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760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760B1
KR101144760B1 KR1020050110169A KR20050110169A KR101144760B1 KR 101144760 B1 KR101144760 B1 KR 101144760B1 KR 1020050110169 A KR1020050110169 A KR 1020050110169A KR 20050110169 A KR20050110169 A KR 20050110169A KR 101144760 B1 KR101144760 B1 KR 10114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p
swing
canopy
guar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560A (ko
Inventor
마코토 모토즈
데루오 이리노
하지메 이시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의 주요부와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의 주요부와의 공통화를 꾀하여, 캐노피 사양과 캡 사양의 수단 변경을 용이하게 한다.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의 주요부와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의 주요부를 공통화한 공통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이 공통 프레임(12) 단일체에 의해서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을 구성하고, 공통 프레임(12)에 가드 부재(42)를 장착함으로써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로부터 캡 사양의 유압 셔블(31)로의 수단 변경, 또는 캡 사양의 유압 셔블(31)로부터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로의 수단 변경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건설 기계, 캐노피, 캡, 선회 프레임, 가드 부재, 유압 셔블, 변경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오프셋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캐노피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5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오프셋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캡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캡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가드 부재를 단일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공통 프레임과 가드 부재의 장착 상태를 도 8의 화살표 XI-XI 방향에서 본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윙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캐노피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스윙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캡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캡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가드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0과 동일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가드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1과 동일한 확대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31, 51, 81 유압 셔블
2, 52 하부 주행체
3, 32, 53, 82 상부 선회체
4, 54 운전석
5, 55 캐노피
8, 58 작업 장치
11, 41, 61, 91 선회 프레임
12, 62 공통 프레임
13, 63 센터 프레임
22, 70 좌측 사이드 프레임
23, 71 우측 사이드 프레임
33, 83 캡
33F, 83F 좌측전방 모서리부
42, 42', 92 가드 부재
43, 93 장착부
44, 44', 94 돌출부
45 볼트(체결 부재)
[특허문헌1] 일본 특개2004-76455호 공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 선회체에 캐노피 또는 캡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에 의해 대략 구성되고, 상부 선회체의 전방 측에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서 토사의 굴삭작업 등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압 셔블의 상부 선회체는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장치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되어 운전석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캐노피 또는 운전실을 구획 형성하는 캡과, 엔진, 유압 펌프 등의 기기류를 덮는 외장커버와, 선회 프레임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작업 장치와의 중량균형을 잡는 균형추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시가지 등의 좁은 작업현장에서의 굴삭작업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켰을 때에,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균형추의 후면 등이 주위의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균형추 등을 미리 정한 선회 반경의 가상원 내에 두면서, 선회 프레임의 외주 측을 상기 가상원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에는 통상, 운전석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캐노피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기종과, 운전석의 주위를 둘러싸 내부에 운전실을 구획 형성하는 캡을 구비한 캡 사양의 기종이 있고, 이들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과 캡 사양의 유압 셔블에서는 선회 프레임의 형상이 상이하다.
즉, 캡 사양의 유압 셔블에 이용되는 선회 프레임은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된 캡의 좌측전방 모서리부 등이 선회 프레임의 외주 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통상,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에 이용되는 선회 프레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과 캡 사양의 유압 셔블에서는, 상부 선회체의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의 구조가 상이하므로, 예를 들면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의 조립 시에, 이 유압 셔블을 캡 사양으로 변경하는, 급한 수단 변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의 주요부와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의 주요부를 공통화한 공통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공통 프레임에 대하여, 캐노피 사양의 가드 프레임과 캡 사양의 가드 프레임 중 한 쪽 가드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장착함으로써, 캐노피 사양으로부터 캡 사양으로의 수단 변경, 또는 캡 사양으로부터 캐노피 사양으로의 수단 변경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유압 셔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1에 의한 종래 기술은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의 주요부와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의 주요부를 공통화한 공통 프레임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캐노피 사양의 가드 프레임과 캡 사양의 가드 프레임 중 한 쪽 가드 프레임을 선택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형성할 때에는 공통 프레임과 캐노피 사양의 가드 프레임이 필요하게 되고,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을 형성할 때에는 공통 프레임과 캡 사양의 가드 프레임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캐노피 사양인지 캡 사양인지에 따라서 두 가지의 가드 프레임을 구분하여 사용해야만 하고, 부품 수가 증가할 뿐 아니라, 부품관리가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의 주요부와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의 주요부의 공통화를 꾀하여, 캐노피 사양의 기종과 캡 사양의 기종 사이에서 수단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로 이루어지고,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되어 운전석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캐노피 또는 운전실을 구획 형성하는 캡에 의해 구성되는 건설 기계에 적용된다.
