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324A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324A
KR20210064324A KR1020217012227A KR20217012227A KR20210064324A KR 20210064324 A KR20210064324 A KR 20210064324A KR 1020217012227 A KR1020217012227 A KR 1020217012227A KR 20217012227 A KR20217012227 A KR 20217012227A KR 20210064324 A KR20210064324 A KR 20210064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pe
hydraulic oil
hydraulic
cent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932B1 (ko
Inventor
마이 도다
신이치 다나베
료우타 아이카와
유우이치 오자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25Final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Abstract

조립 및 메인터넌스의 작업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프레임 내의 격벽과 반복해서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는 작동유 배관의 손상을 방지한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작업 기계는, 프레임을 갖는 하부 주행체와,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선회체와, 프레임에 탑재된 유압 액추에이터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부 선회체에 탑재된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유압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센터 조인트와,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센터 조인트와 유압 액추에이터를 접속하는 작동유 배관을 구비하고, 작동유 배관은, 프레임 내부의 격벽에 마련된 개구를 통과하는 부분을 금속 배관으로 하고, 개구보다 유압 액추에이터측의 일부를, 금속 배관보다 가요성이 높은 가요 배관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
본 발명은, 하부 주행체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센터 조인트를 통해 작동유를 공급하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작업 기계에 있어서, 작동유 탱크나 유압 펌프는 상부 선회체에 탑재되고, 작동유의 공급을 받아 크롤러 벨트를 구동하는 주행 모터 등은 하부 주행체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 사이에서 작동유를 수수하기 위해, 센터 조인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센터 조인트와 주행 모터를 접속하는 호스를,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통과시킴으로써, 암석 등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특허문헌 1, 2에서는,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격벽에 개구를 형성하여, 호스를 통과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 제34951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9402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9194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2의 구성에서는, 작업 기계의 진동에 의해, 호스가 개구 주연의 에지에 반복해서 접촉한다. 그 결과, 접촉 부분의 열화가 촉진되어, 호스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과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3과 같이, 호스 대신에 강관을 사용하면, 에지와의 접촉 부분의 열화는 경감된다. 그러나, 가요성이 낮은 강관을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부설하는 것은, 조립 및 메인터넌스의 작업성을 손상시킨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조립 및 메인터넌스의 작업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프레임 내의 격벽과 반복해서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는 작동유 배관의 손상을 방지한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을 갖는 하부 주행체와, 상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프레임에 탑재된 유압 액추에이터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선회체에 탑재된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센터 조인트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센터 조인트와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를 접속하는 작동유 배관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배관은, 상기 프레임 내부의 격벽에 마련된 개구를 통과하는 부분을 금속 배관으로 하고, 상기 개구보다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측의 일부를, 상기 금속 배관보다 가요성이 높은 가요 배관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및 메인터넌스의 작업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프레임 내의 격벽과 반복해서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는 작동유 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의 유압 회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주동부(周胴部) 및 다리부의 경계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리부 및 수용 공간의 경계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주동부 및 다리부의 경계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리부 및 수용 공간의 경계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플레이트 ASSY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플레이트 ASSY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1)의 측면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전후 좌우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유압 셔블(1)에 탑승하여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에 지지된 상부 선회체(3)를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무한 궤도(8)와, 배토 블레이드(10)를 구비한다. 단, 하부 주행체(2)는, 무한 궤도(8) 대신에, 장륜식이어도 된다.
좌우 한 쌍의 무한 궤도(8)는, 후단에 배치된 구동륜(8a)과, 전단에 배치된 종동륜(8b)과, 구동륜(8a) 및 종동륜(8b)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롤러(8c)와, 구동륜(8a), 종동륜(8b) 및 롤러(8c)에 권회된 크롤러 벨트(8d)를 주로 구비한다. 그리고, 주행 모터(9)(도 2 참조)의 회전이 전달되어 구동륜(8a)이 회전함으로써, 크롤러 벨트(8d)가 회전한다. 그 결과, 유압 셔블(1)이 주행한다.
