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930A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930A
KR20210032930A KR1020207034486A KR20207034486A KR20210032930A KR 20210032930 A KR20210032930 A KR 20210032930A KR 1020207034486 A KR1020207034486 A KR 1020207034486A KR 20207034486 A KR20207034486 A KR 20207034486A KR 20210032930 A KR20210032930 A KR 20210032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volume
pressure vessel
container
milli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도 외브게즈
Original Assignee
아닥 메탈 베버리지 홀딩스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닥 메탈 베버리지 홀딩스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닥 메탈 베버리지 홀딩스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3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effervescing the liquids, e.g. for forming bubbles or be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 B65D15/1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5/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with end walls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Abstract

바닥(4), 뚜껑(5), 및 상기 바닥(4)을 상기 뚜껑(5)에 연결하는 벽 영역(6)을 가진 하우징(3)을 적어도 포함한 음료 용기(1)에서; 상기 음료 용기(1)는 액체(9)로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는 제 1 볼륨(7)을 가지고; 상기 음료 용기(1)는 제 3 볼륨(11)을 가진 압력 용기(10)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압력 용기는 상기 제 1 볼륨(7)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용기(10)는 제 1 볼륨(7)과 제 3 볼륨(11)을 연결하고 0.2 밀리미터 미만의 직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개구(12)를 가진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본 발명은 음료 용기, 특히 (금속) 음료 캔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는 내용물, 예를 들어 액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폐쇄 상태(시작 상태)에서 음료 용기는 주변에 대해 또는 대략 1 bar의 대기압에 대해 양압 하에 있다.
탄소 함량(carbonized content)을 가진 음료 캔 같은 경우, 처음 개봉 전에 음료 용기가 최대 6.2 bar의 내부 압력 하에 있을 수 있다.
EP 0 227 213 A2는 압력 용기(위젯, widget)가 음료 용기 내부에 배치된 음료 용기를 개시한다. 음료 용기가 열리면 용기의 개구를 빠져나가 음료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거품으로 만드는 가스가 압력 용기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가스가 불활성 가스 및 가능하면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불활성 가스는 예를 들어 질소이다. 압력 용기는 음료 용기의 바닥 영역에 배치되어 압력 용기를 빠져나가 액체 속으로 가스가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액체에서 거품을 유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압력 용기는 액체에 완전히 잠기도록 배치된다. 적어도 0.2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진 용기의 개구가 설명된다.
압력 용기는 음료 용기에 제공된 액체의 볼륨을 줄인다.
그러한 음료 용기를 개선하고 액체가 가능한 한 균일하고 일관되게 거품을 일으키도록 배치해야 할 지속적인 요구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현존하는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고, 특히 가능한 한 균일하고 일관된 액체의 거품 또는 안정된 거품을 실현할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액체가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음료 용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볼륨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음료 용기의 추가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명시된다. 종속항에 개별적으로 나열된 특징이 기술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청구 범위에 주어진 특징은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시된 설명에서 보다 완전하게 명시되고 설명된다.
바닥, 뚜껑 및 바닥을 뚜껑에 연결하는 (원통형) 벽 영역을 가진 하우징(시작 상태에서 밀봉됨)을 적어도 포함하는 (금속) 음료 용기가 제안된다. 음료 용기는 액체(액체의 제 2 볼륨)로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는(또는 시작 상태에서 채워질 수 있는) 제 1 볼륨을 가진다. 음료 용기는 제 3 볼륨을 가진 압력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압력 용기는 제 1 볼륨에 배치되고, 여기서
● 압력 용기는 제 1 볼륨과 제 3 볼륨을 연결하고 직경이 0.2 밀리미터 미만, 특히 0.18 밀리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0.15 밀리미터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2 밀리미터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밀리미터 이하(특히 적어도 0.05 밀리미터)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고; 그리고/또는
● 제 1 볼륨은 축 방향을 따라 바닥과 뚜껑 사이에서 최고 높이를 가지며, 압력 용기는 최고 높이의,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7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인 축 방향을 따른 길이를, 제 1 말단부와 제 2 말단부 사이에서 가진다.
시작 상태에서, 음료 용기는 특히 주변의 제 2 압력보다 큰 제 1 압력 하에 있다(특히 제 2 압력은 최대 1.1 bar이고, 제 2 압력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2.5 bar이다). 음료 용기가 시작 상태에 있는 한, 볼륨(제 1 볼륨, 제 2 볼륨, 제 3 볼륨)의 압력은 특히 각 경우에 동일하다.
시작 상태에서, 압력 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로(가능하면 추가 부분적으로 액체로) 채워진다. 음료 용기가 개방되고 주변과 압력 균등화가 있을 때, 적어도 가스(및 가능하면 액체도)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액체로 제 3 볼륨을 빠져나간다.
