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33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336B1
KR102403336B1 KR1020150191325A KR20150191325A KR102403336B1 KR 102403336 B1 KR102403336 B1 KR 102403336B1 KR 1020150191325 A KR1020150191325 A KR 1020150191325A KR 20150191325 A KR20150191325 A KR 20150191325A KR 102403336 B1 KR102403336 B1 KR 102403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control box
edge portion
receiving unit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105A (ko
Inventor
정창훈
김연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336B1/ko
Priority to EP16207114.6A priority patent/EP3187794B1/en
Priority to US15/394,440 priority patent/US10544947B2/en
Priority to CN201611253858.4A priority patent/CN106931511B/zh
Publication of KR2017008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컨트롤박스 내로 수분유입이 차단되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제어기판이 수용되고, 일측면이 개구되는 컨트롤박스와,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이 안착되어 장착되는 베이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로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중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열교환기를 통과시켜서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본체의 개구된 하측에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흡토출 유닛이 결합된다. 상기 본체는 천장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 흡토출 유닛은 천장 외부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보이게 된다.
상기 흡토출 유닛은 상기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베인에는 일측에 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베인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공기토출구를 개폐한다. 그런데, 상기 베인의 일측에만 모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베인이 상기 공기토출구를 닫았을 때, 상기 베인은 모터가 설치된 일측에서 모터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까지 상기 공기토출구를 균일하게 닫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흡토출 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제어하거나 표시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중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맺힌 응축수가 낙하하면서 상기 컨트롤박스 내로 유입되어, 상기 컨트롤박스 내에 설치되는 제어기판까지 침투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내의 냉매배관의 누설상태 및 전선의 이상유무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는 바, 상기 흡토출 유닛을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베인이 공기토출구를 균일하게 닫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컨트롤박스 내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외관디자인이 향상되고, 점검이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제어기판이 수용되고, 일측면이 개구되는 컨트롤박스와,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이 안착되어 장착되는 베이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로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제어기판이 수용되고, 일측면이 개구되는 컨트롤박스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제1 에지부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제2 에지부와,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2 에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 및 상기 공기흡입구를 구획하는 격판부와, 상기 제1 에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에지부와, 상기 제1 에지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이 안착되어 장착되는 제4 에지부와, 상기 제2 에지부 및 상기 격판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가 형성되는 제5 에지부와, 상기 제2 에지부 및 상기 격판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가 형성되는 제6 에지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에지부에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로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가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브릿지로 인해 베인이 공기토출구를 균일하게 닫게 되므로, 외관디자인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 및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로 인해, 컨트롤박스 내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장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점검구 커버에 형성되는 탈거용 손잡이가 흡입그릴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되므로, 외관디자인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으며, 상기 점검구 커버를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한 후, 점검구를 통해 본체 내의 구성물 및 배선상태를 수리 및 점검할 수 있으므로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토출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토출 유닛을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토출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베인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베인이 브릿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베인이 공기토출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베인이 공기토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베인의 회전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제4 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컨트롤박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컨트롤박스의 반대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흡입그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점검구 커버가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점검구 커버가 베이스패널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점검구 커버가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점검구 커버가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는 후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본체(100)와 흡토출 유닛(2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가 빈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개구된다. 본체(100)는 실내의 천장 내부에 설치되고, 흡토출 유닛(200)은 본체(100)의 개구된 하단에 결합되어 천장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흡토출 유닛(200)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송풍기와,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할 수 있고, 공기 중의 이물질은 상기 필터에 걸러질 수 있다.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될 수 있고, 이후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토출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토출 유닛을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토출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흡토출 유닛(200)은 베이스패널(10)과, 베인(20)과, 흡입그릴(30)과, 제1 점검구 커버(40)와, 제2 점검구 커버(50)를 포함한다. 흡토출 유닛(200)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일 때, 베이스패널(10)의 하측면에 베인(20), 흡입그릴(30), 제1 점검구 커버(40) 및 제2 점검구 커버(50)가 배치된다. 이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상측 및 하측에 대한 용어는 흡토출 유닛(200)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측 및 하측을 의미한다.
베이스패널(1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패널(10)은 격판부(17)와, 격판부(11)를 둘러싸고 흡토출 유닛(20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에지부(11)(12)(13)(14)(15)(16)를 포함한다.
