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989A -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989A
KR20210018989A KR1020207009310A KR20207009310A KR20210018989A KR 20210018989 A KR20210018989 A KR 20210018989A KR 1020207009310 A KR1020207009310 A KR 1020207009310A KR 20207009310 A KR20207009310 A KR 20207009310A KR 20210018989 A KR20210018989 A KR 20210018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linear
shaped
conveying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후지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1001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Relays Betwee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는, 직선 경로에 접선모양으로 접속하는 원호형 반송 장치(8)는, 직선 경로와 동일 레벨로 피반송물을 원호형 경로의 전역에 걸쳐서 반송하도록 일정 높이에 고정되고, 상기 직선 경로는, 원호형 반송 장치(8)과의 겹침 영역 전체를 포함하는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를 구비하고, 이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를 구성하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9)는,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양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경동하는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19, 20)을 구비하고 있고, 이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19, 20)이 아래쪽으로 경동한 상태에서는, 반송되는 피반송물의 하측으로 직선모양 반송 장치(9)가 퇴피하고,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19, 20)이 위쪽으로 경동한 상태에서는, 반송하는 피반송물이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상측을 통과한다.

Description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본 발명은, 직선 경로의 도중에 별도(別)의 반송 경로의 단부의 원호형 경로부가 접선모양으로 접속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는,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호형 경로부를 구성하는 원호형 반송 장치(롤러 컨베이어 형식의 것이나 벨트 컨베이어 형식의 것 등)와, 당해(當該) 원호형 경로부와의 겹침 영역 전체를 포함하는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를 구성하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롤러 컨베이어 형식의 것이나 벨트 컨베이어 형식의 것 등)를 상대적으로 상하이동(上下動)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원호형 경로부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원호형 반송 장치를 위 작용 위치로 올림과 동시에 다른쪽의 직선모양 반송 장치를 아래 퇴피 위치로 내리고, 상기 직선 경로부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를 위 작용 위치로 올림과 동시에 다른쪽의 원호형 반송 장치를 아래 퇴피 위치로 내리도록 제어해서, 직선모양 반송 장치와 원호형 반송 장치를 택일적으로 기능시키는 구성이 생각되고 있었다. 또, 주반송 경로를 직선 경로부에 설정해서, 직선모양 반송 장치를 사용 가능한 레벨로 고정하고, 부반송 경로로 되는 원호형 경로부를 구성하는 원호형 반송 장치만을 승강시키는 구성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23683호
어느 구성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직선 경로로부터 원호형 경로부로 피반송물, 예를 들면 짐을 적재하는 트레이를 분기 반송시키는 경우, 아래쪽측의 직선모양 반송 장치에 대해서 위쪽측의 원호형 반송 장치가 솟아오르는 바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결과, 바닥면(底面)이 딱딱하고 평탄한 트레이는, 수평의 직선모양 반송 장치 상으로부터, 솟아오르는 상태의 원호형 반송 장치 상으로 갈아타(옮겨타) 가게 되므로, 당해 트레이는, 원호형 반송 장치 상으로 갈아탐에 따라서 서서히 경사 각도가 커지고, 마지막에는 쾅하고 떨어지는 것처럼 원호형 반송 장치 상으로 갈아타게 된다. 이 현상은, 반송 속도가 올라갈수록, 혹은 적재하고 있는 짐의 관계로 트레이의 무게중심(重心)이 뒤쪽 근처로 되어 있는 경우일수록, 혹은 트레이의 길이가 길수록, 현저하게 되어 트레이의 덜걱거림도 커진다. 이와 같은 트레이의 덜걱거림은, 트레이가 원호형 반송 장치 상으로 갈아탈 때의 궤적이 불안정하게 되고, 트레이의 궤적이 외측으로 불룩해져서 원호형 경로부의 외측의 원호형 가이드에 세게 부딪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분기 불량의 우려도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계된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는,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당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한 참조 부호를 괄호를 붙여 나타내면, 직선 경로(1A, 1B)의 도중에 별도의 반송 경로(3, 5)의 단부의 원호형 경로부(6)가 접선모양으로 접속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로서, 상기 원호형 경로부(6)를 구성하고 있는 원호형 반송 장치(8)는, 이 원호형 경로부(6)와 접선모양으로 접속하고 있는 상기 직선 경로(1A, 1B)와 동일 레벨로 피반송물을 상기 원호형 경로부(6)의 전역에 걸쳐서 반송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고정되고, 상기 직선 경로(1A, 1B)는, 상기 원호형 경로부(6)와의 접속 위치(P)로부터 당해 원호형 경로부(6)와의 겹침 영역(6a) 전체를 포함하는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를 구비하고, 이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를 구성하고 있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9)는, 상기 원호형 경로부(6)와 접선모양으로 접속하고 있는 상기 직선 경로(1A, 1B)의 단부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경동(傾動, slop)하는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19)을 구비하고 있고, 이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19)이 아래쪽으로 경동한 아래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원호형 반송 장치(8)에 의해서 반송되는 피반송물의 하측에 상기 직선모양 반송 장치(9)가 위치하고, 상기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19)이 위쪽으로 경동한 위 작용 위치에 있을 때는, 이 직선모양 반송 장치(9)가 반송하는 피반송물이 상기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상측을 통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은, 직선 경로를 주된 반송 경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원호형 경로부를 주된 반송 경로로 하고 있는 점이 최대의 특징으로서, 원호형 경로부를 구성하고 있는 원호형 반송 장치가, 이 원호형 경로부와 접선모양으로 접속하고 있는 상기 직선 경로와 동일 레벨로 피반송물을 상기 원호형 경로부의 전역에 걸쳐서 반송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이 평탄하고 딱딱한 트레이를 피반송물로서 설명하면, 직선 경로와 원호형 경로부 사이에서 트레이를 분기/합류 반송시키는 경우,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를 구성하고 있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의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아래 퇴피 위치에 보존유지(保持)시켜 두는 것만으로, 원호형 반송 장치에 의해서 반송되는 피반송물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닥면이 딱딱하고 평탄한 트레이이더라도, 종래와 같이, 직선 경로와 원호형 반송 장치 사이를 갈아타는 트레이가, 직선 경로와 원호형 반송 장치에 걸터타서(올라타서) 비스듬하게 갈아타는 상황은 생기지 않는다. 이 결과, 직선 경로와 원호형 반송 장치 사이의 트레이의 갈아타기와 방향 전환이, 2개의 직선 경로를 원호형 반송 경로에 의해서 접속하고 있는 통상의 수평 곡선 경로부에서의 트레이의 반송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덜걱거림없이 안정되게 행해지게 되고, 반송 속도를 올리는 것도 용이해진다. 물론, 트레이가 반송 경로 옆(脇)의 트레이 가이드에 세게 부딪치는 것이나, 정지해 버리는 바와 같은 우려도 없어진다.
