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292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292A
KR20210008292A KR1020197028703A KR20197028703A KR20210008292A KR 20210008292 A KR20210008292 A KR 20210008292A KR 1020197028703 A KR1020197028703 A KR 1020197028703A KR 20197028703 A KR20197028703 A KR 20197028703A KR 20210008292 A KR20210008292 A KR 2021000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ousing
electric control
control box
sheet metal
me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047B1 (ko
Inventor
원쥔 뤄
즈차이 차이
쿠이팡 쩌우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063126.8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19760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058404.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197605U/zh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0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 받침판(10), 받침판(10)에 커버되는 패널 프레임(20), 패널 프레임(20)에 장착되고,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기 컨트롤 박스(30), 및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에 오픈 가능하게 커버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와 전후로 서로 마주하는 패널(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921063126.8이고, 출원일이 2019년 7월 8일인 중국 특허 출원 및 출원번호가 201921058404.0이고, 출원일이 2019년 7월 8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제출되고, 상술한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술한 중국 발명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출원은 공기 조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전기 컨트롤 박스는 패널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어, 전기 제어판에 대한 장착 및 수리 조작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 먼저 패널을 오픈하고, 패널 프레임을 분리하여야 전기 컨트롤 박스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다. 일부 모델은 패널 프레임의 우측에 대형홀을 설치하여, 전기 제어판을 그 홀로부터 추출할 수 있고, 대형홀에 커버 플레이트가 폐쇄되어 있어, 먼저 커버 플레이트를 분리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에 대한 조작을 진행할 수 있기에, 조작이 비교적 번거롭다.
본 출원은 적어도 어느 정도로 관련 기술 중의 하나의 기술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본 출원은 전기 컨트롤 박스의 분해 조립이 편이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커버되는 패널 프레임, 상기 패널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패널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기 컨트롤 박스, 및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에 오픈 가능하게 커버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와 전후로 서로 마주하는 패널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전기 컨트롤 박스는 패널 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의 적어도 일부분은 패널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패널은 전기 컨트롤 박스와 전후로 서로 마주하여, 전기 컨트롤 박스의 수리에 편이하다.
또한, 본 출원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부가 기술특징을 가진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전체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상기 패널 프레임에 장착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의 상단은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 상측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의 하단에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 하측의 앞표면에 겹이음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겹이음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패널 프레임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에 상기 패널 프레임의 대응되는 단부의 앞표면에 겹이음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겹이음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에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앞면이 오픈되어 전기 제어판을 설치하기에 적합한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오픈측을 오픈 가능하게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반전 가능하게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제1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의 외측에 피복되고,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고정 연결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판금 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는 제2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의 외측에 피복되고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에 고정 연결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판금 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 프레임은 상기 받침판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반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 프레임에 뒤로 요홈된 겹이음홈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패스라인홈을 구비하고, 상기 겹이음홈 내에 끼움 설치되는 패스라인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개구 및 제1 연결면을 구비하는 제1 이너 하우징,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상기 제1 연결면에 결합되는 제2 연결면을 구비하는 제2 이너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2 이너 하우징 중의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면 및 상기 제2 연결면의 결합 위치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플부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은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으로 연장되는 플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부가 상기 플랩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플부와 상기 플랩부가 서로 마주되게 배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랩부의 단면에 상기 제2 연결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부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면은 상기 배플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플부의 단면보다 낮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랩부는 상기 배플부와 이격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랩부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플랩부와 상기 배플부가 겹치는 부분의 길이가 1mm 이상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부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방향을 정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1 판금 부재, 및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고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에 연결되며, 제2 판금 부재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면과 제2 연결면의 결합 위치를 넘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제2 판금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이 상기 제1 판금 부재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이 상기 제2 판금 부재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1 판금 부재 중의 하나는 제1 스냅 핏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스냅 핏에 결합되는 제1 걸림홀을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2 판금 부재 중의 하나는 제2 스냅 핏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스냅 핏에 결합되는 제2 걸림홀을 구비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판금 부재가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1 판금 부재 중의 하나는 제1 삽입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1 삽입 연결부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판금 부재가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2 판금 부재 중의 하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2 삽입 연결부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되는 실내 팬, 및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팬의 축측에 위치하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접근하는 일측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형상에 매칭된다.
본 출원의 부가 측면 및 장점은 이하의 서술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고 일부는 이하의 서술에서 명확하게 되거나 또는 본 출원의 실천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결부하여, 실시예에 대한 서술을 통해 본 출원의 상술한 측면 및/또는 추가되는 측면 및 장점이 더욱 명백해지고 이해가 쉬워질 것이고,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와 패널 프레임의 연결 관계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와 패널 프레임의 연결 관계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전기 제어판의 연결 관계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의 커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의 제2 이너 하우징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의 본체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D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E 위치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고,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여 서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 기재된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은 도 1, 도 3, 도 4,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유의하여야 할 점은, 용어 "좌", "우", "전", "후", "상", "하" 등이 가르키는 방위 및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보여주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단지 본 출원을 서술하고 서술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가르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제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0)는 대체적으로 받침판(10), 패널 프레임(20), 전기 컨트롤 박스(30) 및 패널(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 4를 결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프레임(20)은 받침판(10)에 커버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에 장착되며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에 장착하여, 수리 시, 직접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에서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수리하거나 분해 조립할 수 있어, 패널 프레임(20)이 작업자에 대한 방해 가능성을 줄였고, 점검 수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적어도 일부분은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전체적으로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수 있고, 이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수리해야 할 경우,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전체적으로 분해하는데 공기 조화기(100)의 실내기, 특히 벽걸이 공기 조화기(100)의 실내기는 장착 위치가 보통 비교적 높기에,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수리가 불편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전체적으로 분해 조립할 경우, 작업자가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아래에서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점검 수리할 수 있어, 점검 수리가 편이하다.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일부분을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어, 이와 같이, 점검 수리 완료 후, 분리 해체한 일부분을 다시 장착하기만 하면 되기에, 장착 단계를 줄였다. 예를 들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40)에 서로 마주하는 일측이 분리 해체 가능하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40)은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에 오픈 가능하게 커버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 및 패널(40)은 전후로 서로 마주한다. 이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에 대한 점검 수리가 필요할 경우, 패널(40)을 오픈하기만 하면, 작업자는 직접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점검 수리할 수 있어, 점검 수리가 더욱 편이하다.
