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276A - 인자 유닛 및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프린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2276A KR20210052276A KR1020200138239A KR20200138239A KR20210052276A KR 20210052276 A KR20210052276 A KR 20210052276A KR 1020200138239 A KR1020200138239 A KR 1020200138239A KR 20200138239 A KR20200138239 A KR 20200138239A KR 20210052276 A KR20210052276 A KR 202100522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unit
- platen
- head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41J11/003—Paper-size detection, i.e. automatic detection of the length and/or width of copy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헤드 유닛에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유닛은, 서멀 헤드와의 사이에 기록지를 협지함과 더불어,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래튼 프레임과, 기록지의 검출을 행하는 센서, 센서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센서와 커넥터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센서 유닛과, 플래튼 프레임에 부착되며, 커넥터의 단자를 노출시키는 커넥터 배치부 및 센서 유닛을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가 복수 설치된 센서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라벨이나 태그 등의 기록지에 인자를 행하는 프린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프린터에서는, 기록지에 형성된 마크를 센서 등으로 읽어내어 기록지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이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서, 예를 들면, 인자부를 개폐 가능한 프린터로서, 인자 매체용 센서가 부착된 센서 지지 장치와, 인자부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센서 지지 장치를 기록지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한 이동 기구를 구비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센서 지지 장치를 이동 기구를 따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마크 위치가 상이한 기록지를 사용할 때, 센서의 위치를 마크 위치에 맞춰 이동시킴으로써, 기록지의 위치가 검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센서 지지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구성이 복잡화될 우려가 있다. 또, 상이한 검출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서, 센서 지지 장치와 본체를 접속하는 배선 등의 길이를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배선이 길어짐과 더불어, 여분의 길이의 배선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 등이 필요해져, 프린터가 대형화될 우려가 있다.
이에, 당기술분야에서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간소한 또한 소형인 구성에 의해 마크 위치가 상이한 기록지에 대하여 위치 검출이 가능한 인자 유닛 및 이 인자 유닛을 이용한 프린터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은,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에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 유닛은, 상기 서멀 헤드와의 사이에 기록지를 협지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기록지의 검출을 행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커넥터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센서 유닛과,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커넥터의 단자를 노출시키는 커넥터 배치부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가 복수 설치된 센서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접속부는, 기판이며, 상기 센서 및 상기 커넥터는, 단일한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이며,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일체화된 서브 유닛과, 상기 서브 유닛이 부착되는 센서 브래킷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센서 브래킷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는, 상기 인자 유닛과, 상기 인자 유닛이 장착된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 커버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 유닛의 전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 유닛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그리고, 그들 구성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 커버(12)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서멀 프린터(1)(청구항의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 커버(12)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서멀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면 상하 방향을 단순히 상하 방향으로 하고,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면 중의 UP는 상방을, LH는 좌방을, FR은 전방을 각각 가리킨다. 서멀 프린터(1)는, 케이싱(2)과, 케이싱(2)에 장착된 인자 유닛(3)을 구비한다.
케이싱(2)은, 케이싱 본체(11)와, 프린터 커버(12)를 구비한다. 케이싱(2)에는, 롤지(R)가 수용되어 있다. 롤지(R)는, 기록지(P)가 감겨져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록지(P)는, 예를 들면 띠형상의 박리지에 복수의 라벨 시일이 형성된 것이다. 서로 이웃하는 라벨 시일 간에는, 라벨 위치 검출용의 마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11)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11)에는, 롤지(R)를 수용하는 롤지 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터 커버(12)는, 힌지부(14)를 개재하여 케이싱 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프린터 커버(12)는, 롤지 수용부(13)를 개방한 열림 위치와, 롤지 수용부(13)를 폐색한 닫힘 위치 사이에서 롤지 수용부(13)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12)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롤지 수용부(13)의 개구 가장자리와, 프린터 커버(12)의 선단부 사이에는, 롤지(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를 외부(상방)로 배출하는 배출구(15)(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3)의 측면도이다. 인자 유닛(3)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헤드 유닛(4) 및 플래튼 유닛(5)을 갖는다.
