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489B1 -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489B1
KR101560489B1 KR1020140094195A KR20140094195A KR101560489B1 KR 101560489 B1 KR101560489 B1 KR 101560489B1 KR 1020140094195 A KR1020140094195 A KR 1020140094195A KR 20140094195 A KR20140094195 A KR 20140094195A KR 101560489 B1 KR101560489 B1 KR 10156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passenger
destination
relative position
destin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렬
남춘성
정현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승강장을 따라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이 설치되어 있는 정거장들 중 목적지 정거장에 도착하면 모바일 단말기가 승객에게 알릴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가, 목적지 정거장과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 적어도 포함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단계,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 아니면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분석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할 경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할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APPROACH TO DESTINATION ST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장소 판정 기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 4.0 표준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도입하였는데, 이 BLE 기능은 비콘(beacon)이라고 불리는 브로드캐스팅 무선 메시지를 좀더 확장된 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으며 그러면서도 낮은 전력 소비를 보인다.
애플 사(Apple Inc.)는 BLE 기능을 이용하는 아이비콘(iBeacon) 기술을 발표하였다. 배터리로 구동되는 작은 크기의 아이비콘 발신기들은 필요에 따라 곳곳에 설치되고, 아이비콘 발신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아이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아이비콘 호환 모바일 장치는 아이비콘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를 기초로, 나아가 필요하다면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함께 참조하여, 사용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아이비콘 기술을 이용하면, 실내에 충분한 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이 산재되어 있고 실내 지도가 구비되어 있다면, 실내에서 수 cm 정도의 정밀도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전까지는 착안하기 어려웠던 고정밀도의 개인화된 마케팅 서비스나 추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과거의 GPS 기반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에 또는 그 근처에 있다는 정도의 데이터만으로 개인화 서비스를 시도하였다면, 아이비콘 기반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매장 내의 특정한 코너나 특정 제품 앞에 사용자가 위치한다는 데이터를 기초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아이비콘 기술은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나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지하철이나 기차, 버스와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은 정해진 노선을 따라 여러 정거장을 거쳐 목적지에 도달하는 특징이 있다.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시간 동안 다른 활동에 몰입했다가 목적지 정거장을 지나치는 경험을 종종 겪는다.
이러한 불편함에 대응하기 위해 목적지에 도달 시에,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솔루션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목적지 도착 알림 솔루션들은 GPS에 기반할 경우에는 실내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목적지 정거장의 와이파이 신호를 식별하는 방식이라면, 관련된 기술 표준의 부재 또는 관리 상의 문제로 인해, 체계적이고 정확도가 높은 알림 기능은 기대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지하철이나 기차는 차량의 길이가 길어서, 사용자가 차량 내에 어느 위치에 탑승하고 있냐에 따라, 정거장에 도달하였음이 확실히 판정되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지하철이나 기차의 앞쪽 차량에 탑승하고 있으면 도착 알림을 받는 시간은 뒤쪽 차량에 탑승한 경우보다 확실히 빠를 것이며, 만약 지하철이나 기차의 맨 앞 차량에 탑승하고 있었다면 도착 알림을 받고 나서 한참 후에 차량이 멈추고 차량 문이 열리게 된다. 반면에 만약 맨 뒤 차량에 탑승하고 있었다면 차량 문이 열리기 직전에서야 도착 알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 경험이 불규칙적이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알림 서비스로서 매력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이비콘 기술에 기반하여 열차 승객을 위한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하철이나 기차를 탑승 중인 사용자가 탑승 위치에 상관없이 실제로 차량이 정지하기 전에 균일한 여유 시간을 두고 도착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고안된, 열차 승객을 위한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승강장을 따라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이 설치되어 있는 정거장들 중 목적지 정거장에 도착하면 모바일 단말기가 승객에게 알릴 수 있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목적지 정거장과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 적어도 포함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단계;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 아니면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분석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할 경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할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단계는,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메이저 ID로부터 정거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의 조합에 따라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의 평균값, 중간값, 최선순위값 또는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에 대해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을 가중 합산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에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이 