이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는 전기 컨트롤 박스(30)가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에 장착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적어도 일부분이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 및 패널(40)이 전후로 서로 마주하기에,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점검 수리 및 분해 조립이 편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에 전체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출원의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되며, 예를 들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에 일부분이 분해 조립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물론,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그 일부분이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후자를 예로 들어, 작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전체적으로 분해하거나 부분적으로 분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선택 가능성을 증가하였고, 점검 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5, 도 7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상단은 패널 프레임(20) 앞면의 상측에 삽입 연결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하단에는 패널 프레임(20)의 앞면 하측의 앞표면에 겹이음되는 제1 겹이음부(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겹이음부(32)는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전기 컨트롤 박스(30) 하측의 제1 겹이음부(32)는 패널 프레임(20)의 앞표면에 겹이음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상단은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의 상측에 삽입 연결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에 장착 고정된다. 여기서,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상단에 삽입 연결홀(21)이 설치되어 있고, 패널 프레임(20)에 삽입 연결홀(21)에 대응되는 후크(31)가 설치되어 있어, 후크(31)가 삽입 연결홀(21) 내에 삽입되어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끌어당길 수 있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상단에 후크(31)가 설치되어 있고, 패널 프레임(20)에 후크(31)에 대응되는 삽입 연결홀(21)이 설치되며, 후크(31)가 삽입 연결홀(21) 내에 삽입되어 패널 프레임(20)을 끌어당길 수 있으며, 삽입 연결홀(21) 및 후크(31)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이격 배치되고, 이를 통해,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31)가 삽입 연결홀(21)을 향하는 일측에 가이드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고, 이를 통해, 후크(31)가 삽입 연결홀(21) 내에 삽입되어 패널 프레임(20) 또는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끌어당기는데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겹이음부(32)는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상단은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의 상측에 삽입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전기 컨트롤 박스(30)가 전체적으로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겹이음부(32) 및 패널 프레임(20)은 나사 연결, 걸림 연결 또는 삽입 연결 등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출원의 청구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되며, 예를 들어,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상단과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의 상측은 나사 연결될 수도 있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 6, 도 7 및 도 8을 결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에 패널 프레임(20)의 대응되는 단부의 앞표면에 겹이음되기 위한 제2 겹이음부(33)가 설치되어 있고, 제2 겹이음부(33)는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의 우측 단부에 설치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우측단에 제2 겹이음부(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겹이음부(33)는 패널 프레임(20)에 겹이음되고, 제2 겹이음부(33)는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를 통해, 패널 프레임(20)는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우측단에 대해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겹이음부(33)는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겹이음부(33) 및 패널 프레임(20)은 나사 연결, 삽입 연결 또는 걸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겹이음부(33)는 우측으로 연장되고, 패널 프레임(20)에 위치제한부(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제한부(22)에는 좌측으로 개구된 위치 제한홈이 설치되어 있고, 제2 겹이음부(33)는 위치 제한홈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물론,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의 좌측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이에 대한 중복 서술을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프레임(20)의 앞면에 개구부(201)를 구비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적어도 일부분은 탈착 가능하게 개구부(201) 내에 설치된다.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적어도 일부분은 탈착 가능하게 개구부(201) 내에 설치되고, 다시 말해서 전기 컨트롤 박스(30)은 전체적으로 탈착 가능하거나 부분적으로 탈착 가능하다. 개구부(201)를 설치함으로써, 한편으로 전기 컨트롤 박스(30)에 대해 장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몸체의 두께를 줄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패널 프레임(20)의 재료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원가 저감에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 10, 도 11 및 도 12를 결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본체(34) 및 커버(35)를 포함하고, 본체(34) 내에 앞면이 오픈되어 전기 제어판(36)을 설치하기에 적합한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35)는 본체(34)의 오픈측을 오픈 가능하게 커버한다. 이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에 대한 점검 수리가 필요할 경우,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전체적으로 패널 프레임(20)에서 분해하고, 커버(35)를 오픈하여, 전기 제어판(36)을 점검 수리할 수 있거나 또는, 패널(40)을 오픈하는바, 전기 컨트롤 박스(30) 및 패널(40)이 서로 마주하기에, 커버(35)을 오픈하여, 수용 캐비티를 앞으로 오픈하고, 이를 통해, 전기 제어판(36)이 노출되어, 작업자는 직접 전기 제어판(36)을 점검 수리할 수 있고, 점검 수리 완료 후, 커버(35)을 닫고 패널(40)을 닫으면 되기에, 단계가 적고, 점검 수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35)는 반전 가능하게 또는 탈착 가능하게 본체(34)에 연결된다. 커버(35)를 반전 가능하게 본체(34)에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하고, 커버(35)를 반전하여 본체(34)를 오픈할 수 있으며, 점검 수리 완료 후 다시 커버(35)를 반전하여 본체(34)를 폐쇄하면 되기에, 조작이 간단하고, 점검 수리가 편이하다. 커버(35)를 본체(3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로 설치하고, 커버(35)를 본체(34)에서 분해하며, 점검 수리 완료 후 커버(35)를 본체(34)에 장착하여 수용 캐비티를 폐쇄하는데, 여기서, 커버(35) 및 본체(34)는 서로 스냅 결합, 나사 연결 등 연결 방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4)는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를 포함하고, 제1 판금 부재(342)는 제1 이너 하우징(341)의 외측에 피복되며, 제1 판금 부재(342)와 제1 이너 하우징(341)은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실내 열교환기(50)에 접근하여 배치되기에, 실내 열교환기(50) 냉각 시,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에 응축수가 생길 수 있다. 본 출원의 본체(34)는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로 구성되고,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층을 증가하여,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한다. 