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056B1 -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056B1
KR101133056B1 KR1020070072916A KR20070072916A KR101133056B1 KR 101133056 B1 KR101133056 B1 KR 101133056B1 KR 1020070072916 A KR1020070072916 A KR 1020070072916A KR 20070072916 A KR20070072916 A KR 20070072916A KR 101133056 B1 KR101133056 B1 KR 10113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mortar
present
floor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537A (ko
Inventor
이충화
김성찬
김준엽
장호연
박성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7007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056B1/ko
Priority to CN2008800253703A priority patent/CN101755098B/zh
Priority to PCT/KR2008/004165 priority patent/WO2009014341A2/en
Priority to EP08778822A priority patent/EP2171176A4/en
Publication of KR2009000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음 본체; 및 몰탈(mortar)이 채워지는 유입공이 형성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음재의 보강재에 형성된 유입공에 몰탈을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음 본체가 보강재에 의해 지지되어지되, 상기 보강재에 형성된 유입공에 몰탈이 채워져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몰탈층의 크랙(crack)이 방지되고, 국부하중 분포에서 면하중 분포로 유도되어 차음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건축물, 바닥, 층간, 차음, 몰탈, 허니컴

Description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FLOOR IMPACT NOISE ISOLATOR F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음 본체에 허니컴 보강재를 접합 또는 적층시킴으로써,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몰탈층의 크랙(crack)을 방지하고, 국부하중 분포에서 면하중 분포로 유도하여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예를 들어, 다세대 주택이나 연립 주택식의 빌라형 건축물, 내부에 많은 임대 사무실을 가지는 빌딩형 건축물, 그리고 아파트, 학교, 병원, 기숙사 등의 공동 집합형 등의 다층 건축물에는 벽면이나 바닥 등에 소음 차단을 위한 차음재가 설치되고 있다. 건축물의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이러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은 하층 사람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충격음 차단을 위한 차음재의 설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공사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66993호[문헌 1]에는 바닥기초 슬라브 위에 고무재를 깔고, 그 위로 PE발포스폰지를 깔아 상기 고무재와 PE발포스폰지에 의해 차단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차단층인 PE발포스폰지 위로 바닥층(바닥재)을 접착 형성한 바닥충격음 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8862호[문헌 2]에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재(차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5 내지 200배의 발포 배율을 가지며, 10 내지 3,000㎛ 직경의 발포 셀을 가지는 열가소성 난연성 발포체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들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소음 차단을 위한 차음재는 수지 발포체(합성수지 발포 폼)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지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멜라민 수지 등의 베이스 수지에 발포제가 첨가되어 발포 제조되며, 다수의 오픈 셀(open cell)과 밀폐 셀(closed cell)을 갖는다. 수지 발포체는 위와 같은 셀 구조에 의해 차음성과 함께 단열성과 충격 완충성을 가져 건축자재로서 유용하다.
또한, 차음재로서 부직포를 사용하기도 한다. 수지 발포체는 재활용성이 낮으나, 부직포는 재활용성이 높아 이러한 재활용 측면에서는 부직포가 더 유리하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7776호[문헌 3]에는 고밀도 오픈 셀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 기재 위에 통기성의 저밀도 오픈 셀 구조를 갖는 흡음 소재가 접착되어 있는 흡음재(차음재)가 제시되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66993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8862호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7776호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슬라브 지반 위에, 차음재로서 위와 같은 수지 발포체나 부직포를 적층한 다음, 그 위에 몰탈층, 즉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및/또는 마감 미장층을 타설, 양생하고 있다.
그러나 수지 발포체(폼류)나 부직포로 구성된 차음재는 시공성이 낮고 몰탈층에 크랙(crack)이 발생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차음재는 자체적인 지지력을 갖지 못하고, 가요성(flexibility)이 심하여 시공 과정에서 위치 선정과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이 지지력과 강도가 약한 이유로 큰 치수로의 시공이 어려워 시공 기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차음재의 상부에 타설, 미장되는 몰탈층(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이나 마감 미장층)이 차음재의 신축성(특히, 폼류)으로 인하여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차음재는 위와 같이 강도가 약하고 신축성을 가짐에 따라 장롱, 침대, 책상 등의 무거운 가구제품에 의해 전달된 국부하중에 의해 쉽게 함몰되고, 이러한 국부하중에 의한 함몰로 인하여 차음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음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포함시켜 구성하되, 상기 보강재에 유입공을 갖게 하고, 몰탈층의 미장 시 상기 유입공에 몰탈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몰탈층의 크랙(crack)을 방지하고, 국부하중 분포에서 면하중 분포로 유도하여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음 본체로서 수지 발포체를 적용하되, 상기 수지 발포체의 발포 구조 및 물성을 개선함으로써, 특히 상층의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과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되게 하여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음 본체; 및
몰탈(mortar)이 채워지는 유입공이 형성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제공한다.