수신되는 시구간 내에 수신되는 모든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열차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에서 출발함에 따라, 마지막 아이비콘 발신기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 후에,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확정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목적지 도착 알림이 개시됨에 따라, 승객에게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을, 시각적으로, 청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만약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실외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GPS 신호로부터 획득한 승객의 절대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위치가 목적지 정거장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 판정되면,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여유 구간과 상기 여유 부족 구간은, 열차의 어떤 위치에서 목적지 정거장이 식별되자마자 도착 알림이 개시될 경우에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할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준비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 직후부터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사이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효 지점은 목적지 직전 정거장과 목적지 정거장 사이의 어떤 지점으로서, 만약 도착 알림을 개시하지 못한 채로 그 지점을 지나치면 열차 내에서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경계 지점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임을 판정한 직후부터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사이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효 지점은 목적지 직전 정거장과 목적지 정거장 사이의 어떤 지점으로서, 만약 도착 알림을 개시하지 못한 채로 그 지점을 지나치면 열차 내에서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경계 지점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의 각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는,
승강장을 따라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이 설치되어 있는 정거장들 중 목적지 정거장에 도착하면 승객에게 알릴 수 있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로서,
열차의 여유 구간 및 여유 부족 구간의 설정과 실효 지점의 설정을 저장하고, 경로 정보가 생성되면 아이비콘 메시지 처리 지시 신호를 생성하고,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 아니면서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승객 위치 식별 지시 신호를 생성하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할 경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할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도착 알림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도착 알림 제어부;
상기 아이비콘 메시지 처리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비콘 발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로부터 UUID, 메이저 ID, 마이너 ID 및 TX 출력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아이비콘 메시지 수신부;
상기 추출된 메이저 ID와 상기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또는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정거장 식별부;
상기 승객 위치 식별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너 ID들에 기초하여 열차에 대한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는 승객 위치 식별부; 및
상기 도착 알림 지시 신호에 따라, 목적지 도착 알림을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승객에게 전달하는 도착 알림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의 조합에 따라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의 평균값, 중간값, 최선순위값 또는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에 대해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을 가중 합산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에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이 수신되는 시구간 내에 수신되는 모든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열차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에서 출발함에 따라, 마지막 아이비콘 발신기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 후에,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확정적으로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는,
GPS 지시 신호에 따라, 승객의 절대 위치를 식별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착 알림 제어부는,
실내 또는 실외 동작 여부를 판정하고, 실외라면 상기 GPS 지시 신호를 생성하며, 승객의 절대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위치가 목적지 정거장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다고 판정되면 도착 알림 지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아이비콘 기술에 기반하여 열차 승객에게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지하철이나 기차를 탑승 중인 사용자가 탑승 위치에 상관없이 실제로 차량이 정지하기 전에 균일한 여유 시간을 두고 도착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에 따른 승객 위치 식별 절차와 도착 알림 절차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에서 승객이 뒤쪽 차량에 탑승했을 때에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시점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에서 승객이 앞쪽 차량에 탑승했을 때에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시점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에 따른 승객 위치 식별 절차와 도착 알림 절차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차량들이 연결된 열차가 정해진 노선을 따라 정해진 정거장에 정차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가정한다. 열차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정거장의 플랫폼 길이도 길고, 열차가 정거장에 진입하여 멈추기까지 시간이 적지 않게 걸린다. 각각의 정거장들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목적지 정거장을 놓치기 쉽다.