격판부(17)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에지부(11)(12)(13)(14)(15)(16)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격판부(17)의 하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격판부(17)는 베이스패널(10)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에지부(11)(12)(13)(14)(15)(16)는 격판부(17)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에지부(11)와, 격판부(17)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에지부(12)와, 제1 에지부(11)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에지부(13)와, 제1 에지부(1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에지부(14)와, 격판부(17) 및 제2 에지부(12)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5 에지부(15)와, 격판부(17) 및 제2 에지부(1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6 에지부(16)를 포함한다. 제5 에지부(15)는 제3 에지부(13)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6 에지부(16)는 제4 에지부(14)의 후방에 배치된다.
에지부(11)(12)(13)(14)(15)(16)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즉, 제1 에지부(11)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또한, 제2 에지부(12)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또한, 제3 에지부(13)는 격판부(17)의 전방 좌측 모서리와 제3 에지부(13)의 전방 좌측 모서리를 지나는 사선으로 둘로 나눴을 때, 제1 에지부(11)에 가까운 부분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되고, 제5 에지부(15)에 가까운 부분은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또한, 제4 에지부(14)는 격판부(17)의 전방 우측 모서리와 제4 에지부(14)의 전방 우측 모서리를 지나는 사선으로 둘로 나눴을 때, 제1 에지부(11)에 가까운 부분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되고, 제6 에지부(16)에 가까운 부분은 우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또한, 제5 에지부(15)는 격판부(17)의 후방 좌측 모서리와 제5 에지부(15)의 후방 좌측 모서리를 지나는 사선으로 둘로 나눴을 때, 제3 에지부(13)와 가까운 부분은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되고, 제2 에지부(12)와 가까운 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또한, 제6 에지부(16)는 격판부(17)의 후방 우측 모서리와 제6 에지부(16)의 후방 우측 모서리를 지나는 사선으로 둘로 나눴을 때, 제4 에지부(14)와 가까운 부분은 우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되고, 제2 에지부(12)와 가까운 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제1 에지부(11)는 베이스패널(10)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제2 에지부(12)는 베이스패널(10)의 후방부를 형성한다. 제1 에지부(11) 및 제2 에지부(12)는 격판부(17)와 동일한 좌우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에지부(11)는 제2 에지부(12)보다 짧은 전후길이로 형성되고, 제2 에지부(12)는 제1 에지부(11)보다 긴 전후길이로 형성된다. 제1 에지부(11)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11A)가 형성되고, 제2 에지부(12)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12A)가 형성된다. 공기토출구(11A) 및 공기흡입구(12A)는 격판부(17)에 의해 구획된다. 공기토출구(11A)는 격판부(17)와 동일한 좌우길이로 형성되고, 공기흡입구(12A)는 격판부(17)보다 짧은 좌우길이로 형성된다.
제1 에지부(11)에는 공기토출구(11A)를 개폐하는 베인(20)과, 공기토출구(11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복수의 루버(61)와, 복수의 루버(61)를 연결하여 복수의 루버(61)가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루버(61)를 동시에 좌우로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62)가 설치된다.
베인(2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공기토출구(11A)를 차폐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있다. 베인(20)은 제1 에지부(11)의 경사도와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베인(20)은 회전축이 좌우방향인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공기토출구(11A)를 개폐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회전용 모터(71)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인(20)은 공기토출구(11A)를 개방시에 후단이 공기토출구(11A)를 통해 베이스패널(10)의 상측으로 삽입되고, 공기토출구(11A)를 닫을시에 후단이 공기토출구(11A)를 통해 베이스패널(10)의 하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복수의 루버(61)는 회전축이 상하방향인 수직하게 배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면서 공기토출구(11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루버(61)는 공기토출구(11A)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링크(62)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로 무빙되면서 복수의 루버(61)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링크(62)는 루버회전용 모터(72)의 구동력에 의해 좌우로 무빙될 수 있다.
베인회전용 모터(71) 및 루버회전용 모터(72)는 제3 에지부(13)의 상측에 설치되는 모터커버(73)에 의해 가리어질 수 있다.
