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985A - 스피릿트 주입된 커피 원두 - Google Patents

스피릿트 주입된 커피 원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985A
KR20210023985A KR1020217000911A KR20217000911A KR20210023985A KR 20210023985 A KR20210023985 A KR 20210023985A KR 1020217000911 A KR1020217000911 A KR 1020217000911A KR 20217000911 A KR20217000911 A KR 20217000911A KR 20210023985 A KR20210023985 A KR 2021002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infused
hours
coffee beans
spir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슬리 겐틸 바쏠리
Original Assignee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2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8Methods of grind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12G3/07Flavouring with wood extracts, e.g. generated by contact with wood; Wood pretreatment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제조하고,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에 커피 원두를 침지시키고,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를 로스팅함으로써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된다. 일부 구체예는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로부터 제조된 향미-주입된 커피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릿트 주입된 커피 원두
본 개시물의 여러 구체예는 향미 함유 물질을 가진 커피 원두의 주입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전형적으로 그라인딩된(ground) 커피 원두를 뜨거운 물에 침지시켜 제조되는 브루잉된(brewed) 음료이다. 커피는 바람직한 향미와 향을 갖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소비자들은 종종 추가적인 향미 첨가물이 들어있는 커피 음료를 즐긴다. 예를 들어, 페퍼민트, 헤이즐넛, 바닐라, 등을 포함한 다양한 향미가 더해진 커피 첨가물이 향미가 더해진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데 이용 가능하다. 하지만, 브루잉된 커피 음료에 추가적인 향미료를 포함시키는 것은 소비자에게 번거롭고 시간 소모가 클 수 있다.
제조자는 향미가 더해진 커피 음료의 생산이 용이하도록 향미가 더해진 커피 원두를 제조하였다. 전형적으로, 향미가 더해진 커피 원두는 로스팅된(roasted) 커피 원두에 향미유를 뿌려서 제조된다. 향미유는 원하는 향미 프로파일을 나타내도록 선택된 다양한 방향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향미유는 커피 원두의 외부 표면 상에 있고, 대기 열화되어, 오일 내 방향성 화합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고, 오일 자체가 산패할 수 있다. 더욱이, 향미유는 전형적으로 합성 첨가물을 함유하고 덜 고급의 제품과 관련이 있다. 제조자는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는 향미가 제한된다. 예를 들어, 향미유의 사용을 통해 배럴에서 숙성된(barrel aged) 스피릿트(spirit)의 특정 바람직한 향미의 복잡하고 미묘한 노트를 커피 원두에 전달하는 것은 어렵다.
많은 소비자들이 향미가 더해진 커피 음료를 원한다. 하지만, 추가적인 향미료 성분을 포함시키기 위한 기술은 화학적 첨가물의 사용, 및 부패의 기회 증가를 포함한 몇 가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더 효율적이고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향미-주입된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이 본원에서 추가로 개시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개시물은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방법은 커피 원두를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서 목재의 일부를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목재는 칩, 다월(dowel), 막대, 스테이브(stave),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 인자와 같이 더 작은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목재는 브리켓(briquette)으로 분할 될 수 있다. 목재의 브리켓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수득하기 위해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구성형태에서, 커피 원두는 향미-주입된 스피릿트 내에 침지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커피 원두는 볶지 않은(green) 커피 원두일 수 있다. 그 다음에, 커피 원두는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수득하기 위해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여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기술 및 방법의 추가의 구체예에서, 목재 중 일부는 천연 목재, 구운(toasted) 목재, 탄화된(charred) 목재, 그을린(burned) 목재, 또는 훈증된(smoked) 목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목재 중 일부는 약 0.1 in3 내지 약 2.0 in3의 범위, 예컨대 약 0.1 in3; 약 0.2 in3; 약 0.3 in3; 약 0.4 in3; 약 0.5 in3; 약 0.6 in3; 약 0.7 in3; 약 0.8 in3; 약 0.9 in3; 약 1.0 in3; 약 1.1 in3; 약 1.2 in3; 약 1.3 in3; 약 1.4 in3; 약 1.5 in3; 약 1.6 in3; 약 1.7 in3; 약 1.8 in3; 약 1.9 in3; 약 2.0 in3;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정육면체로 브리켓 분할된다. 다양한 추가적인 구성형태에서, 목재는 스테이브, 다월, 막대, 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 인자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목재는 약 0.1 in 내지 약 2.0 in, 예컨대 약 0.1 in; 약 0.2 in; 약 0.4 in; 약 0.6 in 약 0.8 in; 약 1.0 in; 약 1.2 in; 약 1.4 in; 약 1.6 in; 약 1.8 in; 약 2.0 in;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직경을 가진 다월로 분할될 수 있다. 유사하게, 목재로 된 다월은 약 0.1 in 내지 약 4 in, 예컨대 약 0.1 in; 0.2 in; 0.4 in; 0.8 in; 1.0 in; 1.2 in; 1.4 in; 1.6 in; 1.8 in; 2.0 in; 2.2 in; 2.4 in; 2.6 in; 2.8 in; 3.0 in; 3.2 in; 3.4 in; 3.6 in; 3.8 in; 4.0 in;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목재의 정확한 치수가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약 30도 게이-뤼삭 (Gay-Lussac: GL) 내지 약 70 GL의 알콜 함유량을 갖는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버번, 위스키, 호밀, 진, 테킬라, 보드카, 브랜디, 셰리, 럼, 및 이것들의 조합,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형태에서, 목재의 브리켓은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서 약 15분 내지 약 80시간, 예컨대 약 15분; 약 30분; 약 1시간; 약 2시간; 약 3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4시간; 약 16시간; 약 18시간; 약 20시간; 약 22시간; 약 24시간; 약 26시간; 약 28시간; 약 30시간; 약 32시간; 약 34시간; 약 36시간; 약 38시간; 약 40시간; 약 42시간; 약 44시간; 약 46시간; 약 48시간; 약 50시간; 약 52시간; 약 54시간; 약 56시간; 약 58시간; 약 60시간; 약 62시간; 약 64시간; 약 66시간; 약 68시간; 약 70시간; 약 72시간; 약 74시간; 약 76시간; 약 78시간; 약 80시간;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의 기간 동안 추출된다. 다른 구성형태에서,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 대한 목재 브리켓의 비율은 약 1.0: 0.8 내지 1.0: 3.0, 예컨대 약 1.0: 0.8; 약 1.0: 1.0; 약 1.0: 1.2; 약 1.0: 1.4; 약 1.0: 1.6; 약 1.0: 1.8; 약 1.0: 2.0; 약 1.0: 2.2; 약 1.0: 2.4; 약 1.0: 2.6; 약 1.0: 2.8; 약 1.0: 3.0;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추출 온도는 약 1 ℃ 내지 약 70 ℃, 예컨대 약 2 ℃; 약 4 ℃; 약 6 ℃; 약 8 ℃; 약 10 ℃; 약 12 ℃; 약 14 ℃; 약 16 ℃; 약 18 ℃; 약 20 ℃; 약 22 ℃; 약 24 ℃; 약 26 ℃; 약 28 ℃; 약 30 ℃; 약 32 ℃; 약 34 ℃; 약 36 ℃; 약 38 ℃; 약 40 ℃; 약 42 ℃; 약 44 ℃; 약 46 ℃; 약 48 ℃; 약 50 ℃; 약 52 ℃; 약 54 ℃; 약 56 ℃; 약 58 ℃; 약 60 ℃; 약 62 ℃; 약 64 ℃; 약 66 ℃; 약 68 ℃; 약 70 ℃;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추가의 구성형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커피 원두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블렌딩(blending)하기 전에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앨리쿼트 (예를 들어, 원두 kg 당 약 10 mL 내지 약 100 mL)를 커피 원두에 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앨리쿼트는 커피 원두 kg 당 약 10 mL 내지 약 100 mL, 예컨대 약 10 mL/kg; 약 15 mL/kg; 약 20 mL/kg; 약 25 mL/kg; 약 30 mL/kg; 약 35 mL/kg; 약 40 mL/kg; 약 45 mL/kg; 약 50 mL/kg; 약 55 mL/kg; 약 60 mL/kg; 약 65 mL/kg; 약 70 mL/kg; 약 75 mL/kg; 약 80 mL/kg; 약 85 mL/kg; 약 90 mL/kg; 약 95 mL/kg; 약 100 mL/kg;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볶지 않은 커피 원두 중량의 약 1% 내지 약 10%, 예컨대 약 1%;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비율로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된다. 