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449A - 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449A
KR20210030449A KR1020217004361A KR20217004361A KR20210030449A KR 20210030449 A KR20210030449 A KR 20210030449A KR 1020217004361 A KR1020217004361 A KR 1020217004361A KR 20217004361 A KR20217004361 A KR 20217004361A KR 20210030449 A KR20210030449 A KR 2021003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bassembly
belt retractor
reel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956B1 (ko
Inventor
로날드 자부스취
건터 클러트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03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7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an electric retrac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022/4642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the gas directly propelling a flexible driving means, e.g. a plurality of successive masses, in a tubular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6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릴(14), 그 상에 권취되어 권취된 벨트를 형성할 수 있는 안전 벨트(12), 및 적어도 제1 하위조립체를 포함하는 벨트 리트랙터(40)에 관한 것으로, 제1 하위조립체는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그리고 벨트 릴(14)과 직렬로 배열된다.

Description

벨트 리트랙터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부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belt retractor)에 관한 것이다.
벨트 리트랙터는 기본 구성요소로서 부하 지지 프레임 및 벨트 릴(reel)을 가지며, 벨트 릴은 프레임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벨트 릴 상에 안전 벨트가 권취될 수 있다. 프레임은 벨트 릴을 장착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시트 구조물 또는 차량 구조물에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U 형상의 프레임으로 절곡된 대응하는 두꺼운 강판으로 제조된다.
안전 벨트 디바이스를 갖는 차량 시트(seat)는, 예를 들어, 적어도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벨트 리트랙터가 차량 시트의 등받이 내에 체결되어 있는, 컨버터블(convertible) 내의 전방 시트로서 그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부하 지지 B-필러가 없기 때문에 그리고 후방 시트로의 접근과 관련된 이유로 인해 또는 후방 차량 구조물로부터의 거리와 관련된 이유로 인해, 벨트 리트랙터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내에 통합되며, 그에 따라서 이는 또한 구속 시 작용하는 인장력을 흡수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벨트 리트랙터 그 자체는 표준 벨트 리트랙터의 모든 기본 구성요소를 가지며, 특히 등받이 내에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자가 정렬 관성 센서와 같은, 다양한 추가적인 하위조립체만을 구비한다.
그의 기본 설계에서, 차량 시트는 차량 시트를 차량 구조물에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의 부하 지지 구조 부품으로 이루어진 시트 구조물을 갖는다. 시트 구조물은 착석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스프링 및 업홀스터리(upholstery)를 구비하고, 또한 연관된 전기 모터를 포함한, 다양한 시트 조정 메커니즘과 같은 추가 구성요소 및 가열 디바이스, 센서, 디스플레이, 헤드레스트 등과 같은 추가 구성요소의 체결을 위해 사용된다.
자율 주행 시스템을 갖는 최신 차량에서, 차량 탑승자가, 예를 들어, 다른 탑승자들과의 더 의미 있는 통신을 위해, 연장되고 더 집약적인 휴식 시간을 위해 또는 심지어 작업을 위해, 자율 주행에 의해 획득한 자유를 사용할 수 있고 차량 시트를 그에 맞춰서 배향시킬 수 있도록 상이한 배향 및 위치로의 차량 시트의 더 큰 조정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안전 벨트 디바이스 및 특히 벨트 리트랙터는 더 이상 종래와 같이 차량 구조물에 체결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이미, 예를 들어, 컨버터블의 전방 시트의 경우와 같이, 차량 시트에 체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점은, 벨트 리트랙터와 그의 추가 구성요소가 그의 외부 치수로 인해 비교적 큰 공간을 요구하여 차량 시트 내의 설치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안전 벨트가, 흡수될 인장력을 위해, 예를 들어 46 mm의 미리결정된 폭을 고려할 때, 소정의 최소 두께를 가져야 하고 탑승자의 구속을 위해, 예를 들어, 2500 mm의 소정의 최소 길이를 가져야 하므로, 안전 벨트가 완전히 권취될 때, 벨트 릴 상의 권취된 벨트가 권취될 안전 벨트의 체적으로 인해 그에 대응하는 큰 외경을 갖게 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러한 큰 권취된 벨트는 벨트 리트랙터의 대응하는 큰 프레임에 의해 그리고 비가역 벨트 텐셔너(irreversible belt tensioner)의 구동 디바이스, 가역 벨트 텐셔너의 전기 모터, 힘 제한 디바이스, 센서 디바이스 등과 같은 추가 구성요소에 의해, 외측을 향해 추가로 확대되어, 그에 의해 설치 공간의 요구를 한 번 더 증가시킨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제한된 설치 공간 내에 또한 배열될 수 있는 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기초로 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개발물은 종속 청구항, 도면 및 대응하는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에 따르면,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벨트 릴, 그 상에 권취되어 권취된 벨트를 형성할 수 있는 안전 벨트, 및 적어도 제1 하위조립체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가 제안되는데, 여기서 추가 하위조립체는 벨트 릴에 동축으로 그리고 그와 직렬로 배열된다. 제안된 해결책은 벨트 리트랙터가 차량 시트 상의 좁고 긴 설치 공간 내에 공간 절약 설계로 배열될 수 있게 한다. 하위조립체는 벨트 리트랙터의 긴 기하학적 형상이 실현될 수 있도록 벨트 릴과 직렬인 동축 배향으로 의도적으로 배열된다. 추가 하위조립체가 벨트 릴과 직렬로, 즉 벨트 릴의 회전 축의 종방향에 대해, 벨트 릴의 후방 또는 전방에 배열되기 때문에, 하위조립체는 그가 권취된 벨트를 넘어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하더라도 단지 약간만 돌출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차량 시트가 대체적으로 공동을 갖지만 이는 종종 길고 좁은 형태이기 때문에, 벨트 리트랙터는, 제안된 해결책의 결과로서, 이들의 기존 설치 공간에 대해 훨씬 더 양호하게 적응되고 그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하위조립체는, 예를 들어, 가역 벨트 텐셔너, 비가역 벨트 텐셔너, 힘 제한 디바이스, 센서 디바이스 또는 심지어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추가 하위조립체가 제공되는 경우, 이러한 하위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벨트 릴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렬로, 즉 전후로 배열되며, 이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의 긴 설계가 계속되고 추가로 연장된다.
