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082A -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082A
KR20210035082A KR1020207035641A KR20207035641A KR20210035082A KR 20210035082 A KR20210035082 A KR 20210035082A KR 1020207035641 A KR1020207035641 A KR 1020207035641A KR 20207035641 A KR20207035641 A KR 20207035641A KR 20210035082 A KR20210035082 A KR 2021003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ffee
extraction
coffee bea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이슌 기하라
가이šœ 기하라
다이스케 도리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Publication of KR2021003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72Investigation of composite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28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의 재료의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음료의 조제에 사용되는 음료의 재료의 촬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한다.

Description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음료제조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에는, 배전공정(焙煎工程)에 있어서의 샘플링 평가를 육안으로 하고 있었던 것을, 카메라에서의 촬영을 구성으로 하여 실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모델 커피음료가 선택되면, 그 특성이 브루 파라미터(brew parameter)로 치환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브루 파라미터에는 파쇄(破碎)된 커피콩의 입도분포(粒度分布)가 포함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3에는, 촬영화상에 의거하여 해당 커피콩이 선별조건(選別條件)에 합치(合致)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해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선별조건으로서는, 불량품 이외에 맛 중시, 비용 중시, 콩의 품종, 크기 등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2016-123303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국 공개특허2016-521139호 공보 특허문헌3:일본국 특허제6312052호
그러나 어느 특허문헌에도, 음료의 재료의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의 재료의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장치는, 음료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음료의 재료의 촬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영 데이터 취득수단과, 상기 촬영 데이터 취득수단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추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의 재료의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
[도1]음료제조장치의 외관도.
[도2]도1의 음료제조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3]도1음료제조장치의 기능의 개요도.
[도4]분리장치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5]구동유닛 및 추출용기의 사시도.
[도6]도5의 추출용기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상부유닛 및 하부유닛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8]도7의 종단면도.
[도9]중부유닛의 도식도.
[도10]도1의 음료제조장치의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11](A) 및 (B)는 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12]음료제조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휴대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정보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커피를 추출할 때까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7]커피를 추출할 때까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8]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TOP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19]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20]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21]커피콩의 특성의 추정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22]촬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23]커피콩의 특징량의 추출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24]커피콩의 계측 포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25]커피콩의 계측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26]계측치의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7]분류된 각 그룹의 특징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8]커피콩의 특성의 추정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29]미각차트/프로필의 추정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30]모델의 생성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31]표시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32]정보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3]정보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4]정보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5]정보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6]정보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7]추출 프로필의 송신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38]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39]정보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1.음료제조장치의 개요>
도1은 음료제조장치(1)의 외관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음료제조장치(1)는, 로스트 커피콩과 액체(여기에서는 물)로부터 커피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1회의 제조동작에 따라 컵 1잔분의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원료가 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캐니스터(40)에 수용 가능하다. 음료제조장치(1)의 하부에는 컵의 재치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제조된 커피음료는 주출부(注出部)(10c)로부터 컵에 부어진다.
음료제조장치(1)는, 그 외장을 형성하고 내부기구를 포위하는 하우징(100)을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본체부(101)와, 음료제조장치(1)의 정면의 일부 및 측면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102)로 대별된다. 커버부(102)에는 정보표시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정보표시장치(12)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이며, 각종 정보의 표시를 하는 외에, 장치의 관리자나 음료의 수요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표시장치(12)는, 이동기구(12a)를 통하여 커버부(102)에 부착되고, 이동기구(12a)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커버부(102)에는 또한, 콩투입구(103)와, 콩투입구(103)를 개폐하는 문(103a)이 설치되어 있다. 문(103a)을 개방하여 콩투입구(103)에,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과는 다른 로스트 커피콩을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의 수요자에 특별한 한잔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부(102)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아크릴이나 글라스 등의 투광성(透光性)을 구비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투과부가 되는 투명커버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버부(102)에 의하여 덮여진 그 내측의 기구가 외부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제조부의 일부가 커버부(102)를 투과하여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부(101)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그 전체가 비투과부로 되어 있어, 그 내부를 외부로부터 시인 곤란하다.
도2는 음료제조장치(1)의 부분 정면도로서, 음료제조장치(1)의 정면에서 볼 때에 유저가 시인 가능한 제조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부(102)나 정보표시장치(12)는 상상선(想像線)으로 도면에 나타나 있다.
음료제조장치(1)의 정면부에 있어서의 하우징(100)은, 본체부(101)와, 그 외측(전방측)의 커버부(102)의 2중구조로 되어 있다. 전후방향에서 본체부(101)와 커버부(102) 사이에 제조부의 일부의 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유저가 커버부(102)를 통하여 시인 가능하다.
커버부(102)를 통하여 유저가 시인 가능한 제조부의 일부의 기구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후술하는 집합반송부(42), 그라인더(5A, 5B), 분리장치(6), 추출용기(9) 등이다. 본체부(101)의 정면부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4각형상의 오목부(101a)가 형성되어 있어, 추출용기(9) 등은 이 오목부(101a) 내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부(10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들의 기구가 시인 가능함으로써 관리자에 있어서는 점검이나 동작확인이 용이하게 될 경우가 있다. 또한 음료의 수요자에 있어서는 커피음료의 제조과정을 즐길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 커버부(102)는, 그 우단부에 있어서 힌지(102a)를 통하여 본체부(101)에 가로열기식으로 개폐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커버부(102)의 좌단부에는, 본체부(101)와 커버부(102)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102b)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102b)는 예를 들면 자석과 철의 조합이다. 관리자는 커버부(102)를 개방함으로써 그 내측의 상기한 제조부의 일부의 점검 등을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커버부(102)를 가로열기식으로 하였지만 세로열기식(상하열기식)으로 하더라도 좋고, 슬라이드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커버부(102)가 개폐 불능한 구성이더라도 좋다.
도3은 음료제조장치(1)의 기능의 개요도이다. 음료제조장치(1)는 커피음료의 제조부로서, 콩처리장치(2) 및 추출장치(3)를 포함한다.
콩처리장치(2)는, 로스트 커피콩으로부터 분쇄두(粉碎豆)를 생성한다. 추출장치(3)는 콩처리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한다. 추출장치(3)는, 유체공급유닛(7), 후술하는 구동유닛(8), 추출용기(9) 및 전환유닛(10)을 포함한다. 콩처리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두는 추출용기(9)에 투입된다. 유체공급유닛(7)은, 추출용기(9)에 탕수(湯水)를 투입한다. 추출용기(9)내에서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된다. 추출된 커피액을 포함하는 탕수가 전환유닛(10)을 통하여 커피음료로서 컵(C)으로 송출된다.
<2.유체공급유닛 및 전환유닛>
유체공급유닛(7) 및 전환유닛(10)의 구성에 대해서 도3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유체공급유닛(7)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체공급유닛(7)은, 추출용기(9)에 대한 탕수의 공급이나, 추출용기(9)내의 기압의 제어 등을 한다. 또, 본 문서에 있어서, 기압을 숫자로서 예시하고 있는 경우에,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절대압을 의미하고, 게이지압(guage壓)이라 함은 대기압을 0기압으로 하는 기압이다. 대기압이라고 함은, 추출용기(9)의 주위의 기압 또는 음료제조장치의 기압을 가리키며, 예를 들면 음료제조장치가 해발 0m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약어: ICAO〕)가 1976년에 제정한 국제표준대기(= 「International Standard Atmosphere」 〔[약어: ISA〕)의 해발 0m에서의 기준기압(1013.25hPa)이다.
유체공급유닛(7)은 배관(L1∼L3)을 포함한다. 배관(L1)은 공기가 유통(流通)하는 배관이며, 배관(L2)은 물이 유통하는 배관이다. 배관(L3)은 공기와 물의 쌍방이 유통 가능한 배관이다.
유체공급유닛(7)은, 가압원(加壓源)으로서 컴프레서(70)를 포함한다. 컴프레서(70)는 대기를 압축해서 송출한다. 컴프레서(70)는 예를 들면 모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구동원(驅動源)으로 하여 구동된다. 컴프레서(70)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는, 첵크밸브(71a)를 통하여 리저브 탱크(어큐뮬레이터)(71)에 공급된다. 리저브 탱크(71)내의 기압은 압력센서(7lb)에 의하여 감시되어, 소정의 기압(본 실시형태에서는 7기압(게이지압으로 6기압))으로 유지되도록 컴프레서(70)가 구동된다. 리저브 탱크(71)에는 배수용의 드레인(71c)이 설치되어 있어, 공기의 압축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을 배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탱크(72)에는 커피음료를 구성하는 탕수(물)이 축적된다. 물탱크(72)에는, 물탱크(72)내의 물을 가온(加溫)하는 히터(72a) 및 물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72b)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72a)는 온도센서(72b)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축적되는 탕수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본 실시형태에서는 섭씨 120도)로 유지한다. 히터(72a)는, 예를 들면 탕수의 온도가 섭씨 118도에서 ON으로 되고, 섭씨 120도에서 OFF로 된다.
물탱크(72)에는, 또한 수위센서(72c)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센서(72c)는 물탱크(72)내의 탕수의 수위를 검출한다. 수위센서(72c)에 의하여 소정의 수위보다도 수위가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물탱크(72)에 물이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정수기를 통하여 수돗물이 공급된다. 정수기로부터의 배관(L2)의 도중에는 전자밸브(72d)가 설치되어 있고, 수위센서(72c)에 의하여 수위의 저하가 검출되면 전자밸브(72d)가 개방되어서 물이 공급되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전자밸브(72d)가 폐쇄되어서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렇게 해서 물탱크(72)내의 탕수가 일정한 수위로 유지된다. 또, 물탱크(72)에 대한 급수는 1회의 커피음료의 제조에 사용하는 탕수를 배출할 때마다 하여도 좋다.
물탱크(72)에는, 또한 압력센서(72g)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센서(72g)는 물탱크(72)내의 기압을 검출한다. 물탱크(72)에는 압력조정밸브(72e) 및 전자밸브(72f)를 통하여 리저브 탱크(71)내의 기압이 공급된다. 압력조정밸브(72e)는 리저브 탱크(71)로부터 공급되는 기압을 소정의 기압으로 감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3기압(게이지압으로 2기압)으로 감압한다. 전자밸브(72f)는 압력조정밸브(72e)로 압력이 조정된 기압의, 물탱크(72)에 대한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전자밸브(72f)는, 물탱크(72)에 대한 수돗물의 공급시를 제외하고, 물탱크(72)내의 기압이 3기압으로 유지되도록 개폐제어 된다. 물탱크(72)에 대한 수돗물의 공급시에는, 수돗물의 수압에 의하여 물탱크(72)에 원활하게 수돗물이 보급되도록 전자밸브(72h)에 의하여 물탱크(72)내의 기압을 수돗물의 수압보다도 낮은 압력(예를 들면 2.5기압 미만)으로 감압한다. 전자밸브(72h)는 물탱크(72)내를 대기로 개방할 것인가 아닌가를 전환하고, 감압시에는 물탱크(72)내를 대기로 개방한다. 또한 전자밸브(72h)는 물탱크(72)에 대한 수돗물의 공급시 이외에, 물탱크(72)내의 기압이 3기압을 넘는 경우에 물탱크(72)내를 대기로 개방하여, 물탱크(72)내를 3기압으로 유지한다.
물탱크(72)내의 탕수는, 첵크밸브(72j), 전자밸브(72i) 및 배관(L3)을 통하여 추출용기(9)에 공급된다. 전자밸브(72i)를 개방함으로써 추출용기(9)에 탕수가 공급되고, 폐쇄함으로써 탕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추출용기(9)에 대한 탕수의 공급량은, 전자밸브(72i)의 개방시간에 의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급량을 계측해서 전자밸브(72i)의 개폐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배관(L3)에는 탕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73e)가 설치되어 있어, 추출용기(9)에 공급되는 탕온이 감시된다.