배토 블레이드(10)는, 하부 주행체(2)의 전단에 있어서, 프레임(20)(도 3 참조)에 지지되어 있다. 배토 블레이드(10)는, 대략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판형의 부재이다. 배토 블레이드(10)는, 블레이드 실린더(11)(도 2 참조)에 의해, 지면에 접지한 접지 위치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토 블레이드(10)를 접지 위치에 배치하여 하부 주행체(2)를 전진시키면, 지면 상의 토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선회체(3)는, 선회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선회 가능한 상태로 하부 주행체(2)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5)과, 선회 프레임(5)의 전방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론트 작업기(4)(작업 장치)와, 선회 프레임(5)의 전방 좌측에 배치된 캡(운전석)(7)과, 선회 프레임(5)의 후방부에 배치된 카운터 웨이트(6)를 주로 구비한다.
프론트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에 기복 가능하게 지지된 붐(4a)과, 붐(4a)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암(4b)과, 암(4b)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버킷(4c)과, 붐(4a), 암(4b) 및 버킷(4c)을 구동시키는 유압 실린더(4d 내지 4f)를 포함한다. 카운터 웨이트(6)는, 프론트 작업기(4)와의 중량 균형을 잡기 위한 것으로, 원호형으로 된 중량물이다.
캡(7)에는, 유압 셔블(1)을 조작하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7)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시트(도시 생략)와, 시트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조작 장치(스티어링, 페달, 레버, 스위치 등)가 배치되어 있다. 캡(7)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조작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가 주행하고, 상부 선회체(3)가 선회하여, 프론트 작업기(4)가 동작한다.
도 2는, 유압 셔블(1)의 유압 회로의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은, 작동유 탱크(12)에 저류된 작동유가 유압 펌프(13)에 의해, 유압 실린더(4d 내지 4f), 주행 모터(9), 블레이드 실린더(11) 및 도시하지 않은 선회 모터 등으로 압송됨으로써, 유압 셔블(1)이 동작한다.
더 상세하게는, 작동유 탱크(12) 및 유압 펌프(13)는,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되는 유압 실린더(4d 내지 4f)에는, 유압 펌프(13)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유압 배관(도시 생략)을 통해 공급된다. 한편, 하부 주행체(2)에 탑재되는 주행 모터(9) 및 블레이드 실린더(11)(이하, 이것들을 총칭하여, 「유압 액추에이터」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에는, 유압 펌프(13)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센터 조인트(14)를 경유하여 공급된다.
센터 조인트(14)는, 하부 주행체(2)의 프레임(20)에 탑재된다. 센터 조인트(14)는,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 사이에서 작동유의 유로를 접속하는, 소위 「회전 조인트」이다. 센터 조인트(14)는, 유압 펌프(13)와 센터 조인트(14)를 접속하는 작동유 배관(도시 생략)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센터 조인트(14)는, 예를 들어 상대 회전 가능한 외측 조인트와 내측 조인트로 구성된다. 센터 조인트(14)의 구성은 이미 주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하부 주행체(2)의 프레임(20)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레임(20)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의 프레임(20)은, 센터 프레임(21)과, 센터 프레임(21)의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2, 23)으로 구성된다.
센터 프레임(21)은, 하부 주행체(2)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센터 조인트(14)를 수용한다. 센터 프레임(21)은, 예를 들어 하부 둥근 몸체부(24)와, 상부 둥근 몸체부(25)와, 하판(26)과, 상판(27)과, 복수의 측판(28a 내지 28h)으로 구성되는 중공(박스 형상)의 프레임이다.
하부 둥근 몸체부(24) 및 상부 둥근 몸체부(25)는, 대략 통형상(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그리고, 하부 둥근 몸체부(24) 및 상부 둥근 몸체부(25)는, 센터 프레임(21)의 중앙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하부 둥근 몸체부(24) 및 상부 둥근 몸체부(25)는 센터 프레임(21)의 주동부(30)를 구성한다.