환승은 환승 정거장을 기준으로 개별적인 경로들이 결합된 것으로 취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에서, 환승 정거장도 일종의 중간 목적지 정거장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블루투스 기능 및/또는 GPS 기능과 같은 소정의 통신 기능 및 정보 처리 기능을 갖춘 모바일 단말기(10)에서 구현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정거장이 지하에 있는 경우에 정거장의 긴 플랫폼을 따라 적절한 위치마다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설치되어 있고, 철로와 정거장이 지상에 있는 경우에는 열차가 정거장에 진입하는 철로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 발신기(11)가 설치되어 있고 열차에 탑승한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10)가 GPS 신호를 충분히 수신할 수 있음을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이 탄 열차의 경로 정보는 적어도 목적지 직전 정거장과 목적지 정거장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승객이 출발지 정거장에서 열차에 올라타서, 열차가 출발하기 전에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서비스를 활성화하였다면, 모바일 단말기(10)가 아이비콘 메시지를 수신하기 시작할 것이므로, 출발지 정거장도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만약 모바일 단말기(10)가 아이비콘 메시지를 백그라운드에서 리스닝하고 있었다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에서 경로를 검색하고 있다는 컨텍스트와, 식별된 정거장이 검색된 경로 상에 있는 정거장에 상응하는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이라는 두 가지 사실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자동으로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서비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승객이 탄 열차가 각 정거장에 진입하는 동안, 열차가 정차한 동안 또는 승객이 정거장 플랫폼에 머물러 있는 동안,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10)는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아이비콘 메시지는 블루투스 BLE 표준에 근거하여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메이저 ID(major ID) 및 마이너 ID(minor ID)로 구성되는 짧고 단순한 메시지이다.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은 이러한 아이비콘 메시지를 거의 일정한 주기에 따라 계속 송출한다. UUID는 어떤 사업자나 운영 주체에 대한 16 바이트의 고유 식별자이고, 그 영역 내에서 2 바이트의 메이저 ID와 2 바이트의 마이너 ID로 각각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철도 회사에서 운영하는 지하철 역들에 설치된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은 모두 동일한 UUID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메이저 ID에 의해 각 지하철 역들을 구별하고, 마이너 ID에 의해 각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의 위치를 구별하도록 아이비콘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장소에 많은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각자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송출하더라도 구분할 수 있다.
아이비콘 기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10)는 아이비콘 메시지 내에서 추출된 UUID에 기초하여 아이비콘 발신기(11)를 설치한 사업자 내지 운영 주체를 식별할 수 있고, 그 식별된 사업자 또는 운영 주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아이비콘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은 BLE 표준에 따라 프리엠블, 어드레스(고정됨), 헤더, 아이비콘 메시지, TX 출력, CRC로 구성되는데, 아이비콘 기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10)는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 전력 측정치를 패킷에 기록된 TX 출력에 비교하여 근접(immediate, 수 cm 이내), 인접(near, 수 미터 이내), 원거리(far, 10 미터 이상) 중 하나로 판정한다. 세 거리 카테고리들의 경계는 응용 분야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BLE 표준에 따르면 장애가 없으면 비콘 신호는 최대 450 미터까지 송출될 수 있다고 하며, 통상적으로 약 70 미터 정도까지 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각 정거장에서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 또는 철로를 따라 균등하게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아이비콘 메시지를 분석하고,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메이저 ID로부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정거장인지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인지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이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수신된 복수의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분석하여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대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열차의 앞부분, 중간부분, 뒷부분 중 어느 하나로 대략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충분하며, 아이비콘 발신기들이 많이 설치될수록 좀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에, 즉 모바일 단말기(10) 내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가속이나 감속이 검출되지 않는 동안에,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열차의 정지 여부에 상관없이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이 수신되는 시구간 내에 수신되는 모든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로부터 특정되는 거리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TX 출력 데이터와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거리 카테고리가 인접으로 판정된 아이비콘 발신기(11)가 있다면, 그 아이비콘 발신기(11)의 위치로부터, 승객이 열차의 앞부분, 중간부분 또는 뒷부분 중 어디에 타고 있는지 판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너 ID가 0번부터 9번까지 부여된 10개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약 500m 길이의 승강장의 진입구부터 균등하게 설치되어 있고, 아이비콘 메시지들은 전파 장애가 많은 공간에서 대략 100여 미터 정도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10)는 전후 100여 미터 이내에 설치된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승객의 위치에 따라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들이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열차 뒷부분에 있다면, 정차 시에, 모바일 단말기(10)는 0번, 1번, 2번, 3번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할 것이고, 승객이 열차 앞부분에 있다면, 정차 시에, 모바일 단말기(10)는 7번, 8번, 9번 및 10번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열차가 정거장에 머무는 시간 내내에 걸쳐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 각각의 총 수신 횟수들의 평균값, 중간값 또는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가 승강장 진입하는 동안에 중간 부분의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10)는 선순위의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한두 번 정도 수신할 것이지만, 승강장에서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에는 중간 순위의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매우 많이 수신할 것이고, 승강장에서 진출하는 동안에는 후순위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한두 번 수신할 것이다. 