리저브 탱크(71)의 기압은, 또한 압력조정밸브(73a), 전자밸브(73b)를 통하여 추출용기(9)에 공급된다. 압력조정밸브(73a)는 리저브 탱크(71)로부터 공급되는 기압을 소정의 기압으로 감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으로 감압한다. 전자밸브(73b)는 압력조정밸브(73a)로 압력이 조정된 기압의, 추출용기(9)에 대한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추출용기(9)내의 기압은 압력센서(73d)로 검출된다. 추출용기(9)내의 가압시에, 압력센서(73d)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전자밸브(73b)가 개방되어, 추출용기(9)내를 소정의 기압(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최대로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으로 가압한다. 추출용기(9)내의 기압은 전자밸브(73c)로 감압할 수 있다. 전자밸브(73c)는 추출용기(9)내를 대기로 개방할 것인가 아닌가를 전환하고, 압력이상시(예를 들면 추출용기(9)내가 5기압을 넘을 경우)에는 추출용기(9)내를 대기로 개방한다.
1회의 커피음료의 제조가 끝나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추출용기(9)내를 수돗물로 세정한다. 전자밸브(73f)는 세정시에 개방되어, 추출용기(9)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다음에 전환유닛(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환유닛(10)은 추출용기(9)로부터 송출되는 액체의 송출처를 주출부(10c)와 폐기탱크(T) 중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유닛이다. 전환유닛(10)은, 전환밸브(10a)와 전환밸브(10a)를 구동하는 모터(10b)를 포함한다. 전환밸브(10a)는, 추출용기(9)내의 커피음료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주출부(10c)로 유로를 전환한다. 커피음료는 주출부(10c)로부터 컵(C)에 부어진다. 세정시의 폐액(수돗물) 및 잔사(분쇄두)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폐기탱크(T)로 유로를 전환한다. 전환밸브(10a)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3포트의 볼밸브다. 세정시에는 전환밸브(10a)를 잔사가 통과하므로, 전환밸브(10a)는 볼밸브가 바람직하고, 모터(10b)는 그 회전축을 회전함으로써 유로를 전환한다.
<3.콩처리장치>
도1, 도2를 참조하면서 콩처리장치(2)에 대해서 설명한다. 콩처리장치(2)는,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를 포함한다.
<3-1.저장장치>
저장장치(4)는, 로스팅 후의 커피콩이 수용되는 복수의 캐니스터(4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캐니스터(40)는 세개 설치되어 있다. 캐니스터(40)는,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하는 통모양의 본체(40a)와, 본체(40a)에 설치된 손잡이(40b)를 포함하고, 음료제조장치(1)에 대하여 착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캐니스터(4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하고, 정보표시장치(12)에 대한 조작입력에 의하여 커피음료의 제조에 사용하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종류가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라 함은, 예를 들면 커피콩의 품종이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다. 또한 종류가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라 함은, 같은 품종의 커피콩이지만, 배전도(焙煎度)가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더라도 좋다. 또한 종류가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라 함은, 품종도 배전도도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어도 좋다. 또한 세개의 캐니스터(40) 중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 종류의 품종의 로스트 커피콩이 혼합된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각 품종의 로스트 커피콩은, 배전도가 같은 정도이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캐니스터(40)를 설치했지만, 하나의 캐니스터(40)만이 설치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캐니스터(40)를 설치한 경우에, 같은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전부 또는 복수의 캐니스터(40)에 수용되더라도 좋다.
각 캐니스터(40)는 계량반송장치(41)에 착탈하도록 장착된다. 계량반송장치(41)는, 예를 들면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電動 screw conveyor)로서, 캐니스터(40)에 수용된 소정의 양의 로스트 커피콩을 자동으로 계량해서 하류측으로 송출한다.
각 계량반송장치(41)는 하류측의 집합반송부(42)로 로스트 커피콩을 배출한다. 집합반송부(42)는 중공(中空)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컨베이어(41)로부터 분쇄장치(5)(특히 그라인더(5A))에 대한 로스트 커피콩의 반송통로를 형성한다. 각 계량반송장치(41)로부터 배출된 로스트 커피콩은 집합반송부(42)의 내부를 자체 중량에 의하여 이동하여, 분쇄장치(5)로 흘러내린다.
집합반송부(42)에는, 콩투입구(103)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42a)는 콩투입구(103)로부터 투입된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장치(5)(특히 그라인더(5A))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캐니스터(40)에 수용된 로스트 커피콩 이외에, 콩투입구(103)로부터 투입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하는 커피음료도 제조할 수 있다.
<3-2.분쇄장치>
도2및 도4를 참조하면서 분쇄장치(5)를 설명한다. 도4는 분리장치(6)의 일부가 파단(破斷)된 사시도이다. 분쇄장치(5)는, 그라인더(5A) 및 그라인더(5B) 및 분리장치(6)를 포함한다. 그라인더(5A) 및 그라인더(5B)는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그라인더(5A)로 분쇄된 후에, 그라인더(5B)로 더 분쇄되어서 분말상태로 되어, 배출관(5C)으로부터 추출용기(9)에 투입된다.
그라인더(5A) 및 그라인더(5B)는, 콩을 분쇄하는 입도(粒度)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그라인더(5A)는 초벌분쇄용의 그라인더이며, 그라인더(5B)는 정밀분쇄용의 그라인더다. 그라인더(5A, 5B)는 각각 전동 그라인더로서, 구동원인 모터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칼날 등을 포함한다. 회전칼날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분쇄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크기(입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분리장치(6)는 분쇄두로부터 불요물(不要物)을 분리하는 기구이다. 분리장치(6)는 그라인더(5A)와 그라인더(5B) 사이에 배치된 통로부(63a)를 포함한다. 통로부(63a)는 그라인더(5A)로부터 자유낙하해 오는 분쇄두가 통과하는 분리실을 형성하는 중공체(中空體)이다. 통로부(63a)에는, 분쇄두의 통과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부(63b)가 접속되고 있고, 이 통로부(63b)에는 흡인유닛(60)이 접속되어 있다. 흡인유닛(60)이 통로부(63a)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채프(chaff, 껍질)나 미분(微粉)이라고 하는 경량(輕量)의 물체가 흡인된다. 이에 따라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할 수 있다.
흡인유닛(60)은 원심분리방식의 기구이다. 흡인유닛(60)은, 송풍유닛(60A) 및 회수용기(60B)를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팬모터로서, 회수용기(60B)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배기한다.
회수용기(60B)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61)와 하부(62)를 포함한다. 하부(62)는 상방이 개방되고 밑면을 구비하는 통형을 하고 있어, 불요물을 축적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61)는 하부(62)의 개구에 장착되는 뚜껑부를 구성한다. 상부(61)는, 원통형상의 외주벽(61a)과, 이것과 동축상(同軸上)에 형성된 배기통(6lb)을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배기통(6lb)내의 공기를 흡인하도록 배기통(6lb)의 상방에 있어서 상부(61)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61)에는 통로부(63b)가 접속되어 있다. 통로부(63b)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송풍유닛(60A)의 구동에 의하여 도4에 있어서 화살표(d1∼d3)로 나타내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에 의하여 통로부(63a)로부터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통로부(63b)를 통해서 회수용기(60B)내로 흡인된다. 통로부(63b)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는 배기통(6lb)의 주위를 선회한다. 공기중의 불요물(D)은, 그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여 회수용기(60B)의 일부에 모아진다(하부(62)의 바닥면상에 퇴적한다). 공기는 배기통(6lb)의 내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기된다.
배기통(6lb)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핀(6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개개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 하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핀(61d)을 설치함으로써 불요물(D)를 포함한 공기가 배기통(6lb)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촉진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하부(62)는 아크릴, 글라스 등의 투광성(透光性)을 구비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투과부가 되는 투명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62)는 커버부(102)로 덮어진 부분이다(도2). 관리자나 음료의 수요자는, 커버부(102), 하부(62)의 둘레벽을 투과하여, 하부(62)내에 축적된 불요물(D)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리자에 있어서는, 하부(62)의 청소 타이밍을 확인하기 쉬울 경우가 있고, 음료의 수요자에 있어서는 불요물(D)이 제거되어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음으로써 제조중의 커피음료의 품질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우선 그라인더(5A)로 초벌로 분쇄되고, 그 초벌분쇄두가 통로부(63a)를 통과할 때에,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불요물이 분리된다. 불요물이 분리된 초벌분쇄두는, 그라인더(5B)에 의하여 정밀하게 분쇄된다. 분리장치(6)로 분리하는 불요물은, 대표적으로는 채프나 미분이다. 이들은 커피음료의 맛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어, 분쇄두로부터 채프 등을 제거함으로써 커피음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는, 하나의 그라인더(1단계의 분쇄)에 의하더라도 좋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두개의 그라인더(5A, 5B)에 의한 2단계의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두의 입도가 일정하게 되기 쉬워져, 커피액의 추출정도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콩의 분쇄시에는 커터와 콩과의 마찰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단계의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시의 마찰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고, 분쇄두의 열화(예를 들면 풍미가 떨어진다)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초벌분쇄 → 불요물의 분리 → 정밀분쇄라고 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채프 등의 불요물을 분리할 때에, 불요물과 분쇄두(필요부분)의 질량차이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불요물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분쇄두(필요부분)가 불요물로서 분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벌분쇄와 정밀분쇄의 사이에, 공기의 흡인을 이용한 불요물의 분리처리가 들어감으로써 공랭에 의하여 분쇄두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4.구동유닛 및 추출용기>
<4-1.개요>
추출장치(3)의 구동유닛(8) 및 추출용기(9)에 대해서 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5는 구동유닛(8) 및 추출용기(9)의 사시도이다. 구동유닛(8)의 대부분은 본체부(101)에 포위되어 있다.
구동유닛(8)은 프레임(F)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F)은, 상하의 들보부(F1, F2) 및 들보부(F1, F2)을 지지하는 기둥부(F3)를 포함한다. 구동유닛(8)은, 상부유닛(8A), 중부유닛(8B) 및 하부유닛(8C)의 세개의 유닛으로 대별된다. 상부유닛(8A)은 들보부(F1)에 지지되어 있다. 중부유닛(8B)은 들보부(F1)와 들보부(F2) 사이에 있어서, 들보부(F1) 및 기둥부(F3)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들보부(F2)에 지지되어 있다.
추출용기(9)는, 용기본체(90) 및 뚜껑유닛(91)을 포함하는 챔버다. 추출용기(9)를 챔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중부유닛(8B)은, 용기본체(90)를 착탈하도록 지지하는 아암부재(820)를 구비한다. 아암부재(820)는, 홀딩부재(820a)와, 좌우로 이간(離間)한 한 쌍의 축부재(820b)를 포함한다. 홀딩부재(820a)는, C자형의 클립 모양으로 형성된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서, 그 탄성력에 의하여 용기본체(90)를 지지한다. 홀딩부재(820a)는 용기본체(90)의 좌우의 측부를 지지하고, 용기본체(90)의 전방측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90)의 내부를, 정면에서 볼 때에 시인하기 쉬어진다.
홀딩부재(820a)에 대한 용기본체(90)의 착탈은 수동조작으로 하고, 홀딩부재(820a)에 용기본체(90)를 전후방향 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용기본체(90)가 홀딩부재(820a)에 장착된다. 또한 용기본체(90)를 홀딩부재(820a)로부터 전후방향 앞쪽으로 뽑아냄으로써 용기본체(90)를 홀딩부재(820a)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1쌍의 축부재(820b)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로드로서, 홀딩부재(820a)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재(820b)의 수를 2개로 하였지만, 1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홀딩부재(820a)는, 한 쌍의 축부재(820b)의 앞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기구에 의하여 1쌍의 축부재(820b)는 전후방향으로 진퇴되고, 이에 따라 홀딩부재(820a)가 전후로 진퇴하여, 용기본체(90)를 전후방향으로 평행으로 이동하는 이동동작을 할 수 있다. 중부유닛(8B)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출용기(9)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회전동작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4-2.추출용기>
도6을 참조하면서 추출용기(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은 추출용기(9)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용기(9)는 중부유닛(8B)에 의하여 상하가 반전된다. 도6의 추출용기(9)는, 뚜껑유닛(91)이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기본자세를 보이고 있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의 위치관계를 말할 경우에,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기본자세에 있어서의 상하의 위치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용기본체(90)는 밑면을 구비하는 용기로서, 넥부(neck部)(90b), 어깨부(90d), 몸통부(90e) 및 바닥부(90f)를 구비하는 병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넥부(90b)의 단부(용기본체(90)의 상단부)에는, 용기본체(90)의 내부공간과 통하게 하는 개구(90a)를 획정하는 플랜지부(90c)가 형성되어 있다.
