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315A - 감광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광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315A
KR20210008315A KR1020200085145A KR20200085145A KR20210008315A KR 20210008315 A KR20210008315 A KR 20210008315A KR 1020200085145 A KR1020200085145 A KR 1020200085145A KR 20200085145 A KR20200085145 A KR 20200085145A KR 20210008315 A KR20210008315 A KR 2021000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acid
group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미정
이덕희
정은미
이원중
김선형
시윤기
오천림
이득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ublication of KR2021000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8Spacer materials; Spacer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6Solid anodes; Solid auxiliary anodes for maintaining a discharge
    • H01J1/44Rotary anodes; Arrangements for rotating anodes; Cooling rotary an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잔막율이 높아 컬럼 스페이서, 블랙 매트릭스, 또는 착색(예컨대, 블랙) 컬럼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데에 적합하기 때문에, OLED 디스플레이 및 TFT-LCD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 부품에 사용될 수 있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광성 수지 조성물{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잔막율이 높아 컬럼 스페이서, 블랙 매트릭스, 또는 착색(예컨대, 블랙) 컬럼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데에 적합하기 때문에, OLED 디스플레이 및 TFT-LCD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 부품에 사용될 수 있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은 크게 TV용 디스플레이, 노트북 및 컴퓨터 모니터용의 중소형 디스플레이와, 10인치 이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시장으로 크게 나누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시장은 해마다 고해상도의 제품을 요구함에 따라 TFT-LCD의 집적도가 향상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LCD의 가격 하락으로 인해 생산 원가를 낮추어야 할 필요도 있다.
액정 표시 소자에 들어가는 블랙 매트릭스, 컬럼 스페이서 등은 상판과 하판의 갭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감광성 조성물이 향상된 잔막율, 감광 속도, 현상 콘트라스트, 해상도, 고분자 수지의 용해성, 기판과의 접착력 및 회로 선폭 균일도(CD uniformity)를 가져야 한다.
컬럼 스페이서 패턴의 예시적인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러한 컬럼 스페이서 패턴에서, 동일한 Bottom CD(critical dimension) size에서 잔막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제조 공정 시 레지스트 재료의 소비를 줄여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종래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들은 특정 구조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미세 패턴을 구현하거나 라디칼 스캐빈저와 같은 다른 첨가물을 통해 미세 패턴을 구현하였다(예: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35652호). 그러나, 종래의 광중합 개시제들로부터 노광에 의해 발생된 라디칼 작용기는 미세패턴을 만들기 위해서 개시제 함량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이는 잔막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미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잔막율을 높일 수 있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a)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b) 임의로 광중합성 화합물; (c)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 및 (d) 유기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a)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와 (b) 임의로 광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c) 광중합 개시제 0.7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원자수 1-20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개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1-20 개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7-40 개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1-20 개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원자수 2-40 개의 히드록시알콕시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3-20 개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원자수 6-20개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조절을 위한 연쇄이동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미세 패턴화 경화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미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잔막율을 높일 수 있어, 컬럼 스페이서, 블랙 매트릭스, 또는 착색(예컨대, 블랙) 컬럼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데에 적합하기 때문에, OLED 디스플레이 및 TFT-LCD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 부품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컬럼 스페이서 패턴의 예시적인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광개시제의 종류에 따른 잔막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광개시제 C와 비교예 7에서 사용된 광개시제 OXE-01의 흡수광 파장에 따른 흡광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로는 아크릴 중합체 또는 측쇄에 아크릴 불포화 결합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체(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를 의미하고, 이러한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이타코닉산, 말레익산, 말레익산 무수물, 말레익산모노알킬 에스테르, 모노알킬 이타코네이트, 모노알킬 퓨말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3-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틸옥세탄-3-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세톡시스티렌,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또는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쇄에 아크릴 불포화 결합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로는 카르복실산을 함유한 아크릴 중합체에 에폭시 수지를 부가 반응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메타)아크릴산, 이타코닉산, 말레익산 또는 말레익산모노알킬 에스테르 등의 카르복실산을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세톡시스티렌,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또는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모노머 2종 이상을 공중합하여 