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683A -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 Google Patents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683A
KR20210007683A KR1020190084536A KR20190084536A KR20210007683A KR 20210007683 A KR20210007683 A KR 20210007683A KR 1020190084536 A KR1020190084536 A KR 1020190084536A KR 20190084536 A KR20190084536 A KR 20190084536A KR 20210007683 A KR20210007683 A KR 20210007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hammer
gear
smar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석
Original Assignee
서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석 filed Critical 서순석
Priority to KR102019008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683A/ko
Priority to PCT/KR2019/011783 priority patent/WO2021010541A1/ko
Publication of KR2021000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6Hammer pistons; Anvils ; Guide-sleeves fo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11Details of anvils, guide-sleeves o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12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55Switches
    • B25D2250/265Trigger mechanism in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의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는 다단 충격에 의한 강한 가압력으로 펀치가 글래스를 타격하므로 용이하게 글래스를 부술 수 있다. 펀치 팁의 교환은 간단하며 효율적이다. 펀치 팁 대신 드라이버를 끼워 수동 드라이버 또는 래칫 드라이버로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망치에 화재나 연기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비상 사태 발생 시 이를 통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는 견고하고 고장이 없으며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Smart hammer for striking glass}
본 발명은 유리 즉 글래스 타격용 스마트 망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리 타격 시 강한 힘을 가할 수 있고 재난이나 사고 발생 시 이를 감지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육상 및 해상 교통 수단, 특히 버스, 선박, 기차, 지하철이나 승용차에 사고나 재난이 발생한 경우 비상 탈출을 위하여 유리(글래스)를 부수어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비상사태는 교통 수단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건물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유리를 부수고 탈출하기 위한 장치로 간단한 구조의 망치가 있으나, 성인이 강한 힘으로 여러 번 타격해야 유리에 균열이 가는 정도로 재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없다. 유리 재질이 점점 발달함에 따라 역으로 일반 재난용 망치로는 유리를 부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는 것이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6376호는 차량이나 물에 비치된 비상탈출용 망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거치함에 망치를 수납하는 것만으로는 도난의 우려를 피할 수 없다. 도난을 피하기 위하여 케이블 타이 또는 철선으로 망치를 고정하면 비상 시 망치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다.
출원인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2018년 10월 1일 출원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116741호에서 유리창을 타격하는 타격수단과, 타격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포함하며, 타격수단이 하우징, 펀치, 회전가이드핀, 해머 및 지지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 진 스마트 망치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위 특허출원의 내용을 더욱 개량한 것이며, 위 특허출원의 기본적인 구조는 여기서의 참조로 본 발명의 내용에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래스에 강한 타격을 가할 수 있고, 팁의 교환과 수리가 간편하며 드라이버 기능을 겸유할 수 있는 스마트 망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상사태 시 글래스를 타격하기 위한 스마트 망치로서, 상기 스마트 망치는 중앙의 굴곡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에 손가락으로 누름 가능하도록 형성된레버와, 본체에 형성된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며, 본체의 케이스에는 복수의 슬롯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스모크 센서를 장착하고, 본체 상부의 전면에는 타격부를 형성하며, 상기 타격부의 선단에는 타격용 팁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스마트 망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의 공간 내부에 나이프를, 공간의 입구부에는 나이프 자루를 삽입할 수 있다.
스마트 망치의 타격 구조는 상기 팁, 중간핀 및 해머를 포함하며, 팁은 팁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중간핀은 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중간핀의 돌기는 핀 하우징 측면에 형성된 이동 슬롯에 걸리고, 중간핀 뒷쪽에 형성된 원통형의 긴 누름부의 헤드가 해머의 전면 보스에 삽입되어 해머를 우측으로 누르고, 해머의 후면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레버의 고정점으로부터 위로 상향하여 커넥팅로드가 설치되고, 커넥팅로드의 끝단은 샤프트를 통하여 레버 기어에 연결되며, 레버 기어는 셔틀 기어와 치합하고, 셔틀기어는 고정핀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며 슬롯이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핀과 레버를 매개하는 셔틀을 더 포함하고, 셔틀의 상부플랩의 일부는 중간핀의 돌기와 걸림 결합하며, 셔틀의 하부플랩의 일부는 셔틀기어의 상기 슬롯에 걸림 결합하고, 상기 핀은 수평 연장된 가이드를 따라 선형 이동한다.