헤드 유닛(4)은, 케이싱 본체(11)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4)은, 롤지 수용부(13)에 인접하여 배치된 내부 플레이트(16) 상에, 서멀 헤드(17)를 롤지 수용부(13)측을 향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인자 유닛(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헤드 유닛(4)은, 헤드 프레임(18)과, 헤드 블록(19)과, 가동날(20)과, 가이드 부재(21)를 구비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18)은, 전후 방향에서 바라봐서 정면에서 봤을 때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18) 중,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18a, 18b)에는, 수용 오목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81)는, 상방을 향해 개구함과 더불어, 전후 방향을 따르는 폭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소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81) 내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플래튼 롤러(7)의 베어링(38)이 결합된다. 수용 오목부(81)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스토퍼부(81a)가 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부(81a)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7)의 베어링(38)에 상방으로부터 결합한다. 측벽부(18a, 18b)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후방을 향해 패이는 위치 결정 오목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18a, 18b) 상에 있어서의 후부(헤드 블록(19)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지지 부재(22)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22)는, 상하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함과 더불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22)는, 측벽부(18a, 18b) 사이를 건너지르고 있다. 지지 부재(22)는, 헤드 블록(19)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함과 더불어, 가동날(20)과 헤드 프레임(18)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각 측벽부(18a, 18b) 중, 우측의 측벽부(18a)에는, 플래튼용 윤열(輪列) 기구(23)가 설치되어 있다. 플래튼용 윤열 기구(23)는, 헤드 프레임(18)에 탑재된 도시 생략된 플래튼용 모터에 접속되어 있다. 플래튼용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래튼용 윤열 기구(23)가 회전한다. 플래튼용 윤열 기구(23)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플래튼 유닛(5)의 플래튼 롤러(7)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18)의 측벽부(18a, 18b) 사이에는, 회동축(82)이 설치되어 있다. 회동축(82)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회동축(82)은, 그 양단부가 각 측벽부(18a, 18b)의 관통 구멍(도시 생략)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82) 중, 좌측의 측벽부(18b)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플래튼 유닛(5)과 헤드 유닛(4)의 조합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83)가 배치되어 있다.
해제 레버(83)는, 좌우 방향에서 바라봐서 측면에서 봤을 때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해제 레버(83)는, 그 정상부가 회동축(82)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제 레버(83) 중, 정상부에 대해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케이싱 본체(11)에 설치된 도시 생략된 레버 부재가 걸려 있다. 한편, 해제 레버(83) 중, 정상부에 대해 타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플래튼 유닛(5)에 설치된 돌출편(32)(도 4 참조)에 하방으로부터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해제 레버(83)는, 레버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돌출편(32)을 개재하여 플래튼 유닛(5)을 상방을 향해 밀어올림으로써, 헤드 유닛(4)으로부터 플래튼 유닛(5)을 분리시킨다. 또한, 해제 레버(83)와 측벽부(18b) 사이에는, 해제 레버(83)를 돌출편(32)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84)가 개재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블록(19)은, 헤드 서포트(86)와, 상술한 서멀 헤드(17)를 구비한다.
헤드 서포트(86)는, 헤드 프레임(18)에 배치된 회동축(8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헤드 서포트(86)는, 금속 등의 판재가 굴곡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헤드 서포트(86)는, 헤드 프레임(18)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 서포트(86)는, 서멀 헤드(17)가 고정되는 헤드 지지벽(87)과, 헤드 지지벽(8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각각 굴곡된 한 쌍의 스테이(88)를 구비한다.
