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107B1 -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107B1
KR102296107B1 KR1020210046037A KR20210046037A KR102296107B1 KR 102296107 B1 KR102296107 B1 KR 102296107B1 KR 1020210046037 A KR1020210046037 A KR 1020210046037A KR 20210046037 A KR20210046037 A KR 20210046037A KR 102296107 B1 KR102296107 B1 KR 10229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s
area
camera
agtron
image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버그리스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버그리스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버그리스빈
Priority to KR102021004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영역인 개방부;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서,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스마트 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배치 위치를 상기 개방부가 위치한 영역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면 중 상기 개방부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커피 원두의 일부를 배치 가능한 영역인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ASTE THROUGH IMAGE ANALYSIS OF COFFEE BEANS}
본 발명은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의 카메라 배치를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 형성된 개방부에 배치하도록 하고, 스마트 폰을 통해 본체부의 내면에 위치한 패턴부를 촬영하며, 영상 분석을 통해 촬영된 패턴부에 배치된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를 분석하여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에 따른 커피 원두의 미감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유럽, 미국 일본 등에 이은 세계 6위 수준의 커피 소비 국가이자 7조원대의 거대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커피 시장은 커피 전문점을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는데, 스타벅스 및 블루보틀과 같은 글로벌 커피 브랜드의 성장이 국내 토종 브랜드를 압도하고 있어, 브랜드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 토종 브랜드나 개인 커피 전문점들은 글로벌 커피 브랜드로부터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으나, 글로벌 커피 브랜드는 고객들에게 높은 전염성을 보유하고 있고, 거대 자본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 토종 브랜드나 개인 커피 전문점이 가격적인 측면에서 경쟁을 하기에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토종 브랜드나 개인 커피 전문점은 상대적으로 저비용이 투자되는 포장체를 통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10-2112137(커피원두 포장체용 컨트롤밸브 캡)에는 포장체를 통해 로스팅 된 커피 원두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원활하게 배출하면서도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신선한 커피 원두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은 단순히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산화탄소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포장체와 관련된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커피 원두에 대한 고객의 구매 의욕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체와 스마트 폰을 통해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여, 커피 원두의 맛을 예측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을 통해 스마트 폰의 카메라를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 형성된 개방부에 배치하도록 하여, 스마트 폰을 통해 본체부의 내면에 위치한 패턴부를 촬영해 패턴부에 배치된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아그트론 수치에 따른 커피 원두의 미감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에게 원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여 커피 원두의 구매에 대한 구매 의욕을 활성화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영역인 개방부;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서,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스마트 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배치 위치를 상기 개방부가 위치한 영역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면 중 상기 개방부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커피 원두의 일부를 배치 가능한 영역인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시판용 커피 원두가 보관되는 원두 박스가 수용된 상태로 판매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마트 폰의 카메라 위치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절취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부는, 점 영역, 선 영역 및 음양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커피 원두의 일부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양각 영역은. 상기 패턴부에 오목 새김 영역 및 볼록 새김 영역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 새김 영역에 상기 커피 원두를 배치되는 경우, 상기 커피 원두가 상기 패턴부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 방법은 상기 스마트 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커피 원두를 촬영하여, 상기 패턴부에 배치된 커피 원두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통해 상기 커피 원두의 색상을 분석하여,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을 획득하는 이미지 분석 단계; 및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의 획득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에 포함된 아그트론 수치 중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에 대응되는 아그트론 수치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아그트론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그트론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에 포함된 아그트론 수치 중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에 대응되는 아그트론 수치가 결정되면, 기 저장된 테이스트 범위 정보 중 상기 결정된 아그트론 수치를 포함하는 테이스트 범위 정보에 기반한 미감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경계면에 탈부착 가능한 밸런스 보정용 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보정용 