한편, 트레이를 직선 경로 상에서 직진시킬 때는,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를 구성하고 있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의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아래 퇴피 위치로부터 위 작용 위치로 전환해서, 원호형 반송 장치 위를 걸터타도록(올라타도록) 트레이를 통과 이동시키게 되지만, 측면에서 보았을 때(側面視)에 있어서,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된 상기 상하이동 반송 수단이 직선 경로에 대해서 각도를 갖고서 접속되는 것만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平面視)에서는 직선 경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직선 경로와 상기 상하이동 반송 수단 사이에서 트레이가 비스듬하게 지지되는 상황이 있더라도, 직진 방향의 관성을 수반해서 트레이가 직선 경로와 상기 상하이동 반송 수단 사이를 직진하게 되고, 트레이의 이동 방향으로 편차가 생겨 반송 경로 옆의 트레이 가이드에 부당하게 부딪치는 것이나, 정지해 버리는 바와 같은 우려도 없다. 또, 상하이동 반송 수단은 직선모양 반송 장치측에만 마련하면 좋으므로, 원호형 반송 장치와 직선모양 반송 장치의 양쪽에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마련해서, 양자를 가역적으로 상하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구성과 비교해서, 장치 전체의 구성이 심플하게 되고, 저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직선모양 반송 장치(9)를,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일단(一端)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경동하는 제1의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19)과,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타단(他端)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경동하는 제2의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구비한 구조로 하고, 제1 및 제2 양(兩)상하이동 반송 수단(17, 19, 20)이 상기 위 작용 위치에 있을 때, 이 직선모양 반송 장치(9) 상의 반송면이, 중간 부분이 솟아오르는 산(山) 형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서 1개의 상하이동 반송 수단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의 전후에서 반송 경로 높이에 단차(段差)를 부가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직선 경로에 분기/합류 장치를 인스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직선모양 반송 장치(9)는, 상기 원호형 경로부(6)의 원호 중심으로부터 먼 측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과, 상기 원호 중심에 가까운 측의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에 의해서 구성하고, 상기 원호형 반송 장치(8)는, 상기 원호 중심으로부터 먼 측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상기 원호 중심에 가까운 측의 원호형 유전(遊轉) 롤러 열(11)에 의해서 구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은, 그의 일단을 상기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의 일단의 상기 원호 중심이 있는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그의 중간부가 상기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의 중간 위치와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원호형 유전 롤러 열(11)은, 그의 일단을 상기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의 일단의 상기 원호 중심이 있는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은, 상기 원호형 경로부(6)와 겹치는 영역(6a)을 구성하는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당해 영역(6a)의 외측을 구성하는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으로 구성하고, 이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은, 상기 위 작용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접속 상태로 되는 높이에 고정하고, 상기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은, 그의 전체길이를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20)에 의해서 구성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과 마찬가지로, 직선모양 반송 장치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의 전체길이를 상하이동 반송 수단에 의해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저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원호형 반송 장치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이, 원호형 반송 경로부의 원호형 센터라인에 가까운 측에 치우쳐서 위치하게 되므로, 원호형 반송 경로부를 따라 반송하는 트레이의 반송 속도의 저하 정도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접속 위치(P)에서는, 상기 직선 경로(1A, 1B)와 상기 원호형 반송 장치(8) 및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피반송물 지지 레벨을 동일하게 구성하고,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은, 상기 접속 위치(P)측의 일단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축지지(軸支)함과 동시에 타단측을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제1 지지 수단(29)에 의해서 지지하고, 상기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20)은, 그의 전체길이를 이분할해서, 상기 접속 위치(P)측의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과 반대측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에 의해서 구성하고, 이들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과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은, 서로 인접하는 각 내단부를,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제2 지지 수단(30)과 제3 지지 수단(31)에 의해서 지지시킴과 동시에, 반대측의 외단부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축지지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지지 수단(29), 상기 제2 지지 수단(30), 및 상기 제3 지지 수단(31)의 각각은, 공통의 1개의 구동축(22)에 장착된 회전 캠(29c∼31c)과, 이들 각 회전 캠(29c∼31c)에 의해서 지지되는 캠 종동 롤러(29b∼31b)로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상기 접속 위치(P)측의 일단에는, 경로 횡단 방향을 따라 제1 구동용 회전축(21)을 지탱(支承)하고,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상기 접속 위치(P)측과는 반대의 타단에는, 경로 횡단 방향을 따라 제2 구동용 회전축(23)을 지탱하고,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은, 상기 제1 구동용 회전축(2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탱하고, 상기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은, 상기 제2 구동용 회전축(23)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탱하고,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17a)와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19a), 및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의 구동 롤러(10a)는, 상기 제1 구동용 회전축(21)에 연동 연결하고, 상기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18a)와 상기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20a)는, 상기 제2 구동용 회전축(23)에 연동 연결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구동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회전축을, 각 상하이동 반송 수단의 일단부를 축지지하는 지축(支軸)에 겸용시켜서, 부품 점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 상기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20a)는,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의 외측에만 마련하고, 당해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의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보다 내측의 영역에는, 유전 롤러(20c)를 마련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의 구성을 간략화해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1 구동용 회전축(21)에는,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의 구동 롤러 열을 구성하는 일단 구동 롤러(19a)와,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을 구성하는 일단 구동 롤러(10a)를 장착하고,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의 구동 롤러 열의 상기 접속 위치(P)측의 일단에 있는 구동 롤러(17a)와, 상기 원호형 유전 롤러 열(11)의 상기 접속 위치(P)측의 일단에 있는 유전 롤러(11b)는, 상기 제1 구동용 회전축으로부터 떼어놓아 둘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의 구동 롤러 열을 구성하는 일단 구동 롤러에 의해서, 상기 원호형 유전 롤러 열의 상기 접속 위치측의 일단에 배치해야 할 유전 롤러의 기능을 보완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을 구성하는 일단 구동 롤러에 의해서,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의 구동 롤러 열의 상기 접속 위치측의 일단에 배치해야 할 구동 롤러의 기능을 보완하게 할 수 있고, 부품 점수를 삭감해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은, 분기 장치와 합류 장치가 조합된 반송 설비의 레이아웃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기 장치와 합류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기 장치의 확대 상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을 설명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트레이를 직선 경로를 따라 직진시킬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의 중앙 횡단 정면도이다.
