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686A - 플로팅 바닥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팅 바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686A
KR20210031686A KR1020217000563A KR20217000563A KR20210031686A KR 20210031686 A KR20210031686 A KR 20210031686A KR 1020217000563 A KR1020217000563 A KR 1020217000563A KR 20217000563 A KR20217000563 A KR 20217000563A KR 20210031686 A KR20210031686 A KR 20210031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work
woven
composite structur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디이터 뵈트허
알렉산더 지이벨
얀 마히
Original Assignee
로우 앤드 보나 비.브이.
로우 앤드 보나 게르마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우 앤드 보나 비.브이., 로우 앤드 보나 게르마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우 앤드 보나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1003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23Lost formworks for producing hollow floor screed layers, e.g. for receiving installations, ducts,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2Underlayers coated with adhesive or mortar to receive the 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6Underlayers covered with a mesh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 및 거푸집의 층(103)을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100)용 복합 구조물로서, 상기 거푸집의 층(103)은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 상에 위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층(103)은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 또는 이완된 벌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Description

플로팅 바닥 시스템
본 발명은 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플로팅 바닥 시스템(floating floor system)용 복합 구조물, 상기 복합 구조물을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 및 상기 플로팅 바닥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격음은 다층 아파트 또는 빌딩에서, 예를 들어, 걸어 다니는 사람 또는 바닥에 떨어지는 물체 또는 식기 세척기나 세탁기와 같은 전기 장치에 의해 바로 아래 방에서 발생한다.
충격음은 중간 소음에서 높은 소음까지 도달할 수 있으므로, 특히 충격음이 250 Hz 미만의 주파수를 갖는 경우, 충격음 발생원 바로 아래 방에 있는 사람들에게 충격음은 매우 방해가 된다.
따라서, 과거에는 충격음 차단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두 가지 주요 해결책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지금까지 충격음을 감소시켜 왔다.
첫 번째 해결책은 플로팅 스크리드(floating screed)의 층의 무게를 증가시켜 바닥 슬라브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두 번째 해결책은 바닥 슬라브와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 사이에 차단 층(insulation layer)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 차단 층은 충격음이 직접 전달될 수 없고 충격음의 전달이 감소되도록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과 바닥 슬라브를 분리한다.
그러나, 충격음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보다 낮으면, 음파는 여전히 차단 층을 통해 바닥 슬라브로 전달될 것이고, 특히 250 Hz 미만의 주파수에서, 바닥 슬라브를 빠져나가고, 차단 층의 차단 특성이 감소된다.
공진 주파수는 공기 음의 파장이 건물 구성요소의 굽힘 파(bending wave)와 같기 때문에 흡음이 붕괴되는 주파수이다.
따라서, 고품질 고층 아파트 및 빌딩에서는, 편안한 소음 수준을 위해 충분한 충격음 차단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충격음 차단 재료 및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높다.
제DE 199 01 086 A1호는 빌딩 천장, 특히 목재 천장용 흡음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흡음 시스템은 바닥 슬라브, 상기 바닥 슬라브 상의 보이드 체적을 포함하는 차단 층, 및 2개의 샌드위치 플로팅 스크리드 플레이트와 코어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코어는 저 밀도 재료, 및 차단 층 상의 목재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코어의 저 밀도 재료는 높은 보이드 체적을 제공하고, 이러한 보이드 체적은 차단 층의 보이드 체적에 연결된다.
제US 4,860,506호는 바닥 골조에 놓인 완충 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용 바닥 패널을 개시하고, 상기 패널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패널의 밑바닥(underside)에 일체로 결합된 복수의 관통 홀 및 지지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 패널의 보이드 체적은 서로 연결되어 공기의 압축 및 팽창을 방지한다.