얻은 카르복실산을 함유한 아크릴 공중합체에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3-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 화합물을, 예컨대 4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부가 반응하여 얻어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측쇄에 아크릴 불포화 결합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의 또 다른 예로는 에폭시기를 함유한 아크릴 공중합체에 카르복실산-함유 화합물을 부가 반응한 공중합체를들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3-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를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세톡시스티렌,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또는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모노머 2종 이상을 공중합하여 얻은 에폭시기를 함유한 아크릴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산 이타코닉산, 말레익산 또는 말레익산모노알킬 에스테르 등의 카르복실산을 함유한 아크릴 모노머를, 예컨대 4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부가 반응하여 얻어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이상, 2,000 이상, 3,000 이상 또는 4,000 이상일 수 있고, 또한 300,000 이하, 200,000 이하, 100,000 이하, 50,000 이하 또는 40,00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의 분산도는 1.0 이상, 1.2 이상 또는 1.5 이상일 수 있고, 또한 10.0 이하, 5.0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이외에도, 아크릴레이트 기를 함유한 바인더 수지, 또는 노볼락 또는 비스페놀 타입의 알칼리 가용성 중합체의 추가 사용이 가능하다. 판매되고 있는 제품 중에서 추가 사용 가능한 바인더 수지로는 Nippon Kayaku사의 PCR-122H, PCR-1173H, PCR-1221H, PCR-1220H, CCR-1171H, CCR-1307H, CCR-1309H, ZAR-1494H, ZAR-2001H, ZFR-1491H, ZFR-1554H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는 각 중합 단위의 배열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상, 9 중량부 이상 또는 1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9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또는 30 중량부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b) 임의 성분으로서 광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 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기의 수가 2 내지 20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와 디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의 부가반응 생성물, 에틸이소시아눌릭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β-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디에스테르, β-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반응 생성물,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과 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의 부가반응 생성물, 노볼락에폭시수지와 (메트)아크릴산의 부가반응 생성물에 프탈산무수물을 반응하여 생성된 노볼락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로 사용 가능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로는 모노알릴디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디알릴모노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노알릴디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모노알릴디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1-알릴-3,5-비스(2-메틸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1-(2-메틸프로페닐)-3,5-디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1-(2-메틸프로페닐)-3,5-비스(2-메틸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디알릴모노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디알릴모노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1,3-디알릴-5-(2-메틸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1,3-비스(2-메틸프로페닐)-5-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1,3-비스(2-메틸프로페닐)-5-(2-메틸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2-메틸프로페닐)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그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상 또는 1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70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하 또는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c)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원자수 1-20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개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1-20 개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7-40 개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1-20 개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원자수 2-40 개의 히드록시알콕시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3-20 개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원자수 6-20개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원자수 1-16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원자수 6-14개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1-16 개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7-30 개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1-16 개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원자수 2-32 개의 히드록시알콕시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3-16 개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원자수 6-14개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원자수 1-10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원자수 6-10개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1-10 개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7-20 개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1-10 개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원자수 2-20 개의 히드록시알콕시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 개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원자수 6-10개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원자수 1-6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원자수 6-10개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1-6 개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7-16 개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1-6 