벨트 릴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추가 하위조립체가, 안전 벨트가 벨트 릴 상으로 완전히 권취될 때 권취된 벨트의 최대 외경 이하의 외부 치수를 갖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권취된 벨트가 단면이 원형이고 그리고 제공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사각형 단면을 갖는 공동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벨트 리트랙터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은 적어도 최대 권취된 벨트의 직경에 대응하는 측부 길이를 갖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는 각각의 경우에 코너 내에 대략 삼각형의 긴 자유 공간을 야기하며, 이는 물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이러한 자유 공간 내로의 그러한 돌출부는 또한 최대 직경의 권취된 벨트에 의해 미리결정된 외부 치수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벨트 리트랙터의 최대 외부 치수는, 전술한 이유로 인해 어쨌든 감소될 수 없는, 최대 외경을 갖는 완전히 감긴 권취된 벨트에 의해 미리결정된다. 따라서, 벨트 리트랙터는, 그가 차량 시트 또는 차량의 다른 구조물에서 길고 좁은 설치 공간에 또한 배열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좁게 제조될 수 있다. 벨트 리트랙터가 차량 또는 차량 시트의 부하 지지 구조 부품의 공동 내에 체결되는 경우, 그것은 또한,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릴이 부하 지지 구조 부품 상에 직접 보유 및 장착된다는 점에서 벨트 리트랙터의 이전에 요구된 프레임을 교체할 수 있다. 추가로, 이 경우, 구속의 경우에 발생하는 인장력은 구조 부품 내로 직접 도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부하 지지 구조 부품은 공동에 주어진 형상에 의해 구속력을 흡수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부하 지지 구조 부품이 시트 구조물의 구조 부품인 경우, 그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차량 시트 상에 작용하는 시트 힘 및 다른 힘을 흡수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안전 벨트에 의해 가해지는 구속력을 흡수하기 위한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충분히 높은 강도를 이미 갖고 있다. 추가로, 제공된 공동 및 그에 의해 제공된 3차원 설계로 인해, 부하 지지 구조 부품은 특히 높은 토션 및 굴곡 강성을 가지며, 다시 이는 사고 시 탑승자의 부하 흡수 및 구속에 유리하다.
벨트 리트랙터가 하위조립체와 벨트 릴 사이에 또는 2개의 하위조립체들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횡방향 요소 내에 장착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벨트 리트랙터를 장착하는 것에 더하여, 횡방향 요소는 추가로 센서, 가스 발생기, 제어 유닛 등과 같은 추가의 기능 유닛을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횡방향 요소는 부하 지지 구조 부품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횡방향 요소는 특히 하위조립체가 직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벨트 리트랙터의 긴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제1 횡방향 요소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제2 횡방향 요소가 제공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벨트 리트랙터의 장착은 제2 횡방향 요소에 의해 추가로 개선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벨트 리트랙터의 추가 하위조립체를 위한 추가 하위조립체 및 기능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벨트 릴에 동축으로 그리고 그와 직렬로 그리고 제1 하위조립체에 대하여 배열되는 제2 하위조립체가 제공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제2 하위조립체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는 추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데, 벨트 릴 및 제1 하위조립체는 적어도 그의 기본 구조물의 관점에서 변하지 않은 상태로 채택된다. 그 결과, 벨트 리트랙터는 모듈형 구조물을 가질 수 있고, 그의 모듈형 구조물로 인해, 다양한 고객-특정 및 응용-특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횡방향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하위조립체와 제2 하위조립체 사이에 배열될 수 있어서, 그가 동시에 2개의 하위조립체에 대해 베어링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한다.
제1 또는 제2 하위조립체가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pyrotechnic belt tensioner)이며, 이는 내부에 제공된 불꽃점화식 구동가능 구동 디바이스를 갖는 텐셔너 구동 튜브 및 구동 디바이스의 구동 운동을 벨트 릴에 전달하는 구동 휠을 갖고, 텐셔너 구동 튜브는 직선형 섹션 및 직선형 섹션의 단부에 배열된 만곡형 섹션을 갖고, 텐셔너 구동 튜브는, 직선형 섹션이 벨트 릴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만곡형 섹션에 의해 구동 휠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접선으로 지향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의 제안된 설계의 이점은, 그가 텐셔너 구동 튜브의 제안된 형상 및 배열에 의해 특히 콤팩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사실에서 알게 되는데, 여기서 회전축에 대한 직선형 섹션 및 평행 배열로 인해, 텐셔너 구동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벨트 리트랙터 상의 에지 측 선형 자유 공간 내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벨트 리트랙터의 외부 치수는 증가된다 하더라도 단지 약간만 증가된다.
