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89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896B1
KR100506896B1 KR10-2002-0038506A KR20020038506A KR100506896B1 KR 100506896 B1 KR100506896 B1 KR 100506896B1 KR 20020038506 A KR20020038506 A KR 20020038506A KR 100506896 B1 KR100506896 B1 KR 10050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evaporator
gril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730A (ko
Inventor
서강태
신송배
주의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896B1/ko
Priority to CNB021468435A priority patent/CN1245597C/zh
Publication of KR2004000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 및 측면 흡입구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의 후면 및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후면 흡입그릴과 측면 흡입그릴을 마련함으로써, 사람의 시선이 주로 닿는 케이스의 전면측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그릴만을 구비하여, 케이스 전면측에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장식재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면 및 측면 흡입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조화하는 장치로써,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분된다.
실외기는 내부에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팬이 구비되어, 냉방 운전시 실외공기를 팬을 이용하여 흡입하고 응축기를 응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실내기는 내부에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와 팬 등이 설치된 것으로, 냉방 운전시 팬의 흡입 송풍력에 의해 실내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고, 계속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냉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개방된 리어 케이스와(1R)과, 리어 케이스(1R)의 전방을 덮도록 설치되는 프론트 케이스(1F)가 서로 결합하여 케이스(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방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증발기(미도시)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공기를 다시 전방측으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프론트 케이스(1F)의 전방측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2)과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그릴(3)이 마련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거울 등의 장식재를 설치하고자할 경우, 주로 사람의 눈에 들어오는 프론트 케이스(1F)에는 흡입그릴(2)과 토출그릴(3)이 마련되어 장식재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장식재의 설치가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삭제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측과 양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이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측에는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다시 상기 케이스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그릴이 마련되며,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케이스의 후방측에 상기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후면 흡입그릴과,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되 후면측으로부터 측면측으로 진행하며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마련되는 측면 흡입그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후면이 벽면에 부착되며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개방부를 덮는 프론트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후면 흡입그릴 및 상기 측면 흡입그릴은 상기 리어 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마련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후면 흡입그릴 및 상기 측면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받아 외부로 안내하는 응축수받이와,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후면 흡입그릴 및 상기 측면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그릴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송풍팬과, 상기 증발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응축수받이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증발기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터보팬이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후면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후면 열교환부와, 상기 후면측 열교환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면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측면 열교환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실과,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그릴로 안내하는 가이드실로 분할하는 분할판이 구비되며, 상기 분할판에는 상기 열교환실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가이드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분할판에는 상기 송풍팬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송풍팬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를 상기 토출그릴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냉동사이클 구성부품이 설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후면이 벽에 부착되며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리어 케이스(10R)와, 리어 케이스(10R)의 개방부를 덮는 프론트 케이스(10F)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리어 케이스(10R)에는 후면 및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후면 흡입그릴(11R)과 측면 흡입그릴(11S)이 각각 마련되며, 프론트 케이스(10R)에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토출그릴(12)이 마련되어 있다.
후면 흡입그릴(11R)은 리어 케이스(10R) 후면에 마련되며 리어 케이스(10R)의 후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리어 케이스(10R)가 벽에 밀착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벽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어, 이를 통해 공기가 후면 흡입그릴(11R)로 안내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측면 흡입그릴(11S)은 리어 케이스(10R)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데, 리어 케이스(10R)의 후면으로부터 측면을 향하여 소정곡률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 흡입그릴(11S)은 대략 사분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0) 내에는 후면 흡입그릴(11R)과 측면 흡입그릴(11S)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13)와, 공기가 후면 흡입그릴(11R) 및 측면 흡입그릴(11S)을 통해 유입되어 증발기(13)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후 토출그릴(12)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14)과, 송풍팬(1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가 케이스(10)의 후방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13)의 하부에는 증발기(13)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받이(16)가 구비된다.
증발기(13)는 후면 토출그릴(11R)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후면 토출그릴(11R)을 통해 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후면 열교환부(13R)와, 후면 열교환부(13R)의 양 끝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측면 흡입그릴(11S)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측면 열교환부(13S)로 이루어져,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응축수받이(16) 역시 증발기(13)와 대응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모터(15)에 의해 회전하며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4)은 후방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터보팬으로 이루어져, 리어 케이스(10R)에 마련된 후면 흡입그릴(11R)과 측면 흡입그릴(11S)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 내에는 송풍팬(14)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할판(17)이 마련된다. 분할판(17)은 증발기(13)와 송풍팬(14)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스(10) 내부를 외부공기가 증발기(13)와 열교환하는 열교환실(18:도4 참조)과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그릴(12)로 안내하는 가이드실(19:도4 참조)로 분할하도록 되어 있으며, 분할판(17)의 중앙에는 열교환하여 냉각된 공기가 열교환실(18)로부터 가이드실(19)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17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할판(17)에는 송풍팬의 외측을 감싸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7b)가 마련되어 있어 가이드부(17b)에 의해 공기가 토출그릴(12)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토출그릴(12)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 풍향조절날개(12a)가 구비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 풍향조절날개(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및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면 도 4,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풍팬(14)이 회전하면서 후면 흡입그릴(11R) 및 측면 흡입그릴(11S)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리어 케이스(10R)에는 후면 흡입그릴(11R) 및 측면 흡입그릴(11S)과 인접하게 증발기(1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13)와 열교환하며 냉각된다. 이 때,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습기의 일부는 증발기(13)에 응축되어 응축수가 생성되는데, 응축수는 증발기(13) 하부에 마련된 응축수받이(16)에 의해 모아져 외부로 배출된다.
증발기(13)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14)에 의해 관통공(17a)을 통과하여 송풍팬(1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진행한다. 송풍팬(14)의 외측에는 가이드부(17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냉각된 공기는 가이드부(17b)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10F)의 하부에 마련된 토출그릴(12)로 안내되고 그에 따라 냉각된 공기는 토출그릴(12)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를 냉각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케이스(10)의 후면 및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하고 냉각된 공기를 전방측으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의 눈이 주로 닿는 프론트 케이스(10F)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12)만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론트 케이스(11F)에는 거울 등,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이 케이스의 후면 및 측면에 마련되며, 케이스의 전방측에는 토출그릴 만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면에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식물 등의 부착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1R: 후면 흡입그릴
11S: 측면 흡입그릴 12: 토출그릴
13: 증발기 14: 송풍팬
15: 구동모터 16: 응축수받이
17: 분할판 18: 열교환실
19: 가이드실

