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964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964A
KR20210038964A KR1020217006718A KR20217006718A KR20210038964A KR 20210038964 A KR20210038964 A KR 20210038964A KR 1020217006718 A KR1020217006718 A KR 1020217006718A KR 20217006718 A KR20217006718 A KR 20217006718A KR 20210038964 A KR20210038964 A KR 20210038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oil
tank
frame
oil tank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802B1 (ko
Inventor
히로아키 후지시마
히로시 구마가이
야스히코 이나바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Abstract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6)는, 선회 프레임(5)의 우 사이드 프레임(8)과 센터 프레임(6)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센터 프레임(6)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19)는, 연료 탱크(16)보다 좌, 우 방향의 외측이 되는 우 사이드 프레임(8)측에 연료 탱크(16)와 좌, 우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는,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개시는, 예를 들면, 차체 프레임 상에 연료 탱크와 작동유 탱크가 마련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전, 후 방향으로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에 부앙(俯仰)의 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차체 프레임으로서의 선회 프레임을 갖고 있다. 이 선회 프레임은, 전, 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 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좌 사이드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우측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우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선회 프레임 상에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가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의 급유 작업이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연료 탱크는, 외부로부터 액세스하기 쉬운 좌, 우 방향의 외측, 예를 들면,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동유 탱크는, 연료 탱크의 좌측에 늘어선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42994호 공보
작금의 유압 셔블은, 좁은 작업 현장에서도 선회 동작할 수 있도록, 상부 선회체가 소형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회 프레임도 소형화되기 때문에, 엔진 등의 기기류를 설치하기 위한 선회 프레임 상의 공간이 제한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유압 셔블에서는, 엔진 등의 기기류를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 공간을 상측에 확대하게 되기 때문에, 기기류의 높이 치수, 설치 위치가 높아져 버린다.
기기류의 높이 치수, 설치 위치를 높게 하였을 경우에 생기는 문제의 일례에 대하여 서술한다. 먼저, 유압 셔블의 조립 작업이나 작동유의 교환 작업을 행하였을 때에는, 유압 회로 내의 공기 배출 작업이 행해진다. 이 유압 회로 내의 공기 배출 작업에서는, 작동유 탱크에 작동유를 충전하고, 유압 펌프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오일 구멍(공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작동유가 유출됨으로써, 각 부에 작동유가 골고루 퍼진 것(공기가 배출된 것)을 확인하고 있다. 이 때에, 작업자는, 유압 펌프의 최상부의 오일 구멍으로부터 작동유가 한번에 넘쳐나오지 않도록, 작동유 탱크에 마련된 오일 레벨 게이지를 이용함으로써, 작동유의 액면 높이가 각 부에 작동유가 골고루 퍼졌을 때의 높이가 되는 기준 오일면에 근접하였는지를 보면서, 작동유 탱크에 작동유를 충전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기기류 중 하나인 유압 펌프의 설치 위치가 높아지면, 기준 오일면(최상부에 위치하는 오일 구멍의 위치)도 높아지기 때문에, 작동유 탱크의 오일 레벨 게이지의 장착 위치를 높게 할 필요가 생긴다. 이에 따라서 작동유 탱크의 높이 치수가 커진다. 이에 의해, 작업 장치를 동작시켰을 때에는, 유압 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급배하기 위하여 작업 장치에 마련된 유압 호스가 높아진 작동유 탱크에 간섭할 우려가 있다.