헤드 지지벽(87)은, 전후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함과 더불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88)는, 그 하단부가 헤드 지지벽(87)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스테이(88)의 하단부에는, 상술한 회동축(82)을 수용하는 연결 오목부(88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오목부(88a)는, 좌우 방향에서 바라봐서 측면에서 봤을 때 전방을 향해 개방하는 C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드 서포트(86)는, 회동축(82) 둘레로 전후 방향(플래튼 롤러(7)에 접근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회동축(8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테이(88)의 하단 가장자리(연결 오목부(88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해 경사지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결 오목부(88a) 대신에 관통 구멍 내에 회동축(82)이 삽입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헤드 지지벽(8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 중, 상술한 스테이(88)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후방을 향해 스토퍼 결합부(87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결합부(87a)는, 헤드 프레임(18)의 규제부(18c)에 걸려, 헤드 블록(19)의 회동 범위를 제한한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헤드 지지벽(87)과 지지 부재(22) 사이에는, 헤드 탄성 가압 부재(24)가 개재되어 있다. 헤드 탄성 가압 부재(24)는, 헤드 블록(19)(서멀 헤드(17))을 플래튼 롤러(7)측(전방)을 향해 탄성 가압한다.
서멀 헤드(17)는, 헤드 지지벽(87)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 서멀 헤드(17)는, 좌우 방향(기록지(P)의 지폭(紙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멀 헤드(17)의 표면에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라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가동날(20)은, 지지 부재(22)를 개재하여 헤드 프레임(18)(각 측벽부(18a, 18b))의 상방에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가동날(20)은, 가동날 프레임(91)과, 가동날 프레임(9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날 본체(92)와, 가동날 본체(92)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93)를 구비한다.
가동날 프레임(91)은, 금속판 등이 굴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가동날 프레임(91)은, 지지 부재(22) 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동날 본체(92)는, 그 날끝이 상하 방향에서 바라봐서 평면에서 봤을 때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날 본체(92)는, 밑부분에서부터 날끝까지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 기구(93)는, 가동날 프레임(91) 상에 탑재된 정역전 가능한 커터용 모터나, 커터용 모터 및 가동날 본체(92) 사이에 접속되는 윤열 기구 등(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가동날 본체(92)는, 커터용 모터의 구동력이 윤열 기구를 개재하여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1)는, 헤드 프레임(18)의 전부(前部)에 있어서, 측벽부(18a, 18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1)는, 헤드 블록(19) 및 가동날(20)을 지지하는 헤드 프레임(18)의 전부에 있어서, 측벽부(18a, 18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1)는, 기록지(P)를 서멀 헤드(17)로 안내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21)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 블록(94)과, 각 측부 블록(94) 사이를 건너지르는 가이드 블록(95)을 구비한다. 측부 블록(94)은, 헤드 프레임(18)의 측벽부(18a, 18b)에 대해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측부 블록(94)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위치 결정 돌기(94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돌기(94a)는, 헤드 프레임(18)의 위치 결정 오목부(85) 내에 전방으로부터 수용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94a)는, 위치 결정 오목부(85)에 상하 및 후방으로부터 위요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95)은, 그 상면 및 전면이 측부 블록(94)에 대해 하방 및 후방으로 패여 있다. 가이드 부재(21) 중, 가이드 블록(95)의 상면 및 전면, 그리고 측부 블록(94)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면에 의해 가이드 통로(9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통로(90)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가이드 통로(90) 내에는, 서멀 헤드(17)를 향해 기록지(P)가 통과한다(도 5도 참조). 가이드 통로(90) 내에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7)가 상방으로부터 수용되어 있다. 가이드 통로(90) 내에는, 서멀 헤드(17)의 발열 소자가 후방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95)의 전부에는, 하방을 향해 패이는 오목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6)는, 가이드 블록(9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6)의 저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96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96a)은, 헤드 프레임(18)의 저벽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쳐 있다. 관통 구멍(96a) 내에는, 비스 등의 도시하지 않는 체결 부재가 삽입 통과된다. 체결 부재는, 케이싱 본체(11)에 체결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21)는, 헤드 프레임(18)과 함께 케이싱 본체(11)에 함께 체결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5)은, 프린터 커버(12)의 내면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플래튼 유닛(5)은, 프린터 커버(12)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헤드 유닛(4)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5)은, 플래튼 프레임(6)과, 플래튼 롤러(7)와, 센서 홀더(8)와, 센서 유닛(9)을 갖는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튼 유닛(5)을 좌측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6)은, 금속 등의 판재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플래튼 프레임(6)은, 전후 방향에서 바라봐서 정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해 개방된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래튼 프레임(6)은, 메인 프레임(30)과, 서브 프레임(31)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30)은, 전후 방향에서 바라봐서 정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해 개방된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축지지부(30a)와, 연결부(30b)를 구비한다. 축지지부(30a)는,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축지지부(30a)의 후단부에는, 플래튼 롤러(7)의 후술하는 베어링(38)이 유지되어 있다. 또, 각 축지지부(30a) 중, 좌우 방향의 해제 레버(83)측(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는 축지지부(30a)의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편(32)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32)은, 헤드 유닛(4)에 설치된 해제 레버(83)에 맞닿는다.