음료 용기는 특히 음료 캔이다.
음료 용기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upright state)에서 중력 방향에 대해 바닥이 바닥에 있고 뚜껑이 상부에 있다. 특히, 벽 영역은 중력의 방향(음료 용기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에 평행한 축 방향(실질적으로)을 따라 바닥과 뚜껑 사이에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바닥과 뚜껑 주위에서 완전히 원주를 따라 연장된다.
제 1 볼륨은 특히 0.1 내지 5 리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3 리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리터이다.
제 2 볼륨은 특히 제 1 볼륨보다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작다.
제 3 볼륨은 특히 제 1 볼륨의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다.
특히, 제 2 볼륨과 제 3 볼륨의 합은 제 1 볼륨보다 적어도 1% 작다.
음료 용기의 개방은 일반적으로 뚜껑의 작동 가능한 개방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개방은 재폐쇄가 불가능하거나, 시작 상태에서 우세한 양압은 개방을 재폐쇄하여 재확립할 수 없다.
놀랍게도 거품 형성이 비교적 작은 개구에 의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압력 용기에 있는 가스는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배출되어 보다 균일한 거품 형성이 관찰될 수 있다. 더욱이, 액체의 기포 형성은 전체적으로 더 균질하고 또한 더 안정적인 거품이 발생될 수 있도록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더 나은 거품 형성으로 인해 제 3 볼륨을 더 줄일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지금까지 요구되는 거품 형성을 달성하기 위해 압력 용기에 더 적은 양의 가스가 필요하다. 이에 상응하여, 더 많은 액체가 음료 용기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제 2 볼륨은 증가되고 제 3 볼륨은 감소될 수 있다.
압력 용기는 복수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모든 개구는 0.2 밀리미터 미만, 특히 0.18 밀리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0.15 밀리미터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2 밀리미터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밀리미터 이하(특히 적어도 0.05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진다. 복수의 개구의 제공은 거품 형성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로써, 특히 비교적으로 큰 서브-볼륨의 액체, 다시 말하면, 제 2 볼륨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음료 용기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2 개는 서로 상이한 다른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음료 용기는 특히 축 방향을 따라 바닥으로부터 뚜껑을 향해 연장된다. 축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벽 영역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특히, 음료 용기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구성이며, 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 또는 대칭축을 (예를 들어 뚜껑의 구조와는 별개로, 예를 들어 제 1 볼륨을 개폐하기 위해) 가진다.
높이는 특히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바닥 영역의 제 1 볼륨의 최저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뚜껑 영역의 최고 지점을 향한다. 축 방향을 따라 측정된, 최저 지점과 최고 지점 사이의 거리는 최고 높이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개구가 위치한 높이의 값은 높이 위치로 지칭된다.
특히, 음료 용기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2 개는 상기 높이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제 1 볼륨은 특히 축 방향을 따라 바닥과 뚜껑 사이에서 최고 높이를 가지며, 압력 용기는 최고 높이의,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7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인 축 방향을 따른 길이를, 제 1 말단부와 제 2 말단부 사이에서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길이는 최고 높이의 적어도 90% 또는 심지어 적어도 95% 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는 최고 높이의 98% 또는 심지어 거의 100%(예를 들어, 적어도 99.5%)이다.
특히, 음료 용기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압력 용기의 제 3 볼륨은 뚜껑에 인접한 상단 영역으로 위를 향해 연장되고, 상단 영역은 액체의 미리 결정된 충전 레벨 위에 위치된다.
제 3 볼륨이 상단 영역으로 돌출함으로써, 제 2 볼륨이 제 1 볼륨에 대해 더욱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음료 용기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 1 볼륨은 적어도 하나의 최저 지점을 가진다. 압력 용기의 제 3 볼륨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최저 지점으로부터, 최대 10 밀리미터, 특히 최대 8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6 밀리미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4 밀리미터로 배치되도록 바닥에 인접한 하단 영역으로 아래를 향해 연장된다. 특히, 압력 용기의 벽 두께에 의해 적어도 미리 결정되는 최저 지점으로부터 짧은 거리가 필요하다.
음료 용기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가스-충전 압력 용기는 일반적으로 바닥에 대해 그리고 벽 영역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었다. 여기에서, 이러한 압력 용기는 바닥에 맞닿아(in abutment)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제 1 볼륨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가능하면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다. 구부러진 바닥의 배치는 필연적으로 압력 용기의 개구가 제 1 볼륨의 최저 지점으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배치된다는 사실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는 지금까지 음료 용기에 저장된 액체의 비교적 작은 서브-볼륨이 단지 거품 형성을 위해 자극될 수 있었음을 의미했다.