카드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되는 빛의 색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폰의 카메라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되는 빛의 색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 내벽이 그레이(gray) 색상 및 화이트(white) 색상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는 고객에게 본체부 내면에 위치한 패턴부에 커피 원두를 배치하도록 하여, 스마트 폰을 통해 커피 원두의 미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커피 원두에 대한 고객의 구매 의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커피 전문점의 경우, 원두 박스를 수용하는 본체부와 스마트 폰을 통해 고객의 구매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저비용으로도 평균 이상의 수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커피 전문점의 경우, 본체부 내면에 위치한 패턴부를 큐알 코드로 구성하여, 고객이 스마트 폰을 통해 큐알 코드를 촬영할 시 커피 전문점에 대한 홍보물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스마트 폰을 통해 커피 원두의 미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고객의 기호에 적합한 커피 원두를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의 패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 방법의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커피 원두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110)는 본체부(110), 개방부(111), 가이드부(113) 및 패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내부 공간에 시판용 커피 원두가 보관되는 원두 박스가 수용된 상태로 판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커피 원두가 보관되는 원두 박스를 수용하는 포장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부(111)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개방부(111)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 일 영역에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상기 개방부(111)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 일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닌 상면, 하면 및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개방부(111)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 일 영역에서,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스마트 폰(101)의 카메라(103)를 통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103)의 배치 위치를 상기 개방부(111)가 위치한 영역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3)는 스마트 폰(101)의 카메라 영역(103)이 상기 개방부(111)가 위치한 영역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103)마다 지정된 촬영 영역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 일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13)의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가 절취되는 경우, 상기 개방부(111)의 크기는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부(115)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면 중 상기 개방부(111)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스마트 폰의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커피 원두의 일부를 배치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부(115)는 점 영역, 선 영역 및 음양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커피 원두의 일부를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15)는 상기 원두 박스에 보관된 커피 원두의 일부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상기 카메라(103)를 통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촬영할 시, 상기 내부 공간과 함께 촬영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패턴부(115)의 상기 점 영역 및 상기 선 영역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커피 원두의 배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부(111)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경계면에 탈부착 가능한 밸런스 보정용 카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보정용 카드는, 상기 스마트 폰(101)의 카메라(103)를 통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여, 상기 패턴부(115)에 위치한 커피 원두를 촬영할 때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스마트 폰(101)의 카메라(103) 렌즈에 입사되는 빛의 색 온도(color temperature)는 하나의 색상으로 편중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3)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는 빛의 색 온도가 하나의 색상으로 편중되어 레드 컬러, 블루 컬러, 엘로우 컬러가 반영되어 정확한 커피 원두의 색상을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밸러스 보정용 카드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의 색 온도를 조절해 상기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패턴부(115)에 위치한 커피 원두의 색을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밸런스 보정용 카드는 그레이(gray) 색상 또는 화이트(white)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빛의 색 온도를 조절 가능한 색상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의 내벽은 그레이(gray) 색상 및 화이트(white) 색상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101)의 카메라(103)가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113)에 의해 상기 개방부(111)가 위치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3)가 상기 내부 공간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의 내벽이 그레이(gray) 색상 또는 화이트(white) 색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메라(103)의 렌즈에 입사되는 빛의 색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103)의 화이트 밸런스가 조정되어, 상기 카메라(103)가 상기 내부 공간 내의 패턴부(115)에 위치한 커피 원두의 색을 명확하게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210)는 가이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215)는 개방부(211)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본체부(210)의 전면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5)는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스마트 