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371A - 버클, 벨트 및 벨트 부품 - Google Patents

버클, 벨트 및 벨트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371A
KR20210009371A KR1020207036302A KR20207036302A KR20210009371A KR 20210009371 A KR20210009371 A KR 20210009371A KR 1020207036302 A KR1020207036302 A KR 1020207036302A KR 20207036302 A KR20207036302 A KR 20207036302A KR 20210009371 A KR20210009371 A KR 2021000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ants
buckle
engaging por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쇼타 타나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타 타나카 filed Critical 쇼타 타나카
Publication of KR2021000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A41F17/02Clips or the like for trousers or skirts, e.g. for cyclis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피복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 버클로서, 벨트의 일단이 고정된 버클 본체와, 버클 본체에 구비되어 벨트를 버클 본체에 계지하는 벨트 계지부와, 버클 본체 또는 벨트 계지부에 구비되어 피복의 일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해당 피복의 일부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버클, 벨트 및 벨트 부품
본 발명은, 버클, 벨트 및 벨트 부품에 관한 것이다.
바지 등의 피복을 착용할 때에는, 피복의 어긋남(흘러내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띠 형상의 천 또는 가죽과 버클로 구성되는 벨트가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지 착용시에는 벨트를 하고 있어도, 바지 등의 피복의 허리 치수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체형에 대한 피복의 느슨함에 기인하여, 바지의 특히 앞트임 부분이 벨트에서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흘러내림은 보기에 좋지 않고, 패션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벨트 버클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흘러내림에 인해 금속으로 만들어진 버클이 피부에 접촉하면, 착용자에게 금속 알레르기를 발병시킬 우려도 있다.
JP2006-183177A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도구로서, 상의의 안감을 협지(挾持)하는 동시에 허리 부분의 안감을 계지(係止)하는 것에 의해 바지를 상의에 매어 두는 바지 흘러내림 방지 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JP2006-183177A에 개시한 바와 같은 바지 흘러내림 방지 도구는, 벨트와는 별개로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의의 안감을 협지할 필요가 있는 등, 탈착이 번거롭다. 또한, 상의를 바지안에 수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의에 협지되는 부분의 주름이 눈에 띄고, 더구나 상의가 바지에 매어져 버리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의를 이용하지 않고, 바지 등 피복의 흘러내림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복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 버클로서, 벨트의 일단이 고정된 버클 본체와, 버클 본체에 구비되어, 벨트를 버클 본체에 계지하는 벨트 계지부와, 버클 본체 또는 벨트 계지부에 구비되어 피복의 일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해당 피복의 일부에 계합(係合)하는 계합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버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계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바지 착용시 계합부가 버튼을 계합하는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계합부가 형성되는 공간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버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버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버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의 버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버클이 계합하는 피복의 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5 실시형태의 버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계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5 실시형태의 계합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5 실시형태의 계합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5 실시형태의 버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원 발명의 버클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원 발명의 버클의 추가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이 해결할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6 실시형태의 버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7 실시형태의 벨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7 실시형태의 벨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8 실시형태의 버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9 실시형태의 버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9 실시형태의 버클이 계합하는 피복의 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10 실시형태의 벨트 부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10 실시형태의 벨트 부품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10 실시형태의 벨트 부품의 추가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10 실시형태의 벨트 부품의 추가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원 발명의 버클의 추가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버클(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10)은, 피복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 버클이며, 띠 형상의 천이나 가죽 등으로 이루어진 벨트(1)의 일단이 고정되는 버클 본체(2)와, 벨트 계지부(3)와, 벨트 계지부(3)에 구비된 계합부(4)로 구성된다.
버클 본체(2)는, 대략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금속 부재이다. 버클 본체(2)는, 그 일단부를 구성하는 축(2a)을 구비하고 있다. 축(2a)에는, 벨트(1)의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계지부(3)의 일단이 형성된 링 형상의 기부(基部)(3a)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대략 환상으로 형성된 버클 본체(2)의 내부 공간은, 착용시 벨트(1)의 타단이 통과하는 벨트 통과부(5)가 형성된다. 아울러, 버클 본체(2)의 형상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도시하는 것 외의 다각형 형상일지라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계지부(3)는, 버클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핀 형상 부재(프롱, Prong)이다. 계지부(3)는, 기부(3a)의 반대쪽 단부가 벨트 통과부(5)를 통해 벨트(1)의 계지부(1a)(도 3 참조)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벨트(1)를 버클 본체(2)에 계지한다.
계합부(4)는, 계지부(3)의 일부이다. 계합부(4)는, 피복 착용시 해당 피복의 일부와 계합하여, 해당 피복의 일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계지부(4)의 상세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할 과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이 해결할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청바지와 슬랙스를 포함한 바지 등 피복(보텀)을 착용할 때에는, 흘러내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벨트를 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바지 착용시에 벨트를 조이더라도, 바지의 허리 치수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지 않을 경우, 특히 바지의 허리 치수가 착용자의 허리둘레 치수 보다 큰 경우에는, 체형에 대한 피복의 느슨함에 기인하여, 바지 특히 전면 상단 부분(앞트임 부분 혹은 플라이 부분)이 벨트에 대해 흘러내리는 현상이 생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지의 앞트임 부분이 벨트로 인해 흘러내려져 있는 모습은 보는 사람에게 칠칠치 못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볼품이 없고, 패션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바지가 흘러내림으로 인해 착용자 피부에 금속제의 버클이 오래 접촉되어, 착용자에게 금속 알레르기를 발병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에, 건강 위생상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바지의 흘러내림 현상을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착용자에게 착용 부담을 주지 않게 용이하게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당 과제를 해결할 구체적 구성의 한 예인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4)의 상세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버클(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버클(10)을 정면에서 본 정면도, 도2(b)는, 바지 착용시(벨트 장착시)의 버클(10)을 상측(도1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상면도이다. 또한, 도 2(a)에서 나타낸 양방향 화살표는 중력 방향에서 상하 방향을 나타내며, 도 2(b)에 나타낸 흰색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은, 바지 착용시에 버클(10)을 사용한 경우의 신체측(바지측)을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바지측”은 해당 흰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항을 나타내며, "앞쪽”은, 해당 흰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과는 반대쪽 방향(착용자 쪽에서 보면 전방)을 나타내고, "상측”, "하측”은 바지 착용시의 버클(10)의 중력 방향의 상하 방향을 나타내며, "좌우 방향”은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지부(3)는, 그 기부(3a)가 버클 본체(2)의 축(2a)에서 상하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정면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거의 직선인 봉 형상(핀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축(2a)에 있어서 기부(3a)가 지지되는 상하 방향 위치는 대략 중앙에 한정되지 않고, 특히 후술할 바지의 일부를 계합부(4)에 계합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4)는, 계지부(3)의 일부이며, 바지측이 볼록 형상으로 되도록 만곡(彎曲)하는 것에 의해 앞쪽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6)에 바지의 일부가 계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바지의 일부란, 바지 특히 전면 상단 근방(앞트임 부분 혹은 플라이 부분의 상단 근방)에 있는 버튼(소위 탑버튼)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버튼에는, 버튼과 바지 원단을 연결하는 재봉실이나 리지드 등, 버튼과 바지 원단과의 연결부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계합부(4)는, 단순히 바지측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도 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 본체(2)의 상측의 축(축(2b))과 오목 형상부(6)와의 사이에 소정 폭의 공간(7)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계합부(4)는, 바지 착용시 벨트를 조일 때에, 버클 본체(2)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7)을 통해 버클 본체(2)의 내경측에 도입되는 버튼을 걸어, 해당 버튼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바지 전면의 오목 형상부(6)에 바지의 일부가 계합되는 형태에 대해서는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바지 착용시에 계합부(4)가 버튼을 계합되는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바지 착용시 벨트를 조일 때, 계합부(4)에 버튼이 계합되는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는, 착용자가 버클(10)의 벨트 통과부(5)에 벨트(1)의 타단측을 통과시키고, 나아가 계지공(1a)에 계지부(3)의 선단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버클 본체(2)를 가지고 계지부(3)를 이동시킴으로써, 버튼(8)의 하측을 계합부(4)에 걸친 상태가 나타난다. 즉, 도 3(a)는, 바지 착용시 벨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계합부(4)를 가지는 계지부(3)에 의해 버튼(8)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는 상태를 정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도 3(a)에서 버클(10)을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도3(b)의 화살표 방향 참조).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 버튼(8)의 특히 연결부(8a)가 계합부(4)에 걸려서 버튼(8)이 하측으로부터 계지부(3)에 지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바지가 흘러내리려 해도 해당 바지의 일부인 버튼(8)이 버클(10)에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므로, 바지가 버클(10)에 대해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계지부(3)는 버클 본체(2)와 계합부(4)와의 사이에 공간(7)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8)을 계지부(4)에 계합시킬 때에, 버튼(8)이 버클 본체(2)의 축(2b)과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즉, 버클(10)이 공간(7)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버튼(8)과 버클 본체(2)가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버튼(8)을 계합부(4)에 보다 용이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도 3(c)는, 바지 착용시 벨트(1)를 조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8)을 버클(10)의 계합부(4)에 계합한 후, 통상 실시하는 대로 벨트(1)를 조임으로써, 버튼(8) 및 계합부(4)는 벨트(1)와 바지 사이에 수용되어, 정면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버클(10)은, 바지 착용시 허리 둘레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바지의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계지부(3) 및 계합부(4)는, 도 2, 3등에서 도시하는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버튼(8)을 하측으로부터 계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한 여러 형상을 포함해도 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버클(10)의 형상으로, 특히 계합부(4)가 형성하는 공간(7)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c)에서 나타내는 버클(10)은, 바지 장착시의 상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4(a)~(c)의 좌측에 표시된 백색 화살표는, 벨트 창작시에 바지측을 가리키는 것이다.