그러나, 높이를 따라 연장되는 현재 제안된 압력 용기는 반경 방향으로 그의 비교적 작은 범위로 인해, 바닥에 대해 또는 제 1 볼륨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압력 용기가 특히 벽 영역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음료 용기의 코어 베벨(core bevel)(통상적으로 구부려진 바닥 주위로 연장되는 음료 용기의 최저 에지)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최저 지점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배치함은 적어도 가스가 압력 용기로부터 흘러나옴의 결과로, 비교적으로 큰 서브-볼륨의 제 2 볼륨이 자극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압력 용기는 음료 용기의 양쪽 코어 베벨로 연장되어 코어 베벨에 의해 적어도 반경 방향에 대해 그 위치에 고정된다(다시 말하면, 양쪽 코어 베벨로 연장됨).
특히, 적어도 한쪽 말단부, 바람직하게는 양쪽 말단부에서, 압력 용기는 (특히 배타적으로) 음료 용기에 의해(바람직하게는 코어 베벨에 의해 또는 양쪽 코어 베벨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압력 용기는 원주 방향과 관련하여 코어 베벨, 또한 제 1 볼륨 그 위치에 고정된다.
특히, 압력 용기는 적어도 제 1 말단부 또는 제 2 말단부로 음료 용기의 벽(예를 들어 바닥, 뚜껑 또는 벽 영역)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적어도 축 방향에 대해, 맞닿음부(abutment)가 말단부와 벽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압력 용기는, 축 방향을 따른 압력 용기의 추가 변위가 반경 방향으로 또는 원주 방향으로 압력 용기의 벽-접촉 말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변위를 강제하는 방식으로 벽에 대해 배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접은 특히 말단부가 벽으로부터 최대 2 밀리미터의 거리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또 바로 인접함은 말단부가 벽과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양쪽 말단부는 각각의 경우 벽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축 방향을 따른 압력 용기의 추가 이동이 적어도 제한된다.
이로써, 특히 음료 용기에 대한 압력 용기의 이동의 결과로 압력 용기가 해제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압력 용기는 (제 1 말단부와 제 2 말단부 사이)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원통형 형상의 직경은 최대 20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밀리미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3 밀리미터이다. 특히, 상기 직경은 적어도 5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밀리미터이다.
압력 용기는 특히 최대 0.4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0.3 밀리미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25 밀리미터의 벽 두께를 가진다.
압력 용기에 사용되는 재료는 특히 플라스틱, 특히 PP(폴리프로필렌)를 포함한다. 특히, 압력 용기는 하우징과는 상이한 재료로 제작된다.
특히, 압력 용기는, 특히 시작 상태에서 양측 상에 개구 말단부를 가진(예를 들어 빨대 또는 마시는 빨대의 방식으로) (원통형) 튜브로부터 만들어진다. 압력 용기를 만들기 위해, 튜브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고, 그 후 또는 동시에 상기 길이로 절단된 튜브의 말단부는 폐쇄된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된다.
특히, 개구는 예를 들어 니들을 사용하여 뚫어지고, 다시 말해 천공된다. 0.1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진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0.14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진 니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구의 더 작은 직경은 천공 동작 동안 용기 재료의 부분적인 탄성 변형으로 인해 발생한다.
개구의 천공은 특히 요구되는 많은 수의 부품에 대해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펀칭 프로세스에 의해 개구가 형성되는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공지된 용기와 비교하여, 천공은 비교적 작은 개구가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도록 한다.
특히, 제 3 볼륨을 가진 압력 용기는 벽 영역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압력 용기는 강제 맞춤 방식(force-fitting manner)으로 배타적으로 제 1 볼륨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음료 용기에 용기를 고정함은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음료 용기 생산에서 비용 팩터를 나타내기도 하는 식품-안전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대안적으로, 압력 용기는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일체로 접합된 방식으로 음료 용기의 벽에(특히 벽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압력 용기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음료 용기의 벽에(특히 벽 영역에) 연결될 수 있으며, 압력 용기는, 예를 들어 음료 용기의 코어 베벨로 연장하여 적어도 반경 방향에 대해 그 위치에 추가로 고정되거나, 심지어 강제 맞춤 방식으로 그 위치에 (예를 들어, 적어도 탄성 변형의 결과로, 또는 유지(retaining) 요소에 의해) 고정된다.