또, 작동유 탱크의 상면부는, 엔진을 포함하는 기기를 메인티넌스 할 때의 발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작동유 탱크의 주위에는, 승강시나 작업시에 잡는 핸드 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동유 탱크의 높이 치수가 커지면, 지상으로부터 발판까지의 높이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핸드 레일보다 안정성이 높은 가이드 레일로의 변경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ISO2867(2011)에 의함). 더욱이, 핸드 레일보다 높이 치수가 큰 가이드 레일로 변경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이 수송시의 높이 제한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유압 셔블을 수송할 때마다 가이드 레일을 떼어내야만 해서, 수송 작업에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목적은, 작동유 탱크의 높이 치수를 높게 한 것에 의해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전, 후 방향으로 자주 가능한 차체의 지지 구조체를 이루고, 상기 전, 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 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좌 사이드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우측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우 사이드 프레임을 갖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좌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우 사이드 프레임의 어느 일방(一方)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센터 프레임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는, 상기 연료 탱크보다 좌, 우 방향의 외측이 되는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측에 상기 연료 탱크와 좌, 우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작동유 탱크의 높이 치수를 높게 한 것에 의해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작업 장치를 생략한 유압 셔블을 오른쪽 전측(前側)으로부터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작업 장치의 붐을 앙동(仰動)시킨 상태의 유압 셔블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유압 셔블을 작동유 탱크, 외장 커버, 핸드 레일을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외장 커버, 핸드 레일 등을 생략한 상부 선회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카운터 웨이트, 외장 커버, 핸드 레일 등을 생략한 상부 선회체를 오른쪽 후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선회 프레임,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등을 오른쪽 전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요부 확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선회 프레임, 엔진, 유압 펌프, 작동유 탱크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의 정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 후방(後方)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8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크롤러식의 건설 기계를 구성하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전, 후 방향으로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의 전측에 부앙의 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된 작업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장치(4)는,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것으로, 붐(4A), 암(4B), 버킷(4C), 붐 실린더(4D), 암 실린더(4E), 버킷 실린더(4F)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업 장치(4)에는, 암 실린더(4E), 버킷 실린더(4F)에 압유를 급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압 호스(4G)(2개만 도시)가 붐(4A)의 우측면을 따라가도록 마련되어 있다. 각 유압 호스(4G)는,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호스와 금속관을 조합한 관체(管體)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의 차폭과 대략 동등한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갖고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 선회체(3)는, 후술의 카운터 웨이트(11)가 선회 중심(O)에 가까워지도록 전측(후술의 캡(1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3)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선회하였을 때에, 카운터 웨이트(11)의 외주면이 대략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에 들어가는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은,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가 되는 차체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회 프레임(5)은, 상부 선회체(3)의 좌, 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6)과, 센터 프레임(6)의 좌측에서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좌 사이드 프레임(7)과, 센터 프레임(6)의 우측에서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우 사이드 프레임(8)을 갖고 있다.
센터 프레임(6)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꺼운 강판(鋼板)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판(6A)과, 저판(6A) 상에 세워 설치되고, 좌, 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 세로판(6B), 우 세로판(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 세로판(6B)과 우 세로판(6C)의 전측에는, 작업 장치(4)의 붐(4A)이 부앙의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부(後部)에는 카운터 웨이트(11)가 장착되어 있다. 좌 사이드 프레임(7)은, 센터 프레임(6)으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좌 돌출 빔(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센터 프레임(6)의 좌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우 사이드 프레임(8)은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우 사이드 프레임(8)은, 전부(前部)가 센터 프레임(6)을 향하여 좌측으로 굴곡져 있다. 우 사이드 프레임(8)은, 내부가 공동(空洞)이 된 단면이 D자상인 구조체(D 프레임)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는, 평탄한 상면(8A)이 되어 있다. 우 사이드 프레임(8)은, 후술하는 오른쪽 앞 돌출 빔(9), 오른쪽 뒤 돌출 빔(10) 등을 개재하여 센터 프레임(6)의 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른쪽 앞 돌출 빔(9) 및 오른쪽 뒤 돌출 빔(10)은, 센터 프레임(6)의 우측에 간격을 갖고 우 사이드 프레임(8)을 지지하고 있다. 오른쪽 앞 돌출 빔(9) 및 오른쪽 뒤 돌출 빔(10)은, 전, 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배치되고, 각각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른쪽 앞 돌출 빔(9) 및 오른쪽 뒤 돌출 빔(10)은, 좌측이 센터 프레임(6)에 장착되고, 우측이 우 사이드 프레임(8)에 장착되어 있다.