하판(26) 및 상판(27)은, 대략 X자 형상의 외형을 갖는 판형의 부재이다. 하판(26)은, 하부 둥근 몸체부(24)의 하면을 폐색함과 함께, 주동부(3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리부(31, 32, 33, 34)의 하벽을 구성한다. 상판(27)은, 하부 둥근 몸체부(24) 및 상부 둥근 몸체부(25)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다리부(31 내지 34)의 상벽을 구성한다.
복수의 측판(28a 내지 28h)은, 다리부(31 내지 34)의 측벽을 구성한다. 더 상세하게는, 측판(28a, 28b)은, 다리부(31)의 하판(26) 및 상판(27) 사이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세워 설치된다. 측판(28c, 28d)은, 다리부(32)의 하판(26) 및 상판(27) 사이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세워 설치된다. 측판(28e, 28f)은, 다리부(33)의 하판(26) 및 상판(27) 사이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세워 설치된다. 측판(28g, 28h)은, 다리부(34)의 하판(26) 및 상판(27) 사이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세워 설치된다.
주동부(30)는, 센터 프레임(21)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센터 조인트(14)를 수용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부 선회체(3)는, 상부 둥근 몸체부(25)의 상단에 지지된 선회 베어링(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센터 조인트(14)는, 상부 둥근 몸체부(25)의 내부에 있어서, 상부 둥근 몸체부(25)의 상면을 구성하는 그리스 버스(25a)에 설치된다. 또한, 그리스 버스(25a)에는, 센터 조인트(14)를 상방에 노출시키는 개구(2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하판(26) 및 상판(27)에는, 센터 조인트(14)에 액세스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31 내지 34)는, 주동부(30)와 사이드 프레임(22, 23)을 접속한다. 더 상세하게는, 다리부(31)는, 주동부(30)로부터 좌측 전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프레임(22)의 전단측에 접속된다. 다리부(32)는, 주동부(30)로부터 좌측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프레임(22)의 후단측에 접속된다. 다리부(33)는, 주동부(30)로부터 우측 전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프레임(23)의 전단측에 접속된다. 다리부(34)는, 주동부(30)로부터 우측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프레임(23)의 후단측에 접속된다.
주동부(30) 및 다리부(31 내지 34)는, 각각이 내부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이다. 그리고, 주동부(30)의 내부 공간과 다리부(31 내지 34)의 내부 공간은, 주동부(30)의 측벽(즉, 하부 둥근 몸체부(24))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부 둥근 몸체부(24)는, 주동부(30) 및 다리부(31 내지 34)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하는 격벽이다.
사이드 프레임(22)은, 센터 프레임(21)의 좌측 방향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센터 프레임(21)의 우측 방향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22, 23)은, 각각이 무한 궤도(8) 및 주행 모터(9)를 지지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22, 23)의 구성은 공통되므로, 이하, 사이드 프레임(2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륜(8a)은, 사이드 프레임(22)의 후단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주행 모터(9)는, 사이드 프레임(22)의 후단부의 내측에 마련된 수용 공간(22a)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부(32)의 내부 공간과 수용 공간(22a)은, 사이드 프레임(22)의 주행 모터(9)측의 선단에 마련된 브래킷(격벽)(29)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조인트(14)와 주행 모터(9)는, 작동유 배관(4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작동유 배관(40)은, 센터 조인트(14)로부터 프레임(2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주행 모터(9)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작동유 배관(40)은, 일단이 센터 조인트(14)에 접속되어, 주동부(30)(하부 둥근 몸체부(24))의 내부 공간, 다리부(32)의 내부 공간 및 수용 공간(22a)을 거쳐서, 타단이 주행 모터(9)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하부 둥근 몸체부(24) 및 브래킷(29)에는, 작동유 배관(4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24a, 29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주동부(30) 및 다리부(32)의 경계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다리부(32) 및 수용 공간(22a)의 경계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24a)는, 주동부(30)의 내부 공간과, 다리부(32)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29a)는, 다리부(32)의 내부 공간과, 수용 공간(22a)을 연통시킨다. 