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000A -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및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및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000A
KR20210032000A KR1020217007199A KR20217007199A KR20210032000A KR 20210032000 A KR20210032000 A KR 20210032000A KR 1020217007199 A KR1020217007199 A KR 1020217007199A KR 20217007199 A KR20217007199 A KR 20217007199A KR 20210032000 A KR20210032000 A KR 20210032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wire electrode
flow path
branch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531B1 (ko
Inventor
타카시 미츠야스
요시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세이부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67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666770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29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7254736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부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부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5Wir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1Supply of work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8Used wire disposal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와이어 전극을 본래의 경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래의 경로를 따라 송출하는 것에 적합한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등을 제공한다. 전환부(9)는, 송입구(21)로부터 송출구(25)로부터 가공액을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을 송출한다. 롤러(23)는, 와이어 전극의 송출 방향을 전환한다. 분출부(27)는, 롤러(23)의 접촉면의 접선 방향으로 송출구(25)를 향해 가공액을 분출함으로써, 가공액의 흐름을 일으킨다. 한편, 롤러(23)의 접촉면을 따라, 송출구(25) 측으로부터 송입구(21) 측을 향한 가공액의 분기 유로가 존재한다. 흡입부(29)는, 이 분기 유로에 대해, 가공액의 압력에 응하여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및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본 발명은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및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 전극을 송출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에 있어서 와이어 전극을 송출할 때에, 예를 들면, 와이어 전극의 송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롤러에 와이어 전극이 휘감기는 것 등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유체 공급에 수반하여 롤러가 회전한 후에, 이 회전을 억제하여 롤러를 감속 또는 정지함으로써, 롤러에 있어서의 와이어 전극의 휘감김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5062384호 공보
그렇지만, 와이어 전극이 본래의 경로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와이어 전극이 롤러에 휘감기게 된다.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기술에 나타나 있듯이, 롤러를 회전시킨 후에 회전을 억제해도 롤러에 와이어 전극이 휘감기는 경우가 있었다.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전극이, 그 본래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입구(送入口)로부터 송출구(送出口)에 이르는 경로로 와이어 전극을 송출할 때에, 본래의 경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래의 경로로 송출하는 것에 적합한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1 관점은, 송입구로부터 송출구에 제1 유체를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을 송출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송입구로부터 상기 송출구에 이르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로부터 분기하는 분기 유로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유체에 대해서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2 관점은, 제1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3 관점은, 제1 또는 제2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송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없는 상기 롤러의 접촉면을 따른 유로이다.
본 출원 발명의 제4 관점은, 제1 내지 제3의 어느 것의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를 향해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와 상기 송출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소로부터 분기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5 관점은, 제1 내지 제4의 어느 것의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유체 공급부가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은, 상기 분기 유로가 분기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낮다.
본 출원 발명의 제6 관점은, 제1 내지 제5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7 관점은, 제6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일방향 밸브(valve)이며, 상기 제2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1 유체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8 관점은, 제6 또는 제7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은, 당해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에 상기 제1 유체가 채워진 상태로 상기 분출부가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송출구를 향해 분출함으로써 생긴 것이다.
본 출원 발명의 제9 관점은, 제1 내지 제8의 어느 것의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제1 유체는 액체이며, 상기 제2 유체는 기체이다.
본 출원 발명의 제10 관점은, 송입구로부터 송출구에 제1 유체를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을 송출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는,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가, 상기 송입구로부터 상기 송출구에 이르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로부터 분기하는 분기 유로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유체에 대해서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11 관점은, 제10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으로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12 관점은, 제10 또는 제11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송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없는 상기 롤러의 접촉면을 따른 유로이다.
본 출원 발명의 제13 관점은, 제10 내지 제12의 어느 것의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를 향해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와 상기 송출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소로부터 분기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14 관점은, 제10 내지 제13의 어느 것의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유체 공급부가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은, 상기 분기 유로가 분기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낮다.
본 출원 발명의 제15 관점은, 제10 내지 제14의 어느 것의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16 관점은, 제15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일방향 밸브(valve)이며, 상기 제2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1 유체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한다.
본 출원 발명의 제17 관점은, 제15 또는 제16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은, 당해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에 상기 제1 유체가 채워진 상태로 상기 분출부가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함으로써 생긴 것이다.