오른쪽 앞 돌출 빔(9)은, 좌, 우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좌측의 상부가 연료 탱크 탑재부(9A)가 되고, 중간부로부터 우측의 상부가 탱크 탑재부로서의 작동유 탱크 탑재부(9B)가 되어 있다. 연료 탱크 탑재부(9A)는, 연료 탱크(16)를 지지하는 것으로, 작동유 탱크 탑재부(9B)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 탑재부(9B)는, 연료 탱크 탑재부(9A)보다 높고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과 동(同) 정도의 높이 위치로 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 탑재부(9B)는, 후술하는 탱크 지지대(17)를 개재하여 작동유 탱크(19)의 전측 부분을 지지하고 있다. 작동유 탱크 탑재부(9B)에는, 볼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탱크 지지대(17)의 하 장착판(17A)이 장착되어 있다.
오른쪽 뒤 돌출 빔(10)은, 오른쪽 앞 돌출 빔(9)과 마찬가지로, 좌측의 상부가 연료 탱크 탑재부(도시 생략)가 되고, 우측의 상부가 탱크 탑재부로서의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가 되어 있다. 또,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탱크 지지대(18)의 하 장착판(18A)이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카운터 웨이트(11)는, 선회 프레임(5)의 센터 프레임(6)의 후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카운터 웨이트(11)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기 위하여, 좌, 우 방향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한 원호상의 중량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1)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반경이 작아지도록, 선회 프레임(5)의 선회 중심(O)에 가까운 전측쪽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12)은, 카운터 웨이트(11)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놓기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엔진(12)의 좌측에는,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인터쿨러를 포함하는 열 교환 장치(13)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12)의 우측에는, 후술의 유압 펌프(14)가 마련되어 있다.
유압 펌프(14)는 엔진(12)의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유압 펌프(14)는, 작동유 탱크(19)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압유로서 후술의 컨트롤 밸브(24)를 향하여 토출한다. 유압 펌프(14)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1)의 조립 작업시, 작동유의 교환 작업시에, 내부에 공기가 남아 압축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내부의 공기를 발취하여 작동유로 채우는 공기 배출 작업이 행해진다. 그래서, 도 6,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압 펌프(14)에는, 작동유의 유로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공기 배출 구멍(14A)이 마련되어 있다. 이 공기 배출 구멍(14A)이 개구하고 있는 높이 위치가, 작동유 탱크(19)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기준 오일면(L1)(도 8 참조)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펌프(14)는,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1)에 탑재되는 것으로, 좁은 설치 면적에 대하여 큰 토출 유량을 얻기 위하여 상, 하 방향으로 크게(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 탱크(19)의 작동유의 기준 오일면(L1)의 위치도 높아져 있다.
캡(15)은, 선회 프레임(5)의 왼쪽 전측에 탑재되고, 오퍼레이터가 탑승한다. 캡(15)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 주행용의 조작 레버, 작업용의 조작 레버, 각종 스위치류(모두 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16)는, 선회 프레임(5)의 센터 프레임(6)과 우 사이드 프레임(8)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센터 프레임(6)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탱크(16)는, 센터 프레임(6)의 우 세로판(6C)의 우측에 근접하여 대면함과 함께, 후술하는 작동유 탱크(19)의 좌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16)는,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연료 탱크 탑재부(9A)와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연료 탱크 탑재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연료 탱크(16)는 전면부(16A), 후면부(16B), 좌면부(16C), 우면부(16D), 상면부(16E), 하면부(16F)로 이루어지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방체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연료 탱크(16)는, 엔진(12)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한다. 