연결부(30b)는, 각 축지지부(30a) 사이를 건너지르고 있다. 연결부(30b)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30b)에는, 고정날(33)이 부착되어 있다(도 5 참조). 고정날(33)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날(33)은, 날끝을 후방을 향하게 한 상태로 연결부(30b) 상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12)가 닫혀, 플래튼 유닛(5)과 헤드 유닛(4)이 조합되었을 때에, 가동날(20)과 고정날(33)이 서로 대향하는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서브 프레임(31)은, 메인 프레임(30)보다 한층 더 크다. 서브 프레임(31)은, 메인 프레임(30)을 상방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프레임(31)은,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31a)와, 각 측부(31a) 사이를 연결하는 기부(基部)(31b)를 갖는다. 각 측부(31a)의 후단부에는, 플래튼 롤러(7)의 각 베어링(38)이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플래튼 유닛(5)은, 서브 프레임(31)을 개재하여 프린터 커버(12)에 부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30)과 서브 프레임(31) 사이에는, 메인 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다. 여압 기구(34)는, 플래튼 축(36) 둘레로 플래튼 프레임(6)을 서브 프레임(31)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하방)을 향해 탄성 가압(여압)하고 있다. 여압 기구(34)는, 예를 들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 등이다. 여압 기구(34)는, 플래튼 유닛(5)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여압 기구(34)의 하단부는 서브 프레임(31)에 연결되며, 여압 기구(34)의 상단부는 플래튼 프레임(6)의 연결부(30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여압 기구(34)는, 플래튼 유닛(5)의 좌우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7)는, 플래튼 프레임(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7)는, 프린터 커버(12)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5)과 헤드 유닛(4)이 조합되었을 때에, 기록지(P)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서멀 헤드(17)에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7)는, 회전함으로써 기록지(P)를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롤러(7)는, 플래튼 축(36)과, 롤러 본체(37)를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축(36)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플래튼 축(36)의 양단부에는, 베어링(38)이 각각 외장되어 있다. 각 베어링(38)은, 플래튼 프레임(6)(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프레임(30))의 축지지부(30a)에 유지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7)는, 베어링(38)을 개재하여 메인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축(36)의 타단부(우측 단부)에는, 플래튼용 톱니바퀴(39)가 장착되어 있다. 플래튼용 톱니바퀴(39)는, 플래튼 유닛(5)과 헤드 유닛(4)이 서로 조합되었을 때에, 헤드 유닛(4)의 플래튼용 윤열 기구(23)에 맞물린다. 플래튼용 톱니바퀴(39)는, 헤드 유닛(4)의 플래튼용 모터(도시 생략)가 회전함으로써, 플래튼용 윤열 기구(23)를 개재하여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한다. 롤러 본체(37)는, 플래튼 축(36)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다. 롤러 본체(37)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센서 홀더(8)는, 메인 프레임(3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축지지부(3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 홀더(8)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센서 홀더(8)의 상단에는 결합 클로(60)(도 7도 참조)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센서 홀더(8)는, 결합 클로(60)를 개재하여 메인 프레임(30)에 걸려 있다. 센서 홀더(8)는, 플래튼 롤러(7)에 대해 전방 및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홀더(8)의 사시도이다. 센서 홀더(8)는, 센서 수용부(61)와, 커넥터 배치부(62)와, 종이 대향부(63)를 갖는다. 센서 수용부(61)는, 센서 홀더(8)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패여 있다. 센서 수용부(61)는,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다. 센서 수용부(61)에는, 센서 유닛(9)이 상방(도 7의 화살표 A를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센서 유닛(9)이 수용된다. 센서 수용부(61)의 내벽에는, 상하 방향(즉, 센서 유닛(9)의 삽입 방향)을 따르는 삽입 홈(61a)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센서 수용부(61) 사이에는, 상술한 결합 클로(60) 및 결합 볼록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볼록부(64)는, 서로 이웃하는 센서 홀더(8) 사이에 위치하는 센서 홀더(8)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 볼록부(64)는, 센서 홀더(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결합 볼록부(64)는, 플래튼 프레임(6)의 도시 생략된 결합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6)에 대해 센서 홀더(8)가 위치 결정된다.