개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원자수 2-12 개의 히드록시알콕시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3-6 개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원자수 6-10개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히드록시알콕시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탄소원자수 1-6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3-6 개의 사이클로알킬기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이고; R2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이며; R3은 페닐기이고; R4 내지 R10은 수소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는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잔막율 특성을 부여하며, 특히, R3 위치에 알킬기(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등)를 가지는 기존의 광중합 개시제에 비하여, 같은 미세 패턴 사이즈에서 월등히 우수한 잔막율 특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a)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와 (b) 임의 성분인 광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c) 화학식 1의 광중합 개시제가 0.7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학식 1의 광중합 개시제의 양이, (a)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와 (b) 임의 성분인 광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7 중량부 미만이면 낮은 감도로 인하여 잔막율이 나빠지고 패턴 형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광중합 개시제의 용해도 감소로 인하여 박막 표면에 이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학식 1의 광중합 개시제의 양은, (a)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와 (b) 광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8 중량부 이상, 0.9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상, 1.1 중량부 이상, 1.2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상, 1.6 중량부 이상 또는 1.8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19.5 중량부 이하, 19 중량부 이하, 18.5 중량부 이하, 18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또는 8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광중합 개시제 이외에, 필요에 따라 추가의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가로 사용 가능한 광중합 개시제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리아진계, 벤조인계, 아세토페논계, 이미다졸계, 크산톤계 또는 옥심에스테르계 등의 광개시제 화합물들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 페닐비페닐케톤, 1-히드록시-1-벤조일시클로헥산, 벤질디메틸케탈, 1-벤질-1-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벤조일)프로판, 2-모폴릴-2-(4-메틸머캅토) 벤조일프로판, 티옥산톤(thioxanthone), 1-클로로-4-프로필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디에틸티옥산톤, 에틸안트라퀴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벤조인부틸에테르, 2-히드록시-2-벤조일프로판, 2-히드록시-2-(4-이소프로필)벤조일프로판, 4-부틸벤조일트리클로로메탄, 4-페녹시벤조일디클로로메탄, 벤조일포름산메틸, 1,7-비스(9-아크리디닐)헵탄, 9-n-부틸-3,6-비스(2-모폴리노-이소부틸로일)카바졸, 2-메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2'-비스(2,4-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머캅토벤조티아졸, 시바 스페셜 케미칼사의 Irgacure 369, Irgacure 379 Irgacur 651, Irgacure 907, Darocur TPO, Irgacure 819, OXE-01, OXE-02, 아데카사의 N-1919, NCI-831, 삼양사의 SPI-02, SPI-03, SPI-04, SPI-05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이러한 추가의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d)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디클로로에틸 에테르, n-부틸 에테르, 디이소아밀 에테르,메틸페닐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메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디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 아세테이트류; 메틸에틸 카르비톨, 디에틸 카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등의 카르비톨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아세테이트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사논, 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n-부틸케톤, 메틸-n-아밀케톤, 2-헵타논 등의 케톤류; 초산 에틸, 초산-n-부틸, 초산 이소부틸 등의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류; 젖산 메틸, 젖산 에틸 등의 젖산 에스테르류; 옥시 초산 메틸, 옥시 초산 에틸, 옥시 초산 부틸 등의 옥시 초산 알킬 에스테르류; 메톡시 초산 메틸, 메톡시 초산 에틸, 메톡시 초산 부틸, 에톡시 초산 메틸, 에톡시 초산 에틸 등의 알콕시 초산 알킬 에스테르류; 3-옥시 프로피온산 메틸, 3-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3-옥시 프로피온산 알킬에스테르류; 3-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3-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3-에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3-에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3-알콕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류; 2-옥시 프로피온산 메틸, 2-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2-옥시 프로피온산 프로필 등의 2-옥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류; 2-메톡시 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2-에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2-에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2-알콕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류; 2-옥시-2-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2-옥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2-옥시-2-메틸프로피온산 에스테르류, 2-메톡시-2-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2-에톡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2-알콕시-2-메틸 프로피온산 알킬류의 모노옥시 모노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류; 2-히드록시 프로피온산 에틸,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히드록시 초산 에틸, 2-히드록시-3-메틸 부탄산 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피루빈산 에틸 등의 케톤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닐리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벤질에틸에테르, 디헥실에테르, 아세틸아세톤, 이소포론, 카프론산, 카프릴산, 1-옥탄올, 1-노난올, 벤질알코올, 초산 벤질, 안식향산 에틸, 옥살산 디에틸, 말레인산 디에틸, γ-부티로락톤, 탄산 에틸렌, 탄산 프로필렌, 페닐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한 것들 중에서 