제2 에지부(12)의 하측면에는 공기흡입구(12A)를 일부 가리는 흡입그릴(30)이 설치된다. 흡입그릴(30)은 공기흡입구(12A)와 대응되는 베이스패널(10)에 설치된다. 흡입그릴(30)은 제2 에지부(12)의 경사도와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흡입그릴(30)은 전단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후단이 상하로 회전되면서 베이스패널(10)에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흡입그릴(30)의 전단은 복수의 클립(81)을 통해 격판부(17)의 후단에 결합되고, 흡입그릴(30)의 후단은 복수의 그릴락(82)을 통해 제2 에지부(12)의 후단에 결합된다.
제3 에지부(13)는 베이스패널(10)의 전방 좌측 모서리를 형성하고, 제4 에지부(14)는 베이스패널(10)의 전방 우측 모서리를 형성한다. 제3 에지부(13)의 상측면에는 베인회전용 모터(71) 및 루버회전용 모터(72)가 설치되고, 제4 에지부(14)의 상측면에는 컨트롤박스(91)가 설치된다. 컨트롤박스(91) 내에는 제어기판(92)이 수용된다.
제5 에지부(15)는 베이스패널(10)의 좌측일부와 전방 좌측 모서리를 형성하고, 제6 에지부(16)는 베이스패널(10)의 우측일부와 전방 우측 모서리를 형성한다. 제5 에지부(15)에는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15A)가 형성되고, 제6 에지부(16)에도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16A)가 형성된다.
제3 에지부(13)의 하측면 및 제5 에지부(15)의 하측면에는 제1 점검구 커버(40)가 설치되고, 제4 에지부(14)의 하측면 및 제6 에지부(16)의 하측면에는 제2 점검구 커버(50)가 설치된다. 제1 점검구 커버(40)는 제3 에지부(13) 및 제5 에지부(15)의 하측면을 가리고, 제2 점검구 커버(50)는 제4 에지부(14) 및 제5 에지부(15)의 하측면을 가린다. 제1 점검구 커버(40)는 제3 에지부(13) 및 제5 에지부(15)의 경사도와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점검구 커버(50)는 제4 에지부 및 제6 에지부(16)의 경사도와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기조화기의 점검 또는 고장시 제1 점검구 커버(40) 및 제2 점검구 커버(50)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패널(10)로부터 탈거한 후, 점검구(15A)(16A)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본체(100) 내의 구성물 및 배선상태를 점검 또는 수리할 수 있다.
도 5는 베인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베인이 브릿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베인이 공기토출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베인이 공기토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베인(20)에는 회전축(21)(22)이 형성된다. 회전축(21)(22)은 베인(20)의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베인회전용 모터(71)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메인 회전축(21)과, 베인(20)의 배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회전축(22)을 포함한다. 서브 회전축(22)은 베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회전축(21)이 베인회전용 모터(7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베인(20)을 회전시키면, 서브 회전축(22)은 메인 회전축(21)의 회전력을 고르게 분산시켜서 베인(2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패널(10)의 배면에는 베인(20)의 회전축(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브릿지(18)가 형성된다. 브릿지(18)는 회전축(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베인(20)이 회전축(2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공기토출구(11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브릿지(18)는 공기토출구(11A)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질러 양단이 베이스패널(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브릿지(18)의 일단은 제1 에지부(11)에 일체로 형성되고, 브릿지(18)의 타단은 격판부(17)에 일체로 형성된다.
베인용회전용 모터(71)가 베인(20)의 좌측에만 결합되기 때문에, 베인(20)이 공기토출구(11A)의 좌측에서 우측까지 균일하게 닫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브릿지(18)는 양단이 베이스패널(10)에 지지되기 때문에, 베인(20)에 밀착력을 제공하여 베인(20)이 베이스패널(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서, 베인(20)이 공기토출구(11A)를 좌측에서 우측까지 균일하게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브릿지(18)는 판체로 형성된다. 브릿지(18)는 몸체부(18A)와 갈고리부(18B)를 포함한다. 몸체부(18A)는 갈고리부(18B)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고, 갈고리부(18B)는 몸체부(18A)의 후단 상부에서 돌출되어 소정의 곡률의 하측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몸체부(18A) 및 갈고리부(18B) 사이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베인회동홈(18C)이 형성된다. 베인(20)이 공기토출구(11A)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축(22)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베인(20)의 전단이 하측으로 내려갈 때, 베인(20)의 후단은 베인회동홈(18C)으로 삽입된다. 즉, 베인회동홈(18C)은 베인(20)에 회동공간을 제공한다.