넥부(90b) 및 몸통부(90e)는, 어느 것이나 모두 원통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어깨부(90d)는, 넥부(90b)와 몸통부(90e) 사이의 부분으로서, 그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몸통부(90e)측에서 넥부(90b)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유닛(91)은 개구(90a)를 개폐하는 유닛이다. 뚜껑유닛(91)의 개폐동작(승강동작)은 상부유닛(8A)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90)는, 본체부재(900) 및 바닥부재(901)를 포함한다. 본체부재(900)는, 넥부(90b), 어깨부(90d), 몸통부(90e)를 형성하는 상하가 개방된 통부재이다. 바닥부재(901)는 바닥부(90f)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본체부재(900)의 하부에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본체부재(900)와 바닥부재(901) 사이에는 밀봉부재(902)가 삽입되어, 용기본체(90)내의 기밀성(氣密性)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본체부재(900)는 아크릴, 글라스 등의 투광성을 구비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투과부가 되는 투명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관리자나 음료의 수요자는, 커버부(102), 용기본체(90)의 본체부재(900)를 투과하여, 용기본체(90)내에서의 커피음료의 추출상황을 시인 가능하다. 관리자에 있어서는, 추출동작을 확인하기 쉬울 경우가 있고, 음료의 수요자에 있어서는 추출상황을 즐길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바닥부재(901)의 중심부에는 볼록부(901c)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901c)에는, 용기본체(90)내를 외부와 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나, 이 연통구멍을 개폐하는 밸브(도8의 밸브(903))가 설치되어 있다. 연통구멍은, 용기본체(90)내를 세정할 때의 폐액 및 잔사의 배출에 사용된다. 볼록부(901c)에는 밀봉부재(908)가 설치되어 있어, 밀봉부재(908)는, 상부유닛(8A) 또는 하부유닛(8C)과 바닥부재(901)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뚜껑유닛(91)은, 모자모양의 베이스 부재(911)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911)는, 볼록부(911d) 및 닫힐 때에 플랜지부(90c)와 겹치는 돌출부(911c)를 구비한다. 볼록부(911d)에는, 용기본체(90)에 있어서의 볼록부(901c)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 용기본체(90)내를 외부와 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나, 이 연통구멍을 개폐하는 밸브(도8의 밸브(913))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911d)의 연통구멍은, 주로 용기본체(90)내에 대한 탕수의 주입과 커피음료의 송출에 사용된다. 볼록부(911d)에는 밀봉부재(918a)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부재(918a)는, 상부유닛(8A) 또는 하부유닛(8C)과 베이스 부재(911)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뚜껑유닛(91)에는, 또한 밀봉부재(919)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부재(919)는, 뚜껑유닛(91)이 닫힐 때에 뚜껑유닛(91)과 용기본체(90)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뚜껑유닛(91)에는 여과용의 필터가 지지된다.
<4-3.상부유닛 및 하부유닛>
상부유닛(8A) 및 하부유닛(8C)에 대해서 도7, 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7은 상부유닛(8A) 및 하부유닛(8C)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고, 도8은 도7의 종단면도이다.
상부유닛(8A)은, 조작유닛(81A)을 포함한다. 조작유닛(81A)은 용기본체(90)에 대한 뚜껑유닛(91)의 개폐조작(승강) 및 볼록부(901c) 및 볼록부(911d)의 밸브의 개폐조작을 한다. 조작유닛(81A)은, 지지부재(800), 홀딩부재(801), 승강축(802) 및 프로브(80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800)는 프레임(F)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고, 홀딩부재(801)를 수용한다. 지지부재(800)는, 또한 배관(L3)과 지지부재(800)내를 통하게 하는 연통부(800a)를 구비한다. 배관(L3)으로부터 공급되는 탕수, 수돗물 및 기압이 연통부(800a)를 통하여 지지부재(800)내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01)는, 뚜껑유닛(91)을 착탈하도록 홀딩 가능한 부재이다. 홀딩부재(801)는 뚜껑유닛(91)의 볼록부(911d) 또는 바닥부재(901)의 볼록부(901c)가 삽입되는 원통모양의 공간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을 착탈하도록 홀딩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 기구는, 예를 들면 스냅링 기구이며, 일정한 가압력에 의하여 결합하고, 일정한 분리력에 의하여 결합이 해제된다. 배관(L3)으로부터 공급되는 탕수, 수돗물 및 기압은, 연통부(800a) 및 홀딩부재(801)의 연통구멍(801a)을 통하여 추출용기(9)내로 공급 가능하다.
홀딩부재(801)는 지지부재(800)내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설치된 가동부재이기도 한다. 승강축(802)은 그 축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02)은 지지부재(800)의 천장부를 상하방향으로 기밀하게 관통하고, 지지부재(80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02)의 하단부에는 홀딩부재(801)의 천장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802)의 승강에 의하여 홀딩부재(80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볼록부(911d)나 볼록부(901c)에 대한 홀딩부재(801)의 장착과 분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90)에 대한 뚜껑유닛(91)의 개폐를 할 수 있다.
승강축(802)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루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02a)에는 너트(804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부유닛(8A)은, 모터(804a)를 구비하고 있어, 너트(804b)는 모터(804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너트(804b)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축(802)이 승강한다.
승강축(802)은, 중심축에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관상의 축이며, 이 관통구멍에 프로브(803)가 상하로 슬라이드 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프로브(803)는 홀딩부재(801)의 천장부를 상하방향으로 기밀하게 관통하고, 지지부재(800) 및 홀딩부재(801)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803)는, 볼록부(911d, 901c)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913, 903)를 개폐하는 조작자이며, 프로브(803)의 하강에 의하여 밸브(913, 903)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하고, 프로브(803)의 상승에 의하여 밸브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리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함)로 할 수 있다.
프로브(803)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루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0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03a)에는 너트(805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부유닛(8A)은, 모터(805a)를 구비하고 있어, 너트(805b)는 모터(805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너트(805b)의 회전에 의하여 프로브(803)가 승강한다.
하부유닛(8C)은, 조작유닛(81C)을 포함한다. 조작유닛(81C)은, 조작유닛(81A)을 상하로 반전한 구성이며, 볼록부(911d, 901c)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913, 903)의 개폐조작을 한다. 조작유닛(81C)도 뚜껑유닛(91)의 개폐가 가능한 구성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유닛(81C)을 뚜껑유닛(91)의 개폐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하, 조작유닛(81A)의 설명과 대략 같지만, 조작유닛(81C)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유닛(81C)은, 지지부재(810), 홀딩부재(811), 승강축(812) 및 프로브(81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810)는 프레임(F)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고, 홀딩부재(811)를 수용한다. 지지부재(810)는, 또한 전환유닛(10)의 전환밸브(10a)와 지지부재(810)내를 통하게 하는 연통부(810a)를 구비한다. 용기본체(90)내의 커피음료, 수돗물, 분쇄두의 잔사가 연통부(810a)를 통하여 전환밸브(10a)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11)는, 뚜껑유닛(91)의 볼록부(911d) 또는 바닥부재(901)의 볼록부(901c)가 삽입되는 원통모양의 공간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을 착탈하도록 홀딩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 기구는, 예를 들면 스냅링 기구이며, 일정한 가압력에 의하여 결합하고, 일정한 분리력에 의하여 결합이 해제된다. 용기본체(90)내의 커피음료, 수돗물, 분쇄두의 잔사가 홀딩부재(811)의 연통구멍(811a) 및 연통부(810a)를 통하여 전환밸브(10a)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11)는 지지부재(810)내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설치된 가동부재이기도 한다. 승강축(812)은 그 축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12)은 지지부재(800)의 바닥부를 상하방향으로 기밀하게 관통하고, 지지부재(8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12)의 하단부에는 홀딩부재(811)의 바닥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812)의 승강에 의하여 홀딩부재(81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볼록부(901c)나 볼록부(911d)에 대한 홀딩부재(811)의 장착과 분리를 할 수 있다.
승강축(812)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루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12a)에는 너트(814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모터(814a)를 구비하고 있어, 너트(814b)는 모터(814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너트(814b)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축(812)이 승강한다.
승강축(812)은, 중심축에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관상의 축이며, 이 관통구멍에 프로브(813)가 상하로 슬라이드 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프로브(813)는 홀딩부재(811)의 바닥부를 상하방향으로 기밀하게 관통하고, 지지부재(810) 및 홀딩부재(811)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813)는, 볼록부(911d, 901c)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913, 903)를 개폐하는 조작자이며, 프로브(813)의 상승에 의하여 밸브(913, 903)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하고, 프로브(813)의 하강에 의하여 밸브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리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함)로 할 수 있다.
프로브(813)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루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13a)에는 너트(815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모터(815a)를 구비하고 있어, 너트(815b)는 모터(815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너트(815b)의 회전에 의하여 프로브(813)가 승강한다.
<4-4.중부유닛>
중부유닛(8B)에 대해서 도5 및 도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9는 중부유닛(8B)의 도식도이다. 중부유닛(8B)은 추출용기(9)를 지지하는 지지유닛(81B)을 포함한다. 지지유닛(81B)은 상기한 아암부재(820) 이외에, 로크기구(821)를 지지하는 유닛본체(81B')를 포함한다.
로크기구(821)는, 뚜껑유닛(91)을 용기본체(90)에 대하여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기구이다. 로크기구(821)는, 뚜껑유닛(91)의 돌출부(911c)와 용기본체(90)의 플랜지부(90c)를 상하로 협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재(821a)를 포함한다. 한 쌍의 파지부재(821a)는,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에워싸서 결합시키는 C자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고, 모터(822)의 구동력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개폐된다. 한 쌍의 파지부재(821a)가 폐쇄상태인 경우에, 도9의 원형안의 도면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파지부재(821a)는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상하로 에워싸서 이들에 결합하여, 뚜껑유닛(91)이 용기본체(90)에 대하여 기밀하게 록(lock) 된다. 이 잠금상태에 있어서는, 홀딩부재(801)를 승강축(802)에 의하여 상승시켜서 뚜껑유닛(91)을 개방하려고 하더라도, 뚜껑유닛(91)은 이동하지 않는다(록은 해제되지 않는다). 즉, 홀딩부재(801)를 사용하여 뚜껑유닛(91)을 개방하는 힘보다도 로크기구(821)에 의한 록의 힘쪽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상시에 용기본체(90)에 대하여 뚜껑유닛(91)이 개방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파지부재(821a)가 개방상태인 경우에, 도9의 원형안의 도면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로부터 각 파지부재(821a)가 이간한 상태가 되어, 뚜껑유닛(91)과 용기본체(90)의 록이 해제된다.
홀딩부재(801)가 뚜껑유닛(91)을 홀딩한 상태에 있고 또한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로부터 상승위치로 상승하는 경우에, 한 쌍의 파지부재(821a)가 개방상태의 경우에는 용기본체(90)로부터 뚜껑유닛(91)이 분리된다. 반대로 한 쌍의 파지부재(821a)가 폐쇄상태인 경우에는 뚜껑유닛(91)에 대한 홀딩부재(801)의 홀딩이 해제되고, 홀딩부재(801)만이 상승하게 된다.
중부유닛(8B)은, 또한 모터(823)를 구동원으로 하여 아암부재(820)를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아암부재(820)에 지지된 용기본체(90)를 후측의 추출위치(상태ST1)와, 앞측의 콩투입위치(상태ST2)와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콩투입위치는, 용기본체(90)에 분쇄두를 투입하는 위치이며, 뚜껑유닛(91)이 분리된 용기본체(90)의 개구(90a)에, 그라인더(5B)에 의하여 분쇄된 분쇄두가 배출관(5C)으로부터 투입된다. 환언하면, 배출관(5C)의 위치는, 콩투입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용기본체(90)의 상방이다.