본 출원 발명의 제18 관점은, 제10 내지 제17의 어느 것의 관점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제1 유체는 액체이며, 상기 제2 유체는 기체이다.
또한, 본 출원 발명을 송입구로부터 송출구에 제1 유체를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을 송출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송출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와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로부터 분기하는 상기 제1 유체의 분기 유로에 대해,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에 응하여 제2 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파악해도 좋다.
본 출원 발명의 각 관점에 의하면, 유체 공급부가 분기 유로에 대해서 제2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와이어 전극을 그 경로를 따라 송출할 수가 있다.
본 출원 발명에 의하면, 분기 유로에 제1 유체에 더하여 제2 유체가 있는 상황에서는, 예를 들면, 제1 유체만이 있는 상황과 비교하여 제1 유체가 분기점으로부터 분기 유로로 흐르기 어려워지는 것 등에 의해, 와이어 전극이 분기점으로부터 분기 유로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출원 발명은 롤러에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했으면 한다.
도 1(a)는 본 출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b)는 전환부(9)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c)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환부(81)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환부(9)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환부(9)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서술한다. 또한, 본 출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1(a)는 본 출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b)는 전환부(9)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c)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와이어 방전 가공기(1)는, 상부(upper) 헤드부(3)와, 가공조(加工槽)(5)와, 하부(lower) 헤드부(7)와, 전환부(9)(본 출원 청구항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의 일례)와, 가이드 파이프(11)와, 회수부(回收部)(13)를 구비한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1)에서는, 상부 헤드부(3)와 하부 헤드부(7)는 이동하지 않는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1)는, 가공물(15)을 이동시키고, 와이어 전극(17)을 이용하여 가공물(15)을 방전 가공한다.
와이어 전극(17)은, 도시를 생략한 와이어 보빈(wire bobbin)으로부터, 각종 롤러 등을 경유하여 상부 헤드부(3)의 위에 인출되고, 아닐(anneal) 처리가 이루어져 상부 헤드부(3)에 이른다. 와이어 전극(17)은, 상부 헤드부(3)로부터 하방으로 송출되어 하부 헤드부(7)에 이르고, 더 하방으로 송출된다. 전환부(9)는, 와이어 전극의 이동 방향(송출 방향)을 하향으로부터 우향으로 전환한다. 와이어 전극(17)은, 가이드 파이프(11)를 지나서 회수부(13)에서 회수된다.
도 1(b)는 전환부(9)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전환부(9)는, 송입구(21)(본 출원 청구항의 「송입구」의 일례)와, 롤러(roller)(23)(본 출원 청구항의 「롤러」의 일례)와, 송출구(25)(본 출원 청구항의 「송출구」의 일례)와, 분출부(27)(본 출원 청구항의 「분출부」의 일례)와, 흡입부(29)(본 출원 청구항의 「유체 공급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전환부(9)의 구체적인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c)를 참조하여 도 1(a)의 와이어 방전 가공기(1)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가공조(5)에 가공액을 주입하여, 하부 헤드부(7) 및 전환부(9)를 가공액(본 출원 청구항의 「제1 유체」의 일례)으로 채운다(스텝 ST1). 전환부(9)는, 가공조(5)의 밖에 있기 때문에, 송입구(21)로부터 송출구(25)까지 가공액이 누설되지 않는 구조이다.
분출부(27)는, 롤러(23)의 접선 방향으로 송출구(25)를 향해 가공액의 분출을 개시한다(스텝 ST2). 롤러(2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환부(9)를 채우는 가공액에는 여러 가지 압력이 생긴다.
흡입부(29)는, 가공액의 압력에 응하여 공기(본 출원 청구항의 「제2 유체」의 일례)를 롤러(23)의 접촉면과 케이스와의 간극에 공급한다(스텝 ST3). 여기서, 접촉면은, 롤러(23)와 와이어 전극이 접촉하는 면이다. 케이스는, 적어도 롤러(23)의 접촉면 중에서,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없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다.
전환부(9)는, 와이어 전극(17)을, 송입구(21)로부터 하강시키고, 롤러(23)에 의해 방향을 하향으로부터 우향으로 전환하여, 송출구(25)로 송출한다(스텝 ST4).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환부(81)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환부(81)는, 송입구(83)와, 롤러(85)와, 송출구(87)와, 분출부(89)를 구비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환부(81)에 있어서, 분출부(89)는, 롤러(85)의 접선 방향으로 송출구(87)을 향해 가공액을 분출한다. 롤러(8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송입구(83)의 하방을 부압부(負壓部)(91)라고 한다. 롤러(85)의 하방을 고압부(高壓部)(93)라고 한다.