제DE 10 2009 009 088 A1호는 빌딩 천장, 특히 목재 천장용 흡음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흡음 시스템은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 및 바닥 슬라브와 플로팅 스크리드 사이에 있는 흡음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 영역은 최대 5 kPaㆍsㆍm-2의 유체 저항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기류(airflow) 채널을 포함한다. 이 흡음 시스템은 250 Hz 미만의 주파수에서 최대 15 dB까지 충격음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US 4,685,259호는 다중 층을 포함하는 복합 패널 구조를 포함하는 음 등급 바닥재(sound rated flooring)를 개시한다. 상기 복합 패널은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적으로 반투명의 섬유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는 판지, 크라프트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벌집 구조와 같은 벽 구조일 수 있다. 벌집 구조의 셀은 제1 면과 제2 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US 2006/0230699 A1호는 서브플로어 어셈블리에 배치된 흡음 재료의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음 제어 바닥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층은 고 다공성 3차원 매트릭스 필라멘트 매트, 제US 4,685,25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판지, 크라프트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벌집 구조, 또는 돌출부를 갖는 플라스틱 매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층은 복수의 원추형, 옴폭 들어간 형태(dimple) 및/또는 이로부터 연장되는 첨상형(cuspated) 돌출부를 갖는 플라스틱 매트일 수 있다.
제EP 0 057 372 A1호는 프로파일링된 재료, 금속 시트 및 단열층의 복합재를 포함하는 중공 바닥을 개시한다.
종래 기술의 충격음 흡수 시스템은 당업계에 익히 공지된 간단한 측정으로 250 Hz 초과의 주파수의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250 Hz 미만의 주파수의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해, 낮은 흡수 성질을 가진 옵션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 적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고 저 주파수에서 흡음 성질을 제공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용 복합 구조물, 플로팅 바닥 시스템, 및 플로팅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복합 구조물, 청구항 제9항에 따른 플로팅 바닥 시스템 및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플로팅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도달된다.
플로팅 바닥 시스템용 복합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force muting material)의 층 및 거푸집의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거푸집의 층은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층은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half closed folded hoenycomb structure) 또는 이완된 벌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놀랍게도, 복합 구조물은 250 Hz 미만의 주파수와 같은 저 주파수에서 플로팅 바닥 시스템에서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복합 구조물은 250 Hz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Hz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Hz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Hz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Hz 미만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로팅 바닥 시스템에서 충격음은 저 주파수, 특히 250 Hz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Hz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Hz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Hz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Hz 미만의 주파수에서 감소된다.
거푸집의 층은 3차원 층이며, 3차원 구조를 포함한다. 거푸집의 층의 3차원 구조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에 대향하는 거푸집의 한 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에 대향하지 않는 거푸집의 한 면에 보이드 체적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푸집의 층의 한 면에 설정된 보이드 체적은 함께 연결되고/되거나, 거푸집의 층의 다른 면의 보이드 체적은 함께 연결된다. 그러나, 한 면과 다른 면의 보이드 체적은 거푸집의 층을 통해 연결되지 않는다. 연결된 보이드 체적은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을 제공한다.
거푸집의 층은, 예를 들어, 제WO 2006/053407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일 수 있다. 이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는 연속 필름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3차원(3D) 구조 및 연결 영역이 형성되도록 재료의 평면에 수직인 소성 변형에 의해,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즉, 반-육각형 셀 벽 및 작은 연결 영역이 형성된다(도 4). 이후, 3D-구조는 서로를 향해 접혀서, 벌집 셀 형태로 서로 인접한 셀 벽을 갖는 셀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형성된 벌집 셀은 벌집 셀의 한쪽 말단이 폐쇄되어, 벌집 구조는 전체 확장부에 걸쳐 물 및/또는 가스 불침투성이고, 거푸집의 층의 한 면에 있는 보이드는 거푸집의 층의 다른 면에 있는 보이드 체적과 연결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형성된 벌집 셀은 한쪽 말단에서 홀을 나타내거나 상기 말단에서 개방되어 있어서, 거푸집의 층의 한 면에 있는 보이드 체적이 다른 면의 보이드 체적과 연결된다.
