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007A -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 - Google Patents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007A
KR20210036007A KR1020190117888A KR20190117888A KR20210036007A KR 20210036007 A KR20210036007 A KR 20210036007A KR 1020190117888 A KR1020190117888 A KR 1020190117888A KR 20190117888 A KR20190117888 A KR 20190117888A KR 20210036007 A KR20210036007 A KR 2021003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re
dried
gun
container
cirsium setid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봉
Original Assignee
이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봉 filed Critical 이석봉
Priority to KR102019011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007A/ko
Publication of KR2021003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formed by rolling, or by rolling and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곤드레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건곤드레를 냉수에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불리는 불림단계; 상기 불림단계에 의해 불린 건곤드레를 자숙하는 자숙단계; 상기 자숙단계에 의해 자숙된 건곤드레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된 건곤드레를 손질하여 정해진 중량만큼 용기에 담는 손질단계; 상기 용기에 담긴 상기 세척된 건곤드레를 탈기하는 탈기단계; 상기 탈기단계에 의해 탈기된 건곤드레가 담긴 상기 용기의 뚜껑을 덮어 진공을 잡는 시밍단계; 상기 시밍단계를 거친 상기 용기를 멸균 작업을 하는 멸균작업단계; 및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Manufacturing method of canned cirsium setidens and canned cirsium setiden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곤드레의 간편한 조리를 위한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생활과 생활리듬의 변화 등으로 인해 암이나 고혈압, 심장병과 같은 성인병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성인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약물과 항생제 등이 많이 사용되는데, 약물의 남용과 부작용, 항생제에 대한 내성으로 인해, 의약품 치료의 한계성이 나타남에 따라 식품으로부터 치료와 예방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는 천연물의 생리활성 탐색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웰빙 산채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산채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의 생리적인 기능이 밝혀짐에 따라 식품학약리학적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야생 초본인 크리스리움(Cirsium)속(屬) 식물은 실리마린(silymarin)을 함유하고 있어 간 보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알코올 유도 지질의 산화예방과 알코올성 간경화 보호 효과 등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크리스리움(Cirsium)속(屬)에 속하는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는 곤드레라 불리기도 하며, 폴리페놀 성분을 비롯하여 식이섬유,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활성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보인다고 보고된 바 있다.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한방에서는 대계라 불리며 약용으로 이용해 왔으며, 지상부는 개화기에 베고 뿌리는 가을철에 채취하여 말려서 경혈, 지혈, 소종의 효능으로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주요 활성성분인 펙토리나린(Pectolinarin)은
곤드레는 매월 5월에 채취하여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봄에 돋아나는 연한 어린잎과 부드러운 줄기는 살짝 데쳐서 나물이나 국으로 이용하고 말려서 묵나물로 쓰기도 하며, 튀김, 무침, 볶음, 데침 등으로 요리하는 데는 줄기의 껍질을 벗겨내어 사용하였으며 특유의 향미가 있고 촉감이 좋아 차로도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곤드레는 두부, 떡, 양조간장, 음료 등의 식품으로 개발이 시도된 바 있다.
곤드레 산채를 이용한 특허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7325호에는 곤드레 즙을 사용한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5-0116295호에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곤드레 산채는 거의 대부분 건나물 형태 또는 데친 후 냉동시킨 형태로 나물무침이나 곤드레 밥 등과 같이 부가가치가 낮은 단순 가공 형태로 공급되고 있고, 생산시기의 제한으로 가정집에서 다량의 양을 냉동으로 보관해야 되는데 저장에 대한 불편함과 건나물의 경우, 식품으로 바로 섭취하려면 30분 전후로 물에 불리고, 20분 전후로 고열로 삶아야 되기 때문에 섭취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러한 불편함과 부가가치가 낮은 이유로 곤드레 산채를 주원료로 하면서 대중화가 용이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가공식품의 개발이 매우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건곤드레의 간편한 조리를 위한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저장성이 향상되고, 건곤드레 고유의 영양소와 풍미를 지키고 부드러운 질감을 갖도록 하며, 대중화가 용이한, 건곤드레 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은, 건곤드레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건곤드레를 냉수에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불리는 불림단계; 상기 불림단계에 의해 불린 건곤드레를 자숙하는 자숙단계; 상기 자숙단계에 의해 자숙된 건곤드레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된 건곤드레를 손질하여 정해진 중량만큼 용기에 담는 손질단계; 상기 용기에 담긴 상기 세척된 건곤드레를 탈기하는 탈기단계; 상기 탈기단계에 의해 탈기된 건곤드레가 담긴 상기 용기의 뚜껑을 덮어 진공을 잡는 시밍단계; 상기 시밍단계를 거친 상기 용기를 멸균 작업을 하는 멸균작업단계; 및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곤드레 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불리는 단계는 냉수로 불리고,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냉수로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곤드레 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좋은 영양 식재료인 건곤드레를 빠른 시간 안에 간편하게 요리할 수 있다. 이에, 건곤드레의 요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곤드레 고유의 영양소와 풍미를 갖도록 하면서도 부드러운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곤드레 산채를 주원료로 하면서 대중화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성이 향상되어 장기 보존이 가능하고, 외부의 기후 조건에 따른 부패의 위험이 거의 없어, 건곤드레의 관리가 쉽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은 건곤드레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건곤드레를 냉수에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불리는 불림단계; 상기 불림 단계에 의해 불린 건곤드레를 자숙하는 자숙단계; 상기 자숙단계에 의해 자숙된 건곤드레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된 건곤드레를 손질하여 정해진 중량만큼 용기에 담는 손질단계; 상기 용기에 담긴 상기 세척된 건곤드레를 일정온도 이상 유지되도록 증기열을 이용하여 탈기하는 탈기단계; 상기 용기에 담긴 건곤드레의 온도를 기준온도 이상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용기의 뚜껑을 덮어 진공을 잡는 시밍단계; 상기 시밍단계를 거친 상기 용기를 멸균 작업을 하는 멸균작업단계; 및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곤드레 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즉, 건곤드레를 이용하여,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은 건곤드레를 빠른 시간 안에 간편하게 요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곤드레를 준비하는 준비단계는 곤드레를 건조하여 만든 건곤드레를 준비한다. 곤드레를 건조하기 이전에, 곤드레에 묻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에, 곤드레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된 상태로 건조된 건곤드레를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불리는 불림단계는 건곤드레를 냉수에 불린다. 약 1시간 내지 3시간 정도 냉수에 건곤드레를 불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자숙하는 자숙단계는 약 1시간 내지 3시간 정도 냉수에 불린 건곤드레를 8분에서 10분정도 자숙한다. 건곤드레를 삶을때 소금이 사용될 수 있다. 소금은, 건곤드레의 맛을 풍부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는 자숙된 건곤드레를 냉수로 세척한다. 냉수로 세척하는 이유는 물름 현상이 발생하므로, 냉수 세척 불림한다.
다음으로, 손질단계는 냉수로 세척된 건곤드레를 정성스럽게 개별 손질하여 가정에서 해먹는 크기로 손질하여 정해진 중량만큼 용기에 담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질이 끝난 건곤드레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를 통해서 정해진 중량만큼의 건곤드레를 용기에 담는다.
다음으로, 탈기단계는 용기에 담긴 건곤드레를 탈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 온도(예컨대 98도 이상, 내용물 온도 85도 이상)동안 정해진 시간(예컨대 20분) 증기열을 이용하여 탈기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탈기작업을 마친후, 시밍단계는 용기에 담긴 건곤드레, 즉 탈기된 건곤드레의 온도를 기준온도(예를 들면, 85도) 이상을 유지되도록 하면서 용기의 뚜겅을 덮는 작업을 하여 진공이 잘 잡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멸균작업단계는 진공을 잡은 용기를 멸균기에 넣어 121도 이상 고온으로 토양균 잡는 적정온도로 약 15분 내지 20분간 고온에 멸균작업을 한다. 이후, 다시 냉수로 열을 식힌 후 멸균기에서 용기가 나온다.
여기서, 멸균작업단계는 식중독균 등 세균을 제거하고,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멸균기에 용기를 투입한 후 미리 설정된 멸균온도, 멸균시간, 열균압력에 맞게 말균작업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포장단계는 습기 제거후 포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 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곤드레 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은 유통형태가 통조림 상태이므로 유통이 편리하고, 외부의 기후 조건에 따른 부패의 위험이 거의 없으며, 나아가 빠른 시간 안에 곤드레 요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조리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조리가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Claims (3)

