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522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525B1 (ko) 버스 정류장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9085784A (ja) 携帯端末、交通案内情報処理装置、交通案内システム、及び交通案内プログラム
KR101603873B1 (ko) 모바일 단말에 대한 공항 내 이동 경로 안내 방법 및 서버 및 모바일 단말
WO2017138019A1 (en) City transit solution
KR20130010394A (ko)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KR102322522B1 (ko) 순환 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CN104282144B (zh) 交互式公共交通系统
FI112067B (fi) Kolmidimensionaalisia sijaintitietoja käyttävä henkilönkuljetusjärjestelmä ja -menetelmä
JP2017174203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KR102052602B1 (ko)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좌석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7753B1 (ko) 통학버스 노선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5216155A (ja) タクシー配車予約システム及びタクシー配車予約システム用サーバ
JP2002312439A (ja) 案内システム、携帯端末、車両側装置、受信側携帯端末、送信元携帯端末、乗降所側装置および乗降センター装置
JP2012142776A (ja) 携帯端末及び誤乗車判定システム
KR101560489B1 (ko)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40085617A (ko) 통학버스를 이용한 원생 승차 및 하차 관리장치
KR20170075302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버스 정차버튼 제어 시스템
KR102373473B1 (ko) 특정 관계자의 이동을 위한 지역 내 순환 버스의 실시간 공유 좌석 예약서비스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KR20170063457A (ko) 합승요금 산출기능을 가진 다목적 택시미터기 및 이것을 이용한 택시 및 그 택시운영방법
KR20150088936A (ko) 양방향 버스 정보 시스템
KR20140100635A (ko) 차량 도착 알림 방법 및 서버
KR20150082701A (ko) 버스 하차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2304156B1 (ko) 관제 서버, 이동 보조 수단,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KR20180063783A (ko) 택시 합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