상면부(16E)에는,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급유구(16G)가 상측에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탱크(16)는, 높이 치수에 있어서 작동유 탱크(19)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는,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보다 치수 H(도 7 참조)만큼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를 작업시의 발판으로서 이용한 경우이더라도, 발판의 위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료 탱크(16)의 높이 치수(지상으로부터 발판이 되는 상면부(16E)까지의 치수)를, ISO2867(2011)에서 규정된 가이드 레일이 필요한 높이 치수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탱크 지지대(17)와 탱크 지지대(18)는, 작동유 탱크(19)를 선회 프레임(5) 상에 지지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측에 위치하는 탱크 지지대(17)는,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탑재부(9B) 상에 장착되어 있다. 또, 후측에 위치하는 탱크 지지대(18)는,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 상에 장착되어 있다. 탱크 지지대(17)는, 작동유 탱크 탑재부(9B)로부터 작동유 탱크(19)의 하면부(19F)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19)를 선회 프레임(5) 상에 지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탱크 지지대(18)는,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로부터 작동유 탱크(19)의 하면부(19F)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19)를 선회 프레임(5) 상에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탱크 지지대(17)와 탱크 지지대(18)는, 작동유 탱크(19)를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이 되는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지지하고 있다. 이 경우,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으로부터 작동유 탱크(19)의 하면부(19F)까지의 치수, 즉, 탱크 지지대(17)와 탱크 지지대(18)의 높이 치수는, 기준 오일면(L1)의 위치를 작동유 탱크(19)의 오일 레벨 게이지(19G)의 상, 하 방향의 중간 위치에 표시할 수 있는 위치까지 당해 작동유 탱크(19)를 높게 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전측의 탱크 지지대(17)는,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탑재부(9B)에 볼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장착된 하 장착판(17A)과, 하 장착판(17A)의 연부(緣部)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벽판(17B)과, 벽판(17B)의 상단부에 하 장착판(17A)과 평행하게 장착된 상 장착판(17C)을 구비하고 있다. 상 장착판(17C)은, 작동유 탱크(19)의 하면부(19F)에 볼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후측의 탱크 지지대(18)는, 전측의 탱크 지지대(17)와 전, 후 방향에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측의 탱크 지지대(18)는, 전측의 탱크 지지대(17)와 마찬가지로, 하 장착판(18A), 벽판(18B), 상 장착판(18C)을 구비하고 있다. 하 장착판(18A)은, 볼트를 이용하여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에 장착되고, 상 장착판(18C)은, 작동유 탱크(19)의 하면부(19F)에 볼트를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이 되는 작동유 탱크(19)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동유 탱크(19)는 선회 프레임(5) 상에 마련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9)는, 연료 탱크(16)보다 좌, 우 방향의 외측이 되는 우 사이드 프레임(8) 측에, 연료 탱크(16)와 좌, 우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작동유 탱크(19)는, 작업 장치(4)의 붐(4A)으로부터 떨어진 연료 탱크(16)의 우측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9)는, 하부 주행체(2)에 마련된 유압 모터, 작업 장치(4)의 각 실린더(4D∼4F)를 포함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유 탱크(19)의 전측 부분은, 탱크 지지대(17)를 이용하여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탑재부(9B)에 장착되어 있다. 또, 작동유 탱크(19)의 후측 부분은, 탱크 지지대(18)를 이용하여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유 탱크(19)는, 작동유 탱크 탑재부(9B),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탱크 지지대(17)와 탱크 지지대(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9)는 전면부(19A), 후면부(19B), 좌면부(19C), 우면부(19D), 상면부(19E), 하면부(19F)로 이루어지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방체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9)는, 하면부(19F)가 탱크 지지대(17)의 상 장착판(17C)과 탱크 지지대(18)의 상 장착판(18C)에 볼트를 이용하여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는,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보다 치수 H(도 7 참조)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압 펌프(14)측에 위치하는 후면부(19B)에는, 상, 하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오일 레벨 게이지(19G)가 마련되어 있다. 오일 레벨 게이지(19G)는, 작동유 탱크(19) 내에 작동유를 충전할 때에, 적량의 작동유가 충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작동유 탱크(19) 내로의 작동유의 충전 작업에서는, 유압 회로 내의 공기 배출 작업이 행해진다.