커넥터 배치부(62)는, 센서 수용부(61)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배치부(62)는, 센서 수용부(6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커넥터 배치부(62)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 배치부(62)는, 각 센서 수용부(61)와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배치부(62)는, 센서 수용부(61)에 센서 유닛(9)이 삽입된 상태로, 후술하는 커넥터(42)의 단자(42a)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종이 대향부(63)는, 센서 수용부(61)보다 하방으로 또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종이 대향부(63)는, 하방에 또한 후방에 면하는 경사면(63a)을 갖는다. 종이 대향부(63)의 경사면(63a)은, 플래튼 유닛(5)과 헤드 유닛(4)이 조합되었을 때에, 헤드 유닛(4)의 가이드 통로(90)와 평행이 된다. 기록지(P)는, 종이 대향부(63)의 경사면(63a)과 가이드 통로(90) 사이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종이 대향부(63)는, 플래튼 유닛(5)과 헤드 유닛(4)이 조합된 상태로 기록지(P)에 대향한다. 종이 대향부(63)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센서 노출창(63b)이 설치되어 있다. 센서 노출창(63b)은, 종이 대향부(63)가 경사면(63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있다. 센서 노출창(63b)은, 센서 수용부(61)와 센서 홀더(8)의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9)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 유닛(4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 유닛(40)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브래킷(50)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9)은, 센서 홀더(8)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수용부(61) 중, 소정의 1개의 센서 수용부(61)(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의 센서 수용부(6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9)은, 서브 유닛(40)과, 센서 브래킷(50)을 구비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유닛(40)은, 센서(41)와, 커넥터(42)와, 접속부(43)를 갖는다. 센서(41)는, 예를 들면 포토 센서 등이다. 센서(41)는, 기록지(P)의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41)는, 예를 들면 복수의 라벨 등을 갖는 기록지(P)에 미리 기재된 마크의 유무를 검출한다. 마크는, 예를 들면 각 라벨의 인자 개시 위치를 나타낸다. 커넥터(42)는, 센서(41)와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42)의 단자(42a)는, 외부의 전력 공급부(PW)(도 1 참조) 및 도시 생략된 제어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43)는, 센서(41)와 커넥터(42)를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부(43)는, 플렉시블 기판(45)이다. 플렉시블 기판(45)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센서(41)가 실장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45)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커넥터(42)가 실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센서(41) 및 커넥터(42)는, 플렉시블 기판(45)을 개재하여 일체화됨과 더불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45)은, 폭 방향에서 바라봐서 Z자형상이 되도록 절곡되어 후술하는 센서 브래킷(50)에 유지되어 있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브래킷(50)은, 서브 유닛(40)을 고정 유지하고 있다. 센서 브래킷(50)은, 수지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센서 브래킷(50)은, 절곡된 플렉시블 기판(45)이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센서 브래킷(50)은, 플렉시블 기판(45)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51)를 갖는다. 또, 센서 브래킷(50)은, 플렉시블 기판(45)이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45)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52)를 갖는다. 볼록부(52)는, 플렉시블 기판(45) 중 센서(41)가 실장된 일단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52)는, 플렉시블 기판(45)에 형성된 구멍부(46)(도 9 참조)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센서 유닛(9)은, 센서(41)를 아래로 한 상태로 센서 홀더(8)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때, 종이 대향부(63)의 센서 노출창(63b)에 센서(41)가 배치된다. 따라서, 센서 홀더(8)에 센서 유닛(9)이 수용된 상태로, 센서(41)가 센서 노출창(63b)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또, 이 상태에서, 커넥터 배치부(62)에 커넥터(42)가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42)의 단자(42a)가 커넥터 배치부(6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42)의 단자(42a)에 접속된 배선(W)은, 프린터 커버(12)의 내부를 통해 케이싱 본체(11)에 설치되어 케이싱 본체(11) 내의 전원부(PW) 및 도시 생략된 제어 기판에 접속된다.