그리고, 제1항 발명의 특징은, 선회 프레임은 캐노피가 설치되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과 캡이 설치되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과 공통으로 이용되는 공통 프레임과, 선회 프레임이 캡 사양의 경우에만 캡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의 장착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서 공통 프레임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가드 부재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제2항 발명은, 캡은 좌측전방 모서리부가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반경으로부터 삐져나온 상태로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가드 부재는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반경으로부터 삐져나온 캡의 좌측전방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제3항 발명은, 공통 프레임은 전방 측에 작업 장치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고, 가드 부재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 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실시예에 대해,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서는 오프셋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과, 마찬가지로 오프셋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오프셋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부호 1은 캐노피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로, 상기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crawler)식의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에 의해 대략 구성되고, 상부 선회체(3)의 전방 측에는 후술하는 오프셋식 작업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11)과, 상기 선회 프레임(11) 상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4)과, 상기 운전석(4)의 상방 및 우측방을 덮는 캐노피(5)와, 엔진, 유압 펌프 등의 기기류(도시하지 않음)를 덮는 외장커버(6)와, 선회 프레임(11)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작업 장치(8)와의 중량균형을 잡는 균형추(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의 선회중심을 O로 하고, 선회중심 O로부터 균형추(7)의 후단면(7A)까지의 거리에 의해서 규정되는 선회 반경을 R이라고 하면, 상부 선회체(3)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캐노피(5)는 운전석(4)과 작업 장치(8) 사이에 설치되어 운전석(4)을 우측방으로부터 덮는 측벽부(5A)와, 상기 측벽부(5A)의 상단 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운전석(4)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덮개부(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노피(5)의 덮개부(5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의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균형추(7)는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고, 주조 수단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균형추(7)의 상측 부위는 외장커버(6)와 대략 동일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장커버(6)와 함께 엔진 등의 기기류(도시하지 않음)를 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또, 균형추(7)의 하측 부위에는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후방을 향해서 원호형으로 내뻗은 돌출부(7B)가 설치되고, 이 돌출부(7B)의 후단면(7A)에 의해서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반경(R)이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선회체(3)는 캐노피(5), 균형추(7)를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하는 것에 의해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1)을 실현하고, 시가지 등의 좁은 작업현장에서 선회 동작을 한 경우에도, 캐노피(5), 균형추(7) 등이 주위의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8은 상부 선회체(3)의 전방 측에 설치된 오프셋식 작업 장치로, 이 작업 장치(8)는 기단 측이 선회 프레임(11)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하측 붐(8A)과, 상기 하측 붐(8A)의 선단 측에 좌, 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측 붐 (8B)과, 상기 상측 붐(8B)의 선단 측에 좌, 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암 지지 부재(8C)와 상기 암 지지 부재(8C)의 선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암(8D)과, 상기 암(8D)의 선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버킷(8E)과, 하측 붐(8A)과 암 지지 부재(8C)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8F)와, 붐실린더(8G), 오프셋실린더(8H), 암실린더(8I), 버킷실린더(8J)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장치(8)는 오프셋실린더(8H)를 신축시킴으로써 암(8D)을 하측 붐(8A)에 대하여 좌, 우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하측 붐(8A)을 승강시키면서 암(8D), 버킷(8E)을 회전시킴으로써, 측부 홈 등의 굴삭작업을 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11은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가 되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으로, 상기 선회 프레임(1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공통 프레임(12)(단일체)으로만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공통 프레임(12)은 그 단일체에서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을 구성하고,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후술하는 가드 부재(42)를 장착했을 때에는 이 가드 부재(42)와 함께 후술하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을 구성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12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을 구성하는 공통 프레임으로, 상기 공통 프레임(12)은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13), 좌측 사이드 프레임(22), 우측 사이드 프레임(23) 등에 의하여 견고한 지지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 프레임(12)은 도 2에 나타내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3은 공통 프레임(12)의 중앙부분을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으로, 상기 센터 프레임(13)은 후술하는 저판(14), 좌측전방 세로판(15), 우측전방 세로판(16), 가로판(18), 좌측후방 세로판(19), 우측후방 세로판(20), 웨이트(weight) 장착판(21)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4는 센터 프레임(13)의 베이스가 되는 저판으로, 상기 저판(14)은 두꺼운 강판 등을 이용하여 전, 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14)의 전방 측 상면에는 좌측전방 세로판(15)과 우측전방 세로판(16)이 설치되고, 이들 좌, 우의 앞쪽 세로판(15, 16)은 좌, 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대면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 우의 앞쪽 세로판(15, 1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판(1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산(山) 형상을 이루고, 이들 각 앞쪽 세로판(15, 16)의 상단 측은 작업 장치(8)의 하측 붐(8A)이 장착되는 붐브래킷부(15A, 16A)로 되어 있다. 