상기 보강재는 3mm ~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 형성된 유입공은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 원형, 타원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는 예를 들어 벌집 구조의 허니컴 판넬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음 본체는 수지 발포체, 부직포, 직포, 글라스울 및 락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선된 발포 구조와 물성을 가지는 수지 발포체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발포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서, 직경 0.05 ㎜ ~ 2.0 ㎜의 오픈 셀(open cell)을 포함하되, 오픈 셀화율이 20% 이상이고, 밀도가 2.0 kg/㎥ ~ 25.0 kg/㎥이며, 압축강도가 5 kgf/314㎠ ~ 15 kgf/314㎠인 것이 유용하게 적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재는 상기 차음 본체와 보강재의 사이에 개재된 방수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음재의 보강재에 형성된 유입공에 몰탈을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음 본체가 보강재에 의해 지지되어지되, 상기 보강재에 형성된 유입공에 몰탈이 채워져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몰탈층의 크랙(crack)이 방지되고, 국부하중 분포에서 면하중 분포로 유도되어 차음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음 본체로서 개선된 발포 구조와 물성을 가지는 수지 발포체가 사용된 경우,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과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되어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발휘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차음재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차음재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B-B선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접합"은 고형접착제, 고온용융 접착제, 열, 초음파, 양면 접착테이프 등의 결합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음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상호간이 결합되어있되 맞닿는 모든 면이 결합되거나, 또는 일부 면이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적층"은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구성요소 상호간이 포개어진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음재(100)는 차음 본체(10)와, 상기 차음 본체(10)를 지지하는 보강재(20)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보강재(20)는 차음 본체(10)의 적어도 한 면에 접합 또는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재(20)는 차음 본체(10)의 한 면에만 접합(또는 적층)되거나, 양면 모두에 접합(또는 적층)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차음 본체(10)의 상부 한 면에만 접합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보강재(20)가 위쪽에 위치되고, 차음 본체(10)가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차음 본체(10)는 차음성을 갖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하며, 예를 들어 수지 발포체, 부직포, 직포, 글라스울 및 락울 등의 소재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거나, 상기 소재들을 혼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재들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을 선택하여 2층 이상 접합(또는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20)는 차음 본체(10)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서, 이는 금속재 및/또는 플라스틱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20)는 격벽(21)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2)을 갖는다. 이때, 상기 유입공(22)에는 몰탈층(200, 도 6 참조)의 타설, 형성 시 몰탈이 채워진다. 상기 유입공(22)은 다각형(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원형 및 타원형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이들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공(22)은 보강재(20)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패턴(patter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유입공(22)이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규칙적 패턴으로 형성된 벌집 구조의 허니컴 판넬을 예시한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상기 유입공(22)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규칙적 패턴으로 형성된 벌집 구조의 허니컴 판넬을 예시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유입공(2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도 2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이거나,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20)는 바닥판(24)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유입공(22)의 폭(T)은 3mm 이상 인 것이 좋다. 상기 유입공(22)의 폭(T)이 3mm 미만인 경우에는 몰탈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시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입공(22)의 폭(T)이란 유입공(22)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직경을 의미하며, 유입공(22)의 형상이 다각형이나 타원형인 경우 대각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대각선의 길이란 구체적으로 유입공(22)의 중심(도 1 및 도 3에서 도면부호 C)을 지나는 길이를 의미한다. 유입공(22)의 폭(T)은 위와 같이 3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4mm, 50mm, 63mm 등을 가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대 200mm까지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20)는 3mm ~ 15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보강재(20)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몰탈이 채워지는 유입공(22)의 공간(부피)이 충분하지 못하여 강도 보강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보강재(20)의 두께가 너무 큰 경우 시공 상의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음재(100)는, 상기 차음 본체(10)와 보강재(20)를 적어도 포함하되, 이에 더하여 방수시트, 금속판, 양면 점착 필름이 더 접합(또는 적층)되거나, 또는 점착제가 코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따른 차음재(100)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음재(100)는 차음 본체(10)와 보강재(20)의 사이에 방수시트(30)가 더 접합(또는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30)는 방수성을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에 합성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되어 방수성이 부여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바닥시공구조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 1 및 도 2에 보인 차음재가 적용된 모습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차음재(10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음재(100) 상에 몰탈을 타설, 미장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S) 상에 차음재(10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차음재(100) 상에 몰탈을 타설, 미장하되, 상기 차음재(100)를 구성하는 상기 보강재(20)에 형성된 유입공(22)에 몰탈이 유입되도록(채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재(20) 상에 몰탈층(200)이 형성되도록 몰탈을 타설, 미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시공된 바닥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음 본체(10) 상에 보강재(2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보강재(20)에 형성된 유입공(22)에 몰탈이 채워져 있으며, 상기 보강재(20) 상에는 몰탈층(20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300은 벽체(W)의 차음/완충을 위한 측면 차음재(통상, 절연재)를 나타낸다.