거푸집의 층은 또한 이완된 벌집 구조일 수 있다. 이 이완된 벌집 구조는 반 육각형 셀 벽들이 함께 만나 벌집 구조를 형성하기 전에, 소성 변형된 필름의 절첩이 중지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소성 변형된 필름의 절첩이 셀 벽이 함께 만나기 전에 중지됨에 따라, 반 육각형 셀 벽들은 서로 각도 α를 이룬다.
이완된 벌집 구조가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다는 사실로 인해, 소성 변형된 필름은 또한 3D-구조 및 연결 영역을 포함하여 이완된 벌집 구조 또한 물 불침투성이고 거푸집의 층의 한 면의 보이드 체적은 거푸집의 층의 다른 면의 보이드 체적과 연결되지 않는다.
복합 구조물은 EN 29052:1992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15 MN/m3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N/m3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MN/m3 미만의 동적 강성을 가지며, 여기서, 복합 구조물은 최대 20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19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8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7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6 mm의 두께를 갖는 거푸집의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은 2차원(2D) 층일 수 있고, 직조, 스펀본드 또는 스펀 레이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카드 부직포(carded nonwoven), 에어 레이드 부직포, 습식 레이드 부직포, 예를 들어, V-랩 부직포와 같은 수직 배향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고 로프트 부직포, 편직물, 네트, 면포(scrim), 압출된 얽힌 필라멘트의 2차원 매트, 단방향 섬유의 통합 층, 폼 재료의 층 및 고무의 층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조, 부직포, 편직물, 네트 및 면포는 천연 섬유, 예를 들어, 대마, 황마 또는 아마 섬유, 광물 섬유, 예를 들어, 유리, 현무암 또는 암면 섬유, 또는 합성 중합체로 만든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조, 부직포, 편직물, 네트 및 면포는 합성 중합체 또는 광물 섬유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직조, 부직포, 편직물, 네트 및 면포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은 또한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의 필라멘트는 압출된 중합체 필라멘트이다. 압출된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는 임의의 적합한 공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출된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는 중합체 필라멘트를 압출하고, 필라멘트가 구부러지고, 얽히고, 바람직하게는 여전히 용융된 상태로 서로 접촉하도록 하여 압출된 필라멘트를 3차원 구조로수집함으로써 제공된다. 압출된 필라멘트의 굽힘 및 얽힘은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를 프로파일링된 표면에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이는 압출된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 구조를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가 수집되는 표면은,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가 경사와 골(hills and valleys), 반구, 포지티브 및/또는 네거티브 첨상형(positive and/or negative cuspate), 컵 및/또는 격자 모양 무늬(waffle), 피라미드, U-홈(groove), V-홈, 원뿔 및/또는 반구가 달린(capped) 실린더를 포함하는 3차원 형태로 성형되도록 프로파일링된다.
바람직하게는,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의 중합체 필라멘트는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의 중합체 필라멘트는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필라멘트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복합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을 포함한다. 복합 구조물이 하나 이상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층은 동일한 유형의 재료 또는 상이한 유형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복합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1:2,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10인 플로팅 바닥 시스템의 전체 표면을 고려하여 거푸집의 층과 포스 뮤팅 재료의 층 사이의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에 경질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의 장기간 형상 안정성을 제공함으로써 복합 구조물 및 플로팅 바닥 시스템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거푸집의 층과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 사이의 접촉 영역을 감소시켜 표면적당 더 높은 유효 질량을 초래함으로써 상기 접촉 영역에서 포스 뮤팅 재료의 층에 적용되는 힘을 증가시켜 250 Hz 미만의 주파수에서 충격음을 흡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플로팅 바닥 시스템의 충격음 감소 성능은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의 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의 재료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섬유라는 용어는 스테이플 섬유 및 필라멘트 둘 다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스테이플 섬유는 2 내지 200 mm의 범위의 지정된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는 섬유이다. 필라멘트는 20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500 mm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mm 초과의 길이를 갖는 섬유이다. 필라멘트는 심지어, 예를 들어, 방적 돌기(spinneret)의 방사 홀을 통해 필라멘트를 연속 압출 및 방사하여 형성될 때, 사실상 끝이 없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의 섬유는 이성분 섬유뿐만 아니라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이섬유 섬유는 사이드-바이-사이드 모델(side-by-side model), 동심 또는 편심 코어/시스(sheath) 모델 또는 해도형 모델(islands-in-the-sea model)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의 섬유는 코어/시스 모델의 이성분 섬유이고, 여기서, 시스 및 코어는 동일한 화학 구조를 가질 수 있는 2개의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거나, 시스 및 코어는 상이한 화학 구조의 상이한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성분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이성분 섬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된 시스로 인해 섬유 사이의 특정 결합 강도뿐만 아니라 코어의 특정 인장 강도의 성질을 결합할 수 있다.