또, 좌, 우의 앞쪽 세로판(15, 16) 사이는 보강용 연결판(17)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17)에는 작업 장치(8)의 붐실린더(8G)가 장착되는 실린더브래킷(17A)이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8은 각 앞쪽 세로판(15, 16)의 후단 측에 위치하여 저판(14)의 중앙부 상면에 설치된 가로판으로, 상기 가로판(18)은 좌, 우의 앞쪽 세로판(15, 16)의 후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양자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가로판(18)은 저판(14)으로부터 후술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을 향해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참조부호 19 및 20은 가로판(18)의 뒤쪽에 위치하여 저판(14)의 후방 측 상면에 설치된 좌, 우의 뒤쪽 세로판으로, 이들 좌측후방 세로판(19)과 우측후방 세로판(20)은 좌, 우의 앞쪽 세로판(15, 16)의 간격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좌, 우 방향으로 대면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 우의 뒤쪽 세로판(19, 20)의 전단부는 가로판(18)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로판(18)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좌, 우의 뒤쪽 세로판(19, 20) 상에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놓기 상태로 탑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21은 좌, 우의 뒤쪽 세로판(19, 20) 사이에 위치하여 저판(14)의 후단부에 설치된 웨이트 장착판으로, 상기 웨이트 장착판(21)은 균형추(7)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것이다.
참조부호 22는 센터 프레임(13)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으로, 상기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은 도 2에 나타내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벤딩 프레임부(22A)와, 상기 좌측 벤딩 프레임부(22A)의 전단 측으로부터 센터 프레임(13)의 좌측전방 세로판(15)을 향해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전방 프레임부(22B)와, 이들 좌측 벤딩 프레임부(22A)와 좌측전방 프레임부(22B) 사이를 접속하는 좌측 코너부(2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측 벤딩 프레임부(22A)와 좌측전방 프레임부(22B)는 대략 D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공인 통체(파이프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 고, 좌측 벤딩 프레임부(22A)의 길이 방향 중간부는 센터 프레임(13)을 구성하는 가로판(18)의 좌측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고, 좌측전방 프레임부(22B)의 우측 단부는 센터 프레임(13)의 좌측전방 세로판(15)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23은 센터 프레임(13)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사이드 프레임으로, 상기 우측 사이드 프레임(23)도, 도 2에 나타내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벤딩 프레임부(23A)와, 상기 우측 벤딩 프레임부(23A)의 전단 측에서 센터 프레임(13)의 우측전방 세로판(16)을 향해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전방 프레임부(23B)와, 이들 우측 벤딩 프레임부(23A)와 우측전방 프레임부(23B) 사이를 접속하는 우측 코너부(2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우측 벤딩 프레임부(23A)와 우측전방 프레임부(23B)는 대략 D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벤딩 프레임부(23A)의 길이 방향 중간부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보(24)를 통하여 센터 프레임(13)의 저판(14)에 연결되고, 우측전방 프레임부(23B)의 좌측 단부는 센터 프레임(13)의 우측전방 세로판(16)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25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을 구성하는 좌측전방 프레임부(22B) 등의 상방에 복수의 브래킷(26)을 이용하여 장착된 플로어 지지판으로, 상기 플로어 지지판(25)은 센터 프레임(13)의 좌측전방 세로판(15)으로부터 좌측전방 프레임 부(22B)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어 지지판(25)과 센터 프레임(13)의 가로판(18) 사이에는 운전석(4)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발판이 되는 플로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27은 플로어 지지판(25)과 상, 하 방향으로 대면하도록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의 전방 측에 설치된 카드 부재 장착판으로, 상기 가드 부재 장착판(27)은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을 구성하는 좌측 벤딩 프레임부(22A)의 전단 측, 좌측전방 프레임부(22B), 좌측 코너부(22C)의 하면 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고,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가드 부재 장착판(27) 중 좌측 코너부(22C)의 근방 부위에는 후술하는 가드 부재(42)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볼트구멍(암나사 구멍)(27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은, 전술한 것과 같은 공통 프레임(12)으로만 구성된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면서, 오프셋식 작업 장치(8)를 이용하여 측부 홈 등의 굴삭작업을 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의 캐노피(5), 균형추(7) 등은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시가지 등의 좁은 작업현장에서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동작을 한 경우에도, 캐노피(5), 균형추(7) 등이 주위의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오프셋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에 대해, 도 6 내 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 캡 사양의 유압 셔블 중, 상술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참조부호 31은 캡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로, 상기 유압 셔블(31)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2)에 의해 대략 구성되고, 상부 선회체(32)의 전방 측에는 오프셋식 작업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부 선회체(32)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41)과, 상기 선회 프레임(41) 상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4)과, 상기 운전석(4)을 수용하는 운전실을 구획 형성한 캡(33)과, 엔진, 유압 펌프 등의 기기류(도시하지 않음)를 덮는 외장커버(6)와, 선회 프레임(41)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작업 장치(8)와의 중량균형을 잡는 균형추(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캡(3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33A), 후면부(33B), 좌측면부(33C), 우측면부(33D), 상면부(33E) 등에 의해 둘러싸인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운전석(4)을 수용하는 운전실을 구획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2)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캡(33)은 운전실 내에서의 오퍼레이터의 작업공간을 크게 확보하기 위해, 전면부(33A)와 좌측면부(33C)가 교차하는 좌측전방 모서리부(33F)가 전술한 가상원(C)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구성으로 되 어 있다.