도 7은, 트레이를 원호형 경로부를 따라 직진시킬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의 중앙 횡단 정면도이다.
도 8은,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된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과,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지지 수단을 설명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아래 퇴피 위치로 전환된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과,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지지 수단을 설명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분기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지지 수단의 각 단계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합류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지지 수단의 각 단계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A, 1B)는 직선 경로로서, 직선 경로(1A)에는, 그의 도중부터 분기 장치(2)를 거쳐 별도의 반송 경로(3)가 분기 접속되고, 직선 경로(1B)에는, 그의 도중에 합류 장치(4)를 거쳐 별도의 반송 경로(5)가 합류 접속되어 있다. 분기 장치(2)와 합류 장치(4)는,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이 역방향으로 될 뿐, 구조는 동일한 것이며, 원호형 경로부(6)와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를 구비하고 있다. 원호형 경로부(6)는, 별도의 반송 경로(3, 5)의 직선 경로(1A, 1B)와의 접속 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직선 경로(1A, 1B)의 도중에 접선모양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원호형 반송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는, 직선 경로(1A, 1B)와 원호형 경로부(6)와의 접속 위치(P)로부터 당해 원호형 경로부(6)와의 겹침 영역(6a) 전체를 포함하는 길이의 직선 경로(1A, 1B)의 일부분으로서, 직선모양 반송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원호형 반송 장치(8)는, 원호형 경로부(6)의 원호 중심으로부터 먼 측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상기 원호 중심에 가까운 측의 원호형 유전 롤러 열(11)에 의해서 구성되고, 직선모양 반송 장치(9)는, 원호형 경로부(6)의 원호 중심으로부터 먼 측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과, 상기 원호 중심에 가까운 측의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분기 장치(2)와 합류 장치(4)를 제외한 직선 경로(1A, 1B)에는, 외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14)과 내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15)이 좌우 대칭으로 병설되어 있고,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은, 그의 전후 양측의 직선 경로(1A, 1B)의 외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14)과 직선모양으로 이어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은, 그의 전후 양측의 직선 경로(1A, 1B)의 내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15)과 직선모양으로 이어지는 위치보다도 내측(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이 있는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은, 그의 일단이 상기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의 일단의 상기 원호 중심이 있는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의 중간부가 상기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의 중간 위치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원호형 유전 롤러 열(11)은, 그의 일단이 상기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의 일단의 상기 원호 중심이 있는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경로(3, 5)는, 분기 장치(2) 또는 합류 장치(4)의 원호형 경로부(6)에 계속되는 원호형 경로부(3a, 5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호형 경로부(3a, 5a)는, 상기 원호형 경로부(6)에 마련된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에 접속되는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원호형 유전 롤러 열(11)에 접속되는 원호형 유전 롤러 열(11')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원호형 경로부(3a, 5a)는 필수의 것이 아니고, 직선모양 경로부가 접속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즉, 반송 경로(3, 5)가 직선모양 경로부로 구성되는 경우, 그 직선모양 경로부는, 외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14)과 내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15)을 구비한 직선 경로(1A, 1B)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분기 장치(2)의 상세 구조를, 도 3∼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분기 장치(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가 장방형의 설치 틀체(frame body)(16)에 인스톨된 것으로, 그의 내측에 상기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과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이 병설되어 있다.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은, 그의 전체길이가 이분할되어, 상기 접속 위치(P)측의 전반(前半)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후반(後半)의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으로 구성되고,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은, 그의 전체길이가 이분할되어, 상기 접속 위치(P)측의 전반의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과, 후반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 틀체(16)의 상기 접속 위치(P)측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제1 회전 구동축(21)과 제2 회전 구동축(23)이 지탱되고, 설치 틀체(16)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제3 회전 구동축(22)이 지탱되어 있다. 이들 각 회전 구동축(21∼23)은, 반송 경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지탱됨과 동시에, 상기 원호형 경로부(6)가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설치 틀체(16)의 외측에 있어서 구동용 모터(24∼26)의 출력축이 직결되어 있다. 이들 각 구동용 모터(24∼26)는, 회전 구동축(21∼23) 둘레로 모터 자체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24a∼26a)에 의해서 설치 틀체(16)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회전 구동축(21)에는, 가동 프레임(27)의 일단이 당해 제1 회전 구동축(21)을 지점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회전 구동축(23)에는, 가동 프레임(28)의 일단이 당해 제2 회전 구동축(23)을 지점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27)은, 제1 회전 구동축(21)으로부터 중앙의 제3 회전 구동축(22)을 향해 연장돌출(延出)하는 것으로서, 좌우 한쌍의 측틀(side frame)(27a, 27b)과, 이들 양측틀(27a, 27b)의 자유단부(遊端部)끼리를 연결 일체화하는 연결틀(27c)로 구성된 것으로, 외측의 측틀(27a)에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이 장착되고, 내측의 측틀(27b)의 내측에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은, 측틀(27a)의 내측에 등간격을 두고 축지지된 구동 롤러(17a)와, 각 구동 롤러(17a)에 동심 일체로 연설(連設)되어 있는 2련(2連) 풀리를 이용해서 인접하는 구동 롤러(17a)끼리를 연동 연결하는 전동 벨트(17b)로 구성된 것으로, 제1 회전 구동축(21)측의 구동 롤러(17a)는, 당해 제1 회전 구동축(21)으로부터 구동 롤러(17a)간의 1피치분 정도 떼어놓아져 있으므로, 제1 회전 구동축(21)에 서로 이웃하는 구동 롤러(17a)는, 추가된 벨트 전동 수단(17c)에 의해서 당해 제1 회전 구동축(21)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구동축(21)의 회동에 의해서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의 모든 구동 롤러(17a)가 연동 구동된다.