Claims (11)

  1. 삭제
  2.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측과 양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이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측에는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다시 상기 케이스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그릴이 마련되며,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케이스의 후방측에 상기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후면 흡입그릴과,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되 후면측으로부터 측면측으로 진행하며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마련되는 측면 흡입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후면이 벽면에 부착되며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개방부를 덮는 프론트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후면 흡입그릴 및 상기 측면 흡입그릴은 상기 리어 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후면 흡입그릴 및 상기 측면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받아 외부로 안내하는 응축수받이와,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후면 흡입그릴 및 상기 측면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그릴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송풍팬과, 상기 증발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응축수받이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증발기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터보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후면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후면 열교환부와, 상기 후면측 열교환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면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측면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실과,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그릴로 안내하는 가이드실로 분할하는 분할판이 구비되며,
    상기 분할판에는 상기 열교환실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가이드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에는 상기 송풍팬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송풍팬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를 상기 토출그릴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2-0038506A 2002-07-04 2002-07-04 공기조화기 KR100506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506A KR100506896B1 (ko) 2002-07-04 2002-07-04 공기조화기
CNB021468435A CN1245597C (zh) 2002-07-04 2002-10-15 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506A KR100506896B1 (ko) 2002-07-04 2002-07-0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730A KR20040003730A (ko) 2004-01-13
KR100506896B1 true KR100506896B1 (ko) 2005-08-08

Family

ID=3419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506A KR100506896B1 (ko) 2002-07-04 2002-07-0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06896B1 (ko)
CN (1) CN124559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800B1 (ko) * 2006-01-26 2013-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217B1 (ko) * 2004-03-04 2011-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베이스구조
CN107869779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76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63B (zh) * 2016-09-23 2020-08-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59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74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80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58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61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68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1748U (ko) * 1976-10-06 1978-05-02
JPS56105721U (ko) * 1980-01-17 1981-08-18
JPS599435A (ja) * 1982-07-08 1984-01-18 Matsushita Seiko Co Ltd 冷暖房機
JPS60175941A (ja) * 1984-02-21 1985-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一体形空気調和機
KR19990009430A (ko) * 1997-07-09 1999-02-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0001651A (ko) * 1999-06-07 2001-01-05 구자홍 3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집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1748U (ko) * 1976-10-06 1978-05-02
JPS56105721U (ko) * 1980-01-17 1981-08-18
JPS599435A (ja) * 1982-07-08 1984-01-18 Matsushita Seiko Co Ltd 冷暖房機
JPS60175941A (ja) * 1984-02-21 1985-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一体形空気調和機
KR19990009430A (ko) * 1997-07-09 1999-02-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0001651A (ko) * 1999-06-07 2001-01-05 구자홍 3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집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800B1 (ko) * 2006-01-26 2013-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730A (ko) 2004-01-13
CN1245597C (zh) 2006-03-15
CN1465924A (zh)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939B1 (ko) 공기 조화기
KR10214973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06896B1 (ko) 공기조화기
EP4265975A2 (en) Air conditioner
KR102613461B1 (ko) 공기조화기
KR1005414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19005359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119140A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190078003A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9990071209A (ko) 창문형 에어콘 그릴 힌지장치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JP2016130606A (ja) 空気調和機
KR100473818B1 (ko) 공기조화기
KR100714592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2343464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2220818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37514A (ko) 공기조화기
KR100557588B1 (ko) 벽걸이용 에어컨
KR2005004762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516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84303B1 (ko) 공기조화기
JP3997793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