선택된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상 또는 5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0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또는 70 중량부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일 구체예에서, 고형분 농도는 10내지 50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조절을 위한 연쇄이동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분자량 조절을 위한 연쇄이동제로는 황원자 함유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황원자 함유 연쇄이동제는, 예를 들면, 티오글리콜산, 티오말산, 티오살리칠산, 2-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낙산, N-(2-메르캅토프로피오닐)글리신, 2-메르캅토니코틴산, 3-[N-(2-메르캅토에틸)카르바모일]프로피온산, 3-[N-(2-메르캅토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 N-(3-메르캅토프로피오닐)알라닌, 2-메르캅토에탄술폰산, 3-메르캅토프로판술폰산, 4-메르캅토부탄술폰산, 도데실(4-메틸티오)페닐에테르,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1-메르캅토-2-프로판올, 3-메르캅토-2-부탄올, 메르캅토페놀, 2-메르캅토에틸아민, 2-메르캅토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 2-메르캅토-3-피리디놀,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메르캅토아세트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닉아세트산, 도데칸티올, 2,4-디페닐-4-메틸-1-펜텐, 옥탄티올, 2-머캅토에탄올 등의 티올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상기 연쇄이동제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5중량부,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전제, 그 밖의 고분자 화합물, 열라디칼 발생제, 자외선흡수제, 밀착촉진제, 중합 조절제, pH 조절제, 스케일 방지제, 전해질 등,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추가의 첨가제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의 종류 및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 예컨대, 착색제, 보조경화제, 접착 보조제,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유기 안료, 염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안료는 적색안료, 녹색안료, 청색 안료 및 황색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흑색 착색제로서 흑색 무기 착색제, 흑색 유기 착색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적색 안료는 컬러 인덱스(Color Index) 내에서 C.I. 적색 안료 179, C.I. 적색 안료 254, C.I. 적색 안료255, C.I. 적색 안료 264, C.I. 적색 안료 270, C.I. 적색 안료 272, C.I. 적색 안료 177, C.I. 적색 안료 89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녹색 안료는 컬러 인덱스(Color Index) 내에서 C.I. 녹색 안료 59, C.I. 녹색 안료 58, C.I. 녹색 안료36, C.I. 녹색 안료 7 등과 같은 할로겐이 치환된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청색 안료는 컬러 인덱스(Color Index) 내에서 C.I. 청색 안료 15:6, C.I. 청색 안료 15:0, C.I. 청색 안료 15:1, C.I. 청색 안료 15:2, C.I. 청색 안료 15:3, C.I. 청색 안료 15:4, C.I. 청색 안료 15:5, C.I 청색안료 15:6, C.I. 청색 안료 16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색 안료는 컬러 인덱스(Color Index) 내에서 C.I. 황색 안료 139 등과 같은 이소인돌린계 안료, C.I. 황색 안료 138 등과 같은 퀴노프탈론계 안료, C.I. 황색 안료 150 등과 같은 니켈 컴플렉스 안료, C.I. 황색 안료10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것은 아니다.
상기 흑색 무기 착색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카본블랙, 티타늄 블랙, Cu-Fe-Mn-계 산화물 및 합성 철 블랙과 같은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흑색유기 착색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닐린 블랙, 락탐 블랙, 페릴렌 블랙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락탐 블랙(예: 바스프사의 Black 58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색제로 안료를 사용할 경우, 안료를 분산시키기 위해서 분산제, 공중합체 수지, 용매 등과 혼합된 착색 분산액(mill base)의 형태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상기 착색제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부의 양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중량부,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보조경화제는 광개시제의 라디칼 생성 및 박막의 경화도를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그 예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및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2-머캡토벤조이미다졸, 2-머캡토벤조티아졸, 2-머캡토벤조옥사졸,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 2-머캡토-4,6-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상기 보조경화제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8 중량부,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4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접착 보조제는 기판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기판과의 밀착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비닐기, 카르복실기, 메타크릴옥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등의 반응성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 보조제의 예로는, 트리메톡시실릴 벤조산,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 시아네이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상기 접착 보조제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8 중량부,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4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코팅성이나 현상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불소계 계면활성제 또는 실리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시판품으로는, BM-1000, BM-1100(BM Chemie社), 프로라이드 FC-135/FC-170C/FC-430(스미토모 쓰리엠㈜), SH-28PA/-190/SZ-6032(도레 시리콘㈜) 등이 있다. 실리콘 계면활성제의 시판품으로는 BYK사의 BYK-310, BYK-313, BYK-320, BYK-333 등이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상기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0.02 내지 4 중량부,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미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잔막율을 높일 수 있어, 컬럼 스페이서, 블랙 매트릭스, 또는 착색(예컨대, 블랙) 컬럼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데에 적합하기 때문에, OLED 디스플레이 및 TFT-LCD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 부품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미세 패턴화 경화물이 제공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미세 패턴화 경화물은 컬럼 스페이서, 블랙 매트릭스, 또는 착색(예컨대, 블랙) 컬럼 스페이서일 수 있다.