따라서, 각 마이너 ID별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수신 횟수로부터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면,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수신 횟수가 집중하는 위치가 곧 승객의 상대적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의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마이너 ID가 승강장 진입구부터 오름순 또는 내림순의 순서에 따라 부여되어 있다면,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열차가 정지 후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 중 최선 순위의 마이너 ID에 상응하는 아이비콘 발신기(11)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의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마이너 ID가 승강장 진입구부터 오름순 또는 내림순의 순서에 따라 부여되어 있다면,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의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마이너 ID, 아이비콘의 TX 출력 및 수신 전력 측정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비콘의 TX 출력 대비 수신 전력 측정치의 비율로써 마이너 ID들의 숫자값을 가중한(weighting) 값들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세부적인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을 지나가는 동안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열차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10)가 승강장의 진출구 부근에 설치된 마지막 아이비콘 발신기(11)의 아이비콘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비로소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거나 그 전의 경유 정거장인 경우에, 즉 목적지 정거장이 아닌 경우에, 아직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되지 않았다면, 상술한 방법에 따라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착 알림 또는 도착 알림이 개시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에서 승객이 뒤쪽 차량에 탑승했을 때에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시점을 예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승객이 앞쪽 차량에 탑승했을 때에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시점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다음 정거장, 즉 목적지 정거장의 식별을 기다리지 않고, 목적지 직전 정거장을 떠났음이 확정된 후부터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 사이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한다. 이때, 실제로 목적지 정거장에 도달하기에는 아직 많은 시간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개시되는 알림은 엄밀하게 말해서 목적지 도착 알림이라기보다는 목적지 도착 예정 알림이라고 달리 칭할 수도 있겠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목적지 도착 알림으로 통칭한다.
여기서, 열차의 여유 구간은 어떤 위치에서 목적지 정거장이 식별되자마자 도착 알림이 개시되면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할 수 있는 위치들의 구간, 예를 들어 앞쪽 차량에 상응하는 구간이다. 이에 비해, 열차의 여유 부족 구간은 어떤 위치에서 목적지 정거장이 식별되자마자 도착 알림이 개시되더라도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하기 어렵게 되는 위치들의 구간, 예를 들어 뒤쪽 차량에 상응하는 구간으로서, 여유 구간과 여유 부족 구간의 경계는, 경험적으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여유 구간도 상대적으로 좀더 여유가 있는 구간과 덜 여유가 있는 구간 등으로 세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효 지점은 목적지 직전 정거장과 목적지 정거장 사이의 어떤 지점으로서 도착 알림을 개시하지 못한 채로 그 지점을 지나치면 열차 내에서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지점으로 정의되는데, 실효 지점도 경험적으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현실적으로는, 실효 지점은 승객의 각 상대적 위치마다 특정 아이비콘 발신기의 거리 카테고리로서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효 지점은 상대적 위치가 앞쪽이라면 10 개 아이비콘 발신기들 중 5번째 아이비콘 발신기의 거리 카테고리가 인접으로 검출되는 시점에 실효 지점을 지난다는 식으로 주어질 수 있고,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다음 정거장, 즉 목적지 정거장이 식별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임을 판정한 순간부터 승객의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사이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를 삼분하는 두 여유 구간과 여유 부족 구간 중 맨 앞의 여유 구간에 속한다면, 모바일 단말기는 예를 들어 승강장에서 최초로 식별되는 아이비콘 메시지의 거리 카테고리가 인접(near)인 시점을 전후로 하여 승강장 중간에 설치된 아이비콘 발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가 인접이 되기 전까지,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를 삼분하는 두 여유 구간과 여유 부족 구간 중 두 번째의 여유 구간에 속한다면, 승강장에서 최초로 식별되는 아이비콘 메시지의 거리 카테고리가 원거리(far)인 시점을 전후로 하여 승강장 중간에 설치된 아이비콘 발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가 원거리가 되기 전까지,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단말기(10)는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만 결정된 상대적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한다면, 즉시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다면, 굳이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즉시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즉 도착 알림 개시 조건은,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부족 구간인 경우이거나,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인 경우이다.