유사하게, 일부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약 1시간 내지 약 80시간, 예컨대 약 1시간; 약 2시간; 약 3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4시간; 약 16시간; 약 18시간; 약 20시간; 약 22시간; 약 24시간; 약 26시간; 약 28시간; 약 30시간; 약 32시간; 약 34시간; 약 36시간; 약 38시간; 약 40시간; 약 42시간; 약 44시간; 약 46시간; 약 48시간; 약 50시간; 약 52시간; 약 54시간; 약 56시간; 약 58시간; 약 60시간; 약 62시간; 약 64시간; 약 66시간; 약 68시간; 약 70시간; 약 72시간; 약 74시간; 약 76시간; 약 78시간; 약 80시간;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는 기간 동안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방법은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여 로스팅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로스팅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는 약 150 ℃ 내지 약 300 ℃, 예컨대 약 150 ℃; 약 160 ℃; 약 170 ℃; 약 180 ℃; 약 190 ℃; 약 200 ℃; 약 210 ℃; 약 220 ℃; 약 230 ℃; 약 240 ℃; 약 250 ℃; 약 260 ℃; 약 270 ℃; 약 280 ℃; 약 290 ℃; 약 300 ℃;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는 내부 온도로 로스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는 원하는 정도로, 예컨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로 로스팅될 수 있다: 라이트 로스트(light roast), 미디엄 로스트(medium roast), 및 다크 로스트(dark roast).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평균 입자 직경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약 90 μm 내지 약 2,000 μm; 예컨대 약 90 μm; 약 100 μm; 약 120 μm; 약 140 μm; 약 150 μm; 약 170 μm; 약 180 μm; 약 200 μm; 약 220 μm; 약 250 μm; 약 275 μm; 약 300 μm; 약 330 μm; 약 360 μm; 약 400 μm; 약 420 μm; 약 440 μm; 약 450 μm; 약 500 μm; μm; 약 510 μm; 약 520 μm; 약 50 μm; 약 540 μm; 약 550 μm; 약 560 μm; 약 580 μm; 약 600 μm; 약 620 μm; 약 640 μm; 약 660 μm; 약 680 μm; 약 700 μm; 약 720 μm; 약 740 μm; 약 760 μm; 약 780 μm; 약 800 μm; 약 820 μm; 약 840 μm; 약 860 μm; 약 880 μm; 약 900 μm; 약 920 μm; 약 940 μm; 약 960 μm; 약 980 μm; 약 1,000 μm; 약 1,200 μm; 약 1,400 μm; 약 1,500 μm; 약 1750 μm; 약 1900 μm; 약 2000 μm;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는 입자 크기로 그라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개시물은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형태에서 방법은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서 향미 화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로부터 향미 화합물을 분리하여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수득하는 단계;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는 단계; 볶지 않은 커피 원두로부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분리하여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 및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여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또는 상이한 구체예에서, 목재의 브리켓은 천연 목재, 구운 목재, 탄화된 목재, 그을린 목재, 또는 훈증된 목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형태에서,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약 30 GL 내지 약 70 GL의 알콜 함유량을 갖는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목재의 브리켓은 약 1시간 내지 약 80시간의 범위의 기간 동안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서 추출된다. 유사하게, 일부 구성형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기 전에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앨리쿼트를 커피 원두에 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는 약 1시간 내지 약 80시간, 예컨대 약 1시간; 약 2시간; 약 3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4시간; 약 16시간; 약 18시간; 약 20시간; 약 22시간; 약 24시간; 약 26시간; 약 28시간; 약 30시간; 약 32시간; 약 34시간; 약 36시간; 약 38시간; 약 40시간; 약 42시간; 약 44시간; 약 46시간; 약 48시간; 약 50시간; 약 52시간; 약 54시간; 약 56시간; 약 58시간; 약 60시간; 약 62시간; 약 64시간; 약 66시간; 약 68시간; 약 70시간; 약 72시간; 약 74시간; 약 76시간; 약 78시간; 약 80시간;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기간 동안 향미-주입된 스피릿트 내에 침지된다.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원두 중량의 약 1% 내지 약 10%, 예컨대 약 1%;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는 양으로 볶지 않은 커피 원두에 추가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특정 구성형태에서, 방법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는 단계, 볶지 않은 커피 원두로부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분리하여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 및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여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천연 목재, 구운 목재, 탄화된 목재, 그을린 목재, 또는 훈증된 목재 중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성형태에서,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약 30 GL 내지 약 70 GL의 알콜 함유량을 갖는다. 추가의 구성형태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약 1시간 내지 약 80시간, 예컨대 약 1시간; 약 2시간; 약 3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4시간; 약 16시간; 약 18시간; 약 20시간; 약 22시간; 약 24시간; 약 26시간; 약 28시간; 약 30시간; 약 32시간; 약 34시간; 약 36시간; 약 38시간; 약 40시간; 약 42시간; 약 44시간; 약 46시간; 약 48시간; 약 50시간; 약 52시간; 약 54시간; 약 56시간; 약 58시간; 약 60시간; 약 62시간; 약 64시간; 약 66시간; 약 68시간; 약 70시간; 약 72시간; 약 74시간; 약 76시간; 약 78시간; 약 80시간;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는 기간 동안 향미 화합물을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로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추가적인 구성형태에서,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수용액에서 향미 화합물을 추출하여 향미-주입된 수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향미-주입된 수용액을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여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 및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여 향미 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형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기술 및 방법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기 전에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앨리쿼트를 커피 원두에 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물의 일부 구체예는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는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를 사용하여 공급원 (예를 들어,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추출된 향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를 사용하여 추출된 향미 화합물은 원두로 흡수되었다. 일부 구체예에서, 식물 공급원은 목재의 일부, 예컨대 브리켓이다. 하지만, 임의의 적합한 식물 공급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잎, 과실, 베리, 견과, 꽃, 등을 포함한다. 일부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약 30 GL 내지 약 70 GL, 예컨대 약 30 GL; 약 40 GL; 약 50 GL; 약 60 GL; 약 70 GL;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알콜 함유량을 갖는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원두는 향미 화합물이 원두로 흡수된 후 로스팅될 수 있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원두로 흡수된 향미 화합물은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를 로스팅한 결과로서 카라멜화(caramelization);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 및 열 분해(pyrolysis) 중 적어도 하나를 거친다.