폰(예: 도 1의 스마트 폰(101))의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103))를 통해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 공간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배치를 상기 개방부(211)가 위치한 영역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215)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서, 상기 개방부(211)를 포함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5)에 의해 상기 개방부(211)가 위치한 영역에 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 스마트 폰의 카메라의 크기를 상이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을 촬영 시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의 내면에 위치하는 패턴부(213)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내면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배치 위치를 효율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215)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215)는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스마트 폰의 카메라 위치에 따라 절취되거나 접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5)는 절취 또는 접힘에 따라, 개방부(215)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가이드부(215)가 상기 본체부(210)의 전면 하측 방향으로 여러 개 위치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본체부(210)의 전면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의 패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패턴부(300)는 점 영역(301) 및 선 영역(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 영역(301) 및 상기 선 영역(303)은 본체부(예: 도 1의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원두 박스에 보관된 커피 원두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 영역(303) 및 상기 선 영역(303)은 연속적으로 연속되거나 절단되어 특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 영역(303) 및 상기 선 영역(303)은 큐-알 코드(QR-code)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 영역(303) 및 상기 선 영역(303)이 큐-알 코드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마트 폰(예: 도 1의 스마트 폰))의 카메라가 상기 큐-알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폰은 지정된 웹 페이지(예: 커피 전문점 홈페이지)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아그트론 수치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하기 위한 링크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알 코드는 커피 전문점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 정보 또는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고객이 스마트 폰을 통해 상기 큐-알 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에 포함된 원두 박스를 구매하기 위한 구매 프로세스 화면이 상기 스마트 폰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점 영역(303) 및 상기 선 영역(303)을 통해 배치되는 커피 원두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원두마다 크기가 상이하므로, 상기 패턴부(300)는 배치되는 커피 원두가 패턴부 외부 영역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점 영역(301) 및 상기 선 영역(303)을 통해 상기 커피 원두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부(300)는 음양각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양각 영역은 볼록 새김 영역(305) 및 오목 새김 영역(30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양각 영역은, 상기 원두 박스에 보관된 커피 원두가 분쇄된 상태인 경우, 상기 오목 새김 영역(307)에 상기 분쇄된 커피 원두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분쇄된 커피 원두는 오목 새김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로 삽입되고, 상기 볼록 새김 영역(30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패턴부(300)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양각 영역은 상기 점 영역(303) 및 상기 선 영역(303)과 같이, 큐-알 코드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양각 영역은 커피 전문점의 로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예: 도 1의 본체부(110)) 도장 절취선을 별도로 형성하고 있어, 상기 도장 절취선에 따라 접혀지거나 절단되는 경우, 도장의 몸체에 해당되는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음양각 영역은 상기 커피 전문점의 로고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장의 몸체 하단 부분에 부착되어 해당 커피 전문점의 로고 형상을 가지는 도장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점 영역(303) 및 상기 선 영역(303)으로 큐-알 코드의 형태를 구성하되, 큐-알 코드의 색상을 회색 및 검정색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을 활용한 특별한 디자인(예: 로고(logo))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점 영역(303) 및 상기 선 영역(303)뿐만 아니라 상기 음양각 영역으로 큐-알 코드의 형태를 구성하여, 큐-알 코드의 색상을 회색 및 검정색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을 활용한 특별한 디자인(예: 로고(logo))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300)의 색상은 상기 스마트 폰이 큐-알 코드를 촬영하여, 상기 큐-알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 가능하면,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예: 도 1의 스마트 폰(101))은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103))를 통해 본체부(예: 도 1의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을 촬영 시,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위치한 패턴부(예: 도 1의 패턴부(113))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커피 원두가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커피 원두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원두 박스에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401 단계(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패턴부에 배치된 커피 원두를 촬영하여, 커피 원두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아그트론 수치는 커피 원두의 로스팅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수치로써, 커피 원두의 색을 분석하여 결정되는 