도착 알림 개시 조건이 만족된 이후부터 승객이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객에게 목적지 정거장 도착을 단말기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 청각적으로 통보하거나 또는 진동을 일으켜서 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설치되지 않은 야외이거나, 실외이면서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승강장의 예와 같이 직선상에 균등하게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GPS 기능을 이용하여 목적지 정거장 도착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승강장의 예에서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직선상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과 같이, 상술한 방법에 따라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판정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아이비콘 발신기(11)는 홀수의 마이너 ID를 가지고, 그렇지 않은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은 짝수의 마이너 ID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만약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마이너 ID가 홀수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판정하지만, 마이너 ID가 짝수이면 모바일 단말기0)는 아이비콘 메시지에 기초하는 대신에 GPS 기능에 따라 승객의 절대적 위치를 특정하고, 종래의 방법론과 마찬가지로, 목적지 정거장에 가까이 접근하면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승강장을 따라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설치되어 있는 정거장들 중 목적지 정거장에 도착하면 승객에게 알릴 수 있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으로서, 먼저 단계(S41)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목적지 정거장과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 적어도 포함된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42)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42)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메이저 ID로부터 정거장을 식별할 수 있고,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할 수 있다.
만약 열차가 아직 목적지 직전 정거장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열차가 목적지 직전 정거장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S42)를 반복할 수 있다.
단계(S42)에서,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으로 판정되면, 단계(S43)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43)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어떻게 결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단계(S44) 또는 단계(S45)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43)에서, 만약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한다면, 단계(S44)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객의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임을 판정한 순간부터 승객의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S43)에서, 만약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거나 또는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면, 단계(S45)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즉시,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10)는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만 결정된 상대적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거나,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다면, 즉시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S42)에서,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이라고 판정되면, 단계(S46)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46)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어떻게 결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단계(S42), 단계(S47) 또는 단계(S48) 중 한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46)에서,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한다면, 단계(S42)로 진행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다음 정거장, 즉 목적지 정거장이 식별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단계(S46)에서,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한다면, 단계(S47)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기(10)는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한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다음 정거장, 즉 목적지 정거장의 식별을 기다리지 않고,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한다.
단계(S46)에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S48)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분석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48)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의 조합에 따라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단계(S48)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에 기초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의 평균값, 중간값 또는 최선순위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의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S48)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에 대해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을 가중 합산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단계(S48)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에, 즉 모바일 단말기(10) 내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가속이나 감속이 검출되지 않는 동안에,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S48)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열차의 정지 여부에 상관없이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이 수신되는 시구간 내에 수신되는 모든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단계(S49)에서는, 열차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에서 출발함에 따라,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10)가, 승강장의 진출구 부근에 설치된 마지막 아이비콘 발신기(11)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 후에,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에서 단계(S48)가 수행되고 나면 또는 단계(S48)과 단계(S49)가 수행되고 나면, 본 발명의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단계(S42)로 되돌아갈 수 있다.
단계(S44), 단계(S45) 또는 단계(S47)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목적지 도착 알림을 수행하는 방식은, 승객에게 목적지 정거장 도착을, 예를 들어 단말기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 청각적으로 통보하거나 또는 진동을 일으켜서 촉각적인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거장에 진입하기 위한 철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설치되거나 또는 승강장을 따라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이 설치되어 있는 정거장들 중 목적지 정거장에 도착하면 승객에게 알릴 수 있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으로서, 먼저 단계(S51)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적어도 목적지 정거장이 포함된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52)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GPS 신호 수신이 어려운 실내에 동작하는지 또는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실외에서 동작하는지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정거장에 진입하기 위한 철로를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의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마이너 ID를 짝수(또는 홀수)로 설정하고, 또한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의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마이너 ID를 홀수(또는 짝수)로 설정한다면, 모바일 단말기(10)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로부터, 마이너 ID가 짝수인지 또는 홀수인지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가 동작하는 환경이 실내인지 실외인지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단말기(10)가 GPS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GPS 신호 수신이 어려운 실내에 동작하는지 또는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실외에서 동작하는지 판정할 수도 있다.
만약 단계(S52)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실내에서 동작한다고 판정되면, 단계(S5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61)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53)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로부터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53)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메이저 ID로부터 정거장을 식별할 수 있고,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또는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할 수 있다.