본 개시물의 일부 구체예는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는 인지 가능할 정도로 로스팅되지 않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는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와 직접적으로 접촉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침지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식물 공급원로부터 향미 화합물을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로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식물 공급원은 임의의 적합한 향미 함유 식물 공급원, 예컨대 잎, 허브, 꽃, 향신료, 껍질, 목재,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식물 공급원은 목재 브리켓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목재 브리켓은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서 추출하기 전에 향미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목재 브리켓은 천연, 구운, 그을린, 탄화된, 훈증된 것, 등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약 30 GL 내지 약 70 GL, 예컨대 약 30 GL; 약 40 GL; 약 50 GL; 약 60 GL; 약 70 GL;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알콜 함유량을 갖는다. 다양한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는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 의해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추출된 향미 화합물을 흡수하였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는 로스팅될 수 있다. 일부 구성형태에서, 로스팅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는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 의해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추출된 향미 화합물을 함유하고, 향미 화합물은 로스팅 공정에 의해 변형되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현예에서, 로스팅된 향미-주입된 원두는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 의해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추출된 향미 화합물을 함유하며 향미 화합물은 카라멜화, 마이야르 반응, 및 열 분해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쳤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로스팅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는 실질적으로 알콜이 없다.
첨부된 도면에서 다양한 구체예가 예시의 목적으로 묘사되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체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이한 개시된 구체예의 다양한 특징들이 조합되어 추가적인 구체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본 개시물의 일부가 된다. 상기 언급된 양태 및 본 개시물의 수반되는 다수의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질 때, 다음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는 것처럼 더 쉽게 인정될 것이다.
도 1은 향미를 커피 원두에 주입하기 위한 선행 기술 배럴 숙성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묘사한다.
도 2는 향미를 커피 원두에 주입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따르는 기술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묘사한다.
소비자는 종종 향미가 더해진 커피 음료를 즐긴다. 향미가 더해진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향미 첨가물은 전형적으로 포장 전에 제조자에 의해, 또는 소비 전에 소비자에 의해 브루잉된 커피 음료에 포함된다. 하지만, 이들 향미 첨가물은 원하는 향미 프로파일을 달성하거나, 저장 안정성을 촉진하거나, 또는 혼합의 용이함을 보장하기 위해 종종 합성 화합물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이러한 첨가물을 피하는 것을 선호한다. 더욱이, 바람직한 향미를 얻고 커피 음료에 포함시키는 것이 소비자에게는 불편할 수 있다.
브루잉 후 추가적인 첨가물이 커피 음료에 포함될 필요가 없는, 향미가 더해진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결과로 생성되는 브루잉된 음료의 향미 프로파일을 변화시키기 위해 향미 화합물이 로스팅된 커피 원두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제조자들은 대신에 건조 향미 믹스(mix)를 사전 그라인딩된 커피 원두에 포함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여전히 상기 논의된 단점 중 다수에 민감하다. 즉, 향미 믹스는 많은 소비자가 피하는 것을 선호하는 합성 첨가물을 종종 이용한다. 더욱이, 건조 향미가 더해진 믹스는 반드시 그라인딩된 커피 원두와 동일한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은 아니며, 종종 정착하는 성향을 초래하여 일정하지 않은 컵의 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바람직한 방향성 및 휘발성 향미 화합물은 대기로 확산되는 성향을 갖고 있으며, 향미가 약해지고 퀴퀴해진다. 이 문제는 사전 그라인딩된 원두가 로스팅된 전체 원두와 비교하여 증가된 속도로 퀴퀴해진다는 사실에 의해 악화된다.
다른 제조자는 건조 향미 믹스를 피하는 대신에, 포장 전에 로스팅된 원두에 향미유를 뿌린다. 이 방식으로, 로스팅된 커피 원두는 향미유의 외부 코팅이 남아있으며 이것은 브루잉된 음료에 특정 향미를 주입할 것이다. 하지만, 향미유는 종종 원하는 향미 프로파일을 달성하기 위해 합성 화합물을 이용하고, 많은 소비자는 전형적으로 이러한 첨가물을 피하는 것을 선호한다. 더욱이, 향미유는 로스팅 후 원두에 첨가되어야 하며, 고온의 로스팅 공정이 원하는 향미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화합물을 파괴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술은 또한 제조상의 불일치를 일으키기 쉽다. 예를 들어, 향미료 공정의 불규칙함은 일관성이 없는 향미 프로파일을 초래할 수 있으며, 원두의 특정 영역이 다른 것들보다 더 두꺼운 오일 코팅을 받는다. 또한, 향미유의 표면 코팅은 악화에 민감하다 - 특정 향미의 원인이 되는 바람직한 휘발성 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산될 것이고, 오일은 저장 중에 산패할 수 있다. 제조자는 또한 모방될 수 있는 향미의 범위가 제한되며, 향미유를 사용하여 특정 복합 향미를 재생산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언급된 단점에도 불구하고, 제조자는 퀴퀴하거나 저품질의 원두와 관련된 이취(off-flavor)를 가리기 위해 이러한 향미료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특정 향미가 더해진 커피는 감소된 품질에 대한 인식을 얻었고, 더 고급의 향미가 더해진 커피 제품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알콜성 스피릿트-특히 숙성된 알콜성 스피릿트-와 관련된 향미 및 향은 소비자에 의해 더 고급의 제품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커피 원두로의 주입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어두운 배럴에서 숙성된 주류, 예컨대 버번, 스카치, 럼, 셰리, 등의 어둡고, 방향성이고, 나무향 노트는 커피의 달콤씁슬한 노트와 잘 어울리는 것이 발견되었지만, 기존의 기술을 사용하여 커피 원두에 주입하는 것이 어렵다. 본원에 개시된 여러 구체예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배럴에서 숙성된 스피릿트의 향미 및 향은 복합적이고, 전통적인 수단을 통해 커피 원두에 주입하는 것은 어렵다. 일부 제조자는 이전에 주류를 숙성시키는데 사용된 배럴에서 원두를 담아서 커피 원두에 숙성된 스피릿트의 향미 및 향을 주입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 방식으로 배럴에서 숙성된 원두를 제조하기 위한 선행 기술 공정 흐름이 도 1에 묘사되어 있다. 상자 (10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피 원두가 제공된다. 그 다음에 커피 원두는 상자 (102)에 묘사된 바와 같이 이전에 스피릿트, 예컨대 버번을 숙성시키는데 사용된 배럴의 내부에 남아있다. 건조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이전에 버번을 숙성시키는데 사용된 배럴 내에서 레스팅(resting)하여, 상지 (103)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버번-배럴의 목재 내에 남아있는 기체 휘발성 화합물이 서서히 원두에 흡수되어 배럴에서 숙성된 원두를 수득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이 공정은 불필요하게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하다. 공정이 커피 원두로의 휘발성 방향성 화합물의 수동적인 기체 주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원두는 수주 내지 수개월의 범위의 기간 동안 배럴 내에 있어야 한다. 주입 공정이 완료되는데 수주 내지 수개월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공정은 원두에 인지 가능할 정도로 향미를 더하기 위해 충분한 주입이 일어날 때 원두가 퀴퀴해지거나 산패할 위험이 있다. 더욱이, 향미가 더해진 원두의 배치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많은 시간은 생산 비용을 크기 증가시킨다. 생산 비용이 추가로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배럴은 단지 1회 또는 2회만 사용될 수 있는데, 커피 원두의 향미 및 향이 동시에 배럴 자체로 다시 주입되어, 미래의 배치를 오염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논의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원에 개시된 여러 구체예들은 스피릿트를 숙성시키는데 사용된 배럴의 생산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목재의 바람직한 향미 및 향과 같이, 천연 향미 및 향을 가진 알콜-함유 스프릿트를 주입하는데 적합한 방법과 관련이 있다. 결국,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목재 및 스피릿트의 바람직한 향미 및 향을 커피 원두에 주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 공정은 이전의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며, 고품질의 더 완벽한 향미 프로파일을 원두에 제공한다. 또한, 결과의 원두는 더 표준화된 향미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이러한 원두의 향미료의 변화가 적고, 시간이 흐름에 따른 향미의 손실이 감소된다.