도 2(c)에 나타나 있듯이, 분출부(89)로부터 분출된 가공액에는 2개의 유로가 존재한다. 1개는 분출부(89)로부터 송출구(87)로 가공액이 이동하는 유로이다. 또 1개는 이 유로로부터 분기하여, 가공액이, 롤러(85)의 접촉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고압부(93)로부터 부압부(91)로 이동하는 유로이다. 고압부(93)는, 분출부(89)로부터 분출된 가공액의 유로가 분기하는 개소이다.
도 2(d)를 참조하여 송입구(83)로부터 송입된 와이어 전극은, 부압부(91)에 의해 하방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제1 개소(95)에 있어서 롤러(85)의 접촉면에 접하고, 롤러(85)의 회전이나 분출부(89)에 의한 가공액의 흐름 등에 따라 우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된다.
도 2(e)에 나타나 있듯이, 와이어 전극의 이상적인 송출은, 제2 개소(97)에서 롤러(85)로부터 멀어지고, 분출부(89)로부터 송출구(87)로의 가공액의 흐름에 따라 송출구(87)에 이르는 것이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가공액의 흐름에는, 이 이상적인 유로로부터 분기하여, 롤러(85)의 접촉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부압부(91)로 되돌아오는 흐름이 존재한다. 이 흐름에 의해 와이어 전극은 롤러(85)에 휘감길 가능성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기술은 롤러(85)가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는 와이어 전극의 휘감김을 방지하는 것에만 주목한 것이며, 가공액의 흐름에 기인하는 와이어 전극의 휘감김에 주목한 것은 아니다. 가공액의 흐름에 의한 휘감김은, 특허 문헌 1에 기재와 같이 롤러(85)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으로는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발명자들의 실험에서는 여전히 롤러(85)에 있어서 와이어 전극의 휘감김이 생겼다고 생각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전환부(9)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환부(9)에 있어서의 압력은 일례이며, 롤러(23)의 회전 등의 다른 요인에 기인하는 압력이라도 좋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환부(9)는, 가공액으로 채워져 있다(도 1(c)의 스텝 ST1 참조). 분출부(27)는, 롤러(23)의 접선 방향으로 송출구(25)를 향해 가공액을 분출한다(도 1(c)의 스텝 ST2 참조). 롤러(2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송입구(21)의 하방을 부압부(31)라고 한다. 롤러(23)의 하방을 고압부(35)라고 한다.
도 3(b)에 나타나 있듯이, 분출부(27)로부터 분출된 가공액에는 2개의 유로가 존재한다. 1개는 분출부(27)로부터 송출구(25)로 가공액이 이동하는 유로이다. 또 1개는 이 유로로부터 분기하여, 가공액이, 롤러(23)의 접촉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고압부(35)로부터 부압부(31)로 이동하는 유로이다(본 출원 청구항의 「분기 유로」의 일례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분기 유로」라고도 한다.). 고압부(35)는, 분출부(27)로부터 분출된 가공액의 유로가 분기하는 개소이다.
도 3에 있어서, 분기 유로의 일례는, 와이어 전극의 경로가 아닌 롤러(23)의 접촉면과, 이 접촉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케이스와의 사이의 간극이다. 와이어 전극의 경로가 아닌 롤러(23)의 접촉면의 일례는, 제2 개소(39)(본 출원 청구항의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송출구 측에 위치하는 장소」의 일례)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1 개소(37)(본 출원 청구항의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송입구 측에 위치하는 장소」의 일례)에 이르는 접촉면이다.
흡입부(29)는, 일방향 밸브(valve)(차크(chack) 밸브)이며, 장치 외로부터 장치 내로, 일방향으로 기체를 송출하는 것이다. 흡입부(29)는, 공기의 대기압과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가공액의 압력과의 차를 이용하여 공기를 자연 흡기하고, 분기 유로에 공기를 공급한다(도 1(c)의 스텝 ST3 참조). 흡입부(29)는, 이 분기 유로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가공액의 흐름을 억제(감소)하고, 가능하면 저지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송입구(21)로부터 삽입된 와이어 전극은, 부압부(31)에 의해 하방으로 송출되고, 롤러(23)의 좌측의 제1 개소(37)에 있어서 롤러(23)의 접촉면에 접하고, 롤러(23)의 회전 등에 따라 우향으로 이동 방향(송출 방향)이 전환된다(도 1(c)의 스텝 ST4 참조).