추출위치는, 용기본체(90)가 조작유닛(81A) 및 조작유닛(81C)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위치이며, 프로브(803, 813)와 동축상의 위치이며, 커피액의 추출을 하는 위치이다. 추출위치는 콩투입위치보다도 안쪽의 위치이다. 도5, 도7 및 도8은 어느 것이나 모두 용기본체(90)가 추출위치에 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분쇄두의 투입과, 커피액의 추출 및 물의 공급과에서, 용기본체(90)의 위치가 다르게 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액 추출시에 발생하는 김이, 분쇄두의 공급부인 배출관(5C)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부유닛(8B)은, 또한 모터(824)를 구동원으로 하여 지지유닛(81B)을 전후방향의 축(82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90)(추출용기(9))의 자세를 넥부(90b)가 상측인 정립자세(正立姿勢)(상태ST1)로부터 넥부(90b)가 하측인 도립자세(倒立姿勢)(상태ST3)로 변화시킬 수 있다. 추출용기(9)의 회전중에는, 로크기구(821)에 의하여 용기본체(90)에 뚜껑유닛(91)이 록 된 상태가 유지된다. 정립자세와 도립자세에서 추출용기(9)는 상하가 반전된다. 정립자세에 있어서의 볼록부(901c)의 위치에, 도립자세에서는 볼록부(911d)가 위치한다. 또한 정립자세에 있어서의 볼록부(911d)의 위치에, 도립자세에서는 볼록부(901c)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립자세에서는 밸브(903)에 대한 개폐조작을 조작유닛(81A)이 할 수 있고, 또한 밸브(913)에 대한 개폐조작을 조작유닛(81C)이 할 수 있다.
<5.제어장치>
도10을 참조하면서 음료제조장치(1)의 제어장치(1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0은 제어장치(11)의 블록도이다.
제어장치(11)는 음료제조장치(1)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1)는, 처리부(11a), 기억부(1lb) 및 I/F(인터페이스)부(11c)를 포함한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면 CPU 등의 프로세서다. 기억부(1lb)는 예를 들면 RAM이나 ROM이다. I/F부(11c)는 외부 디바이스와 처리부(11a)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F부(11c)는,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서버(16)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16)는,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과의 통신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음료의 수요자의 휴대단말(17)로부터 음료제조의 예약이나 감상 등의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처리부(11a)는 기억부(1l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표시장치(12)로부터의 지시 또는 센서군(13)의 검출결과 또는 서버(16)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액추에이터군(14)을 제어한다. 센서군(13)은 음료제조장치(1)에 설치된 각종 센서(예를 들면 탕수의 온도센서, 기구의 동작위치 검출센서, 압력센서 등)이다. 액추에이터군(14)은 음료제조장치(1)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모터, 전자밸브, 히터 등)이다.
<6.동작제어예>
처리부(11a)가 실행하는 음료제조장치(1)의 제어처리예에 대해서 도11A(A) 및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1(A)는 1회의 커피음료 제조동작에 관한 제어례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지시전의 음료제조장치(1)의 상태를 대기상태라고 부른다.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각 기구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추출장치(3)는 도5의 상태에 있다. 추출용기(9)는 정립자세이고 또한 추출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로크기구(821)는 폐쇄상태이며, 뚜껑유닛(91)은 용기본체(90)의 개구(90a)를 폐쇄하고 있다. 홀딩부재(801)는 강하위치에 있어, 볼록부(911d)에 장착되어 있다. 홀딩부재(811)는 상승위치에 있어, 볼록부(901c)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903) 및 밸브(913)는 폐쇄상태에 있다. 전환밸브(10a)는 조작유닛(8C)의 연통부(810a)를 폐기탱크(T)와 통하게 한다.
대기상태에 있어서, 커피음료의 제조지시가 있으면, 도11(A)의 처리가 실행된다. S1에서는 예열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는 용기본체(90)내에 탕수를 붓고, 용기본체(90)를 사전에 가온하는 처리이다. 우선, 밸브(903) 및 밸브(913)를 개방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배관(L3), 추출용기(9), 폐기탱크(T)가 연결상태가 된다.
전자밸브(72i)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500ms)만 개방한 뒤에 폐쇄한다. 이에 따라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내로 탕수가 주입된다. 계속하여 전자밸브(73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500ms)만 개방한 뒤에 폐쇄한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9)내의 공기가 가압되어, 폐기탱크(T)에 대한 탕수의 배출을 촉진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추출용기(9)의 내부 및 배관(L2)이 예열되어, 이에 계속되는 커피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탕수가 식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S2에서는 그라인드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고, 그 분쇄두를 용기본체(90)에 투입한다. 우선, 로크기구(821)를 개방상태로 하고 홀딩부재(801)를 상승위치로 상승시킨다. 뚜껑유닛(91)은 홀딩부재(801)에 홀딩되어, 홀딩부재(801)과 함께 상승한다. 이 결과, 뚜껑유닛(91)은 용기본체(90)로부터 분리된다. 홀딩부재(811)는 강하위치로 하강한다. 용기본체(90)를 콩투입위치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를 작동한다. 이에 따라 저장장치(4)로부터 1잔분의 로스트 커피콩이 그라인더(5A)에 공급된다. 그라인더(5A) 및 그라인더(5B)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이 2단계로 분쇄되고 또한 분리장치(6)로 불요물이 분리된다. 분쇄두는 용기본체(90)에 투입된다.
용기본체(90)를 추출위치로 되돌린다.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로 하강시켜 용기본체(90)에 뚜껑유닛(91)을 장착한다. 로크기구(821)를 폐쇄상태로 하고 뚜껑유닛(91)을 용기본체(90)에 기밀하게 록 한다. 홀딩부재(811)는 상승위치로 상승한다. 밸브(903), 밸브(913) 중에서, 밸브(903)는 개방상태로 하고 밸브(913)는 폐쇄상태로 한다.
S3에서는 추출처리를 한다. 여기에서는 용기본체(90)내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한다. 도11(B)는 S3의 추출처리의 플로차트이다.
S11에서는 추출용기(9)내의 분쇄두를 뜸들이기 위해서, 1잔분의 탕수보다도 적은 양의 탕수를 추출용기(9)에 주입한다. 여기에서는, 전자밸브(72i)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500ms) 개방했다가 폐쇄한다. 이에 따라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내로 탕수가 주입된다. 그 후에 소정시간(예를 들면 5000ms) 대기했다가 S11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 의하여 분쇄두를 뜸들일 수 있다. 분쇄두를 뜸들임으로써 분쇄두에 포함되는 탄산가스를 방출하여, 그 후의 추출효과를 높일 수 있다.
S12에서는, 1잔분의 탕수가 추출용기(9)에 수용되도록, 나머지의 양의 탕수를 추출용기(9)에 주입한다. 여기에서는, 전자밸브(72i)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7000ms) 개방했다가 폐쇄한다. 이에 따라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내로 탕수가 주입된다.
S12의 처리에 의하여 추출용기(9)내를, 1기압이며 섭씨 100도를 넘는 온도(예를 들면 섭씨 110도 정도)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계속하여 S13에 의하여 추출용기(9)내를 가압한다. 여기에서는 전자밸브(73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0ms) 개방했다가 폐쇄하고, 추출용기(9)내를 탕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예를 들면 4기압 정도(게이지압으로 3기압 정도))으로 가압한다. 그 후에 밸브(903)를 폐쇄상태로 한다.
계속하여 이 상태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7000ms) 유지하여 침지식의 커피액 추출을 한다(S14). 이에 따라 고온고압하에서의 침지식에 의한 커피액의 추출이 이루어진다. 고온고압하에서의 침지식의 추출에서는, 다음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첫번째는, 고압으로 함으로써 분쇄두의 내부에 탕수를 침투시키기 쉽게 하여, 커피액의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두번째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커피액의 추출이 촉진된다. 세번째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분쇄두에 포함되는 오일의 점성이 내려가서, 오일의 추출이 촉진된다. 이에 따라 향기 짙은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탕수(고온수)의 온도는, 섭씨 100도를 넘고 있으면 좋지만, 보다 고온인 쪽이 커피액의 추출의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탕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비용상승이 수반된다. 따라서 탕수의 온도는, 예를 들면 섭씨 105도 이상 또는 섭씨 110도 이상 또는 섭씨 115도 이상으로 하고 또한 예를 들면 섭씨 130도 이하 또는 섭씨 120도 이하로 하여도 좋다. 기압은 탕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이면 좋다.
S15에서는 추출용기(9)내를 감압한다. 여기에서는, 추출용기(9)내의 기압을 탕수가 비등하는 기압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밸브(913)를 개방상태로 하고 전자밸브(73c)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0ms) 개방했다가 폐쇄한다. 추출용기(9)내가 대기로 개방된다. 그 후에 밸브(913)를 다시 폐쇄상태로 한다.
추출용기(9)내가 비등점압(沸騰點壓)보다도 낮은 기압으로 급격하게 감압되어, 추출용기(9)내의 탕수가 단숨에 비등(沸騰)한다. 추출용기(9)내의 탕수, 분쇄두는, 추출용기(9)내로 폭발적으로 비산(飛散)한다. 이에 따라 탕수를 균일하게 비등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두의 세포벽의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고, 그 후의 커피액의 추출을 더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비등에 의하여 분쇄두와 탕수를 교반시키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커피액의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16에서는 추출용기(9)를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로 반전시킨다. 여기에서는, 홀딩부재(801)를 상승위치에, 홀딩부재(811)를 강하위치로 각각 이동한다. 그리고 지지유닛(81B)을 회전시킨다. 그 후에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에, 홀딩부재(811)를 상승위치로 각각 되돌린다. 도립자세의 추출용기(9)는, 넥부(90b)나 뚜껑유닛(91)이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S17에서는 투과식의 커피액 추출을 하고, 컵(C)에 커피음료를 송출한다. 여기에서는, 전환밸브(10a)를 전환하여 주출부(10c)와 조작유닛(81C)의 통로부(810a)를 통하게 한다. 또한 밸브(903), 밸브(913)를 모두 개방상태로 한다. 또한 전자밸브(73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00ms) 개방하여, 추출용기(9)내를 소정의 기압(예를 들면 1.7기압(게이지압으로 0.7기압))으로 한다. 추출용기(9)내에 있어서, 커피액이 탕수에 용해된 커피음료가 뚜껑유닛(91)에 설치한 필터를 투과해서 컵(C)으로 송출된다. 필터는 분쇄두의 잔사가 누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이상에서 추출처리가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14에서의 침지식의 추출과 S17에서의 투과식의 추출을 병용함으로써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인 상태에서는, 분쇄두가 몸통부(90e)로부터 바닥부(90f)에 걸쳐서 퇴적한다. 한편,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인 상태에서는, 분쇄두가 어깨부(90d)로부터 넥부(90b)에 걸쳐서 퇴적한다. 넥부(90b)의 단면적보다도 몸통부(90e)의 단면적 쪽이 크고, 도립자세에서의 분쇄두의 퇴적 두께는 정립자세에서의 퇴적 두께보다도 깊게 된다. 즉, 분쇄두는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인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얇고 널리 퇴적하고, 도립자세인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깊고 좁게 퇴적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S14의 침지식 추출은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탕수와 분쇄두를 광범위 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탕수와 분쇄두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S17의 투과식 추출은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탕수가 더 많은 분쇄두와 접촉하면서 퇴적한 분쇄두를 통과하게 된다. 탕수가 보다 구석구석 분쇄두와 접촉하게 되어,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11(A)로 되돌아가서, S3의 추출처리의 뒤에는, S4의 배출처리를 한다. 여기에서는 추출용기(9)내의 청소에 관한 처리를 한다. 추출용기(9)의 청소는, 추출용기(9)를 도립자세로부터 정립자세로 되돌리고, 추출용기(9)에 수돗물(정수(淨水))을 공급함으로써 한다. 그리고 추출용기(9)내를 가압하고, 추출용기(9)내의 물을 분쇄두의 잔사와 함께 폐기탱크(T)로 배출한다.
이상에서 1회의 커피음료제조처리가 종료한다. 이후, 동일한 처리가 제조지시마다 반복된다. 1회의 커피음료의 제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예를 들면 60∼90초 정도이다.