도 4(a),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부(4)가 바지측에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하게 하는 것에 의해 앞쪽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6)는, 도 2(b)와 같이 호상(弧狀)에 국한하지 않고, 도시하는 것처럼 곡선이나 직선 형상 등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4(c)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버클 본체(2)의 상측의 축(2b)은, 특히 바지측의 형상이 직선일 필요는 반드시 없고, 앞쪽에 볼록한 만곡 형상을 가져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버클(10)의 상면시에 있어 오목 형상부(6)와 축(2b) 사이에 형성된 공간(7)의 형상은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다만, 공간(7)은 주로 벨트를 장착할 때 버튼(8)과 버클 본체(2)와의 접촉 기회를 저감하고,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공간(7)은, 착용하는 바지에 장착된 버튼(8)을 상하 방향에서 본 치수(예를 들어 도3(b) 참조)가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공간(7)은, 어떤 시판 청바지에 장착된 탑버튼의 직경이 1.7cm, 두께가 1.5mm인 것을 고려하여, 공간(7)의 바지 장착시에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길이를 A, 바지측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의 길이를 B라고 했을 경우에, A가 1.7cm보다 크고, B가 1.5mm보다 큰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면 된다. 바꿔 말하면, 공간(7)은,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1.7cm인 변과 바지측 방향으로 1.5mm인 변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면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면 된다된다. 이와 같은 공간(7)이 버클(10)에 형성됨으로써, 착용자가 벨트 착용시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면적은, 계합 대상이 되는 버튼(8)의 측면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계합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이상으로, 제1 실시형태의 버클(10)에 의하면, 피복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1)의 버클(10)로서, 벨트(1)의 일단이 고정되는 버클 본체(2)와 버클 본체(2)에 구비되어, 벨트(1)를 버클 본체(2)에 계지하는 계지부(3)(벨트 계지부)와, 버클 본체(2) 또는 계지부(3)에 구비되어, 피복의 일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해당 피복의 일부에 계합하는 계합부(4)를 갖는다. 이로 인해 버클(10)을 종래의 벨트에 적용함으로써 바지 등의 피복의 일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지 등 피복의 흘러내림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버클(10)에 따르면, 피복의 일부는, 바지의 전면 상단에 장착된 버튼(8)이다. 또한, 계지부(3)는, 벨트(1)의 계지공(1a)에 삽입됨으로써 벨트(1)를 계지하는 핀 형상 부재이다. 그리고, 계합부(4)는 계지부(3)의 일부이며, 바지 착용시에 해당 바지측에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하게 함으로 해당 바지측의 반대쪽(앞쪽)에 형성되는 오목 형상부(6)(제1 오목 형상부)에 버튼(8)이 계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계합부(4)가 보다 신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벨트 착용시에 피복의 일부로서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클(10)에서 버튼(8)을 지시하는 계합부(4)가 계지부(3)에 구성되기 때문에, 바지 착용시 벨트를 조이는 것에 의해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버클(10)은, 바지 착용시 상면시에서, 버클 본체(2)와 오목 형상부(6) 사이에 소정의 폭인 공간(7)을 가진다. 이로 인해, 착용자가 벨트 장착시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킬 때 버튼(8)과 버클 본체(2)가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20)은, 계지부(3)의 형상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해당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서는 같은 지시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버클(2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버클(20)을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5(b)는 벨트 착용시의 버클(20)을 상측에서 본 상면도이다. 또한, 도 10(a)에서 나타내는 양방향 화살표는 중력 방향에서의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도 10(b)에서 나타내는 흰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은, 바지 착용시에 버클(20)을 사용한 경우의 바지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클(20)이 가지는 계합부(24)는, 계지부(3)의 일부이며, 하측에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하게 함으로써 상측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26)에 바지의 일부(버튼(8))가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튼(8) 특히 연결부(8a)를 계합부(24)에 거는 것으로 버튼(8)을 하측으로부터 계지부(3)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연결부(8a)가 하측에 볼록한 오목 형상부(26)에 걸게 함으로써, 버클(20)이 바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보다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계합부(24)의 형상은 도 5에서 도시하는 형상에 국한하지 않고, 버튼(8)을 하측으로부터 계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버클(20) 형상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d)에서 나타내는 버클(20)은, 벨트 착용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6(a)~(d)의 좌측에서 나타내는 양방향 화살표는, 벨트 착용시의 중력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다.