수치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에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폰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에 아그트론 숯를 측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패턴부(예: 큐알코드의 형상)의 형상을 인식하여, 인식한 형상에 대응되는 링크(link)로 접속하여, 상기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S403 단계(이미지 분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획득된 이미지 정보(403a)를 통해 상기 커피 원두의 색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커피 원두의 색상을 분석하여,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획득된 RGB 값을 명도로 변환하여, 커피 원두의 로스팅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RGB 값의 획득이 완료되면, S405 단계(아그트론 정보 제공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이미지 분석 단계에서 커피 원두의 RGB 값을 획득하는 경우,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에 포함된 아그트론 수치 중 획득된 RGB 값에 대응되는 아그트론 수치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은 커피 원두의 RGB 값마다 지정되어 있는 아그트론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RGB 값의 획득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에 포함된 아그트론 수치 정보 중 상기 획득된 RGB 값에 대응되는 아그트론 수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405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에 포함된 아그트론 수치 정보 중 상기 획득된 RGB 값에 대응되는 아그트론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경우, 기 저장된 테이스트 범위 정보 중 상기 결정된 아그트론 수치 정보에 대응하는 테이스트 범위 정보에 기반한 미감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테이스트 범위 정보는 각각의 아그트론 수치를 복수 개의 범위 구간에 포함시킨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은 25번부터 95까지의 아그트론 수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테이스트 범위 정보는 제1 범위(24번 내지 34번(약배전)), 제2 범위(35번 내지 44번(중약배전)), 제3 범위(45번 내지 54번(중배전)), 제4 범위(55번 내지 64번(강중배전)), 제5 범위(65번 내지 74번(약강배전)), 제6 범위(75번 내지 84번(강배전)) 및 제7 범위(85번 내지 95(최강배전))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각각의 범위마다 미감 정보가 매칭되어 있어, 상기 결정된 아그트론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스트 범위에 매칭된 미감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미감 정보는 각각의 테이스트 범위마다 매칭되어 있는 커피 원두의 맛과 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계에 매칭되어 있는 미감 정보에서 제1 범위는 신맛이 강한 단계, 제2 범위는 신맛에 쓴맛이 가미된 단계, 제3 범위는 신맛이 엷어지며 단맛이 나는 단계, 제4 범위는 균형 잡힌 맛과 강한 느낌의 향미가 느껴지는 단계, 제5 범위는 신맛이 거의 없어지고 쓴맛과 단맛, 진한 맛이 살아나는 단계, 제6 범위는 쓴맛이 진해지면서 진한 커피맛과 중후한 뒷맛이 강조되는 단계, 제7 범위는 쓴맛과 진한맛이 정점에 달하는 단계와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폰은 영상 분석을 통해 커피 원두의 색을 분석하여, 분석된 커피 원두의 색에 기반한 상기 미감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커피 원두 맛이 쓴맛, 신맛, 단맛, 고소한 맛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피 원두의 미감 정보를 스마트 폰을 통해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카메라와 출력 수단 및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전자 장치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 방법의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예: 도 1의 스마트 폰(101))은 출력 수단을 통해 미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은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103))을 통해 본체부(예: 도 1의 본체부(110))의 내면에 위치한 패턴부(예: 도 1의 패턴부(113))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패턴부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패턴부에 배치된 커피 원두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커피 원두의 RGB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획득된 RGB 값에 대응되는 아그트론 수치를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에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아그트론 수치의 획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아그트론 수치를 포함하는 테이스트 범위 정보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테이스트 범위 정보와 매칭된 미감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은 출력 수단을 통해 결과 화면(50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결과 화면 내에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 정보(501a),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색상 정보(501b) 및 커피 원두의 미감 정보(501c)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폰이 획득한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가 85레벨인 경우, 상기 결과 화면(501) 내에 85레벨의 아그트론 수치 정보(501a)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은 85레벨에 해댕되는 아그트론 색상 정보(501b)를 출력하면서, 상기 아그트론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스트 범위 정보에 매칭된 미감 정보(501c)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영역인 개방부;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 영역에서,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스마트 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배치 위치를 상기 개방부가 위치한 영역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면 중 상기 개방부에 배치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커피 원두의 일부를 배치 가능한 영역인 패턴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턴부는,
    점 영역, 선 영역 및 음양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커피 원두의 일부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시판용 커피 원두가 보관되는 원두 박스가 수용된 상태로 판매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마트 폰의 카메라 위치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점 및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절취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양각 영역은.