만약 열차가 아직 목적지 직전 정거장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열차가 목적지 직전 정거장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S52)를 거쳐 단계(S53)을 반복하거나 또는 그냥 단계(S53)을 반복할 수 있다.
단계(S53)에서,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으로 판정되면, 단계(S54)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54)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어떻게 결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단계(S55) 또는 단계(S56)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54)에서, 만약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한다면, 단계(S55)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객의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임을 판정한 순간부터 승객의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S54)에서, 만약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거나 또는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면, 단계(S56)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즉시,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10)는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만 결정된 상대적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거나,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다면, 즉시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S53)에서,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이라고 판정되면, 단계(S57)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57)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어떻게 결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단계(S52), 단계(S53), 단계(S58) 또는 단계(S59) 중 한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57)에서,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한다면, 단계(S52)로 또는 단계(S53)로 진행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다음 정거장, 즉 목적지 정거장이 판정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단계(S57)에서, 만약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한다면, 단계(S58)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기(10)는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한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기(10)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다음 정거장, 즉 목적지 정거장의 판정을 기다리지 않고,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한다.
단계(S57)에서 만약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S59)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분석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59)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의 조합에 따라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단계(S59)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에 기초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의 평균값, 중간값 또는 최선순위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는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의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S59)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0)는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에 대해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을 가중 합산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단계(S59)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에, 즉 모바일 단말기(10) 내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가속이나 감속이 검출되지 않는 동안에,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S59)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열차의 정지 여부에 상관없이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이 수신되는 시구간 내에 수신되는 모든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단계(S60)에서는, 열차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에서 출발함에 따라, 승객의 모바일 단말기(10)가, 승강장의 진출구 부근에 설치된 마지막 아이비콘 발신기(11)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 후에,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에서 단계(S59)가 수행되고 나면 또는 단계(S59)과 단계(S60)가 수행되고 나면, 본 발명의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단계(S52)로 되돌아갈 수 있다.
단계(S55), 단계(S56) 또는 단계(S58)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목적지 도착 알림을 수행하는 방식은, 승객에게 목적지 정거장 도착을, 예를 들어 단말기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 청각적으로 통보하거나 또는 진동을 일으켜서 촉각적인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만약 단계(S52)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실외에서 동작한다고 판정되면, 단계(S61)로 진행할 수 있는데, 단계(S61)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GPS 신호로부터 획득한 승객의 절대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위치가 목적지 정거장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 판정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0)는 GPS 기능에 의해 지구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승객의 절대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열차의 절대 위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열차에 대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리 보유하는 지리 정보를 참조하여, 승객의 절대 위치가 정거장에 근접하였다고 판단되면, 곧바로 도착을 알리는 것이 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단계(S61)에서 승객이 목적지 정거장에 소정 거리 내에 근접하다고 판정될 경우에, 단계(S56)로 진행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10)는, 즉시,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60)는 도착 알림 제어부(61), 아이비콘 메시지 수신부(62), 정거장 식별부(63), 승객 위치 식별부(64), 도착 알림 처리부(65) 및 GPS 수신부(66)를 포함할 수 있고, 블루투스 기능 및/또는 GPS 기능과 같은 소정의 통신 기능 및 정보 처리 기능을 갖춘 모바일 단말기(10)를 기반으로 구현되는 것을 가정한다.
도착 알림 제어부(61)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6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62 내지 66)의 동작과 상호 작용을 제어할 수 있다.
도착 알림 제어부(61)는 열차의 여유 구간 및 여유 부족 구간의 설정과 실효 지점의 설정을 저장하고, 경로 정보가 생성되면 아이비콘 메시지 처리 지시 신호를 생성하고,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 아니면서, 즉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이면서,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승객 위치 식별 지시 신호를 생성하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할 경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할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도착 알림 지시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도착 알림 제어부(61)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60)가 GPS 신호 수신이 어려운 실내에 동작하는지 또는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실외에서 동작하는지 판정하고, 실내라면 아이비콘 메시지 처리 지시 신호를 생성하며, 실외라면 GPS 지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정거장에 진입하기 위한 철로를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의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마이너 ID를 짝수(또는 홀수)로 설정하고, 또한 승강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11)의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마이너 ID를 홀수(또는 짝수)로 설정한 경우에, 도착 알림 제어부(61)는 마이너 ID가 짝수인지 또는 홀수인지에 따라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60)가 동작하는 환경이 실내인지 실외인지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착 알림 제어부(61)는 승객의 절대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위치가 목적지 정거장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다고 판정되면 도착 알림 지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이비콘 메시지 수신부(62)는 아이비콘 메시지 처리 지시 신호에 따라 아이비콘 발신기들(11)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로부터 UUID, 메이저 ID, 마이너 ID 및 TX 출력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아이비콘 메시지 수신부(62)는 TX 출력 정보들과 수신 전력 측정치들의 비율에 기초한 거리 카테고리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정거장 식별부(63)는 추출된 메이저 ID와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또는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한다.