공기 배출 작업에서는 작동유 탱크(19)에 작동유를 충전한다. 작동유의 충전시에 작업자는, 유압 펌프(14)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 구멍(오일 구멍)(14A)으로부터 작동유가 유출되었음을 육안으로 봄으로써, 각 부에 작동유가 골고루 퍼진 것(공기가 배출된 것)을 확인한다. 이 때에, 오일 레벨 게이지(19G)는, 유압 펌프(14)측이 되는 후면부(19B)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오일 레벨 게이지(19G)를 육안으로 봄으로써, 작동유 탱크(19) 내에 충전된 작동유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작동유의 액면이 기준 오일면(L1)에 근접하면, 작동유를 충전할 때의 유량(단위시간당의 충전량)을 적게 한다. 이에 의해, 유압 펌프(14)의 공기 배출 구멍(14A)으로부터 작동유가 한번에 넘쳐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동유 탱크(19)는, 예를 들면, 기존의 작동유 탱크를 이용하여, 탱크 지지대(17)와 탱크 지지대(18)에 의해서 설치 위치를 높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는,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보다 치수 H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유 탱크(19)는, 오일 레벨 게이지(19G)의 장착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모든 작동유가 되돌려졌을 때의 액면 위치(L2)도, 상면부(19E)보다 하측에 설정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장 커버(20)는, 선회 프레임(5)에 탑재된 각종 기기류를 덮고 있다. 외장 커버(20)는, 캡(15)과 좌, 우 방향의 반대측에서 연료 탱크(16), 작동유 탱크(19)의 전측에 배치된 오른쪽 앞 커버(20A)와, 캡(15)과 카운터 웨이트(11)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엔진(12) 등의 상측을 덮는 엔진 커버(20B)와, 작동유 탱크(19)의 우측면을 덮는 탱크 커버(20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엔진 커버(20B)는, 예를 들면, 후단연(後端緣)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측이 개폐 가능한 앞 열기 구조를 가진 커버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엔진 커버(20B)를 연 상태에서는, 엔진(12)을 포함하는 기기의 메인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또, 오른쪽 앞 커버(20A)는, 연료 탱크(16)에 연료를 보급할 때, 작동유 탱크(19)의 작동유를 교환하거나 보충하거나 할 때, 엔진 커버(20B)를 열어 메인티넌스를 행할 때에, 상부 선회체(3)에 올라가기 위한 스텝을 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예를 들면, 엔진(12)의 메인티넌스를 행할 때에는, 오른쪽 앞 커버(20A), 연료 탱크(16)에 발을 올려놓음으로써, 엔진 커버(20B)의 전측의 작업 위치에 올라갈 수 있다.
핸드 레일(21)은,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를 포함하는 상부 선회체(3)에 마련되어 있다. 핸드 레일(21)은, 예를 들면,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에 승강할 때, 발판이 되는 상면부(16E)에서 작업할 때에 작업자가 잡는다. 구체적으로는, 핸드 레일(21)은, 외장 커버(20)의 오른쪽 앞 커버(20A)에 오르내릴 때에 잡는 전측 핸드 레일(22)과,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 상에서 작업을 할 때에 잡는 후측 핸드 레일(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측 핸드 레일(22)은, 하단부가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전부에 장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세로 파이프부(22A)와, 캡(15)과 동등한 높이 위치에서, 세로 파이프부(22A)의 상단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된 가로 파이프부(22B)와, 가로 파이프부(22B)의 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에 장착된 장착 파이프부(2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측 핸드 레일(23)은, 전단부가 전측 핸드 레일(22)의 장착 파이프부(22C)의 상부에 장착되고, 후측과 좌측에 L자상으로 굴곡진 L자상 파이프부(23A)와, L자상 파이프부(23A)의 좌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에 장착된 장착 파이프부(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ISO2867(2011)에 있어서, 핸드 레일(21)은, 가이드 레일보다 낮은 치수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 레일(21)은, 유압 셔블(1)을 수송할 때에, 수송시의 높이 제한의 범위에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컨트롤 밸브(24)는, 외장 커버(20)의 오른쪽 앞 커버(20A) 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24)는, 하부 주행체(2)의 유압 모터, 작업 장치(4)의 붐 실린더(4D), 암 실린더(4E), 버킷 실린더(4F) 등의 각종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압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복수의 방향 제어 밸브의 집합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으로, 유압 셔블(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15)에 탑승한 오퍼레이터는, 엔진(12)을 시동하여 유압 펌프(14)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유압 펌프(14)로부터의 압유는, 컨트롤 밸브(24)를 통하여 각종 액추에이터에 공급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주행용의 조작 레버를 조작하였을 때에는, 하부 주행체(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용의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를 동작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유압 셔블(1)에서는 작동유를 정기적으로 교환하고 있다. 이 작동유의 교환 작업에서는, 유압 펌프(14)를 포함하는 유압 회로에 공기가 남아 유압 펌프(14)의 압축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내부의 공기를 발취하여 작동유로 채우는 공기 배출 작업이 행해진다. 이 공기 배출 작업은, 작동유 탱크(19)에 작동유를 충전하고, 유압 펌프(14)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 구멍(14A)으로부터 작동유를 유출시킴으로써, 각 부에 작동유가 골고루 퍼진 것(공기가 배출된 것)을 확인하고 있다. 