브릿지(18)에는 베인회동홈(18C)의 내측 전방에 베인(20)의 회전축(22)이 결합되는 힌지홈(18D)이 형성된다. 힌지홈(18D)은 몸체부(18A)의 후단에 형성되어 베인회동홈(18C)과 연통된다. 그리고, 몸체부(18A)의 전단에는 링크(62)가 관통하는 관통홈(18E)이 형성된다. 링크(62)는 루버회전용 모터(72)의 구동력에 의해 관통홈(18E) 내에서 좌우로 무빙될 수 있다.
그런데, 브릿지(18)는 베인회동홈(18C), 힌지홈(18D) 및 관통홈(18E)이 형성되기 때문에, 지나치게 많은 홈으로 인해 강성이 약해서, 베인(20)의 회동시에 파손될 우려가 있다. 브릿지(18)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브릿지(18)의 몸체부(18A)에는 복수의 리브(18F)(18G)(18H)(18I)(18J)가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리브(18F)(18G)(18H)(18I)(18J)는 몸체부(18A)의 좌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몸체부(18A)의 우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몸체부(18A)의 양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복수의 리브(18F)(18G)(18H)(18I)(18J)는 몸체부(18A)의 좌측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리브(18F)(18G)(18H)(18I)(18J)는 힌지홈(18D)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힌지홈(18D)의 좌측에 형성된 힌지홈 리브(18F)와, 관통홈(18E)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홈(18E)의 좌측에 형성된 관통홈 리브(18G)와, 힌지홈 리브(18F) 및 관통홈 리브(18G)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리브(18H)(18I)(18J)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리브(18H)(18I)(18J)는, 힌지홈 리브(18F)의 상단 및 관통홈 리브(18G)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리브(18H)와, 힌지홈 리브(18F)의 하단 및 관통홈 리브(18G)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리브(18I)와, 힌지홈 리브(18F)의 양단 사이 및 관통홈 리브(18G)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결 리브(18J)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리브(18H) 및 제2 연결 리브(18I)는,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18A)의 테두리 일측을 지난다. 즉, 제1 연결 리브(18H)는 힌지홈 리브(18F)의 상단에서부터 몸체부(18A)의 테두리 상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다가, 몸체부(18A)의 테두리 상단에서부터 관통홈 리브(18G)의 상단까지는 몸체부(18A)의 테두리 상단 및 전단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연결 리브(18I)는 힌지홈 리브(18F)의 하단에서부터 관통홈 리브(18G)의 하단까지 몸체부(18A)의 테두리 하단 및 전단 일측에 형성된다.
브릿지(18)의 몸체부(18A)에는 제4 연결 리브(18K), 제5 연결 리브(18L), 제6 연결 리브(18M) 및 제7 연결 리브(18N)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 연결 리브(18K)는 관통홈 리브(18G) 및 제1 연결 리브(18H)를 연결하고, 상하로 곧게 형성된다. 제5 연결 리브(18L)는 관통홈 리브(18G) 및 제2 연결 리브(18I)를 연결하고, 상하로 곧게 형성된다. 제6 연결 리브(18M)는 제1 연결 리브(18H) 및 제3 연결 리브(18J)를 연결하고, 상하로 곧게 형성된다. 제7 연결 리브(18N)는 제2 연결 리브(18I) 및 3 연결 리브(18J)를 연결하고, 상하로 곧게 형성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베인의 회전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베인(20)의 회전축(22)은, 베이스축(22A)과, 베이스축(22A)을 감싸는 베이스축 커버(22B)를 포함한다. 베이스축 커버(22B)는 베이스축(22A)과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베인(20)의 회전 동작시에 브릿지(18)와의 마찰을 줄여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베인(20)에는 커버 결합편(23)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축(22A)은 커버 결합편(23)의 우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커버 결합편(23)에는 후크홀(23A)이 형성되고, 베이스축 커버(22B)에는 후크홀(23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후크돌기(22C)가 형성된다. 즉, 베이스축 커버(22B)는 커버 결합편(23)에 후크결합됨으로써, 커버 결합편(23)에 결합이 용이해진다. 후크홀(23A)은 베이스축(22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고, 후크돌기(22C)는 후크홀(23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제4 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컨트롤박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컨트롤박스의 반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박스(91)는 베이스패널(10) 중 제4 에지부(14)의 상측면에 장착된다. 컨트롤박스(91)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제어 및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91)는 제4 에지부(14)에 하측면이 안착되어 제4 에지부(14)에 결합된다. 컨트롤박스(91)의 외측면에는 체결홀(91A)이 형성된 체결편(91B)이 돌출 형성되고, 제4 에지부(14)의 상측면에는 체결홀(91A)로 삽입되어 컨트롤박스(91)를 제4 에지부(14)에 결합하는 체결돌기(14A)가 형성된다.