다음에 도12를 참조하면서, 음료제조장치(1)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시스템이라고 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는, 음료제조장치(1)를 포함하는 시스템(12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스템(1200)은, 서버(1201), 휴대단말(1202), 정보표시장치(1203), 음료제조장치(120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음료제조장치(1204)는 음료제조장치(1)에 대응하고, 정보표시장치(1203)는 정보표시장치(12)에 대응한다. 휴대단말(1202)은, 예를 들면 유저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다. 서버(1201), 휴대단말(1202), 정보표시장치(1203)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205)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정보표시장치(1203) 및 음료제조장치(1204)는, 예를 들면 커피콩이나 음료를 제공하는 점포에 존재하고, 유저가 소지하는 휴대단말(1202)과 정보표시장치(1203) 사이에서,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실행 가능하다.
시스템(1200)에 있어서, 서버(1201)는, 휴대단말(1202)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커피에 관한 여러가지 서비스(기능)를 제공 가능하다. 서버(1201)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능에는, 예를 들면 점포(카페 등)에서 이용 가능한 포인트에 관한 서비스, 커피콩의 통신판매 사이트 서비스, 코멘트나 레이팅 등의 구매에 관한 리뷰 서비스, 후술하는 커스터머 레시피 서비스가 있다. 또한 서버(1201)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카페검색 서비스나, 유저가 주문한 커피를 SNS에 업(up)하기 위해서, 휴대단말(1202)에 의하여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서비스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유저는, 서버(1201)로부터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클릭 등으로 기동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커피에 관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
도13은, 서버(12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처리부(1301)는, 예를 들면 CPU를 포함하고, 서버(1201)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201)의 동작은, 예를 들면 처리부(1301)가 기억부(13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모리(130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메모리(1302)는, 처리부(1301)의 CPU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서도 사용된다. 기억부(1303)는, 서버(1201)가 동작하기 위한 기본적인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1303)에는 각종 데이터 베이스(1309)가 구축되어, 예를 들면 각 유저의 휴대단말(1202)로부터 송신된 리뷰 정보나 코멘트 정보, 레시피의 커스터머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된다. 또한 기억부(1303)는, 각종 애플리케이션(1310)을 기억하고, 예를 들면 상기의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한다. 유저는, 휴대단말(1202)을 통하여 서버(1201)에 액서스 함으로써 휴대단말(1202)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I/F)(1304)는, 유선이나 무선 등 네트워크(1205)의 매체에 따라 구성된다. 표시부(1305)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이며, 예를 들면 데이터 베이스(1309)를 구축하는 관리자에 대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조작부(1306)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로서, 관리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307)는, 예를 들면 CPU를 포함하고, 각 유저의 휴대단말(1202)로부터 송신된 빅데이터에 의거하여 특징량을 해석한다. 각 유저의 휴대단말(1202)로부터 송신된 빅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1309)로서 구축될 경우도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1307)에 의하여 해석된 결과가 데이터 베이스(1309)로서 구축되는 경우도 있다. 도13의 각 부는, 버스(1308)를 통하여 서로 접속 가능하다.
도14는, 휴대단말(12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1202)은, 예를 들면 유저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다. 처리부(1401)는, 예를 들면 CPU를 포함하고, 휴대단말(1202)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1202)의 동작은, 예를 들면 처리부(1401)가 기억부(14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모리(140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메모리(1402)는, 처리부(1401)의 CPU의 워킹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기억부(1403)는, 휴대단말(1202)이 동작하기 위한 기본적인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1403)에는, 서버(1201)로부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1310)을 기억한다.
마이크(1404)는 유저의 음성을 입력하고, 스피커(1405)는 다른 유저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소정의 음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메시지를 재생하거나 한다. 촬영부(1406)는 카메라이며,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의 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부(1407)는 터치패널이며,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1310)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이나, 애플리케이션(1310)에 관한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07)는, 터치패널을 통하여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조작부(1408)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원버튼이나 음량조절버튼이다.
통신I/F(1409)는, 유선이나 무선 등 네트워크(1205)의 매체에 따라 구성된다. 근거리 무선통신I/F(1410)는, 통신I/F(1409)에 의한 통신과는 다른 통신방법에 의하여 통신을 하고, 예를 들면 블루투스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1202)은, 레시피의 커스터머 정보 등을 근거리 무선통신I/F(1410)를 통하여 정보표시장치(1203)로 송신 가능하다. 도14의 각 부는, 버스(1411)를 통하여 서로 접속 가능하다.
도15는, 정보표시장치(12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보표시장치(1203)는 정보표시장치(12)에 대응한다. 처리부(1501)는, 예를 들면 CPU를 포함하고, 정보표시장치(1203)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보표시장치(1203)의 동작은, 예를 들면 처리부(1501)가 기억부(15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모리(150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메모리(1502)는, 처리부(1501)의 CPU의 워킹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기억부(1503)는, 정보표시장치(1203)가 동작하기 위한 기본적인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통신I/F(1504)는, 유선이나 무선 등 네트워크(1205)의 매체에 따라 구성된다. 근거리 무선통신I/F(1505)는, 통신I/F(1504)에 의한 통신과는 다른 통신방법에 의하여 통신을 하고, 예를 들면 블루투스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표시장치(1203)는, 레시피의 커스터머 정보 등을 근거리 무선통신I/F(1505)를 통하여 휴대단말(1202)로부터 수신 가능하다.
표시부(1507)는 터치패널로서, 유저가 음료제조장치(1204)를 사용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조작부(1508)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할 수 있고, 결정키 등의 하드웨어키를 포함한다. 표시부(1507)가 터치패널인 경우에는, 조작부(1508)는, 터치패널상의 소프트웨어키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촬영부(1509)는 카메라로서, 정지화상의 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영부(1509)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하여 점포에 반입된 커피콩을 촬영하거나, 휴대단말(1202)의 표시부(1407)에 표시된 2차원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휴대단말(1202)의 표시부(1407)에 표시된 2차원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정보표시장치(1203)는, 휴대단말(1202)과의 사이에서 통신I/F(1504)나 근거리 무선통신I/F(1505)에 의한 통신 이외의 통신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본체I/F(1506)는 제어장치(11)와의 인터페이스부로서, 예를 들면 표시부(1507)나 조작부(1508)를 통하여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커피콩의 선택정보나 추출 프로필의 정보를 제어장치(11)로 송신한다. 도15의 각 부는, 버스(1510)를 통하여 서로 접속 가능하다.
도13∼도15에 나타내는 장치는 각각 발명을 구성하는 컴퓨터가 될 수 있다.
도16은, 시스템(1200)에 있어서, 유저가 휴대단말(1202)을 사용하여 레시피를 커스터마이즈(customize) 하여, 음료제조장치(1204)에 의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까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유저는, 휴대단말(1202)의 표시부(1407)상에 표시된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미리 서버(1201)로부터 다운로드해 둔 애플리케이션(1310)을 기동한다(공정1601). 휴대단말(1202)상에서 애플리케이션(1310)을 기동하면, 서버(1201)에 로그인하기 위한 로그인 화면이 휴대단말(1202)의 표시부(1407)에 표시된다. 유저는, 로그인 화면에 있어서, 미리 취득해 둔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공정1602). 서버(1201)에서의 인증이 성공하면, 서버(1201)는, 애플리케이션(1310)의 TOP화면을 휴대단말(1202)로 회신한다.
도18은, 휴대단말(1202)의 표시부(1407)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1310)의 TOP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영역(1801)에는, 애플리케이션(1310)의 명칭 「ABC app」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영역(1802)에는, 유저가 보유하는 현재의 보유 포인트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이 포인트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온라인숍에서 커피콩을 구입할 수 있다. 표시영역(1803)에는, 애플리케이션(1310)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각 표시영역(1804, 1805, 1806, 1807)을 클릭하는 것이 가능하고, 어느 하나가 클릭되면, 그 서비스의 화면이 표시된다.
표시영역(1804)은 점포검색 서비스로서, 예를 들면 유저는 포인트 서비스 가맹점의 카페를 검색할 수 있다. 표시영역(1805)은 리뷰 서비스로서, 예를 들면 유저는 방문한 카페에 관한 코멘트를 투고하거나 평가하거나 할 수 있다. 표시영역(1806)은 커피콩 통신판매 서비스로서, 유저는 커피콩의 온라인숍을 열람하고, 커피콩을 구입할 수 있다. 표시영역(1807)은 커스터머 레시피 서비스로서, 유저는 휴대단말(1202)상에서 추출 프로필을 조정할 수 있다.
도19는, 유저가 표시영역(1805)을 클릭했을 때에 표시되는 서비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영역(1901)에는, 애플리케이션(1310)의 명칭 「ABC app」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영역(1902)에는, 레이팅 정보가 표시되어 있어, 유저는, 방문한 카페에서 구입한 커피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1903)에는, 코멘트란이 표시되어 있어, 유저는, 방문한 카페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투고버튼(1904)이 눌려지면, 본 리뷰 서비스에서 유저가 입력한 내용이 확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고버튼(1904)의 누름에 의하여 내용이 확정되면, 그 확정내용이 서버(1201)로 송신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서버(1201)는, 각 유저로부터 리뷰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처리부(1307)에 의하여 분석할 수 있다.
도20은, 유저가 표시영역(1807)을 클릭했을 때에 표시되는 서비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는, 도20의 화면에 의하여 휴대단말(1202)상에서 추출탕량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도20의 화면은, 정보표시장치(1203)에 표시되는 설정항목과 기본적으로 같은 것으로서, 유저는, 카페를 방문하기 전에, 휴대단말(1202)상에서 추출탕량 등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해 둘 수 있다.
표시영역(2001)에 의하여 유저는, 커피콩의 양을 임의로 조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2002)에 의하여 유저는, 분쇄입도를 임의로 조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2003)에 의하여 유저는, 뜸들이기 탕량을 임의로 조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2004)에 의하여 유저는, 뜸들이기 시간을 임의로 조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2005)에 의하여 유저는, 추출탕량을 임의로 조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2006)에 의하여 유저는, 추출압력을 임의로 조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2007)에 의하여 유저는, 추출시간을 임의로 조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버튼(2008)은, 표시영역(2001∼2007)의 내용을 확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20의 경우에, 버튼(2008)이 눌려지면, 표시영역(2001∼2007)의 내용이 저장되고 2차원 코드가 표시된다. 유저는, 카페를 방문하고, 휴대단말(1202)에 표시된 2차원 코드를 정보표시장치(1203)의 촬영부(1509)에 댐으로써 표시영역(2001∼2007)의 내용을 정보표시장치(1203)에 전달할 수 있다. 버튼(2008)은, 2차원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표시영역(2001∼2007)의 내용을 확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버튼이어도 좋고, 정보표시장치(1203)에 대하여 근거리 무선통신I/F(1410)를 통하여 표시영역(2001∼2007)의 내용을 송신하더라도 좋다.
도20과 같은 커피음료의 추출을 위한 파라미터 조정을 휴대단말(1202)상에서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저는, 손쉽게 바리스타와 같은 커피 추출조작의 감각을 맛 볼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20과 같은 커피음료의 추출을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 프로필 혹은 레시피라고 부른다.
다시 도16을 참조한다. 공정1603에서 휴대단말(1202)이 서버(1201)로부터 TOP화면을 수신하면, 유저는, 표시영역(1807)을 클릭해서 도20상에서 추출 프로필을 조정해서 설정한다(공정1604). 그리고 유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페를 방문하고, 휴대단말(1202)로부터 정보표시장치(1203)로 설정정보를 전달한다(공정1605). 여기에서 설정정보라 함은, 예를 들면 도20의 표시영역(2001∼2007)의 내용이다. 또한 설정정보의 전달방법은, 2차원 코드에 의한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경우가 있다.
정보표시장치(1203)가 설정정보를 취득하면, 정보표시장치(1203)는, 본체I/F(1506)를 통하여 설정정보를 음료제조장치(1204)의 제어장치(11)로 송신한다(공정1606). 음료제조장치(1204)에서는,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커피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진다(공정1607).
도17은, 시스템(1200)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표시장치(1203)상에서 레시피를 커스터마이즈 하고, 음료제조장치(1204)에 의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까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6에서는, 유저는, 휴대단말(1202)상에서 추출 프로필을 조정했지만, 도17에서는, 유저는, 카페에서 정보표시장치(1203)상에서 추출 프로필을 조정한다.