이성분 섬유의 코어 및 시스의 경우, 시스 중합체가 코어 중합체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한, 임의의 적합한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성분 섬유의 코어 및 시스는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성분 필라멘트의 코어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성분 필라멘트의 시스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은 최대 10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9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8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7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6 mm의 두께를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은 적어도 1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mm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은 적어도 100 g/m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 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g/m2,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g/m2,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 g/m2의 중량을 갖는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층의 중량이 클수록 포스 뮤팅 거동이 좋아진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층의 중량이 더 높을수록 비용 또한 증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층의 중량은 3000 g/m2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0 g/m2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g/m2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0 g/m2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g/m2 미만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의 두께는 5 cN/cm2(0.5 kPa)의 인가 압력을 사용하여 DIN EN ISO 9073-2 (October 1996)에 따라 측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이 직조, 스펀본드 또는 스펀 레이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카드(carded)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습식 레이드 부직포, 편직물, 네트, 면포, 압출된 얽힌 필라멘트의 2차원 매트, 또는 단방향 섬유의 통합 층인 경우, 압력은 25 cm2의 압력 풋(pressure foot)에 적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이 폼 재료의 층, 고무의 층 또는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인 경우, 두께는 20 cN/cm2(2 kPa)의 인가 압력을 사용하여 DIN EN ISO 9863-1 (2002)에 따라 측정되고, 압력은 25 cm2의 압력 풋에 적용된다.
복합 구조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은 복합 구조물의 전체 확장부에 걸쳐 연속 층으로 또는 패턴화된 층으로서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의 포스 뮤팅 재료는 거푸집의 층이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과 접촉하는 경우에만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이 패턴화된 층으로 존재하는 경우, 재료의 양과 복합 구조물의 비용 또한 감소한다.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이 패턴화된 층으로 존재하는 경우, 복합 구조물은 복합 구조물이 더 쉽게 취급, 저장, 운송, 판매 및 설치될 수 있도록 롤업 기능이 향상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거푸집의 층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과 거푸집의 층 사이의 결합은 열적으로, 기계적으로 및/또는 화학적으로 이루어진다.
일 양태에서, 거푸집의 층은 최대 50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19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8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7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6 mm의 두께를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거푸집의 층은 적어도 3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mm의 두께를 갖는다.
거푸집의 층의 두께는 20 cN/cm²(2 kPa)의 인가 압력을 사용하여 DIN EN ISO 9863-1 (2002)에 따라 측정되고, 압력은 25 cm2의 압력 풋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거푸집의 층은 이완된 벌집 구조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반 육각형 셀 벽은 서로 0°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내지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내지 1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내지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50°내지 90°의 각도 α를 이루고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셀 벽 사이의 각도 α는 적어도 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셀 벽 사이의 각도 α는 최대 110°, 바람직하게는 최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8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8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65°이다.
각도 α가 110°보다 큰 경우, 거푸집의 안정성이 약해지고 플로팅 스크리드의 중량을 지탱하지 못할 수 있다.
거푸집의 층은 임의의 적합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푸집의 층은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거푸집의 층은 반 폐쇄식 벌집 구조 또는 이완된 벌집 구조의 적어도 한 면에 부착된 커버 층을 포함한다.