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은, 측틀(27b)의 내측에, 상기 구동 롤러(17a)와 좌우 쌍을 이루도록, 등간격을 두고 축지지된 구동 롤러(19a)와, 각 구동 롤러(19a)에 동심 일체로 연설되어 있는 2련 풀리를 이용해서 인접하는 구동 롤러(19a)끼리를 연동 연결하는 전동 벨트(19b)로 구성된 것으로, 구동 롤러(19a)는, 제1 회전 구동축(21)에도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구동축(21)의 회동에 의해서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의 모든 구동 롤러(19a)가 연동 구동된다.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은,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일직선 상에 직렬하도록, 설치 틀체(16)의 내측에 등간격을 두고 축지지된 구동 롤러(18a)와, 각 구동 롤러(18a)에 동심 일체로 연설되어 있는 2련 풀리를 이용해서 인접하는 구동 롤러(18a)끼리를 연동 연결하는 전동 벨트(18b)로 구성된 것으로, 제2 회전 구동축(23)측의 단(端)의 구동 롤러(18a)는 당해 제2 회전 구동축(23)에도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회전 구동축(23)의 회동에 의해서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의 모든 구동 롤러(18a)가 연동 구동된다.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은, 제2 회전 구동축(23)으로부터 중앙의 제3 회전 구동축(22)을 향해 연장돌출하는 상기 가동 프레임(28)에 장착된, 구동 롤러 열(20A)과 유전 롤러 열(20B)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롤러 열(20A)은,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교차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회전 구동축(23)까지의 후반 영역에 배설(配設)된 것으로, 상기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의 구동 롤러(18a)와 좌우 쌍을 이루도록 등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동 롤러(20a)와, 각 구동 롤러(20a)에 동심 일체로 연설되어 있는 2련 풀리를 이용해서 인접하는 구동 롤러(20a)끼리를 연동 연결하는 전동 벨트(20b)로 구성되고,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과 마찬가지로, 구동 롤러(20a)는 제2 회전 구동축(23)에도 장착되고, 이 제2 회전 구동축(23)의 회동에 의해 구동 롤러 열(20A) 내의 모든 구동 롤러(20a)(도시 예에서는 2개의 구동 롤러(20a))가 연동 구동된다. 유전 롤러 열(20B)은,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교차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회전 구동축(22)측의 자유단까지의 가동 프레임(28)에, 상기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의 구동 롤러(18a)와 좌우 쌍을 이루도록 등간격을 두고 축지지된 유전 롤러(20c)(도시 예에서는 2개의 유전 롤러(20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및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에는, 그의 높이를 아래 퇴피 위치와 위 작용 위치로 전환하는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제1 지지 수단(29), 제2 지지 수단(30), 및 제3 지지 수단(31)이 병설되어 있다. 제1 지지 수단(29)과 제2 지지 수단(30)은,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을 지지하고 있는 가동 프레임(27)의 자유단(중앙의 제3 회전 구동축(22)에 서로 이웃하는 측의 단부)의 좌우 양단 근처의 위치에, 제3 회전 구동축(22)의 상측을 향해 연장돌출하도록 부설된 암(29a, 30a)과, 이들 양암(29a, 30a)의 자유단에 축지지된 캠 종동 롤러(29b, 30b), 및 이들 양캠 종동 롤러(29b, 30b)를 지지하도록 제3 회전 구동축(22)에 장착된 회전 캠(29c, 30c)에 의해서 구성되고, 제3 지지 수단(31)은,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지지하고 있는 가동 프레임(28)의 자유단(중앙의 제3 회전 구동축(22)에 서로 이웃하는 측의 단부)에, 제3 회전 구동축(22)의 상측을 향해 연장돌출하도록 부설된 암(31a)과, 이 암(31a)의 자유단에 축지지된 캠 종동 롤러(31b), 및 당해 캠 종동 롤러(31b)를 지지하도록 제3 회전 구동축(22)에 장착된 회전 캠(31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은, 설치 틀체(16)의 좌우 양측틀(16a, 16b)의 하측변끼리를 잇도록 가설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32a∼32d)에 의해서 일정 높이에 지지된 외측 원호형 측틀(33)과, 이 외측 원호형 측틀(33)에 등간격을 두고 축지지된 구동 롤러(10a), 및 각 구동 롤러(10a)에 동심 일체로 연설되어 있는 2련 풀리를 이용해서 인접하는 구동 롤러(10a)끼리를 연동 연결하는 전동 벨트(1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원호형 측틀(33)은, 제1 회전 구동축(21)측의 단이 당해 제1 회전 구동축(21)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의 제1 회전 구동축(21)측의 단에 배치되는 구동 롤러(10a)는, 당해 제1 회전 구동축(21)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구동축(21)의 회동에 의해서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의 모든 구동 롤러(10a)가 연동 구동된다.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은,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과 설치 틀체(16)의 내측의 측틀(16b)에 대해서 교차하고 있으므로,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지지하고 있는 가동 프레임(28)의, 승강 요동시에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간섭하는 개소와, 설치 틀체(16)의 내측의 측틀(16b)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간섭하는 개소에는, 각각 절결부(切缺部)(28a, 16c)가 마련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서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교차하고 있는 가동 프레임(27)의 연결틀(27c)이나 제3 회전 구동축(22)은,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보다도 하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원호형 유전 롤러 열(11)은,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외측 원호형 측틀(33)과 동심모양의 내측 원호형 측틀(34)에, 적당 간격을 두고 축지지된 유전 롤러(11a)와, 설치 틀체(16)의 내측의 측틀(16b)에 축지지된 유전 롤러(11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원호형 측틀(34)은, 설치 틀체(16)의 내측의 측틀(16b)에 마련된 절결부(16d)로부터 당해 측틀(16b)의 내측에 삽입된 내단부가 당해 측틀(16b)의 내측에 고착되고, 상기 절결부(16d)로부터 측틀(16b)의 외측으로 연장돌출하는 내측 원호형 측틀(34)의 외단부가, 상기 외측 원호형 측틀(33)의 외단부와 연결 부재(35)에 의해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32c)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설치 틀체(16)의 내측의 측틀(16b)에 축지지되어 있는 유전 롤러(11b)는,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의 외측 원호형 측틀(33)의 제1 회전 구동축(21)측의 단에 축지지되어 있는 구동 롤러(10a)와 거의 동심모양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이 원호형 반송 장치(8)의 모든 구동 롤러(10a)와 모든 유전 롤러(11a, 11b)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9)에 있어서의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의 제1 회전 구동축(21)에 장착된 구동 롤러(19a)와 함께, 일정 높이의 수평면(L1)(도 4 참조)에 접해 있다.