제1 또는 제2 하위조립체는 벨트 릴에 동축으로 배열된 제1 토션 바를 갖는 힘 제한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는 구조적으로 특히 단순한 설계에 의해 가장 좁은 가능한 콤팩트한 형상으로 실현될 수 있다.
힘 제한 디바이스가 단차형 힘 제한 프로파일로 실현되는 것인 경우, 그것은 제1 토션 바와 직렬로 배열되는 적어도 제2 토션 바를 가질 수 있다. 제2 토션 바에 의해, 힘 제한 레벨은 2개의 토션 바의 치수화에 따라 상이한 힘 제한 레벨들로 실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벨트 리트랙터의 콤팩트하고 가는 구조물이 동축 배열에 의해 다시 실현될 수 있다.
추가로, 벨트 릴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내부로 제1 및/또는 제2 토션 바가 돌출되는 튜브형 연장부가 벨트 릴의 하나의 단부 면에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연장부에 의해, 벨트 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어링 러그(bearing lug)가 로킹 디바이스에 의해 로킹될 수 있는 로킹 부품에 대해 생성되며, 로킹 부품에는 제1 및/또는 제2 토션 바가 연결되거나 커플링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토션 바는 이어서 벨트 릴에 직접 또는 연장부를 통해 벨트 릴에 회전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로킹 부품이 로킹되고 한정된 벨트 당김력이 초과될 때, 토션 바가 그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되기 시작하고, 따라서 에너지를 소산시키게 한다.
튜브형 연장부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가 제1 및/또는 제2 횡방향 요소 상에 장착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따라서, 연장부는 벨트 릴을 장착하기 위해 추가로 사용되고, 이는 특히 토션 바(들)의 소성 변형 동안에 유리한데, 그 이유는 흡수될 힘이 그에 의해 그의 원점 위치에 가능한 가까운 베어링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베어링 내의 생성된 토크가 작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또는 제2 하위조립체는 또는 제3 하위조립체가 전기 모터를 갖는 가역 벨트 텐셔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되는데, 여기서 전기 모터는 그의 돌출 구동 샤프트가 벨트 릴의 회전축에 동축인 상태로 배열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들은 하기를 도시한다.
도 1은 부하 지지 구조 부품 및 그 상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를 갖는 차량 시트의 2개의 종방향 스트럿(strut)을 도시한다.
도 2는 공동을 갖는 부하 지지 구조 부품 및 단일 부품으로서 그 내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다.
도 3은 공동을 갖는 부하 지지 구조 부품 및 그 내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2-부품 하우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다.
도 1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를 형성하는, 모터 차량용 차량 시트의 시트 구조물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시트 구조물은 차량 시트의 치수적으로 안정한 '코어(core)'를 형성하고, 착석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스프링 및/또는 업홀스터리를 추가로 구비한다. 추가로,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기능 구성요소들, 예컨대, 시트 조정 메커니즘, 헤드레스트, 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디스플레이, 또는 심지어 가열 디바이스가 시트 구조물에 제공된다.
시트 구조물은 몇몇 부하 지지 구조 부품들(2)의 복합물을 포함하는데, 이들 중 2개는 여기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종방향 스트럿(1)들에 의해 형성된다. 종방향 스트럿들(1)의 상부 단부들은 등받이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상부 면을 형성하도록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종방향 스트럿들(1)을 연결하기 위해, 체결 개구를 갖는 직립 탭(4)이 상기 스트럿에 제공되고, 체결 개구는 마찬가지로 구조 부품(2)에 제공되며, 그에 의해 부품들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2에서,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은 단일 부품으로서 확대된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은, 기본 구성요소로서, 프로파일 레일(profile rail)(7)을 포함하며, 이는 단면이 U 형상이고 베이스 면(10) 및 베이스 면(10)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서로 반대편인 벽 형상의 측면(8, 9)을 갖는다. 프로파일 레일(7)은, 측면들(8, 9)의 에지 측들 사이에 형성되고 삽입체 부품(6)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28)를 갖고, 삽입체 부품은 도 1에서 볼 수 있지만 구조 부품(2)의 더 양호한 가시성을 위해 도 2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삽입체 부품(6)은 개구(28)의 형상에 적응된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슬릿(13)을 가지며, 슬릿을 통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안전 벨트(12)가 측면들(8, 9) 사이의 공동(21)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구속될 차량 시트 상의 차량 탑승자로 안내된다. 삽입체 부품(6)은 공동(21)이 외측을 향해 폐쇄되도록 제공된 슬롯(13)을 제외하고는 개구(28)를 폐쇄하거나 감소시키며, 그 내에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40)가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프로파일 레일(7)의 단부 면들은 각각 횡방향 요소(15, 20)에 의해 폐쇄된다.
