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501A -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501A
KR20230096501A KR1020210186042A KR20210186042A KR20230096501A KR 20230096501 A KR20230096501 A KR 20230096501A KR 1020210186042 A KR1020210186042 A KR 1020210186042A KR 20210186042 A KR20210186042 A KR 20210186042A KR 20230096501 A KR20230096501 A KR 20230096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oupling member
lift
cam follower
followe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도연
Original Assignee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501A/ko
Publication of KR2023009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은, i) 차량이 탑재되도록 적용된 복수의 팔레트, ii) 팔레트의 제1 방향으로의 이송을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제1 방향으로 포함하여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격납고; iii) 팔레트를 제2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팔레트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한다. 리프트는, i) 승강 프레임, ii) 승강 프레임에 장착되어 제2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탑재되는 팔레트를 회전시키도록 적용된 턴테이블, iii) 턴 테이블에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캠부재, 및 iv) 캠부재에 포함되어 회전하는 캠팔로워 베어링(cam follower bearing)을 포함한다. 팔레트는 그 일측에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설치된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캠팔로워 베어링은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적용된다.

Description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elevator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팔레트(palette)를 리프트에서 격납고로 횡행 이송하거나 격납고에서 리프트로 횡행 이송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은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격납고들과 팔레트들 및 팔레트들을 하나씩 승강 이송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리프트는 체인 구동 방식의 횡행 이송 장치(transverse conveying device)를 포함한다. 각 격납고는 팔레트의 횡행 이송을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한다. 따라서 팔레트들은 차량을 탑재하거나 탑재하지 않은 상태로 격납고들 각각에 놓일 수도 있고, 리프트에 놓일 수도 있다.
리프트에 포함되는 횡행 이송 장치는 팔레트의 후크를 체인핀에 걸어서 팔레트를 횡행 이송한다. 그러나 후크는 팔레트에서 돌출되고 스프라켓들은 리프트에서 돌출되므로 격납고 외에 추가적인 공간을 더 차지한다. 즉, 주차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더 넓은 건축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리프트가 횡행 이송 장치를 포함하므로 주차 시스템의 제조비가 상승한다.
리프트에 포함되는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팔레트(palette)를 리프트에서 격납고로 횡행 이송하거나 격납고에서 리프트로 횡행 이송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은, 차량이 탑재되도록 적용된 복수의 팔레트, 상기 팔레트의 제1 방향으로의 이송을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포함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격납고, 및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탑재되는 상기 팔레트를 회전시키도록 적용된 턴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에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에 포함되어 회전하는 캠팔로워 베어링(cam follower bearing)을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는 그 일측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설치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적용된다.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제3 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어 상기 팔레트의 하측 롤러를 지지하는 이동 레일, 및 상기 이동 레일의 상기 제3 방향 외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어 상기 하측 롤러의 이탈 방지를 가이드 하는 롤러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이동 레일의 상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방향 외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방향 양측에서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의 하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2 방향의 위쪽으로, 상기 제1 방향의 외측으로, 및 상기 제2 방향의 아래쪽으로 연속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절곡부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에 수용 결합되며, 상기 절곡부와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턴테이블 쪽으로 당기거나 상기 격납고 쪽으로 밀 때,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의 가압력에 2중으로 저항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2 방향의 위쪽으로, 상기 제1 방향의 외측으로 및 상기 제2 방향의 아래쪽으로 연속 절곡된 제1 내측부, 제1 상부 및 제1 외측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내측부, 상기 제1 상부 및 상기 제1 외측부에 연속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로 절곡되어 수용 결합되는 제2 내측부, 제2 상부 및 제2 외측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부, 상기 제1 상부 및 상기 제1 외측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제2 내측부, 상기 제2 상부 및 상기 제2 외측부와 각각 2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이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3 방향 양측과 하방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개방측을 형성하여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과의 결합을 시작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팔레트의 이송 완료시,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의 결합이 해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은, 차량이 탑재되도록 적용된 복수의 팔레트, 상기 팔레트의 제1 방향 이송을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격납고들, 및 횡행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적용된 리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횡행 이송부는 상기 리프트의 턴 테이블에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에 포함되어 회전하는 캠팔로워 베어링(cam follower bearing), 및 상기 팔레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설치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턴테이블과 팔레트를 결합시켜 주차 차량을 횡행 이송한다. 즉, 팔레트를 리프트에서 격납고로 횡행 이송하거나 격납고에서 리프트로 횡행 이송할 수 있다.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팔레트를 횡행 이송하므로, 격납고 외에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주차 시스템을 좀더 컴팩트하게 건축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은 캠부재와 캠팔로워 베어링을 포함하고, 팔레트는 결합 부재만을 포함하므로, 주차 시스템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리프트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프트에 포함된 가이드에 팔레트가 안내되는 작동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팔레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팔레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팔레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리프트 턴테이블에 포함된 베어링과 팔레트 결합 부재가 결합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턴테이블의 구동으로 팔레트를 횡행 이송하기 시작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팔레트를 리프트의 턴테이블 상에 횡행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6은 캠팔로워 베어링과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내부 정면도이다. 도 1의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100)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의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100)을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100)은 팔레트(20), 격납고(30) 및 리프트(40)를 포함한다. 이외에,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z축 방향에서 보면, 팔레트(20)는 주차 차량이 탑재되도록 폭(W)과 길이(L)를 가지는 직사각형 구조를 가진다. 팔레트(20)에서 폭(W)은 x축 방향으로 설정되고, 길이(L)는 y축 방향으로 설정된다. 길이(L)가 폭(W)보다 크다.