다음에, 상술한 서멀 프린터(1)를 이용한 기록지(P)로의 인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12)가 닫힘 위치가 되고, 케이싱(2)과 인자 유닛(3)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가동날(20)과 고정날(33)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기록지(P)가 플래튼 롤러(7)와 서멀 헤드(17)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기록지(P)의 단부는, 가동날(20)과 고정날(33) 사이를 통과한 후, 배출구(15)로부터 케이싱(2)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플래튼 유닛(5)측의 플래튼용 톱니바퀴(39)는, 헤드 유닛(4)측의 플래튼용 윤열 기구(23)에 맞물려 있다.
다음에, 플래튼용 모터를 구동하면, 회전력이 플래튼 유닛(5)의 플래튼용 톱니바퀴(39)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7)가 회전하여, 플래튼 롤러(7)와 서멀 헤드(17) 사이에서 기록지(P)를 끼워넣으면서 이송한다. 또, 이송와 동시에, 서멀 헤드(17)의 발열 소자를 적절히 발열시킴으로써, 이송되는 기록지(P)에 대해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인자한다.
여기서, 플래튼 유닛(5)에 부착된 센서(41)는, 기록지(P)가 서로 이웃하는 라벨 사이에 형성된 마크를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에 따라, 플래튼 롤러(7)에 의한 이송량이 조절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크는, 기록지(P)의 폭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기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앙의 센서 수용부(61)에 수용된 센서(41)에 의해, 기록지(P)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원하는 개시 위치로부터 인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폭 방향의 우단에 마크가 기재된 기록지(P)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센서 수용부(61) 중, 우방의 센서 수용부(61)에 센서 유닛(9)을 수용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폭 방향의 좌단에 마크가 기재된 기록지(P)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센서 수용부(61) 중, 좌방의 센서 수용부(61)에 센서 유닛(9)을 수용한다.
다음에, 인자된 기록지(P)는, 고정날(33)과 가동날(20) 사이를 통과한다. 기록지(P)가 소정의 길이 통과한 후, 구동 기구(93)를 구동시켜, 가동날(20)을 고정날(33)을 향해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날(33)과 가동날(20) 사이에서 기록지(P)가 절단된다. 그 결과, 절단한 기록지(P)를,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인자 유닛(3) 및 서멀 프린터(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구성의 인자 유닛(3)에 의하면, 플래튼 유닛(5)의 플래튼 프레임(6)은, 센서 수용부(61)를 복수 가지므로, 복수의 센서 수용부(61) 중, 원하는 센서 수용부(61)에 센서 유닛(9)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기록지(P)의 마크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41)를 배치할 수 있다. 또, 센서 유닛(9)을 수용하는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마크 위치가 상이한 기록지(P)에 대해 센서(4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간소한 구성에 의해 기록지(P)의 마크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유닛(9)은, 센서(41)와 커넥터(42)를 갖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센서(41)만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와 비교해서, 센서(41) 및 커넥터(42) 사이를 접속하는 배선(접속부(43))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에 따른 비용을 삭감하고, 또한 제조 시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배선이 짧으므로, 여분의 길이의 배선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자 유닛(3)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간소한 또한 소형인 구성에 의해 마크 위치가 상이한 기록지(P)에 대해 위치 검출이 가능한 인자 유닛(3)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41) 및 커넥터(42)는, 단일한 기판(플렉시블 기판(45))에 실장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선을 이용하는 일 없이 센서(41)와 커넥터(42)를 접속할 수 있어, 센서 유닛(9)을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점수를 삭감함과 더불어, 센서 유닛(9)의 수용 위치를 변경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45)은, 센서(41) 및 커넥터(42)를 일체화한 상태로 유지하므로, 플렉시블 기판(45), 센서(41) 및 커넥터(42)를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센서 수용부(61)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상이한 검출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서 길이가 여분으로 형성된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이동 범위에 대응한 플렉시블 기판(45)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센서 홀더(8)에 여분의 길이의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센서 홀더(8)를 소형화할 수 있다.