전환부(9)에서는, 흡입부(29)에 의해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가공액의 흐름이 억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d)에 나타나 있듯이, 와이어 전극은, 분출부(27)로부터 송출구(25)로의 가공액의 흐름에 따라, 롤러(23)의 하측의 제2 개소(39)에서 롤러(23)로부터 멀어져 송출구(25)로 송출된다. 송입구(21)로부터 송출구(25)에 이르는 와이어 전극의 이동 경로가, 본 출원 청구항의 「와이어 전극의 경로」의 일례이다.
또한, 본 출원 발명에 있어서, 유체 공급부가 공급하는 제2 유체는, 액체라도 좋다. 이 액체는, 가공액이라도 좋고, 가공액과는 다른 액체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1 유체는, 가공액이라도, 다른 액체나 기체라도 좋다. 또, 유체 공급부는, 제2 유체에 소정의 압력(예를 들면,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가공액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여, 제2 유체의 압력이 높고,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제1 유체의 압력이 낮은 상태를 이용하여, 제2 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유체 공급부는,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제1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연산하거나 하여, 측정치나 연산치 등에 대응한 양의 제2 유체를 공급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a)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외관을 나타낸다. 하부 헤드부의 아래에, 전환부(51)(본 출원 청구항의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의 일례)를 구비한다.
전환부(51)는, 롤러(61)(본 출원 청구항의 「롤러」의 일례)와, 송입구(53)(본 출원 청구항의 「송입구」의 일례)와, 분출구(57)와, 송출구(55)(본 출원 청구항의 「송출구」의 일례)와, 흡입부(59)(본 출원 청구항의 「유체 공급부」의 일례)와, 케이스부(63)를 구비한다. 분출구(57)에는, 분출부(본 출원 청구항의 「분출부」의 일례)가 분출한 가공액이 들어간다. 케이스부(63는, 적어도 롤러(61)의 상측을 덮는다(도 4(f) 참조).
도 4(b)는 전환부(51)의 사시도이다. 도 4(b)에서는, 전환부(51)의 상부에 송입구(53)가 있고, 정면에 분출구(57)가 있고, 측면에 흡입부(59)가 있다.
도 4(c)는 단면 A-A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4(d)는 단면 A-A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전환부(9)는, 가공액으로 채워져 있다.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가공액은, 분출구(57)로부터 전환부(51)에 들어간다. 분출구(57)로부터 들어간 가공액은, 롤러(61)의 접선 방향으로 송출구(55)를 향해 이동한다.
도 4(e)는 단면 B-B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4(f)는 단면 B-B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흡입부(59)로부터 흡기된 공기는, 롤러(61)의 상부의 홈(groove)과 케이스부(63)와의 사이의 간극(67)에 공급된다. 즉, 도 4(f)에 있어서, 흡입부(59)는, 롤러(61)의 좌측 상부에 위치한다. 흡입부(59)는, 가공액의 압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장치 외로부터 장치 내로 흡기한다. 흡기된 공기는, 롤러(61)의 회전 기구(69)의 공간을 이용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고, 회전 기구(69)를 넘으면 롤러(61)의 상부로 이동하여, 롤러(61)의 접촉면의 홈(groove)과 케이스부(63)과의 사이의 간극(67)에 이른다. 간극(67)의 위치는, 전환부(51)에 있어서의 분기 유로에 존재한다.
발명자들은 세선 와이어 전극(
Figure pct00001
0.05 이하)에 의한 자동 결선을 실험하였다. 가공조에 가공액(기름)이 없는 경우, 상하 가이드부에서는 자동 결선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전환부(방향 전환 롤러부)(하부 롤러)(도 2의 롤러(85) 참조)에서의 휘감김은 생기지 않았다. 가공조에 가공액이 있는 경우, 상하 가이드부에서의 자동 결선은 성공했지만, 전환부에서는, 회전 제어(정지 등)의 동작(특허 문헌 1 참조)을 행하여도 자동 결선율이 낮았다. 본 출원 발명에 나타나 있듯이, 분출 개소와는 다른 개소로부터 공기를 자연 흡기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가공조에 가공액이 있는 경우에도, 전환부에서의 감김(휘감김)은 생기지 않았다.