격납고들(30)은 z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격납고(30)는 차량을 탑재한 팔레트(20)를 입고 및 출고시킨다. 이를 위하여, 격납고(30)에는 고정 레일(31)이 포함된다. 고정 레일(31)은 격납고(20)에 x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을 안내 및 지지한다.
리프트(40)는 팔레트(20)를 z축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팔레트(20)를 x축 방향으로 횡행 이송시킨다. 리프트(40)의 승강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리프트(40)의 좌측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의 리프트(4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2의 리프트(40)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40)는 승강 프레임(41) 및 턴테이블(42)을 포함한다. 승강 프레임(41)은 리프트(40)의 베이스를 형성하며 별도의 승강 기구에 연결되어 격납고들(30)에 대응하는 높이로 승강한다.
턴테이블(42)은 승강 프레임(41)에 장착되어 높이 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탑재되는 팔레트(20)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턴테이블(42)은 링기어(421), 피니언 기어(422), 및 감속기(423)를 포함한다. 링기어(421)는 턴테이블(42)의 아래에 구비된다. 피니언 기어(422)는 링기어(421)에 결합된다. 감속기(423)는 피니언 기어(422)와 연결된다. 이들과 연결된 구동 모터(424)가 작동하여 턴테이블(42)이 회전한다. 턴테이블(42)은 승강 프레임(41) 상에 설치되는 지지롤들(42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지지롤(425)은 턴테이블(42) 및 팔레트(20)을 통하여 전달되는 주차 차량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리프트(40)의 좌측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의 리프트(4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리프트(4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승강 프레임(41)은 이동 레일(51)과 롤러 가이드(52)를 포함한다. 이동 레일(51)은 격납고(30)의 고정 레일(31)로부터 횡행 이송되는 팔레트(20)를 받아서 팔레트(20)의 이송을 지지한다. 또한, 이동 레일(51)은 반대 방향으로 팔레트(20)의 이송을 지지한다.
이동 레일(51)은 승강 프레임(41)의 y축 방향 양단에 배치된다. 이동 레일(51)은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동 레일(51)은 팔레트(20)의 하측 롤러(2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팔레트(20)는 하측 롤러(22)를 포함하여 격납고(30)에서는 고정 레일(31)을 타고 횡행 이송된다. 그리고 팔레트(20)는 리프트(40)에서는 이동 레일(51)을 타고 횡행 이송된다. 즉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시, 하측 롤러(22)는 고정 레일(31)과 이동 레일(51)을 넘나든다.
롤러 가이드(52)는 이동 레일(51)의 y축 방향 외측에 x축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배치되고, 롤러(22)의 이탈 방지를 가이드 한다. 팔레트(20)가 횡행 이송시 폭(W)에 비해 길이(L)가 길게 형성되므로 팔레트(20)의 사행(meander)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롤러 가이드(52)는 팔레트(20)의 사행을 방지한다.
일례로서, 롤러 가이드(52)는 수직부(521)와 확장부(522)를 포함한다. 수직부(521)는 이동 레일(51)의 상방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하측 롤러(22)의 측면의 이탈을 방지한다. 확장부(522)는 수직부(521)의 상단에서 경사지게 절곡된다. 즉 확장부(522)는 x축 방향 외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의 간섭을 방지한다.
도 4는 결합 부재(21)를 포함하는 팔레트(2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 팔레트(20)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팔레트(20)의 좌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결합 부재(21)는 x축 방향의 양측에서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팔레트(20)의 하면에 포함된다.