상기 타격부는 전방에서부터 상기 팁과, 팁을 둘러싸는 회전기어와, 회전기어를 둘러싸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팁 하우징은 팁을 수용하는 긴 슬리이브를 구비하고, 슬리이브의 뒷쪽에는 외면을 둘러 복수의 슬롯을 천공하고 슬롯 내부에 베어링으로서의 스피어를 장착하며, 슬리이브의 외면 일부에 좌우 한 쌍의 크랭크를 위치시키고, 팁 하우징의 보스 외부 상면 중앙에 슬롯을 천공하고, 조절스피어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채 이 슬롯에 삽입된다.
회전기어의 전방에는 대직경부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단차를 두고 소직경부가 형성되며, 평상시 소직경부는 복수의 스피어를 가압하여 스피어가 팁의 외면을 눌러 팁이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기어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팁이 인접하도록 하여 상기 팁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 망치는 팁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벨로우즈 러버를 더 포함하고, 그 내면에 회전기어의 선단 테두리를 누르는 가압리브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 드라이버를 삽입하고 상기 팁과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의 후방 외주를 둘러서는 균일한 치차부가 형성되며, 좌우 크랭크는 팁 하우징과 치차부 사이에 탄성 지지되며 그 선단이 치차부와 접하고, 컨트롤러는 회전기어에서 조절스피어를 넘어 길게 연장되어 회전기어를 둘러싸며, 그 외주부는 좌우 크랭크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컨트롤러의 하부 중앙에는 돌출된 로크부가 형성되어 좌측 또는 우측 크랭크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컨트롤러의 상부 중앙에는 조절스피어를 수용하기 위한 좌측, 우측 및 중앙의 3개의 수용홀을 형성하고, 조절스피어가 중앙의 수용홀에 있으면 회전기어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절스피어가 우측의 수용홀에 있으면 상기 로크부가 상기 좌측의 크랭크와 걸려 회전기어가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나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고, 조절스피어가 좌측의 수용홀에 있으면 상기 로크부가 상기 우측의 크랭크와 걸려 회전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나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 충격에 의한 가압력으로 글래스를 타격하므로 비상 사태 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스마트 망치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는 펀치 팁의 교환이 간단하고 신속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에 드라이버를 장착하여 수동 드라이버는 물론 래칫 기능을 가진 드라이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에 사고 발생 시 화재나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비상 시 상황을 통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스마트 망치의 평상 시 상태, 즉 타격 준비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3은 스마트 망치의 격발 바로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 단면도;
도 5는 스마트 망치의 격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의 타격부의 분해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의 팁 장착 상태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팁 분리 상태의 평단면도;
도 9는 벨로우즈 러버를 이용한 팁 분리 상태의 평단면도;
도 10은 드라이버 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 팁을 구비한 타격부의 측면도;
도 12a는 도 11의 G-G선에서 전방을 바라 본 단면도;
도 12b는 도 11의 I-I선에서 후방을 바라 본 단면도;
도 13은 도 12b에서 컨트롤러를 우측으로 15도 회전시킨 단면도; 그리고
도 14는 도 13에서 회전기어를 우측으로 15도 회전시키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마트 망치(1)의 전체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1)의 측면도이다.