이로 인하여, 캡 사양의 유압 셔블(31)은 상부 선회체(32)의 선회 동작 시에 캡(3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33F)가 주위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41)의 형상을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과는 상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41은 상부 선회체(32)의 베이스가 되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으로, 상기 선회 프레임(4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을 구성하는 공통 프레임(12)과, 상기 공통 프레임(12)에 장착된, 후술하는 가드 부재(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42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의 경우에만 공통 프레임(12)에 장착되는 가드 부재로, 상기 가드 부재(4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장착부(43)와 돌출부(44)에 의해 구성되고, 공통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43은 후술하는 돌출부(44)와 함께 가드 부재(42)를 구성하는 장착부로, 상기 장착부(43)는 강판 등을 이용하여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장착부(43)에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에 설치된 가드 부재 장착판(27)의 각 볼트구멍(27A)에 대응하는 2개의 볼트삽입공(43A)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43)는 볼트삽입공(43A)에 삽입 통과한 체결 부재로서의 볼트(45)를 가드 부재 장착판(27)의 볼트구멍(27A)에 밀착함으로써,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참조부호 44는 장착부(43)에 용접용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착된 돌출부로, 상기 돌출부(44)는 예를 들면 주강재 등에 의하여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된 솔리드의 봉형체로서 형성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 측이 원호형으로 만곡된 대략 D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4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의 외주 측으로부터 선회 반경(R)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 선회 반경(R)의 가상원(C)으로부터 삐져나온 캡(3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33F)를 하측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가드 부재(42)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선회체(32)의 선회 동작 시에,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하는 선회 반경(R)의 가상원(C)으로부터 삐져나온 캡(3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33F)가 주위의 장애물에 충돌하려고 했을 때에, 가드 부재(42)의 돌출부(44)가 캡(3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33F)에 앞서 장애물에 충돌함으로써, 캡(33)을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가드 부재(42)를 볼트(45)를 이용하여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예를 들면 가드 부재(42)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변형, 파손 등을 발생한 경우에도, 새로운 가드 부재(42)를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에 교환하여 장착함으로써,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을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수복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캡 사양의 유압 셔블(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 통 프레임(12)과 가드 부재(42)에 의해 구성된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유압 셔블(31)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상부 선회체(32)를 선회시키면서, 오프셋식 작업 장치(8)를 이용하여 측부 홈 등의 굴삭작업을 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33F)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만, 이 좌측전방 모서리부(33F)의 하측에는 선회 프레임(41)을 구성하는 가드 부재(42)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시가지 등의 좁은 작업현장에서 상부 선회체(32)의 선회 동작을 함으로써, 캡(3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33F)가 주위의 장애물에 충돌하려고 했다고 해도, 가드 부재(42)의 돌출부(44)가 캡(3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33F)에 앞서 장애물에 충돌함으로써, 캡(33)을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가드 부재(42)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변형, 파손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볼트(45)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드 부재(42)를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에 교환 장착함으로써,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을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수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을 공통 프레임(12)으로만 구성하고,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을 공통 프레임(12)과 가드 부재(42)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의 조립 시에, 이 유압 셔블(1)을 캡 사양의 유압 셔블(31)로 변경하는, 급한 수단 변경이 생긴 경우에도,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공통 프레임(12))에, 가드 부재(42)를 장착하는 것 만으로, 용이하게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것과는 반대로, 캡 사양의 유압 셔블(3l)을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로 변경하는, 급한 수단 변경이 생긴 경우에도,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으로부터 가드 부재(42)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과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공통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의 경우에만, 공통 프레임(12)에 가드 부재(42)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의 주요부와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의 주요부와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로부터 