도 6(a),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부(24)가 하측에서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하는 것으로 상측에서 형성된 오목 형상부(26)는, 도 5(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에 국한하지 않고, 삼각 형상이나 직선 형상 등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6(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 본체(2)의 상측의 축(2b)은, 특히 하측 (계합부(24)측)의 형상이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으며, 상측에 볼록한 만곡 형상을 가져도 된다. 바꿔 말하면, 버클 본체(2)의 축(2)의 하측(계합부(24)측)은, 상측에 오목한 오목 형상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6(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부(3)의 기부(3a)는 버클 본체(2)의 축(2a)에서 반드시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구비될 필요는 없고, 보다 하방에 구비되어도 된다. 그리고, 계지부(3)의 기부(3a)와는 반대쪽 단부 (선단)가 버클(2) 본체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할 경우에, 계합부(24)는 계지부(3)의 기부(3a)로부터 선단까지의 사이에 구비되어 단차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6(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부(3)의 기부(3a)로부터 선단까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이며, 상하 방향의 높이가 기부(3a)의 위치와 대략 일치하는 부분을 오목 형상부(26)로 구성하여도 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 버클(20)의 정면시에서의 오목 형상부(26)와 축(2b) 사이의 길이 C는, 오목 형상부(26) 및 축(2b)의 형상, 혹은 계지부(3)의 기부(3a)의 축(2a)의 상하 방향 위치 등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다만, 길이 C는, 주로 벨트를 착용할 때에 버튼(8)이 버클 본체(2)에 접촉할 기회를 저감하고,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적절히 조정되어도 된다. 따라서, 길이 C는, 착용하는 바지에 장착되어 있는 버튼(8)을 정면에서 본 치수(도 3(a) 참조)가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길이 C는, 어떤 시판되는 청바지에 구비되어 있는 탑버튼의 직경이 1.7cm인 것을 고려하여, 1.7cm보다 큰 길이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로 인해, 버클 본체(2)의 내경측에서 계합부(4)의 상측 영역에 버튼(8)이 도입되기 쉬워지므로, 착용자가 벨트 장착시에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킬 때에, 작업의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제2 실시형태의 버클(20)에 의하면, 피복의 일부는 바지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이다. 또한, 계지부(3)는, 벨트(1)의 계지공(1a)에 삽입됨으로써 벨트(1)를 계지하는 핀 형상 부재이다. 그리고, 계합부(4)는, 계지부(3)의 일부이며, 바지 착용시 하측에서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하게 하여 상측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26)(제2 오목 형상부)에 상기 버튼이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계합부(4)가 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버클 본체(2)의 내경측에서 계합부(4)의 상측 영역이 크게 되므로, 벨트 장착시 피복의 일부로서의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부(26)에 버튼(8)을 계합시킴으로써, 버클(20)이 바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30)은, 계합부(34)의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해당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같은 지시 번호를 부여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계합부(3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34)는, 계지부(3)의 대략 중앙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도 7(a)~(d)에서 각각 도시하는 계합부(34)의 특징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7(a)에서 나타내는 양방향 화살표는, 중력 방향에서 상하 방향을 나타내며, 도 7(b)~(d)에서 나타내는 흰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은 바지측을 나타낸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34)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버클(30)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34)는, 계지부(3)의 대략 중앙 부분에 하측에서 오목한 오목 형상부(34a)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얇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7(b)는,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34)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계지부(3)를 벨트에 장착시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34)는, 계지부(3)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바지측에 오목한 오목 형상부(34b)가 형성되어 바지측 방향으로 얇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7(c)는,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34)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b)에 나타낸 오목 형상부(34b)의 A-A 단면도이다. 오목 형상부(34b)는, 도 7(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지측 방향으로 수직인 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7(d)는,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34)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b)에서 나타내는 오목 형상부(34b)의 A-A 단면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형상부(34b)는, 도 7(d)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지측 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고 오목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더욱이, 오목 형상부(34b)가 가지는 상기 경사의 경사면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오목 형상부(34b)의 상측이 가늘어져, 벨트 착용시에 오목 형상부(34b)를 버튼(8)의 바지측의 하측으로 집어넣기 쉬워지므로, 착용자가 벨트 장착시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킬 때, 작업의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경사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지측에 만곡하게 되도록 곡선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오목 형상부(34a, 34b)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합부(34)를 갖춘 버클(30)에 의해서도, 벨트 장착시에 버튼(8)을 용이하게 계합하여, 바지가 벨트에 대해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3 실시형태의 버클(30)에 의하면, 피복의 일부는 바지 전면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버튼이며, 벨트 계지부(3)는, 벨트(1)의 계지공(1a)에 끼워 넣는 것으로 인해, 벨트(1)를 계지하는 핀 형상 부재이며, 계합부(34)는, 벨트 계지부(3)의 일부이고,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형성된 오목 형상부(34a, b)(제3 오목 형상부)에 버튼이 계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계지부(3)에 있어서 버튼(8)이 계합될 부분이 보다 얇게(가늘게) 되어, 버튼(8)과 바지 사이의 영역(연결부(8a)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쉬워져서, 벨트 장착시에 피복의 일부로서 버튼(8)을 계합부(34)에 계합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40)은, 계합부(44)의 배치, 및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해당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서는 같은 지시 번호를 부여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의 버클(4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버클(40)은, 주로 도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랙스 착용시에 이용하는 벨트에 적용된다.
도 8(a)는 버클(30)을 뒷쪽(바지측) 대각선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8(b)는 버클(40)을 바지측에서 본 이면도이고, 도 8(c)는 벨트 장착시의 버클(40)을 상측에서 본 상면도이다. 또한, 도 8(a), (b)에서 나타내는 양방향 화살표는 중력 방향에서 상하 방향을 가리키며, 도 8(c)에서 나타내는 흰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은 바지측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44)는, 버클 본체(2)의 하측의 축(2c)의 일부이며, 축(2c)으로부터 바지측에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만곡하도록(접어 구부리도록)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훅 형상부(44a)에 바지의 일부가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44)가 계합하는 바지의 일부에 대해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바지의 일부는, 바지(슬랙스)의 띠(웨스트 밴드)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허리밴드걸개부(45, waistband extension)이다. 허리밴드걸개부(45)는, 슬랙스의 정면에서 본 슬랙스 전면의 상단부 중앙으로부터 정면시에서 약간 좌측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45b)을 고정하기 위한 천 부분이며, 상기 띠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적어도 그 하측(45a)은 해당 띠부분에 봉제되어 있지 않다(도면에서 점선보다 화살표 방향을 참조).
이러한 슬랙스를 대상으로 하는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44)는, 버클 본체(2)에 구비되어, 슬랙스의 허리밴드걸개부(45)를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합부(44)는, 벨트 장착시에 허리밴드걸개부(45)의 바지측(안감)에 들어가, 허리밴드걸개부(45)의 하측(45a)을 훅 형상부(44a)에 걸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착용자가 벨트 장착시에 계합부(44)를 허리밴드걸개부(45)의 바지측(안감)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슬랙스가 벨트에 대해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계합부(44)의 형상, 및 배치는, 슬랙스의 허리밴드걸개부(45)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한 적절히 설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축(2c)의 좌우 방향에서 계합부(44)의 위치는, 도시하는 위치에 국한되지 않는다. 계합부(44)의 위치는, 적어도 도 8(c)의 이면도의 중앙보다 우측에서, 버클(40)을 슬랙스의 정면 중앙에 배치한 상태에서 허리밴드걸개부(45)의 뒷쪽에 들어갈 수 있는 한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계합부(44)의 형상도,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에 국한하지 않고, 적절히 설정 가능하며, 반원 형상이나 봉 형상 등이라도 된다.
또한, 여성용의 슬랙스 등, 도 9에서 나타내는 허리밴드걸개부(45)가 정면시에서 우측으로 돌출하게 구성된 슬랙스도 있다. 이러한 슬랙스에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버클(40)이 가지는 계합부(44)의 위치를 좌우 방향의 반대쪽 즉, 버클(40)의 뒷쪽에서 봐서 좌측의 위치에 설정하여도 된다.
이상으로, 제4 실시형태의 버클(40)에 의하면, 피복의 일부는 바지 전면 상단에 있어서, 해당 바지의 띠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 허리밴드걸개부(45)이다. 또한, 버클 본체(2)는, 환상 구조를 가지며, 상하로 대향하는 대략 평행한 두개의 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계합부(44)는, 버클 본체(2)의 일부이며, 두개의 축의 하향 축(2c)에 있어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바지 착용시 상측으로 접혀 구부러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훅 형상부(44a)에 허리밴드걸개부(45)가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소위 탑버튼을 갖지 않는 슬랙스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50)은, 버클 본체(52), 계지부(53), 및 계합부(54)의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해당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서는 같은 지시 번호를 부여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버클(5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버클(50)을 앞쪽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10(b)는 버클(50)을 뒷쪽(바지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50)은, 뒷평판부(52b)와, 뒷평판부(52b)에 구비되어 벨트(1)의 일단이 고정되는 벨트 고정부(52c)로 구성되는 버클 본체(52)와, 계지부(53)와, 뒷평판부(52b)에 구비된 계합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뒷평판부(52b)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평판상 부재이며, 버클(50)의 바지측을 덮도록 구성된다. 뒷평판부(52b)의 일단측에는 벨트 고정부(52c)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벨트 고정부(52c)와의 사이에서 벨트(1)의 일단을 고정한다. 또한, 뒷평판부(52b)의 타단측에는 계지부(53)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계지부(53)와의 사이에서 벨트(1)의 타단을 계지한다. 그리고, 뒷평판부(52b)에는, 계합부(54)로서 개구부가 형성된다. 계합부(54)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11을 사용하여 후술한다.
벨트 고정부(52c)는, 버클 본체(52)의 바지측에서, 버클 본체(52)의 일단에 회전축(52a)을 통해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벨트 고정부(52a)는, 회전축(52a)을 지점(支點)에 열린 상태에서 뒷평판부(52b)와의 사이에 벨트(1)를 삽입한 후, 닫음으로써 벨트(1)를 끼워 넣고, 벨트(1)의 일단을 버클 본체(52)에 고정한다.