스마트 망치(1)은 중앙의 굴곡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손가락으로 누름 가능한 레버(12)가 부착되며, 본체(10)의 하부에는 배터리 케이스(14)가 부착된다. 레버(12)와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본체(10)의 뒤를 커버하는 고무 재질의 그립부(24)가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부 뒷면 케이스에는 복수 열의 가로 슬롯(18)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모크 센서가 장착된다. 가로 슬롯(18)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경고 디스플레이(18A)가 설치된다. 화재 발생 시 가로 슬롯(18)을 통하여 연기가 스며들면 스모크 센서는 이를 감지하며 경고 디스플레이(18A) 내부의 광원이 발광되어 연기 발생 사실을 경고한다.
가로 슬롯(18)에 인접하여 아래쪽에는 좁은 폭으로 길게 경사진 공간을 형성하는데, 이 공간 내부에는 나이프(20)가, 공간의 입구부에는 나이프 자루(22)가 삽입된다. 나이프(20)는 비상사태 발생 시 안전 벨트를 해제할 수 없는 경우 이를 강제로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12) 상부의 전면에는 타격부(16)가 결합된다. 타격부(16)와 본체(10)의 경계에는 컨트롤러(26)가 장착된다. 타격부(16)의 선단에는 타격용 팁(28)이 외부로 돌출된다. 팁(28)을 둘러 벨로우즈 러버(32)가 씌워지는데, 러버(32)는 팁(28)을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미설명부호(30)은 프레임 경고등이며, 스마트 망치(1)가 거치대의 프레임에서 이탈한 경우 점등하여 이 사실을 알린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1)은 전체적으로 피스톨과 같은 외관을 가지므로 방아쇠에 해당하는 러버(12)를 눌러 팁(28)으로 유리를 타격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스모크 센서, 프레임 경고등 및 나이프가 설치되므로 유리를 부수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망치(1)의 타격 구조와 기능>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1)의 타격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스마트 망치(1)의 평상 시 상태, 즉 타격 준비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3은 격발 바로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격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타격 구조와 관련 없는 인접 부품의 도시는 이를 생략하였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116741호에서는 트리거(방아쇠)를 견인하여 팁을 밀어내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손잡이 부분의 레버를 회동시키는 점에 차이가 있다.
타격 구조는 크게 팁(28), 중간핀(70) 및 해머(54)를 포함한다. 도 2에서, 팁(28)은 팁 하우징(50) 내부에 수용된다. 중간핀(70)은 핀하우징(50) 내부에 수용되며, 돌기(70A)가 핀 하우징(50) 측면에 형성된 이동 슬롯(52)의 좌측단에 위치하고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돌기(70A)가 이동슬롯(52)의 우측단으로 이동하면 팁(28)이 타격 상태가 된다. 중간핀(70) 뒷쪽에 형성된 원통형의 긴 누름부(72)의 헤드는 해머(54)의 전면 보스에 삽입되어 해머(54)를 우측으로 누르고 있다. 해머(54)는 반동력을 제공하며, 그 후면이 스프링(66)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간핀(70)에서 누름부(72)를 제외한 본체의 후면은 핀하우징(70) 내부에서 또 다른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타격 구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레버(12)의 고정점으로부터 위로 상향하여 커넥팅로드(64)가 설치되고, 커넥팅로드(64)의 끝단은 샤프트(62A)를 통하여 레버 기어(62)에 연결된다. 레버 기어(62)는 셔틀 기어(60)와 치합한다. 셔틀기어(60)는 고정핀(60A)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며 윗쪽에는 슬롯이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된다.
셔틀(58)은 중간핀(70)과 레버(12)를 매개한다. 구체적으로 셔틀(58)의 상부플랩(58‘)의 상부단은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어 중간핀(70)의 돌기(70A)와 걸림 결합하며, 이때 하부플랩(58“)의 하부단은 핀(58A)에 의하여 셔틀기어(60)의 슬롯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60B)는 핀 가이드이며, 핀(58A)은 핀 가이드(60B)를 따라 선형 이동한다.
도 2의 상태에서 글래스를 타격하기 위하여 레버(12)를 오른쪽으로 누르면,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레버(12)가 우상향하고, 커넥팅로드(64)가 오른쪽으로 회동하여 샤프트(62A)를 공유하는 레버 기어(6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셔틀 기어(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핀(58A)이 핀 가이드(60A)를 따라 오른쪽으로 수평 이동한다.