본원에 개시된 주입 공정의 여러 구체예는 이전의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전의 방법은 원두에 휘발성, 방향성 화합물을 느리게 기체로 주입하기 위해 원두와 배럴 사이의 간접적인 접촉에 의존한다. 그에 반해, 본원에 기재된 기술 및 방법은, 여러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커피 원두와 직접적으로 접촉시킨 상태로 레스팅하여 생산의 효율 및 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원두의 이용 가능한 표면적 중 적어도 약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또는 그 이상과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커피 원두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직접적인 접촉은 주입 공정을 훨씬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원두는 빈 숙성 배럴에서 향미가 더해진 원두는 전형적으로 약 2개월의 대기 기간을 필요로 한다. 비교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기술 및 방법에 따라,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의 배치는 약 12시간 미만 동안 커피 원두를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에 침지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기술은 원두에 원하는 향미를 주입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상당한 양만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여러 구체예에서, 시간은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약 95%, 또는 약 98%만큼 감소된다. 주입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에 더하여, 감소된 주입 시간은 주입 동안에 원두가 퀴퀴해질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더욱이, 더 짧은 주입 시간은 또한 병원성 미생물, 예컨대 박테리아 또는 진균류에 의한 오염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이것들은 유리하게는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알콜 함유량에 의해 억제된다.
유사하게, 본원에 개시된 주입 공정은 더 완벽한 향미 주입을 초래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이전의 기술은 배럴과 원두 간의 간접적인 접촉에 의존하고, 원두가 배럴에서 제거될 때 원두로 확산 가능한 휘발성 방향성 화합물만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배럴 내에 남아있는 바람직한 향미 화합물 중 작은 분획만이 원두에 의해 흡수된다. 그에 반해, 본원에 개시된 기술 및 방법은 목재를 스피릿트와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며, 목재 내에서 발견된 바람직한 향미 화합물이 스피릿트로 추출되어, 더 완벽한 투입을 일어나게 하고, 더 완벽한 향미 프로파일을 가진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수득할 수 있게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본원에 개시된 기술 및 방법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커피 원두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레스팅시킬 수 있다.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와 커피 원두 간의 직접적인 접촉은 원두가 향미의 더 완벽한 배열을 차지하게 하여, 원두에서 더 복합적인 향미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더 풍부하고, 더 완벽한 향미 프로파일을 주입된 원두에 전달하는 것에 더하여, 놀랍게도 원두에 주입된 향미가 로스팅할 때 더 발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전의 방법은 전형적으로 향미 화합물이 원두에 뿌려지기 전에 원두가 로스팅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오일 및 다른 향미 화합물이 원두의 외표면에 있고, 바람직한 향미를 전달하는 원인이 되는 휘발성 화합물이 로스팅할 때 파괴되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볶지 않거나, 로스팅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로스팅된 원두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와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레스팅될 때, 목재의 미묘한 노트가 원두 내부에 흡수되고,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로스팅을 통해 더 발달된다. 로스팅 동안에 달성된 추가적인 향미 발달은 복합적이고, 미묘한 언더톤(undertone)을 로스팅된 원두에 제공하며, 이것은 풍부하고, 풍성한(full-bodied) 향미 프로파일을 결과로 생성된 브루잉된 음료에 제공한다.
도 2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여러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향미 함유 화합물, 예컨대 목재가 바람직한 향미 성분이 알콜 용액으로 추출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알콜 용액 내에 남아있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은 목재와 스피릿트-특히 버번 및 오크(oak)-의 향미를 커피 원두에 주입하는 것의 맥락에서 논의되지만, 본 개시물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향미 함유 화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인정될 것이다.
상자 (201)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알콜성 스피릿트가 제공된다. 일부 구성형태에서 알콜 용액은 스피릿트, 예컨대 버번 위스키일 수 있지만, 진, 테킬라, 보드카, 럼, 스카치 위스키, 호밀 위스키, 코냑(cognac), 브랜디, 셰리, 등을 포함한 추가적인 스피릿트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스피릿트는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약 30도 게이-뤼삭 (GL) 또는 그 이상, 예컨대 약 30 GL; 약 40 GL; 약 50 GL; 약 60 GL; 약 70 GL;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알콜 함유량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에서, 알콜성 스피릿트는 위스키, 예컨대 버번 위스키이다.
알콜성 스피릿트는 향미 함유 화합물로부터 바람직한 향미를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자 (202)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여러 구체예에서, 목재의 탄화된 브리켓이 향미 함유 화합물로서 제공된다. 실제로,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향미 함유 화합물은 오크로 만든 목재, 예컨대 아메리칸 오크(American oak), 프렌치 오크(French oak), 유로피언 오크(European oak), 스패니쉬 오크(Spanish oak), 굴참나무(oriental oak), 북가시나무(red oak), 졸참나무(scrub oak), 등일 수 있지만, 단풍나무, 사탕 단풍(sugar maple), 경질 단풍나무(hard maple), 연질 단풍나무(soft maple), 은 단풍(silver), 체리 나무, 사과 나무, 오렌지 나무, 살구 나무, 복숭아 나무, 자두 나무, 배 나무, 뽕나무, 메스키트 나무(mesquite wood), 히코리 목재(hickory wood), 밤 나무, 피칸 나무(pecan wood), 오리 나무(alder wood), 삼나무, 물푸레나무(ash wood),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상이한 목재가 이용될 수 있다. 특정 맛에 맞게 향미 주입을 조정하기 위해서, 목재의 향미 및 향 프로파일은 추출 전에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의 조각이 훈증되거나, 구워지거나, 탄화되거나, 그을리거나, 또는 천연의 것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다양한 구체예에 알콜-함유 스피릿트에 예를 들어, 오크의 향미 및 향을 주입하는 것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지만, 유사한 주입 공정이, 광범위한 다른 천연 및 식물-기반 화합물, 예컨대 베리, 과실, 꽃, 견과, 잎, 뿌리, 추출물 또는 상기 언급된 것들 중 어느 것의 성분, 등을 포함한, 거의 바람직한 향미를 함유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상자 (203)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향미 함유 화합물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수득하기 위해 알콜성 스피릿트에 담가질 수 있다. 향미 함유 화합물이 알콜 용액에 담가지면서, 바람직한 향미 함유 화합물이 스피릿트로 추출된다. 추출은 약 15분 내지 약 80시간의 범위에 있는 기간 동안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구성형태에서, 목재는 약 15분; 약 30분; 약 1시간; 약 2시간; 약 3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4시간; 약 16시간; 약 18시간; 약 20시간; 약 22시간; 약 24시간; 약 26시간; 약 28시간; 약 30시간; 약 32시간; 약 34시간; 약 36시간; 약 38시간; 약 40시간; 약 42시간; 약 44시간; 약 46시간; 약 48시간; 약 50시간; 약 52시간; 약 54시간; 약 56시간; 약 58시간; 약 60시간; 약 62시간; 약 64시간; 약 66시간; 약 68시간; 약 70시간; 약 72시간; 약 74시간; 약 76시간; 약 78시간; 약 80시간;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 동안 알콜 용액 내에 남아있을 수 있다.