압력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에 의해 제 1 볼륨의 위치에 고정된다. 유지 요소, 예를 들어, 필름 스트립은 압력 용기와 함께 음료 용기에 배치되기 전에 압력 용기에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접착제 접합, 일체 성형 등에 의해) 연결된다. 유지 요소는 특히 변형된 상태로 음료 용기에 도입되며,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탄성 변형된다. 특히, 유지 요소 그 자체는 음료 용기의 벽, 바람직하게는 벽 영역에 대항하여 위치하고 유지 요소의 추가 존재 프리텐셔닝(pretensioning)에 의해 압력 용기를 고정한다. 프리텐셔닝은 특히 유지 요소가 강제 맞춤 방식으로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한다.
음료 용기 및 압력 용기의 충전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 뚜껑없이 하우징을 제공함;
● 압력 용기에 개구부를 제공하되; 적절한 경우 유지 요소와 함께 제공함
● 하우징에 압력 용기를 배치하되; 적절한 경우 유지 요소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배치함;
● 액체로 하우징을 채움(제 2 볼륨);
●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적절한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화)로 하우징을 채움(특히 제 2 볼륨으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제 1 볼륨까지);
● 뚜껑으로 하우징을 (기밀하게) 닫고 음료 용기를 형성함;
● 바닥이 (중력의 방향에 대해) 위쪽을 향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액체를 갖는 제 1 볼륨의 충전 레벨 위에 배치되도록 음료 용기를 뒤집음;
● 가열의 결과로 닫힌 음료 용기에서 팽창하는 불활성 가스로 개구를 통해 압력 용기를 채움;
● 시작 상태에서 음료 용기를 제공함.
이미 설명된 음료 용기에 배치하기 위한 압력 용기가 제안되며, 압력 용기는 0.2 밀리미터 미만의 직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진다.
특히, 압력 용기는 제 3 볼륨 외부로 연장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를 추가로 가지고, 유지 요소가 프리텐셔닝 하에 압력 용기를 위해 제공된 음료 용기의 벽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음료 용기와 관련된 진술은 압력 용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방 대책으로 여기에 사용된 서수("제 1", "제 2", "제 3",…)가 주로(단지) 다수의 유사한 대상, 변수 또는 프로세스를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 다시 말해, 특히 이러한 대상, 변수 또는 프로세스의 임의의 종속성 및/또는 시퀀스를 반드시 명시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언급해야 한다. 임의의 의존성 및/또는 시퀀스가 요구되는 경우, 이는 여기에 명확하게 명시되거나 구체적으로 설명된 실시예를 연구함에 있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 및 기술 분야는 도면을 통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나타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설명된 상황의 부분적인 관점을 분리하고, 이들을 본 설명 및/또는 도면으로부터의 다른 구성 요소 및 통찰력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한 참조 기호는 동일한 대상을 나타내므로 적절한 경우 상이한 도면으로부터 보충적인 설명이 그려질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뚜껑이 없는 음료 용기, 압력 용기 및 유지 요소를 각각의 경우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압력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튜브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유지 요소와 함께 압력 용기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는 조립 동안 도 3에 따른 압력 용기와 함께 도 1에 따른 음료 용기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는 조립된 압력 용기와 함께 도 4에 따른 음료 용기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6은 유지 요소 없이 압력 용기와 함께 음료 용기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7은 시작 상태의 음료 용기를 측면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뚜껑(5)이 없는 음료 용기(1), 압력 용기(10) 및 유지 요소(29)를 각각의 경우 사시도로 도시한다.
여기서 음료 용기(1)는 바닥(4), 및 바닥(4)을 뚜껑(5)에 연결하는 원통형 벽 영역(6)을 가진 하우징(3)을 포함한다(도 7 참조). 음료 용기(1)는 액체(9)의 제 2 볼륨(8)으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제 1 볼륨(7)을 가진다.
음료 용기(1)는 축 방향(16)을 따라 바닥(4)으로부터 뚜껑(5)을 향해 연장된다. 축 방향(16)은 원통형 벽 영역(6)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음료 용기(1)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구성이고, 축 방향(1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 또는 대칭축을 (예를 들어, 제 1 볼륨(7) 등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의 구조와는 별개로) 가진다.
압력 용기(10)는 축 방향(16)을 따라 제 1 말단부(18)로부터 길이(20)에 걸쳐 제 2 말단부(19)를 향해 연장된다. 압력 용기(10)는 0.2 밀리미터 미만의 직경을 가진 (원형) 개구(12)를 가진다.
압력 용기(10)는 제 1 말단부(18)와 제 2 말단부(19) 사이의 축 방향(16)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 형상(27)을 가지며, 원통형 형상(27)의 직경은 최대 20 밀리미터이다.
추가적으로, 압력 용기(10)의 제 3 볼륨(11)의 외부로 연장되고 유지 요소(29)가 프리텐셔닝 하에 압력 용기(10)를 위해 제공된 음료 용기(1)의 벽(25)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29)가 제공된다.