캡 사양의 유압 셔블(31)로의 수단 변경, 또는 캡 사양의 유압 셔블(31)로부터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로의 수단 변경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또, 공통 프레임(12)에 대하여 가드 부재(42)를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만으로,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11)과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41)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두 가지의 선회 프레임(11, 41)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어, 선회 프레임(11, 41)의 부품관리나 공정수 관리를 간략화하여, 제조비용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윙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과, 마찬가지로 스윙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을 예시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스윙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부호 51은 캐노피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로, 상기 유압 셔블(51)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52)와, 상기 하부 주행체(5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53)에 의해 대략 구성되고, 상부 선회체(53)의 전방 측에는 후술하는 스윙식 작업 장치(5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부 선회체(53)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61)과, 상기 선회 프레임(61) 상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54)과, 상기 운전석(54)의 상방을 덮는 캐노피(55)와, 엔진, 유압 펌프 등의 기기류(도시하지 않음)를 덮는 외장커버(56)와, 선회 프레임(61)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작업 장치(58)와의 중량균형을 잡는 균형추(5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53)의 선회중심을 O로 하고, 선회중심 O로부터 균형추(57)의 후단면(57A)까지의 거리에 의해서 규정되는 선회 반경을 R이라고 하면, 상부 선회체(53)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캐노피(55)는 운전석(54)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지주(55A)와, 상기 각 지주(55A)에 의해서 지지되어 운전석(54)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덮개부(5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노피(55)의 덮개부(55B)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53)의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균형추(57)는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고, 주조 수단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균형추(57)는 외장커버(56)와 대략 동일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장커버(56)와 함께 엔진 등의 기기류(도시하지 않음)를 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참조부호 58은 상부 선회체(53)의 전방 측에 설치된 스윙식 작업 장치로, 상기 작업 장치(58)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61)에 좌, 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윙포스트(58A)와, 상기 스윙포스트(58A)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붐(58B)과, 상기 붐(58B)의 선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암(58C)과, 상기 암(58C)의 선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버킷(58D)과, 스윙실린더(58E), 붐실린더(58F), 암실린더(58G), 버킷실린더(58H)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장치(58)는 스윙실린더(58E)를 신축시킴으로써 붐(58B)을 좌, 우 방향으로 요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붐(58B)을 승강 시키면서 암(58C), 버킷(58D)을 회전시킴으로써 굴삭작업을 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61은 상부 선회체(53)의 베이스가 되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으로, 상기 선회 프레임(61)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공통 프레임(62)만(단일체)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공통 프레임(62)은 그 단일체로서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61)을 구성하고,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재(42)를 장착했을 때에는 이 가드 부재(42)와 함께 후술하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91)을 구성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62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61)을 구성하는 공통 프레임으로, 상기 공통 프레임(62)은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63), 좌측 사이드 프레임(70), 우측 사이드 프레임(71) 등에 의하여 견고한 지지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 프레임(62)은 도 13에 나타내는 상부 선회체(53)의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63은 공통 프레임(62)의 중앙부분을 구성하는 센터 프레임으로, 상기 센터 프레임(63)은 두꺼운 강판 등을 이용하여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저판(64)과, 상기 저판(64)의 상면 측에 설치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세로판(65) 및 우측 세로판(66)과, 저판(64)의 전, 후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판(64) 상에 설치되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판(67)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측 세로판(65)은 가로판(67)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좌측전방 세로판(65A)과, 가로판(67)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좌측후방 세로판(65B)에 의해 구성되고, 우측 세로판(66)은 가로판(67)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우측전방 세로판(66A)과, 가로판(67)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우측후방 세로판(6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 우의 앞쪽 세로판(65A, 66A)은 가로판(67)으로부터 전방으로 향 해서 대략 팔(八)자형으로 연장되고, 좌, 우의 앞쪽 세로판(65A, 66A)의 전단 측에는 전술한 스윙포스트(58A)를 지지하는 단차식 원통형의 스윙브래킷(68)이 접합되어 있다. 한편, 좌, 우의 뒤쪽 세로판(65B, 66B)은 가로판(67)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들 좌, 우의 뒤쪽 세로판(65B, 66B) 상에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탑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69는 좌, 우의 뒤쪽 세로판(65B, 66B) 사이에 위치하여 저판(64)의 후단부에 설치된 웨이트 장착판으로, 상기 웨이트 장착판(69)은 균형추(57)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것이다.