한편,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회전 구동축(21)과 제2 회전 구동축(23)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롤러(10a, 19a, 18a, 20a), 즉,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의 구동 롤러(10a) 중, 제1 회전 구동축(21)에 장착된 구동 롤러(10a),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의 구동 롤러(19a) 중, 제1 회전 구동축(21)에 장착된 구동 롤러(19a),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의 구동 롤러(18a) 중, 제2 회전 구동축(23)에 장착된 구동 롤러(18a), 및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의 구동 롤러(20a) 중, 제2 회전 구동축(23)에 장착된 구동 롤러(20a)의 합계 4개의 구동 롤러는, 원호형 경로부(6)에 있어서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면으로 되어 있는 상기 일정 높이의 수평면(L1)에 접해 있다.
제1 지지 수단(29)과 제2 지지 수단(30)의 회전 캠(29c, 30c)은, 서로 동일 형상, 동일 사이즈의 것으로, 거의 180도에 걸치는 소경(小徑) 원호부(36)와 나머지의 거의 180도에 걸치는 영역 내에서, 양단의 승강 구배부(句配部)를 거쳐 상기 소경 원호부(36)와 접속된 대경(大徑) 원호부(37)를 구비하고 있고, 동일 위상에서 제3 회전 구동축(22)에 장착되어 있다. 제3 지지 수단(31)의 회전 캠(31c)은, 상기 회전 캠(29c, 30c)의 소경 원호부(36)와 동일한 거의 180도에 걸치는 소경 원호부(38)와, 나머지의 거의 180도에 걸치는 영역 내에서, 양단의 승강 구배부를 거쳐 상기 소경 원호부(38)와 접속된, 상기 대경 원호부(37)보다도 대경의 대경 원호부(39)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 캠(29c, 30c)에 있어서의 대경 원호부(37)의 종단부 부근과 회전 캠(31c)에 있어서의 대경 원호부(39)의 시단부 부근이 일치하는 위상에서 제3 회전 구동축(22)에 장착되어 있다. 또, 이 분기 장치(2)에서는, 도 8∼도 10에 있어서 도시되는 제3 회전 구동축(22) 상의 회전 캠(29c∼31c)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수단(29)과 제2 지지 수단(30)의 회전 캠(29c, 30c)의 대경 원호부(37)의 종단 부근이, 캠 종동 롤러(29b, 30b)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3 지지 수단(31)의 회전 캠(31c)의 대경 원호부(39)의 시단 부근이, 캠 종동 롤러(31b)를 지지하고 있을 때, 암(29a, 30a)을 거쳐 가동 프레임(27)의 자유단측이 상승한계 높이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암(31a)을 거쳐 가동 프레임(28)의 자유단측이 상승한계 높이로 들어올려진다. 이 결과,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에 있어서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에 있어서의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및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에 있어서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이, 제1 회전 구동축(21)과 제2 회전 구동축(23)을 지점으로 위로 이동(上動)해서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되고, 각각의 자유단부(내단부)가 상승한계 높이까지 들어올려져 있다. 이 때의 회전 캠(29c∼31c)의 위상을, 도 10에 0도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 캠(29c∼31c)의 위상이 도 10의 0도에 있을 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면(L2)은, 그의 반송 경로의 중앙부가, 상기 원호형 경로부(6)에 있어서의 일정 높이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 수평면(L1)보다 조금 높아지도록, 산 형상으로 절곡(折曲) 변형하게 된다. 또,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에 있어서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은,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에 있어서의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과 동일 경사 각도까지 제1 회전 구동축(21)을 지점으로 위로 이동해서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되고, 피반송물 지지 반송면(L2)의 전반의 오르막 경사 경로부와 동일해진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에 있어서의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은, 원호형 경로부(6)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 있으므로, 그의 전역을, 상기와 같이 제3 지지 수단(31)에 의해서 내단측이 들어올려진 내리막 구배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과 동일 각도로 경사진 내리막 구배모양으로 구성해도 좋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단측의 전반부를 원호형 경로부(6)에 있어서의 일정 높이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 수평면(L1)과 동일 레벨로 설정하고, 후반부를, 제2 회전 구동축(23) 상의 구동 롤러(18a)와 동일 레벨까지 약간 오르막 구배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각 회전 캠(29c∼31c)이, 도 10의 0도로 나타내는 위상으로부터 180도 정회전한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수단(29)과 제2 지지 수단(30)의 회전 캠(29c, 30c)의 소경 원호부(36)의 종단 부근이, 캠 종동 롤러(29b, 30b)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3 지지 수단(31)의 회전 캠(31c)의 소경 원호부(38)의 시단 부근이 캠 종동 롤러(31b)를 지지하고 있다. 이 결과, 암(29a, 30a)을 거쳐 가동 프레임(27)의 자유단측이 하강한계 높이까지 내려짐과 동시에, 암(31a)을 거쳐 가동 프레임(28)의 자유단측이 하강한계 높이까지 내려지므로,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에 있어서의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과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 및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에 있어서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이, 제1 회전 구동축(21)을 지점으로 아래로 이동(下動)해서 아래 퇴피 위치로 전환되고, 도 8에 도시하는 경사 상태와는 역(逆)의 계곡 형상으로 절곡하도록 변형하게 된다. 이 때, 적어도 원호형 경로부(6)와 겹치는 영역에 있는,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에 있어서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의 구동 롤러(17a)와,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에 있어서의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의 구동 롤러(19a), 및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의 유전 롤러(20c)와 구동 롤러(20a)는, 원호형 경로부(6)에 있어서의 일정 높이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 수평면(L1)보다 낮아진다. 또한, 원호형 경로부(6)와 겹치는 영역에 있는 구동 롤러(19a) 중, 제1 회전 구동축(21)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롤러(19a)는, 원호형 경로부(6)에 있어서의 일정 높이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 수평면(L1)과 동일 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분기 장치(2)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여기에서는 반송되는 피반송물로서, 경질 소재로 성형된 직사각형 모양(矩形狀)의, 짐이 적재되는 트레이(T)가 사용되고 있다. 또, 각 회전 캠(29c∼31c)이, 도 10의 0도로 나타내는 위상에 있어서, 직선모양 반송 장치(9)에 있어서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및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위 작용 위치에 있는 상태, 즉, 트레이(T)를 직선모양 반송 장치(9)에 의해서 직진시키는 상태(원호형 반송 장치(8)이 비작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트레이(T)는, 직선 경로(1A)의 외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14)과 내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15)에 의해서 분기 장치(2)를 향해 반송되어 오지만, 당해 트레이(T)가 직선 경로(1A)로부터 별도의 반송 경로(3)로 분기시키는 것일 때는, 그 정보에 따라서, 제3 회전 구동축(22)의 회전 캠(29c∼31c)을, 도 10의 0도∼180도까지의 설명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위치인 0도로부터 180도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분기 장치(2)의 직선모양 반송 장치(9)에 있어서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및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위 작용 위치로부터 아래 퇴피 위치로 전환하고,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면을, 중앙부가 원호형 경로부(6)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 수평면(L1)보다 낮아진 계곡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이 결과, 직선 경로(1A)로부터 분기 장치(2)에 진입하는 트레이(T)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9)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직선 경로(1A)로부터 동일 레벨로 연속하는 원호형 반송 장치(8)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10)과 원호형 유전 롤러 열(11) 상으로 갈아타고서, 직선 경로(1A)로부터 높이를 전혀 바꾸는 일없이, 피반송물 지지 반송 수평면(L1) 상을 원호형 경로부(6)를 따라 반송되게 된다. 그리고 원호형 경로부(6)에 계속되는 별도의 반송 경로(3) 상으로 내보내진다. 회전 캠(29c∼31c)은, 도 10 상단의 180도 정회전 완료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후속하는 트레이(T)가 별도의 반송 경로(3) 상으로 분기시키는 것일 때는, 각 회전 캠(29c∼31c)을, 도 10의 180도 위상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해 두면, 상기와 같이 트레이(T)는, 원호형 경로부(6)로 분기시켜서 별도의 반송 경로(3) 상으로 내보낼 수가 있다.