정확한 주입 시간은 알콜 용액의 강도, 향미 함유 화합물의 추출 특징,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원하는 향미 프로파일, 및 유사한 요인들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효율적인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향미 함유 화합물, 예컨대 목재는 바람직한 향미 화합물이 목재로부터 추출되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절단되거나, 다듬어지거나, 펄프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더 큰 표면적을 가진 더 운용 가능한 형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성형태에서, 목재의 조각은 정육면체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정육면체는 약 0.2 in3; 약 0.3 in3; 약0.4 in3; 약 0.5 in3; 약 0.6 in3; 약 0.7 in3; 약 0.8 in3; 약 0.9 in3; 약 1.0 in3; 약 1. in3; 약 1.2 in3; 약 1.3 in3; 약 1.4 in3; 약 1.5 in3; 약 1.6 in3; 약 1.7 in3; 약 1.8 in3; 약 1.9 in3; 약 2.0;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목재의 조각은 거칠게 토막나거나 펄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실제로, 본 개시물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광범위한 형태 인자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추가적인 구성형태에서, 목재는 스테이브, 다월, 막대,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목재는 약 0.1 in 내지 약 2.0 in, 예컨대 약 0.1 in; 약 0.2 in; 약 0.4 in; 약 0.6 in 약 0.8 in; 약 1.0 in; 약 1.2 in; 약 1.4 in; 약 1.6 in; 약 1.8 in; 약 2.0 in;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직경을 가진 다월로 분할될 수 있다. 유사하게, 나무로 된 다월은 약 0.1 in 내지 약 4 in, 예컨대 약 0.1 in; 0.2 in; 0.4 in; 0.8 in; 1.0 in; 1.2 in; 1.4 in; 1.6 in; 1.8 in; 2.0 in; 2.2 in; 2.4 in; 2.6 in; 2.8 in; 3.0 in; 3.2 in; 3.4 in; 3.6 in; 3.8 in; 4.0 in;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본 개시물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의 형상 및 크기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추출 시간은 또한 알콜 용액에 대한 향미 함유 화합물의 비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향미 함유 화합물이 추출 믹스에 포함되는 경우, 추출 시간은 상응하는 정도만큼 감소될 수 있다. 특정 구성형태에서, 스피릿트에 대한 목재의 비율은 약 1.0: 0.8 내지 1.0: 3.0, 예컨대 약 1.0: 0.8; 약 1.0: 1.0; 약 1.0: 1.2; 약 1.0: 1.4; 약 1.0: 1.6; 약 1.0: 1.8; 약 1.0: 2.0; 약 1.0: 2.2; 약 1.0: 2.4; 약 1.0: 2.6; 약 1.0: 2.8; 약 1.0: 3.0;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전체적인 추출 시간은 또한 적어도 추출 공정의 일부 동안 추출 혼합물을 교반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교반은 추출이 배치의 모든 영역에 걸쳐 일정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고, 추출 믹스의 포켓(pocket)이 과다 추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교반은 추출 공정 전반에 걸쳐 나누어지거나 연속적일 수 있고, 흔들기, 굴리기, 동요, 진동,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추출 온도는 또한 추출되는 향미 함유 화합물의 유형 및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추출 온도는 약 1 ℃ 내지 약 70 ℃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약 2 ℃; 약 4 ℃; 약 6 ℃; 약 8 ℃; 약 10 ℃; 약 12 ℃; 약 14 ℃; 약 16 ℃; 약 18 ℃; 약 20 ℃; 약 22 ℃; 약 24 ℃; 약 26 ℃; 약 28 ℃; 약 30 ℃; 약 32 ℃; 약 34 ℃; 약 36 ℃; 약 38 ℃; 약 40 ℃; 약 42 ℃; 약 44 ℃; 약 46 ℃; 약 48 ℃; 약 50 ℃; 약 52 ℃; 약 54 ℃; 약 56 ℃; 약 58 ℃; 약 60 ℃; 약 62 ℃; 약 64 ℃; 약 66 ℃; 약 68 ℃; 약 70 ℃;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온도는 추출 동안에 변동되지만, 다른 구체에에서, 온도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목재가 스피릿트에 침지됨에 따라, 바람직한 향미 및 향 화합물이 목재로부터 스피릿트로 추출되어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생산한다. 충분한 정도의 주입이 발생하면, 목재는 상자 (204)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피릿트로부터 목재를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목재는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분리하기 위해 여과되거나 선별될 수 있다. 목재의 완벽한 제거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목재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로부터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분리된 목재는 상자 (205)에 묘사된 바와 같이 보류될 수 있다. 보류된 목재는 수분을 빼낸 다음 후속 배치의 스피릿트를 주입하는데 재사용될 수 있다. 상자 (206)에서 묘사된 단리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즉시 이용되거나, 또는 향미를 더 발달시키기 위해 일정한 기간 동안 레스팅될 수 있다.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상자 (207)에 묘사된 바와 같이 커피 원두에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물에서 볶지 않은 커피 원두의 사용을 종종 언급하지만, 본 개시물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커피 원두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커피 원두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 예를 들어, 노란 커피 원두, 빨간 커피 원두, 부분적으로 로스팅된 커피 원두, 다크 로스트 커피 원두, 라이트 로스트 커피 원두, 카페인 제거되지 않은(non-decaffeinated) 커피, 부분적으로 카페인 제거된 커피, 완전히 카페인 제거된 커피, 또는 로스팅되지 않은 볶지 않은 커피 원두일 수 있다. 사용된 커피는 세계 어느 지역에서의 임의의 품종 또는 종일 수 있으며, 그것들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계 어느 지역 (예컨대 브라질, 인도네시아, 중앙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의 아라비카(Arabica), 로부스타(Robusta), 및 아라비카 & 로부스타의 임의의 블렌드. 일부 구성형태에서, 커피 원두는 볶지 않은 커피 체리, 빨간 커피 체리, 커피 꽃, 커피 체리 껍질, 커피 체리 과육, 커피 체리 줄기, 커피 체리 은빛 외피, 커피 체리 점액, 커피 체리 양피지, 커피 체리 외과피(exocarp), 커피 체리 중과피(mesocarp),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원두는 상자 (20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에서 레스팅될 수 있다. 원두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에 담가지면서, 스피릿트의 바람직한 향미 및 향 화합물이 커피 워두에 주입된다. 커피 원두는 전형적으로 원하는 정도의 주입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에 침지된다. 