    상기 패턴부에 오목 새김 영역 및 볼록 새김 영역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 새김 영역에 상기 커피 원두를 배치되는 경우, 상기 커피 원두가 상기 패턴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커피 원두를 촬영하여, 상기 패턴부에 배치된 커피 원두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커피 원두의 아그트론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통해 상기 커피 원두의 색상을 분석하여,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을 획득하는 이미지 분석 단계; 및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의 획득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에 포함된 아그트론 수치 중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에 대응되는 아그트론 수치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아그트론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그트론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아그트론 수치 테이블에 포함된 아그트론 수치 중 상기 커피 원두의 RGB 값에 대응되는 아그트론 수치가 결정되면, 기 저장된 테이스트 범위 정보 중 상기 결정된 아그트론 수치를 포함하는 테이스트 범위 정보에 기반한 미감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경계면에 탈부착 가능한 밸런스 보정용 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보정용 카드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되는 빛의 색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폰의 카메라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되는 빛의 색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 내벽이 그레이(gray) 색상 및 화이트(white) 색상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KR1020210046037A 2021-04-08 2021-04-08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29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037A KR102296107B1 (ko) 2021-04-08 2021-04-08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037A KR102296107B1 (ko) 2021-04-08 2021-04-08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107B1 true KR102296107B1 (ko) 2021-08-31

Family

ID=7748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037A KR102296107B1 (ko) 2021-04-08 2021-04-08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22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마인드포지 콩을 분류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23A (ko) * 2017-07-28 2019-02-12 박준영 이종 코드와 결합되는 qr 코드,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2058501B1 (ko) * 2018-02-06 2019-12-23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이력관리를 위해 qr코드가 각인된 타이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이력 관리 방법
KR102150243B1 (ko) * 2019-07-05 2020-09-01 박순기 커피 로스팅 색도 측정 시스템과 그 측정 방법
KR20210035082A (ko) * 2018-08-07 2021-03-31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23A (ko) * 2017-07-28 2019-02-12 박준영 이종 코드와 결합되는 qr 코드,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2058501B1 (ko) * 2018-02-06 2019-12-23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이력관리를 위해 qr코드가 각인된 타이어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이력 관리 방법
KR20210035082A (ko) * 2018-08-07 2021-03-31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102150243B1 (ko) * 2019-07-05 2020-09-01 박순기 커피 로스팅 색도 측정 시스템과 그 측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22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마인드포지 콩을 분류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8941B2 (en) Sensor-synchronized spectrally-structured-light imaging
US2023008365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lor vision and quantifying color interpretation
US20160187199A1 (en) Sensor-synchronized spectrally-structured-light imaging
CN106954385B (zh) 植物信息取得系统、植物信息取得装置和植物信息取得方法
US9345099B2 (en) Color emphasis and preservation of objects using reflection spectra
Jacobson et al. Design goals and solutions for display of hyperspectral images
CN109313832B (zh) 成像系统和成像方法
KR102296107B1 (ko) 커피 원두의 영상 분석을 통한 미감 측정용 디바이스 및 방법
US2016030704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Labels for Evaluation of Produce and Other Foods
CN108985873A (zh) 化妆品推荐方法、存储有程序的记录介质、为实现其的计算机程序以及化妆品推荐系统
KR20190129064A (ko) 맞춤형 국소제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21532458A (ja) カスタム外用薬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863279B2 (ja) 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416852B (zh) 成像系统和成像方法
JP6662570B2 (ja) 植物情報取得システム、植物情報取得装置および植物情報取得方法
CN105973466A (zh) 用于光谱检测的方法和终端
JP2017125705A (ja) 植物情報取得システム、植物情報取得装置、植物情報取得方法、作物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物管理方法
CN108351970A (zh) 毛发直径测量
CN108351969A (zh) 毛发卷曲测量
Yang et al. Identification of the geographic origin of peaches by VIS-NIR spectroscopy, fluorescence spectroscopy an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JP2002005842A (ja) 非接触検出装置
Laddi et al. Discrimination analysis of Indian tea varieties based upon color under optimum illumination
US202401047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palette analysis and creation
Steven Tea leaf pest detec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 METHOD IN PTPN IV unit bah butong
Bhatti et al. Cell phones as imaging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