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427Y1 -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 Google Patents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427Y1
KR200431427Y1 KR2020060022752U KR20060022752U KR200431427Y1 KR 200431427 Y1 KR200431427 Y1 KR 200431427Y1 KR 2020060022752 U KR2020060022752 U KR 2020060022752U KR 20060022752 U KR20060022752 U KR 20060022752U KR 200431427 Y1 KR200431427 Y1 KR 200431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building
foam
buffe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찬
김철환
신세영
이충화
김준엽
김성찬
강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60022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4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z-방향으로 크림프(crimp)된 섬유가닥을 가지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고안의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부직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발포 폼이 접합된 3층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z-방향으로 크림프(crimp)된 섬유가닥에 의해 소음 흡수 셀 공간 및 경로가 증가되어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음이나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되어 우수한 소음 차단성을 가지는 효과를 갖는다.
건축물, 흡음, 바닥, 층간, 부직포, 섬유, 차음, 완충

Description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FLOOR IMPACT NOISE ISOLATOR/SHOCK-ABSORBER WITH NON-WOVEN FABRIC FOR CONSTRU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형태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형태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의 섬유가닥 배열 구조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4는 섬유가닥 배열구조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형태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형태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바닥시공구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부직포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직포 12 : 섬유가닥
20 : 방수시트 30 : 발포 폼
32 : 셀 35 : 요철
200 : 경량기포 콘트리트층 300 : 몰탈층
400 : 바닥재 S : 슬라브
본 고안은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음 감소 기재로서 부직포를 포함시켜 구성하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닥의 배열 방향성을 개선시킴으로써,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시켜 층간의 소음 차단성이 우수한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예를 들어 다세대 주택이나 연립 주택식의 빌라형 건축물, 내부에 많은 임대 사무실을 가지는 빌딩형 건축물, 그리고 아파트, 학교, 병원, 기숙사 등의 공동 집합형 등의 다층 건축물에는 벽면이나 바닥 등에 흡음(차음)재가 설치되고 있다.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어린이들의 발소리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하층 사람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충격음 차단을 위한 차음 재, 그리고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재의 설치는 건축물의 바닥공사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66993호에는 바닥기초 슬라브 위에 고무재를 깔고, 그 위로 PE발포스폰지를 깔아 상기 고무재와 PE발포스폰지에 의해 차단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차단층인 PE발포스폰지 위로 바닥층(바닥재)을 접착 형성한 바닥충격음 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8862호에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재(저감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5 내지 200배의 발포 배율을 가지며, 10 내지 3,000㎛ 직경의 발포 셀을 가지는 열가소성 난연성 발포체가 제시되어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7776호에는 고밀도 오픈 셀 구조를 가는 부직포 기재 위에 통기성의 저밀도 오픈 셀 구조를 갖는 흡음 소재가 접착되어 있는 흡음재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들에서와 같이 소음 방지를 위한 차음재, 그리고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재로서는 수지 발포 폼이나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수지 발포 폼은 재활용성이 낮아 재활용 측면에서는 부직포가 더 유리하다.
그러나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부직포는, 이를 구성하는 섬유가닥이 수평방향으로만 연신 배열된 평면상의 웹(web) 구조를 가지고 있어, 흡음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부직포는 섬유가닥이 x-y 평면방향으로만 배열되어 밀도가 높아, 소음을 흡수, 분산(소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셀 공간이나 경로를 갖지 못하여, 특히 수직방향의 충격에 의해 발생된 층 간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닥을 z-방향으로 크림프(crimp)된 배향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소음 흡수 셀 공간 및 경로를 증가시켜,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음이나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되게 하여 층간의 소음 차단성을 향상시킨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부직포에 충격음 저감성과 단열성이 높은 발포 폼을 적층시킴으로써, 층간의 소음 차단성이 보다 향상되고 단열성 및 시공성 등이 우수한 다층구조의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z-방향으로 크림프(crimp)된 섬유가닥을 가지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직포는 10 kg/㎥ ~ 35 kg/㎥의 밀도를 가지는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의 동탄성 계수는 1 MN/㎥ ~ 10 MN/㎥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는 15 ㎜ ~ 50 ㎜의 범위인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는 적어도 상기의 부직포를 1장 또는 2장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고안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부직포를 충격음 차단을 위한 기재로 하되, 이 기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별도의 기능성 부재들이 접합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층구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고안의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부직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발포 폼이 접합된 3층구조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형태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2형태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의 섬유가닥 배열 구조를 보인 모식도이고, 도 4는 섬유가닥 배열구조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충격음 차단성을 위한 주기재로서 적어도 1장 이상의 부직포(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음/완충재(100)는 부직포(10) 단독으로 구성된 단층구조를 갖거나, 또는 상기 부직포(10)를 주기재로 하되, 상기 부직포(10)의 한 면 또 는 양면에 별도의 기능성 부재가 접합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1장의 부직포(10)에 방수 시트(20)가 일면에 접합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 "접합"이란 고형접착제, 고온용융 접착제, 열, 초음파, 양면 접착테이프 등의 결합수단으로 본 고안에 따른 차음/완충재(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상호간이 결합되어지되, 맞닿는 모든 면이 결합되거나, 또는 모든 면이 결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부직포(10)는 섬유가닥(12)들이 배열 집합되어 이루어지되, z-방향으로 상향되어 크림프(crimp)된 섬유가닥(12)을 갖는다. 이와 같이, 크림프된 섬유가닥(12)은 부직포(10)를 구성하는 전체 섬유가닥(12)들 중에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50%이상이면 좋다.