계지부(53)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 부재이며, 버클(50)의 안쪽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계지부(53)는, 버클 본체(52)의 타단에 회전축(53a)를 통해 회동(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계지부(53)는, 회전축(53a)를 지점으로 열린 상태로 뒷평판부의 일부와의 사이에 벨트(1)의 타단을 삽입한 후(도면에서 화살표 방향 참조), 닫음으로써 벨트(1)를 끼워 넣고, 벨트(1)의 일단을 버클 본체(52)에 계지한다.
이상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버클(50)의 구성이다. 이하에서, 버클(50)이 갖는 계합부(54)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54)의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버클 본체(2)의 뒷평판부(52b)를 바지측에서 본 이면도이며, 도 11(b)는 뒷평판부(52b)를 벨트 장착시에 상방에서 본 상면도이고, 도 11(c)는 벨트 장착시에 뒷평판부(52b)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에서 나타내는 양방향 화살표는 중력 방향에서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도 11(b), (c)에서 나타내는 흰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은, 바지 착용시에 버클(50)을 사용할 경우의 신체측(바지측)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은, 주로 버클 본체(52)에서의 뒷평판부(52b)와 계합부(54)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벨트 고정부(52c)나, 벨트 장착시에 벨트가 통과하는 구멍 등은 생략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12, 1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임).
도 11(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54)는, 뒷평판부(52b)의 대략 중앙(벨트 장착시에 탑버튼과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54)는, 하측에 볼록한 U자 형상 부분을 포함한 볼록 형상을 나타낸다. 계합부(54)의 크기는, 바지의 일부로 버튼(8)이 도입 가능한 것을 전제로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계합부(54)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폭A는, 상술한 청바지에 구비되어 있는 탑버튼의 크기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1.7cm보다 큰 길이로 설정된다. 또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길이 B는, 해당 탑버튼의 두께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1.5mm보다 큰 길이로 설정된다.
이러한 크기의 개구부(계합부(54))가 뒷평판부(52b)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벨트 장착시에 계합부(54)에 버튼(8)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계합부(54)의 하단(54a)에 버튼(8) 특히 연결부(8a)를 걸어서, 버튼(8)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버클(50)을 구비한 벨트 장착시에, 바지가 벨트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54)는, 도 11(b), (c)에서 나타내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즉, 계합부(54)는, 계합부(54)의 적어도 일부로서 하단(54a)이 바지측에 돌출되는 것에 의해, 계합부(54)의 개구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대각선 상방을 포함한다)을 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계합부(54)가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계합부(54)의 개구면 면적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벨트 장착시에 버튼(8)을 계합부(54)에 도입할 때에 요구되는 버튼(8)을 기울이는 각도를 보다 완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벨트 장착시에 버튼(8)을 계합부(4)에 계합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계합부(54)의 형상은, 도 11에서 나타내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버튼(8)을 하측에서 계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해도 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54) 형상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c)에서는, 버클(50)을 뒷쪽(바지측)에서 본 이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각 도면의 좌측에 나타낸 양방향 화살표는, 바지 착용시에 있어서 중력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 1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부(54)는 도 11(a)에서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직사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이라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하측에 정점을 가지는 삼각형 형상이라도 된다. 즉, 계합부(54)의 하단(54a)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또는 삼각형의 정각 형상 등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계합부(54)는, 뒷평판부(52b)의 적어도 일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계합부(54)는, 도 12(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뒷평판부(52b)의 뒷쪽에서 본 우측 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계합부(54)가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벨트 장착시에 버튼(8)을 계합부(54)에 옆으로부터(좌우 방향으로부터)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버튼(8)을 계합부(54)에 용이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a), (b)에서 나타내는 계합부(54)의 좌우 폭방향의 길이 A와 상하 방향의 길이 B는 도 11(a)를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다만, 도 12(c)에서 나타내는 길이 B는, 버튼(8)의 연결부(8a)(도 3(b))를 도입 가능한 길이 이상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어떤 시판되는 청바지의 연결부(8a)(리지드)의 폭이 8mm인 것을 고려하여, 해당 길이 B를 8mm보다 긴 길이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대상으로 하는 버튼(8)의 연결부(8a)가 재봉실인 경우는, 길이 B를 예를 들어, 3mm이상의 길이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도 12에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계합부(54)의 적어도 하단(54a)을 포함하는 일부는, 도 11(b), (c)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지측으로 돌출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계합부(54)는, 도 13에서 나타내는 형상이라도 된다. 도 13(a)는, 버클(50)을 뒷쪽(바지측)에서 본 이면도를 나타내며, 도 13(b)는, 버클(50)을 좌측에서 본 좌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3(c)는, 버클(50)을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3(d)는, 버클(50)을 뒷쪽 상방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계합부(54)는, 도 13(a), (d)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뒷평판부(52b)를 좌우 방향의 단부까지 감싸도록 구비되어도 된다. 이 경우는, 계합부(54)는, 도 13(b), (c), (d)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뒷평판부(52b)와 계합부(54)로 구성되는 개구면이 상방을 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형상의 계합부(54)라면, 바지 착용시에 계합부(54)가 형성하는 개구부에 버튼(8)을 상방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계합부(54)에 버튼(8)을 보다 용이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54)의 형상은 특히 한정하지 않고, 버튼(8)을 계합 가능한 한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이상으로, 제5 실시형태의 버클(50)에 의하면, 피복의 일부는 바지 전면 상단에 갖추어 있는 버튼이다. 또한, 버클 본체(52)는, 피복측에 구비되는 뒷평판부(52b)와, 뒷평판부(52b)에 구비되어 벨트(1)의 일단을 고정하는 벨트 고정부(52c)를 갖는다. 그리고, 계합부(54)는, 뒷평판부(52b)에 구비된 개구부이며, 개구부의 하단(54a)은 바지측에 돌출한 돌출부(돌출한 하단(54a))를 가지며, 돌출부 보다 상방을 향하는 개구면에 버튼(8)이 계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핀 형상 부재에 관한 계지부를 갖지 않는 버클에 대해서도, 본원 발명에 관한 바지 등 피복의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70)은, 계지부(3)의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 도 18을 참조하여, 특히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20)(도 5 참조)과의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서는 같은 지시 번호를 부여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버클(70)이 구비한 계지부(3)를 신체측(바지측)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계지부(3)는, 계합부(24)의 양 옆, 즉 계합부(24)의 좌우 방향에서 해당 계합부(24)와 근접하는 위치, 혹은, 계합부(24)의 좌우 방향에서 오목 형상부(26)와 연속하는 위치로부터 상방에 돌기되도록 형상된 돌기 형상부(71a, 71b)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튼(8)이 계합부(24)에 계합된 상태에서 버클(70)에 바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버튼(8)의 특히 연결부(8a)가 돌기 형상부(71a, 71b)에 걸려, 버클(7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버클(70)이 바지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계지부(3)는, 돌기 형상부(71a, 71b)를 양쪽 모두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한쪽의 돌기 형상부(71a 또는 71b)를 구비하면 된다. 또한, 돌기 형상부(71a, 71b)는, 상술한 제2 실시형태의 계지부(3) 뿐만 아니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3 실시형태의 계지부(3) 등,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계합부를 구비한 모든 계지부(3)에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의 버클(70)에 의하면, 벨트 계지부(3)는, 계합부(24)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며, 계합부(24)에 접근하는 위치에서 상방에 돌기하는 돌기 형상부(71a, 71b)를 더 가진다. 이로 인해, 버클(70)을 좌우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힘이 가해질 경우라도, 계합부(24)에 계합한 피복의 일부가 돌기 형상부(71a, 71b)에 걸리기 때문에, 버클(70)이 바지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벨트(200)의 용어는, 버클 본체를 포함한 벨트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벨트(1)"에 해당하는 부분, 즉 일단이 버클 본체에 고정된 띠부분은, 이하의 설명에서도 벨트(1), 혹은 벨트(띠부)(1)로 칭한다.