직선 경로(1A)를 분기 장치(2)를 향해 반송되어 오는 트레이(T)가, 별도의 반송 경로(3)로 분기시키는 것이 아니라, 직선 경로(1A)를 그대로 직진시키는 것일 때는, 그 정보에 따라서, 제3 회전 구동축(22)의 회전 캠(29c∼31c)을, 도 10의 180도∼0도까지의 설명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선(先) 180도 정회전 위치로부터 또 180도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해서, 원래의 위상 0도로 되돌리는 것에 의해, 분기 장치(2)의 직선모양 반송 장치(9)에 있어서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및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위 작용 위치로 전환하고,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면(L2)을, 중앙부가 원호형 경로부(6)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 수평면(L1)보다 높은 산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이 결과, 직선 경로(1A)로부터 분기 장치(2)에 진입하는 트레이(T)는, 원호형 반송 장치(8)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의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의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에 의해서,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경로 길이의 중앙 부근까지 조금 상승하면서 직진하고, 그 후,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의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과,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의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에 의해서, 조금 하강하면서 직진해서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종단에 도달하고, 계속해서, 분기 장치(2)의 아래쪽측의 직선 경로(1A)에 직진하면서 진입하게 된다. 회전 캠(29c∼31c)은, 도 10의 0도로 복귀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으므로, 후속하는 트레이(T)가 직선 경로(1A)를 그대로 직진시키는 것일 때는, 회전 캠(29c∼31c)을 회전 구동하지 않고 그대로 트레이(T)를 분기 장치(2)에 진입시키면 좋다. 만일 후속하는 트레이(T)가 별도의 반송 경로(3)로 분기시키는 것일 때는, 상기와 같이 위상 0도의 회전 캠(29c∼31c)을 도 10에 도시하는 180도 위상까지 정회전 구동하면 좋다.
도 10 상단의 0도부터 180도까지의 설명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캠(29c∼31c)을 0도로부터 180도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해서,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및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각각 위 작용 위치로부터 아래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경우, 아래쪽측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은, 165도부터 180도에 달하는 최종 단계에서 위 작용 위치로부터 아래 퇴피 위치로 전환되는데 반해, 위쪽측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은, 15도부터 65도에 달하는 초기 단계에서 위 작용 위치로부터 아래 퇴피 위치로 전환된다. 이것은, 분기 장치(2)의 입구측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을, 분기 장치(2)의 출구측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보다 선행시켜서 아래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분기 장치(2)에 진입하는 트레이(T)가, 아래 퇴피 위치로 완전히 전환되기 전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에 접촉하는 사고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또, 도 10 하단의 180도부터 0도까지의 설명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캠(29c∼31c)을 180도 정회전 위치로부터 또 정방향으로 180도 회전 구동해서,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 및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을 각각 아래 퇴피 위치로부터 위 작용 위치로 전환하는 경우는, 아래쪽측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은, 295도부터 345도에 달하는 최종 단계에서 아래 퇴피 위치로부터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되는데 반해, 위쪽측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은, 195도부터 245도에 달하는 초기 단계에서 아래 퇴피 위치로부터 위 작용 위치로 전환된다. 이것은, 분기 장치(2)의 입구측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을, 분기 장치(2)의 출구측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20)에 선행시켜서 위 작용 위치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9)의 위 작용 위치로의 전환이 늦어져서, 분기 장치(2)에 진입하는 트레이(T)가 원호형 반송 장치(8) 상에 진입해서 원호형 경로부(6)를 따른 방향의 추력(推力)을 받는 것에 기인하는 사고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류 장치(4)에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는, 이상으로 설명한 분기 장치(2)를 그대로 합류 장치(4)로서 이용하고, 그의 원호형 경로부(6)를 구성하는 원호형 반송 장치(8)의 트레이 반송 방향과,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를 구성하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트레이 반송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하면 좋다. 이 경우, 합류 장치(4)의 원호형 경로부(6)를 구성하는 원호형 반송 장치(8)에 대해서는, 별도의 반송 경로(5)에 접속하는 측으로부터 트레이(T)가 진입하고,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를 구성하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9)에 대해서, 원호형 경로부(6)의 접속 위치(P)가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트레이(T)가 진입하게 되므로, 도 11의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회전 구동축(22)에 의한 각 회전 캠(29c∼31c)의 회전 구동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하면, 앞서 설명한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가 있다. 또, 설치 틀체(16)에는, 도 6 및 도 7을 제외한 각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설치 틀체(16) 내에 배설되어 있는 원호형 반송 장치(8)나 직선모양 반송 장치(9)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롤러의 정부(頂部)를 상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커버 플레이트(16e)를 설치 틀체(16)에 장착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9)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2)을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13)과 동일하게,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18) 대신에,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17)과 대칭 구조의 제2의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원호형 경로부(6)가 접속되는 측의 단부에 접속되는 직선 경로에 대해서, 타단측에 접속되는 직선 경로를 높게 할 수 있다면,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원호형 경로부(6)가 접속되는 측의 단부에 접속한 1개의 상하이동 가능한 상하이동 반송 수단에 의해서 직선모양 반송 장치(9)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원호형 반송 장치(8)보다 높아지는 위 작용 위치로 된 1개의 상기 상하이동 반송 수단이,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7)의 전후 양측의 높이가 다른 직선 경로를 접속하게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구성은, 직선 경로의 도중에 별도의 반송 경로의 단부의 원호형 경로부가 접선모양으로 접속되어 있는 반송 설비에 있어서, 바닥면이 평탄하고 딱딱한 트레이이더라도, 분기 합류 지점에서 트레이를 덜걱거리게 하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반송시킬 수 있는 분기 합류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다.