본 고안에서 "크림프된 섬유가닥"이란 z-방향으로 솟구쳐 연신 배향된 직립부(12b)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z-방향"이란 x-y 평면 이외의 방향을 의미한 것으로서, 이는 바람직하게는 x-y 평면과 수직에 가까운 수직방향이다.
상기 크림프된 섬유가닥(12)은 장섬유로서, 평면방향(즉,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연신 배향된 수평부(12a)와, z-방향(바람직하게는 x-y 평면의 수직방향)으로 연신 배향된 직립부(12b)를 동시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크림프된 섬유가닥(12)에 의해 부직포(10)의 셀 공간(14)이 넓어지고, 소음 전달 경로가 길어져 우수한 차음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상층에서 발생된 충격음과 진동은 부직포(10)에 수직방향(z-방향)으로 전달되 는 데, 이때 전달된 충격음과 진동은 크림프된 섬유가닥(12)의 직립부(12b)를 따라 긴 경로를 지나면서 소성화(小聲化)됨과 동시에 넓은 공간(14)으로 흡수, 분산(소진)되어 효과적으로 소진된다. 그리고 넓은 셀 공간(14)에 의해 단열성 및 완충성 등이 향상된다.
상기 섬유가닥(12)은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성과 재생효율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폴리올레핀계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공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머를 성분으로 하는 섬유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섬유가닥(12)이 직립부(12b)를 갖도록 크림핑하는 방법은 기계를 이용한 물리적인 방법, 열처리를 이용하는 방법(열을 가하여 z-방향으로 주름지게 하는 방법), 또는 이성분 폴리머 섬유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이성분 폴리머 섬유란 섬유가닥(12)들이 서로 다른 성분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성분 폴리머 섬유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닥(12)과, 폴리프로필렌 섬유가닥(12)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가닥(12)과 폴리프로필렌 섬유가닥(12)은 열적 특성에 따른 팽창율의 차이에 의해 가열 후 냉각시 섬유의 밴딩이 활성화되어 크림핑된다.
상기 부직포(10)는 10 kg/㎥ ~ 35 kg/㎥의 밀도를 가지는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도 범위에서 충격음 차단성, 그리고 기계적 물성과 완충성에서 상호 보완적인 물성을 갖는다. 즉, 밀도가 너무 낮으면 충격음 차단성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이나 완충성에서는 불리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밀도 가 너무 높으면 기계적 물성이나 완충성에서 유리할 수 있으나 충격음 차단성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직포(10)의 동탄성 계수는 1 MN(메가 뉴튼)/㎥ ~ 20 MN/㎥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N/㎥ ~ 10 MN/㎥ 범위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범위의 동탄성 계수를 가지는 경우 충격음 차단성 및 완충성에서 유리하다. 상기 부직포(10)의 손실계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0.05 ~ 0.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동탄성 계수와 손실계수는 KS F 2868에 준하는 표준 KS 규격에 의한 값이다. 또한, 부직포(10)는 열전도율이 0.05kcal/m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형태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100)를 보인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부직포(10)의 한 면(윗면)에 방수 시트(20)가 접합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방수 시트(20)는 부직포(10)의 상하 양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시트(20)는 방수성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액체 불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부직포에 합성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되어 방수성을 가지는 것이면 본 고안에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상기 방수 시트(20) 대신에 종이, 철판, 양면 점착 필름이 접합되거나, 또는 점착제가 코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100)의 층구조를 보여준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형태에 따라서, 층간 차음/완충 재(100)는 부직포(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셀(32)을 가지는 발포 폼(30)이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 폼(30)에는 요철(35)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35)은 완충구(36)가 마련되게 하여 충격 완충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발포 폼(30)은 충격음 차단성, 단열성, 충격 완충성, 그리고 제품의 기계적 물성 등을 보강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150% 이상의 발포 배율,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0%의 발포 배율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러한 발포 폼(30)에 형성된 상기 셀(32)은 오픈 셀(open cell)로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오픈 셀(open cell)과 밀폐 셀(closed 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포 폼(30)은 베이스 수지에 적어도 발포제가 포함된 발포성 수지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발포성 수지에는 인계, 할로겐계 등의 난연제, 색상안료, 충전제로서의 무기물 그리고 분산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기타의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그리고 고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이다.
