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876B1 - 자동 타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타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876B1
KR101497876B1 KR20140105222A KR20140105222A KR101497876B1 KR 101497876 B1 KR101497876 B1 KR 101497876B1 KR 20140105222 A KR20140105222 A KR 20140105222A KR 20140105222 A KR20140105222 A KR 20140105222A KR 101497876 B1 KR101497876 B1 KR 10149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power
nail
hit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
Original Assignee
장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 filed Critical 장민
Priority to KR2014010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6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25D11/04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in which the tool bit or anvil is hit by an impuls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피타격체를 타격하는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수단과, 상기 동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타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된 상기 동력수단의 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타격수단이 진퇴를 반복하여 피타격체를 자동으로 타격하는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아쇠를 당기는 적은 힘만으로도 피타격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와이어를 당겨주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방아쇠를 당기는 것만으로 동력이 전달된 와이어가 당겨져 피타격체를 타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으며, 못 지지돌기 또는 펀치돌기 등이 형성된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못은 물론 펀치 등의 피타격체를 타격할 수 있고, 비상탈출용 망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 시 못을 빼는 용도로도 사용되어 용도가 한정되지 않아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타격수단을 잠그는 것이 가능하여 유사시 사람에게 타격하여 공격용으로 사용될 수 없어 안전하다.

Description

자동 타격 장치{AUTOMATIC HITTING DEVICE}
본 발명은 타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못 또는 펀치 등의 피타격체를 자동으로 타격하여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 타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공장 및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쇠못 및 콘크리트 못 등을 고정하기 위해 휴대용 망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못을 콘크리트 벽 및 작업 대상물에 고정시켜야 할 경우, 대부분이 못 몸통을 손으로 잡고 못 머리부를 망치로 타격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망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타격하는데, 능숙하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못의 머리부를 잘못 타격하여 못이 휘어져 못쓰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망치로 못을 타격하여 빗맞을 경우 못이 튀어 분실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심하게 다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못을 용이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주변 부설물 등에 의해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못 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못 파지장치는 못을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벽면에 못을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판을 타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면 및 작업 대상물에 못을 고정하기 위해 망치에 힘을 가하여 타격해야 하는데, 작업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망치에 힘을 주어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문헌 2에는 작업 장소와 공간의 구애 없이 못을 용이하게 타격할 수 있는 못 타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 개선에도 불구하고, 제작된 못 타격 장치는 별도로 구비된 당김장치를 이용해 와이어를 당겨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번거롭고, 못을 타격하는 것에만 그 용도가 한정되어 장치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도 남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3403호(2000.05.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4864호(2014.05.13.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은 힘으로도 피타격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 타격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와이어를 당겨주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피타격체를 타격할 수 있어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는 자동 타격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못은 물론 펀치 등의 피타격체를 타격할 수 있고, 비상탈출용 망치로도 사용할 수 있어 용도가 한정되지 않아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 타격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사시 사람에게 타격하여 공격용으로 사용될 수 없는 자동 타격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피타격체를 타격하는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수단과, 상기 동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타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된 상기 동력수단의 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타격수단이 진퇴를 반복하여 피타격체를 자동으로 타격하는 자동 타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격수단은, 상기 타격수단의 구성들을 보호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어 피타격체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1차 타격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제1타격부 및 상기 제1타격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와이어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여 상기 지지부를 2차 타격하는 제2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외측면에 복수개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타격부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타격부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걸림체가 결합되어, 상기 걸림체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상기 제1타격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타격부의 후퇴시 상기 장공의 일단에 충돌됨에 따라 상기 제2타격부의 후퇴가 가속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 요홈이 형성되어 못의 중심을 지지하는 못 지지돌기, 상기 못 지지돌기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격을 잠금하는 복수개의 잠금돌기 및 상기 못 지지돌기의 외주연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잠금돌기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안착편에 안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는 복수개의 잠금링크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못 지지돌기가 후방으로 가압되면, 복수개의 상기 잠금링크가 동시에 일측으로 회동되고, 복수개의 상기 잠금링크의 타단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동시에 이탈되어 복수개의 상기 잠금돌기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타격 잠금이 해제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방아쇠부 및 상기 방아쇠부와 접촉되어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타격수단의 후퇴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방아쇠부와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모터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방아쇠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누름체, 