벨트 릴(14) 및 그 상에 권취될 수 있고 도 3에서 단면도로 볼 수 있는 안전 벨트(12)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40)는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의 공동(21) 내에 배열된다. 벨트 릴(14)에 더하여, 벨트 리트랙터(40)는 복수의 토션 바(26, 36, 37)를 갖는 힘 제한 디바이스(25) 형태의 추가 하위조립체 또는 심지어 제1 하위조립체, 불꽃점화식 비가역 벨트 텐셔너(24) 형태의 제2 하위조립체, 및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동축인 배열로 가역 전동모터식(electromotorized) 벨트 텐셔너(23) 형태의 제3 하위조립체를 갖는다. 추가로, 하위조립체들은 벨트 릴(14)과 직렬로, 전후로, 배열된다. 안전 벨트(12)가 최대로 권취된 벨트 릴(14)의 외부 치수뿐만 아니라,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의 그리고 전동모터식 벨트 텐셔너(23)의 힘 제한 디바이스(25)의 외부 치수는 안전 벨트(12)가 최대로 권취될 때 그들이 벨트 릴(14) 상의 권취된 벨트의 외부 치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된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수직인 단면적 내에 있다. 추가로, 외부 치수는 하위조립체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40)가 프로파일 레일(7)의 공동(21) 내에 배열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 레일(7)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공동(21)의 치수보다 크지 않다.
프로파일 레일(7)에서, 프로파일 레일(7)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프로파일 레일(7)의 측면들 중 하나(8 또는 9)로부터 각각의 다른 측면(8 또는 9)까지 연장되고 그에 연결되는 벽 섹션의 형태로 복수의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가 제공된다. 추가로,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프로파일 레일(7)의 베이스 면(10)까지 연장될 수 있고, 따라서 프로파일 레일(7)의 전체 단면적을 채울 수 있다.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 각각은 벨트 리트랙터(40) 또는 벨트 릴(14)과 같은 그의 부품이 장착, 체결 및/또는 통과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러그를 갖는다. 추가로, 예를 들어,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 중 하나는 또한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릴(14) 또는 다른 부품이 로킹될 수 있는 치형 또는 다른 유형의 로킹 설계를 가질 수 있다.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또한, 벨트 리트랙터의 추가 구성요소, 예컨대,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를 위한 불꽃점화식 추진제, 전자 구성요소, 예컨대, 센서, 전자 제어 유닛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 공동을 가질 수 있다.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가 측면들 중 하나(8 또는 9)로부터 각각의 다른 측면(8 또는 9)까지 연장되면,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또한 프로파일 레일(7)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탑승자의 구속 시 프로파일 레일(7)의 치수 안정성 및 부하 흡수에 유리하다. 벨트 리트랙터(40)의 구성요소들은 의도적으로, 하위조립체들이 벨트 리트랙터의 외부 치수를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증가시키지 않도록 동축으로 그리고 교대로 배열되며, 벨트 리트랙터(40)도 또한 프로파일 레일(7)의 좁고 긴 공동(21) 내에 배열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파일 레일(7) 및 부하 지지 구조 부품은, 특히 차량 시트의 시트 구조물 내의 부하 지지 구조 부품의 사용에 유리한 바와 같이, 그에 대응하여 좁고 길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프로파일 레일(7) 및 벨트 리트랙터를 통한 부하 지지 구조 부품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단면이 U 형상인 프로파일 레일(7)은, 이러한 도면에서 관찰자를 향하는 측면(8, 9) 및 베이스 면(10)을 갖는다. 벨트 리트랙터(40)가 내부에 배열되는 공동(21)은 측면들(8, 9) 사이에 제공된다. 공동(21)은 프로파일 레일(7)의 종방향으로 6개의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에 의해 분할되며, 여기서 2개의 외부 횡방향 요소(15, 20)는 공동(21)을 프로파일 레일(7)의 2개의 단부에서 외측에 대해 폐쇄한다. 구동 스프링(27)을 갖는 스프링 카세트가 우측 횡방향 요소(15) 상에 보유되고, 구동 스프링은 이어서 벨트 릴(14)에 연결되어 그에 의해 벨트 릴(14)을 그 상에 권취된 안전 벨트(12)의 권취 방향으로 프리텐셔닝시킨다(pretension). 그의 단부에서 프로파일 레일(7) 내로 돌출하는 벨트 릴(14)은 힘 제한 디바이스(25)를 구비하며, 힘 제한 디바이스는 벨트 릴(14)에 동축으로 배열된 벨트 릴(14)의 튜브형 연장부(38), 직렬로 배열된 3개의 토션 바(26, 36, 37), 및 프로파일 레일(7)에 대해 회전 고정되는 방식으로 로킹될 수 있는 로킹 부품(41)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토션 바(26, 36, 37)가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회전 고정되는 방식으로 벨트 릴(14) 또는 튜브형 연장부(38)에 연결되거나 일 단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다른 단부에 의해 프로파일 레일(7)에 대해 회전 고정되는 방식으로 로킹되거나 또는 각각의 횡방향 요소(16 또는 17)에 제공된 스위칭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파일 레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토션 바(26, 36, 37)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구속력이 상이한 힘 제한 레벨에서 실현될 수 있거나, 계단형 힘 제한 프로파일이 실현될 수 있다. 