그리고, 작동유 배관(40)은, 개구(24a, 29a)를 통해, 센터 조인트(14)로부터 주행 모터(9)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작동유 배관(40)은, 센터 조인트(14)로부터 주행 모터(9)로 작동유를 서로 토출 및 유입시키는 한 쌍의 배관(40a, 40b)으로 이루어진다. 즉, 주행 모터(9)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배관(40a)(공급 배관)을 통해 센터 조인트(14)로부터 주행 모터(9)로 작동유가 토출되고, 배관(40b)(복귀 배관)을 통해 주행 모터(9)로부터 센터 조인트(14)로 작동유가 유입된다. 한편, 주행 모터(9)를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배관(40b)(공급 배관)을 통해 센터 조인트(14)로부터 주행 모터(9)로 작동유가 토출되고, 배관(40a)(복귀 배관)을 통해 주행 모터(9)로부터 센터 조인트(14)로 작동유가 유입된다. 또한, 배관(40a, 40b)의 기본적인 구성은 공통된다. 그래서, 배관(40a, 40b)에 공통의 구성을 설명할 때에는, 단순히 「작동유 배관(40)」이라고 표기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작동유 배관(40)은, 금속 배관(41, 42)과, 가요 배관(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가요 배관(43)의 일단에 금속 배관(41)이 접속되고, 가요 배관(43)의 타단에 금속 배관(42)이 접속되어, 1개의 작동유 배관(40)이 구성되어 있다. 즉, 작동유 배관(40)은, 양 단부가 금속 배관(41, 42)으로, 중앙부가 가요 배관(43)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 배관(41, 42)은, 금속(예를 들어, 강, 스테인리스, 혹은 그것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배관이다. 가요 배관(43)은, 가요성이 높은 소재(예를 들어, 수지, 천, 혹은 그것들의 조합)로 형성되는, 소위 「호스」이다. 단, 가요 배관(43)은, 금속의 와이어 등으로 보강되어 있어도 된다. 금속 배관(41, 42)은, 예를 들어 가요 배관(43)과 비교하여, 강도, 강성, 내충격성 등이 높은 반면, 가요성이 낮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배관(41)의 일단은, 다리부(32)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가요 배관(4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금속 배관(41)의 타단은, 주동부(3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센터 조인트(14)에 접속되어 있다. 즉, 금속 배관(41)은, 센터 조인트(14)로부터 하부 둥근 몸체부(24)에 형성된 개구(24a)를 통과하여, 다리부(32)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금속 배관(41)은, 개구(24a) 주연의 에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개구(24a)를 통과한다.
또한, 배관(40a)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 배관(41a)과, 배관(40b)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 배관(41b)은, 주동부(30)의 내부 공간(즉, 하부 둥근 몸체부(24)의 측벽보다 센터 조인트(14)측)에 있어서, 고정 부재(4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정 부재(44)는, 금속 배관(41a, 41b)을 결속한 상태로, 하판(26)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고정 부재(44)는, 상판(27) 혹은 하부 둥근 몸체부(24)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배관(42)의 일단은, 다리부(32)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가요 배관(4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금속 배관(42)의 타단은, 수용 공간(22a)에 있어서, 주행 모터(9)에 접속되어 있다. 즉, 금속 배관(42)은, 주행 모터(9)로부터 브래킷(29)에 형성된 개구(29a)를 통과하여, 다리부(32)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금속 배관(42)은, 개구(29a) 주연의 에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개구(29a)를 통과한다.