그러면, 셔틀(58)의 상부플랩(58‘)의 후크는 중간핀(70)의 돌기(70A)와 맞닿아 이것을 견인하면서 뒤로 같이 이동하고, 돌기(70A)가 이동 슬롯(52)의 우측단에 걸려 정지하는 위치에서 셔틀(58)이 정지한다. 돌기(70A)의 이동에 의하여 누름부(72)는 뒤로 밀려 해머(54)를 우측으로 강하게 밀며 헤머(54)의 후진에 의하여 스프링(66)이 압축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간핀(70) 본체의 후면과 핀하우징(70) 내부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역시 압축된다. 즉, 해머(54)와 중간핀(70) 두 부재 모두 스프링으로부터 탄발력을 받을 수 있는 긴장 상태가 된다.
스프링(66)이 최대 압축 지점에 도달하면 스프링(66)이 원복되면서 강하고 빠르게 해머(54)를 좌측으로 밀게 되고 밀린 해머(54)는 누름부(72)의 헤드를 타격(“1차 타격”)한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간핀(70)의 돌기(70A)가 이동 슬롯(5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 중간핀(70)의 선단이 팁(28)의 후면을 강하게 타격한다(“2차 타격”). 이때 중간핀(70)은 핀하우징(70) 내부에 개재된 스프링의 복원력을 추가로 받으므로 팁(28)을 더욱 강하게 타격할 수 있다. 팁(28)은 빠르고 강하게 외부로 발사되어 글래스(G)를 타격한다(“3차 타격”).
이후 사용자가 손가락에서 레버(12)를 놓으면 레버(12)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도 2의 초기 상태로 회귀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3단계의 타격 과정을 거쳐 강하게 팁(28)을 가압하므로 비상사태 발생 시 강도 높은 재질의 글래스(G)도 원활히 깨뜨릴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팁(28) 교환 구조>
본 발명의 팁(28) 교환 구조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타격부(16)의 분해 조립도, 도 7은 팁(28) 장착 상태의 평단면도, 도 8은 팁(28) 분리 상태의 평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벨로우즈 러버(32)를 이용한 팁(28) 분리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타격부(16)는 전방에서부터 팁(28)과, 팁(28)을 둘러싸는 스냅링(202)과, 팁(28)을 둘러싸는 회전기어(200)와, 회전기어(200)를 둘러싸는 컨트롤러(26)와, 팁(28)을 수용하는 긴 슬리이브(56B)를 구비한 팁 하우징(56)을 포함한다. 스냅링(202)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리이브(56B)를 눌러 팁(28)을 지지한다. 슬리이브(56B)의 뒷쪽에는 외면을 둘러 복수, 예를 들어 6개의 원형 슬롯(56A)이 천공되고, 슬롯(56A)내부로는 베어링으로서의 스피어(spear; 302)가 외부로 노출된 채 장착된다. 슬리이브(56B)의 외면 일부에는 좌우 한 쌍의 크랭크(204)가 위치한다. 또, 팁 하우징(56)의 보스 외부 상면 중앙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서는 조절스피어(300)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채 삽입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크랭크(204)와 조절스피어(300)는 드라이버 모듈에 적용된다.