팔레트(20)는 x축 방향 양측에 절곡부(23)를 포함한다. 절곡부(23)는 차량이 탑재되는 xy평면에서 z축 방향의 상측, x축 방향의 외측, z축 방향의 하측으로 연속해서 이어져 절곡된다.
결합 부재(21)는 절곡부(23)에 대응하는 구조로 절곡되어 수용 결합된다. 팔레트(20)를 턴테이블(42) 쪽으로 당기거나 턴테이블(42)에서 격납고(30) 쪽으로 밀어 횡행 이송할 때, 절곡부(23)와 결합 부재(21)는 캠팔로워 베어링(44)의 가압력에 2중으로 저항한다.
도 7은 캠팔로워 베어링(44)과 팔레트 결합 부재(21)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의 결합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7의 결합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40)(도 2에 도시)는 캠부재(43)과 캠팔로워 베어링(44)을 포함한다. 캠부재(43)는 턴테이블(42)에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턴테이블(42)과 일체로 회전한다. 캠팔로워 베어링(44)은 캠부재(43)의 단부에 포함되어 회전하는 캠부재(43)와 일체로 회전한다.
즉, 턴테이블(42)의 회전에 따라 캠부재(43)와 캠팔로워 베어링(44)이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턴테이블(42)의 회전력을 캠팔로워 베어링(44)으로 전달하여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팔레트(20)는 결합 부재(21)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21)는 팔레트(20)의 일측에 y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캠팔로워 베어링(44)은 결합 부재(21)에 결합된다. 따라서 캠부재(43)가 회전하는 경우, 캠팔로워 베어링(44)은 캠부재(43)와 함께 회전하면서 결합 부재(21)에 결합되어 결합 부재(21)를 따라 이동한다. 캠부재(43)의 회전 운동은 캠팔로워 베어링(44)과 결합 부재(21)에 의하여 결합 부재(21)가 설치된 팔레트(20)를 x축 방향으로 횡행 이송시킨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팔레트(20), 즉 절곡부(23)는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제1 내측부(231), 제1 상부(232) 및 제1 외측부(233)를 포함한다. 제1 내측부(231)는 팔레트(20)의 xy평면에서 z축 방향의 위쪽으로 절곡된다. 제1 상부(232)는 제1 내측부(231)의 상단에서 x축 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1 외측부(233)는 제1 상부(232)의 외측에서 z축 방향의 아래쪽으로 연속 절곡된다.
제1 상부(232)를 기준으로, 제1 외측부(233)는 제1 내측부(231) 높이 방향 영역 중 상부 영역(A1)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A2)에는 개방된다. 즉, 절곡부(23)는 y축 방향 양단에서 개방되고, x축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결합 부재(21)는 제1 내측부(231), 제1 상부(232) 및 제1 외측부(233)에 연속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로 절곡된다. 결합 부재(21)는 절곡부(23)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결합 부재(21)는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제2 내측부(211), 제2 상부(212) 및 제2 외측부(213)를 포함한다. 절곡부(232)의 제1 내측부(231), 제1 상부(232) 및 제1 외측부(233)는 결합 부재(21)의 제2 내측부(211), 제2 상부(212) 및 제2 외측부(213)와 각각 2중 구조를 형성한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턴테이블의 구동으로 팔레트를 횡행 이송하기 시작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턴테이블(42)이 회전하여 캠부재(43)에 포함된 캠팔로워 베어링(44)이 일체로 회전한다. 캠팔로워 베어링(44)은 캠부재(43)의 단부에 상향 돌출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재(43)와 캠팔로워 베어링(44)이 선회(RT)시, 팔레트(20)의 절곡부(23)에 간섭하지 않고, 나머지 영역(A2)은 캠부재(43)와 캠팔로워 베어링(44)의 선회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8 참조) 즉, 캠팔로워 베어링(44)은 결합 부재(21)에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도 7 참조).
캠팔로워 베어링(44)이 결합 부재(21)에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결합 부재(21)는 y축 방향 양측과 z축 방향의 하방으로 오픈된다. 결합 부재(21)는 y축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된다.