이 때에, 작업자는, 작동유 탱크(19)에 마련한 오일 레벨 게이지(19G)를 육안으로 보아, 작동유의 액면 높이가 기준 오일면(L1)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공기 배출 구멍(14A)으로부터 작동유가 한번에 넘쳐나오지 않도록 작업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1)은,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선회체(3)와 함께 선회 프레임(5)도 소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12), 유압 펌프(14) 등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은, 상측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12), 유압 펌프(14) 등의 높이 치수, 설치 위치가 높아진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6)는, 선회 프레임(5)의 우 사이드 프레임(8)과 센터 프레임(6)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센터 프레임(6)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19)는, 연료 탱크(16)보다 좌, 우 방향의 외측이 되는 우 사이드 프레임(8)측에 연료 탱크(16)와 좌, 우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는,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유 탱크(19)를, 연료 탱크(16)보다 높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작동유 탱크(19)보다 낮은 연료 탱크(16) 상을 메인티넌스시의 발판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 울타리로서 가이드 레일보다 낮은 핸드 레일(21)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유압 셔블(1)의 높이 치수를, 수송시의 높이 치수의 범위 내에 넣을 수 있어, 수송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작동유 탱크(19)의 높이 치수를 높게 한 것에 의해서 생긴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회 프레임(5)은, 연료 탱크(16) 및 작동유 탱크(19)가 얹혀지는 작동유 탱크 탑재부(9B)와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를 갖고 있다. 이 작동유 탱크 탑재부(9B)와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에는, 작동유 탱크 탑재부(9B)로부터 작동유 탱크(19)의 하면부(19F)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19)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대(17)와, 작동유 탱크 탑재부(10A)로부터 작동유 탱크(19)의 하면부(19F)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19)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존의 작동유 탱크(19)를 탱크 지지대(17)와 탱크 지지대(18)에 의해서 높게 하는 것만으로, 오일 레벨 게이지(19G)의 높이 위치를 기준 오일면(L1)에 맞출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작동유 탱크(19)를 이용하여 값싸게 구조 변경할 수 있다.
유압 셔블(1)은,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를 포함하는 작업용의 발판을 갖고 있다. 또, 작동유 탱크(19)의 상면부(19E)에는, 발판에서 작업할 때에 작업자가 잡기 위한 핸드 레일(21)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예를 들면, 엔진(12)의 메인티넌스를 행할 때에, 핸드 레일(21)을 잡음으로써, 연료 탱크(16) 상에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의 좌, 우 방향의 우측에 연료 탱크(16)와 작동유 탱크(19)를 마련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체의 좌, 우 방향의 좌측에 연료 탱크와 작동유 탱크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유 탱크(19)는 선회 프레임(5) 상에 탱크 지지대(17)와 탱크 지지대(18)를 이용하여 지지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작동유 탱크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이 작동유 탱크를 선회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그 이외에도,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차체)
3: 상부 선회체(차체)
5: 선회 프레임(차체 프레임)
6: 센터 프레임
7: 좌 사이드 프레임
8: 우 사이드 프레임
9: 오른쪽 앞 돌출 빔
9B, 10A: 작동유 탱크 탑재부(탱크 탑재부)
10: 오른쪽 뒤 돌출 빔
16: 연료 탱크
16E, 19E: 상면부
17, 18: 탱크 지지대
19: 작동유 탱크
19F: 하면부
21: 핸드 레일

Claims (3)

  1. 전, 후 방향으로 자주 가능한 차체의 지지 구조체를 이루고, 상기 전, 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 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좌 사이드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우측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우 사이드 프레임을 갖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좌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우 사이드 프레임의 어느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센터 프레임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는, 상기 연료 탱크보다 좌, 우 방향의 외측이 되는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측에 상기 연료 탱크와 좌, 우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작동유 탱크가 얹혀지는 탱크 탑재부를 갖고,
    상기 탱크 탑재부에는, 상기 탱크 탑재부로부터 상기 작동유 탱크의 하면부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상기 작동유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부를 포함하는 작업용의 발판을 갖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부에는, 상기 발판에서 작업할 때에 잡기 위한 핸드 레일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217006718A 2019-02-28 2020-02-04 건설 기계 KR102517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5798 2019-02-28
JP2019035798A JP7166202B2 (ja) 2019-02-28 2019-02-28 建設機械