상기 몰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반죽물(모래, 시멘트, 기포제 등의 혼합)이나 일반 콘크리트 반죽물(통상의 미장용 몰탈로서 모래, 시멘트 등의 혼합)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몰탈에 의해 형성된 상기 몰탈층(200)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또는 마감 미장층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브(S)와 차음재(100)의 사이에는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접합(또는 적층),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몰탈층(200)에는 난방 등을 위한 배관라 인이 매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탈층(200) 위에는 통상의 바닥재(타일, 장판 등)가 시공되어 마감된다. 아울러, 도 5에 보인 차음재(100)가 적용된 경우, 차음 본체(10)와 보강재(20)의 사이에는 방수시트(30)가 개재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20)의 접합(또는 적층)에 의해 수지 발포체와 같은 차음 본체(10)의 지지력이 확보되어 시공성 등이 향상되고, 신축성에 위해 발생될 수 있는 몰탈층(200)의 크랙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보강재(20) 자체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어지되, 상기 보강재(20)의 유입공(22)에 몰탈이 채워져 보다 향상된 강도를 갖는다. 아울러, 위와 같이 강도가 보강되고, 또한 가구제품(장롱, 책상 등)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국부하중이 판상의 형상을 가지는 보강재(20)에 의해 면하중 분포로 유도되어 종래와 같은 함몰 현상, 즉 국부하중에 의해 발생된 함몰 현상이 방지되고, 이러한 함몰에 의해 저하될 수 있는 차음성이 개선된다.
한편, 상기 차음 본체(10)는 차음성과 함께 단열성과 충격 완충성에서도 유리한 수지 발포체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발포 구조와 물성을 가지는 수지 발포체가 좋다. 이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을 효과적으로 도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음 본체(10)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수지 발포체의 발포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수지 발포체(폴리우레탄 폼)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음 본체(10)로서 사용되는 수지 발포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직경 0.05 ㎜ ~ 2.0 ㎜의 오픈 셀(15, open cell)을 다수 포함하고, 20% 이상의 오픈 셀화율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오프 셀(15)의 직경이 0.05 ㎜ 미만이면 소음을 분산, 소진할 수 있는 공간이 작아져 차음성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오프 셀(15)의 직경이 2.0㎜을 초과하면 밀도가 작아져 기계적 물성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오픈 셀화율이 20%미만인 경우 셀과 셀 간의 연결 통로가 작아져 차음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발포체는 발포 셀 구조로서 오픈 셀(15)과 밀폐 셀(closed cell)을 가질 수 있는데, 이때 오픈 셀(15)로만 이루어지거나(오픈 셀화율이 100%), 오픈 셀(15)과 밀폐 셀의 혼용으로 이루어지되 오픈 셀(15)이 전체 셀 부피의 20%(오픈 셀화율이 2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20% ~ 95%의 오픈 셀화율을 가지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오픈 셀화율을 가지는 것이 차음성에서 좋다. 본 발명에서 오픈 셀(15)이란 셀의 어느 한 면이라도 오픈되어 있으면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수지 발포체는 2.0 kg/㎥ ~ 25.0 kg/㎥의 밀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밀도 범위에서 차음성, 그리고 기계적 물성과 완충성에서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갖는다. 즉, 밀도가 2.0 kg/㎥ 미만이면 차음성에서는 유리하나 기계적 물성이나 완충성에서는 불리하며, 이와 반대로 밀도가25.0 kg/㎥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나 완충성에서는 유리하나 충격음 차음성에서는 불리하다.