회전기어(200)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방에 대직경부(200B)가 형성되고 단차를 두고 후방에 소직경부(200A)가 형성된다. 팁(28)이 평상시의 장착 상태에서, 소직경부(200A)는 복수의 스피어(302)를 누르고 스피어(302)가 팁(28)의 외면, 구체적으로 팁(28)의 오목한 노치(28‘)를 가압하므로 팁(28)은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은 레버(12)를 당겨 글래스를 부술 정도로 강한 타격력을 팁(28)에 가할 때지만, 본 발명에서 팁(28)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회전기어(20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러면, 소직경부(200A)와 접촉하던 스피어(302)는 대직경부(200B)와 대면하게 되고, 단차만큼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확보된다. 스피어(302)가 팁(28)에 가하는 가압력이 약해지므로 이용자는 무리 없이 팁(28)을 전방으로 꺼내어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벨로우즈 러버(32)의 내면에 회전기어(200)의 선단 테두리를 누르는 가압리브(320)를 형성하여 팁(28)의 교체 시 가압리브(320)가 회전기어(200)를 눌러 이것을 뒤로 이동시켜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펀치 팁의 분리와 교환이 간편하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드라이버 사용 구조>
전술한 본 발명의 스모크 망치(1)에서는 본체(10)의 레버(12) 외측 또는 손잡이의 하면에 도 10과 같은 드라이버 팁(D)을 내부 하우징에 장착시킨 후 비상사태나 사고 발생 시 팁(28) 대신 드라이버 팁(D)을 삽입하여 드라이버로 활용할 수 있다. 드라이버 팁(D)의 결합과 분리는 팁(28)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드라이버, 특히 래칫 기능을 갖춘 드라이버의 사용 구조와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 팁(D)을 구비한 타격부(16)의 측면도이다. 기본적으로 도 6과 동일한 구조이다. 치차부(210)와 크랭크(204)의 도시를 위하여 컨트롤러(26)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회전기어(200)의 후방 외주를 둘러서는 균일한 치차부(210)가 형성된다. 크랭크(204)는 팁 하우징(56)과 치차부(210) 사이에 탄성 지지되며 그 선단이 치차부(210)와 접하고 있다.
도 12a는 도 11의 G-G선에서 전방을 바라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26)는 회전기어(200)에서 조절스피어(300)를 넘어 길게 연장된 부재로, 회전기어(200)를 둘러싸며, 그 외주부는 좌우 크랭크(204)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컨트롤러(26)의 하부 중앙에는 돌출된 로크부(26c)가 형성된다. 로크부(26c)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좌측 또는 우측 크랭크(204)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b는 도 11의 I-I선에서 후방을 바라 본 단면도이다. 컨트롤러(26)의 상부 중앙에는 조절스피어(3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홀(26H)이 15도 간격으로 3개 형성되고 조절스피어(300)는 중앙의 수용홀(26H)에 수용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의 상태에서는 수동 드라이버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버 팁(D)을 드라이버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드라이버 팁(D)의 선단을 부재에 끼운 후 회전기어(2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면 치차부(210)의 선단이 크랭크(204)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회전기어(20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자연스럽게 드라이버 팁(D)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당업자에게 주지된 것과 같이 래칫기어는 일방향의 회전은 자유롭지만 기어열이 래칫에 걸려 타방향의 회전은 구속되는 기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버 팁(D)을 이용하여 래칫 기어와 같이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반대 방향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가 컨트롤러(26)를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15도 회전시키면 조절스피어(300)는 좌측의 수용홀(26H)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1a에 도시한 로크부(26c)가 크랭크(204)의 아암(204c)과 맞닿게 된다.
작업자가 다시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회전기어(200)를 시계 방향으로 예를 들어 15도 더 회전시키면 좌측 크랭크(204)는 치차부(210)에 맞닿아 눌려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의 탄력으로 우측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우측 크랭크(204)는 치차부(210)에 맞닿아 눌려 하부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의 탄력으로 상부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여기서 다시 회전기어(200)를 시계 방향으로 15도 회전시키는 작업을 반복하면 위와 마찬가지로 작동하며 좌측크랭크(204)는 좌우 병진운동을, 우측 크랭크(204)는 상하 병진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드라이버 팁(D)은 시계 방향으로 360도 무한 회전을 한다.