여기서, 공기층은 보어일 수 있고, 단열 매체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켰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5)는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를 포함하고, 제2 판금 부재(352)는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외측에 피복되며, 제2 판금 부재(352)와 제2 이너 하우징(351)는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실내 열교환기(50)에 접근하여 배치되기에, 실내 열교환기(50) 냉각 시,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에 응축수가 생길 수 있다. 본 출원의 커버(35)는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로 구성되고,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층을 증가하여,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한다. 여기서, 공기층은 보어일 수 있고, 단열 매체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켰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 프레임(20)은 받침판(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받침판(10)에 대한 점검 수리가 필요할 경우, 받침판(10)을 패널 프레임(20)에서 분해하여, 작업자가 아래에서 받침판(10)을 조작할 수 있어, 점검 수리가 편이하다. 예를 들면, 패널 프레임(20)에 앞으로 오픈되는 액세스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받침판(10)은 전후 방향을 따라 액세스 포트에 삽입되거나 또는 액세스 포트에서 추출되며, 패널 프레임(20)은 받침판(10)에 스냅 핏 연결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 3 및 도 4를 결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40)은 패널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반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패널(40)을 패널 프레임(20)에 반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하고, 패널(40)을 반전하기만 하면 패널 프레임(20)을 오픈할 수 있으며, 점검 수리 완료 후 다시 패널(40)을 반전하여 패널 프레임(20)을 폐쇄하면 되기에, 조작이 간단하고, 점검 수리가 편이하다. 패널 프레임(20)은 패널(4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패널(40)을 패널 프레임(20)에서 분해하여, 점검 수리 완료 후 패널(40)을 패널 프레임(20)에 장착하여 패널 프레임(20)을 폐쇄하며, 여기서 패널(40) 및 패널 프레임(20)은 서로 스냅 결합, 나사 연결 등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 2 및 도 5를 결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프레임(20)은 뒤로 요홈된 겹이음홈(231)을 구비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스라인부(37)를 포함하며, 패스라인부(37) 내에 패스라인홈(371)을 구비하고, 패스라인홈(371)은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며, 패스라인부(37)는 겹이음홈(231) 내에 끼움 설치된다. 패스라인부(37)는 겹이음홈(231) 내에 끼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좌측에 패스라인부(37)가 설치되어 있고, 패스라인부(37)는 좌측으로 연장되어 겹이음홈(231) 내에 삽입되며, 이를 통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의 외표면에 지지될 수 있고, 나아가 전기 컨트롤 박스(30)에 대한 점검 수리가 편이하다.
여기서, 패스라인홈(371)은 배선에 사용되고,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패스라인부(37) 내에 케이블 하네스 고정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 하네스 고정 구조는 케이블 하네스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하네스 고정 구조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의 리브(372)이고, 이를 통해, 복수의 리브(372)는 케이블 하네스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봉 작용을 할 수도 있으며, 응축수가 패스라인부(37)에서 수용 캐비티 내에 진입하는 것을 피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40)은 패널 프레임(20)에 힌지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패널(40)은 패널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패널(40)은 회전 가능하게 패널 프레임(20)을 개폐하며, 이를 통해, 점검 수리 필요 시, 패널(40)을 회전하여, 직접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점검 수리하고, 점검 수리 완료 후, 패널(40)을 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회복시키면 되기에, 조작이 간단하고, 점검 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패널 프레임(20)은 받침판(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패널(40)은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패널(40)은 패널 프레임(20)을 반전 가능하게 오픈하고, 실내 열교환기(50)는 받침판(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커버(35) 및 본체(34)을 포함하고 커버(35)는 본체(3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커버(35)는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를 포함하고, 제1 이너 하우징(341)은 제1 판금 부재(34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34)는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을 포함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은 제2 판금 부재(3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상부에 위치하고, 패널 프레임(20), 실내 열교환기(50), 패널(40)은 하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수용 공간에 위치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에 장착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패널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 그릴(60)은 패널 프레임(20)에 연결되고, 패널 프레임(20)에 일체로 성형되며, 패널 프레임(20)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 연결홀(21)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34)는 일체로 성형되고, 본체(34)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후크(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크(31)에 가이드 경사각이 설치되어 있어, 후크(31)가 삽입 연결홀(21) 내에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삽입 연결홀(21) 및 후크(31)는 서로 대응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패널 프레임(20)에 고정한다. 패널 프레임(20)은 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톱 플레이트 우측에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부는 톱 플레이트에 일체로 성형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좌측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프레임(20)에 지지대(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대(23)는 톱 플레이트에 일체로 성형된다. 지지부 및 지지대(23) 양자는 사전 위치 결정 작용을 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장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에서 이에 대응되는 구조는 제2 겹이음부(33) 및 패스라인부(37)이고, 제2 겹이음부(33) 및 패스라인부(37)는 모두 본체(34)에 연결되며, 본체(34)에 일체로 성형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5)와 본체(34)는 탈착 가능한 연결이고, 상하에는 모두 판금 인터로킹의 구조 형태를 구비하며, 도 8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5)에 나사홀(39)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34)에 나사홀(39)에 대응되는 스크류 칼럼(38)이 설치되어 있으며, 나사는 각각 커버(35), 본체(34)에 연결되어 본체(34) 및 커버(35)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설명하도록 한다.
관련 기술에서 전기 컨트롤 박스,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전기 컨트롤 박스에 관련하여, 전기 컨트롤 박스는 건조한 환경에 설치되며 방수 기능을 구비하지 않아, 전기 컨트롤 박스가 습한 환경에 처하면 수증기가 전기 컨트롤 박스의 내부에 진입하기 쉬워 전기 컨트롤 박스 내부의 소자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며, 소자 및 부품의 파손을 초래하기 쉬워, 전기 컨트롤 박스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전기 컨트롤 박스의 사용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도 14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을 포함한다.