전형적인 침지 시간은 약 10분 내지 약 80시간, 예컨대 약 10분; 약 15분; 약 30분; 약 1시간; 약 2시간; 약 3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6시간; 약 7시간; 약 8시간; 약 9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4시간; 약 16시간; 약 18시간; 약 20시간; 약 22시간; 약 24시간; 약 26시간; 약 28시간; 약 30시간; 약 32시간; 약 34시간; 약 36시간; 약 38시간; 약 40시간; 약 42시간; 약 44시간; 약 46시간; 약 48시간; 약 50시간; 약 52시간; 약 54시간; 약 56시간; 약 58시간; 약 60시간; 약 62시간; 약 64시간; 약 66시간; 약 68시간; 약 70시간; 약 72시간; 약 74시간; 약 76시간; 약 78시간; 약 80시간;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원두가 충분한 정도의 주입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주입 강도,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알콜 함유량, 주입되는 원두의 특징, 향미-주입된 원두의 원하는 향미 프로파일, 및 유사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그럼에도, 일반적으로 더 긴 주입 시간은 전형적으로 원두로 주입되는 더 강한 향미를 발생시킨다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주입 강도는 또한 스피릿트에 대한 원두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작은 비율의 원두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 내에 침지되는 경우, 주입은 더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반대로, 큰 비율의 커피 원두가 스피릿트에 담가지는 경우, 주입은 더 느리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커피 원두에 추가되는 스피릿트의 양은 커피 원두 중량의 약 1% 내지 커피 원두 중량의 약 1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체예에서, 스피릿트의 양은 커피 원두 중량의 약 1%; 커피 원두 중량의 약 2%; 커피 원두 중량의 약 3%; 커피 원두 중량의 약 4%; 커피 원두 중량의 약 5%; 커피 원두 중량의 약 6%; 커피 원두 중량의 약 7%; 커피 원두 중량의 약 8%; 커피 원두 중량의 약 9%; 커피 원두 중량의 약 10%;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원두의 향미 프로파일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에 침지시키기 전 초기 단계에 의해 풍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 원두는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앨리쿼트가 뿌려지고 일정 기간 동안 얇은 막 아래에서 레스팅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커피 원두는 원하는 향미 프로파일을 가진 방향성 용액이 뿌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방향성 용액은 위스키, 예컨대 버번 또는 스카치, 또는 원하는 향미 프로파일을 가진 다른 스피릿트, 예컨대 진, 테킬라, 보드카, 브랜디, 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양의 방향성 용액은 원두 킬로그램 당 약 10 mL 내지 원두 킬로그램 당 약 100 mL, 예컨대 약 10 mL/kg; 약 20 mL/kg; 약 30 mL/kg; 약 40 mL/kg; 약 50 mL/kg; 약 60 mL/kg; 약 70 mL/kg; 약 80 mL/kg; 약 90 mL/kg; 약 100 mL/kg;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주입 전이지만, 분무한 후, 원두는 약 5분 내지 약 20시간, 예컨대 약 5분; 약 10분; 약 15분; 약 30분; 약 45분; 약 1시간; 약 2시간; 약 4시간; 약 5시간; 약 8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15시간; 약 18시간; 약 20시간;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범위에 있는 기간 동안 레스팅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바람직한 향미 성분이 원두로 주입될 수 있다. 원두는 약 1 ℃ 내지 약 70 ℃, 예컨대 약 2 ℃; 약 4 ℃; 약 8℃; 약 10 ℃; 약 20 ℃; 약 30 ℃; 약 40 ℃; 약 50 ℃; 약 60 ℃; 약 70 ℃; 약 80 ℃; 약 100 ℃; 약 120 ℃; 약 140 ℃; 약 160 ℃; 약 180 ℃;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온도에서 향미 주입된 스피릿트에 침지될 수 있다.
원두가 주입된 후, 향미-주입된 원두는 상자 (209)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스피릿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피릿트로부터 원두를 분리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원두는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로부터 여과되거나 선별될 수 있다. 일부 구성형태에서,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원두로부터 수분을 빼내고, 추가적인 주입을 위해 보류될 수 있다.
향미-주입된 원두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로부터 회수되면, 원두는 상자 (210)에 묘사된 바와 같이 로스팅될 수 있다. 전통적인 향미료 기술과는 달리, 로스팅이 원두의 외부에 코팅된 휘발성 방향성 화합물을 파괴하는 경우, 유리하게는 원두에 주입된 향미가 로스팅 공정 동안에 더 발달할 것이다. 특히, 로스팅 공정은 주입된-원두의 향미 프로파일을 무르익게 하여, 그렇지 않으면 얻어질 수 없는 추가적인 복합성과 언더톤을 완성된 컵에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로스팅을 통해 발달된 미묘하고 복합적인 언더톤은 원두를 로스팅하는데 사용된 높아진 온도에서 발생하는 원두 내 다양한 당, 지방, 단백질, 오일, 및 산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반응의 결과이다. 예를 들어, 원두 내에서 당 및 단백질은 카라멜화되고 마이야르 반응을 거쳐 휘발성 향미 및 향 화합물, 예컨대 2-푸르푸릴티올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로스팅의 열은 원두로부터 수분을 배출하여, 원두를 갈라지게 하고 원두 내 향미를 농축한다. 특정 로스팅 온도에서, 열 분해가 일어나며 원두 내에서 셀룰로스와 같은 유기 화합물이 완성된 제품에 대한 복합적이고 스모키한 톤(tone)에 기여하는 휘발성, 방향성 화합물로 분해된다. 다양한 구성형태에서, 향미-주입된 원두는 약 150 ℃ 내지 약 300 ℃, 예컨대 약 150 ℃; 약 160 ℃; 약 170 ℃; 약 180 ℃; 약 190 ℃; 약 200 ℃; 약 210 ℃; 약 220 ℃; 약 230 ℃; 약 240 ℃; 약 250 ℃; 약 260 ℃; 약 270 ℃; 약 280 ℃; 약 290 ℃; 약 300 ℃;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온도에서 로스팅될 수 있다. 게다가, 로스팅 공정의 높아진 온도는 원두로부터 잔류 알콜을 증발시킨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형태에서, 로스팅 공정 동안에 실질적으로 모든 알콜이 원두로부터 증발되어, 실질적 무알콜 원두가 된다. 로스팅 후, 원두는 냉각되고 레스팅될 수 있으며 상자 (211)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얻기 위한 최종 향미 발달이 일어날 것이다.
향미 주입된 커피 음료는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 예컨대 본원에 개시된 것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커피 음료는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를 입자로 감소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임의의 유형의 그라인딩 장비가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를 그라인딩하고 그것들을 입자로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라인딩 장비의 비-제한적 예는 케이지 밀(cage mill), 해머 밀(hammer mill), 1단 롤러 그라인더(single-stage roller grinder), 다단 롤러 그라인더(multistage roller grin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장비는 향미-주입된 원두의 원하는 향미 프로파일를 보존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냉각 매체를 통해 낮은 온도 (예를 들어, 약 0 ℃ 내지 20 ℃)에서 유지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구체예에서, 그라인딩은 소비자의 가정이나 커피숍에서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실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러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입자는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해 물에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입자는 끓는 물의 일부에 침지되어 뜨거운 커피 음료를 브루잉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향미-주입된 입자는 차가운 물에 침지되어 차가운 브루(brew) 조제물을 생산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라 제조된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로부터 제조된 브루잉된 커피 추출물은 그렇지 않으면 얻어질 수 없는 강한 목재 노트를 갖는 향상된 충분하고 풍부한 스피릿트 향미를 나타낸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구체예가 상기 언급된 것들에 관하여 기재되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구체예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다양한 변화 및/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구체예의 특정 양태는 특정 청구항의 형태로 하기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청구항 형태로 고려된다.