상기 누름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체의 이동시 완충되도록 하는 제2완충스프링 및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타측에 형성되고, 'ㄷ'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누름체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전원조절부는, 'ㄴ'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방아쇠부의 전도체와 접촉되는 접촉체 및 상기 몸체의 후방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수단의 후퇴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하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연돌기,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설치된 제2회동축에 결합되는 태엽스프링 및 상기 제2회동축의 좌단과 우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좌·우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회전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회동체의 하측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일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을 감고, 상기 회동체의 상측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타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을 풀리게 하되, 상기 태엽스프링은 상기 지연돌기에 걸리면서 풀리게 되어 상기 회동체의 상승을 지연시키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회동공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벽 또는 작업대상물에 박혀 있는 못을 뺄 수 있는 못 빼기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못 빼기수단은, 상기 회동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좌·우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동돌기 및 상기 못 빼기수단의 전방에 형성되어 벽 또는 작업대상물에 박혀있는 못을 제거하는 못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아쇠를 당기는 적은 힘만으로도 피타격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를 당겨주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방아쇠를 당기는 것만으로 동력이 전달된 와이어가 당겨져 피타격체를 타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도 있다.
또한, 못 지지돌기 또는 펀치돌기 등이 형성된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못은 물론 펀치 등의 피타격체를 타격할 수 있고, 비상탈출용 망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 시 못을 빼는 용도로도 사용되어 용도가 한정되지 않아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타격수단을 잠그는 것이 가능하여 유사시 사람에게 타격하여 공격용으로 사용될 수 없어 안전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지지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하우징, 제1타격부 및 제2타격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제어수단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회전돌기가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태엽스프링이 지연돌기에 걸림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못 빼기수단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가 작동하여 못을 타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의 못 빼기수단을 사용하여 못을 빼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못 또는 펀치 등의 피타격체(H)를 자동으로 타격하여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 타격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0), 타격수단(200), 동력수단(300) 및 제어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파지부(110) 및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110)는 상기 케이스(100)의 후방 하측에 형성되어 피타격체(H)를 타격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외부 충격 및 타격 충격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타격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타격수단(200)이 삽입되어 피타격체(H)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 하측에 상기 동력수단(300)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수단(300)을 구동시키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P)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후술할 제1도르래(3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내측 후방에 형성된 제1회전축(130)과, 후술할 제2도르래(3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내부 하측에 형성된 제2회전축(140)과, 후술할 전원조절부(420)의 몸체(42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내부 중앙에 형성된 제1회동축(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격수단(200)은 상기 수용부(12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동력수단(3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진퇴 반복하여 피타격체(H)를 타격하는 것으로, 하우징(210), 지지부(220), 제1타격부(230) 및 제2타격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자동 타격 장치(1)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격수단(200)의 구성들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방 하측에 절개공(21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공(211)은 후술할 전원조절부(420)의 회동체(423)가 상기 절개공(211)을 통하여 상·하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외측면에 복수개의 장공(21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타격수단(200)이 진퇴 반복하는 과정에서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 공기가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할 제2타격부(240)의 걸림체(241)가 상기 장공(212)을 따라 진퇴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공(212)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면 전단까지 가이드홈(213)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2타격부(240) 걸림체(241)의 진퇴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체결되어 피타격체(H)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못 지지돌기(221), 잠금돌기(222), 잠금링크(223), 제1완충스프링(224), 제1타격판(225) 및 제2타격판(2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못 지지돌기(221)는 상기 지지부(22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 요홈(221a)이 형성되어 못의 중심을 지지하며, 못의 중심을 잡아 벽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해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못 지지돌기(221)에는 상기 요홈(221a)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펀치타격돌기(221b)가 구비되어 펀치를 용이하게 타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잠금돌기(222)는 상기 못 지지돌기(221)의 외측에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2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20)의 타격이 잠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링크(223)는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못 지지돌기(221)의 외주연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잠금돌기(222)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안착편(222a)에 안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면 전방에 형성된 걸림홈(214)에 걸림되어 상기 지지부(220)의 타격이 잠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링크(223)는 일단이 상기 못 지지돌기(221)의 외주연에 결합된 제1잠금링크(223a)와 타단이 상기 걸림홈(214)에 걸림되는 제2잠금링크(223b)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220) 타격의 잠금 및 해제를 유도한다.