또한, 배관(40a)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 배관(42a)과, 배관(40b)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 배관(42b)은, 수용 공간(22a)(즉, 브래킷(29)보다 주행 모터(9)측)에 있어서, 고정 부재(4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45)는, 금속 배관(42a, 42b)을 결속한 상태로, 수용 공간(22a)을 획정하는 벽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 배관(43)은, 다리부(3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가요 배관(43)은, 다리부(32)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금속 배관(41, 42)에 접속되어 있다. 즉, 가요 배관(43)은, 개구(24a, 29a)를 통해 연통된 2개의 공간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작동유 배관(40)의 개구(24a, 29a)를 통과하는 부분을, 가요성이 낮은 금속 배관(41, 42)으로 했으므로, 유압 셔블(1)의 구동 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금속 배관(41, 42)이 개구(24a, 29a) 주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배관(41, 42)은 강성이 높으므로, 개구(24a, 29a) 주연의 에지에 접촉하더라도 열화되기 어렵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금속 배관(41, 42) 사이를, 가요성이 높은 가요 배관(43)으로 했으므로, 작동유 배관(40)의 설치 시에 다리부(32)를 통과시킬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요 배관(43)은, 유압 셔블(1)의 진동에 의해 다리부(32)의 내벽에 접촉한다. 그러나, 가요 배관(43)과 다리부(32)의 내벽은 면 접촉하므로, 가요 배관(43)에 대한 대미지는 적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금속 배관(41a, 41b)을 결속한 고정 부재(44)를, 주동부(30)의 내벽에 고정했으므로, 금속 배관(41a, 41b)이 개구(24a) 주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배관(42a, 42b)을 결속한 고정 부재(45)를, 수용 공간(22a)의 내벽에 고정했으므로, 금속 배관(42a, 42b)이 개구(29a) 주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44, 45)는, 내벽 등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고정 부재(44, 45)는, 한 쌍의 금속 배관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로서 기능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1)의 진동이 내벽을 통해 금속 배관(41, 42)에 전반되기 어려워지므로, 금속 배관(41, 42)이 개구(24a, 29a) 주연의 에지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배관(41)을 센터 조인트(14)에 직접 접속하고, 금속 배관(42)을 주행 모터(9)에 직접 접속한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작동유 배관(4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금속 배관(41)과 센터 조인트(14)를 가요 배관으로 접속해도 되고, 금속 배관(42)과 주행 모터(9)를 가요 배관으로 접속해도 된다. 즉, 금속 배관(41, 42)은, 개구(24a, 29a)를 통과하는 위치에 적어도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작동유 배관(50)을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프레임(2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주동부(30) 및 다리부(32)의 경계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다리부(32) 및 수용 공간(22a)의 경계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플레이트 ASSY(54)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플레이트 ASSY(54)의 정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의 공통점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된다. 한편, 제2 실시 형태는, 작동유 배관(50)의 구성 및 고정의 방법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작동유 배관(50)은, 가요 배관(51, 52, 53)과, 플레이트 ASSY(54, 55)로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가요 배관(51)은 주동부(30) 내에 배치되고, 가요 배관(52)은 다리부(32) 내에 배치되고, 가요 배관(53)은 수용 공간(22a)에 배치된다. 그리고, 플레이트 ASSY(54)는, 개구(24a)의 위치에 있어서, 가요 배관(51, 52)에 접속된다. 또한, 플레이트 ASSY(55)는, 개구(29a)의 위치에 있어서, 가요 배관(52, 53)에 접속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 배관(50)은, 한 쌍의 배관(50a, 50b)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배관(50a, 50b)의 역할은, 한 쌍의 배관(40a, 40b)과 공통된다. 그리고, 작동유 배관(50)은, 배관(50a)용의 가요 배관(51a, 52a, 53a)과, 배관(50b)용의 가요 배관(51b, 52b, 53b)을 포함한다. 한편, 플레이트 ASSY(54, 55)는 배관(50a, 50b)에 공통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ASSY(54)는, 플레이트(56)와, 금속 배관(57a, 57b)과, 너트(58a, 58b)로 구성된다. 또한, 플레이트 ASSY(54, 55)의 구성은 공통되므로, 이하, 플레이트 ASSY(54)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플레이트(56)는, 관통 구멍(56a, 56b)과, 볼트 구멍(56c, 56d)이 형성된 판형의 부재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ASSY(54)의 플레이트(56)는, 개구(24a)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도록, 볼트 구멍(56c, 56d)에 삽입 관통된 볼트(59a, 59b)에 의해, 하부 둥근 몸체부(24)의 벽면에 고정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ASSY(55)의 플레이트(56)는, 개구(29a)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도록, 볼트 구멍(56c, 56d)에 삽입 관통된 볼트(59a, 59b)에 의해, 브래킷(29)에 고정된다.