커버 층은 2차원(2D) 층일 수 있고, 직조, 스펀본드 또는 스펀 레이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카드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습식 레이드 부직포, 편직물, 네트, 면포, 압출된 얽힌 필라멘트의 2차원 매트, 단방향 섬유의 통합 층, 연속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층의 직조, 부직포 또는 편직물은, 광물 섬유, 예를 들어, 유리, 현무암 또는 암면 섬유, 및/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층에 포함된 섬유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커버 층에 포함된 섬유는 이성분 섬유뿐만 아니라 단일성분 섬유일 수 있고, 여기서, 이성분 섬유는 사이드-바이-사이드 모델, 동심 또는 편심 코어/시스 모델 또는 해도형 모델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커버 층에 포함된 단일성분 섬유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층에 포함된 단일성분 섬유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커버 층에 포함된 섬유는 코어/시스 모델의 이성분 섬유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층에 포함된 이성분 섬유의 코어 및 시스는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성분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이성분 섬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된 시스로 인해 섬유 사이의 특정 결합 강도뿐만 아니라 코어의 특정 인장 강도의 성질을 결합할 수 있다.
커버 층에 포함된 이성분 섬유의 코어 및 시스의 경우, 임의의 적합한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스의 중합체는 코어의 중합체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층에 포함된 이성분 섬유의 코어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층의 이성분 섬유의 시스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복합 구조물의 층은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복합 구조물의 층은 상이한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합 구조물의 층은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하나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또는 단일 중합체 계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중합체 계열은 하나의 계열의 중합체가 적어도 50%의 동일한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구조물의 층은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의 동일한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복합 구조물의 모든 층이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됨에 따라, 복합 구조물의 모든 층이 열적으로 결합되어 추가의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결합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복합 구조물은 단지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거푸집의 층, 커버 층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은 단지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단지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란 표현은 단지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의 공중합체가 또한 포함됨을 의미한다.
복합 구조물의 모든 층이 단지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됨에 따라 재활용 전에 복합 구조물의 층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서 수명 후 복합 구조물의 재활용이 훨씬 용이하다.
본 출원의 목적은 또한 이전에 언급된 특성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물과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에 대향하지 않는 거푸집의 층의 면에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을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플로팅 바닥 시스템은 250 Hz 미만의 저 주파수, 특히 250 Hz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Hz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Hz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Hz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Hz 미만의 주파수에서 충격음 흡수 성질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이 복합 구조물의 상부에 적용됨으로써, 플로팅 스크리드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에 대향하지 않는 거푸집의 층의 전체 표면에 걸쳐 거푸집의 층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에 대향하는 거푸집의 층의 한 면에 기류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은 복합 구조물의 상부에 적용되어, 거푸집의 층의 양쪽 면에, 기류 채널이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로팅 스크리드는 복합 구조물에 사전-형성된 플레이트로서 적용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플로팅 스크리드의 플레이트는 전체 플로팅 바닥 시스템에 걸쳐 연장되는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플로팅 스크리드의 플레이트의 두께는 플로팅 스크리드의 플레이트의 전체 연장에 걸쳐 일정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플로팅 스크리드의 플레이트의 일정한 두께는, 두께가 평균 두께의 최대 ± 20%, 바람직하게는 최대 ± 1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 5%의 변화율을 가짐을 의미한다.
복합 구조물은 바람직한 양태에서 플로팅 바닥 시스템에서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의 두께가 최대 4.0 cm,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c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c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cm,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cm가 될 수 있도록 한다.
4.0 cm 초과의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의 두께는 전체 플로팅 바닥 시스템 구성의 더 높은 비용과 더 높은 중량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본 출원의 목적은 또한 하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플로팅 바닥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 및 거푸집의 층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물을 바닥 슬라브 상에 공급하는 단계 및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을 거푸집의 층 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거푸집의 층은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 또는 이완된 벌집 구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플로팅 바닥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공급되는 복합 구조물은 상기 설명된 특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 도면 및 도면의 설명은 예시적인 예이고, 본 발명의 특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공된 플로팅 바닥 시스템은 또한 상기 언급된 복합 구조물 및/또는 상기 언급된 플로팅 바닥 시스템의 임의의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플로팅 바닥 시스템의 하나의 양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도 2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의 또 다른 양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도 3은 이완된 벌집 구조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도 4는 이완된 벌집 구조의 단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100)의 하나의 양태가 바닥 슬라브(101)의 상부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거푸집의 층으로서의 이완된 벌집 구조(103)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 상에 공급되고, 또한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104)이 상부에 플레이트로서 공급된다. 층(102, 103 및 104)을 공급함으로써, 기류 채널이 거푸집의 층(103)에서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에 대향하지 않는 거푸집의 층의 면(105c 및 105d)뿐만 아니라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에 대향하는 거푸집의 층의 면(105a 및 105b)에서도 설정된다. 기류 채널(105a 및 105b)은 함께 연결된다(미도시). 또한, 기류 채널(105c 및 105d)은 함께 연결된다(미도시).