즉, 피타격체(H)를 타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도 4a와 같이, 상기 제2잠금링크(223b)의 타단이 상기 걸림홈(214)에 걸려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못 지지돌기(221) 및 잠금돌기(222)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220)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동력수단(300)이 구동되어 상기 제1타격부(230) 및 제2타격부(240)를 전진시키더라도 상기 제1타격판(225) 및 제2타격판(226)에 닿지 않아 타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못 또는 펀치 등의 피타격체(H)를 타격하고자 할 경우, 도 4b와 같이, 상기 못 지지돌기(221)의 요홈(221a)에 못의 중심를 위치하고 어느 정도의 힘으로 못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못 지지돌기(221)가 후방으로 가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잠금링크(223a)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잠금링크(223a)와 힌지 결합된 상기 제2잠금링크(223b)는 상기 못 지지돌기(221)측으로 어느 정도 이동되어 상기 제2잠금링크(223b)의 타단은 상기 걸림홈(214)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이때, 상기 잠금링크(223)는 'ㄱ'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함께, 복수개의 상기 잠금링크(223)가 상기 안착편(222a)에 각각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못 지지돌기(221)가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잠금돌기(222)도 동시에 후방으로 가압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못 지지돌기(221)를 통해 못의 중심을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220)의 제1타격판(225) 및 제2타격판(226)이 상기 하우징(210)내부에서 타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220)의 잠금은 해제되고, 이로써 상기 제1타격판(225) 및 제2타격판(226)은 상기 제1타격부(230) 및 제2타격부(240)로부터 타격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1완충스프링(224)은 못 또는 펀치 등의 피타격체(H)를 벽면 및 작업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충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제1타격판(225) 및 제2타격판(226)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타격부(230) 및 제2타격부(240)가 순차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220)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못 지지돌기(221) 및 복수개의 잠금돌기(222)를 모두 포함하는 일측면으로 유리 등의 피타격체(H)를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1)를 비상탈출용 망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제1타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220)를 1차 타격하고, 후술할 와이어(310)에 연결되어 와이어(310)의 이동에 따라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며, 상기 제1타격판(225)을 타격하여 피타격체(H)가 벽면 및 작업 대상물에 박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타격부(230)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가이드공(23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타격부(240)의 진퇴시 후술할 제2타격부(240)의 걸림체(241)가 상기 가이드공(231)을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타격부(240)가 진퇴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제2타격부(240)는 상기 제1타격부(230) 내부에 수용되되, 후술할 와이어(310)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퇴 반복하고, 상기 제1타격부(230)가 상기 제1타격판(224)을 타격함과 동시에 자체 가속력에 의해 상기 제2타격판(225)을 2차 타격하여 피타격체(H)가 벽면 및 작업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타격부(240)는 상기 제2타격부(240)의 외측면에 스프링으로 연결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장공(212)과 상기 제1타격부(230)의 가이드공(231)에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측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체헤드(241a)가 구비된 복수개의 걸림체(241)가 결합되어 상기 제2타격부(240)가 후술할 와이어(310)의 이동에 따른 저항으로부터 자유롭게 진퇴 반복한다.
즉, 후술할 와이어(31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타격부(230)도 후퇴되면, 상기 제2타격부(240)의 전방 일측면이 후퇴하는 상기 제1타격부(230) 내측의 전방 일측면과 부딪혀 상기 제2타격부(240)도 후퇴하게 된다.