금속 배관(57a)은, 일단에 마련된 제1 장착부(60a)와, 타단에 마련된 제2 장착부(61a)와, 제1 장착부(60a) 및 제2 장착부(61a) 사이에 마련된 플랜지부(62a)로 구성된다. 플랜지부(62a)의 외형 치수는, 관통 구멍(56a)보다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금속 배관(57a)은, 제2 장착부(61a)측으로부터 관통 구멍(56a)에 삽입되어, 제2 장착부(61a)측에 너트(58a)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금속 배관(57a)는, 플랜지부(62a)와 너트(58a)로 플레이트(56)를 끼움 지지함으로써, 플레이트(56)를 관통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 결과,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배관(57a)은 개구(24a, 29a)를 통과한다.
금속 배관(57b)은, 일단에 마련된 제1 장착부(60b)와, 타단에 마련된 제2 장착부(61b)와, 제1 장착부(60b) 및 제2 장착부(61b) 사이에 마련된 플랜지부(62b)로 구성된다. 플랜지부(62b)의 외형 치수는, 관통 구멍(56b)보다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금속 배관(57b)은, 제2 장착부(61b)측으로부터 관통 구멍(56b)으로 삽입되고, 제2 장착부(61b)측에 너트(58b)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금속 배관(57b)은, 플랜지부(62b)와 너트(58b)로 플레이트(56)를 끼움 지지함으로써, 플레이트(56)를 관통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 결과,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배관(57b)은 개구(24a, 29a)를 통과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 배관(51a, 51b)의 일단은, 센터 조인트(14)에 접속된다. 또한, 가요 배관(51a, 51b)의 타단은, 주동부(30) 내에 있어서, 플레이트 ASSY(54)의 제1 장착부(60a, 60b)에 장착된다. 또한, 가요 배관(52a, 52b)의 일단은, 다리부(32) 내에 있어서, 플레이트 ASSY(54)의 제2 장착부(61a, 61b)에 장착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 배관(52a, 52b)의 타단은, 다리부(32) 내에 있어서, 플레이트 ASSY(55)의 제2 장착부(61a, 61b)에 장착된다. 또한, 가요 배관(53a, 53b)의 일단은 주행 모터(9)에 접속된다. 또한, 가요 배관(53a, 53b)의 타단은, 수용 공간(22a) 내에 있어서, 플레이트 ASSY(55)의 제1 장착부(60a, 60b)에 장착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에 더하여, 개구(24a, 29a)를 통과하는 금속 배관(57a, 57b)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가요 배관(51a, 51b) 대신에, 금속 배관으로 센터 조인트(14) 및 플레이트 ASSY(54)를 접속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가요 배관(53a, 53b) 대신에, 금속 배관으로 주행 모터(9) 및 플레이트 ASSY(55)를 접속해도 된다.