로킹 부품(41)은 차량 감응 및/또는 벨트 감응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로킹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벨트(12)의 당김 방향으로 로킹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힘 제한 디바이스(25) 자체에 의해 한정된 힘 제한 레벨이 초과될 때 힘 제한 디바이스가 이어서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힘 제한 디바이스(25)를 로킹한다. 추가로, 벨트 릴(14)에 동축으로 배열된 구동 휠(35)을 갖는 불꽃점화식 비가역 벨트 텐셔너(24)가 제공되며, 이는 활성 시, 벨트 릴(14)을 개재된 커플링을 통해 권취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안전 벨트(12)를 팽팽하게 한다. 더욱이, 전기 모터(22)를 갖는 가역 벨트 텐셔너(23)가 제공되며, 이는 활성 시, 제2의 커플링 또는 심지어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와 동일한 커플링을 통해 벨트 릴(14)을 권취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그에 의해 안전 벨트(12)를 팽팽하게 한다. 전기 모터(22)는 마찬가지로 벨트 릴(14)에 동축으로 배열되며, 따라서 힘 제한 디바이스(25) 및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에 동축으로 또한 배열된다. 추가로, 전자 제어 유닛(29)이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의 프로파일 레일(7) 내에 제공되고, 벨트 리트랙터(40) 및/또는 추가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은 그가 도 1에서 볼 수 있는 종방향 스트럿(1)과 같은 시트 구조물의 추가 부품들을 서로 연결한다는 점에서 시트 구조물의 기본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구조 부품(2)은 시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게다가, 제공되는 공동(21)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40)를 수용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은 벨트 리트랙터(40)를 갖는 하위조립체로서 미리조립될 수 있고, 이어서 시트 구조물 또는 차량 시트의 제조 동안 구조 유닛으로서 최종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7)은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의 기본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시트 구조물 내의 추가 구조 부품들 사이에 실현될 연결에 따라 형상화되고 치수설정된다. 프로파일 레일(7)은, 그가 벨트 리트랙터(40)를 지지하기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벨트 리트랙터(40)를 차량 시트에 체결하고 벨트 릴(14)을 로킹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벨트 리트랙터(40)의 이전에 요구된 프레임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40)는 벨트 릴(14) 및 추가 하위조립체들, 즉 힘 제한 디바이스(25),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 및 가역 벨트 텐셔너(23)와 동축 직렬 배열로 모듈식으로 설계된다. 하위조립체는 여기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전 벨트(12)가 최대로 권취될 때 하위조립체의 반경방향 외부 치수가 벨트 릴(14) 상의 권취된 벨트의 치수를 넘어서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의도적으로 설계된다.
그의 지지 기능에 더하여,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또한, 대응하는 리셉터클을 그리고 리셉터클 내의 또는 상의 다양한 기능 유닛의 배열을 추가적으로 또는 심지어 대안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능 벽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의 지지 기능을 이행할 수 있도록,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바람직하게 프로파일 레일(7)의 측면들(8, 9)과 베이스 면(10) 사이에서 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하우징 부품들(30, 31) 사이에서 회전 고정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40)가 프로파일 레일(7)보다는 오히려 2개의 하우징 부품(30, 31)을 갖는 2-부품 하우징을 여기서 구비하는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우징 부품(30, 31) 각각은, 도 4의 상부 우측 예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U 형상이고, 장착된 위치에서 외측에 배열된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를 포함하는, 추가 하위조립체 및 벨트 릴(14)을 포함한다. 조립된 위치에서, 하우징 부품(30, 31)은 단면이 사각형인 긴 공동(21)을 형성한다. 안전 벨트(12)가 권취된 벨트 릴(14) 및 추가 하위조립체가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긴 자유 공간이 각각의 경우에, 벨트 릴(14)의 권취된 벨트와 하위조립체들과 하우징 사이의 코너에 제공되고, 여기서 텐셔너 구동 튜브(32)의 배열을 위해 사용된다. 텐셔너 구동 튜브(32)는 구동 디바이스, 예컨대, 헐겁게 맞닿는 질량체의 체인 또는 탄성 구동 트레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이는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의 활성 시 가속되고 그에 의해 구동 휠(35)과 구동 연결된다. 그에 의해, 구동 휠(35) 및 벨트 릴(14)은 후속하여 안전 벨트(12)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텐셔너 구동 튜브(32)는 직선형 섹션(33) 및 만곡형 섹션(34)을 갖고, 그가 직선형 섹션(33)이 벨트 릴(14) 및 구동 휠(35)의 회전축에 평행한 상태로 정렬되고 만곡형 섹션(34)에 의해 구동 휠(35)의 외부 원주 상에 원주 방향으로 접선으로 지향되는 방식으로 배향 및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만곡형 섹션(34)은, 만곡형 섹션(34)과 직선형 섹션(33)이 하나의 평면 내에 배열되도록 하나의 평면 내에서 배타적으로 만곡되며, 여기서 텐셔너 구동 튜브(32)는 직선형 섹션(33) 및 만곡형 섹션(34)에 의해 이어지는 평면이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조립된 위치에서, 벨트 리트랙터(40)가 내부에 배열된 하우징 부품(30, 31)은 시트 구조물 내의, 도 1에서 볼 수 있는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부품을 형성한다.