본 실시형태의 벨트(200)는, 보호 부재(201)를 더 구비하여, 보호 부재(201)에 계합부(203)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19(a), (b)는, 벨트(200)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벨트(200)는, 벨트(1) 또는 버클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어, 버클 본체를 벨트 착용시에 신체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된 보호 부재(20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b)는, 버클 본체가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보호 부재(201)가 정면에서 눈으로 확인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호 부재(201)는, 벨트 장착시에 버클 본체와 바지 사이에 개재하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보호 부재(201)는, 벨트 착용시에 버클 본체가 직접적으로 신체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혹은, 벨트 착용시에 버클 본체가 바지 등 피복을 마모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가진다. 보호 부재(201)는, 예를 들면, 운동을 할 때 등, 격렬한 움직임이 있을 것이 예상될 때 착용하는 벨트에 주로 적용된다. 일례로, 벨트(200)는, 야구를 할 때에 장착되는 이른바 야구 벨트에 적용된다.
그리고, 보호 부재(201)에는, 피복의 일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해당 피복의 일부에 계합되는 계합부(203)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203)는, 보호 부재(201)에 형성된 구멍부(개구부)이다.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203)는, 좌우 방향을 길이가 긴 장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계합부(203)의 크기는, 바지 일부로서의 버튼(8)이 도입 가능한 것을 전제로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벨트 장착시에 계합부(203)에 버튼(8)을 뒷쪽(신체측)에서 삽입하는 것에 의해, 계합부(203)의 하단이 버튼(8) 특히 연결부(8a)에 계합하여, 버튼(8)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벨트(200) 장착시에, 바지가 벨트(200)에 대해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벨트를 통과시키는 곳(202)은, 벨트(200) 착용시에 벨트(1)의 버클 본체와는 반대쪽의 단부를 통과시키기 위해 구비된 공간 부분이다. 벨트를 통과시키는 곳(202)은, 필수 구성이 아니고, 적절히 생략해도 된다.
또, 계합부(203)의 형상은, 도 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반드시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도 20(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이라도 되고, 도 20(b)에서 나타내는 것 같이 T자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계합부(203)는, 보호 부재(201)를 관통시키는 구멍부로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계합부(203)는, 바지 착용시에 버튼(8)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예를 들어, 보호 부재(201)의 뒷쪽(신체측)에서, 버튼(8)의 적어도 하단측의 일부가 들어가도록 구비된 오목부라도 된다.
이상으로, 제7 실시형태의 벨트(200)는, 바지의 흘러내림을 제어하는 벨트(200)이며, 벨트(띠부)(1)의 일단이 고정된 버클 본체와, 일단이 벨트(1) 또는 버클 본체에 고정되고, 바지 착용시에 버클 본체를 바지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된 보호 부재(201)와, 보호 부재(201)에 구비되어, 바지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8)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해당 버튼에 계합되는 계합부(203)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이른바 야구벨트 등, 보호 부재(201)를 구비한 벨트 장착시에도 바지가 벨트(200)에 대해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형태의 벨트(200)에 의하면, 계합부(203)는, 보호 부재(201)에 구비된 구멍부로, 해당 구멍부에 버튼(8)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해당 버튼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바지 착용시에 버튼(8)을 확실히 계합할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110)은, 계지부(3)에 구비된 계합부(111)의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 도 21을 참조하여 해당 상이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같은 지시 번호를 부여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버클(110)이 구비하는 계지부(3)를 신체측 (바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110)은, 주로 도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랙스를 착용할 때 사용하는 벨트에 적용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111)는, 계지부(3)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부와 해당 봉 형상부의 하단에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 훅 형상부(111a)를 가진다. 계합부(111)는, 이 훅 형상부(111a)에 슬랙스의 허리밴드걸개부(45)의 하측(45a)(도9 참조)가 계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벨트 장착시에 착용자가 계합부(111)의 선단 부분을 허리밴드걸개부(45)의 바지측 (안감)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슬랙스가 벨트에 대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계지부(3)의 좌우 방향에서 계합부(111)의 위치, 및, 계합부(111)의 봉 형상 부분의 길이, 훅 형상부(111a)의 형상 등은, 디자인성, 및, 슬랙스의 허리밴드걸개부(45)에서의 계합이 쉬운 관점에서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이상으로, 제8 실시형태의 버클(110)에 의하면, 피복의 일부는, 바지 전면 상단에서 해당 바지의 띠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허리밴드걸개부(45)이며, 계합부(111)는, 벨트 계지부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부와, 해당 봉 형상부의 하단에서 바지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바지 착용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 훅 형성부(111a)를 가지고, 해당 훅 형상부(111a)에 허리밴드걸개부(45)가 계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의해서도, 바지 등 피복의 흘러내림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9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120)은, 계지부(3)에 구비된 계합부(121)의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 도 22를 참조하여 해당 상이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서는 같은 지시 번호를 부여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a)~(d)는, 본 실시형태의 버클(120)이 구비하는 계지부(3)를 신체측(바지측)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버클(120)은, 주로 도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 루프(Stay loop, 핀 루프라고도 함)(230)를 구비한 슬랙스를 착용할 때 사용하는 벨트에 적용된다.
도시하는 것처럼,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121)는, 계지부(3)의 일부로서, 계지부(3)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봉 형상부를 포함하고, 해당 봉 형상부가 바지의 일부에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계합부(121)가 계합하는 바지의 일부에 대하여,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바지의 일부는, 슬랙스의 띠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스테이 루프(벨트 스테이 루프, 또는 벨트 핀 루프라고도 칭한다.)(230)이다. 스테이 루프(230)는, 본래 계지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인해 해당 계지부를 구비한 버클이 슬랙스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고리이다.
이러한 스테이 루프(230)를 갖춘 슬랙스를 대상으로 하는 계합부(121)는, 계지부(3)에 구비되어, 슬랙스의 스테이 루프(230)를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합부(121)는, 벨트 장착시에 스테이 루프(230)의 루프내(고리내)에 들어가, 스테이 루프(230)를 계합부(121)의 계지부(3)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벨트 장착시에 착용자가 계합부(121)를 스테이 루프(230)에 삽입하는 것으로, 슬랙스가 벨트에 대해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버클(120)이 슬랙스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계합부(121)의 형상 및, 배치는, 스테이 루프(230)를 걸어서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한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계합부(121)는, 도 22(a),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부(3)의 바지측 측면에서 상방으로 만곡하게 돌출되어도 되며, 도 22(c),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부(3)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똑바로 돌출되어도 된다. 또한, 계합부(121)는, 도 22(a),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봉 형상부의 상단 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T자 형상이여도 되고, 도 22(b), (d)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봉 형상이여도 된다. 즉, 계합부(121)의 형상, 및 배치는, 스테이 루프(230)로 계합하기 쉬운 관점에서,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이상으로, 제9 실시형태의 버클(120)에 의하면, 피복의 일부는 바지 전면 상단에서 해당 바지의 띠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테이 루프(230)이며, 계합부(121)는, 벨트 계지부(3)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부를 가지고, 해당 봉 형상부가 스테이 루프(230)에 삽입됨으로써 해당 봉 형상부에 스테이 루프(230)가 계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이라도, 슬랙스가 벨트에 대해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버클(120)이 슬랙스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부품(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벨트 부품(300)은, 종래의 벨트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벨트용 부품이다. 벨트 부품(300)은, 종래의 벨트에 부착되게 함으로써, 해당 벨트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지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도 24(a), (b)는, 본 실시형태의 벨트 부품(300)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벨트 부품(300)이 벨트(1)에 부착된 상태를 벨트 착용시에 있어서 신체측(바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4(a)와, 도 24(b)에서 각각 나타내는 벨트 부품(300)은, 계합하는 대상이 다르다. 이하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도 24(a)에서 나타내는 벨트 부품(300)은, 주로 보지(保持)부(301)와 계합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4(a)의 벨트 부품(300)은, 주로 도 9, 2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슬랙스를 착용할 때 사용되는 벨트에 적용된다.