이때, 도 5c와 같이, 상기 제2타격부(240)가 후퇴되면서 상기 걸림체헤드(241a)는 상기 하우징(210)의 가이드홈(21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장공(212)의 일단에 충돌되면서 상기 장공(212)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계속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체헤드(241a)는 상기 제2타격부(240)와 스프링으로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212)의 일단에 충돌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후퇴가 가속됨에 따라, 상기 제2타격부(240)도 후술할 와이어(310)의 이동에 의해 후퇴하는 상기 제1타격부(230)와 함께 후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술할 와이어(31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타격부(230)도 전진하면, 상기 제2타격부(240)의 후방 일측면이 전진하고 있는 상기 제1타격부(230) 내측의 후방 일측면과 부딪혀 상기 제2타격부(240)도 전진하게 된다.
이때, 도 5a와 같이, 상기 제2타격부(240)가 전진되면서 상기 걸림체헤드(241a)는 상기 장공(21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도 5b와 같이, 상기 장공(212)의 일단에서 가압되면서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눌러지게 되어 상기 가이드홈(213)을 따라 전방으로 계속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체헤드(241a)는 상측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공(212) 일단에서 부드럽게 가압될 수 있고, 상기 걸림체헤드(241a)가 가압되면 상기 제2타격부(240)와 연결 결합된 스프링은 압축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동력수단(300)은 상기 전원공급부(P)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은 상기 모터(M)의 작동에 의해 상기 타격수단(20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타격부(230)가 진퇴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와이어(310), 탄성부(320), 제1도르래(330) 및 제2도르래(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제1도르래(330) 및 제2도르래(340)를 경유하여 상기 모터(M)에 연결된다.
즉, 상기 와이어(310)는 일단이 상기 타격수단(200)에 고정되어 상기 제1도르래(330) 및 제2도르래(340)를 경유하고, 타단이 상기 모터(M)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격수단(200)에 동력을 전달한다.
더하여, 상기 제1타격부(230)에 동력이 인가되고, 상기 와이어(31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도르래(330) 및 제2도르래(340)를 경유하여 감기게 되면, 상기 제1타격부(23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부(320)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탄성부(32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타격부(230)에 전달되고 있는 동력을 해제하면 상기 제1타격부(23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서 순간적인 힘을 발생시키게 되며, 그 힘에 의해 상기 제1타격부(230)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제1타격판(224)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320)는 탄성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타격판(224) 및 제2타격판(225)을 순간적인 힘으로 타격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도르래(33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제1회전축(130)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310)와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310)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도르래(34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제2회전축(140)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310)와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310)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상기 제1도르래(330) 및 제2도르래(340)는 상기 와이어(310)와 맞닿아 회전하는 외주면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10)가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전원공급부(P)가 상기 모터(M)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동력수단(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방아쇠부(410) 및 전원조절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아쇠부(410)는 상기 전원조절부(420)와 접촉되어 상기 전원공급부(P)로부터 상기 모터(M)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고,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누름체(411)와, 상기 누름체(4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체(411)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 완충되도록 하는 제2완충스프링(412)과, 상기 제2완충스프링(412)의 타측에 형성되고 'ㄷ'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누름체(411)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전도체(4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완충스프링(412)은 사용자가 힘을 가압하여 상기 누름체(411)를 누르면 상기 누름체(411)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고, 사용자가 가압했던 힘을 감압하면 복원력에 의해 최초 상태로 돌아가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체(413)는 전선 등의 전원연결수단으로 상기 전원공급부(P)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전원조절부(420)는 상기 방아쇠부(410)와 접촉하여 상기 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타격수단(200)의 후퇴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방아쇠부(410)와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모터(M)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몸체(421), 접촉체(422) 및 회동체(4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421)는 'ㄴ'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가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과 상기 제1회동축(150)에 고정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내부에 관통공(4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몸체(421)는 상기 관통공(421a)의 내주연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연돌기(421b)와, 상기 관통공(421a)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421a)의 내부에 구비된 제2회동축(421c)에 결합되는 태엽스프링(421d)과, 상기 제2회동축(421c)의 좌단과 우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421)의 좌·우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60)에 걸림되어 회전하는 회전돌기(421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체(422)는 상기 몸체(421)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방아쇠부(410)의 전도체(413)와 접촉되어 상기 전원공급부(P)로부터 상기 모터(M)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체(422)는 전선 등의 전원연결수단으로 상기 전원공급부(P)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체(423)는 상기 몸체(421)의 후방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수단(200)의 후퇴에 의해 상·하 회동한다.