컨트롤박스(91)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그 빈공간에는 제어기판(92)이 수용된다. 제어기판(92)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어기판(92)에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수신부(93)와, 수신부(9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수신부(93)에 특정 제어신호 입력시 빛을 생성하는 광원(94)(95)이 장착된다. 수신부(93)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광원(94)(95)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될 수 있다. 광원(94)(95)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는 광원(94)(95)이 생성한 빛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부(93)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광원(94)(95)이 생성한 빛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컨트롤박스(91)는 제4 에지부(14)에 안착되는 하측면이 개구된다. 따라서, 컨트롤박스(91)가 제4 에지부(14)에 장착된 상태일 때, 본체(100) 내의 실내열교환기에 맺힌 응축수가 제4 에지부(14)로 낙하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컨트롤박스(9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어기판(92)까지 침투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오작동 및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상기 응축수가 컨트롤박스(9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4 에지부(14)의 상측면에는 컨트롤박스(91)의 개구된 하측면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는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와, 컨트롤박스(91)의 개구된 하측면의 테두리 내측을 감싸는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가 형성된다. 컨트롤박스(91)가 제4 에지부(14)에 장착된 상태이면, 컨트롤박스(91)의 개구된 하측면의 테두리는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 및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 사이로 삽입 배치된다.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는 제4 에지부(14)로 낙하된 응축수가 컨트롤박스(91) 내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응축수가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를 넘어서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 및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 사이로 이동된다 하더라도,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는 상기 응축수가 컨트롤박스(91) 내로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한다.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 및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는 컨트롤박스(91)의 개구된 하측면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는 일측이 개구되어 배수홈(14D)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을 넘어서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 및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 사이로 유입된 상기 응축수는 배수홈(14D)을 통해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의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배수홈(14D)은 제4 에지부(14)에서 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홈(14D)은 제4 에지부(14) 중 격판부(17)와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C)는 일측이 개구되어 제어기판(92)과 연결된 전선이 빠져나오는 배선홈(14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가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를 넘어서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 및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 사이로 이동되더라도, 제어기판(92)과 연결된 전선을 타고 컨트롤박스(9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선홈(14E)은 제4 에지부(14)에서 높이가 가장 높은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선홈(14E)은 제4 에지부(14) 중 격판부(17)와 먼 부분에 형성된다.