그런데, 컨트롤러(26)가 시계 방향으로 15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로크부(26c)가 좌측크랭크(204)의 아암(204c)에 맞닿아 걸린다. 이 상태에서 좌측크랭크(204)는 우측, 즉 반시계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회전기어(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예를 들어 15도 억지로 회전시켜도 좌측 크랭크(204)의 반시계 방향 회전이 구속되므로 드라이버 팁(D)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드라이버는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 회전은 구속하는 래칫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서는 크랭크(204)와 컨트롤러(26), 특히 로크부(26c)가 “래칫” 기능을 수행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반대로 작업자가 컨트롤러(26)를 도 12a의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5도 회전시키면 조절스피어(300)는 우측의 수용홀(26H)에 수용된다. 이 경우 드라이버 팁(D)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자유롭지만 시계 방향 회전이 제한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수동 드라이버는 물론 컨트롤러(26)를 간단히 1회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드라이버 팁(D)을 일방향(또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방향(일방향)의 회전은 구속하는 래칫형 드라이버로 활용할 수 있다. 드라이버 모듈은 스마트 망치의 앞부분에 배치되므로 간편하게 드라이버 모듈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떤 종류의 스마트 망치에도 두루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상탈출 네트워크 시스템>
본 발명의 스마트 망치(1)은 스모크 센서와 같은 위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비상탈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스마트 망치(1)이 윈도우마다 배열된 버스나 선박의 경우는 물론 하나만 설치된 승용차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석의 디스플레이에 좌석별로 스마트 망치(1)의 위치를 표시하고 연기가 발생하면 그 사실을 즉각 감시하여 차량의 위치 및 사고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경찰서나 소속 회사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타 블루투스를 이용한 전송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비상사태 시 글래스를 타격하기 위한 스마트 망치로서, 상기 스마트 망치는 중앙의 굴곡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에 손가락으로 누름 가능하도록 형성된레버와, 본체에 형성된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며, 본체의 케이스에는 복수의 슬롯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스모크 센서를 장착하고, 본체 상부의 전면에는 타격부를 형성하며, 상기 타격부의 선단에는 타격용 팁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스마트 망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공간 내부에 나이프를, 공간의 입구부에는 나이프 자루를 삽입한 스마트 망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망치의 타격 구조는 상기 팁, 중간핀 및 해머를 포함하며, 팁은 팁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중간핀은 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중간핀의 돌기는 핀 하우징 측면에 형성된 이동 슬롯에 걸리고, 중간핀 뒷쪽에 형성된 원통형의 긴 누름부의 헤드가 해머의 전면 보스에 삽입되어 해머를 우측으로 누르고, 해머의 후면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스마트 망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고정점으로부터 위로 상향하여 커넥팅로드가 설치되고, 커넥팅로드의 끝단은 샤프트를 통하여 레버 기어에 연결되며, 레버 기어는 셔틀 기어와 치합하고, 셔틀기어는 고정핀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며 슬롯이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핀과 레버를 매개하는 셔틀을 더 포함하고, 셔틀의 상부플랩의 일부는 중간핀의 돌기와 걸림 결합하며, 셔틀의 하부플랩의 일부는 셔틀기어의 상기 슬롯에 걸림 결합하고, 상기 핀은 수평 연장된 가이드를 따라 선형 이동하도록 한, 스마트 망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전방에서부터 상기 팁과, 팁을 둘러싸는 회전기어와, 회전기어를 둘러싸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팁 하우징은 팁을 수용하는 긴 슬리이브를 구비하고, 슬리이브의 뒷쪽에는 외면을 둘러 복수의 슬롯을 천공하고 슬롯 내부에 베어링으로서의 스피어를 장착하며, 슬리이브의 외면 일부에 좌우 한 쌍의 크랭크를 위치시키고, 팁 하우징의 보스 외부 상면 중앙에 슬롯을 천공하고, 조절스피어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채 이 슬롯에 삽입되도록 한, 스마트 망치.