참조부호 70은 센터 프레임(63)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으로, 상기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은 도 13에 나타내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벤딩 프레임부(70A)와, 상기 좌측 벤딩 프레임부(70A)의 전단 측으로부터 센터 프레임(63)의 좌측전방 세로판(65A)을 향해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전방 프레임부(70B)와, 이들 좌측 벤딩 프레임부(70A)와 좌측전방 프레임부(70B) 사이를 접속하는 좌측 코너부(7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측 벤딩 프레임부(70A)와 좌측전방 프레임부(70B)는 대략 D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벤딩 프레임부(70A)의 길이 방향 중간부는 가로판(67)의 좌측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고, 좌측전방 프레임부(70B)의 우측 단부는 좌측전방 세로판(65A)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71은 센터 프레임(63)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사이드 프레임으로, 상기 우측 사이드 프레임(71)도, 도 13에 나타내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벤딩 프레임부(71A)와, 상기 우측 벤딩 프레임부(7lA)의 전단 측으로부터 센터 프레임(63)의 우측전방 세로판(66A)을 향해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전방 프레임부(71B)와, 이들 우측 벤딩 프레임부(71A)와 우측전방 프레임부(71B) 사이를 접속하는 우측 코너부(7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우측 벤딩 프레임부(71A)와 우측전방 프레임부(71B)는 대략 D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벤딩 프레임부(71A)의 길이 방향중간부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보(72)를 통하여 저판(64)에 연결되고, 우측전방 프레임부(71B)의 좌측 단부는 우측전방 세로판(66A)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73은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을 구성하는 좌측전방 프레임부(70B) 등의 상방에 복수의 브래킷(74)을 이용하여 장착된 플로어 지지판으로, 상기 플로어 지지판(73)은 센터 프레임(63)의 좌측전방 세로판(65A)으로부터 좌측전방 프레임부(70B)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어 지지판(73)과 가로판(67) 사이에는 운전석(54)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발판이 되는 플로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75는 플로어 지지판(73)과 상, 하 방향으로 대면하도록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의 전방 측에 설치된 가드 부재 장착판으로, 상기 가드 부재 장착판 (75)은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을 구성하는 좌측 벤딩 프레임부(70A)의 전단 측, 좌측전방 프레임부(70B), 좌측 코너부(70C)의 하면 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고,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가드 부재 장착판(75)중 좌측 코너부(70C)의 근방 부위에는 가드 부재(42)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볼트구멍(암나사 구멍)(7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51)은, 전술한 것과 같은 공통 프레임(62)만(단일체)에 의해서 구성된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6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유압 셔블(51)은 하부 주행체(52) 상에서 상부 선회체(53)를 선회시키면서, 스윙식 작업 장치(58)를 이용하여 굴삭작업을 한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53)의 캐노피(55), 균형추(57) 등은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시가지 등의 좁은 작업현장에서 상부 선회체(53)의 선회 동작을 한 경우에도, 캐노피(55), 균형추(57) 등이 주위의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스윙식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 캡 사양의 유압 셔블 중, 상술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5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참조부호 81은 캡 사양의 소선회형 유압 셔블로, 상기 유압 셔블(81)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52)와, 상기 하부 주행체(5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82)에 의해 대략 구성되고, 상부 선회체(82)의 전방 측에는 스윙식 작업 장치(5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부 선회체(82)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91)과,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54)과, 상기 운전석(54)을 수용하는 운전실을 구획 형성한 캡(83)과, 외장커버(56)와, 균형추(5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83)은 전면부(83A), 후면부(83B), 좌측면부(83C), 우측면부(83D), 상면부(83E) 등에 의해 둘러싸인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운전석(54)을 수용하는 운전실을 구획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82)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수용되도록,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캡(83) 중 전면부(83A)와 좌측면부(83C)가 교차하는 좌측전방 모서리부(83F)는 전술한 가상원(C)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캡 사양의 유압 셔블(81)은 상부 선회체(82)의 선회 동작 시에 캡(8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83F)가 주위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91)의 형상을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61)과는 상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91은 상부 선회체(82)의 베이스가 되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으로, 상기 선회 프레임(91)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61)을 구성하는 공통 프레임(62)과, 공통 프레임(62)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에 