제1 이너 하우징(341)은 개구(202)를 구비하고, 제1 이너 하우징(341)은 제1 연결면(212)을 구비한다.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1 이너 하우징(341)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202)를 개폐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은 제1 연결면(212)에 결합되는 제2 연결면(223)을 구비하며, 여기서,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 중의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배플부(230)를 구비하고, 배플부(230)는 제1 연결면(212) 및 제2 연결면(223)의 결합 위치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30)에 있어서, 제1 이너 하우징(341)에 제1 연결면(212)을 구비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에 제1 연결면(212)에 결합되는 제2 연결면(223)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면(212) 및 제2 연결면(223)을 이용하여 제1 이너 하우징(341)과 제2 이너 하우징(351)사이의 접촉 결합을 실현할 수 있어, 제1 이너 하우징(341)과 제2 이너 하우징(351) 사이에 비교적 큰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피하여 수분이 제1 이너 하우징(341)과 제2 이너 하우징(351)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내부에 진입하는 가능성을 줄이고, 제1 이너 하우징(341)과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연결 위치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 중의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배플부(230)를 구비하고, 배플부(230)가 제1 연결면(212) 및 제2 연결면(223)의 결합 위치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플부(230)를 이용하여 수분을 차단하여 수분이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부에 들어가는 가능성을 줄이고, 수분이 제1 연결면(212) 및 제2 연결면(223)의 결합 위치로부터 진입하더라도 배플부(230)를 이용하여 차단하며 수분이 개구(202)로부터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피하여,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분이 들어가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전기 컨트롤 박스(30)가 파손되는 것을 피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사용 수명을 늘이며,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기능성 및 적용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신뢰성 높은 등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너 하우징(341)은 제2 이너 하우징(351) 내에 삽입되는 배플부(230)을 구비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은 제1 이너 하우징(341)으로 연장되는 플랩부(224)를 구비하며, 배플부(230)는 플랩부(224)의 내측에 설치되고 배플부(230) 및 플랩부(224)는 서로 마주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조립 성형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플랩부(224) 및 배플부(230)를 이용하여 공통으로 수분을 차단하는데 유리하며, 수분이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피하고, 나아가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플랩부(224)의 단면에 제2 연결면(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면(223)의 형성에 유리하고,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결합 장착에 유리하다.
선택 가능하게, 배플부(230)는 개구(202)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1 연결면(212)은 배플부(230)의 외측에 설치되고 배플부(230)의 단면보다 낮다. 이와 같이 배플부(230)를 통해 수분을 차단할 수 있어 개구(202)를 보호하여, 수분이 개구(202)로부터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막아,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플랩부(224)와 배플부(230)는 이격 설치된다. 이와 같이 플랩부(224)와 배플부(230)가 간섭되는 것을 피하고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원활한 장착에 유리하다.
선택 가능하게, 플랩부(224)의 연장 방향에서, 플랩부(224)와 배플부(230)가 겹치는 부분의 길이는 1mm 이상이다. 이와 같이 플랩부(224)와 배플부(230)가 겹치는 부분이 충분한 길이를 가져 플랩부(224) 및 배플부(230)를 이용하여 수분을 차단하는데 유리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플부(230)는 개구(202)의 가장자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방향을 정한다. 이와 같이 배플부(230)가 개구(202)를 더욱 잘 보호하는데 유리하고, 수분이 개구(202)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202)는 제1 이너 하우징(341)의 앞표면에 형성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은 제1 이너 하우징(341)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1 이너 하우징(341)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고, 배플부(230)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방향을 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를 더 포함하고, 제1 판금 부재(342)는 제1 이너 하우징(341)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며, 제1 이너 하우징(341)에 연결된다. 제2 판금 부재(352)는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2 판금 부재(352)는 제1 판금 부재(342)로 연장되는 차단부(130)를 구비하고, 차단부(130)는 제1 연결면(212)과 제2 연결면(223)의 결합 위치를 넘는다. 이와 같이 제1 판금 부재(342)를 이용하여 제1 이너 하우징(341)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제2 판금 부재(352)를 이용하여 제2 이너 하우징(351)을 보호하며, 차단부(130)를 이용하여 제1 연결면(212)과 제2 연결면(223)의 결합 위치를 차폐하여, 수분이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피하고, 나아가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추가적으로, 제1 이너 하우징(341)이 제1 판금 부재(342)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된다. 및/또는 제2 이너 하우징(351)이 제2 판금 부재(352)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1 이너 하우징(341),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장착 및 탈착에 유리하고,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1 이너 하우징(341)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2 이너 하우징(351)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신뢰성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 중의 하나는 제1 스냅 핏(211)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제1 스냅 핏(211)에 결합되는 제1 걸림홀(117)을 구비한다. 및/또는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 중의 하나는 제2 스냅 핏(221)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스냅 핏(221)에 결합되는 제2 걸림홀(126)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 스냅 핏(211) 및 제1 걸림홀(117)을 이용하여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1 이너 하우징(341) 사이의 걸림 연결을 실현하고, 제2 스냅 핏(221) 및 제2 걸림홀(126)을 이용하여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2 이너 하우징(351) 사이의 걸림 연결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 사이의 연결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 사이의 연결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스냅 핏(211) 및 제2 걸림홀(126)은 모두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또한 제1 스냅 핏(211)은 제1 걸림홀(117)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제2 스냅 핏(221) 및 제2 걸림홀(126)은 모두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또한 제2 스냅 핏(221)은 제2 걸림홀(126)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여기서, 제1 스냅 핏(211)의 치수는 제2 스냅 핏(221)의 치수 이상이고, 제1 걸림홀(117)의 면적은 제2 걸림홀(126)의 면적 이상이다. 이와 같이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1 이너 하우징(341)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여,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1 이너 하우징(341)의 작용력이 더욱 균일하여,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여,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작용력이 더욱 균일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 중의 하나는 제1 삽입홈(213)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제1 삽입홈(213)에 결합되는 제1 삽입 연결부(118)를 구비하여, 제1 판금 부재(342)이 제1 이너 하우징(341)에 밀접하도록 한다. 및/또는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 중의 하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2 삽입 연결부을 구비하여 제2 판금 부재(352)가 제2 이너 하우징(351)에 밀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 사이의 밀접 결합을 실현하는데 유리하고,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 사이의 밀접 결합을 실현하는데 유리하며,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1 판금 부재(342) 사이 및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2 판금 부재(352) 사이의 조립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의 구조 강도 및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를 보호하는데 유리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는 모두 판금 부재이다. 