[기타의 변형예]
또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으로 일체 성형된 금속 배관(41, 42, 57a, 57b)의 예를 설명했지만, 금속 배관(41, 42, 57a, 57b)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금속 배관(41, 42, 57a, 57b)은, 가요 배관의 외면에 프로텍터를 장착한 것이어도 된다. 프로텍터는, 금속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즉, 금속 배관(41, 42, 57a, 57b)은, 적어도 외면이 금속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개소는, 센터 조인트(14)와 주행 모터(9)를 접속하는 작동유 배관(40, 50)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센터 조인트(14)와 블레이드 실린더(11)를 접속하는 작동유 배관에 적용해도 되고, 센터 조인트(14)와 하부 주행체(2)가 지지하는 다른 유압 액추에이터를 접속하는 작동유 배관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유압 셔블(1)에 한정되지 않고, 크레인차, 해체 차량 등,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상부 선회체(3)가 선회하는 모든 작업 기계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 실시 형태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기타의 다양한 양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4: 프론트 작업기(작업 장치)
4a: 붐
4b: 암
4c: 버킷
4d 내지 4f, 12: 유압 실린더
5: 선회 프레임
6: 카운터 웨이트
7: 캡
8: 무한 궤도
8a: 구동륜
8b: 종동륜
8c 롤러
8d: 크롤러 벨트
9: 주행 모터
10: 배토 블레이드
11: 블레이드 실린더
12: 작동유 탱크
13: 유압 펌프
14: 센터 조인트
20: 프레임
21: 센터 프레임
22, 23: 사이드 프레임
24: 하부 둥근 몸체부
24a, 25b, 29a: 개구
25: 상부 둥근 몸체부
25a: 그리스 버스
26: 하판
27: 상판
28a 내지 28h: 측판
29: 격벽
30: 주동부
31, 32, 33, 34: 다리부
40, 50: 작동유 배관
40a, 40b, 50a, 50b: 배관
41, 42, 57a, 57b: 금속 배관
43, 51, 52, 53: 가요 배관
44, 45: 고정 부재
54, 55: 플레이트 ASSY
56: 플레이트
56a, 56b: 관통 구멍
56c, 56d: 볼트 구멍
58a, 58b: 너트
59a, 59b: 볼트
60a, 60b: 제1 장착부
61a, 61b: 제2 장착부
62a, 62b: 플랜지부

Claims (9)

  1. 프레임을 갖는 하부 주행체와,
    상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프레임에 탑재된 유압 액추에이터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선회체에 탑재된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센터 조인트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센터 조인트와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를 접속하는 작동유 배관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배관은,
    상기 프레임 내부의 격벽에 마련된 개구를 통과하는 부분을 금속 배관으로 하고,
    상기 개구보다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측의 일부를, 상기 금속 배관보다 가요성이 높은 가요 배관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배관은, 상기 금속 배관과 상기 센터 조인트를 접속하는 부분을, 상기 가요 배관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격벽에 장착되어, 상기 금속 배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배관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돌출되고, 양단에 상기 가요 배관이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배관은, 상기 센터 조인트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격벽보다 상기 센터 조인트측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벽에 상기 금속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배관은,
    상기 센터 조인트로부터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과,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부터 상기 센터 조인트로 작동유를 복귀시키는 복귀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배관 및 상기 복귀 배관의 상기 금속 배관끼리를 결속하는 결속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부 주행체를 주행시키는 주행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부 선회체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우에 배치되어, 각각이 상기 주행 모터를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센터 조인트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주동부와,
    상기 주동부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접속하는 중공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주동부의 측벽이며, 상기 주동부 및 상기 다리부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위치에 상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부 선회체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우에 배치되어, 각각이 상기 주행 모터를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주행 모터측의 선단에 마련된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부 주행체의 전단에 장착되는 배토 블레이드를 상하시키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KR1020217012227A 2019-03-22 2019-11-29 작업 기계 KR102521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54659 2019-03-22
JP2019054659A JP7057310B2 (ja) 2019-03-22 2019-03-22 作業機械
PCT/JP2019/046837 WO2020194877A1 (ja) 2019-03-22 2019-11-29 作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324A true KR20210064324A (ko) 2021-06-02
KR102521932B1 KR102521932B1 (ko) 2023-04-17

Family