유저는, 정보표시장치(1203)의 표시부(1507)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추출 프로필을 조정해서 설정한다(공정1701). 여기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기본적으로 도20에서 표시되는 항목과 같은 항목이 표시된다. 정보표시장치(1203)가 설정정보를 취득하면, 정보표시장치(1203)는, 본체I/F(1506)를 통하여 설정정보를 음료제조장치(1204)의 제어장치(11)로 송신한다(공정1702). 음료제조장치(1204)에서는,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커피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진다(공정1703).
[제1실시형태]
다음에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로부터, 커피콩의 특성을 추정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카페 등의 점포에 일반 유저가 커피콩을 가져오고, 그 커피콩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사용하여 커피콩의 특성을 추정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도21은, 커피콩의 특성을 추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21의 처리는, 예를 들면 서버(1201)의 처리부(1301)가 기억부(13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모리(130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S2101에 있어서, 처리부(1301)는,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데이터로서, 카페 등의 점포에 일반 유저가 가져온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우선, 정보표시장치(1203)의 촬영부(1509)가, 일반 유저가 가져온 커피콩을 촬영하고, 처리부(1501)는, 그 촬영 데이터를 네트워크(1205)를 통하여 서버(1201)로 송신한다. 처리부(1301)는, 정보표시장치(1203)로부터 수신한 촬영 데이터를 취득한다. 촬영 데이터의 송신시에는, 유저정보 등의 식별정보도 같이 송신된다.
도22는, 정보표시장치(1203)로부터 서버(1201)로 송신된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영 데이터(2201)는, 단체(單體)나 소량이 아니라 다수의 커피콩을 포함하도록 촬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포에서는, 촬영부(1509)에 구비된 재치대에 놓여진 커피콩이 촬영된다. 촬영부(1509)로부터, 기준 스케일(基準 scale)이 부가된 재치대까지의 거리는 미리 정해져 있어, 촬영 데이터로부터 커피콩의 실치수 크기의 계측치를 추정할 수 있다. 촬영 데이터에는, 커피콩과 함께 상기한 기준 스케일이 찍히도록 촬영된다.
S2102에 있어서, 처리부(1301)는, 취득한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특징량을 추출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307)에 요구한다. 도23은, 특징량의 추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2301은, 데이터 처리부(1307)는, 촬영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커피콩의 계측을 한다. 도24는, 커피콩의 계측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표면(2401)은 커피콩의 표면을 나타내고, 이면(2410)은 커피콩의 이면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센터커트(2404)가 있는 면을 표면이라고 하고, 센터커트(2404)가 없는 면을 이면이라고 한다. 센터커트(2404)라 함은, 커피콩의 중앙부분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인 곳으로서, 라인(2402)은 파인 곳의 좌측의 라인이며, 라인(2403)은 파인 곳의 우측의 라인이다. 스크린 사이즈(2406)는, 센터커트길이(2408)의 중앙부분에 있어서 센터커트(2404)는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다. 센터커트폭(2405)은, 센터커트길이(2408)의 중앙부분에 있어서의 라인(2402)과 라인(2403) 사이의 거리다. 센터커트 단부폭(2407)은, 센터커트(2404) 단부의 라인(2402)과 라인(2403) 사이의 거리다. S2301에서는, 상기한 각 계측 포인트의 사이즈 이외에, 외곽형상(2409)이나 색정보가 계측된다. 촬영 데이터에는, 표면(2401)이 촬영되어 있는 커피콩 뿐만 아니라, 이면(2410)이 촬영되어 있는 커피콩도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S2301에서는, 데이터 처리부(1307)는, 표면(2401)이 촬영되어 있는 커피콩 만이 계측대상으로 하여도 좋고, 외곽형상(2409)이나 색정보에 대해서 표면(2401)과 이면(2410)을 계측대상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색정보는, 커피콩의 면 전체의 색정보의 평균이더라도 좋고, 풍미의 변화에 기여하는 요인이 큰 라인(2402)과 라인(2403)의 사이(즉 센터커트(2404))의 부분의 색정보이더라도 좋다.
도25는, 촬영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하나의 커피콩의 계측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식별정보(2501)는, 촬영 데이터에 있어서 한 개의 커피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계측치(2503)는 센터커트길이(2408)이며, 계측치(2504)는 센터커트폭(2405)이다. 계측치(2505)는 센터커트 단부폭(2407)이며, 계측치(2506)는 스크린 사이즈(2406)이다. 계측치(2502)는, 외곽형상을 나타내는 값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곽형상은, 「스크린 사이즈(2406)/센터커트길이(2408)」(즉 타원도(楕圓度))로서 규정된다. 또한 계측치(2507)는, 센터커트 형상을 나타내는 값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터커트 형상은, 「센터커트폭(2405)/센터커트 단부폭(2407)」(즉 가늘기 정도)로 규정된다. 외곽형상과 센터커트 형상은, 형상의 특징을 규정하는 것이라면, 상기 이외의 방법에 의하여 산출되어도 좋다. 계측치(2508)는, 표면(2401) 또는 이면(2410)의 색정보이다.
S2301에서 촬영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커피콩의 계측이 이루어지면, S2302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계측치를 분석한다.
도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 데이터내에는 다수의 커피콩이 촬영되어 있고, 복수 종류의 커피콩이 블렌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2종류의 커피콩이 블렌드 되어 있는 경우에, 촬영 데이터로부터의 계측치는 크게 2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도26은, 계측치가 크게 2종류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6중의 각 흑점은, 1개의 커피콩의 계측치에 대응하고 있다. 도26은, 예를 들면 색(농도)과 센터커트폭(2405)의 2개의 지표로 이루어지는 2축상의 공간에 있어서의, 촬영 데이터중의 커피콩의 계측치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계측치의 분포는, 그룹(2601)과 그룹(2602)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촬영 데이터에 있어서의 커피콩은, 센터커트폭(2405)이 좁고 색이 짙은 커피콩(A)(그룹(2601)에 대응)과, 센터커트폭(2405)이 넓고 색이 옅은 커피콩(B)(그룹(2602)에 대응)의 블렌드인 것이 추정될 수 있다. 도26에서는, 2개의 지표를 나타내는 2축상의 공간에 있어서의 계측치의 분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3축 이상의 공간에 있어서의 계측치의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더라도 좋다.
S2302에서 계측치가 분석되면, S2303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특징량을 추출한다.
도27은, 특징량의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분류가 이루어진 계측치의 각 그룹에 있어서, 특징량이 추출된다. 식별정보(2701)는, 촬영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유저 명칭이 사용된다. 식별정보(2702, 2710)는, 계측치가 분류된 각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식별정보(2702)는 도26의 그룹(2601)에 대응하고, 식별정보(2710)는 도26의 그룹(2602)에 대응한다.
특징량(2703, 2704, 2705, 2706, 2707, 2708, 2709)은, 식별정보(2702)로 식별되는 그룹(Bean0001)의 특징량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특징량이라고 함은, 각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측치로부터 유도되는 양으로서, 예를 들면 각 그룹에 있어서의 계측치의 평균치나 중간치가 사용된다. 즉, 특징량(2703)은, 예를 들면 그룹(Bean0001)에 있어서의 외곽형상에 관한 평균치나 중간치이다. 또한 특징량(2704)은, 센터커트길이(2408)에 관한 평균치나 중간치이다. 또한 특징량(2705)은, 센터커트폭(2405)에 관한 평균치나 중간치이다. 또한 특징량(2706)은, 센터커트 단부폭(2407)에 관한 평균치나 중간치이다. 또한 특징량(2707)은, 스크린 사이즈(2406)에 관한 평균치나 중간치이다. 또한 특징량(2708)은, 센터커트 형상에 관한 평균치나 중간치이다. 또한 특징량(2709)은, 색정보에 관한 평균치나 중간치이다.
특징량(2711, 2712, 2713, 2714, 2715, 2716, 2717)은, 식별정보(2710)로 식별되는 그룹(Bean0002)의 특징량을 나타내고 있다. 각 특징량에 대해서는, 그룹(Bean0001)에 있어서의 설명과 같다. 또한 상기에서는, 특징량으로서 평균치나 중간치를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통계량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27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 그룹의 비율(Bean0001이 20%이고, Bean0002이 80%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S2303에서 특징량이 추출되면, 도23의 처리를 종료하고, 도21의 S2103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커피콩의 특성의 추정을 실행한다.
도28은, 특성의 추정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2801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도27에 나타내는 복수의 그룹(Bean0001 등) 중에서 특정의 그룹에 착목하여, 특징량(2703∼2709)에 대응하는 커피콩의 데이터 세트를 검색한다. 검색시에는, 예를 들면 각 특징량과 소정의 범위내에서 합치(合致)하는 데이터 세트가 검색된다. 데이터 베이스(1309)에는, 커피콩의 특징량,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커피콩의 종류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되어 있다. 여기에서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라 함은, 예를 들면 품종, 산지, 배전도(가공정도), 경과일수, 미각차트, 추출 프로필이다. 미각차트라 함은, 예를 들면 향기, 감미(甘味,단만), 쓴맛, 산미(酸味,신맛), 감칠맛에 관해서의 강도를 가늠자로서 나타내는 지표로서, 3단계 등으로 나타낸다.
S2803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특징량(2703∼2709)에 대응하는 커피콩의 데이터 세트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있다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2804로 진행하고, 없다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2805로 진행한다. S2804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커피콩의 데이터 세트로부터 그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S2805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모든 그룹에 대해서 상기한 처리가 실행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본 예에서는, 도27 중에서 그룹(Bean0002)에 대해서는 미처리이므로, 모든 그룹에 대해서 실행 되어 있지 않다라고 판정되어, S2806로 진행한다. S2806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다음의 그룹(Bean0002)에 착목하고, S28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S2802에서는, 데이터 처리부(1307)는, 데이터 베이스(1309)를 참조하여, 특징량(2711∼2717)에 대응하는 커피콩의 데이터 세트를 검색한다. 그리고 S2803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특징량(2711∼2717)에 대응하는 커피콩의 데이터 세트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S2804의 처리의 뒤에, S2805에 있어서, 모든 그룹에 대해서 처리가 실행된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본 예에서는, 모든 그룹에 대해서 처리가 실행되었다고 하고 설명한다. 그 경우에, S2807로 진행한다.
S2807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모든 그룹에 대해서, S2803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1309)에서 검색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모든 그룹에 대해서 데이터 베이스(1309)에서 검색되어 S2804에서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취득되어 있으면, S2809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모델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한편, 모든 그룹 중에서 데이터 베이스(1309)에서 검색되지 않은 그룹이 있었을 경우에, 즉 S2804에서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취득되지 않은 그룹이 있었을 경우에, S2808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미각차트/프로필의 추정이 이루어진다.
도29는, S2808에 있어서의 미각차트/프로필의 추정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2808의 처리는, 데이터 베이스(1309)에서 검색할 수 없었기 때문에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었던 그룹에 대해서 실행된다. 여기에서는, 그룹(Bean0002)에 대해서 도29의 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S2901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특징량(2711∼2717)에 의거하여 데이터 베이스(1309)로부터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에서의 취득은, S2804에서의 취득과는 다른 처리이다. S2901에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 베이스(1309)내의 각 커피콩의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특징량(2711∼2717)의 자승오차(自乘誤差)를 산출하고, 가장 오차가 적은 데이터 세트의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특정한다. 그리고 S2902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특정된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정한다. 즉, 특징량(2711∼2717)의 각 값의 오차에 의거하여 미각차트와 추출 프로필의 보정이 이루어진다.