이와 같이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의 생산 가공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판금 부재의 에지는 폴딩, 블랭킹 프레스 등 처리를 진행하여 사용자 조작 시 판금 부재로 인해 사용자가 손이 베이거나 사용자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은 내화 플라스틱이고,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두께는 모두 2.5mm 이상이며,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는 판금 부재이고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의 두께는 모두 0.3mm 이상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는 걸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탈착 및 장착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며,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를 사용하여 본체부(200)를 폐쇄하는데, 관련 기술에서 플라스틱 케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부에서 불이 난 후,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를 통해 화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화염을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내부에 격리시켜, 플라스틱 케이스가 타서 녹아버린 후 화염이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에서 뿜어 나와 다른 소자 및 부품에 불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컨트롤 박스(30)가 공기 조화기(100) 내에 설치될 경우,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부에 불이 붙은 후, 화염이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에서 뿜어 나와 공기 조화기(100) 내의 기타 소자 및 부품에 불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컨트롤 박스(30)가 화염을 격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에 불이 붙은 후 화세를 공제할 수 있어,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사용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판금 부재(352)에 제1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 판금 부재(342)에 제2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걸림 연결부는 상기 제2 걸림 연결부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되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걸림 연결부 및 상기 제2 걸림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2 판금 부재(352)와 제1 판금 부재(342) 사이의 걸림 연결 결합을 실현할 수 있고,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에 대한 분해 조립 조작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 연결부는 제1 걸림 돌기(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 연결부는 제2 걸림 돌기(111)를 포함하며, 제1 걸림 돌기(121)는 제2 걸림 돌기(111)를 넘어 제2 걸림 돌기(111)와 교차 배치되어 인터로킹을 실현한다. 이와 같이 제1 걸림 돌기(121) 및 제2 걸림 돌기(111)를 통해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 사이의 확실한 연결을 실현하고,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신뢰성를 향상시키며, 케이스(100)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판금 부재(352)는 제1 판금 부재(342)로 연장되는 제1 플랩(122)을 구비하고, 제1 판금 부재(342)는 제2 판금 부재(352)로 연장되는 제2 플랩(112)을 구비하며, 제1 플랩(122) 및 제2 플랩(112)은 서로 마주되게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제1 걸림 연결부는 제1 플랩(122)에 형성되고 제1 플랩(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걸림 연결부는 제2 플랩(112)에 형성되며 제2 플랩(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걸림 연결부 및 상기 제2 걸림 연결부의 생산 가공에 유리하고, 상기 제1 걸림 연결부 및 상기 제2 걸림 연결부가 원활하게 걸림 연결 결합되는데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걸림 연결부는 제1 플랩(122)의 외측 에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걸림 연결부는 제2 플랩(112)의 외측 에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걸림 연결부 및 상기 제2 걸림 연결부가 원활하게 결합되는데 더욱 유리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걸림 연결부는 제1 플랩(122)의 외측 에지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 연결부는 제2 플랩(112)의 외측 에지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걸림 연결부 및 상기 제2 걸림 연결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상기 제1 걸림 연결부 및 상기 제2 걸림 연결부의 생산 가공에 유리하고, 케이스(100)의 양산에 유리하며, 케이스(100)의 생산 원가를 줄이고, 케이스(100)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유의하여야 할 점은, 제2 판금 부재(352)의 외측 에지에 모두 제1 플랩(122)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제2 판금 부재(352)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 에지에 제1 플랩(122)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판금 부재(342)의 외측 에지에 제2 플랩(112)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제1 판금 부재(342)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 에지에 제2 플랩(112)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판금 부재(352)에 제1 삽입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 판금 부재(342)에 제2 삽입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 연결부가 상기 제2 삽입 연결부에 삽입 연결 결합되는데 적합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삽입 연결부 및 상기 제2 삽입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의 조립하여 위치 결정 및 가이드 작용을 실현할 수 있고,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이 원활하게 조립 성형되는데 유리하며, 케이스(100)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며, 케이스(100)의 조립 시간을 줄인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삽입 연결부에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삽입 연결보스(123)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 연결부에 삽입 연결홈(113)을 구비하며, 삽입 연결홈(113)의 홈구는 삽입 연결보스(123)를 향함으로써 삽입 연결보스(123)가 삽입 연결홈(113)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삽입 연결보스(123) 및 삽입 연결홈(113)의 삽입 연결 결합에 유리하고,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선택 가능하게, 삽입 연결보스(123)는 제2 판금 부재(352)에 일체로 성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삽입 연결보스(123)는 삽입 연결홈(113)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제1 가이드면(124)을 구비하고, 삽입 연결홈(113)은 제1 가이드면(124)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면(114)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면(124) 및 제2 가이드면(114)을 이용하여 연결보스(123)의 삽입 연결 장착에 대해 위치 결정 및 가이드 작용을 실현할 수 있고, 삽입 연결보스(123)가 삽입 연결홈(113) 내에 원활하게 삽입되는데 유리하며,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의 장착이 더욱 원활하도록 할 수 있고, 케이스(100)의 조립 성형에 더욱 유리하다.
선택 가능하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금 부재(342)의 외측벽에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편(115)이 설치되어 있고, 고정편(115)은 삽입 연결홈(113)을 제한한다. 추가적으로, 삽입 연결홈(113)은 고정편(115)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삽입 연결홈(113)의 가공 성형에 유리하고, 삽입 연결홈(113)의 구조 강도 및 신뢰성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며, 제1 판금 부재(342)의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고정편(115) 및 제1 판금 부재(342)의 외측벽은 일체로 성형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연결홈(113)과 제1 판금 부재(342)의 외측벽의 연결 위치에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보강 리브는 삽입 연결홈(113)의 형상에 매칭된다. 추가적으로, 보강 리브는 복수이고 삽입 연결홈(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이와 같이 삽입 연결홈(113)의 구조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삽입 연결홈(113)에 작용력 미약점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삽입 연결홈(113)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삽입 연결홈(113) 및 삽입 연결보스(123) 사이의 결합 신뢰성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삽입 연결부에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삽입 연결보스(123)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 연결부에 삽입 연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 연결홀이 삽입 연결보스(123)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삽입 연결보스(123)가 상기 삽입 연결홀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제1 판금 부재(342)의 외측벽에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삽입 연결홀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삽입 연결보스(123) 및 상기 삽입 연결홀의 삽입 연결 결합에 유리하고,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의 조립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선택 가능하게,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판금 부재(352)의 가장자리 위치에 손잡이(125)가 설치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손잡이(125)는 제1 플랩(122)에 설치되고 삽입 연결보스(123)에 서로 마주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125)을 통해 제2 판금 부재(352)를 밖으로 당겨, 제1 걸림 돌기(121) 및 제2 걸림 돌기(111)가 서로 겹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실현하기에 유리하고, 제2 판금 부재(352) 및 제1 판금 부재(342)의 탈착 조작에 유리하며, 케이스(100)의 탈착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 연통구(101)가 마려되어 있고, 본체부(200)는 연통구(10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200)의 내부 구조는 연통구(101)를 통해 외부에 연결되어, 전기 컨트롤 박스(30)가 다른 구조에 연결되는데 유리하다.