승객 위치 식별부(64)는 승객 위치 식별 지시 신호에 따라 마이너 ID들에 기초하여 열차에 대한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객 위치 식별부(64)는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의 평균값, 중간값 또는 최선순위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객 위치 식별부(64)는 열차 내의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 내의 마이너 ID들의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객 위치 식별부(64)는 거리 카테고리들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객 위치 식별부(64)는 마이너 ID 값들에 대해 거리 카테고리들을 가중 합산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객 위치 식별부(64)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에,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객 위치 식별부(64)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이 수신되는 시구간 내에 수신되는 모든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객 위치 식별부(64)는 승강장의 진출구 부근에 설치된 마지막 아이비콘 발신기(11)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 후에,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착 알림 처리부(65)는 도착 알림 지시 신호에 따라, 가능한 한 승객이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에, 목적지 도착 알림을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승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승객은 이미 실효 지점을 통과한 경우이므로, 도착 알림 처리부(65)는 즉각 목적지 도착 알림을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승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GPS 수신부(66)는 GPS 지시 신호에 따라, 승객의 절대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60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61 도착 알림 제어부
62 아이비콘 메시지 수신부
63 정거장 식별부
64 승객 위치 식별부
65 도착 알림 처리부
66 GPS 수신부

Claims (20)

  1. 승강장을 따라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이 설치되어 있는 정거장들 중 목적지 정거장에 도착하면 모바일 단말기가 승객에게 알릴 수 있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목적지 정거장과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 적어도 포함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단계;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 아니면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을 분석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할 경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할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단계는,
    아이비콘 메시지 내의 메이저 ID로부터 정거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의 조합에 따라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의 평균값, 중간값, 최선순위값 또는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에 대해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을 가중 합산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에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이 수신되는 시구간 내에 수신되는 모든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열차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에서 출발함에 따라, 마지막 아이비콘 발신기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 후에,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확정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목적지 도착 알림이 개시됨에 따라, 승객에게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을, 시각적으로, 청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만약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실외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GPS 신호로부터 획득한 승객의 절대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위치가 목적지 정거장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는지 판정되면,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유 구간와 상기 여유 부족 구간은, 열차의 어떤 위치에서 목적지 정거장이 식별되자마자 도착 알림이 개시될 경우에,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할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준비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계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면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 직후부터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사이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효 지점은 목적지 직전 정거장과 목적지 정거장 사이의 어떤 지점으로서, 만약 도착 알림을 개시하지 못한 채로 그 지점을 지나치면 열차 내에서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경계 지점으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면서 앞서 결정된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열차의 여유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임을 판정한 직후부터 승객의 상대적 위치가 실효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사이에, 승객에게 목적지 도착 알림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효 지점은 목적지 직전 정거장과 목적지 정거장 사이의 어떤 지점으로서, 만약 도착 알림을 개시하지 못한 채로 그 지점을 지나치면 열차 내에서 승객이 여유있게 하차를 준비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경계 지점으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
  13. 컴퓨터에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방법의 각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14. 승강장을 따라 복수의 아이비콘 발신기들이 설치되어 있는 정거장들 중 목적지 정거장에 도착하면 승객에게 알릴 수 있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로서,
    열차의 여유 구간 및 여유 부족 구간의 설정과 실효 지점의 설정을 저장하고, 경로 정보가 생성되면 아이비콘 메시지 처리 지시 신호를 생성하고,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 아니면서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승객 위치 식별 지시 신호를 생성하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구간에 속할 경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및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직전 정거장이고 승객 위치가 여유 부족 구간에 속할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도착 알림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도착 알림 제어부;