프로파일 레일(7) 또는 하우징 부품(30, 31)을 갖는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은 수평 설치 기하학적 형상으로 도 1의 표현에 따라 설명되었으며, 이는 탑승자에게 제공 시 안전 벨트(12)의 수평 배향에 대해 이점을 갖는다. 탑승자에게 제공 시 안전벨트(12)의 수평 배향은, 안전 벨트(12)가 그에 따라서 다시 방향전환되지 않고서 탑승자의 어깨 상으로 수평으로 안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부하 지지 구조 부품(2)은 또한 시트 구조물 상에 수직 또는 경사 배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어서, 안전 벨트(12)는 경사 배향으로 탑승자 상으로 제공되거나, 별개의 편향 디바이스에 의해 의도된 제공 방향으로 방향전환된다. 추가로, 구조 부품(2)은, 시트 구조물 또는 안전 벨트(12)의 제공이 이를 필요로 하고/하거나 가능하게 한다면, 등받이의 상부 에지 대신에 등받이의 시트 구조물의 하부 지점 또는 일 측부에 배열될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7) 또는 하우징 부품(30, 31) 대신, 벨트 리트랙터(40)가 내부에 배열되고 특히 단부 면에서 밀어 넣어지는, 원형 또는 다른 종류의 단면을 갖는 튜브형 구조 부품(2)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것이다.

Claims (13)

  1. 벨트 리트랙터(belt retractor)(40)로서,
    - 벨트 릴(reel)(14),
    - 그 상에 권취되어 권취된 벨트를 형성할 수 있는 안전 벨트(12), 및
    - 적어도 제1 하위조립체를 갖고,
    - 상기 제1 하위조립체는 상기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그리고 상기 벨트 릴(14)과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하위조립체는, 상기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안전 벨트(12)가 상기 벨트 릴(14) 상으로 완전히 권취될 때, 상기 권취된 벨트의 최대 외경 이하의 외부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리트랙터(40)는 상기 벨트 릴(14)과 상기 제1 하위조립체 사이에 배열된 제1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4.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리트랙터를 장착하기 위해 적어도 제2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가 제공되며, 상기 횡방향 요소는 상기 벨트 리트랙터(40)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릴(14) 및 상기 제1 하위조립체에 동축으로 그리고 그와 직렬로 배열되는 제2 하위조립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6.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상기 제1 하위조립체와 상기 제2 하위조립체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또는 제2 하위조립체는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pyrotechnic belt tensioner)(24)이며, 이는
    - 내부에 제공된 불꽃점화식 구동가능 구동 디바이스를 갖는 텐셔너 구동 튜브(32) 및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구동 운동을 상기 벨트 릴(14)에 전달하는 구동 휠(35)을 갖고,
    - 상기 텐셔너 구동 튜브(32)는 직선형 섹션(33) 및 상기 직선형 섹션(33)의 단부에 배열된 만곡형 섹션(34)을 갖고,
    - 상기 텐셔너 구동 튜브(32)는, 상기 직선형 섹션(33)이 상기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만곡형 섹션(34)에 의해 상기 구동 휠(35)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접선으로 지향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8. 제7항에 있어서,
    - 상기 텐셔너 구동 튜브(32)는 상기 직선형 섹션 및 상기 만곡형 섹션(34)이 상기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 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또는 제2 하위조립체는 상기 벨트 릴(14)에 동축으로 배열된 제1 토션 바(26)를 갖는 힘 제한 디바이스(2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10. 제9항에 있어서,
    - 상기 힘 제한 디바이스(25)는 상기 제1 토션 바(26)와 직렬로 배열되는 적어도 제2 토션 바(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릴(14)의 단부 면 상에 튜브형 연장부(38)가 제공되며, 상기 튜브형 연장부는 상기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상기 튜브형 연장부 내로 상기 제1 및/또는 제2 토션 바(26, 36)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12.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11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리트랙터(40)에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 상에 상기 튜브형 연장부(38)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또는 제2 하위조립체는 또는 제3 하위조립체가 전기 모터(22)를 갖는 가역 벨트 텐셔너(23)에 의해 형성되며,
    - 상기 전기 모터(22)는 그의 돌출 구동 샤프트가 상기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동축인 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40).