도 2는 압력 용기(10)를 제조하기 위한 튜브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압력 용기(10)는 시작 상태에서 양측 상에 개방 말단부를 가진 원통형 튜브로부터(예를 들어 빨대 또는 마시는 빨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압력 용기(10)를 만들기 위해, 튜브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다음 또는 동시에 상기 길이로 절단된 튜브의 말단부들이 폐쇄된다. 마지막으로, 또는 길이로 절단하기 전에, 개구(12)가 형성된다.
도 3은 유지 요소(29)와 함께 압력 용기(10)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유지 요소(29), 예를 들어, 필름 스트립은 음료 용기(1)에 배치되기 전에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접착제 접합, 일체 성형 등에 의해) 압력 용기(10)에 연결된다. 유지 요소(29)는 예시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음료 용기(1)에 도입되고,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탄성 변형된다.
도 4는 조립 동안 도 3에 따른 압력 용기(10)와 함께 도 1에 따른 음료 용기(1)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유지 요소(29)는 예시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음료 용기(1)에 도입되고,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탄성 변형된다(도 5 참조).
도 5는 조립된 압력 용기(10)와 함께 도 4에 따른 음료 용기(1)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유지 요소(29) 그 자체는 음료 용기(1)의 벽(25), 여기서는 벽 영역(6)에 대항하여 위치하고, 유지 요소(29)의 추가 존재 프리텐셔닝에 의해 압력 용기(10)를 고정한다. 프리텐셔닝은 유지 요소(29)가 강제 맞춤 방식으로 음료 용기(1)에 연결되도록 한다. 압력 용기(1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29)에 의해 제 1 볼륨(7)에서 위치(28)에 고정된다.
도 6은 유지 요소(29) 없이 압력 용기(10)와 함께 음료 용기(1)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압력 용기(10)는 여기서 접착제(33)에 의해 벽 영역(6) 상의 위치(28)에 고정된다.
도 7은 시작 상태(2)의 음료 용기(1)를 측면도에서 도시한다. 시작 상태(2)에서, 음료 용기(1)는 바닥(4), 뚜껑(5) 및 바닥(4)을 뚜껑(5)에 연결하는 (원통형) 벽 영역(6)을 가진 밀봉된 하우징(3)을 가진다. 음료 용기(1)는 액체(9)의 제 2 볼륨(8)으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제 1 볼륨(7)을 가진다. 음료 용기(1)는 제 3 볼륨(11)를 가진 용기(1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제 1 볼륨(7)에 배치된다. 압력 용기(10)는 개구(12)를 가진다. 시작 상태(2)에서, 음료 용기(1)는 주변(13)의 제 2 압력보다 큰 제 1 압력 하에 있다. 시작 상태(2)에서, 압력 용기(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14)로(가능하면 추가 부분적으로 액체(9)로) 채워진다. 음료 용기(1)가 개방되고 주변(13)과 압력 균등화가 있을 때, 적어도 가스(14)는(그리고 가능하면 액체(9)도) 개구(12)를 통해 액체(9)로 제 3 볼륨(11)을 빠져나간다.
음료 용기(1)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 있을 때(여기에서 음료 용기(1)가 뚜껑(5) 상에 서있는 것으로 도시됨), 바닥(4)은 중력 방향에 대해 바닥에 있고 뚜껑(5)은 상부에 있다. 바닥(4)과 뚜껑(5) 사이의 벽 영역(6)은 중력의 방향에 평행한 축 방향(16)을 따라 연장되고(음료 용기(1)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 원주 방향(31)으로 바닥(4) 및 뚜껑(5) 주위에서 완전하게 원주를 따라(circumferentially) 연장된다.
높이(15)는 바닥(4)의 영역에서 제 1 볼륨(7)의 최저 지점(23)(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1)의 코어 베벨에 배치됨)으로부터 시작하여, 축 방향(16)을 따라 뚜껑(5)의 영역에서의 최고 지점(30)(특히 음료 용기(1)의 코어 베벨에 배치됨)을 향해 연장된다. 축 방향(16)을 따라 측정된, 최저 지점(23)과 최고 지점(30) 사이의 거리는 최고 높이(17)로 지칭된다. 개구(12)는 높이(15)의 높이 위치, 다시 말해 높이의 소정의 값에 배치된다.
음료 용기(1)가 도시된 바와 같이 똑바로 서있는(거꾸로 서있는) 상태에서, 압력 용기(10)의 제 3 볼륨(11)은 바닥(4)에 인접한 하단 영역(24)으로 위를 향해 연장되고, 하단 영역(24)은 액체(9)의 충전 레벨(22) 위에 위치한다.