실제로, 상기 언급된 논의는 당업자가 본원에 개시된 구체예 중 하나 이상의 제조하고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공된 일반적인 개시내용 및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기재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개시물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서 논의된 것들 이외의 구체예 및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실제로, 본 개시물이 나타난 특정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신에 본원에 개시되거나 시사된 원리 및 특징과 일치하는 광범위한 범위에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하기 기재된 많은 예들은 스피릿트, 예컨대 버번을 주입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것들은 특정 바람직한 향미, 예컨대 오크로 풍부해졌다. 그럼에도,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 및 양태가 여러 추가적인 주입에 적용될 수 있고, 본원에 개시된 특정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정 양태, 이점, 및 특징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지만, 임의의 특정 구체예가 상기 양태, 이점, 및 특징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하거나 이것들을 달성할 필요는 없다. 일부 구체예는 본원에 기재된 이점을 달성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대신에 다른 이점을 달성할 수도 있다. 임의의 구체예에서의 임의의 구조, 특징, 또는 단계가 임의의 다른 구체예에서의 임의의 구조, 특징, 또는 단계 대신에, 또는 그것들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누락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은 다양한 개시된 구체예들로부터의 특징들의 모든 조합을 고려한다. 어떠한 특징, 구조, 또는 단계도 본질적이거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음료"는 통상적이고 관습적인 의미를 가지며, 다른 것들 중에서도, 임의의 식용 액체 또는 실질적으로 액체 물질 또는 흐름 품질을 가진 제품 (예를 들어, 쥬스, 커피 음료, 차, 냉동 요거트, 맥주, 와인, 칵테일, 리큐어(liqueur), 스피릿트, 사이다, 청량 음료, 향미가 더해진 물, 강장 음료, 수프, 죽, 이것들의 조합, 등)을 포함한다.
구절 "X, Y, 또는 Z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분리 언어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아이템, 용어, 등이 X, Y, 또는 Z,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X, Y, 및/또는 Z)일 수 있다는 것을 제공하는데 사용된 바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이러한 분리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구체예가 적어도 하나의 X, 적어도 하나의 Y, 또는 적어도 하나의 Z가 각각 존재하는 것을 필요로한다는 것을 나타내려는 것이 아니며, 나타내어서도 안 된다.
조건부 언어, 예컨대 "할 수 있다(can)", "할 수 있었다(could)", "할 수도 있었다(might)", 또는 "할 수도 있다(may)"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사용된 바와 같은 맥락 내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특정 구체예가, 다른 구체예는 포함하지 않지만,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한다는 것을 전달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부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요구되거나, 하나 이상의 구체예가 반드시, 사용자 입력 또는 프롬프팅(prompting) 유무에 관계없이, 이들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가 임의의 특정 구체예에 포함되거나 또는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논리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려는 것은 아니다.
달리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a)" 또는 "하나(an)"와 같은 관사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재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와 같은 구절은 하나 이상의 나열된 디바이스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나열된 디바이스는 또한 일괄적으로 언급된 설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는", "포함하는", "갖는", 등은 동의어이고 포괄적으로 개방형 방식으로 사용되고, 추가적인 요소, 특징, 작용, 작동,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용어 "일부", "특정", 등은 동의어이고 개방형 방식으로 사용된다. 또한, 용어 "또는"은, 예를 들어, 요소의 목록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때, 용어 "또는"은 목록의 요소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하도록 포괄적인 의미로 (배타적인 의미가 아니라) 사용된다.
용어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는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는, 언급된 양에 가까운 양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부 구체예에서, 문맥상 나타난 바와 같이, 용어 "대략", "약", 및 "실질적으로"는 언급된 양의 10% 미만 또는 이와 동일한 범위 내에 있는 양을 나타낼 수 있다. 용어 "일반적으로"는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대부분 특정 값, 양, 또는 특징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경향이 있는 값, 양, 또는 특징을 나타낸다.
종합적으로, 청구범위의 언어는 청구범위에서 이용된 언어에 기초하여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범위는 본 개시물에서 예시되고 기재되거나, 또는 본 출원의 기소 동안에 논의된 비-배타적 구체예 및 실시예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는 또한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논의된 성분, 구조, 방법 및 공정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성이 더 많은 성분 또는 방법 중 분할되거나 더 적은 성분 또는 방법으로 통합되는 것과 같은 대안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다양한 방법이 특정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지만, 당업자는 다른 구체예에서 방법이 다른 순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또한, 일부 구체예는 상기 또는 본원의 다른 곳에서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지만, 본 개시물은 본 개시물이 나타내고 기재하는 것들의 범위 내의 모든 구체예를 고려하고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물은 임의의 구조, 재료, 단계, 또는 본원의 어느 곳에서도 기재되어 있는 다른 특징과 임의의 다른 구조, 재료, 단계, 또는 본원의 어느 곳에서도 개시되어 있는 다른 특징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체예를 고려하고 이것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별개의 구현의 맥락에서 본 개시물에서 기재된 특정한 특징은 또한 단일 구현에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구현의 맥락에서 기재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수의 구현에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부분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특징들이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상기 기재되어 있지만, 주장된 조합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어떤 경우에는 조합으로부터 삭제될 수 있고, 조합은 부분조합 또는 부분조합의 변형으로 주장될 수 있다.
더욱이, 성분 및 작동이 특정 배열 또는 순서로 도면에서 묘사되거나 명세서에 기재될 수 있지만, 이러한 성분 및 작동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나타난 특정 배열 및 순서로, 그리고 순차적인 순서로 배열되고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성분 및 작동 전부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묘사 및 기재되지 않은 다른 성분 및 작동이 구체예 및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작동이 기재된 작동 이전, 이후, 그와 동시에, 또는 그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작동은 다른 구현에서 재배열되거나 재정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된 구현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분리는 모든 구현예에서 이러한 분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기재된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제품에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제품으로 포장될 수 있다.
요약하면, 음료 제조 시스템, 기술 및 방법의 다양한 예시적 구체예 및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 기술, 및 방법이 상기 구체예 및 실시예의 맥락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이 개시물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구체예를 너머 다른 대안의 구체예 및/또는 구체예의 다른 용도, 뿐만 아니라 이것들의 특정 변형 및 동등물까지 확장된다. 본 개시물은 개시된 구체예의 다양한 특징 및 양태가 서로 조합되거나, 서로에 대해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고려한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범위는 상기 기재된 특정 개시된 구체예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되지만, 뒤따르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동등물의 전체 범위의 공정한 판독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서 목재의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목재의 브리켓을 상기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로부터 분리하여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는 단계;
    상기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볶지 않은 커피 원두로부터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분리하여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여 상기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일부는 천연 목재, 구운 목재, 탄화된 목재, 그을린 목재, 또는 훈증된 목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일부는 브릭(brick), 정육면체, 다월, 막대, 스테이브, 브리켓, 또는 칩 중 적어도 하나로 분할되며, 약 1 입방 인치 내지 약 10 입방 인치의 범위에 있는 부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약 30 GL 내지 약 70 GL의 알콜 함유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버번, 위스키, 진, 테킬라, 보드카, 브랜디, 셰리, 및 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일부는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80시간의 범위에 있는 기간 동안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대 상기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의 비는 약 1.0:0.8 내지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기 전에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앨리쿼트를 상기 커피 원두에 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볶지 않은 커피 원두 중량의 약 1% 내지 약 10%의 비율로 상기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약 1시간 내지 약 80시간의 범위의 기간 동안 상기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는 라이트 로스트(light roast), 미디엄 로스트(medium roast), 및 다크 로스트(dark roast) 중 적어도 하나를 얻기 위해 로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그라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볶지 않은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는 단계;
    상기 볶지 않은 커피 원두로부터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분리하여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향미-주입된 볶지 않은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여 상기 향미-주입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천연 목재, 구운 목재, 탄화된 목재, 그을린 목재, 또는 훈증된 목재 중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는 약 30 GL 내지 약 70 GL의 알콜 함유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는 약 1시간 내지 약 80시간의 범위의 기간 동안 향미 화합물을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로 추출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를 커피 원두와 블렌딩하기 전에 상기 향미-주입된 스피릿트의 앨리쿼트를 상기 커피 원두에 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볶지 않은 커피 원두는 약 1시간 내지 약 80시간의 범위의 기간 동안 향미-주입된 스피릿트 내에 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고-알콜 함유 스피릿트를 사용하여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추출된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로서,
    상기 향미 화합물은 원두에 흡수되었고;
    상기 원두는 상기 향미 화합물이 상기 원두에 흡수된 이후 로스팅되는, 향미-주입된 커피 원두.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공급원은 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주입된 커피.