즉,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기 방아쇠부(410)의 누름체(411)를 가압하여 상기 전도체(413)를 상기 접촉체(422)와 접촉시키면 상기 전원공급부(P)로부터 상기 모터(M)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동력수단(300)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와이어(3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320)도 후방으로 압축된다.
이로 인해, 도 6c와 같이, 상기 타격수단(200)의 제1타격부(230)가 후퇴하게 되고, 후퇴 전 상기 하우징(210)의 절개공(211)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회동체(423)는 후퇴하고 있는 상기 제1타격부(230)로 인해 가압되어 하측으로 회동한다.
더불어, 상기 회동체(423)가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몸체(421)가 상기 제1회동축(150)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 인해 상기 접촉체(422)는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전도체(413)와의 접촉이 끊어지고, 상기 모터(M)에 인가된 전원은 차단되어 상기 동력수단(300)의 구동이 중지되며, 압축되어 있던 상기 탄성부(320)는 순간적인 복원력이 발생되어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타격부(230)가 전진하여 상기 제1타격판(224)을 타격한다.
아울러,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회동체(423)가 하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몸체(421)도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돌기(421e)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160)에 걸림되어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회동축(421c)에 결합된 태엽스프링(421d)을 감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체(411)를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일측으로 회전된 상기 태엽스프링(421d)은 그 복원력으로 풀리기 시작하고, 상기 태엽스프링(421d)이 풀리게 됨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421e)는 다시 상기 걸림돌기(160)에 걸림되어 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동체(423)는 상측으로 재회동 되며, 이때, 상기 태엽스프링(421d)이 복수개의 상기 지연돌기(421d)에 걸림되면서 풀리게 되어 상기 회동체(423)의 상측 회동을 지연시킨다.
그리고, 도 6d와 같이, 상기 회동체(423)가 상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접촉체(422)는 하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회동체(423)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절개공(211)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다시 위치하는 상태가 되면, 도 6e와 같이, 상기 접촉체(422)는 상기 전도체(412)와 재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전원공급부(P)로부터 상기 모터(M)로 다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동력수단(300)이 재구동됨으로써 상기 와이어(3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320)도 후방으로 재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타격수단(200)의 제1타격부(230)가 재후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체(422)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90)에 하측이 걸림됨에 따라, 상기 전도체(412)와 접촉됨과 동시에 하측으로의 회동을 멈추게 된다.
더불어, 상기 걸림턱(190)은 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전원공급부(P)와 전선 등의 전원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평상시에도 전원이 연결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전도체(413) 및 접촉체(422)에 개별적으로 전선 등을 연결하지 않아도 각각의 이동 및 회동을 통해 상기 걸림턱(190)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지연돌기(421d)를 통하여 상기 태엽스프링(421d)의 풀림을 지연시켜 상기 회동체(423)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1타격부(230) 및 제2타격부(240)가 상기 제1타격판(225) 및 제2타격판(226)을 완벽하게 타격한 후 다시 후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회동체(423)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지연시켜 상기 접촉체(422)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접촉체(422)와 전도체(413)의 재접촉을 지연시켜 전방으로 전진하는 상기 제1타격부(230) 및 제2타격부(240)가 상기 제1타격판(225) 및 제2타격판(226)을 완벽하게 타격하기도 전에 상기 전도체(413)와 접촉체(422)가 재접촉되어 상기 제1타격부(230) 및 제2타격부(240)가 후방으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전원조절부(420)의 회동으로 상기 모터(M)에 인가되는 전원의 인가와 차단을 반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방아쇠부(410)를 누르는 적은 힘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못 또는 펀치 등의 피타격체(H)를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1)는 상기 케이스(10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회동공(17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박혀 있는 못을 뺄 수 있는 못 빼기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못 빼기수단(500)은 상기 회동공(1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좌·우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동돌기(510) 및 상기 못 빼기수단(500)의 전방에 형성되어 벽 또는 작업대상물에 박혀있는 못을 제거하는 못 제거부(520)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못 빼기수단(500)은 좌·우측면에 상기 회동돌기(510)의 후측으로 고정레버 연통공(53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버 연통공(530)에 연통되도록 