상하 가이드부 방향 전환 롤러부
본 출원 실시예 가공액 있음
종래 기술 가공액 있음 ×
가공액 없음
본 출원 발명은 롤러에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 발명에 의하면, 이상적인 경로로부터 분기점(분기하는 개소)에서 분기하는 분기 유로에 대해, 제1 유체에 더하여 제2 유체가 있는 상황에서는, 예를 들면, 분기 유로에 제1 유체만이 있는 상황과 비교하여 제1 유체가 분기점으로부터 분기 유로로 흐르기 어려워지는 것 등에 의해, 와이어 전극이 분기점으로부터 분기 유로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제1 유체의 압력이, 분기점에서의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분기점에서 분기 유로로의 제1 유체의 흐름이 생기기 쉽다. 본 출원 발명에 의하면, 유체 공급부가 분기 유로에 제2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압력을 분기점에서의 제1 유체의 압력에 접근하여, 제1 유체가 분기 유로로 흐르기 어렵게 하여, 와이어 전극이 분기 유로에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3 등에서 설명하였던 것은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제1 유체의 압력이 분기점에서의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낮은 경우의 일례이다.
또한, 본 출원 발명을 롤러에 있어서의 와이어 전극의 휘감김을 방지하는 것에 적합한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 송입구로부터 송출구로 제1 유체를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을 송출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송출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와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로부터 분기하는 상기 제1 유체의 분기 유로에 대해,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에 응하여 제2 유체를 공급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 측에 위치하는 장소로부터 상기 송입구 측에 위치하는 장소로의 상기 제1 유체의 유로이며,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 측에 위치하는 장소는,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롤러의 접촉면과 멀어지는 개소이며,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송입구 측에 위치하는 장소는,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롤러의 접촉면과 접촉을 개시하는 개소이며,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없는 상기 롤러의 접촉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파악해도 좋다.
1 와이어 방전 가공기
3 상부 헤드부(upper head part) 5 가공조(加工槽)
7 하부 헤드부(lower head part) 9 전환부
11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 13 회수부
15 가공물 17 와이어(wire) 전극
21 송입구 23 롤러(roller)
25 송출구 27 분출부
29 흡입부
31 부압부(負壓部) 35 고압부(高壓部)
37 제1 개소 39 제2 개소
51 전환부
53 송입구 55 송출구
57 분출구 59 흡입부
61 롤러 63 케이스부
67 간극 69 회전 기구
81 전환부
83 송입구 85 롤러
87 송출구 89 분출부
91 부압부 93 고압부
95 제1 개소 97 제2 개소

Claims (18)

  1. 송입구로부터 송출구에 제1 유체를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을 송출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로서,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송입구로부터 상기 송출구에 이르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로부터 분기하는 분기 유로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유체에 대해서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송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없는 상기 롤러의 접촉면을 따른 유로인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를 향해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와 상기 송출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소로부터 분기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가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은, 상기 분기 유로가 분기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낮은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일방향 밸브(valve)이며, 상기 제2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1 유체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은, 당해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에 상기 제1 유체가 채워진 상태로 상기 분출부가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송출구를 향해 분출함으로써 생긴 것인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액체이며,
    상기 제2 유체는 기체인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10. 송입구로부터 송출구에 제1 유체를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을 송출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는,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가, 상기 송입구로부터 상기 송출구에 이르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로부터 분기하는 분기 유로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유체에 대해서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송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없는 상기 롤러의 접촉면을 따른 유로인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를 향해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와 상기 송출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소로부터 분기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가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은, 상기 분기 유로가 분기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낮은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기 유로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일방향 밸브(valve)이며, 상기 제2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1 유체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은, 당해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에 상기 제1 유체가 채워진 상태로 상기 분출부가 상기 제1 유체를 분출함으로써 생긴 것인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액체이며,