압력 용기(10)의 제 3 볼륨(11)은 바닥(4)에 인접한 하단 영역(24)으로 위를 향해 연장되고, 그 결과 하나의 개구(12)는 축 방향(16)을 따라 최저 지점(23)으로부터 최대 5 밀리미터 떨어져 배치된다.
높이(15)를 따라 연장하는 현재 제안된 압력 용기(10)는 반경 방향(32)으로 비교적 작은 범위로 인해 바닥(4)에 대해 또는 제 1 볼륨(7)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압력 용기(10)가 벽 영역(6)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음료 용기(1)의 (바람직하게는 양쪽의) 코어 베벨(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려진 바닥(4) 주위로 연장되는 음료 용기(1)의 최저 에지; 마찬가지로, 음료 용기(1)의 최고 에지에, 다시 말해 뚜껑(5) 주위 또는 뚜껑(5)과 벽 영역(6) 사이의 -여기서는 환형- 연결부 주위에 형성될 수 있음)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최저 지점(23)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개구(12)를 배치함은 적어도 가스(14)가 압력 용기(10)를 빠져나가는 결과, 비교적 큰 서브-볼륨의 제 2 볼륨(8)이 자극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압력 용기(10)는 제 3 볼륨(11)으로 벽 영역(6)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압력 용기(10)는 각각의 경우에 음료 용기(1)의 벽(25)(예를 들어, 바닥(4), 뚜껑(5) 또는 벽 영역(6))에 바로 인접하여 제 1 말단부(18) 및 제 2 말단부(19)로 배치되고, 그 결과 축 방향(16)에 대해, 맞닿음부(abutment, 26)는 각각의 경우에서 말단부(18, 19)와 벽(25) 사이에서 형성된다. 이로써, 압력 용기(10)는, 축 방향(16)을 따른 압력 용기(10)의 추가 변위가 압력 용기(10)의 벽(25)-접촉 말단부(18, 19)의 적어도 하나의 변위를 반경 방향(32)으로 또는 원주 방향(31)으로 강제하는 방식으로, 벽(25)에 대해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압력 용기(10)는 적어도 반경 방향(32)에 대해 코어 베벨에서 그 위치(28)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용기(1) 및 압력 용기(10)의 충전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 뚜껑(5)없이 하우징(3)을 제공함(왼쪽 도 1 참조);
● 압력 용기(10)에 개구부(12)를 제공하되, 적절한 경우 유지 요소(29)와 함께 제공함(도 3 참조);
● 하우징(3)에 압력 용기(10)를 배치하되; 적절한 경우 유지 요소(29)에 의해(도 4 및 5 참조) 또는 예를 들어 접착제(33)를 사용하여(도 6 참조) 배치함;
● 액체(9)로 하우징(3)을 채움(제 2 볼륨(8));
●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14)(적절한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화)로 하우징(3)을 채움(특히 제 2 볼륨(8)으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제 1 볼륨(7)까지);
● 뚜껑(5)으로 하우징(3)을 (기밀하게) 닫고 음료 용기(1)를 형성함;
● 바닥(4)이 (중력의 방향에 대해) 위쪽을 향하도록 그리고 개구(12)가 액체(9)를 갖는 제 1 볼륨(7)의 충전 레벨(22) 위에 배치되도록 음료 용기(1)를 뒤집음(도 7 참조);
● 가열의 결과로 닫힌 음료 용기(1)에서 팽창하는 불활성 가스(14)로 개구(12)를 통해 압력 용기(10)를 채움(도 7 참조);
● 시작 상태(2)에서 음료 용기(1)를 제공함(도 7 참조).