도 2에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200)의 또 다른 양태가 바닥 슬라브(201)의 상부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202)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완된 벌집 구조인 거푸집의 층(203)이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 상에 공급되고, 또한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204)이 거푸집 층의 상부에 공급되고, 여기서, 플로팅 스크리드(204)는 전체 표면에 걸쳐 거푸집의 층(203)과 접촉한다. 층(202, 203 및 204)을 공급함으로써, 기류 채널(205a 및 205b)이 포스 뮤팅 재료의 층(202)에 대향하는 거푸집의 층의 면에 설정된다. 기류 채널(205a 및 205b)은 함께 연결된다(미도시).
도 3에는 벌집의 2개 절반(306 및 307) 사이의 각도 α를 갖는 이완된 벌집 구조(303)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하부면(308c, 309d)뿐만 아니라 상부면(308a, 308b) 상의 벌집을 개방하여 각도 α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는 수개의 반 육각형 셀(406 및 407) 및 연결 영역(408a 및 408b)을 포함하는 이완된 벌집 구조(403)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포스 뮤팅 재료의 층 및 거푸집의 층으로서 10 mm의 두께를 갖는 폼 재료를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용 복합 구조물을 제공하였고, 거푸집의 층은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이완된 벌집 구조로 이루어졌고, 여기서, 벌집의 2개의 절반 사이의 각도 α는 60°였다.
복합 구조물의 성능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EN 29052:1992에 따라 평가하였다.
[표 1] 실시예 1
Figure pct00001
비교실시예
포스 뮤팅 재료의 층으로서 10 mm의 두께를 갖는 폼 재료를 거푸집의 층 없이 제공하였다.
폼 재료의 층의 성능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N 29052:1992에 따라 평가하였다.
[표 2] 비교실시예
Figure pct00002
복합 구조물은 평균 공진 주파수(FR)가 36 Hz이고 동적 강성이 10.2 MN/m3인데, 이는 평균 공진 주파수(FR)가 74 Hz이고 동적 강성이 43.8 MN/m3인 폼 재료의 층에 비해 상당히 개선된 것이다.