오차라 함은, 예를 들면 색정보의 차이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 베이스(1309)내에서 특정한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보다도, 센터커트(2404)의 부분이 보다 흰 빛을 띨 경우에, 미각차트에 있어서의 신맛을 강하게 한다고 하는 보정을 한다. 이것은, 센터커트 부분의 흰 빛을 띤 것은 워시트 프로세스(washed process)가 이루어진 콩인 것으로 추정되고, 신맛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데이터 베이스(1309)내에서 특정한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보다도, 센터커트(2404)의 부분의 갈색도(褐色度)가 클 경우에, 미각차트에 있어서의 단맛이나 감칠맛을 강하게 한다고 하는 보정을 한다. 즉, 오차에 따른 풍미의 경향을 추측함으로써 미각차트와 추출 프로필의 각각 혹은 어느 하나를 보정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특징량(2711∼2717)의 각 값에 대해서 자승오차를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소정의 특징량에 착목해서 자승오차를 산출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풍미의 변화에 기여하는 요인이 큰 센터커트(2404)에 관한 특징량에 대해서만 자승오차를 산출하더라도 좋다. S2902의 뒤에, 도29의 처리를 종료하고, S2809로 진행하여 모델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도30은, S2809에 있어서의 모델의 생성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3001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각 그룹(예를 들면 도27의 Bean0001 및 0002)에 대해서 추출 프로필을 취득한다.
S3002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취득한 각 추출 프로필의 각 항목에 대해서 합성(合成)이 가능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각 항목이라고 함은, 예를 들면 뜸들이기 탕량, 뜸들이기 시간, 추출탕량, 추출시간이다. 합성 가능한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은, 예를 들면 각 항목에 관한 차분량이 소정의 범위내이면, 즉 거의 동일하면, 합성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합성 가능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S3003으로 진행하여 데이터 처리부(1307)는 그 항목에 대해서 합성한다. 합성하는 때에는, 각 추출 프로필의 항목이 나타내는 값의 평균치를 취해도 좋고, 중간치를 취해도 좋고, 다른 통계량이 사용되어도 좋다. 한편, 합성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S3004로 진행하고, 데이터 처리부(1307)는, 어느 하나의 추출 프로필의 항목이 나타내는 양을 잠정적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추출탕량에 관한 차분량이 소정의 범위 이외이면, 어느 하나의 값을 잠정적으로 결정한다.
S3003 및 S3004의 뒤에, 도30의 처리를 종료하고 도28의 S2810로 진행한다.
S2810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1307)는, S2101에서 취득된 촬영 데이터의 각 그룹에 대해서, 특징량,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품종 등, 미각차트) 및 합성된/잠정적으로 생성된 추출 프로필을 모델로서 데이터 베이스(1309)에 저장한다. 그 후에 도28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일반 유저가 카페 등의 점포에 가져온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로부터, 그 커피콩의 특성을 추정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서버(1201)의 기억부(1303)의 데이터 베이스(1309)에는, 이미 알고 있는 커피콩의 종류에 관한 모델 뿐만 아니라, 각 일반 유저가 가져온 커피콩에 관한 모델도 축적되어 간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데이터 베이스(1309)내에는, 여러가지 조합에 의하여 블렌드된 커피콩의 모델의 빅데이터가 구축되어, 커피콩의 특성의 추정의 신뢰도를 점점 더 높여갈 수 있을 경우가 있다.
[제2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 유저가 카페 등의 점포에 가져온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로부터 추정된 커피콩의 특성에 의거하여 정보표시장치(1203)에 표시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1은, 촬영 데이터로부터 추정된 커피콩의 특성에 의거하여 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31의 처리는, 예를 들면 정보표시장치(1203)의 처리부(1501)가 기억부(15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모리(150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S3101에 있어서, 처리부(1501)는, S2809에서 생성되고 S2810에서 데이터 베이스(1309)에 기억된 모델을 서버(1201)로부터 네트워크(1205)를 통하여 취득한다. 그 때에 모델로서 취득되는 것은, S2101에서 취득된 촬영 데이터의 각 그룹에 관한 특징량,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품종 등 미각차트) 및 합성된/잠정적으로 생성된 추출 프로필이다.
S3102에 있어서, 처리부(1501)는, 취득한 모델에 의거하여 표시를 한다. S3102의 뒤에, 도31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32는, 취득한 모델에 의거하여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2의 화면은, 일반 유저가 카페 등의 점포에 가져온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되므로, 항목 3201에는 예를 들면 「귀하의 콩으로부터 생각되는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로 표시된다.
촬영 데이터로부터 해석된 결과, 일반 유저가 가져온 커피콩이 커피콩(A)와 커피콩(B)의 블렌드이었을 경우에, 항목 3202과 3203의 각각에, 각 그룹에 대해서 취득된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도32의 항목 3202, 3203은, S2804에서 특성을 취득할 수 있었던 그룹이다. 특성을 취득할 수 없었던 그룹에 대해서는, S2808에서 미각차트와 추출 프로필은 추정되지만, 품종, 산지, 배전도, 경과일수라고 하는 고유의 정보는 보통 추정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항목 3202 및 3203상에서는 「-」라고 한 표시가 되더라도 좋다. 물론, 특징량에서 배전도를 추측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등 상기한 고유의 정보를 추측하더라도 좋다.
도32에는, 미각차트(3204)가 표시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블렌드되어 있는 각 커피콩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율이 많은 쪽의 커피콩에 관한 미각차트를 표시하더라도 좋다. 도32에서는, 항목 3203에 나타내는 커피콩(B)에 관한 미각차트가 표시되어 있다. 또는, 표시되어 있는 커피콩, 즉 도32의 경우에는 항목 3202, 3203의 미각차트의 양방이 표시되더라도 좋다.
버튼(3205)은, 미각차트(3204)에 가장 가까운 미각차트를 구비하는 커피콩을 검색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3206)이 눌려지면, 후술하는 추출 프로필의 화면이 표시된다. 버튼(3207)이 눌려지면, 도32의 표시를 종료하고, 정보표시장치(1203)의 소정의 메인 화면 등으로 되돌아간다.
도33은, 버튼(3205)(SEARCH)이 눌려졌을 때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표시장치(1203)의 기억부(1503)에는, 커피콩의 종류와, 커피콩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처리부(1501)는, 버튼(3205)이 눌려지면, S3101에서 취득한 모델에 의거하여 커피콩의 특성이 가장 가까운, 예를 들면 미각차트의 경향이 가장 가까운 커피콩의 일람이 표시된다. 도33에는, 항목 3302, 3303, 3304, 3305, 3306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도34는, 항목 3302이 눌려졌을 때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3에서 다른 항목이 선택된 때에는, 그 커피콩에 따른 특성의 정보가 동일하게 표시된다. 항목 3401에는 선택된 커피콩의 특징을 나타내는 프레이즈(phrase)가 표시되고, 항목 3402에는 선택된 커피콩의 특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항목 3403에는, 선택된 커피콩의 미각차트가 표시된다. 버튼(3405)은, 유저로부터 주문을 접수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3405)이 눌려지면, 처리부(1501)는, 선택된 커피콩에 대해서 배출까지의 처리(도11(A) 및 (B))를 하도록 제어장치(11)에 지시한다. 버튼(3406)이 눌려지면, 도33의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또, 항목 3403에 나타내는 미각차트는, 다음과 같은 형태에 의하여 표시되더라도 좋다. 도34에서는, 미각차트상의 각 지표가 점과 선으로 나타나 있지만(즉 값에 의한 표시), 예를 들면 각 지표를 소정의 값의 폭을 가지게 한 띠모양 등으로 표시하고, 당해 선택된 커피콩으로 실현되는 지표의 범위를 표시하더라도 좋다. 그러한 표시는, 예를 들면 그 커피콩에 관련된 추출 프로필의 각 항목를 변경할 수 있는 범위에 의거하여 각 지표의 변화범위를 미리 결정해 두고, 그 결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하더라도 좋다. 또한 당해 선택된 커피콩으로 실현되는 지표의 범위 중에서 권장되는 범위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당해 선택된 커피콩에 관련된 추출 프로필의 각 항목를 변경할 수 있는 범위에 의거하여 각 지표의 변화범위를 정하고, 또한 그 변화범위에 있어서 바리스타 등에 의하여 권장되는 범위를 미리 결정해 둔다. 그리고 그 결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하더라도 좋다. 항목 3403의 미각차트를 상기와 같은 각 표시형태로 함으로써 당해 선택된 커피콩에 대해서, 일반 유저에 대하여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를 감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 표시형태에 의하여 표시된 미각차트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지정을 접수 가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띠모양으로 나타내는 지표의 범위내에서 유저로부터의 각 지표의 지정을 접수하고, 그들의 지표의 데이터 세트에 대응한 추출 프로필의 데이터를 도12의 장치의 기억부 등으로부터 취득해서 표시하더라도 좋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유저는, 쓴맛을 강하게 하게 싶었을 때에 미각차트상에서 지정하면,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추출 프로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35는, 도32의 버튼(3206)(PROFILE)이 눌려졌을 때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5는, 도30의 S3002에서 각 그룹의 추출 프로필이 합성 가능하다고 판정되어서 S3003으로 진행하고, 추출 프로필의 합성이 이루어진 모델에 대해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항목 3501에는, 「귀하의 콩의 레시피입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므로, 일반 유저는, 자신이 가져온 커피콩의 추출 프로필을 볼 수 있을 경우가 있다. 추출 프로필의 항목으로서, 항목 3502(뜸들이기 탕량), 3503(뜸들이기 시간), 3504(추출탕량), 3505(추출시간)이 표시되어 있지만, 이들의 항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출압력 등의 항목이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각 항목은, +버튼과 -버튼의 유저조작에 의하여 조정이 가능하다. 도3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항목은, 수치표시영역(3506)과 아날로그 표시영역(3507)의 2종류의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수치표시영역(3506)에는, 80ml과 같이 값이 표시되어 있고, 아날로그 표시영역(3507)에는 슬라이드 바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한 표시방법에 의하여 유저는, 예를 들면 항목 3502에 대해서, 80ml의 수치 바로 그것을 인식함과 아울러 유저가 조정 가능한 최대량의 80%라고 하는 것을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버튼(3508)은, 유저로부터의 주문의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3509)이 눌려지면, 도32의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35에서는, 일반 유저 자신이 가져온 커피콩의 추출 프로필을 표시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형태로 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35의 화면상에서, 다른 커피머신(예를 들면 가정용 커피머신)에 사용 가능한 프로필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그를 위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35의 화면상에서, 「변환」버튼을 표시한다. 일반 유저가 그 「변환」버튼을 누르면, 도35의 추출 프로필의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커피머신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필 정보(추출탕량, 추출시간 등)이 생성되어서 표시된다. 또한 표시되는 정보는, 커피머신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파일(data file)로서 출력되어도 좋다. 그러한 데이터 파일을 다른 커피머신에서 사용함으로써, 다른 커피머신에서의 추출기구의 특성이 음료제조장치(1204)와 다르게 되어 있어도, 도35의 추출 프로필에 의하여 실현되는 커피콩의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다른 커피머신에서의 커피의 추출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음료제조장치(1204)의 추출 프로필로부터 생성되는 프로필 정보는, 가정에서의 드립조작을 고려한 것이더라도 좋고, 예를 들면 뜸들이기 탕량, 뜸들이기 시간, 인터벌 시간, 소정회수의 추출조작 각각에 있어서의 추출탕량, 추출시간, 인터벌 시간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36은, 도32의 버튼(3206)(PROFILE)이 눌려졌을 때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6은, 도30의 S3002에서 각 그룹의 추출 프로필이 합성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되어서 S3004로 진행하고, 잠정적으로 추출 프로필이 생성된 모델에 대해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항목 3601에는, 「귀하의 콩의 레시피입니다.」 이외에, 「▲마크의 항목을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가 표시된다. 이것은, S300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추출 프로필의 항목이 나타내는 양, 예를 들면 추출탕량을 잠정적으로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커피콩을 가져온 일반 유저의 기호와 맞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거기에서, 잠정적으로 결정한 항목에 대해서 마크(3602)를 표시함으로써 일반 유저에 대하여 조제를 촉진한다.
S3004에서, 예를 들면 추출탕량 150ml과 170ml 중에서 150ml로 잠정적으로 결정하고 있은 경우에는, 항목 3601에 있어서, 증량(增量)하는 방향(+방향)에 대한 조정을 촉진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한 예에서, 170ml로 잠정적으로 결정하고 있은 경우에는, 항목 3601에 있어서, 감량하는 방향(-방향)에 대한 조정을 촉진하도록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37은, 버튼(3508)(ORDER)이 눌려졌을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37의 처리는, 예를 들면 정보표시장치(1203)의 처리부(1501)가 기억부(15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모리(150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S3701에 있어서, 처리부(1501)는, 버튼(3508)의 누름을 접수한다. 그리고 S3702에 있어서, 처리부(1501)는, 그 추출 프로필의 정보를 네트워크(1205)를 통하여 서버(1201)로 송신한다. 그 후에 도37의 처리를 종료한다. 추출 프로필의 정보의 송신시에는, 커피콩 또는 유저를 식별 가능한 정보도 같이 송신된다.