좌·우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레버(5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레버(540)는 상기 못 빼기수단(500)의 외측면과 스프링으로 연결 결합되는 가압편(541)과, 상기 가압편(541)과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레버 연통공(530)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편(542)과, 상기 고정편(542)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00) 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돌기(542a)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회동공(170)의 후방에 상기 결합돌기(542a)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54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된 결합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공(17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542a)가 삽입됨은 물론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결합 및 이동홈(180a)이 요입 및 라운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못 빼기수단(500)은 못 또는 펀치 등의 피타격체(H)를 타격할 경우,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상면에 위치해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돌기(542a)는 상기 결합홈(180)에 결합되어 상기 못 빼기수단(50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못을 빼고자 할 경우, 도 9에서, 상기 가압편(541)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편(542)이 상기 고정레버 연통공(530)의 내측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돌기(542a)가 상기 결합홈(18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못 빼기수단(500)을 파지하여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못 빼기수단(500)은 180°회전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레버 연통공(530) 및 고정레버(540)도 180°회전한 상태에 놓여 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편(541)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고정편(542)이 180°회전한 상기 고정레버 연통공(530)의 내측에 다시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결합돌기(542a)는 상기 결합 및 이동홈(180a)에 결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도 16과 같이, 상기 못 빼기수단(500)을 통해 못을 빼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542a)가 상기 결합 및 이동홈(180a)의 내측 상단에 걸림되어 상기 못 빼기수단(500)의 작업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못을 빼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못 빼는 작업을 수행할 때는 상기 결합돌기(542a)가 상기 결합 및 이동홈(180a)의 내측 상단에 걸림되어 상기 못 빼기수단(500)이 위치 고정되지만, 유사 시에 상기 파지부(110) 또는 상기 못 빼기수단(500)을 파지하여 사람에게 휘둘러 위해를 가하는 공격용 무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결합 및 이동홈(180a)이 하측으로 라운드됨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542a)가 상기 결합 및 이동홈(180a)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못 빼기수단(500)이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으로 접혀지게 됨으로써, 사람에게는 직접 타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안전한 사용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자석(J)이 내장됨으로써, 상기 못 빼기수단(500)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상기 못 빼기수단(500)을 파지하여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자석(J)을 통해 상기 못 빼기수단(500)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220)가 전방에 개방됨으로써 못 또는 펀치 등의 피타격체(H)를 타격할 수 있는 상태에서 타격에 의한 충격에도 유동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1)는 상기 제1타격부(230)의 후방 일측면과 상기 제2타격부(240)의 후방 일측면에 자석(J)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자석(J)은 각각 동일한 성질의 극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31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타격부(230)가 전진하게 되면, 상기 제1타격부(230)의 후방 일측면과 상기 제2타격부(240)의 후방 일측면 사이에 서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됨으로써 상기 제2타격부(240)의 전진이 가속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타격부(230)의 후방 일측면과 상기 제2타격부(240)의 후방 일측면이 부딪히지 않게 됨에 따른, 파손 및 마모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벽 또는 작업대상물에 못을 타격하고자 할 경우, 먼저, 도 11과 같이, 못 지지돌기(221)의 요홈(221a)에 못의 머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못이 벽 또는 작업대상물에 밀착되도록 자동 타격 장치(1)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잠금링크(223)의 회동으로, 도 13과 같이, 못 지지돌기(221) 및 잠금돌기(222)가 동시에 후방으로 눌려져 지지부(220)가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타격판(225) 및 제2타격판(226)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지지부(220)의 잠금은 해제된다.
다음으로, 못 지지돌기(221)의 요홈(221a)에 못의 머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누름체(411)를 눌러 방아쇠부(410)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도체(413)와 접촉체(422)가 접촉되어 전원공급부(P)가 모터(M)로 전원을 인가시켜 동력수단(300)을 구동시킨다.