보지부(301)는, 환상 형상을 가지고, 그 내경에 벨트(1)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보지부(301)의 내경에 벨트(1)를 통과하여 보지부(301)를 이동시킴으로써, 보지부(301)를 구비하는 벨트 부품(300)을 벨트(1)의 원하는 위치에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환상 형상은, 완전히 연결하는 환상뿐만이 아니라, 일부 잘려 나간 부분이 존재하는 형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해당 잘려 나간 부분에서 벨트(1)의 상하 방향의 어느 단부를 삽입시켜서 벨트(1)를 보지부(301)의 내경측에 들어가게 하여, 벨트 부품(300)을 벨트(1)의 원하는 위치에 보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보지부(301)는, 예를 들어, 도 2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벨트루프(定革)를 벨트(1)에 고정하기 위해 쇠장식에 해당 고정벨트루프와 함께 협지됨으로써 벨트 부품(300)을 벨트(1)에 보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계합부(302)는, 보지부(301)의 하단에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 훅 형상부(302a)에 슬랙스의 허리밴드걸개부(45)의 하측(45a)(도 9 참조)이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벨트 장착시에 착용자가 계합부(302) 선단 부분을 허리밴드걸개부(45)의 바지측(안감)에 삽입하는 것으로, 슬랙스가 벨트에 대해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4(b)에서 나타내는 벨트 부품(300)은, 주로 보지부(301)과 계합부(3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4(b)의 벨트 부품(300)은, 주로 도 9,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랙스를 착용할 때 사용되는 벨트에 적용된다. 보지부(301)에 대해서는, 도 24(a)의 벨트 부품(3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계합부(303)는, 보지부(301)에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 훅 형상부의 상단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303a)에 도 9, 23에서 나타내는 것 같이 슬랙스가 구비되어 있는 버튼(45b)이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버튼(45b)은, 슬랙스(바지)의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이며, 허리밴드걸개부(45)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계합부(303)는, 벨트 장착시에 착용자가 오목 형상부(303a)를 버튼(45b)의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버튼(45b)와 바지 단과의 연결부)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버튼(45b)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지가 벨트에 대해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 부품(300)은, 상술한 보지부(301)에 대신하여, 도 2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보지부(3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도 25(a), (b)는, 본 실시형태의 벨트 부품(300)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에서 나타내는 벨트 부품(300)은, 도24에서 나타내는 벨트 부품과는, 특히 보지부(304)의 상태가 상이하다.
도 25(a), (b)에서 나타내는 벨트 부품(300)이 구비하는 보지부(304)는, 벨트(1)에 형성된 계지공(1a)(도 24 참조)에 삽입 가능한 봉 형상부(304a)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지부(304)는, 봉 형상부(304a)를 지지하는 가부(304b)와, 기부(304b)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봉 형상부(304a)를 갖는다. 그리고, 봉 형상부(304a)를 벨트(1)의 계지공(1a)에 삽입함으로써, 벨트 부품(300)을 벨트(1)에 보지할 수 있다. 또한, 봉 형상부(304a)의 단부를 너트 등이 나사 결합, 또는 캡 등이 감합(嵌合) 가능한 형상으로 하여, 봉 형상부(304a)를 계지공(1a)에 관통시킨 후에, 그 단부를 너트 등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로 인해, 벨트 부품(300)을 벨트(1)에 보다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계합부(302, 303)에 대해서는, 계합부(302, 303)가 기부(304b)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점을 제외하면, 도 25(a)에 관련된 계합부(302)는 도 24(a)의 계합부(302)와, 도 25(b)에 관련된 계합부(303)는 도 24(b)의 계합부(303)와, 각각 동등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이 벨트(1)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벨트 부품(300)의 상세이다. 다만, 상술한 벨트 부품(300)의 형상은 일례이며, 도 24,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 부품(300)은, 상술한 것처럼 바지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기능을 바지에 부가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디자인성, 피복의 일부로의 계합 용이성, 벨트(1)에 대한 탈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벨트 부품(300)은, 반드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필요는 없고, 도 26, 2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벨트를 구성하는 일 부재로서 상시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도 26은, 벨트 부품(300)을 구비한 벨트(4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 (a)는 벨트(400)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26(b)는 벨트(400)를 상방에서 본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26(c)는 벨트(400)를 바지측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벨트(400)는, 주로 도 9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슬랙스를 착용할 때 사용되는 벨트에 적용된다.
특히, 도 2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부품(300)은, 긴 장방향이 벨트(1)의 단방향(상하 방향)에 일치하는 평판 형상부(305)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평판 형상부(305)(고정부)는, 고정벨트루프(定革)를 벨트(1)에 고정하기 위한 쇠장식과 버클 본체와의 사이에서, 벨트(띠부)(1)가 전후 방향으로 이중으로 겹쳐진 부분에서 해당 벨트(1)에 협지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평판 형상부(305)의 상측 단부는, 바지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열쇠 형상부를 형성하여, 해당 열쇠 형상부가 벨트(1)의 상단에 걸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26(c)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벨트(400)는, 벨트 부품(300)의 하단에서 바지측에 돌출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훅 형상부(302a)가 구비되어, 해당 훅 형상부(302a)에 슬랙스의 허리밴드걸개부(45)의 하측(45a)(도 9 참조)이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착용자가 벨트 장착시에 계합부(302)의 선단 부분을 허리밴드걸개부(45)의 바지측 (안감)에 삽입함으로써, 슬랙스가 벨트에 대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 부품(300)이 벨트(400)에 고정된 양태, 즉 고정부(305)의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벨트 부품(300)은, 고정벨트루프를 벨트(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쇠장식에 해당 고정벨트루프와 함께 협지됨으로써 벨트(400)에 고정되게 구성되어도 된다.
도 27은, 벨트 부품(300)을 구비하는 벨트(400)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고정벨트루프를 벨트(1)에 고정하기 위하여 쇠장식이 벨트 부품(300)으로서 구성된다. 즉, 본 변형예에서 벨트 부품(300)은, 고정벨트루프와 함께 벨트(1)를 협지하여 해당 벨트(1)에 고정되는 고정부(305)와, 고정부(305)의 하단에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훅 형상부(302a)를 구비하고, 해당 훅 형상부(302a)에 슬랙스의 허리밴드걸개부(45)의 하측(45a)(도 9 참조)이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착용자가 벨트 장착시에 계합부(302)의 선단 부분을 허리밴드걸개부(45)의 바지측(안감)에 삽입함으로써, 슬랙스가 벨트에 대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10 실시형태의 벨트 부품(300)은, 바지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1)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벨트 부품이며, 바지 전면 상단에서 해당 바지의 띠부에서 돌출하여 구비된 허리밴드걸개부(45), 또는, 바지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45b)에 계합하는 계합부(302, 303)와 벨트에 탈착 가능하게 보지된 보지부(301, 304)를 구비하여, 계합부(302, 303)는 바지 착용시에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 훅 형상부(302a, 303a)를 가지며, 훅 형상부(302a, 303a)는, 그 일부가 허리밴드걸개부(45), 또는 버튼(45b)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벨트 부품(300)을 종래의 벨트에 부착함으로써, 해당 벨트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지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제10 실시형태의 벨트 부품(300)에 의하면, 보지부(304)는, 벨트(1)에 형성된 계지공(1a)에 삽입 가능한 봉 형상부를 갖는다. 이로 인해, 벨트에 구비된 계지공(1a)을 이용하여, 벨트 부품(300)을 종래의 벨트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10 실시형태의 벨트(400)는, 바지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400)이며, 벨트에 고정되어, 바지 전면 상단에서 해당 바지의 띠부에서 돌출하게 구비된 허리밴드걸개부(45)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며, 계합부(302)는, 벨트에 고정된 고정부(305)와, 바지 착용시에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 훅 형상부(302a)를 가지며, 훅 형상부(302a)는, 바지 착용시에 허리밴드걸개부(45)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바지 등 피복의 흘러내림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와 제2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하측과 바지측 쌍방으로 돌출하는 계합부를 구비한 버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 도 7(d)을 이용하여 설명한 오목 형상부(34b)의 경사를 제1 실시형태의 오목 형상부(6)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 버클(40)이 구비하는 훅 형상부(44a)는, 버클(40) 이외의 다른 버클(버클(50, 60, 100)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계합부(4, 24, 34, 54, 111, 121, 203, 302, 303, 501)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한 위치는, 도시하는 위치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계합부(4, 24, 34, 54, 111, 121, 203, 302, 303, 501)의 위치는, 벨트 착용시에서 버클(10, 20, 30, 50 등)을 전면 중앙(배꼽 바로 아래 부근)에 배치할 경우에 바지의 탑버튼을 양호하게 계합할 수 있는 위치에 적절히 조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계합부가 적용된 버클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의 계지공(1a)에 집어넣는 핀 형상 부재, 혹은 버클의 신체측을 감싸도록 구성된 평판상 부재 등을 구비하는 한, 다른 형상의 버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뒷평판부(52b)는, 도 14에서 나타내는 버클(30)의 뒷평판부(62b)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버클(60)의 버클 본체(62)는, 뒷평판부(62b)에 더해, 버클(60)의 뒷쪽을 감싸도록 구성된 앞평판부(62a)를 구비하여, 뒷평판부(62b)와 앞평판부(62a) 사이에 벨트 통과부(62c)를 형성한다. 또한, 버클(60)의 계지부(63)는, 버클 본체 내에서 상하 방향(도면의 양방향 화살표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버클(60)의 상하 방향 단면에 구비된 개구부(65)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봉상 부재이다. 