결합 부재(21)는 회전하는 캠팔로워 베어링(44)과 y축 방향으로 일치하는 지점에서 개방측을 구비한다. 따라서, 결합 부재(21)는 개방측에서 캠팔로워 베어링(44)과의 결합을 시작한다. 결합 부재(21)는 팔레트(20) 횡행 이송 완료시, 캠팔로워 베어링(44)의 결합이 해제되는 길이(L2)를 가진다.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100)(도 1에 도시)은 턴테이블(42)과 팔레트(20)를 포함하는 횡행 이송부를 형성한다. 즉, 캠부재(43), 캠팔로워 베어링(44) 및 결합 부재(21)를 통하여 턴테이블(42)의 회전 운동을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는 팔레트를 격납고에서 리프트의 턴테이블 상에 횡행 이송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일례로써 설명하면, 격납고(30)의 팔레트(20)를 리프트(40)의 턴테이블(42)로 횡행 이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리프트(40)의 턴테이블(42)과 팔레트(20)가 격납고(30)의 정위치에 위치한다. 즉 구동 모터(424)의 정지로 인하여 턴테이블(42)이 회전하지 않은 0°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424)에 의해 턴테이블(42)이 0°부터 30°까지 회전한다. 그 결과, 캠팔로워 베어링(44)이 격납고(30)에 위치하는 팔레트(20)의 결합 부재(21)에서 결합을 시작한다. 그리고 고정 레일(31) 위에서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이 시작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424)에 의해 턴테이블(42)이 30°부터 75°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캠팔로워 베어링(44)이 결합 부재(21)를 당긴다. 그리고 고정 레일(31) 상에서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이 진행된다. 이 경우, 팔레트(20)는 이동 레일(51)에서 이동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 모터(424)에 의해 턴테이블(42)이 75°부터 90°까지 회전한다. 그 결과, 캠팔로워 베어링(44)이 결합 부재(21)를 더 당긴다. 그리고 고정 레일(31) 상에서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이 더 진행된다. 이 경우, 팔레트(20)는 이동 레일(51)에서 더 이동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424)에 의해 턴테이블(42)이 90°부터 120°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캠팔로워 베어링(44)이 결합 부재(21)를 더 당긴다. 그리고 고정 레일(31) 상에서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이 더 진행된다. 이 경우, 팔레트(20)는 이동 레일(51)에서 더 이동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구동 모터(424)에 의해 턴테이블(42)이 120°부터 165°까지 회전한다. 그 결과, 캠팔로워 베어링(44)이 결합 부재(21)를 더 당긴다. 그리고 고정 레일(31) 상에서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이 더 진행된다. 이 경우, 팔레트(20)는 이동 레일(51)에서 더 이동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구동 모터(424)에 의해 턴테이블(42)이 165°부터 180°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캠팔로워 베어링(44)이 팔레트(20)의 결합 부재(21)를 더 당긴다. 고정 레일(31) 상에서 팔레트(20)의 횡행 이송은 더 진행된다. 이 경우, 팔레트(20)는 고정 레일(31)에서 완전히 벗어나 이동 레일(51) 상에 위치한다.
이로써, 구동 모터(424)에 의해 격납고(30)에서 리프트(40)로의 팔레트(20)의 출고가 완료된다. 그 후, 리프트(40)의 승강에 의해 팔레트(20)고 함께 설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40)에서 격납고(30)로 팔레트(20)의 입고는 출고의 반대 방향 및 역순으로 진행된다. 구동 모터(424)가 역회전하여 팔레트(20)의 입고는 도 15에서 도 9로 진행된다.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100)(도 1에 도시)은 캠부재(43), 캠팔로워 베어링(44) 및 결합 부재(21)를 포함한다. 캠팔로워 베어링(44)이 결합 부재(21)에 결합되고 턴테이블(42)을 회전시켜 팔레트(20)를 횡행 이송한다. 따라서 격납고(30) 이외에 추가적인 공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100)(도 1에 도시)은 좀더 좁은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6은 도 7의 캠팔로워 베어링(44)과 결합되는 결합 부재(61)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결합 부재(6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7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61)는 절곡부(23)에 대응하는 구조로 절곡된다. 결합 부재(61)는 절곡부(23)에 수용 상태로 결합된다. 결합 부재(61)는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제2 내측부(611), 제2 상부(612) 및 제2 외측부(613)를 포함한다. 제2 외측부(613)는 캠팔로워 베어링(44)의 유입을 안내하는 확장 안내부(614)를 더 포함한다.