  1. 건곤드레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건곤드레를 냉수에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불리는 불림단계;
    상기 불림단계에 의해 불린 건곤드레를 자숙하는 자숙단계;
    상기 자숙단계에 의해 자숙된 건곤드레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된 건곤드레를 손질하여 정해진 중량만큼 용기에 담는 손질단계;
    상기 용기에 담긴 상기 세척된 건곤드레를 탈기하는 탈기단계;
    상기 탈기단계에 의해 탈기된 건곤드레가 담긴 상기 용기의 뚜껑을 덮어 진공을 잡는 시밍단계;
    상기 시밍단계를 거친 상기 용기를 멸균 작업을 하는 멸균작업단계; 및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리는 단계는 냉수로 불리고,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냉수로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곤드레 캔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곤드레 캔.
KR1020190117888A 2019-09-25 2019-09-25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 KR20210036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88A KR20210036007A (ko) 2019-09-25 2019-09-25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88A KR20210036007A (ko) 2019-09-25 2019-09-25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07A true KR20210036007A (ko) 2021-04-02

Family

ID=7546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888A KR20210036007A (ko) 2019-09-25 2019-09-25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0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020B1 (ko) 기능성 한약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07185A (zh) 一种金钗石斛柑的冻干方法
CN105815507A (zh) 荷叶茶的制备方法
CN105767372A (zh) 一种桑叶茶及制备工艺
KR101370599B1 (ko) 여주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차
KR101193443B1 (ko) 곰보배추와 그 발효액을 이용한 보쌈용 수육의 제조방법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CN110432358A (zh) 一种金钗石斛柑的冻干方法
CN105660958A (zh) 荷叶莲子茶的制备方法
KR20100060966A (ko) 약선 육수 및 그 제조방법
KR102344925B1 (ko) 깻잎차의 제조방법
CN105087278A (zh) 一种果蔬米酒罐头及其制作方法
KR101281035B1 (ko) 줄풀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30919B1 (ko) 기능성 연잎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66952A (ko) 어성초와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추출물과 그 발효주제조방법
CN103300428A (zh) 一种五香花生果的加工方法
KR100846129B1 (ko)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수육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57520A (zh) 一种茶树菇即食菜的制作工艺
KR101152905B1 (ko) 쌈무의 제조방법
KR20210036007A (ko) 건곤드레 캔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곤드레 캔
KR100294387B1 (ko) 산나물무침의제조방법
CN102754869B (zh) 一种富含gaba的冻干豆芽汤料生产工艺及其产品
KR20110071153A (ko)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CN111465325A (zh) 常温下可长期保存的红薯加工方法及其加工食品
CN104824126A (zh) 一种保鲜红薯茎叶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