제4 에지부(14)에는 수신부(93)가 삽입되는 수신부홀(14F)이 형성된다. 수신부홀(14F)은 제4 에지부(14) 중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가 구획하는 내측 부분에 형성된다. 수신부홀(14F)은 수신부(93)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제어기판(92)에 인쇄된 회로가 수신부홀(14F)을 통해 최대한 보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광원(94)(95)이 생성한 빛이 수신부홀(14F)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에지부(14)의 하측면에는 수신부홀(14F)을 차폐하는 수신부 윈도우(96)가 설치된다. 수신부 윈도우(96)는 수신부홀(14F)을 차폐하여 수신부(93)를 보호한다. 수신부 윈도우(96)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고, 광원(94)(95)이 생성한 빛을 통과시키는 재질 및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4 에지부(14) 및 제6 에지부(16)의 하측면에는 제2 점검구 커버(50)가 설치되는 바, 수신부 윈도우(96)는 제4 에지부(14) 및 제2 점검구 커버(5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점검구 커버(50)에는 수신부 윈도우(96)를 노출시키는 윈도우홀(51)이 형성된다. 수신부 윈도우(96)는 일부가 윈도우홀(51)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수신부 윈도우(96)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볼록부가 윈도우홀(51)로 삽입될 수 있다. 윈도우홀(51)은 수신부홀(14F)과 마찬가지로 광원(94)(95)이 생성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3 에지부(13) 및 제5 에지부(15)에는 제1 점검구 커버(40)가 결합되고, 제4 에지부(14) 및 제6 에지부(16) 에는 제2 점검구 커버(50)가 결합되는 바, 제3 에지부(13) 및 제5 에지부(15)에는 제1 점검구 커버(40)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홀(19A)(19B)이 형성되고, 제4 에지부(14) 및 제6 에지부(16)에는 제2 점검구 커버(50)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홀(19A)(19B)이 형성된다. 즉, 제1 점검구 커버(40)는 제3 에지부(13) 및 제5 에지부(15)에 후크결합되고, 제2 점검구 커버(50)는 제4 에지부(14) 및 제6 에지부(16)에 후크결합된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흡입그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점검구 커버가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점검구 커버가 베이스패널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점검구 커버가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는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점검구 커버가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는 후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점검구 커버(40) 및 제2 점검구 커버(50)에는 탈거용 손잡이(42)(52)가 각각 형성된다. 제2 점검구 커버(50)는 제1 점검구 커버(40)에 비해 윈도우홀(51)이 더 형성된다는 점만 빼고는, 제1 점검구 커버(40) 및 제2 점검구 커버(50)는 동일하게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제2 점검구 커버(50) 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점검구 커버(50)에는 가장자리인 우측의 반대편면인 좌측에 탈거용 손잡이(52)가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공기조화기의 점검을 위해 점검구 커버(50)를 베이스패널(10)로부터 탈거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탈거용 손잡이(52)를 당기면, 점검구 커버(50)는 탈거용 손잡이(52)가 형성된 좌측에서부터 가장자리인 우측을 향해 회동하면서 베이스패널(10)로부터 탈거된다.
탈거용 손잡이(52)는 흡입그릴(30)이 제2 에지부(12)에 설치된 상태일 때, 제2 에지부(12) 및 흡입그릴(30)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탈거용 손잡이(52)가 점검구 커버(50)의 가장자리인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공기조화기의 외관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검구 커버(50)를 베이스패널(10)로부터 탈거하고자 할 경우, 흡입그릴(30)을 베이스패널(10)로부터 먼저 탈거한 후, 탈거용 손잡이(52)를 당겨 점검구 커버(50)를 탈거할 수 있다.
점검구 커버(50)의 상측면에는 후크홀(19A)(19B)로 삽입되어 베이스패널(10)에 결합되는 후크돌기(53)(54)가 형성된다. 후크돌기(53)(54)는 탈거용 손잡이(52)와 근접한 제1 후크돌기(53)와, 제1 후크돌기(53)로부터 점검구 커버(50)의 가장자리인 우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후크돌기(54)를 포함한다. 제2 후크돌기(54)는 탈거용 손잡이(52)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 후크돌기(53)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후크돌기(53) 및 제2 후크돌기(54)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후크돌기(53)는 점검구 커버(50)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제2 후크돌기(54)도 점검구 커버(50)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후크홀(19A)(19B)은 제1 후크돌기(53)가 삽입되는 제1 후크홀(53)과 제2 후크돌기(54)가 삽입되는 제2 후크홀(19B)을 포함한다. 제1 후크홀(19A) 및 제2 후크홀(19B)은 제1 후크돌기(53) 및 제2 후크돌기(54)의 위치 및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4 에지부(14) 및 제6 에지부(16)는 제1 후크홀(19A)을 형성하는 좌측면이 제1 경사면(19C)으로 형성되고, 제2 후크홀(19B)을 형성하는 우측면이 제2 경사면(19D)으로 형성된다. 제1 경사면(19C) 및 제2 경사면(19D)은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다.
제1 후크돌기(53)의 끝단에는 점검구 커버(50)의 가장자리를 향하는 반대편면인 좌측면에 제1 걸림돌기(53A)가 형성되고, 제2 후크돌기(54)의 끝단에는 점검구 커버(50)의 가장자리를 향하는 면인 우측면에 제2 걸림돌기(54A)가 형성된다. 제1 후크돌기(53)가 제1 후크홀(19A)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면, 제1 걸림돌기(53A)는 제1 경사면(19C)의 상단에 걸림된다. 또한, 제2 후크돌기(54)가 제2 후크홀(19B)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면, 제2 걸림돌기(54A)는 제2 경사면(19D)의 상단에 걸림된다.