선택 가능하게, 제1 스냅 핏(211)의 표면에는 제1 걸림홀(117)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제1 스냅 핏 가이드면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스냅 핏(221)의 표면에는 제2 걸림홀(126)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제2 스냅 핏 가이드면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스냅 핏 가이드면을 이용하여 제1 스냅 핏(211)의 장착에 대해 위치 결정 및 가이드 작용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냅 핏 가이드면을 이용하여 제2 스냅 핏(221) 의 장착에 대해 위치 결정 및 가이드 작용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제1 스냅 핏(211)과 제1 걸림홀(117) 및 제2 스냅 핏(221)과 제2 걸림홀(126)이 원확하게 걸림 연결되는데 유리하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너 하우징(341)에 상기 제1 삽입 연결부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지지 보스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 보스는 상기 제1 삽입 연결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 보스는 상기 제1 삽입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이 지지 보스를 통해 상기 제1 삽입 연결부를 지지할 수 있어, 상기 제1 삽입 연결부가 변형되는것을 피하고, 상기 제1 삽입 연결부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지지 보스는 삽입 연결보스(123)를 지지하는데 적합하고, 지지 보스는 삽입 연결보스(123)의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 보스는 삽입 연결보스(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삽입 연결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위치제한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삽입 연결부는 두개의 위치제한판 사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위치제한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삽입 연결부에 대해 위치제한을 진행할 수 있어, 상기 제1 삽입 연결부가 길이 방향에서 비교적 크게 이동하는 것을 피하고, 상기 제1 삽입 연결부의 설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두개의 위치제한판은 각각 지지 보스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되고, 지지 보스는 두개의 위치제한판 사이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케이스(100)의 내표면 사이에 이격 간격(203)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서, 본체부(200)의 외표면 및 케이스(100)의 내표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이격 간격(203)을 분리하기 위한 이격 리브(21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격 간격(203) 위치에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격 간격(203) 위치에 공기 또는 단열 재료를 충전할 수 있으며,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보온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밖이 차고 안이 뜨거운 상황에서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내부에 응축수가 생기는 것을 피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사용 수명을 늘인다.
나아가, 관련 기술에 비해 전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 표면에 해면과 같은 단열재료를 부착하는 형태을 통해 해면과 같은 단열 재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생산 원가를 줄이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해면은 일정한 두께로 설치되어야 단열효과를 실현할 수 있기에 이격 간격(203)을 설치함으로써 해면 단열층이 너무 많은 체적을 차지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전체 치수를 제어하는데 유리하다. 동시에, 해면이 물을 흡수하여 보온 작용을 하지 못해 단열기능을 잃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단열 기능의 신뢰성 및 안정선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그 외, 본체부(200)의 외표면 및 케이스(100)의 내표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이격 간격(203)을 분리하기 하기 위한 이격 리브(214)를 설치함으로써, 이와 같이 이격 리브(214)를 통해 이격 간격(203)을 분리할 수 있고, 이격 간격(203)을 세분화하는데 유리하고, 예를 들어 이격 간격(203) 위치에 더욱 많은 독립된 작은 구형을 형성하고, 복수의 작은 구역의 공기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며, 이격 간격(203) 내에 안정적인 공기층을 형성하는데 유리하고, 이격 간격(203) 내의 공기 흐름 가능성을 줄이며, 이격 간격(203)의 보온 단열이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하도록 하고, 이격 간격(203)의 보온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이격 리브(214)는 본체부(200)의 외표면 및 케이스(100)의 내표면 중의 하나에 설치되고, 이격 리브(214)와 본체부(200)의 외표면 및 케이스(100)의 내표면 중의 다른 하나의 부재 사이의 거리는 0.3mm 이하이다. 이와 같이 이격 리브(214)와 본체부(200)의 외표면 및 케이스(100)의 내표면 중의 다른 하나의 부재 사이의 거리를 일정한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고, 이격 간격(203) 내의 공기 흐름 가능성을 줄이며, 거리가 너무 커서 공기층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격 리브(214)는 본체부(200)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이격 리브(214)와 케이스(100)의 내표면 사이의 거리는 0.3mm 이하이다.
선택 가능하게, 이격 리브(214)는 복수이고, 복수의 이격 리브(214)는 이격 간격(203)을 복수의 서브 구역(204)으로 분리한다. 이와 같이 이격 간격(203) 위치에 복수의 안정된 공기 구역을 형성할 수 있고, 이격 간격(203) 내의 공기의 흐름을 피하며, 이격 간격(203)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격 리브(214)는 복수의 제1 이격 리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이격 리브는 본체부(2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며, 각 제1 이격 리브는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이격 리브를 통해 본체부(2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간격(203)을 복수의 서브 구역(204)으로 분리할 수 있어, 이격 간격(203) 내의 공기가 본체부(200)의 폭 방향을 따라 흐르는 것을 피한다.
구체적으로, 이격 리브(214)는 복수의 제2 이격 리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이격 리브는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며, 각 제2 이격 리브는 본체부(2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2 이격 리브(213)를 이용하여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간격(203)을 복수의 서브 구역(204)으로 분리할 수 있어, 이격 간격(203) 내의 공기가 본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는 것을 피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이격 리브와 복수의 제2 이격 리브는 교차하여 배열된다. 이와 같이 이격 간격(203)을 복수의 독립적인 서브 구역(204)으로 분리하는 것에 유리하고, 이격 간격(203)내 공기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이격 간격(203)의 보온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이격 간격(203) 위치에서 본체부(200)의 외표면과 케이스(100)의 내표면 사이의 거리는 0.5mm 이상이다. 이와 같이 이격 간격(203)으로 하여금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이격 간격(203)이 충분한 단열 효과를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이격 간격(203) 내에 공기 또는 단열재료가 충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격 간격(203)의 보온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 컨트롤 박스(30) 내 외측의 열 전달 과정을 차단하는데 유리하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너 하우징(341)의 외표면과 금속 박스110의 내표면 사이에 이격 간격(203)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이격 간격(203)의 형성에 유리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며,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을 포함한다. 제1 이너 하우징(341)에 개구(202)를 구비하고, 제1 이너 하우징(341)에 제1 연결면(212)을 구비한다. 제2 이너 하우징(351) 및 제1 이너 하우징(341)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202)를 개폐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은 제1 연결면(212)에 결합되는 제2 연결면(223)을 구비하고, 여기서, 제1 이너 하우징(341)은 제2 이너 하우징(351) 내에 삽입되는 배플부(230)를 구비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은 제1 이너 하우징(341)을 향해 연장되는 플랩부(224)를 구비하고, 배플부(230)는 플랩부(224)의 내측에 설치되고 배플부(230)과 플랩부(224)는 서로 마주되게 배치된다.