센서 유닛(9)은, 서브 유닛(40)과 센서 브래킷(50)을 갖는다. 서브 유닛(40)은 플렉시블 기판(45)을 가지므로, 플렉시블 기판(45)에 센서(41) 및 커넥터(42)를 접속한 상태에서, 서브 유닛(40)을 센서 브래킷(5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서브 유닛(40)은, 센서 브래킷(50)과 일체적으로 센서 수용부(61)에 수용되므로, 센서 브래킷(50)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센서 유닛(9)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센서(41)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센서 브래킷(50)의 결합부(51)에 플렉시블 기판(45)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서 브래킷(50)과, 플렉시블 기판(45)을 갖는 서브 유닛(40)을 용이하게 일체화하여 센서 유닛(9)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간소한 구성에 의해 제조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구성의 서멀 프린터(1)에 의하면, 케이싱(2)에 인자 유닛(3)이 장착됨으로써, 서멀 프린터(1)가 형성된다. 인자 유닛(3)은, 복수의 센서 수용부(61)를 갖는 센서 홀더(8)와, 센서 수용부(61)에 수용되며, 센서(41)를 갖는 센서 유닛(9)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센서 유닛(9)을 원하는 센서 수용부(61)에 수용하고, 기록지(P)의 마크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센서(41)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간소한 또한 소형인 구성에 의해 마크 위치가 상이한 기록지(P)에 대해 위치 검출이 가능한 인자 유닛(3)을 이용한, 간소화와 사용자 요구의 실현을 양립한 서멀 프린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렉시블 기판(45)을 센서 브래킷(50)에 부착함으로써 센서 유닛(9)이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브래킷(50)은 없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강성이 높은 기판에 센서(41)와 커넥터(42)를 실장한 서브 유닛(40)을 센서 유닛(9)으로서 센서 수용부(61)에 수용해도 된다. 단, 센서 유닛(9)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센서 수용부(61)로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센서 브래킷(50)을 설치한 본 실시형태에 우위성이 있다.
접속부(43)로서, 플렉시블 기판(45) 대신에 전선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배선에 의해 센서(41)와 커넥터(42)를 접속함과 더불어, 센서 브래킷(50)에 배선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51) 등을 형성해도 된다. 단,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는 점이나, 센서 브래킷(50)으로의 서브 유닛(40)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 등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45)을 접속부(43)로 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우위성이 있다. 센서 수용부(61)의 개수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프레임(6)에 고정날(33)이 설치되고, 헤드 프레임(18)에 가동날(20)이 설치된 구성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날(20)이 플래튼 프레임(6)에 설치되고, 고정날(33)이 헤드 프레임(18)에 설치된 구성이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 상술한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Claims (5)
-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에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 유닛은,
상기 서멀 헤드와의 사이에 기록지를 협지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기록지의 검출을 행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커넥터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센서 유닛과,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커넥터의 단자를 노출시키는 커넥터 배치부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가 복수 설치된 센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기판이며,
상기 센서 및 상기 커넥터는, 단일한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 유닛.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이며,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일체화된 서브 유닛과,
상기 서브 유닛이 부착되는 센서 브래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 유닛.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브래킷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 유닛. - 청구항 1에 기재된 인자 유닛과,
상기 인자 유닛이 장착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198162 | 2019-10-31 | ||