1A, 1B: 직선 경로
2: 분기 장치
3, 5: 별도의 반송 경로
4: 합류 장치
6: 원호형 경로부
7: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
8: 원호형 반송 장치
9: 직선모양 반송 장치
10, 10': 원호형 구동 롤러 열
10a, 17a, 18a, 19a, 20a: 구동 롤러
10b, 17b, 18b, 19b, 20b: 전동 벨트
11, 11': 원호형 유전 롤러 열
11a, 11b: 유전 롤러
12: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
13: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
14: 직선 경로(1A, 1B)의 외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
15: 직선 경로(1A, 1B)의 내측 구동 컨베이어 유닛
16: 설치 틀체
16a, 16b: 좌우 양측틀
16c, 16d, 28a: 절결부
17: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
17c: 벨트 전동 수단
18: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
19: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
20: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
20A: 구동 롤러 열
20B: 유전 롤러 열
21: 제1 회전 구동축
22: 제3 회전 구동축
23: 제2 회전 구동축
24∼26: 구동용 모터
27, 28: 가동 프레임
29: 제1 지지 수단
29a∼31a: 암
29b∼31b: 캠 종동 롤러
29c∼31c: 회전 캠
30: 제2 지지 수단
31: 제3 지지 수단
32a∼32d: 지지 프레임
33: 외측 원호형 측틀
34: 내측 원호형 측틀
35: 연결 부재
36, 38: 소경 원호부
37, 39: 대경 원호부
L1: 원호형 경로부에 있어서의 일정 높이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 수평면
L2: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의 피반송물 지지 반송면

Claims (8)

  1. 직선 경로의 도중에 별도(別)의 반송 경로의 단부의 원호형 경로부가 접선모양으로 접속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로서, 상기 원호형 경로부를 구성하고 있는 원호형 반송 장치는, 이 원호형 경로부와 접선모양으로 접속하고 있는 상기 직선 경로와 동일 레벨로 피반송물을 상기 원호형 경로부의 전역에 걸쳐서 반송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고정되고, 상기 직선 경로는, 상기 원호형 경로부와의 접속 위치로부터 당해(當該) 원호형 경로부와의 겹침 영역 전체를 포함하는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를 구비하고, 이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를 구성하고 있는 직선모양 반송 장치는, 상기 원호형 경로부와 접선모양으로 접속하고 있는 상기 직선 경로의 단부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경동(傾動)하는 상하이동(上下動)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이 상하이동 반송 수단이 아래쪽으로 경동한 아래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원호형 반송 장치에 의해서 반송되는 피반송물의 하측에 상기 직선모양 반송 장치가 위치하고, 상기 상하이동 반송 수단이 위쪽으로 경동한 위 작용 위치에 있을 때는, 이 직선모양 반송 장치가 반송하는 피반송물이 상기 원호형 반송 장치의 상측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모양 반송 장치가,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의 일단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경동하는 제1의 상하이동 반송 수단과,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의 타단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경동하는 제2의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제1 및 제2 양(兩)상하이동 반송 수단이 상기 위 작용 위치에 있을 때, 이 직선모양 반송 장치 상의 반송 경로가, 중간 부분이 솟아오르는 산(山) 형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모양 반송 장치는, 상기 원호형 경로부의 원호 중심으로부터 먼 측의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원호 중심에 가까운 측의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원호형 반송 장치는, 상기 원호 중심으로부터 먼 측의 원호형 구동 롤러 열과, 상기 원호 중심에 가까운 측의 원호형 유전(遊轉) 롤러 열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은, 그의 일단이 상기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의 일단의 상기 원호 중심이 있는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의 중간부가 상기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의 중간 위치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원호형 유전 롤러 열은, 그의 일단이 상기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의 일단의 상기 원호 중심이 있는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원호형 경로부와 겹치는 영역을 구성하는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과, 당해 영역의 외측을 구성하는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은, 상기 위 작용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과 접속 상태로 되는 높이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 직선모양 구동 컨베이어 유닛은, 그의 전체길이가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위치에서는, 상기 직선 경로와 상기 원호형 반송 장치 및 직선모양 반송 장치의 피반송물 지지 레벨이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은, 상기 접속 위치측의 일단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축지지(軸支)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제1 지지 수단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은, 그의 전체길이가 이분할되어, 상기 접속 위치측의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과 반대측의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에 의해서 구성되고, 이들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과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은, 서로 인접하는 각 내단부가, 지지 높이 변경 가능한 제2 지지 수단과 제3 지지 수단에 의해서 지지됨과 동시에, 반대측의 외단부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수단, 상기 제2 지지 수단, 및 상기 제3 지지 수단의 각각은, 공통의 1개의 구동 축에 장착된 회전 캠과, 이들 각 회전 캠에 의해서 지지되는 캠 종동 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의 상기 접속 위치측의 일단에는, 경로 횡단 방향을 따라 제1 구동용 회전축이 지탱(支承)되고, 상기 일정 길이 직선 경로부의 상기 접속 위치측과는 반대의 타단에는, 경로 횡단 방향을 따라 제2 구동용 회전축이 지탱되고,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과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은, 상기 제1 구동용 회전축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탱되고, 상기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은, 상기 제2 구동용 회전축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탱되고,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와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의 구동 롤러는, 상기 제1 구동용 회전축에 연동 연결되고, 상기 외측 비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와 상기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는, 상기 제2 구동용 회전축에 연동 연결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구동 롤러는,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의 외측에만 마련되고, 당해 제2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의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보다 내측의 영역에는, 유전 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용 회전축에는, 상기 제1 내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의 구동 롤러 열을 구성하는 일단 구동 롤러와, 상기 원호형 구동 롤러 열을 구성하는 일단 구동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외측 상하이동 반송 수단의 구동 롤러 열의 상기 접속 위치측의 일단에 있는 구동 롤러와, 상기 원호형 유전 롤러 열의 상기 접속 위치측의 일단에 있는 유전 롤러는, 상기 제1 구동용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KR1020207009310A 2018-06-11 2019-04-05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KR20210018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0881 2018-06-11
JP2018110881A JP6895127B2 (ja) 2018-06-11 2018-06-11 搬送設備の分岐合流装置
PCT/JP2019/015155 WO2019239692A1 (ja) 2018-06-11 2019-04-05 搬送設備の分岐合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989A true KR20210018989A (ko) 2021-02-19

Family

ID=6884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310A KR20210018989A (ko) 2018-06-11 2019-04-05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92672B2 (ko)
EP (1) EP3786093A4 (ko)
JP (1) JP6895127B2 (ko)
KR (1) KR20210018989A (ko)
CN (1) CN112166082B (ko)
AU (1) AU2019284446A1 (ko)
CA (1) CA3102980A1 (ko)
RU (1) RU2768075C1 (ko)
SG (1) SG11202011784TA (ko)
TW (1) TWI810287B (ko)
WO (1) WO2019239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7662A (zh) * 2019-12-31 2020-05-12 登封市启明轩程控设备有限公司 一种长轴类零件横移装置及横移卸料机构
USD978474S1 (en) * 2020-06-22 2023-02-14 Daifuku Co., Ltd. Conveyance tray
CN114132687B (zh) * 2021-11-30 2023-12-01 山东商务职业学院 一种工程机械制造生产用传送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683A (ja) 2006-02-21 2007-09-06 Asyst Shinko Inc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636A (en) * 1907-10-12 1913-08-26 Fred K G Bradbury Gravity-carrier switch.