KR1020217004361A 2018-08-08 2019-08-07 벨트 리트랙터 KR102502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3282.8A DE102018213282A1 (de) 2018-08-08 2018-08-08 Gurtaufroller
DE102018213282.8 2018-08-08
PCT/EP2019/071200 WO2020030685A1 (de) 2018-08-08 2019-08-07 Gurtauf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449A true KR20210030449A (ko) 2021-03-17
KR102502956B1 KR102502956B1 (ko) 2023-02-24

Family

ID=6766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361A KR102502956B1 (ko) 2018-08-08 2019-08-07 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00047711A1 (ko)
EP (3) EP3833583B1 (ko)
JP (3) JP7087189B2 (ko)
KR (1) KR102502956B1 (ko)
CN (2) CN116409282A (ko)
DE (1) DE102018213282A1 (ko)
WO (1) WO2020030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5398B2 (en) * 2018-10-22 2024-04-02 Adient Us Llc Vehicle seat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vehicle seat structure
DE102018218293A1 (de) * 2018-10-25 2020-04-3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DE102019218307A1 (de) * 2019-11-26 2021-05-27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DE102020211209A1 (de) * 2020-09-07 2022-03-1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DE102020211208A1 (de) 2020-09-07 2022-03-1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DE102021105010B4 (de) 2021-03-02 2023-02-23 Autoliv Development Ab Lasttragender Gurtaufroller und Sitzstruktur
DE102022132184A1 (de) 2022-12-05 2024-06-06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und Fahrzeugsitz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86A (ja) * 1996-10-11 1998-05-06 Takata Kk 超音波モータ及び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03516270A (ja) * 1999-12-13 2003-05-13 ブリード・オートモーティブ・テクノロジ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5581A (en) * 1956-06-29 1958-03-04 Gilbert L Knight Safety shoulder and lap belt device for motor vehicle passengers
FR1231466A (fr) * 1958-12-17 1960-09-29 Talco Engineering Company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retenue et de tension pour bretelles de sécurité pour aviateurs et autres
US3096957A (en) * 1960-11-03 1963-07-09 Leslie D Peterson Ballistic rotary actuator
DE1260991B (de) * 1962-06-14 1968-02-08 Teleflex Prod Ltd Sperrvorrichtung fuer die Aufwickelrolle eines Sicherheitsgurtes
GB1212013A (en) * 1967-03-20 1970-11-11 Teleflex Pro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ty harness reels
JPS5723359U (ko) * 1980-07-15 1982-02-06
JPS6049056U (ja) 1983-09-13 1985-04-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S60124768U (ja) 1984-01-30 1985-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緊張装置
US4568106A (en) 1984-04-30 1986-02-04 Tachikawa Spring Co., Ltd. Passive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DE3636912C2 (de) 1986-10-30 1994-02-17 Keiper Recaro Gmbh Co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S5253924A (en) 1991-06-11 1993-10-19 Concept Analysis Corporation Blow molded seat back with integral reinforcing member
DE9301827U1 (ko) * 1993-02-10 1993-05-13 Griesemer, Albert, 5438 Westerburg, De
US5924640A (en) * 1995-02-16 1999-07-20 Royal Ordnance Public Limited Company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DE19616016C2 (de) * 1996-04-23 2000-08-10 Schroth Gmbh Carl F Halterung für einen Schultergurt eines Sicherheitsgurts
US5697670A (en) 1996-11-12 1997-12-16 Hoover Universal, Inc. Vehicle seat
SE514382C2 (sv) * 1998-05-20 2001-02-19 Saab Automobile Sätt och anordning vid ett säkerhetsbälte
JP2000198417A (ja) * 1998-11-06 2000-07-18 Takata Corp 乗員拘束保護システムにおけるモニタシステム
DE10013869C2 (de) 2000-03-21 2002-06-20 Breed Automotive Tech Komfort-Aufwickelein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mit Motorrückholung
JP4811893B2 (ja) 2000-04-21 2011-11-09 タカタ株式会社 モータ式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DE50107286D1 (de) * 2000-05-10 2005-10-06 Autoliv Dev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m reversiblen gurtstraffer
US6726249B2 (en) 2000-05-26 2004-04-27 Takata Corporation Motorized seat belt retractor
US20020140278A1 (en) 2001-03-19 2002-10-03 Hlavaty David Gerard Seat restraint tensioner
JP4669143B2 (ja) 2001-03-19 2011-04-13 タカタ株式会社 モータリトラクタシステム
DE10204477B4 (de) * 2002-02-05 2006-11-30 Daimlerchrysler Ag Gurtstraffer
DE10204476A1 (de) * 2002-02-05 2003-08-21 Daimler Chrysler Ag Gurtstraffer
US20130256445A1 (en) 2002-05-29 2013-10-03 Autoliv Development Ab Safety belt retractor having a pretensioning device
EP1507688B1 (de) * 2002-05-29 2007-10-17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r vorstraffeinrichtung
DE10354071A1 (de) * 2003-11-19 2005-06-09 Daimlerchrysler Ag Gurtroller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US7475941B2 (en) 2004-05-28 2009-01-13 Skjp Holdings Llc Compact folding seat with reverse cantilevered pivot
DE202004009949U1 (de) * 2004-06-24 2004-10-14 Key Safety Systems, Inc., Lakeland Aufwicke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DE102004048455B4 (de) * 2004-10-05 2009-01-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raffung eines zum Insassenschutz in einem Fahrzeug dienenden Sicherheitsgurtes
US8480180B2 (en) 2005-01-04 2013-07-09 Isringhausen Gmbh & Co. Kg Height-adjustable deflection device for a three-point belt, vehicle seat with a three-point belt and method for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upper fastening point of a three-point belt
DE102005012623A1 (de) 2005-03-18 2006-09-21 Siemens Ag Schraubradgetriebeeinheit