이때, 동력수단(300)이 구동됨에 따라 와이어(31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감김과 동시에 탄성부(320)도 후방으로 압축됨으로써, 제1타격부(230)가 후퇴하여 제1타격부(230)에 동력이 인가된 상태가 되고, 회동체(423)는 가압되어 하측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회동체가(423)가 하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접촉체(422)는 상측으로 회동되어 전도체(413)와의 접촉은 끊어지게 되고, 모터(M)에 인가된 전원은 차단되어 동력수단(300)의 구동도 정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14와 같이, 와이어(310)는 동력이 차단된 자유상태가 되며,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320)가 압축이 해제되어 순간적인 힘에 의해 제1타격부(230)가 제1타격판(225)을 타격함으로써, 와이어(310)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제1타격부(230)가 제1타격판(225)을 타격함과 동시에 지지부(220)가 전방으로 밀착되면서 못이 고정될 수 있도록 1차 타격한다.
더불어, 도 15와 같이, 제2타격부(240)는 제1타격부(230)가 제1타격판(225)을 타격함과 동시에 가속이 붙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2타격판(226)을 타격한다.
따라서, 제2타격부(240)는 못의 중심을 타격하게 되므로, 1차 타격으로 못이 고정된 상태에서 2차 타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회동체(423)의 하측 회동으로 감겨있던 태엽스프링(421d)은 복원력으로 풀리게 되는데, 이에 따라, 회동체(423)가 다시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접촉체(422)는 하측으로 회동되어 전도체(413)와 재접촉된다.
이로 인해, 전원공급부(P)가 모터(M)로 전원을 다시 인가시켜 동력수단(300)을 재구동시키게 되면, 상기한 과정을 재수행하여 피타격체(H)를 재타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1)는 방아쇠부(410)를 후방으로 당기는 적은 힘만 유지시키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못 또는 펀치를 포함하는 피타격체(H)를 타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박혀 있는 못을 빼고자 할 경우, 도 16과 같이, 케이스(100)의 상면에 위치해 있는 못 빼기수단(50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케이스(100)의 전방에 위치 고정시킨 다음, 못 제거부(520)를 이용하여 못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타격 장치는 방아쇠를 당기는 적은 힘만으로도 피타격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벽 또는 작업 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와이어를 당겨주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방아쇠를 당기는 것만으로 동력이 전달된 와이어가 당겨져 피타격체를 타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으며, 못 지지돌기 또는 펀치돌기 등이 형성된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못은 물론 펀치 등의 피타격체를 타격할 수 있고, 비상탈출용 망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 시 못을 빼는 용도로도 사용되어 용도가 한정되지 않아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타격수단을 잠그는 것이 가능하여 유사시 사람에게 타격하여 공격용으로 사용될 수 없어 안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자동 타격 장치
100 : 케이스 110 : 파지부
120 : 수용부 130 : 제1회전축
140 : 제2회전축 150 : 제1회동축
160 : 걸림돌기 170 : 회동공
180 : 결합홈 180a : 결합 및 이동홈
190 : 걸림턱 200 : 타격수단
210 : 하우징 211 : 절개공
212 : 장공 213 : 가이드홈
214 : 걸림홈 220 : 지지부
221 : 못 지지돌기 221a : 요홈
221b : 펀치타격돌기 222 : 잠금돌기
222a : 안착편 223 : 잠금링크
223a : 제1잠금링크 223b : 제2잠금링크
224 : 제1완충스프링 225 : 제1타격판
226 : 제2타격판 230 : 제1타격부
231 : 가이드공 240 : 제2타격부
241 : 걸림체 241a : 걸림체헤드
300 : 동력수단 310 : 와이어
320 : 탄성부 330 : 제1도르래
340 : 제2도르래 400 : 제어수단
410 : 방아쇠부 411 : 누름체
412 : 제2완충스프링 413 : 전도체
420 : 전원조절부 421 : 몸체
421a : 관통공 421b : 지연돌기
421c : 제2회동축 421d : 태엽스프링
421e : 회전돌기 422 : 접촉체
423 : 회동체 500 : 못 빼기수단
510 : 회동돌기 520 : 못 제거부
530 : 고정레버 연통공 540 : 고정레버
541 : 가압편 542 : 고정편
542a : 결합돌기 H : 피타격체
J : 자석 M : 모터
P : 전원공급부

Claims (12)

  1.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피타격체를 타격하는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수단과, 상기 동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타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된 상기 동력수단의 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타격수단이 진퇴를 반복하여 피타격체를 자동으로 타격하되,
    상기 타격수단은,
    상기 타격수단의 구성들을 보호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어 피타격체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1차 타격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제1타격부; 및
    상기 제1타격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와이어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여 상기 지지부를 2차 타격하는 제2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측면에 복수개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타격부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타격부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걸림체가 결합되어,