ID=7255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227A KR102521932B1 (ko) 2019-03-22 2019-11-29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57310B2 (ko)
KR (1) KR102521932B1 (ko)
CN (1) CN112969634B (ko)
WO (1) WO2020194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1931A1 (de) * 2022-01-27 2023-07-27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Landwirtschaftliche Arbeitsmaschine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5163B1 (ko) 1969-04-30 1974-02-05
JPH0591944A (ja) 1991-10-02 1993-04-16 Satake Eng Co Ltd 自動炊飯器
JPH0646051U (ja) * 1992-12-01 1994-06-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駆動装置の配管構造
JPH0735275U (ja) * 1993-12-15 1995-06-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クローラ式走行体
JPH08270011A (ja) * 1995-03-31 1996-10-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クローラ式車両用配管
JP2002294743A (ja) * 2001-03-27 2002-10-09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走行モータへの油圧配管装置
JP2002339402A (ja) 2001-05-15 2002-11-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JP2004116197A (ja) * 2002-09-27 2004-04-1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ホース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2005344376A (ja) * 2004-06-03 2005-12-1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走行体外幅拡縮式機械
JP2012031598A (ja) * 2010-07-29 2012-02-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5147468A (ja) * 2014-02-05 2015-08-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7501B2 (ja) 1999-09-22 2007-08-29 日立建機株式会社 旋回式建設機械
JP2011017201A (ja) * 2009-07-09 2011-01-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配管構造及び配管方法
US10100487B2 (en) 2013-07-10 2018-10-16 Tigercat Industries Inc. Hydraulic assembly and logging equipment using same
JP2015017439A (ja) 2013-07-11 2015-01-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5017465A (ja) 2013-07-12 2015-01-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032712B2 (ja) * 2013-11-28 2016-11-3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5163B1 (ko) 1969-04-30 1974-02-05
JPH0591944A (ja) 1991-10-02 1993-04-16 Satake Eng Co Ltd 自動炊飯器
JPH0646051U (ja) * 1992-12-01 1994-06-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駆動装置の配管構造
JPH0735275U (ja) * 1993-12-15 1995-06-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クローラ式走行体
JPH08270011A (ja) * 1995-03-31 1996-10-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クローラ式車両用配管
JP2002294743A (ja) * 2001-03-27 2002-10-09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走行モータへの油圧配管装置
JP2002339402A (ja) 2001-05-15 2002-11-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JP2004116197A (ja) * 2002-09-27 2004-04-1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ホース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2005344376A (ja) * 2004-06-03 2005-12-1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走行体外幅拡縮式機械
JP2012031598A (ja) * 2010-07-29 2012-02-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5147468A (ja) * 2014-02-05 2015-08-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4877A1 (ja) 2020-10-01
JP2020153178A (ja) 2020-09-24
CN112969634A (zh) 2021-06-15
JP7057310B2 (ja) 2022-04-19
KR102521932B1 (ko) 2023-04-17
CN112969634B (zh)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168A (ko) 건설기계
JP3829071B2 (ja) 建設機械
US8292000B2 (en) Earth mov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KR20210064324A (ko) 작업 기계
KR100627438B1 (ko) 건설 기계
JP4697287B2 (ja) 建設機械のフレーム構造
JP4740088B2 (ja) 建設機械
JP2003041624A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4116048A (ja) 作業機
KR101144760B1 (ko) 건설 기계
JP2006274598A (ja) 旋回作業機
JP7201536B2 (ja) 建設機械
JP2549354Y2 (ja) 建設機械
CN112482459B (zh) 工程机械
JP7316463B2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4049251B2 (ja) 油圧式作業車両
JP2000204592A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取付構造
JP2002339402A (ja) 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JP4623203B2 (ja) 建設機械のフレーム構造
JP6002397B2 (ja) 作業機械
JP6712241B2 (ja) 建設機械
JP2023146297A (ja) 建設機械
JP2020020177A (ja) 建設機械
JP4522298B2 (ja) 旋回作業機
JP5202581B2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