    상기 제2 유체는 기체인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KR1020217007199A 2019-03-29 2020-03-11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및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KR102516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7697 2019-03-29
JP2019067697A JP6667702B1 (ja) 2019-03-29 2019-03-29 ワイヤ電極送出装置及びワイヤ電極送出方法
JPJP-P-2020-029226 2020-02-25
JP2020029226A JP7254736B2 (ja) 2020-02-25 2020-02-25 ワイヤ電極送出装置及びワイヤ電極送出方法
PCT/JP2020/010658 WO2020203132A1 (ja) 2019-03-29 2020-03-11 ワイヤ電極送出装置及びワイヤ電極送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00A true KR20210032000A (ko) 2021-03-23
KR102516531B1 KR102516531B1 (ko) 2023-04-03

Family

ID=7266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199A KR102516531B1 (ko) 2019-03-29 2020-03-11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및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19936B2 (ko)
EP (1) EP3950201A4 (ko)
KR (1) KR102516531B1 (ko)
CN (1) CN112689547B (ko)
WO (1) WO202020313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721A (ja) * 1996-03-27 1997-10-07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送り装置
JP2001277050A (ja) * 2000-02-29 2001-10-09 Agie Sa 放電加工機のためのワイヤ緊張装置およびワイヤ緊張方法
KR20070068707A (ko) * 2005-12-27 2007-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가이드 블록
JP5062384B1 (ja) 2011-10-13 2012-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及びそのワイヤ電極送り方法
JP2018075649A (ja) * 2016-11-08 2018-05-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および自動結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2724A (ja) 1982-05-06 1983-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におけるワイヤ自動供給装置
JPH0349830A (ja) 1989-01-11 1991-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電極自動供給装置
JP2813593B2 (ja) 1990-02-08 1998-10-22 株式会社ソディック ワイヤの下部引出し装置
JP3294631B2 (ja) 1992-04-24 2002-06-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案内装置
JPH07276146A (ja) 1994-04-11 1995-10-24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送り装置
JP5436728B1 (ja) 2013-04-12 2014-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吸引装置およびワイヤ回収装置
WO2015125259A1 (ja) 2014-02-20 2015-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装置
DE112014006240B4 (de) 2014-02-20 2019-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Drahterosionsgerä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721A (ja) * 1996-03-27 1997-10-07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送り装置
JP2001277050A (ja) * 2000-02-29 2001-10-09 Agie Sa 放電加工機のためのワイヤ緊張装置およびワイヤ緊張方法
US20030057187A1 (en) * 2000-02-29 2003-03-27 Giorgio Baiardi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wire electrode in a spark-erosion machine
KR20070068707A (ko) * 2005-12-27 2007-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가이드 블록
JP5062384B1 (ja) 2011-10-13 2012-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及びそのワイヤ電極送り方法
JP2018075649A (ja) * 2016-11-08 2018-05-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および自動結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0201A1 (en) 2022-02-09
US20220118538A1 (en) 2022-04-21
CN112689547A (zh) 2021-04-20
WO2020203132A1 (ja) 2020-10-08
US11819936B2 (en) 2023-11-21
TW202039131A (zh) 2020-11-01
EP3950201A4 (en) 2023-01-04
KR102516531B1 (ko) 2023-04-03
CN112689547B (zh)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215B1 (ko)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JP5622981B1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US20140305908A1 (en) Wire aspiration device and wire recovery device
US9522434B2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and wire electrode forwarding method used in the same
KR102516531B1 (ko) 와이어 전극 송출 장치 및 와이어 전극 송출 방법
JP2009166170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JP5225516B1 (ja) ワイヤ電極送り装置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機
JP7254736B2 (ja) ワイヤ電極送出装置及びワイヤ電極送出方法
JP4550615B2 (ja) ワイヤ電極の自動結線方法
JP6667702B1 (ja) ワイヤ電極送出装置及びワイヤ電極送出方法
TWI833926B (zh) 線電極輸送裝置及線電極輸送方法
JP5575034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
KR101003969B1 (ko)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제트수류 회수 장치
JP5784243B1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WO2021240816A1 (ja) ワイヤ電極回収装置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装置
KR20210060724A (ko) 액적토출장치
KR100452481B1 (ko) 와이어컷 방전 가공기용 제트 수류 흡입 장치
JP5068506B2 (ja) 酸洗鋼板のリンス設備及びそのリンス方法
JPH0515664Y2 (ko)
WO1993013902A1 (en) Wirecut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20240066097A (ko)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JP2004106142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H01177920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S63260722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加工液供給装置
JPH04607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