그리고, 계지부(63)는, 벨트 통과부(62c)에 도면 중의 점선 화살표 방향에 따라 도입되는 벨트(1)의 타단을, 버클 본체(62)의 내벽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벨트(1)를 버클 본체(62)에 계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도 4(c)를 사용하여 설명한 공간(7)은, 도 15(a)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5(a)에서 나타내는 버클(70)은, 종래의 봉상 핀 형상 부재에 대해, 버클 본체(2)의 상측의 축(2b)이 앞쪽에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공간(7)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해당 공간(7)에 대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버튼(8)을 도입함으로써, 버튼(8)을 종래의 봉상 핀 형상 부재에 계합시켜서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계합부는, 도 15(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5(b)에서 나타내는 버클(80)이 구비한 계합부(84)는, 봉상의 핀 형상 부재에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84a)를 가지며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버클(80)에 의하면, 벨트 장착시 버튼(8)을 개구부(84a) 내에 상방으로부터 도입하게 하여 계합한 버튼(8)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계합부는, 예를 들어, 도 15(c), (d)에서 나타내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5(c), (d)에서 나타내는 버클(90)이 구비하는 계합부(94)는, 봉상의 핀 형상 부재에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방에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그 상방의 단면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94a)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버클(90)에 의해서도, 벨트 장착시에 버튼(8)의 특히 연결부(8a)를 오목 형상부(94a)에 계합하게 함으로써 버튼(8)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원 발명은, 도 16에서 나타내는 형상의 버클(1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버클(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버클(100)을 정면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16(b)는 버클(100)을 벨트 착용시에 상측에서 본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16(c)는 버클(100)을 사용하여 바지 착용시에 벨트(1)를 조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a)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100)을 구성하는 버클 본체(2)는, 그 좌우 방향의 약 중앙 부분에서 축(2a)과 대략 평행하게 구비된 축(2d)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버클(100)에서는, 축(2d)에 벨트(1)의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계지부(3)의 일단이 형성된 링형상 기부(3a)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6(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100)이 구비하는 계지부(3)는, 기부(3a)에서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면시에서 직사각형의 환 형상에 형성된 계합부(104)를 갖고 있다. 계합부(104)는,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100)의 좌우 방향의 약 중앙 부분에 있어서, 바지측에 볼록한 형상이 됨과 동시에, 그 내경의 바지측에 오목 형상부(104a)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버클(100)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오목 형상부(104a)와, 축(2b) 사이에 공간(7)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계합부(104)에 의해서도, 바지 착용시에 벨트를 조일 시에, 공간(7)에 도입된 버튼을 걸어, 해당 버튼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예에서 계합부(104)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타원 형상이나 원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도시하는 공간(7)은, 오목 형상부(104a)와, 축(2b) 사이에 형성되어 있지만, 계합부(104)의 내경측 공간을 공간(7)으로 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계합부(104)의 내경의 전면측(바지측의 반대쪽) 부분이 축(2b)의 바지측 보다도 더욱 바지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버클(100)이 이렇게 구성될 경우에도, 바지 착용시 벨트를 조일 시에, 계합부(104)의 내경측의 공간에 버튼을 도입함으로써, 해당 버튼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바지 착용시에 버클(100)을 사용하여 벨트(1)를 조일 경우에는, 도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시에서 버클 본체(2)의 축(2a)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본원 발명은, 도 27에서 나타내는 형상의 버클(5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7은, 본원 발명이 적용된 버클(500)을 바지측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특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벨트 계지부는 생략되어 있다. 도 27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500)은, 축(2a)과와 대략 평행이고, 버클 본체(2)의 상측의 축(2b)과 하측의 축(2c)을 연결하는 두개의 축(2d, 2e)을 구비한다. 그리고, 버클(500)은, 축(2d, 2e)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계합부(501)를 더 구비한다. 계합부(501)는, 버클(500)의 상면시(미도시)에 있어서 적어도 축(2c) 보다도 바지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계합부(501)에 의해서도, 바지 착용시에 벨트를 조을 때에, 계합부(501)에 형성된 오목 형상부(501a)가 버튼을 걸어서, 해당 버튼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바지 등 피복에는, 스커트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버클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등)은, 벨트의 일반적인 사용 양태를 전제로 한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은, 피복용 벨트를 착용자로부터 본 바지의 전면 좌측으로부터 감아(착용자로부터 본 전면 좌측의 벨트 루프에 먼저 통과시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대의 사용 양태(벨트를 바지 전면 우측에서 감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할 경우에는, 동일하게 기술적 효과가 발휘되도록,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을 거꾸로 하는 등 적절히 수정해도 된다.
아울러, 반대의 사용 양태(벨트를 바지 전면 우측에서 감아 사용할 경우)의 시에는, 상술한 계합부 및 훅 형상부를, 예를 들어 원피스 등의 피복 착용시에 해당 피복의 일부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 방법에 의하면, 계합부가 피복의 일부에 거는 것에 의해, 피복 착용시에 버클의 위치를 피복에 맞추어서 보다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해당 버클이 피복에 대하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은, 2018년8월7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2018-148769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피복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버클 본체와,
    상기 버클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를 상기 버클 본체에 계지하는 벨트 계지부와,
    상기 버클 본체 또는 상기 벨트 계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복의 일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해당 피복의 일부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버클.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일부는, 바지의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이고,
    상기 벨트 계지부는, 상기 벨트의 계지공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상기 벨트를 계지하는 핀 형상 부재이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벨트 계지부의 일부로, 바지 착용시에 해당 바지측에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하게 하는 것에 의해 해당 바지측과는 반대쪽에 형성된 제1 오목 형상부에 상기 버튼이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3. 청구항2에 있어서,
    바지 착용시의 상면시에서, 상기 버클 본체와 상기 제1 오목 형상부 사이에 소정 폭의 공간을 갖는,
    버클.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일부는, 바지의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이고,
    상기 벨트 계지부는, 상기 벨트의 계지공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상기 벨트를 계지하는 핀 형상 부재이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벨트 계지부의 일부로, 바지 착용시에 하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게 만곡하게 하는 것에 의해 상측에 형성된 제2 오목 형상부에 상기 버튼이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일부는, 상기 바지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이고,
    상기 벨트 계지부는, 상기 벨트의 계지공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상기 벨트를 계지하는 핀 형상 부재이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벨트 계지부의 일부로,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형성된 제3 오목 형상부에 상기 버튼이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일부는, 바지의 전면 상단에서, 해당 바지의 띠부로부터 돌출하게 구비된 허리밴드걸개부이고,
    상기 버클 본체는, 환상 구조를 가지며, 상하에 대향하는 대략 평행한 두개의 축을 포함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버클 본체의 일부로, 상기 두개의 축의 하방 축에서 상기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바지 착용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훅 형상부에 상기 허리밴드걸개부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일부는, 바지의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이고,
    상기 버클 본체는, 상기 피복측에 구비된 뒷평판부와 상기 뒷평판부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의 일단을 고정하는 벨트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뒷평판부에 구비된 개구부이며,
    상기 개구부의 하단은, 상기 바지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고, 해당 돌출부에 의해 상방을 향한 개구면에 상기 버튼이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8.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벨트 계지부는, 상기 계합부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며, 해당 계합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기하는 돌기 형상부를 더 갖는,
    버클.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일부는, 바지의 전면 상단에서 해당 바지의 띠부로부터 돌출하여 구비된 허리밴드걸개부이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벨트 계지부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봉 형상부와, 해당 봉 형상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바지 착용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 훅 형상부를 가지며, 해당 훅 형상부에 상기 허리밴드걸개부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일부는, 바지의 전면 상단에서 해당 바지의 띠부에 구비된 스테이 루프이며,
    상기 계합부는, 상기 벨트 계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봉 형상부를 갖고, 해당 봉 형상부가 상기 스테이 루프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해당 봉 형상부에 해당 스테이 루프가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11. 바지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일단이 고정된 버클 본체와,
    일단이 상기 벨트 또는 상기 버클 본체에 고정되어, 바지 착용시에 상기 버클 본체를 바지측으로부터 감싸도록 구비된 보호 부재와,
    상기 보호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바지의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해당 버튼을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벨트.