아울러, 상기 수지 발포체는 5 kgf/314㎠ ~ 15 kgf/314㎠의 압축강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압축강도는 KS M 6579에 준하는 표준 KS 규격에 의한 값이다. 이때, 압축강도가 5 kgf/314㎠(?0.016 kgf/㎠) 미만이면 부드러움성이 너무 강 하여 보강재(20)와의 접합(또는 적층) 작업이 어려울 수 있으며, 압축강도가 15 kgf/314㎠(?0.048 kgf/㎠)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충격음 차음성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발포체는 1.0 MN(메가 뉴튼)/㎥ ~ 20.0 MN(메가 뉴튼)/㎥의 동탄성 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0.03 ~ 0.4의 손실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동탄성 계수와 손실계수는 KS F 2868에 준하는 표준 KS 규격에 의한 값이다.
차음 본체(10)로 사용되는 수지 발포체가 상기와 같은 오픈 셀(15)과 밀도 및/또는 압축강도 등을 가지는 경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효과적인 충격음 차음성을 갖는다.
위와 같은 수지 발포체는 베이스 수지에 적어도 발포제가 포함된 발포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이때, 발포 배율은 500%(5배) 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수지 발포체의 재료로 사용되는 상기 발포성 수지 조성물에는 인계 또는 할로겐계 등의 난연제, 색상안료, 충전제로서의 무기물, 분산제 그리고 계면활성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기타의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 렌비닐아세테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셀 구조의 형성이 자유로우며, 기계적 물성과 충격음 차단성에 있어서 다른 재료 대비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멜라민이나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발포체는 상기 나열한 수지를 발포 제조한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및 아크릴 발포 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위와 같은 베이스 수지를 발포시켜 발포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또는 톨루엔술포닐하이드라지드 등의 술포닐하이드라지드;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또는 아조비스이소프틸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또는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등의 니트로소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발포제, 중탄산나트륨 또는 중탄산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 발포제, 그리고 물, 이산화탄소, 불황성 가스(질소, 공기, 헬륨, 네온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발포성 수지 조성물로 수지 발포체를 발포 성형함에 있어,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함량이나 금형으로의 조성물 투입량 등을 조절하여 발포체의 발포 구조와 물성(밀도, 압축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음 본체(10)가 보강재(20)에 의해 지지되어지되, 상기 보강재(20)에 형성된 유입공(22)에 몰탈이 채워져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몰탈층(200)의 크랙(crack)이 방지되고, 국부하중 분포에서 면하중 분포로 유도되어 차음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음 본체(10)로서 개선된 발포 구조와 물성을 가지는 수지 발포체가 사용된 경우,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과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되어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발휘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층간 차음을 위한 바닥 공사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차음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차음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따른 차음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바닥시공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음 본체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수지 발포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음 본체 20 : 보강재
21 : 격벽 22 : 유입공
24 : 바닥판 30 : 방수시트
100 : 차음재 200 : 몰탈층

Claims (12)

  1. 차음 본체;
    몰탈이 채워지는 유입공이 형성된 보강재; 및
    상기 차음 본체와 보강재의 사이에 개재된 방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공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유입공의 폭은 3mm 이상이며,
    상기 보강재는 3mm ~ 15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차음 본체는 수지 발포체이며,
    상기 수지 발포체는 직경 0.05 ㎜ ~ 2.0 ㎜의 오픈 셀(open cell)을 포함하되, 오픈 셀화율이 20% 이상이고, 상기 수지 발포체의 밀도는 2.0 kg/㎥ ~ 25.0 kg/㎥이며, 상기 수지 발포체의 압축강도는 5 kgf/314㎠ ~ 15 kgf/314㎠이며, 상기 수지 발포체의 동탄성 계수는 1.0 MN/㎥ ~ 20.0 M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허니컴 판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72916A 2007-07-20 2007-07-20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13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916A KR101133056B1 (ko) 2007-07-20 2007-07-20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N2008800253703A CN101755098B (zh) 2007-07-20 2008-07-16 建筑用地板冲击噪音隔离装置和使用该隔离装置构建地板的方法
PCT/KR2008/004165 WO2009014341A2 (en) 2007-07-20 2008-07-16 Floor impact noise isolator f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using the same
EP08778822A EP2171176A4 (en) 2007-07-20 2008-07-16 FLOOR INSULATION FOR IMPACT NOISE F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916A KR101133056B1 (ko) 2007-07-20 2007-07-20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37A KR20090009537A (ko) 2009-01-23
KR101133056B1 true KR101133056B1 (ko) 2012-07-06

Family

ID=4028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916A KR101133056B1 (ko) 2007-07-20 2007-07-20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71176A4 (ko)
KR (1) KR101133056B1 (ko)
CN (1) CN101755098B (ko)
WO (1) WO200901434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19B1 (ko) * 2021-09-13 2022-11-07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구속도를 낮추어 바닥충격음을 개선하는 모르타르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
US11692073B2 (en) 2017-07-07 2023-07-04 Sekisui Chemical Co., Ltd. Resin foam, resin foam sheet, adhesive tape, vehicle member, and build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8140A (zh) * 2009-12-22 2010-06-02 广东盈然木业有限公司 一种强化木地板
KR101407137B1 (ko) * 2014-01-06 2014-06-13 이재숙 층간소음방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1407185B1 (ko) * 2014-01-06 2014-06-13 이재숙 층간소음방지장치
KR101707540B1 (ko) * 2016-08-25 2017-02-16 정창욱 단열 및 방음 기능을 갖는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구조
MX2020013898A (es) * 2018-07-05 2021-05-27 Low & Bonar Bv Sistema de piso flotante.