JP2019198162A JP7343358B2 (ja) | 2019-10-31 | 2019-10-31 | 印字ユニット及びプリンタ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2276A true KR20210052276A (ko) | 2021-05-10 |
Family
ID=7304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8239A KR20210052276A (ko) | 2019-10-31 | 2020-10-23 | 인자 유닛 및 프린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292274B2 (ko) |
EP (1) | EP3815913B1 (ko) |
JP (1) | JP7343358B2 (ko) |
KR (1) | KR20210052276A (ko) |
CN (2) | CN214164499U (ko) |
TW (1) | TW20212649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28028A (zh) * | 2021-09-30 | 2022-01-14 |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打印装置以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49075B2 (ja) | 1988-10-03 | 1998-05-1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熱転写記録装置及びインク紙カセット |
JPH0546716U (ja) * | 1991-11-29 | 1993-06-22 | 東京電気株式会社 | ラベルプリンタ |
JP2005178309A (ja) | 2003-12-24 | 2005-07-07 | Sato Corp | 印字媒体用センサー支持装置 |
JP4690135B2 (ja) * | 2005-06-22 | 2011-06-01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印字装置 |
JP4930247B2 (ja) | 2007-07-26 | 2012-05-1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印刷装置 |
US9168771B2 (en) * | 2012-11-29 | 2015-10-27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Printer |
JP6533433B2 (ja) * | 2015-08-07 | 2019-06-19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
JP6767189B2 (ja) | 2016-07-26 | 2020-10-14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携帯型端末 |
-
2019
- 2019-10-31 JP JP2019198162A patent/JP7343358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10-14 TW TW109135447A patent/TW202126495A/zh unknown
- 2020-10-23 KR KR1020200138239A patent/KR20210052276A/ko unknown
- 2020-10-29 US US17/083,547 patent/US11292274B2/en active Active
- 2020-10-30 CN CN202022470456.8U patent/CN214164499U/zh active Active
- 2020-10-30 EP EP20205029.0A patent/EP3815913B1/en active Active
- 2020-10-30 CN CN202011189011.0A patent/CN112743995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292274B2 (en) | 2022-04-05 |
EP3815913A1 (en) | 2021-05-05 |
JP7343358B2 (ja) | 2023-09-12 |
CN214164499U (zh) | 2021-09-10 |
JP2021070229A (ja) | 2021-05-06 |
US20210129556A1 (en) | 2021-05-06 |
TW202126495A (zh) | 2021-07-16 |
EP3815913B1 (en) | 2023-06-21 |
CN112743995A (zh) | 2021-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80888B (zh) | 列印單元及熱列印機 | |
CN106364182B (zh) | 打印机、带盒和带有盒的打印机 | |
EP1916117B1 (en) | Printer unit | |
WO2015156310A1 (ja) | プリンタ | |
JP4727292B2 (ja) | サーマルプリンタ | |
KR20210052276A (ko) | 인자 유닛 및 프린터 | |
JP4871946B2 (ja) | プリンタ | |
US10994554B2 (en) | Thermal printer and portable terminal | |
JP4576401B2 (ja) | 携帯プリンタ装置 | |
EP1462267B1 (en) | Tape printing apparatus with tape cassette guide members | |
CN109890620A (zh) | 打印机 | |
CN111070904B (zh) | 热敏打印机 | |
US20070274756A1 (en) | Ink ribbon cassette and printer including ink ribbon | |
CN109689386B (zh) | 打印机 | |
EP4382303A1 (en) | Printing apparatus | |
EP1559564A2 (en) | Apparatus to guide label stock in a printer | |
JP2008006674A (ja) | サーマルプリンタ | |
EP3693176B1 (en) | Cassette and cassette body | |
US20230150160A1 (en) | Cutter unit and printer | |
EP4382302A1 (en) | Printing apparatus | |
EP4190575A1 (en) | Printing device | |
JP3783923B2 (ja) | プリンタ | |
JP2007313682A (ja) | プリンタ | |
JP4105325B2 (ja) | プリンタの切断機構 | |
TW202237419A (zh) | 印字單元及行動終端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