KR1020217000911A 2018-06-22 2019-04-05 스피릿트 주입된 커피 원두 KR202100239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16,094 US11406114B2 (en) 2018-06-22 2018-06-22 Spirit infused coffee beans
US16/016,094 2018-06-22
PCT/US2019/026084 WO2019245631A1 (en) 2018-06-22 2019-04-05 Spirit infused coffee b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985A true KR20210023985A (ko) 2021-03-04

Family

ID=6677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911A KR20210023985A (ko) 2018-06-22 2019-04-05 스피릿트 주입된 커피 원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06114B2 (ko)
EP (1) EP3809862A1 (ko)
JP (1) JP7287986B2 (ko)
KR (1) KR20210023985A (ko)
CN (1) CN112437608A (ko)
CA (1) CA3103402A1 (ko)
MX (1) MX2020014216A (ko)
TW (1) TWI807021B (ko)
WO (1) WO2019245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8198B2 (en) 2018-06-22 2022-02-15 Starbucks Corporation Spirits prepared from cold brew coffee grounds
US11406114B2 (en) 2018-06-22 2022-08-09 Starbucks Corporation Spirit infused coffee beans
JP2021073853A (ja) * 2019-11-05 2021-05-20 Rec Creation株式会社 コーヒー豆の焙煎方法
JP2024509130A (ja) * 2021-03-10 2024-02-29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アロマ含浸コーヒー豆
US20230255227A1 (en) * 2022-02-15 2023-08-17 Ted Kelly Oliver Coffee bean infusion of health & fitness supplements
CN114831204A (zh) * 2022-05-01 2022-08-02 蓬莱市沃林橡木桶有限公司 一种木桶烘焙咖啡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5160B2 (ja) 1996-10-15 2007-02-21 日本薬品開発株式会社 アルコール性コーヒー飲料の製造法
WO2001032530A1 (en) * 1999-11-05 2001-05-10 Nytrotec Beverages Ltd Beverage dispensing and beverage containers
CA2437836A1 (en) * 2001-02-13 2002-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avored coffe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WO2003010279A1 (en) 2001-07-26 2003-02-06 Castaneda Roberto R Three fermented wines in same formula - don roberto's sweet (yellow) mango wine, (dry) green mango wine and brewed coffee wine
US7220440B2 (en) * 2002-10-25 2007-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reduction of acrylamide in roasted coffee beans, roasted coffee beans having reduced levels of acrylamide, and article of commerce
US9867385B2 (en) * 2003-09-25 2018-01-16 Suntory Beverage & Food Limited Method of processing green coffee beans
EP1593735B1 (de) 2004-05-07 2007-10-10 Biodyn GmbH Spirituose aus Kaffeekirsch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20050271777A1 (en) 2004-06-03 2005-12-08 Massimiliano Orsini Coffee impregnation system and method
US8435579B2 (en) * 2006-07-07 2013-05-07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Infused roasted seed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20120164300A1 (en) * 2010-12-23 2012-06-28 Niazi Sarfaraz K Accelerated Aging of Wines and Sprits
US20140106038A1 (en) * 2012-09-19 2014-04-17 Kenneth Buschman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roasting, grinding, and brewing coffee
US9364012B2 (en) 2013-09-27 2016-06-14 James Jude Pellegrini Method for aging coffee
US10544386B2 (en) * 2014-01-10 2020-01-28 Lost Spirits Technology, Llc Method for rapid maturation of distilled spirits using light and ultrasonic energy processes
US20150250198A1 (en) 2014-03-10 2015-09-10 Jan Piskorz Process of roasting coffee beans and other edible seeds
US20160120201A9 (en) * 2014-03-15 2016-05-05 Mycotechnology, Inc. Myceliated Coffee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Myceliated Coffee Products
US11406114B2 (en) 2018-06-22 2022-08-09 Starbucks Corporation Spirit infused coffee beans
US11248198B2 (en) 2018-06-22 2022-02-15 Starbucks Corporation Spirits prepared from cold brew coffee gr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0014216A (es) 2021-02-22
CA3103402A1 (en) 2019-12-26
TW202000036A (zh) 2020-01-01
US11406114B2 (en) 2022-08-09
EP3809862A1 (en) 2021-04-28
US20190387764A1 (en) 2019-12-26
CN112437608A (zh) 2021-03-02
JP7287986B2 (ja) 2023-06-06
TWI807021B (zh) 2023-07-01
JP2021528076A (ja) 2021-10-21
WO2019245631A1 (en)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7021B (zh) 注入酒的咖啡豆
JP7295151B2 (ja) 低温抽出コーヒー粉から製造されたスピリッツ
KR101314132B1 (ko) 헛개나무열매를 포함하는 라떼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180291A (ja) 香気性コーヒー豆の製造方法、香気性コーヒー豆、及び、コーヒー抽出液
KR102157103B1 (ko) 오크통을 이용한 커피의 제조 방법
Kingston How to make coffee: The science behind the bean
KR20190006632A (ko) 커피 로스팅 방법 및 이에 의한 로스팅된 커피
KR101657348B1 (ko)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저카페인 커피원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커피의 제조 방법
RU2639529C1 (ru) Кофе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кофемашин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2021691B1 (ko) 숙성 구기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6069A (ko) 저온 추출법에 의해 제조되며 생두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한 저카페인 커피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 커피
McGee et al. Cooking
EP3119867B1 (fr) Utilisation de rafles lignifiees ou d'au moins un extrait de rafles lignifiees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un complement alimentaire, un produit nutritionnel, un aliment ou une boisson
KR102447624B1 (ko) 위스키 공법 기반 더치 커피 제조 방법
RU2786224C1 (ru) Способ ферментации кофе
KR102614234B1 (ko) 침향을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US20200260754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dible substance based upon coffee and wine, use and system of respective edible products
KR20230148411A (ko) 아로마-인퓨징된 커피 콩
JP2021073853A (ja) コーヒー豆の焙煎方法
WO2023042823A1 (ja) コーヒー豆およびコーヒー豆の製造方法
CN116963603A (zh) 注入香味的咖啡豆
Boot Up to speed: The buzz on roasting decaf
Bhat Beverages (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