1 음료 용기 2 시작 상태
3 하우징 4 바닥
5 뚜껑 6 벽 영역
7 제 1 볼륨 8 제 2 볼륨
9 액체 10 압력 용기
11 제 3 볼륨 12 개구
13 주변부 14 가스
15 높이 16 축 방향
17 최고 높이 18 제 1 말단부
19 제 2 말단부 20 길이
21 상단 영역 22 충전 레벨
23 최저 지점 24 하단 영역
25 벽 26 맞닿음부
27 형상 28 위치
29 유지 요소 30 최고 지점
31 원주 방향 32 반경 방향
33 접착제

Claims (14)

  1. 바닥(4), 뚜껑(5), 및 상기 바닥(4)을 상기 뚜껑(5)에 연결하는 벽 영역(6)을 가진 하우징(3)을 적어도 포함한 음료 용기(1)에 있어서,
    상기 음료 용기(1)는 액체(9)로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는 제 1 볼륨(7)을 가지고;
    상기 음료 용기(1)는 제 3 볼륨(11)을 가진 압력 용기(10)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압력 용기는 상기 제 1 볼륨(7)에 배치되며; 여기서,
    ● 상기 압력 용기(10)는, 상기 제 1 볼륨(7)과 제 3 볼륨(11)을 연결하고 0.2 밀리미터 미만의 직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개구(12)를 가지거나, 또는
    ● 상기 제 1 볼륨(7)은 축 방향(16)을 따라 상기 바닥(4)과 상기 뚜껑(5) 사이의 최고 높이(17)를 가지며;
    상기 용기(10)는 제 1 말단부(18)와 제 2 말단부(19) 사이에서, 상기 최고 높이(17)의 적어도 50%인, 상기 축 방향(16)을 따른 길이(20)를 가지는, 음료 용기(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복수의 개구(12)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개구(12) 모두는 0.2 밀리미터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음료 용기(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음료 용기(1)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12) 중 적어도 2 개는 높이(15)의 서로 상이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는, 음료 용기(1).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음료 용기(1)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12) 중 적어도 2 개는 높이(15)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는, 음료 용기(1).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 용기(1)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에서, 상기 압력 용기(10)의 제 3 볼륨(11)은 상기 액체(9)의 미리 결정된 충전 레벨(22) 위에 위치된 뚜껑(5)에 인접한 상단 영역(21)으로 위를 향해 연장되는, 음료 용기(1).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 용기(1)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볼륨(7)은 적어도 하나의 최저 지점(23)을 가지고;
    상기 압력 용기(10)의 제 3 볼륨(11)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12)가 상기 최저 지점(23)으로부터 최대 5 밀리미터 떨어져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4)에 인접한 하단 영역(24)으로 아래를 향해 연장되는, 음료 용기(1).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4), 상기 뚜껑(5) 및 상기 벽 영역(6)은 상기 음료 용기(1)의 벽(25)을 형성하고;
    상기 압력 용기(10)는 적어도 상기 제 1 말단부(18)로 또는 상기 제 2 말단부(19)로 상기 음료 용기(1)의 벽(25)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 결과 적어도 축 방향(16)에 대하여, 맞닿음부(26)가 상기 말단부(18, 19)와 상기 벽(25) 사이에서 형성되는, 음료 용기(1).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10)는 상기 축 방향(16)을 따른 원통형 형상(2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지며, 상기 원통형 형상(27)의 직경은 최대 20 밀리미터인, 음료 용기(1).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10)는 최대 0.4 밀리미터의 벽 두께를 가지는, 음료 용기(1).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볼륨(11)을 갖는 압력 용기(10)는 벽 영역(6)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음료 용기(1).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10)는 배타적으로 강제 맞춤 방식으로 상기 제 1 볼륨(7)에 고정되는, 음료 용기(1).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1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29)에 의해 위치(28)에서 상기 제 1 볼륨(7)에 고정되는, 음료 용기(1).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용기(1)에 배치되는 압력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10)는 0.2 밀리미터 미만의 직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개구(12)를 가지는, 압력 용기(10).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1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유지 요소(29)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유지 요소는 제 3 볼륨(11)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유지 요소(29)가 프리텐셔닝 하에 상기 용기(10)를 위해 제공된 음료 용기(1)의 벽(25)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압력 용기(10).
KR1020207034486A 2018-05-04 2019-03-22 음료 용기 KR20210032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0764.1A DE102018110764A1 (de) 2018-05-04 2018-05-04 Getränkebehälter
DE102018110764.1 2018-05-04
PCT/EP2019/057179 WO2019211042A1 (de) 2018-05-04 2019-03-22 Getränkebehä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930A true KR20210032930A (ko) 2021-03-25

Family

ID=6591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486A KR20210032930A (ko) 2018-05-04 2019-03-22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237966A1 (ko)
EP (1) EP3787986B1 (ko)
JP (1) JP2023524322A (ko)
KR (1) KR20210032930A (ko)
CN (1) CN112424090B (ko)
BR (1) BR112020022491B1 (ko)
DE (1) DE102018110764A1 (ko)
ES (1) ES2958911T3 (ko)
PL (1) PL3787986T3 (ko)