상기 미세 패턴화 경화물은, 예컨대,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한 뒤, 패턴화 노광 및 현상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제조예: 바인더 수지 제조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아클릴레이트를 각각 020:30:30:20의 몰비로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30 중량부, 열 개시제로서 V-65(Wako Chemical사) 1 중량부, 분자량 조절을 위한 연쇄이동제로서 3-메르캅토프로피온산(3-Mercaptopropionic acid) 1중량부, 및 유기 용매로서 메틸 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 68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은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65℃를 유지하며 8시간 동안 교반하며 중합시켜 바인더 수지로서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아크릴 중합체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25,000이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9: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자외선 차단막과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반응혼합조에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서 바인더 수지(13 중량부),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26 중량부), 광중합 개시제 및 용매(60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혼합된 용액을 0.5 마이크론 크기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조성물 성분들에 대한 설명>
바인더 수지: 제조예에서 수득된 아크릴 중합체
DPHA: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광개시제 A]
Figure pat00003
[광개시제 B]
Figure pat00004
[광개시제 C]
Figure pat00005
[OXE-01]
Figure pat00006
용매: 메틸 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MMP)
[표 1]
Figure pat00007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들 각각을 글래스 위에 약 1.0~15.0 마이크로 두께로 코팅한 후, 1.0~0.5 torr의 저압 하에 코팅면에 있는 용매를 1차로 제거하고, 이후, 80~110℃ 핫플레이트 위에서 약 30~120 초 동안 두어 잔류하는 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 하여 준비된 박막을 노광하고, 노광된 박막을 알카리 수용액(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으로 현상한 후, 형성된 패턴을 150-250℃의 오븐에서 30-90 분간 가열처리하여, 미세 패턴을 가지는 최종 경화막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패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평가하였다.
1) 패턴 크기
SNU사의 SNU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패턴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2) 잔막율
상기 경화막 제조방법에서 마스크를 개재하지 않고 실시하였으며 노광하기 전의 박막 두께와 최종 경화막의 두께 변화 비율을 계산하여 잔막율로 하였다.
잔막율 (%) = [경화후 두께 / 노광전 두께] * 100
상기 항목들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8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들을 대비하였을 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패턴 크기에서 실시예의 조성물들이 비교예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잔막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광개시제 C는, 그와 동일한 라디칼을 생성하면서 기존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OXE-01(비교예7)에 비해서 높은 잔막율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개시제 C가 I-line의 빛을 흡수하는 면적이 OXE-01 보다 넓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Claims (10)

  1. (a)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
    (b) 임의로 광중합성 화합물;
    (c)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 및
    (d) 유기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a)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와 (b) 임의로 광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c) 광중합 개시제 0.7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원자수 1-20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개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1-20 개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7-40 개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1-20 개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원자수 2-40 개의 히드록시알콕시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3-20 개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원자수 6-20개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바인더 수지가 아크릴 중합체 또는 측쇄에 아크릴 불포화 결합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 또는 노볼락 또는 비스페놀 타입의 알칼리 가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이 적어도 2 개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 결합을 가지는 가교성 모노머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R1, R2 및 R4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원자수 1-10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원자수 6-10개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1-10 개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7-20 개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1-10 개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원자수 2-20 개의 히드록시알콕시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 개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원자수 6-10개의 아릴기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이고; R2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이며; R3은 페닐기이고; R4 내지 R10은 수소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연쇄이동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이동제가 티오글리콜산, 티오말산, 티오살리칠산, 2-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낙산, N-(2-메르캅토프로피오닐)글리신, 2-메르캅토니코틴산, 3-[N-(2-메르캅토에틸)카르바모일]프로피온산, 3-[N-(2-메르캅토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 N-(3-메르캅토프로피오닐)알라닌, 2-메르캅토에탄술폰산, 3-메르캅토프로판술폰산, 4-메르캅토부탄술폰산, 도데실(4-메틸티오)페닐에테르,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1-메르캅토-2-프로판올, 3-메르캅토-2-부탄올, 메르캅토페놀, 2-메르캅토에틸아민, 2-메르캅토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 2-메르캅토-3-피리디놀,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메르캅토아세트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닉아세트산, 도데칸티올, 2,4-디페닐-4-메틸-1-펜텐, 옥탄티올, 2-머캅토에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착색제, 보조경화제, 접착 보조제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경화물.