상기 발포제는, 위와 같은 베이스 수지를 발포시켜 셀(32)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톨루엔술포닐하이드라지드 등의 술포닐하이 드라지드,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아조비스이소프틸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등의 니트로소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발포제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 발포제 그리고 물, 이산화탄소, 불황성 가스(질소, 공기, 헬륨, 네온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 폼(30)은 베이스 수지가 발포제에 의해 셀(32)이 형성되도록 발포 제조된 것으로서, 이는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및 이들의 혼합수지 발포 폼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층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부직포(10)의 양면 모두에 상기의 발포 폼(30)이 접합된 3층 구조를 가지되, 상면에는 판상의 발포 폼(30)에 접합되고, 하면에는 요철(35)이 하향 돌출 형성된 발포 폼(30)이 접합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때, 하면에 접합된 발포 폼(30)을 슬라브(S)와 맞닿게 위치시키는 경우, 요철(35)에 의해 슬라브(S)가 평탄하지 않아도 시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면에 접합된 판상의 발포 폼(30)은 경량충격음 저감에 효과적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부직포(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발포 폼(30)이 접합되고, 상기 발포 폼(30)의 표면에 방수 시트(20)가 더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는 발포 폼(30)이 부직포(10)의 상하 양면에 접합되어지되, 상면에 접합 된 발포 폼(30)의 표면에는 방수 시트(20)가 접합되고, 하면에 접합된 발포 폼(30)의 표면에는 요철(35)이 하향 돌출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상기 부직포(10)의한 면 또는 양면에, 단열성을 보강하기 위한 단열재나 강도 보강을 위한 보드가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는 시트 상의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글라스울, 락울, 미네랄울 및 부직포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드는 플라스틱 보드, 무기질 모드(석고 보드 등), 목재 합판, 목분 압착 보드 및 목분과 무기질의 혼합 보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드는 벌집 구조를 가지는 허니컴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크림프된 섬유가닥(12)을 가지는 부직포(10)를 가지는 구조로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부직포(10)가 2장 이상으로 포함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이상에서 설명한 층구조가 2회 이상 반복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보인 층구조가 2회 반복하여 접합된 6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35)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발포 폼(30)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요철(35)은 파형(wave type) 또는 각형 등의 형태로서 방수 시트(20), 단열재 및 보드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건축물의 벽면, 천정, 바닥 등에 충격음 저감 및 충격 흡수를 목적으로 시공되며, 바람직하 게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 및 완충을 위해 건축물의 바닥시공 자재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때, 바닥시공 자재로 사용 시, 상기 부직포(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5㎜ 이상이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15 ㎜ ~ 5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두께가 두꺼울수록 충격음과 진동에 대한 흡수, 분산(소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나, 너무 두꺼우면 시공 상의 제약이 따를 수 있고 그 이상의 상승된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바닥시공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는 도 6에 따른 층구조의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100)가 적용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슬라브(S)의 표면 상에 설치되어 충격음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이때, 요철(35)이 형성된 발포 폼(30)이 아래쪽에 위치되어 슬라브(S) 표면과 접착되고, 방수 시트(20)는 위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요철(35)을 슬라브(S)와 맞닿게 할 경우, 슬라브(S) 표면이 평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시공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바닥시공구조는,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100) 상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00)이 타설, 양생되고,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00) 상에는 몰탈층(300)이 미장, 마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몰탈층(300)에는 난방배관이나 가스배관을 위한 파이프(P)가 내설된다. 그리고 상기 몰탈층(300)의 위에는 장판, 무늬 타일 등의 바닥재(400)로 최종 마감된다. 도 7에서 도면부호 W 는 건축물의 벽체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5]
밀도는 22 kg/㎥, 동탄성 계수는 3.5 MN/㎥, 그리고 크림프된 섬유가닥이 전체의 85%를 차지하는 부직포(z-방향 연신 배열구조를 가지는 부직포)를 사용하되, 상기 부직포의 한 면에 15T(15mm)의 PVC 발포 폼을 접합한 것을 본 실시예의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이때, 두께 차이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량을 알아보기 위해 부직포의 두께가 20mm인 것(실시예 1)과 40mm인 것(실시예 2)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부직포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8에 나타내었다.