플랩부(224)의 단면에 제2 연결면(223)을 형성한다. 배플부(230)는 개구(202)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1 연결면(212)은 배플부(230)의 외측에 설치되며, 배플부(230)의 단면보다 낮다. 플랩부(224)와 배플부(230)는 이격 설치된다. 플랩부(224)의 연장 방향에서, 플랩부(224)와 배플부(230)가 겹치는 부분의 길이는 1mm 이상이다. 배플부(230)는 개구(202)의 가장자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방향을 정한다.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를 더 포함하고, 제1 판금 부재(342)는 제1 이너 하우징(341)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고 제1 이너 하우징(341)에 연결된다. 제2 판금 부재(352)는 제2 이너 하우징(351)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2 판금 부재(352)는 제1 판금 부재(342)로 연장되는 차단부(130)를 구비하고, 차단부(130)는 제1 연결면(212)과 제2 연결면(223)의 결합 위치를 넘는다.
제1 이너 하우징(341)이 제1 판금 부재(342)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되고, 제2 이너 하우징(351)이 제2 판금 부재(352)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된다. 제1 이너 하우징(341)은 제1 스냅 핏(211)을 구비하고, 제1 판금 부재(342)는 제1 스냅 핏(211)에 결합되는 제1 걸림홀(117)을 구비한다. 제2 이너 하우징(351)은 제2 스냅 핏(221)을 구비하고 제2 판금 부재(352)는 제2 스냅 핏(221)에 결합되는 제2 걸림홀(126)을 구비한다. 제1 스냅 핏(211) 및 제2 걸림홀(126)은 모두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제1 스냅 핏(211)은 제1 걸림홀(117)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제2 스냅 핏(221) 및 제2 걸림홀(126)은 모두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제2 스냅 핏(221)은 제2 걸림홀(126)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여기서, 제1 스냅 핏(211)의 치수는 제2 스냅 핏(221)의 치수 이상이고, 제1 걸림홀(117)의 면적은 제2 걸림홀(126)의 면적 이상이다.
제1 이너 하우징(341)은 제1 삽입홈(213)을 구비하고 제1 판금 부재(342)는 제1 삽입홈(213)에 결합되는 제1 삽입 연결부(118)를 포함하여, 제1 판금 부재(342)가 제1 이너 하우징(341)에 밀접하도록 한다. 제2 이너 하우징(351)은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제2 판금 부재(352)는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2 삽입 연결부를 구비하여 제2 판금 부재(352)가 제2 이너 하우징(351)에 밀접하도록 한다.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판금 부재이다. 판금 부재의 에지는 폴딩, 블랭킹 프레스 등 처리를 거칠 수 있다.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은 내화 플라스틱이고, 제1 이너 하우징(341) 및 제2 이너 하우징(351)의 두께는 2.5mm 이상이며,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는 판금 부재이고 제1 판금 부재(342) 및 제2 판금 부재(352)의 두께는 0.3mm 이상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는 케이스(2), 실내 열교환기(3) 및 실내 팬을 포함하고, 케이스(2) 내에 장착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내 열교환기(3)는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팬은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30)에 있어서,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팬의 축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실내 열교환기(3)의 일측에 위치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가 실내 열교환기(3)에 접근하는 일측은 실내 열교환기(3)의 형상에 매칭된다. 이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와 실내 열교환기(3)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컨트롤 박스(3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공기 조화기(100)의 구조 합리성 및 콤팩트 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공기 조화기(100)내부 공간의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실내 열교환기(3)의 상측에 위치하고, 케이스(2)는 패널 프레임 및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는 상기 패널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 열교환기(3)는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전기 컨트롤 박스(30) 및 실내 열교환기(3)의 장착 설치에 유리하고, 전기 컨트롤 박스(30) 및 실내 열교환기(3)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는 본 출원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컨트롤 박스(30)를 이용함으로써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신뢰성이 높은 등 장점을 가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의 기타 구성 및 조작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기지의 사항이기에 여기에서 중복된 서술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 외, 용어 “제1”, “제2”는 단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대적 중요성을 제시 또는 기술 특징의 수량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이를 통해, "제1", "제2"의 특징은 적어도 해당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명시하거나 내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 "복수"는 적어도 두개를 가르키고, 예를 들어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 또는 한정을 하지 않는 한두개, 세개 등을 가르킬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 또는 한정을 하지 않는 한 “장착”, "접속", “연결”, "고정" 등은 넓은 의미로 이해하여야 하고, 예를 들어 고정 연결될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으며, 두개의 소자 내부에서 연통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술한 용어를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되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변화, 교체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공기 조화기 10 : 받침판
20 : 패널 프레임 201 : 개구부
21 : 삽입 연결홀 22 : 위치제한부
23 : 지지대 231 : 겹이음홈
30 : 전기 컨트롤 박스 31 : 후크
32 : 제1 겹이음부 33 : 제2 겹이음부
34 : 본체 341 : 제1 이너 하우징
342 : 제1 판금 부재 35 : 커버
351 : 제2 이너 하우징 352 : 제2 판금 부재
36 : 전기 제어판 37 : 패스라인부
371 : 패스라인홈 372 : 리브
38 : 스크류 칼럼 39 : 나사홀
40 : 패널 50 : 실내 열교환기
60 : 송풍 그릴 101 : 연통구
111 : 제2 걸림 돌기 112: 제2 플랩
113 : 삽입 연결홈 114 : 제2 가이드면
115 : 고정편 117 : 제1 걸림홀
118 : 제1 삽입 연결부 121 : 제1 걸림 돌기
122 : 제1 플랩 123 : 삽입 연결보스
124 : 제1 가이드면 125 : 손잡이
126 : 제2 걸림홀 130 : 차단부
200 : 본체부 202 : 개구
203 : 이격 간격 204 : 서브 구역
211 : 제1 스냅 핏 212 : 제1 연결면
213 : 제1 삽입홈 214 : 이격 리브
221 : 제2 스냅 핏 223 : 제2 연결면
224 : 플랩부 230 : 배플부
2 : 케이스

Claims (25)

  1.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커버되는 패널 프레임,
    상기 패널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패널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기 컨트롤 박스, 및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에 오픈 가능하게 커버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와 전후로 서로 마주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전체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상기 패널 프레임에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의 상단은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 상측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의 하단에는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 하측의 앞표면에 겹이음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겹이음부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패널 프레임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에는 상기 패널 프레임의 대응되는 단부의 앞표면에 겹이음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겹이음부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프레임의 앞면에는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앞면이 오픈되어 전기 제어판을 설치하기에 적합한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오픈측을 오픈 가능하게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반전 가능하게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의 외측에 피복되고,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고정 연결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판금 부재를 포함하거나,