사용자가 흡입그릴(30)을 베이스패널(10)로부터 탈거한 후, 탈거용 손잡이(52)를 당기면, 점검구 커버(50)는 제2 후크돌기(54)를 회전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패널(10)로부터 탈거된다. 점검구 커버(50)는 베이스패널(10)로부터 탈거되는 도중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크돌기(54)가 베이스패널(10)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1 후크돌기(53)가 제1 경사면(19C)에 접촉되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2 후크돌기(54)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54A)는 제2 경사면(19D)의 상단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점검구 커버(50)가 실내의 바닥으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브릿지(18)로 인해 베인(20)이 공기토출구(11A)를 균일하게 닫게 되므로, 외관디자인이 향상된다.
또한,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14B) 및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14C)로 인해, 컨트롤박스(91) 내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장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검구 커버(40)(50)에 형성되는 탈거용 손잡이(42)(52)가 흡입그릴(30)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되므로, 외관디자인이 향상되며, 점검구 커버(40)(50)를 베이스패널(10)로부터 탈거한 후, 점검구(15A)(16A)를 통해 본체(100) 내의 구성물 및 배선상태를 수리 및 점검할 수 있으므로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베이스패널 11: 제1 에지부
11A: 공기토출구 12: 제2 에지부
12A: 공기흡입구 13: 제3 에지부
14: 제4 에지부 14B: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
14C: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 14D: 배수홈
14E: 배선홈 14F: 수신부홀
15: 제5 에지부 16: 제6 에지부
17: 격판부 18: 브릿지
18A: 몸체부 18B: 갈고리부
18C: 베인회동홈 18D: 힌지홈
18E: 관통홈 18F: 힌지홈 리브
18G: 관통홈 리브 18H: 제1 연결 리브
18I: 제2 연결 리브 18J: 제3 연결 리브
18K: 제4 연결 리브 18L: 제5 연결 리브
18M: 제6 연결 리브 18N: 제 7 연결 리브
19A: 제1 후크홀 19B: 제2 후크홀
19C: 제1 경사면 19D: 제2 경사면
20: 베인 22: 회전축
22A: 베이스축 22B: 베이스축 커버
22C: 후크돌기 23: 커버 결합편
23A: 후크홀 30: 흡입그릴
40: 제1 점검구 커버 50: 제2 점검구 커버
51: 윈도우홀 52: 탈거용 손잡이
53: 제1 후크돌기 53A: 제2 걸림돌기
54: 제2 후크돌기 54A: 제2 걸림돌기
61: 루버 62: 링크
71: 베인회전용 모터 72: 루버회전용 모터
73: 모터커버 81: 클립
82: 그릴락 91: 컨트롤박스
92: 제어기판 93: 수신부
94,95: 광원 96: 수신부 윈도우
100: 본체 200: 흡토출 유닛

Claims (20)

  1. 내부에 제어기판이 수용되고, 일측면이 개구되는 컨트롤박스; 및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이 안착되어 장착되는 베이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로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에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수신부에 특정 제어신호 입력시 빛을 생성하는 광원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수신부가 삽입되는 수신부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홀을 차폐하는 수신부 윈도우와, 상기 수신부 윈도우를 노출시키는 윈도우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점검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 내측을 감싸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로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가 더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컨트롤박스가 장착되는 부분이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는 일측이 개구되어 배수홈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어기판과 연결된 전선이 빠져나오는 배선홈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윈도우는 상기 베이스패널 및 상기 점검구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1. 내부에 제어기판이 수용되고, 일측면이 개구되는 컨트롤박스;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제1 에지부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제2 에지부와,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2 에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 및 상기 공기흡입구를 구획하는 격판부와, 상기 제1 에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에지부와, 상기 제1 에지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이 안착되어 장착되는 제4 에지부와, 상기 제2 에지부 및 상기 격판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가 형성되는 제5 에지부와, 상기 제2 에지부 및 상기 격판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가 형성되는 제6 에지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에지부에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로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에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수신부에 특정 제어신호 입력시 빛을 생성하는 광원이 장착되고,
    상기 제4 에지부에는 상기 수신부가 삽입되는 수신부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홀을 차폐하는 수신부 윈도우와, 상기 수신부 윈도우를 노출시키는 윈도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 에지부 및 상기 제6 에지부에 결합되는 점검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4 에지부에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 내측을 감싸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로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가 더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분유입 방지리브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개구된 일측면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4 에지부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는 일측이 개구되어 배수홈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분유입 방지리브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어기판과 연결된 전선이 빠져나오는 배선홈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18. 삭제
  19. 삭제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윈도우는 상기 제4 에지부 및 상기 점검구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50191325A 2015-12-31 2015-12-31 공기조화기 KR102403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25A KR102403336B1 (ko) 2015-12-31 2015-12-31 공기조화기