50 Hz 미만의 공진 주파수는, 특히 감소된 동적 강성과 함께, 충격음 감소에 탁월한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force muting material)의 층(102) 및 거푸집(formwork)의 층(103)을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floating floor system) (100)용 복합 구조물로서,
    상기 거푸집의 층(103)은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 상에 위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층(103)은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half closed folded honeycomb structure) 또는 이완된 벌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은 1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은 직조, 스펀본드 또는 스펀 레이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카드 부직포(carded nonwoven), 에어 레이드 부직포, 습식 레이드 부직포, 편직물, 네트, 면포(scrim), 압출된 얽힌 필라멘트의 2차원 매트, 단방향 섬유의 통합 층(consolidated layer), 폼(foam) 재료의 층, 고무 재료의 층 및 얽힌 필라멘트의 3차원 구조 매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층(103)은 3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9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8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7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mm의 두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층(103)은 상기 반 폐쇄식 벌집 구조 또는 상기 이완된 벌집 구조의 적어도 한 면에 부착된 커버 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층은 2차원(2D) 층이며, 직조, 스펀본드 또는 스펀 레이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카드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습식 레이드 부직포, 편직물, 네트, 면포, 압출된 얽힌 필라멘트의 2차원 매트, 단방향 섬유의 통합 층, 연속 층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 상기 거푸집의 층(103) 및 상기 커버 층은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은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층(103)은 이완된 벌집 구조를 포함하고, 반 육각형 셀은 서로 0°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내지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내지 1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내지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50°내지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구조물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에 대향하지 않는 거푸집의 층의 면 상의 플로팅 스크리드(floating screed)의 층(104)을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104)은 최대 4.0 cm,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c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cm,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cm, 가장 더 바람직하게는 1.5 cm의 두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
  11. 제9항 및 제10항에 따른 플로팅 바닥 시스템의 층을 포함하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100)의 제조 방법으로서, 먼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을 바닥 슬라브(floor slab) (101) 상에 공급하고, 이어서 거푸집의 층(103)을 공급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플로팅 스크리드의 층(104)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의 층(103)은 반 폐쇄식 절첩 벌집 구조 또는 이완된 벌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을 바닥 슬라브(101) 상에 공급하고 상기 거푸집의 층(103)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층을 롤로부터 바닥 슬라브(101) 상에 롤링 오프(rolling off)하거나, 층 조각을 바닥 슬라브(101)에 단계적으로 레잉 다운(laying down)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뮤팅 재료의 층(102)을 바닥 슬라브(101) 상에 공급하고 상기 거푸집의 층(103)을 공급하는 단계는 두 층을 동시에 하나의 롤로부터 상기 바닥 슬라브(101) 상에 롤링 오프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4. 목재 바닥 슬라브 및/또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의 플로팅 바닥 시스템으로서의 제9항 또는 제10항에 따르는 플로팅 바닥 시스템(100)의 용도.
KR1020217000563A 2018-07-05 2019-07-03 플로팅 바닥 시스템 KR20210031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068239 2018-07-05
EPPCT/EP2018/068239 2018-07-05
PCT/EP2019/067860 WO2020007918A1 (en) 2018-07-05 2019-07-03 Floating flo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686A true KR20210031686A (ko) 2021-03-22

Family

ID=6287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563A KR20210031686A (ko) 2018-07-05 2019-07-03 플로팅 바닥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21428B2 (ko)
EP (1) EP3619376B1 (ko)
JP (1) JP2021530639A (ko)
KR (1) KR20210031686A (ko)
CN (1) CN112384668A (ko)
DK (1) DK3619376T3 (ko)
ES (1) ES2808524T3 (ko)
MX (1) MX2020013898A (ko)
WO (1) WO2020007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1428B2 (en) 2018-07-05 2022-08-23 Econcore N.V. Floating flo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0396A (en) * 1952-11-12 1959-10-27 Bettinger Corp Structural reticulated webs or honeycombs and curtain wall panels made from same