WO (1) WO2019211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2818A1 (de) 2019-05-16 2020-11-19 Ardagh Metal Beverage Holdings Gmbh & Co. Kg Getränkebehälter
DE102020125059B4 (de) 2020-09-25 2023-07-06 Ardagh Metal Packaging Europe Gmbh Getränkebehälter
DE102022129190A1 (de) 2022-11-04 2024-05-08 Ardagh Metal Packaging Europe Gmbh Behälter, Scheibenelement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ischen Behälte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7352A (ja) * 1985-03-20 1986-09-26 サントリー株式会社 泡発生具を内蔵するビ−ル容器
GB2183592B (en) 1985-11-29 1989-10-04 Guinness Son & Co Ltd A A beverage package and a method of packaging a beverage containing gas in solution
GB8915532D0 (en) * 1989-07-06 1989-08-23 Whitbread & Co Plc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 it
IE70665B1 (en) * 1989-11-22 1996-12-11 Whitbread & Co Plc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EP0537273B1 (en) * 1990-07-11 1996-04-17 Ernest James Cameron-Price Carbonated beverage package
GB2257107B (en) * 1991-06-25 1994-12-07 Guinness Brewing Worldwide A beverage package
GB9212464D0 (en) * 1992-06-12 1992-07-22 Allied Breweries Limited Foam production
GB2272199B (en) * 1992-11-10 1996-03-13 Guinness Brewing Worldwide A beverage package
GB2272417B (en) * 1992-11-10 1996-05-01 Guinness Brewing Worldwide A beverage package
GB2273917B (en) * 1992-11-19 1997-02-05 Wolverhampton And Dudley Brewe A beverage foaming device
NZ258991A (en) * 1992-12-23 1997-03-24 Courage Ltd Packaged beverage container; moulded plastics capsule secured near bottom of container and which foams beverage when dispensed
GB9312677D0 (en) * 1993-06-18 1993-08-04 Pyxis Limited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ting a filled beverage container
GB2279057B (en) * 1993-06-18 1996-08-14 Whitbread & Co Ltd Container with head enhancing insert
JP3585925B2 (ja) * 1993-08-12 2004-11-10 フィットブレッド ピーエルシー 飲料用容器
RU2116948C1 (ru) * 1993-09-18 1998-08-10 Басс ПЛС Герметичная открываемая емкость для жидкост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DE19638182A1 (de) * 1996-09-11 1998-03-12 Schmalbach Lubeca Behälter für ein unter Gasdruck stehendes Getränk
GB2458882A (en) * 2008-03-20 2009-10-07 Pa Knowledge Ltd Foaming Device
CN101948035B (zh) * 2010-09-13 2013-03-13 周允平 饮料喷射的控制装置和容器结构及其饮料喷射的控制方法
NL2012981B1 (en) * 2014-06-11 2017-01-17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system, beverage container and pressurizing system for use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or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24090A (zh) 2021-02-26
BR112020022491B1 (pt) 2024-01-02
BR112020022491A2 (pt) 2021-02-09
PL3787986T3 (pl) 2024-01-03
WO2019211042A1 (de) 2019-11-07
CN112424090B (zh) 2024-02-20
DE102018110764A1 (de) 2019-11-07
EP3787986B1 (de) 2023-07-05
JP2023524322A (ja) 2023-06-12
ES2958911T3 (es) 2024-02-16
EP3787986A1 (de) 2021-03-10
EP3787986C0 (de) 2023-07-05
US20210237966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2930A (ko) 음료 용기
JP3657914B2 (ja) 1回使用使い捨て型飲料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JP6629223B2 (ja) 飲料用カプセル
ES2533864T3 (es) Cápsulas para la obtención de infusiones tales como expreso o bebidas a partir de productos solubles en agua
US5979647A (en) Lid for container
US7331486B2 (en) Pump dispenser and cartridge
JP6062553B2 (ja) 飲料製造カプセルおよびカプセル製造方法
WO2012090743A1 (ja) 内容物提供装置
CN105473037B (zh) 容器
AU2014201947B2 (e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JP2009515778A (ja) 複数提供の還元液製品を順次生産するためのコンテナシステム
JP6065182B2 (ja) 容器
JP7431859B2 (ja) 飲料容器
RU2330798C2 (ru) Вкладыш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вмещающего жидкость под давлением
US20180312327A1 (en) Pouch reservoirs for casing used to dispense pressurized products and casings comprising same
JP7041127B2 (ja) 飲料生成用カプセル
ES2732781T3 (es) Cápsula reutilizable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y dispositivo de llenado para llenar una cápsula reutilizable de este tipo, así como procedimiento para preparar bebidas con una cápsula reutilizable de este tipo por medio de una máquina de bebidas de cápsulas
JP2015534471A (ja) 飲料製造カプセル
JP5477700B2 (ja) 注出容器
JP3989365B2 (ja) コンテナー用内袋。
JP4711207B2 (ja) カップ状容器
EP0147346A1 (fr) Sachet en matière synthétique souple comportant un élément rigide amovible servant d'élément de bouchage
KR102152221B1 (ko) 흡음용 스틱이 구비된 파우치
JP4274967B2 (ja) 注出口部材
JP5327789B2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