EP16207114.6A EP3187794B1 (en) 2015-12-31 2016-12-28 Air conditioner
US15/394,440 US10544947B2 (en) 2015-12-31 2016-12-29 Air conditioner
CN201611253858.4A CN106931511B (zh) 2015-12-31 2016-12-30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25A KR102403336B1 (ko) 2015-12-31 2015-12-3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05A KR20170080105A (ko) 2017-07-10
KR102403336B1 true KR102403336B1 (ko) 2022-05-27

Family

ID=5761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325A KR102403336B1 (ko) 2015-12-31 2015-12-3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44947B2 (ko)
EP (1) EP3187794B1 (ko)
KR (1) KR102403336B1 (ko)
CN (1) CN106931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1858B1 (en) * 2017-02-09 2021-01-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eiling-embedded type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N208832687U (zh) * 2017-03-14 2019-05-07 三菱电机株式会社 天花板埋入式空调机
JP2019178826A (ja) * 2018-03-30 2019-10-1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7161667B2 (ja) * 2018-03-30 2022-10-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11684226B2 (en) * 2018-04-30 2023-06-27 Emerson Electric Co. Motor cover for wet/dry vacuum cleaner with vent openings
JP7146610B2 (ja) * 2018-12-17 2022-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11105519B2 (en) 2019-07-08 2021-08-3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KR102296047B1 (ko) * 2019-07-08 2021-08-31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공기 조화기
CN217357175U (zh) * 2022-01-13 2022-09-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87B1 (ko) * 2007-03-26 2008-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의 컨트롤박스 설치구조
JP2009041836A (ja) * 2007-08-08 2009-02-26 Daikin Ind Ltd 空調機用室内機
JP2010065905A (ja) * 2008-09-09 2010-03-25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81C (zh) * 2000-01-28 2004-04-07 东芝开利株式会社 用于装在天花板上的盒式空调机
JP3669315B2 (ja) * 2001-09-21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0337070C (zh) * 2003-04-30 2007-09-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机的配线结构
US7040543B2 (en) * 2003-07-18 2006-05-09 A-1 Components Corporation Air temperature control assembly for infrared remote
CN1755214A (zh) * 2004-09-30 2006-04-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分离式空调室内机
EP2017543B1 (en) * 2006-04-28 2015-08-19 Toshiba Carrier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7735332B2 (en) * 2006-07-03 2010-06-1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1308339B1 (ko) * 2006-11-06 2013-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8275230A (ja) * 2007-04-27 2008-11-1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KR101440519B1 (ko) * 2008-01-07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32576B1 (ko) * 2008-11-28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CN201628354U (zh) * 2010-04-14 2010-1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导水装置及具有该导水装置的空调器
CN202675560U (zh) * 2012-07-20 2013-01-16 海尔集团公司 空调机面板与空调机
CA2956247C (en) * 2015-03-31 2020-08-18 Midea Group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87B1 (ko) * 2007-03-26 2008-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의 컨트롤박스 설치구조
JP2009041836A (ja) * 2007-08-08 2009-02-26 Daikin Ind Ltd 空調機用室内機
JP2010065905A (ja) * 2008-09-09 2010-03-25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31511B (zh) 2020-03-27
EP3187794A1 (en) 2017-07-05
CN106931511A (zh) 2017-07-07
KR20170080105A (ko) 2017-07-10
US20170191677A1 (en) 2017-07-06
US10544947B2 (en) 2020-01-28
EP3187794B1 (en)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336B1 (ko) 공기조화기
KR101742502B1 (ko) 공기조화기
KR102403337B1 (ko) 공기조화기
US20050097915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17013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0506896B1 (ko) 공기조화기
KR10064236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8289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37318B1 (ko) 공기조화기
JP4510667B2 (ja) 通風路構造
KR100629339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60006968A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0642363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그릴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11621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70713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20070005178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28672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20230085492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22075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13827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착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