SE301373B (ko) * 1964-10-09 1968-06-04 Forshaga Ab
DE2921050A1 (de) * 1979-05-23 1980-11-27 Fraunhofer Ges Forschung Schallabsorbierendes bauelement aus kunststoff-folie
CA1181215A (en) * 1981-02-04 1985-01-22 Wolfgang Radtke Hollow floor
US4522284A (en) * 1983-04-20 1985-06-11 Peabody Noise Control, Inc. Composite panel structure
US4685259A (en) 1986-02-14 1987-08-11 Peabody Noise Control, Inc. Sound rated floo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JPS63219756A (ja) 1987-03-06 1988-09-13 大建工業株式会社 浮床用床パネル
NO930392D0 (no) * 1992-09-23 1993-02-04 Isola As Anordning ved beskyttelsesplate, spesielt for gulv
DE19901086A1 (de) 1999-01-14 2000-07-27 Karl Goesele Schalldämmende Anordnung für eine Gebäudedecke, insbesondere eine Holzbalkendecke
KR200277719Y1 (ko) * 2002-03-18 2002-06-07 최남희 건축물의 차음장치
US20050031832A1 (en) * 2003-08-08 2005-02-10 Sealed Air Corporation (Us) Multi-layer conductive/insulation pad
US20050106378A1 (en) * 2003-11-19 2005-05-19 Sealed Air Corporation (Us) Corrugated foam/film laminates
JP4368399B2 (ja) * 2004-11-19 2009-11-18 カー・イュー・ルーベン・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 半閉型の熱可塑性ハニカム体、その製造工程および製造装置
US20060230699A1 (en) 2005-03-22 2006-10-19 Keene James R Sound control flooring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8668855B2 (en) * 2006-12-05 2014-03-11 Bradford Company Method of making core for sandwich-like product starting with extruded profile
US20080131654A1 (en) * 2006-12-05 2008-06-05 Bradford Company Folded Product Made From Extruded Profi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133056B1 (ko) 2007-07-20 2012-07-06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DE102009009088A1 (de) 2009-02-14 2010-08-19 Kurz Und Fischer Gmbh Schalldämmendes System zur Schalldämmung einer Gebäudedecke
US8347575B2 (en) * 2010-09-02 2013-01-0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Lightweight acoustical flooring underlayment
US8454781B2 (en) * 2011-04-13 2013-06-04 Bradford Company Method of making multilayer product having honeycomb core of improved strength
JP6120682B2 (ja) * 2013-06-03 2017-04-26 アキレス株式会社 充填用ウレタンボード
JP6242280B2 (ja) * 2014-04-25 2017-12-06 永大産業株式会社 衝撃吸収用床材
CA2948276C (en) * 2014-05-08 2019-03-12 Dmx Plastics Limited Underlayment for a floor
CN204212354U (zh) 2014-09-30 2015-03-18 王鹏 一种整体式运动地板
CN204826537U (zh) 2015-07-28 2015-12-02 常州朗逊防静电地板有限公司 蜂窝型防静电架空活动地板
US10689863B2 (en) * 2015-07-31 2020-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laminate floor underlayment with improved acoustical insulation and breathable barrier protection
US11421428B2 (en) 2018-07-05 2022-08-23 Econcore N.V. Floating floor system
US11746541B2 (en) * 2019-04-01 2023-09-05 Formulated Materials Llc High compressive strength sound atte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0639A (ja) 2021-11-11
EP3619376A1 (en) 2020-03-11
US20210108424A1 (en) 2021-04-15
MX2020013898A (es) 2021-05-27
US11421428B2 (en) 2022-08-23
EP3619376B1 (en) 2020-06-24
ES2808524T3 (es) 2021-03-01
DK3619376T3 (da) 2020-07-27
WO2020007918A1 (en) 2020-01-09
CN112384668A (zh)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5248B (zh) 遮音地板構造與遮音地板結構材及地板衝擊音之減低方法
US8544218B2 (en) Acoustically insulating product
US20040065507A1 (en) Five-layer sound absorbing pad: improved acoustical absorber
JP7295138B2 (ja) 押出しレインスクリーン
EP3581733B1 (en) Flooring mat with entangled filament structure
KR20210031686A (ko) 플로팅 바닥 시스템
JP7282711B2 (ja) 薄畳
JP5898934B2 (ja) 防音床材
US20220314577A1 (en) Underlayment
JP5956785B2 (ja) 桟材並びに遮音パネル及び遮音方法
WO2021122195A1 (en) Flooring composite
US10611116B2 (en) Nonwoven composite
JP6018846B2 (ja) 遮音床構造及び床衝撃音の低減方法
JP5001726B2 (ja) 天井裏敷設材および屋根構造
JP2768482B2 (ja) 不織布マット
JP3243848B2 (ja) 床材用緩衝材
JPH0887278A (ja) 吸音体
JP7423408B2 (ja) 床材
JP2565449Y2 (ja) 床下地パネル
EP4093605A1 (en) Material comprising connecting means
JP2544007Y2 (ja) 浮き床用防振根太構造
JP2536178Y2 (ja) 積層防音床材
JP2004076445A (ja) 床用緩衝材
JPH11280051A (ja) 土木工法用ドレーン材
JP3003871B2 (ja) 直貼り床用緩衝部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