도38은, 도37의 처리가 이루어졌을 때에, 서버(1201)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38의 처리는, 예를 들면 서버(1201)의 처리부(1301)가 기억부(13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모리(130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S3801에 있어서, 처리부(1301)는, 네트워크(1205)를 통하여 정보표시장치(1203)로부터 추출 프로필의 정보를 수신한다. S3802에 있어서, 처리부(1301)는, 수신한 추출 프로필의 정보에 의하여S2810에서 이미 기억되어 있었던 데이터 베이스(1309)를 갱신한다. 그 후에 도38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3802에서는, 수신한 추출 프로필을, S2810에서 이미 기억되어 있었던 추출 프로필에 대하여 갱신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저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추정된 커피콩의 특성에 대하여, 복수의 추출 프로필을 가질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도37 및 도38의 구성에 의하여 일반 유저가 점포에 가져온 커피콩에 대해서, 유저의 기호를 보다 더 반영한 추출 프로필을, 서버(1201)의 데이터 베이스(1309)에 기억시킬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도39는, 도3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항목 3901에는, 「귀하의 콩으로부터 생각되는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의 것 이외에, 「다음의 미각차트에서 조정해서 주문할 수도 있습니다.」로 표시된다. 또한 미각차트(3204)는, 유저조작에 의하여 조정이 가능하다. 버튼(3902)은, 일반 유저로부터의 주문을 접수하기 위한 버튼이다. 예를 들면 일반 유저가 미각차트(3204)상에서 쓴맛을 강하게 하고 버튼(3902)이 눌려졌을 경우에, 쓴맛이 보다 강하게 되도록 탕량이 조정된 추출 프로필이 생성된다. 그리고 처리부(1501)는, 그 추출 프로필에 의거하여 도11(A) 및 (B)의 처리를 하도록 제어장치(11)에 지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일반 유저가 카페 등의 점포에 가져온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로부터 추정된 커피콩의 특성에 의거하여 정보표시장치(1203)에 표시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일반 유저로부터의 기호를 서버(1201)의 데이터 베이스(1309)에 반영시킬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로지 커피음료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일본차, 홍차 등의 차, 수프 등의 각종 음료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추출대상으로서, 커피콩, 커피의 생두(生豆), 커피콩의 분쇄두(粉碎豆), 로스트 커피콩,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 볶아지지 않은 커피콩, 볶아지지 않은 커피콩의 분쇄두 등 분말의 커피콩, 인스턴트의 커피, 용기(pod)에 들어 간 커피 등을 예시하고, 음료로서, 커피음료 등을 예시하고, 음료액으로서 커피액을 예시해 왔지만, 이들만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대상으로서, 일본차, 홍차, 오룡차 등의 차잎, 분쇄한 차잎, 야채, 분쇄된 야채, 과일, 분쇄한 과일, 곡식, 분쇄한 곡식,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분쇄한 물건,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가다랭이 등의 어류, 가다랭이 등의 어류를 분쇄한 것, 가다랭이 등의 생선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가다랭이 등의 생선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다시마 등의 해초류, 다시마 등의 해초류를 분쇄한 것, 다시마 등의 해초류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다시마 등의 해초류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소, 돼지, 새 등의 고기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당해 소기 등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소의 뼈, 돼지의 뼈, 새의 뼈 등 고기를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 당해 뼈 등을 가열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등의 추출재료이면 좋고, 음료로서, 일본차, 홍차, 오룡차, 야채쥬스, 과일쥬스, 국물요리, 맛국물, 수프 등 음료이면 좋으며, 음료액으로서, 일본차의 엑기스, 홍차의 엑기스, 오룡차의 엑기스, 야채의 엑기스, 과일의 엑기스, 버섯의 엑기스, 생선 등의 엑기스, 고기의 엑기스, 뼈의 엑기스 등의 엑기스류이면 좋다. 또, 실시예 중에서 물, 수돗물, 정수, 탕수, 세정수라고 기재하고 있는 곳이 있지만, 예를 들면 물을 탕수로 치환하거나, 탕수를 물로 치환해도 좋은 등 어느 하나의 기재의 것을 다른 기재의 것으로 치환해도 좋고, 모두 액체, 수증기, 고온수, 냉각수, 냉수 등으로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추출대상(예를 들면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과 탕수를 추출용기(9)에 넣는다라고 하는 기재라면, 추출대상(예를 들면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두)과 냉수(단순히 물이라도 좋다)를 추출용기(9)에 넣는다라고 하는 기재로 치환해도 좋고, 이 경우이면 콜드브루(Cold Brew) 등의 추출방법이나 음료제조장치로서 파악해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장치는, 음료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음료의 재료의 촬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영 데이터 취득수단(S2101)과, 상기 촬영 데이터 취득수단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추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2103). 또한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추출수단(S2102)을 구비하고, 상기 추정수단은, 상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한 상기 특징량으로부터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커피콩의 사진으로부터, 그 커피콩의 특성을 추정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음료의 재료는 콩이며, 상기 특징량은, 상기 콩의 형상, 크기 중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커피콩의 형상, 크기를 특징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를 기억하는 기억수단(1303)을 구비하고, 상기 추정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종전에 기억된 추정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종전의 추정결과를 학습해서 추정을 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도35, 도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추정의 정도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변경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하나 또는 복수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32).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블렌드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커피콩의 특성정보를 표시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조정이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35, 도36).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미각차트를 조정이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이 조정된 경우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추정결과를 갱신하는 갱신수단(S38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추출 프로필의 조정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반영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추정결과는 빅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다수의 유저로부터 수집되어 빅데이터로 하는 특성정보에 의거하여 추정을 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를 사용하여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필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필 취득수단(S3801, S38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추정결과와 함께 유저로부터 조정된 추출 프로필을, 추정대상의 커피콩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음료의 재료는 커피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정수단은, 상기 커피콩의 센터커트의 형상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커피콩의 센터커트에 의거하여 특성을 추정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은, 품종, 산지, 가공정도, 가공으로부터의 경과일수 중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특성으로서, 품종, 산지, 가공정도, 가공으로부터의 경과일수를 사용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1, 1204 음료제조장치: 1200 시스템:
1201 서버: 1202 휴대단말:
1203 정보표시장치: 1301, 1401, 1501 처리부

Claims (16)

  1. 음료(飮料)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음료의 재료(材料)의 촬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영 데이터 취득수단과,
    상기 촬영 데이터 취득수단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추정수단(推定手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징량(特徵量)을 추출하는 추출수단(推出手段)을 구비하고,
    상기 추정수단은, 상기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한 상기 특징량으로부터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재료는 콩이며, 상기 특징량은, 상기 콩의 형상, 크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정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종전에 기억된 추정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하나 또는 복수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조정이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이 조정된 경우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추정결과를 갱신하는 갱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추정결과는 빅데이터(big d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를 사용하여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필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필 취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재료는 커피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수단은, 상기 커피콩의 센터커트(center cut)의 형상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은, 품종, 산지, 가공정도, 가공으로부터의 경과일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음료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음료의 재료의 촬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공정과,
    상기 취득공정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음료의 재료의 특성을 추정하는 추정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6. 커피콩을 사용하여 커피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추정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와, 상기 커피음료를 생성하는 음료제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는,
    상기 커피콩의 촬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촬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커피콩의 특성을 추정하는 추정수단과,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커피콩의 하나 또는 복수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종류로부터 유저에 의하여 지정된 커피콩의 종류에 따라, 상기 커피음료를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7035641A 2018-08-07 2019-08-02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20210035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8568 2018-08-07
JP2018148568A JP6708912B2 (ja) 2018-08-07 2018-08-07 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システム
PCT/JP2019/030544 WO2020031906A1 (ja) 2018-08-07 2019-08-02 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082A true KR20210035082A (ko) 2021-03-31

Family

ID=6941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641A KR20210035082A (ko) 2018-08-07 2019-08-02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834678A4 (ko)
JP (1) JP6708912B2 (ko)
KR (1) KR20210035082A (ko)
CN (1) CN112533514B (ko)
CA (1) CA3108763A1 (ko)
TW (1) TWI807078B (ko)
WO (1) WO20200319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107B1 (ko) * 2021-04-08 2021-08-31 주식회사 앰버그리스빈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7380B2 (ja) * 2020-09-11 2023-01-18 Tdk株式会社 味覚推定モデルの作成方法、味覚推定システム、及び、味覚推定プログラム
JP2023073813A (ja) * 2021-11-16 2023-05-26 株式会社大都技研 コーヒーマシンシステム
EP4198497A1 (en) * 2021-12-14 2023-06-21 Versuni Holding B.V. Coffee bean analysis system, coffee machine with coffee bean analysis, and coffee grinding system with coffee bean analy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052B2 (ko) 1980-03-06 1988-03-17 Juki Gosei Yakuhin Kogyo Kk
JP2016521139A (ja) 2013-03-11 2016-07-21 デイ、ニール・エム コーヒーの風味を再現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60123303A (ko) 2014-02-18 2016-10-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36124T1 (de) * 2008-01-29 2011-12-15 Kraft Foods R & D Inc Kaffeeaufbrühvorrichtung und entsprechendes netzwerkbasiertes verfahren und vorrichtung
CN102188155A (zh) * 2011-01-31 2011-09-21 苏州工业园区咖乐美电器有限公司 一种带图像识别系统的饮料机
EP3590350A1 (en) * 2012-09-15 2020-01-08 Deepak Boggavarapu Systems and methods for coffee preparation
US9940004B2 (en) * 2013-03-15 2018-04-10 Gregory Mayworm Methods and systems for predicting and evaluating coffee characteristics
JP6407022B2 (ja) 2014-12-26 2018-10-17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焙煎機
US10595668B2 (en) * 2016-01-28 2020-03-24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rranged to share capsule image and machine operation data
JP6312052B2 (ja) * 2016-08-09 2018-04-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選別機、及び選別方法
CN106136907A (zh) * 2016-09-05 2016-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咖啡机的方法及装置
CN106361154B (zh) * 2016-10-25 2019-01-22 广东工业大学 一种自动化咖啡冲煮系统
KR102185422B1 (ko) * 2016-11-10 2020-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맥주의 레시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052B2 (ko) 1980-03-06 1988-03-17 Juki Gosei Yakuhin Kogyo Kk
JP2016521139A (ja) 2013-03-11 2016-07-21 デイ、ニール・エム コーヒーの風味を再現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60123303A (ko) 2014-02-18 2016-10-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107B1 (ko) * 2021-04-08 2021-08-31 주식회사 앰버그리스빈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08912B2 (ja) 2020-06-10
EP3834678A1 (en) 2021-06-16
TWI807078B (zh) 2023-07-01
CA3108763A1 (en) 2020-02-13
TW202019566A (zh) 2020-06-01
EP3834678A4 (en) 2021-09-08
US20210307559A1 (en) 2021-10-07
JP2020022629A (ja) 2020-02-13
WO2020031906A1 (ja) 2020-02-13
CN112533514A (zh) 2021-03-19
CN112533514B (zh)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5082A (ko)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CN112543608B (zh) 装置、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96635B2 (ja) 装置
TWI832886B (zh) 抽出裝置、抽出裝置的顯示方法及用以抽出飲料液的系統
JP7217494B2 (ja) 飲料製造装置
JP7165998B2 (ja) 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6653925B2 (ja) 飲料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7114065B2 (ja) 装置
JP7153909B2 (ja) 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4257538A1 (en) Coffee beverage production device
JP7252631B2 (ja) 飲料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7156700B2 (ja) 飲料製造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7153317B2 (ja) 装置および方法
US11992150B2 (en)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system
JP7327784B2 (ja) 飲料製造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JP2021013467A (ja) 飲料製造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