장착된 가드 부재(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드 부재(42)는 장착부(43)의 볼트삽입공(43A)에 삽입 통과한 볼트(45)를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에 설치한 가드 부재 장착판(75)의 볼트구멍(75A)에 밀착함으로써,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드 부재(42)의 돌출부(44)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의 외주 측으로부터 선회 반경(R)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 선회 반경(R)의 가상원(C)으로부터 삐져나온 캡(8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83F)를 하측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캡 사양의 유압 셔블(8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 프레임(62)과 가드 부재(42)에 의해 구성된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9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유압 셔블(81)은 하부 주행체(52) 상에서 상부 선회체(82)를 선회시키면서, 스윙식 작업 장치(58)를 이용하여 굴삭작업을 한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8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83F)는 선회중심 O를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만, 이 좌측전방 모서리부(83F)의 하측에는 선회 프레임(91)을 구성하는 가드 부재(42)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시가지 등의 좁은 작업현장에서 상부 선회체(82)의 선회 동작을 함으로써, 캡(8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83F)가 주위의 장애물에 충돌하려고 했다고 해도, 가드 부재(42)의 돌출부(44)가 캡(83)의 좌측전방 모서리부(83F)에 앞서 장애물에 충돌함으로써, 캡(83)을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가드 부재(42)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변형, 파손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볼트(45)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드 부재(42)를 좌측 사이드 프레임(70)에 교환 장착함으로써,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91)을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수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61)을 공통 프레임(62)으로만 구성하고,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91)을 공통 프레임(62)과 가드 부재(42)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61)과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91)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공통 프레임(62)을 구비하고,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91)의 경우에만, 공통 프레임(62)에 가드 부재(42)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51)로부터 캡 사양의 유압 셔블(81)로의 수단 변경, 또는 캡 사양의 유압 셔블(81)로부터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51)로의 수단 변경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가드 부재(42)를 구성하는 돌출부(44)를 하면 측이 원호형으로 만곡된 대략 D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에 의한 가드 부재(42')와 같이 돌출부(44')의 하면 측에, 상기 하면 측으로부터 상면 측으로 오목하게,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홈부(44A')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가드 부재(42')를 공통 프레임(12)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에 장착한 경우에는 하부 주행체(2)의 발걸이벨트와 가드 부재(42')의 돌출부(44') 사이에 오목 홈부(44A')에 대응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어, 오퍼레 이터는 이 간극을 이용하여 발걸이벨트 상에 발을 걸어, 캡(33)에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가드 부재(42)를 볼트(45)를 이용하여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평판형의 장착부(43)와, 상기 장착부(43)에 용접에 의해서 고착된 대략 L자형의 돌출부(44)에 의해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에 의한 가드 부재(92)와 같이 볼트(45)용 볼트삽입공(93A)이 배치된 장착부(93)와, 좌측 사이드 프레임(22)의 외주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94)를 주조 수단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오프셋식 작업 장치(8)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1)과 캡 사양의 유압 셔블(31)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스윙동작을 하지 않는 모노붐식의 작업 장치를 구비한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과 캡 사양의 유압 셔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crawler)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 유압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과 캡 사양의 선회 프레 임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공통 프레임을 준비하고, 이 공통 프레임에 가드 부재를 장착하는지 여부에 따라 캐노피 사양과 캡 사양의 두 가지의 선회 프레임을 구분하여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설 기계를 캐노피 사양으로부터 캡 사양으로 변경하는 수단 변경, 또는 캡 사양으로부터 캐노피 사양으로 변경하는 수단 변경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또, 캐노피 사양과 캡 사양의 두 가지의 선회 프레임을 공통 프레임과 가드 부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두 가지의 선회 프레임에 이용되는 부품 수를 삭감하여, 부품관리나 공정 수 관리를 간략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부 선회체의 선회 동작 시 등에서, 선회 반경으로부터 삐져나온 캡의 좌측전방 모서리부가 주위의 장애물에 충돌하려고 했을 때에, 이 선회 반경으로부터 삐져나온 캡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앞서 가드 부재가 장애물에 충돌함으로써, 