    상기 아이비콘 메시지 처리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비콘 발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로부터 UUID, 메이저 ID, 마이너 ID 및 TX 출력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아이비콘 메시지 수신부;
    상기 추출된 메이저 ID와 상기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정거장이 목적지 정거장인지, 또는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 정거장인지 판정하는 정거장 식별부;
    상기 승객 위치 식별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너 ID들에 기초하여 열차에 대한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는 승객 위치 식별부; 및
    상기 도착 알림 지시 신호에 따라, 목적지 도착 알림을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승객에게 전달하는 도착 알림 처리부를 포함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의 조합에 따라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의 평균값, 중간값, 최선순위값 또는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상기 수신된 아이비콘 메시지들의 마이너 ID 값들에 대해 TX 출력 값과 수신 전력 측정치를 비교하여 획득한 거리 카테고리들을 가중 합산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를 기준으로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18.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열차가 정지한 동안에 수신되는 아이비콘 메시지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비콘이 수신되는 시구간 내에 수신되는 모든 아이비콘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승객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승객 위치 식별부는,
    열차가 목적지 직전 또는 그 이전의 정거장에서 출발함에 따라, 마지막 아이비콘 발신기로부터 아이비콘 메시지의 수신 후에, 승객의 상대적 위치를 확정적으로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GPS 지시 신호에 따라, 승객의 절대 위치를 식별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착 알림 제어부는,
    실내 또는 실외 동작 여부를 판정하고, 실외라면 상기 GPS 지시 신호를 생성하며, 승객의 절대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기초로 승객의 위치가 목적지 정거장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다고 판정되면 도착 알림 지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KR1020140094195A 2014-07-24 2014-07-24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56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95A KR101560489B1 (ko) 2014-07-24 2014-07-24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95A KR101560489B1 (ko) 2014-07-24 2014-07-24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489B1 true KR101560489B1 (ko) 2015-10-15

Family

ID=5435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95A KR101560489B1 (ko) 2014-07-24 2014-07-24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4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2581A (zh) * 2015-11-13 2016-02-24 云南农业大学 一种基于微信的老人安全监测系统及方法
KR20170065200A (ko) * 2015-12-03 201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7828A (ko) * 2016-12-29 2018-07-0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위치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서비스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2581A (zh) * 2015-11-13 2016-02-24 云南农业大学 一种基于微信的老人安全监测系统及方法
KR20170065200A (ko) * 2015-12-03 201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0299B1 (ko) * 2015-12-03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7828A (ko) * 2016-12-29 2018-07-0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위치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174B1 (ko)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KR101603873B1 (ko) 모바일 단말에 대한 공항 내 이동 경로 안내 방법 및 서버 및 모바일 단말
JP2011061615A (ja) 移動手段判定方法および移動ルート管理方法およびその機能を持つ情報端末および情報システム
US95719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rider-status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JP2010152574A (ja) 乗下車通知システム,および乗下車通知システムの運行管理プログラム
KR20090046099A (ko) 지하철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560489B1 (ko)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GB2527499A (en) Travel data of transport system users
US10457197B2 (en) Vehicle for conveying persons and orientation aid
JP2017174203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JP6488136B2 (ja) サーバ装置
EP1939833B1 (en) Method for improving traffic safety by means of using beacons
CN113853638B (zh) 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方法以及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装置
EP30128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use of public transport vehicles and payment for ride
JP6267276B2 (ja) 経路案内方法、経路案内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8534780A (zh) 一种室内导航方法、服务器和终端
JP5955580B2 (ja) 経路案内方法、経路案内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17477B2 (ja) バス運行システム、並びにこれに利用されるバス運行管理装置
KR20070052435A (ko)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7806A (ko) 비콘 기반 상황인지 맞춤형 버스 정보 제공시스템
KR102237981B1 (ko)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KR101458553B1 (ko) 열차 도착 알림 시스템
KR20160016102A (ko) 내비게이션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1183965A (ja) 乗り過ごし防止車両サーバ及び乗り過ごし防止機能付き端末装置
US20240050304A1 (en) Guiding a person while moving in a certain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