    상기 커버는 제2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의 외측에 피복되고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에 고정 연결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판금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프레임은 상기 받침판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반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프레임에는 뒤로 요홈된 겹이음홈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패스라인홈을 구비하고, 상기 겹이음홈 내에 끼움 설치되는 패스라인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개구 및 제1 연결면을 구비하는 제1 이너 하우징,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상기 제1 연결면에 결합되는 제2 연결면을 구비하는 제2 이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2 이너 하우징 중의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면 및 상기 제2 연결면의 결합 위치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플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은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으로 연장되는 플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부가 상기 플랩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플부와 상기 플랩부가 서로 마주되게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의 단면에 상기 제2 연결면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부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면은 상기 배플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플부의 단면보다 낮은,
    공기 조화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는 상기 배플부와 이격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플랩부와 상기 배플부가 겹치는 부분의 길이가 1mm 이상인,
    공기 조화기.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부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방향을 정하는,
    공기 조화기.
  20.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1 판금 부재, 및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의 외측에 커버 설치되고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판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판금 부재는 상기 제1 판금 부재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면과 제2 연결면의 결합 위치를 넘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이 상기 제1 판금 부재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이 상기 제2 판금 부재에 걸림 연결되어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1 판금 부재 중의 하나는 제1 스냅 핏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스냅 핏에 결합되는 제1 걸림홀을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2 판금 부재 중의 하나는 제2 스냅 핏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스냅 핏에 결합되는 제2 걸림홀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금 부재가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1 판금 부재 중의 하나는 제1 삽입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1 삽입 연결부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판금 부재가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 이너 하우징 및 상기 제2 판금 부재 중의 하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2 삽입 연결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24. 제13항에 있어서,
    장착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되는 실내 팬, 및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팬의 축측에 위치하는,
    공기 조화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 컨트롤 박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접근하는 일측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형상에 매칭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97028703A 2019-07-08 2019-08-30 공기 조화기 KR102296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063126.8 2019-07-08
CN201921063126.8U CN210197608U (zh) 2019-07-08 2019-07-08 电控盒组件和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201921058404.0U CN210197605U (zh) 2019-07-08 2019-07-08 空调器
CN201921058404.0 2019-07-08
PCT/CN2019/103825 WO2021003829A1 (zh) 2019-07-08 2019-08-30 空调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92A true KR20210008292A (ko) 2021-01-21
KR102296047B1 KR102296047B1 (ko) 2021-08-31

Family

ID=7101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703A KR102296047B1 (ko) 2019-07-08 2019-08-30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86541A1 (ko)
JP (1) JP7090637B2 (ko)
KR (1) KR102296047B1 (ko)
WO (1) WO2021003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42721A (ja) * 2022-09-16 2024-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753A (ja) * 2009-11-18 2011-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13036671A (ja) * 2011-08-08 2013-02-21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4070762A (ja) * 2012-09-28 2014-04-21 Daikin Ind Ltd 空調室内機
CN208238044U (zh) * 2018-05-23 2018-12-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0813B2 (ja) * 2012-01-17 2016-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A2956247C (en) * 2015-03-31 2020-08-18 Midea Group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U2015388526B2 (en) * 2015-03-31 2018-07-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4634200U (zh) * 2015-03-31 2015-09-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电控盒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室内机
KR102403336B1 (ko) * 2015-12-31 2022-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7763061U (zh) * 2017-12-18 2018-08-2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08059068U (zh) * 2018-03-12 2018-11-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挂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753A (ja) * 2009-11-18 2011-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13036671A (ja) * 2011-08-08 2013-02-21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4070762A (ja) * 2012-09-28 2014-04-21 Daikin Ind Ltd 空調室内機
CN208238044U (zh) * 2018-05-23 2018-12-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3829A1 (zh) 2021-01-14
JP2021535348A (ja) 2021-12-16
KR102296047B1 (ko) 2021-08-31
EP3786541A4 (en) 2021-03-03
EP3786541A1 (en) 2021-03-03
JP7090637B2 (ja)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3418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6995147B2 (ja) エアコン室内機及びエアコン
KR20210008292A (ko) 공기 조화기
US11105519B2 (en) Air conditioner
JP5071576B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079137B2 (ja) ダクト接続口および換気装置
JP2008064394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16557339U (zh) 一种带摆页的踢脚线取暖器
JP4761894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用熱交換ユニットのドレン排水装置
KR20000017509A (ko) 공기 조화기의 전방 그릴용 제어 박스 도어와 유선형 덮개
CN209930771U (zh) 控制柜散热结构
JP5007692B2 (ja) 設備機器
JP5145978B2 (ja) 換気扇
JP5791789B2 (ja) 換気扇
JP5531404B2 (ja) 設備機器
CN111207452A (zh) 电控盒和窗式空调器
CN210197605U (zh) 空调器
JP2007245893A (ja) 空調用の配管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2008144978A (ja) 送風端末装置
WO2006035747A1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CN112013532A (zh) 导风装置、具有其的空调室内机和空调系统
CN109812947B (zh) 电控箱及空调器
JP30615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216055956U (zh) 散热组件、箱体组件和电容补偿装置
KR102514548B1 (ko) 환풍기 및 환풍기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