< 바닥 충격음 저감 측정 >
상기 각 실시예(1 및 2)의 시편에 대해 중량충격음 단일값 저감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 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C) = 맨슬라브시 바닥충격음 측정 단일값(A) - 시공 시공후 바닥충격음 측정 단일값(B)
위 식에서, 맨슬라브시 바닥충격음 측정 단일값(A)은 콘크리트 기반 위에 시편을 적층하지 않고 KSF 2810-2 측정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고, 시공 후 바닥충격음 측정 단일값(B)은 콘크리트 기반 위에 각 실시예의 시편을 적층한 상태에서 KSF 2810-2 측정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비교예 1]
부직포를 사용함에 있어서, 밀도는 80 kg/㎥, 동탄성 계수는 1.9MN/㎥, 그리고 x-y 평면상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사용한 부직포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9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비교예의 시편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 고 부직포의 두께 A B C(=A-B)
실시예 1 20mm 49 dB 45 dB 4 dB
실시예 2 40mm 49 dB 43 dB 6 dB
비교예 1 20mm 49 dB 48 dB 1 dB
도 8과 도 9에 비교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편(도 8)과 종래 비교예의 시편(도 9)은 섬유가닥의 배열 구조에서 현저히 차이가 남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림프된 섬유가닥을 가지는 z-방향 배열 부직포(도 8)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종래의 x-y평면 배열 부직포(도 9)보다 충격에 의한 소음 저감성(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결과로부터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 저감성이 보다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z-방향으로 크림프(crimp)된 섬유가닥에 의해 소음 흡수 셀 공간 및 경로가 증가되어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음이나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되어 우수한 소음 차단성을 가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0)

  1.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z-방향으로 크림프(crimp)된 섬유가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밀도는 10 kg/㎥ ~ 35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동탄성 계수는 1 MN/㎥ ~ 10 M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두께는 15 ㎜ ~ 5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부직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방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부직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발포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부직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발포 폼과, 상기 발포 폼의 표면에 접합된 방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부직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부직포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에 형성된 셀은 오픈 셀(open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에 형성된 셀은 오픈 셀(open cell)과 밀폐 셀(closed cel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의 발포 배율은 200 % ~ 2,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에 형성된 셀은 오픈 셀(open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에 형성된 셀은 오픈 셀(open cell)과 밀폐 셀(closed cel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의 발포 배율은 200 % ~ 2,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글라스울, 락울, 미네랄울 및 부직포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플라스틱 보드, 무기질 모드, 목재 합판, 목분 압착 보드, 목분과 무기질의 혼합 보드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허니컴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2020060022752U 2006-08-24 2006-08-24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200431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752U KR200431427Y1 (ko) 2006-08-24 2006-08-24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752U KR200431427Y1 (ko) 2006-08-24 2006-08-24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061A Division KR101195787B1 (ko) 2006-08-23 2006-08-23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427Y1 true KR200431427Y1 (ko) 2006-11-23

Family

ID=4177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752U KR200431427Y1 (ko) 2006-08-24 2006-08-24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4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24B1 (ko) 2009-03-09 2009-06-25 이동진 가구용 마감 쿠션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24B1 (ko) 2009-03-09 2009-06-25 이동진 가구용 마감 쿠션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238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195787B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0773156B1 (ko) 건축용 차음재
KR101133056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0624357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200420631Y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20100121356A (ko) 건축용 흡음패널
KR101324293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0860061B1 (ko) 소음차단제
KR200399170Y1 (ko) 소음차단제
KR20060086543A (ko) 소음 방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31428Y1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200431427Y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20090090925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283869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20090010378U (ko) 차음재
KR20080074318A (ko) 층간 차음을 위한 건축용 흡음재
KR101302304B1 (ko) 시공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JPH0637140Y2 (ja) 断熱防音板
KR20110001650A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JP3036820U (ja) 軽量断熱パネル
KR20100028387A (ko) 차음재
KR101302270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056701B1 (ko) 층간 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