제2 내측부(611)와 제2 외측부(613)는 캠팔로워 베어링(44)의 직경에 대응하는 제1 간격(G1)을 형성한다. 확장 안내부(614)는 제2 간격(G2)을 형성한다. 제1 간격(G1)과 제2 간격(G2)에 의해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캠팔로워 베어링(44)이 회전하면서 결합 부재(61)에 좀더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20: 팔레트 21, 61: 결합 부재
22: 롤러 23: 절곡부
30: 격납고 31: 고정 레일
40: 리프트 41: 승강 프레임
42: 턴테이블 43: 캠부재
44: 캠팔로워 베어링 51: 이동 레일
52: 롤러 가이드 100.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211, 611: 제2 내측부 212, 612: 제2 상부
213, 613: 제2 외측부 231: 제1 내측부
232: 제1 상부 233: 제1 외측부
421: 링기어 422: 피니언 기어
423: 감속기 424: 구동 모터
425: 지지롤 521: 수직부
522: 확장부 614: 확장 안내부
A1: 상부 영역 A2: 나머지 영역
G1, G2: 제1, 제2간격 L, L2: 길이
RT: 선회 W: 폭

Claims (11)

  1. 차량이 탑재되도록 적용된 복수의 팔레트;
    상기 팔레트의 제1 방향으로의 이송을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포함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격납고; 및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리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탑재되는 상기 팔레트를 회전시키도록 적용된 턴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에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에 포함되어 회전하는 캠팔로워 베어링(cam follower bearing)
    을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는 그 일측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설치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적용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제3 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어 상기 팔레트의 하측 롤러를 지지하는 이동 레일, 및
    상기 이동 레일의 상기 제3 방향 외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 배치되어 상기 하측 롤러의 이탈 방지를 가이드 하는 롤러 가이드
    를 포함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이동 레일의 상방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방향 외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부
    를 포함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방향 양측에서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의 하면에 포함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2 방향의 위쪽으로, 상기 제1 방향의 외측으로, 및 상기 제2 방향의 아래쪽으로 연속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절곡부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에 수용 결합되며,
    상기 절곡부와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팔레트를 상기 턴테이블 쪽으로 당기거나 상기 격납고 쪽으로 밀 때,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의 가압력에 2중으로 저항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2 방향의 위쪽으로, 상기 제1 방향의 외측으로 및 상기 제2 방향의 아래쪽으로 연속 절곡된 제1 내측부, 제1 상부 및 제1 외측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내측부, 상기 제1 상부 및 상기 제1 외측부에 연속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로 절곡되어 수용 결합되는 제2 내측부, 제2 상부 및 제2 외측부를 각각 포함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부, 상기 제1 상부 및 상기 제1 외측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제2 내측부, 상기 제2 상부 및 상기 제2 외측부와 각각 2중 구조를 형성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이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3 방향 양측과 하방이 개방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개방측을 형성하여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과의 결합을 시작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팔레트의 이송 완료시,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의 결합이 해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적용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10. 차량이 탑재되도록 적용된 복수의 팔레트;
    상기 팔레트의 제1 방향 이송을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격납고들; 및
    횡행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적용된 리프트
    를 포함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횡행 이송부는
    상기 리프트의 턴 테이블에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에 포함되어 회전하는 캠팔로워 베어링(cam follower bearing), 및
    상기 팔레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설치된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캠팔로워 베어링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적용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KR1020210186042A 2021-12-23 2021-12-23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KR20230096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042A KR20230096501A (ko) 2021-12-23 2021-12-23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042A KR20230096501A (ko) 2021-12-23 2021-12-23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501A true KR20230096501A (ko) 2023-06-30

Family

ID=8695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042A KR20230096501A (ko) 2021-12-23 2021-12-23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5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147B1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JP5110051B2 (ja) 昇降機構付き軌道走行台車
KR100421087B1 (ko)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900000900Y1 (ko)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장치
KR20230096501A (ko)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WO2023120772A1 (ko)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JP3595644B2 (ja) 物品格納装置
JP6012260B2 (ja) 昇降機構と駐車装置
WO2015063813A1 (ja) 昇降式駐車装置
JP2008050882A (ja) 箱形循環式駐車装置
JPH05239947A (ja) 立体駐車装置用入庫待機機構
JP3122441B1 (ja) 昇降装置
JP2947014B2 (ja) 吊下搬送装置
KR920008230Y1 (ko) 엘리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의 입.출력장치
JP2884276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4092789B2 (ja) 立坑の資機材搬送システム
JP3295064B2 (ja) 駐車設備及び駐車設備の隙間塞ぎ装置
JP4065633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606344B2 (ja) 昇降式駐車装置
KR930002698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 장치
KR960001506Y1 (ko) 입체주차장치의 파렛트 입출고 이송장치
JP2535703Y2 (ja) ホイストの自動ハンガ開閉装置
JP5984567B2 (ja) 昇降機構と駐車装置
JP2852580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230001085A (ko) 주차기의 운반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