KR102621164B1 (ko) * 2022-10-20 2024-01-04 이인우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45Y1 (ko) 2003-08-08 2003-10-30 화신기업 주식회사 다층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체
KR100638852B1 (ko) * 2005-05-20 2006-10-27 김학원 진동량 저감을 위한 댐핑부재가 내장된 바닥 시공방법
KR200431428Y1 (ko) * 2006-08-24 200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83379A1 (de) * 1967-08-18 1971-03-11 Petillon Richard Dipl Ing Schwebend zu verlegender Fertigboden
KR0166993B1 (ko) 1994-06-01 1999-02-18 김상배 바닥충격음 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
FR2752859B1 (fr) * 1996-08-27 1999-01-15 Desvres Materiau destine a etre dispose sous un revetement de sol pour renforcer l'isolation phonique aux bruits d'impact
CN2400238Y (zh) * 1999-12-03 2000-10-11 徐贵壕 组合板材
KR200287776Y1 (ko) 2002-05-06 2002-09-05 조정웅 고 및 저밀도 오픈 셀 구조를 갖는 고성능 흡음재
KR200308569Y1 (ko) * 2003-01-07 2003-03-28 이증환 바닥재
KR100610392B1 (ko) 2004-11-01 2006-08-09 대림산업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계 난연성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88066Y1 (ko) * 2004-12-08 2005-06-2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충격 및 소음 흡수용 복합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45Y1 (ko) 2003-08-08 2003-10-30 화신기업 주식회사 다층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체
KR100638852B1 (ko) * 2005-05-20 2006-10-27 김학원 진동량 저감을 위한 댐핑부재가 내장된 바닥 시공방법
KR200431428Y1 (ko) * 2006-08-24 200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2073B2 (en) 2017-07-07 2023-07-04 Sekisui Chemical Co., Ltd. Resin foam, resin foam sheet, adhesive tape, vehicle member, and building member
KR102463319B1 (ko) * 2021-09-13 2022-11-07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구속도를 낮추어 바닥충격음을 개선하는 모르타르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5098B (zh) 2013-01-16
EP2171176A2 (en) 2010-04-07
CN101755098A (zh) 2010-06-23
EP2171176A4 (en) 2012-03-07
WO2009014341A3 (en) 2009-03-19
KR20090009537A (ko) 2009-01-23
WO2009014341A2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056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116238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0773156B1 (ko) 건축용 차음재
KR101437337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24357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1195787B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0922009B1 (ko) 직물기재를 이용한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101324293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20090090925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706164B1 (ko)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0431428Y1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KR200425219Y1 (ko) 층간 차음을 위한 건축용 흡음재
KR200431427Y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200455458Y1 (ko) 방수층 보호시트가 부착된 탄성 이피에스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KR101302282B1 (ko) 차음재
KR20060026780A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방음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의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KR102625147B1 (ko) 공동주택 시공방법
JP200127148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床構造
KR20100084397A (ko) 바닥 시공 방법
KR20090010378U (ko) 차음재
KR20080074318A (ko) 층간 차음을 위한 건축용 흡음재
KR101768617B1 (ko)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302304B1 (ko) 시공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