  12.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보호 부재에 구비된 구멍부이며, 해당 구멍부에 상기 버튼이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해당 버튼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벨트.
  13. 바지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바지의 전면 상단에 해당 바지의 띠부로부터 돌출하여 구비된 허리밴드걸개부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벨트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바지 착용시에 상기 바지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 훅 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훅 형상부는, 바지 착용시에 상기 허리밴드걸개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벨트.
  14. 바지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벨트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벨트 부품에 있어서,
    상기 바지의 전면 상단에 있어서 해당 바지의 띠부에서 돌출하여 구비된 허리밴드걸개부, 또는, 상기 바지의 전면 상단에 구비된 버튼에 계합하는 계합부와,
    상기 벨트에 탈착 가능하게 보지된 보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합부는, 바지 착용시에 상기 바지측에 돌출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구부러지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 훅 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훅 형상부는, 그 일부가 상기 허리밴드걸개부, 또는 상기 버튼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벨트 부품.
  15. 청구항14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벨트에 형성된 계지공에 삽입 가능한 봉 형상부를 구비하는,
    벨트 부품.
KR1020207036302A 2018-08-07 2019-08-07 버클, 벨트 및 벨트 부품 KR20210009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8769 2018-08-07
JP2018148769 2018-08-07
PCT/JP2019/031272 WO2020032147A1 (ja) 2018-08-07 2019-08-07 バックル、ベルト、およびベルトパー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371A true KR20210009371A (ko) 2021-01-26

Family

ID=6941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302A KR20210009371A (ko) 2018-08-07 2019-08-07 버클, 벨트 및 벨트 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59368A1 (ko)
EP (1) EP3838052A4 (ko)
JP (1) JP7053068B2 (ko)
KR (1) KR20210009371A (ko)
CN (1) CN112399808A (ko)
WO (1) WO2020032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1053A1 (de) * 2020-02-19 2021-08-19 Span Set Gesellschaft für Transportsysteme und technische Bänder mit beschränkter Haftung & Co. Kommanditgesellschaft Verschluss und Trennvorrichtung
FR3131508A1 (fr) * 2022-01-04 2023-07-07 Thibault RAFFARIN Boucle-maintie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677A (en) * 1907-04-09 Benjamin A Grote Combined trousers-clasp and belt-holder.
US750484A (en) * 1904-01-26 Howakd paekes
US1008441A (en) * 1909-11-30 1911-11-14 Frank L Grout Fastening device for trousers.
GB191017811A (en) * 1910-07-27 1911-05-18 Patrick Alphonsus Marti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Buckles of Belts for Personal Wear.
GB344283A (en) * 1930-05-02 1931-03-05 Holger Moller Belt suspenders
US1775929A (en) * 1930-06-27 1930-09-16 Bjornwald Holger Belt retainer
US2362732A (en) * 1942-10-10 1944-11-14 Tarbox Frances Body belt
US2554964A (en) * 1948-06-25 1951-05-29 Charles M Stephan Belt positioner
GB661159A (en) * 1949-12-02 1951-11-14 Antonie Auferman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ngued buckles
US2649636A (en) * 1950-05-24 1953-08-25 North & Judd Mfg Co Ornamental belt buckle
FR1020736A (fr) * 1950-06-23 1953-02-10 Procédé de montage d'une boucle de ceinture ou de courroie, ceintures et courroiesainsi obtenues
JPS321144Y1 (ko) * 1955-06-01 1955-06-01
DE2202822A1 (de) * 1971-11-10 1973-07-26 Johannes Ihmels Guertelhose mit stufenlos verstellbarer bundweite
JPS49120416U (ko) * 1973-02-09 1974-10-16
JPH0396315U (ko) * 1990-01-23 1991-10-02
JPH07108U (ja) * 1993-02-13 1995-01-06 幸生 森上 ベルトバックル
JPH0670611U (ja) * 1993-03-25 1994-10-04 昌雄 花井 ズボンが下がらないバックル
DE29711648U1 (de) * 1997-07-03 1997-10-09 Drechsle, Stefanie, 79539 Lörrach Schließe mit Knopfdorn
JPH11200114A (ja) * 1997-12-30 1999-07-27 Kiyoushin Ookawa ズボン及びズボンとバンドの連結構造
JP2006183177A (ja) 2004-12-27 2006-07-13 Ota Kosan:Kk ズボンのずり落ち防止具
KR200406699Y1 (ko) * 2005-11-03 2006-01-24 최범순 허리벨트 버클의 고정 장치
CN200987370Y (zh) * 2006-12-31 2007-12-12 顾洪钧 用于参子式腰带的防脱落裤扣
CN201491761U (zh) * 2009-09-07 2010-06-02 吴宗龙 一种腰带
CN201541854U (zh) * 2009-10-22 2010-08-11 杨晓慧 防止裤子下滑的腰带扣
CN204292348U (zh) * 2014-12-09 2015-04-29 昆山喜来豹皮具有限公司 防滑动腰带扣
JP6543292B2 (ja) 2017-03-09 2019-07-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147A1 (ja) 2020-02-13
EP3838052A4 (en) 2021-11-03
JPWO2020032147A1 (ko) 2020-02-13
EP3838052A1 (en) 2021-06-23
JP7053068B2 (ja) 2022-04-12
CN112399808A (zh) 2021-02-23
US20210259368A1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679B2 (en) Breast supporter
EP2888965B1 (en) Kimono
US20010052145A1 (en) Wrap belt
US6715155B2 (en) Pair of pants equipped with a tightening strap
US20200323298A1 (en) Suspender and Suspender Fasteners
KR20210009371A (ko) 버클, 벨트 및 벨트 부품
US20050251891A1 (en) Adjustable shirt collar
US7086126B2 (en) Elastic band with snap-buckles for holding garment waistband
JP2006305290A (ja) 姿勢矯正具及びこれに使用するフック及びバックサポート
JP5596839B1 (ja) 胸当てカバー
JP3115444U (ja) 体形補整衣類
JP3200705U (ja) 浴衣
JP2020020049A (ja) 下半身用衣類
JP4726739B2 (ja) 重ね着用巻きスカート
JP2018123440A (ja) 女性用下着
WO2024142423A1 (ja) ベルト付コート
JP3183022U (ja) アジャスタ
JP3097072U6 (ja) 下衣着用保持具
JP3205445U (ja) 胸元カバー装着布
JP3094862U (ja) 上 衣
JP3097072U (ja) 下衣着用保持具
US20090113604A1 (en) Attachment clip or support for a garment
JP3183021U (ja) アジャスタ
JP2013525040A (ja) 衣服、衣服用付属品、衣服用ベルト、および、それらの組み合わせ
JP3120589U (ja) 装身具の係止構造、これを用いたゆかた帯及び腹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