  6. 제 5항에 있어서,
    회전기어의 전방에는 대직경부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단차를 두고 소직경부가 형성되며, 평상시 소직경부는 복수의 스피어를 가압하여 스피어가 팁의 외면을 눌러 팁이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기어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팁이 인접하도록 하여 상기 팁이 분리되도록 한, 스마트 망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망치는 팁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벨로우즈 러버를 더 포함하고, 그 내면에 회전기어의 선단 테두리를 누르는 가압리브를 형성한, 스마트 망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 드라이버를 삽입하고 상기 팁과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한, 스마트 망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의 후방 외주를 둘러서는 균일한 치차부가 형성되며, 좌우 크랭크는 팁 하우징과 치차부 사이에 탄성 지지되며 그 선단이 치차부와 접하고, 컨트롤러는 회전기어에서 조절스피어를 넘어 길게 연장되어 회전기어를 둘러싸며, 그 외주부는 좌우 크랭크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컨트롤러의 하부 중앙에는 돌출된 로크부가 형성되어 좌측 또는 우측 크랭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한, 스마트 망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상부 중앙에는 조절스피어를 수용하기 위한 좌측, 우측 및 중앙의 3개의 수용홀을 형성하고, 조절스피어가 중앙의 수용홀에 있으면 회전기어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절스피어가 우측의 수용홀에 있으면 상기 로크부가 상기 좌측의 크랭크와 걸려 회전기어가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나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고, 조절스피어가 좌측의 수용홀에 있으면 상기 로크부가 상기 우측의 크랭크와 걸려 회전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나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 스마트 망치.
KR1020190084536A 2019-07-12 2019-07-12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KR20210007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536A KR20210007683A (ko) 2019-07-12 2019-07-12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PCT/KR2019/011783 WO2021010541A1 (ko) 2019-07-12 2019-09-11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536A KR20210007683A (ko) 2019-07-12 2019-07-12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683A true KR20210007683A (ko) 2021-01-20

Family

ID=7421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536A KR20210007683A (ko) 2019-07-12 2019-07-12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07683A (ko)
WO (1) WO20210105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96Y2 (ja) * 1991-07-31 1995-06-21 株式会社北正 緊急脱出用ハンマー
JP5073380B2 (ja) * 2007-06-28 2012-11-14 株式会社マキタ 電動打ち込み工具
KR101059687B1 (ko) * 2011-01-28 2011-08-25 계양전기 주식회사 해머와 드릴 기능을 가지는 전동공구
KR101497876B1 (ko) * 2014-08-13 2015-03-04 장민 자동 타격 장치
CN204772415U (zh) * 2015-06-25 2015-11-18 黄先锋 一种带智能感应系统的消防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541A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192B2 (en) Emergency self evacuation system
US20060061184A1 (en) Device to indicate when a movable backrest of a vehicle seat is in an unlocked position
JP5757939B2 (ja) 消火ガス噴射器
JP6298219B2 (ja) 固定型ガラス破壊装置
US6766933B1 (en) Automobile escape hammer gun
KR20150143047A (ko) 비상탈출용 타격장치
CN108473075A (zh) 辅助把手
US20230126940A1 (en) Braking-alerting triggering device for vehicle brake lever
KR20100085601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KR20210007683A (ko)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CN210170691U (zh) 一种破窗安全逃生装置
KR20110048233A (ko)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
TWI820492B (zh) 汽車之緊急逃生裝置及搭乘者藉由汽車之緊急逃生裝置所進行之緊急逃生方法
KR102251752B1 (ko) 비상탈출용 망치
KR20200057326A (ko) 자동차 비상탈출용 유리파손장치
CN105644484A (zh) 一种车窗破碎装置
KR100538429B1 (ko)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KR101973024B1 (ko) 비상 탈출 장치
KR20170012653A (ko) 대중교통용 손잡이 장치
JP6242132B2 (ja) ガスボンベの破封装置および消火ガス噴射器
KR100371007B1 (ko) 차량 긴급 탈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JP3116532U (ja) 警棒
KR102113841B1 (ko) 자동차 비상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JP2018144181A (ja) 緊急脱出用具およびその取付け装置
KR101856525B1 (ko)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