  10. 제9항에 있어서, 경화물이 컬럼 스페이서, 블랙 매트릭스, 또는 착색 컬럼 스페이서인, 경화물.
KR1020200085145A 2019-07-12 2020-07-10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2100083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627 2019-07-12
KR20190084627 2019-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315A true KR20210008315A (ko) 2021-01-21

Family

ID=7421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45A KR20210008315A (ko) 2019-07-12 2020-07-10 감광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540658A (ko)
KR (1) KR20210008315A (ko)
CN (1) CN114127637A (ko)
WO (1) WO20210106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4825A (ja) * 2008-08-28 2010-03-11 Nof Corp アルカリ現像性ネガ型樹脂組成物
CN102239197A (zh) * 2008-12-05 2011-11-09 旭硝子株式会社 光固化性组合物及表面具有微细图案的成形体的制造方法
KR101930099B1 (ko) * 2011-03-25 2018-12-1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중합 개시제
WO2015030198A1 (ja) * 2013-08-30 2015-03-0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用組成物
EP3165965B1 (en) * 2014-07-15 2018-10-10 Tokyo Ohka Kogyo Co., Ltd.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compound
JP2017537347A (ja) * 2014-11-12 2017-12-14 サムヤン 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JP6464764B2 (ja) * 2015-01-16 2019-02-06 Jsr株式会社 感放射線性着色組成物、スペーサー、その形成方法及び液晶表示素子
KR102047079B1 (ko) * 2015-03-11 2019-12-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788399B1 (ko) * 2015-09-23 2017-10-19 (주)경인양행 내열안정성이 우수한 옥심 에스테르 화합물, 그것을 포함하는 광중합 개시제 및 감광성 수지 조성물
WO2018060110A1 (en) * 2016-09-28 2018-04-05 Merck Patent Gmbh Polymerisable liquid crystal material and polymerised liquid crystal film
CN110462513A (zh) * 2017-03-28 2019-11-15 东丽株式会社 感光性树脂组合物、固化膜、具备固化膜的元件、具备固化膜的有机el显示装置、固化膜的制造方法及有机el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08727517B (zh) * 2017-04-25 2021-05-07 常州强力先端电子材料有限公司 含有可聚合基团的芴肟酯类光引发剂、其制备方法及应用
WO2018235665A1 (ja) * 2017-06-20 2018-12-27 株式会社Adeka 重合性組成物、ブラックマトリクス用感光性組成物及びブラックカラムスペーサ用感光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683A1 (ko) 2021-01-21
JP2022540658A (ja) 2022-09-16
CN114127637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3663B2 (en) Fluorenyl β-oxime ester compounds,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photoresis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N108700809B (zh) 着色树脂组合物、滤色器基板及液晶显示装置
TWI610135B (zh) 感光性樹脂組成物、使用其的感光性樹脂層以及顯示裝置
JP4672789B2 (ja) ネガティブ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TWI541598B (zh) 感光性樹脂組成物和使用其的彩色濾光片
JP5154915B2 (ja) 主鎖環構造を有するアルカリ可溶性樹脂及びその用途
KR101099691B1 (ko) 음성 레지스트 조성물
TWI731411B (zh)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樹脂層以及彩色濾光片層
CN108957951A (zh) 感光性树脂组合物、使用其的感光性树脂层以及滤色片
KR20160057931A (ko) 신규한 음성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210008315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105576A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160059316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절연막
KR101857147B1 (ko)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필터
CN108351590B (zh) 感光性树脂组合物和由其制备的固化膜
US20230375918A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film using same, color filter and display device
WO2017095009A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organic insulating film prepared therefrom
KR102563205B1 (ko) 말레이미드 유도체를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2009675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2038749B1 (ko)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포토 스페이서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67471B1 (ko) 오버코트용 레지스트 조성물
KR101814670B1 (ko) 신규한 우레탄 수지,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필터
KR20230104426A (ko) 광개시제 성분으로서 2종 이상의 옥심에스테르 플루오렌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210061503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절연막
KR20210061011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절연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