PCT/JP2020/004020 WO2020175028A1 (ja) 2019-02-28 2020-02-04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964A true KR20210038964A (ko) 2021-04-08
KR102517802B1 KR102517802B1 (ko) 2023-04-05

Family

ID=7223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718A KR102517802B1 (ko) 2019-02-28 2020-02-04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81196A1 (ko)
EP (1) EP3832027B1 (ko)
JP (1) JP7166202B2 (ko)
KR (1) KR102517802B1 (ko)
CN (1) CN112639215B (ko)
WO (1) WO2020175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8955A1 (ja) * 2021-02-05 2022-08-11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237A (ja) * 1999-08-20 2001-03-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2002061224A (ja) * 2000-08-24 2002-02-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2005041316A (ja) * 2003-07-28 2005-02-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8019620A (ja) * 2006-07-12 2008-01-3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2011042994A (ja) 2009-08-21 2011-03-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20120137360A (ko) * 2011-03-02 2012-12-20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저유 탱크 및 건설 차량
JP2016176290A (ja) * 2015-03-20 2016-10-06 住友建機株式会社 小旋回型ショベ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076A1 (ja) * 2007-08-02 2009-02-0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
JP2010229740A (ja) * 2009-03-27 2010-10-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5402451B2 (ja) * 2009-09-17 2014-01-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562777B2 (ja) * 2010-09-16 2014-07-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615763B2 (ja) * 2011-06-14 2014-10-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3064255A (ja) 2011-09-16 2013-04-1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5830110B2 (ja) * 2011-12-26 2015-12-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A2917417A1 (en) 2013-07-08 2015-01-15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Construction machine with counterweight structure
JP5867485B2 (ja) * 2013-11-20 2016-02-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942974B2 (ja) * 2013-12-20 2016-06-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303717B2 (ja) * 2014-03-28 2018-04-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297905B2 (ja) * 2014-04-22 2018-03-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237A (ja) * 1999-08-20 2001-03-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2002061224A (ja) * 2000-08-24 2002-02-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2005041316A (ja) * 2003-07-28 2005-02-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8019620A (ja) * 2006-07-12 2008-01-3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2011042994A (ja) 2009-08-21 2011-03-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20120137360A (ko) * 2011-03-02 2012-12-20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저유 탱크 및 건설 차량
JP2016176290A (ja) * 2015-03-20 2016-10-06 住友建機株式会社 小旋回型ショ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9328A (ja) 2020-09-03
WO2020175028A1 (ja) 2020-09-03
JP7166202B2 (ja) 2022-11-07
CN112639215A (zh) 2021-04-09
CN112639215B (zh) 2022-08-16
KR102517802B1 (ko) 2023-04-05
EP3832027B1 (en) 2024-04-17
EP3832027A1 (en) 2021-06-09
EP3832027A4 (en) 2022-06-15
US20210381196A1 (en)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379B2 (en) Skid steer loader
US9976282B2 (en) Construction machines and fuel tanks for construction machines
EP2886725B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7205100A (ja) 建設機械の車体フレームおよび建設機械
EP3779056B1 (en) Hydraulic shovel
KR102517802B1 (ko) 건설 기계
JP5865313B2 (ja) 建設機械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JP2016075042A (ja) 建設機械
KR20180039104A (ko) 소형의 건설 기계
JP7166067B2 (ja) 建設機械
JP6944437B2 (ja) 建設機械
JP2021001434A (ja) 作業車両
JP5507348B2 (ja) 建設機械
WO2020153398A1 (ja) 建設機械
JP7033566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JP7039516B2 (ja) 油圧ショベル
JP2023146297A (ja) 建設機械
JP2023150568A (ja) 建設機械
JP3104647B2 (ja) 作業機の給排液用集中パネル
JP6316769B2 (ja) 建設機械
JP2001146765A (ja) 建設機械
JP2005188154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