FR558371A (fr) * 1922-11-07 1923-08-27 Cie Des Transporteurs Simplex Dispositif d'aiguillage pour transporteur à rouleaux par gravité
US1824276A (en) * 1930-03-17 1931-09-22 Charles J Kesti Conveyer switch
US2136267A (en) * 1935-07-30 1938-11-08 Lamson Co Conveyer mechanism
US2794529A (en) * 1954-09-24 1957-06-04 Mechanical Handling Sys Inc Roller conveyor switch
FR1417363A (fr) * 1964-09-28 1965-11-12 Gallet & Cie Perfectionnements aux aiguillages automatiques pour transporteurs à rouleaux ou appareils analogues de manutention
SE301769B (ko) * 1965-03-15 1968-06-17 Electrolux Ab
JPS4813583Y1 (ko) * 1969-02-14 1973-04-13
GB1294420A (en) * 1970-12-24 1972-10-25 K Stumpf Points for roller tracks
SU772958A1 (ru) * 1979-03-05 1980-10-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2347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изделий с одного конвейера на другой
JPS57151529A (en) * 1981-03-13 1982-09-18 Okura Yusoki Co Ltd Assorting equipment
DE3208801A1 (de) * 1982-03-11 1983-09-22 Hebenstreit GmbH, 6082 Mörfelden-Walldorf Weiche fuer riemenfoerderer fuer waffelbloecke u.dgl.
JPH04101912A (ja) * 1990-08-16 1992-04-03 Toto Ltd 三方向分岐合流コンベア及び製造コンベアライン
JPH0488423U (ko) * 1990-12-19 1992-07-31
JP3163916B2 (ja) * 1994-03-24 2001-05-08 株式会社ダイフク 分岐合流用コンベヤ設備
TW300877B (ko) * 1995-06-07 1997-03-21 Murata Machinery Ltd
AT406041B (de) * 1997-01-29 2000-01-25 Knapp Holding Gmbh Weiche für eine förderanlage
JP4828801B2 (ja) * 2004-03-29 2011-11-3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コンベヤにおける搬送物の方向転換方法
US6938751B1 (en) * 2004-04-23 2005-09-06 Tkf, Inc. Vertical lift assembly
TWM269297U (en) * 2004-07-01 2005-07-01 Alb Energy & Technology Busine Pyrolysis equipment
JP5062965B2 (ja) * 2005-05-06 2012-10-31 三機工業株式会社 分岐合流装置
CA2878328C (en) * 2012-07-04 2017-07-11 Daifuku Co., Ltd. Transport conveyer and transport facility
KR101710387B1 (ko) * 2015-10-13 2017-02-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물류 이송장치
JP6868223B2 (ja) * 2018-05-18 2021-05-12 株式会社ダイフク カーブコンベ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683A (ja) 2006-02-21 2007-09-06 Asyst Shinko Inc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10287B (zh) 2023-08-01
RU2768075C1 (ru) 2022-03-23
SG11202011784TA (en) 2020-12-30
JP6895127B2 (ja) 2021-06-30
JP2019214432A (ja) 2019-12-19
CA3102980A1 (en) 2019-12-19
US20210061580A1 (en) 2021-03-04
US11292672B2 (en) 2022-04-05
CN112166082A (zh) 2021-01-01
EP3786093A4 (en) 2022-01-19
AU2019284446A1 (en) 2020-12-24
WO2019239692A1 (ja) 2019-12-19
TW202000556A (zh) 2020-01-01
EP3786093A1 (en) 2021-03-03
CN112166082B (zh)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8989A (ko) 반송 설비의 분기 합류 장치
JP4666215B2 (ja) 物品搬送装置
JP6278341B2 (ja) 物品搬送設備
KR101980293B1 (ko) 사이드 아암식 이재 장치
CN101238021A (zh) 台车式运送装置
JP6189412B2 (ja) コンベア
KR101419356B1 (ko)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EP3960661A1 (e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JP6331895B2 (ja) 物品搬送設備
CN105636885B (zh) 板式输送机
JP2018513081A (ja) 二重傾斜型カルーセル
KR100231888B1 (ko) 물품을 회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저장구조물
US10689198B2 (en) Conveyor apparatus
JP2002087251A (ja) 搬送設備
US5992605A (en) Escalator system with wheel chair step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03213956A (ja) 機械式駐車設備およびそのパレット昇降装置
JP4078936B2 (ja) コンベヤ式搬送装置
JP7332513B2 (ja) 機械式駐車装置
CN116902570B (zh) 一种用于生产线上的产品自动流转装置
US20230322501A1 (en) Transport robot and transport system
JP4986047B2 (ja) 物品収納設備
KR20230096501A (ko)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JP6426549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16166079A (ja) 昇降搬送装置
CN114054731A (zh) 一种金属熔液转运用炉前升降转运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