DE102005014521B4 (de) * 2005-03-30 2007-12-06 Siemens Restraint Systems Gmbh Insassenschutzsystem in einem Verkehrsmittel,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JP4612519B2 (ja) 2005-10-11 2011-01-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構造
US20070194565A1 (en) 2006-02-21 2007-08-23 Autoliv Asp, Inc. Device f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ension of a vehicle seatbelt
DE102006010268B4 (de) 2006-03-02 2009-03-05 Zf Friedrichshafen Ag Schraubradgetriebe für Zahnstangenlenkung
DE102006026734B4 (de) 2006-06-08 2008-09-04 Siemens Ag Gurtstrafferantrieb
JP5121213B2 (ja) 2006-11-22 2013-01-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4953835B2 (ja) * 2007-01-17 2012-06-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US20080246316A1 (en) 2007-04-03 2008-10-09 David Shaun Carine Child restraint system including tension sensor and status indicator
JP5126575B2 (ja) 2007-05-01 2013-01-2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ウェビング巻取り装置
JP5171121B2 (ja) 2007-06-20 2013-03-27 タカタ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7038916A1 (de) 2007-08-17 2009-02-2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Gurtstrafferantrieb für d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mit einem Topflager für die Rotorwelle eines Elektromotors
DE102008045999A1 (de) 2007-12-10 2009-06-18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mit einer Rückenlehne und einer Gurtumlenkung
GB0724215D0 (en) 2007-12-12 2008-01-23 Norgren Ltd C A Seat belt device
JP5444569B2 (ja) 2008-04-04 2014-03-1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DE102008040673B4 (de) 2008-06-24 2018-07-26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Gmbh Wellenlagerung in einem Lenksystem und damit ausgestattetes Lenkgetriebe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DE102008048339B4 (de) 2008-09-22 2016-07-28 Autoliv Development Ab Reversibler Gurtstraffer
JP5434102B2 (ja) 2009-01-29 2014-03-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09035047A1 (de) * 2009-07-28 2011-02-03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CN102666215B (zh) 2009-11-04 2014-05-28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带卷收器
US8220735B2 (en) * 2009-12-22 2012-07-17 Autoliv Asp, Inc. Adaptive load limiting retractor
JP5662029B2 (ja) * 2010-01-22 2015-01-28 日鉄住金精圧品株式会社 トーションバー
JP2013244882A (ja) * 2012-05-28 2013-12-09 Ashimori Industry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576453B2 (ja) 2012-10-16 2014-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5602253B2 (ja) 2013-01-09 2014-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3011267A1 (de) * 2013-07-05 2015-0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icherheitsgurtaufroller für ein Kraftfahrzeug
US20150158590A1 (en) 2013-12-09 2015-06-11 Amsafe, Inc. Aircraft occupant restraint pretensio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DE102014200312A1 (de) * 2014-01-10 2015-07-16 Autoliv Development Ab Reversibler Gurtstraffer
US9592791B2 (en) 2014-09-19 2017-03-14 Joseph Y. Yoon Advanced seatbelt apparatus
WO2016063634A1 (ja) * 2014-10-22 2016-04-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02014016350A1 (de) * 2014-11-05 2015-05-21 Daimler Ag Gurtaufrol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und Fahrzeug
US9751495B2 (en) * 2015-08-21 2017-09-05 Carleton Life Support Systems, Inc. Reel lock having multiple tooth dog
DE102015012447A1 (de) * 2015-09-28 2017-03-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r hinterer Sitzreih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Befestigungsanordnung
JP2017218118A (ja) 2016-06-10 2017-12-14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トング
CN107719299A (zh) * 2016-08-10 2018-02-23 天津市诚远印刷机械有限公司 一种安全带卷收器
DE102018213279A1 (de) * 2018-08-08 2020-02-13 Autoliv Development Ab Lasttragendes Strukturteil für einen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86A (ja) * 1996-10-11 1998-05-06 Takata Kk 超音波モータ及び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03516270A (ja) * 1999-12-13 2003-05-13 ブリード・オートモーティブ・テクノロジ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956B1 (ko) 2023-02-24
CN116409282A (zh) 2023-07-11
WO2020030685A1 (de) 2020-02-13
CN110816467A (zh) 2020-02-21
EP3964406A1 (de) 2022-03-09
DE102018213282A1 (de) 2020-02-13
JP7474803B2 (ja) 2024-04-25
EP3833583A1 (de) 2021-06-16
CN110816467B (zh) 2023-05-09
JP2022119867A (ja) 2022-08-17
US20210387593A1 (en) 2021-12-16
US11577687B2 (en) 2023-02-14
JP2021535024A (ja) 2021-12-16
JP2022116120A (ja) 2022-08-09
JP7087189B2 (ja) 2022-06-20
EP3833583B1 (de) 2022-06-29
US20200047711A1 (en) 2020-02-13
EP3964407A1 (de) 2022-03-09
JP7438266B2 (ja) 202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956B1 (ko) 벨트 리트랙터
KR102603389B1 (ko)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KR101642068B1 (ko) 힘 제한 장치 및 조임 장치를 구비한 벨트 위축기
US20150083841A1 (en) Belt Retractor With Two Force-Limiting Devices Acting in Parallel
US6983954B2 (en) Airbag module for motor vehicles
US20200130641A1 (en) Seat belt retractor
US20230278524A1 (en) Belt retractor
KR20230154041A (ko) 내하중 안전벨트 리트랙터 및 시트 구조
US20220266792A1 (en) Belt retractor
US20130233958A1 (en) Webbing retractor
US11904799B2 (en) Seat-belt retractor
CN210454739U (zh) 安全带卷收器和安全带装置
US20230322182A1 (en) Belt retractor
KR102664593B1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031001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리트렉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