캡을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으로의 수단 변경은 공통 프레임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에 가드 부재를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장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으로의 수단 변경은 공통 프레임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가드 부재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 및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선회 프레임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되어 운전석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캐노피 및 운전실을 구획 형성하는 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가 설치되는 캐노피 사양의 선회 프레임 및 상기 캡이 설치되는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에 공통으로 사용되고, 상기 상부 선회체의 선회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형성된 공통 프레임; 및
    상기 선회 프레임이 캡 사양인 경우에 상기 캡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의 장착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공통 프레임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가드 부재
    로 구성되고,
    상기 공통 프레임은, 전방측에 작업 장치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 설치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우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 설치되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드 부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측 사이드 프레임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좌측 사이드 프레임의 외주측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후방을 향해 굴곡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좌측전방 모서리부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반경으로부터 삐져나온 상태로 상기 캡 사양의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드 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반경으로부터 삐져나온 상기 캡의 좌측전방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부재의 장착부는 상기 좌측 사이드 프레임의 좌측전방 모서리부에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050110169A 2005-01-24 2005-11-17 건설 기계 KR101144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5825A JP4510146B2 (ja) 2005-01-24 2005-01-24 建設機械の製造方法
JPJP-P-2005-00015825 2005-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560A KR20060085560A (ko) 2006-07-27
KR101144760B1 true KR101144760B1 (ko) 2012-05-09

Family

ID=3684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169A KR101144760B1 (ko) 2005-01-24 2005-11-17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10146B2 (ko)
KR (1) KR101144760B1 (ko)
CN (1) CN1811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1173B2 (ja) * 2011-02-07 2014-02-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6522566B2 (ja) * 2016-09-28 2019-05-29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小型油圧ショベ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455A (ja) 2002-08-20 2004-03-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4036A (en) * 1996-06-04 1999-11-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 machine with operator's cabin
US6170588B1 (en) * 1997-06-03 2001-01-0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evolving construction machine
JP2001040706A (ja) * 1999-08-03 2001-02-13 Komatsu Ltd 建設機械の旋回台
JP2001262622A (ja) * 2000-03-17 2001-09-26 Komatsu Ltd 上部旋回体を有する建設機械
JP2004068290A (ja) * 2002-08-01 2004-03-04 Komatsu Ltd スイング式油圧ショベ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455A (ja) 2002-08-20 2004-03-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1077B (zh) 2010-05-05
JP2006200312A (ja) 2006-08-03
JP4510146B2 (ja) 2010-07-21
KR20060085560A (ko) 2006-07-27
CN1811077A (zh)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168A (ko) 건설기계
JP2001040706A (ja) 建設機械の旋回台
JP4504283B2 (ja) 建設機械
JP4524437B2 (ja) 旋回作業車のターニングフレーム
JP4504277B2 (ja) 建設機械
KR101144760B1 (ko) 건설 기계
JP4044314B2 (ja) 建設機械
JP2001173017A (ja) 建設機械
JP4922050B2 (ja) 旋回作業車
CN216787251U (zh) 滑移装载机的工作装置和滑移装载机
JP2007046233A (ja) 建設機械
KR101688499B1 (ko) 건설기계
JP2006200313A (ja) 建設機械
JP3695301B2 (ja) 後端小旋回型油圧ショベル
JP5132357B2 (ja) 作業車両
JP2613141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6274598A (ja) 旋回作業機
JP3764293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1049695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30316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4076455A (ja) 旋回式建設機械
JP4455923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4291212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4459027B2 (ja) 旋回作業機
JP4381287B2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