    상기 걸림체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상기 제1타격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타격부의 후퇴시 상기 장공의 일단에 충돌됨에 따라 상기 제2타격부의 후퇴가 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 요홈이 형성되어 못의 중심을 지지하는 못 지지돌기;
    상기 못 지지돌기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격을 잠금하는 복수개의 잠금돌기; 및
    상기 못 지지돌기의 외주연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잠금돌기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안착편에 안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는 복수개의 잠금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못 지지돌기가 후방으로 가압되면, 복수개의 상기 잠금링크가 동시에 일측으로 회동되고, 복수개의 상기 잠금링크의 타단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동시에 이탈되어 복수개의 상기 잠금돌기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타격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방아쇠부; 및
    상기 방아쇠부와 접촉되어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타격수단의 후퇴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방아쇠부와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모터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누름체;
    상기 누름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체의 이동시 완충되도록 하는 제2완충스프링; 및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타측에 형성되고, 'ㄷ'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누름체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조절부는,
    'ㄴ'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방아쇠부의 전도체와 접촉되는 접촉체; 및
    상기 몸체의 후방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수단의 후퇴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하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연돌기;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설치된 제2회동축에 결합되는 태엽스프링; 및
    상기 제2회동축의 좌단과 우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좌·우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회전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회동체의 하측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일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을 감고, 상기 회동체의 상측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타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을 풀리게 하되,
    상기 태엽스프링은 상기 지연돌기에 걸리면서 풀리게 되어 상기 회동체의 상승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회동공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벽 또는 작업대상물에 박혀 있는 못을 뺄 수 있는 못 빼기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못 빼기수단은,
    상기 회동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좌·우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동돌기; 및
    상기 못 빼기수단의 전방에 형성되어 벽 또는 작업대상물에 박혀있는 못을 제거하는 못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타격 장치.
KR20140105222A 2014-08-13 2014-08-13 자동 타격 장치 KR10149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5222A KR101497876B1 (ko) 2014-08-13 2014-08-13 자동 타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5222A KR101497876B1 (ko) 2014-08-13 2014-08-13 자동 타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876B1 true KR101497876B1 (ko) 2015-03-04

Family

ID=5302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5222A KR101497876B1 (ko) 2014-08-13 2014-08-13 자동 타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8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0810A (zh) * 2017-07-19 2017-12-29 防城港市港口区晶通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式垂直拔铁钉装置
KR102042586B1 (ko) * 2018-08-08 2019-11-11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긴급탈출용 유리파괴장치
WO2021010541A1 (ko) * 2019-07-12 2021-01-21 서순석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90A (ko) * 2001-10-20 2003-05-01 (주)이도전자 못박기 기구
JP2008272880A (ja) * 2007-04-27 2008-11-13 Makita Corp 打撃工具
KR101394864B1 (ko) * 2013-06-25 2014-05-13 장민 못 타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90A (ko) * 2001-10-20 2003-05-01 (주)이도전자 못박기 기구
JP2008272880A (ja) * 2007-04-27 2008-11-13 Makita Corp 打撃工具
KR101394864B1 (ko) * 2013-06-25 2014-05-13 장민 못 타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0810A (zh) * 2017-07-19 2017-12-29 防城港市港口区晶通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式垂直拔铁钉装置
KR102042586B1 (ko) * 2018-08-08 2019-11-11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긴급탈출용 유리파괴장치
WO2021010541A1 (ko) * 2019-07-12 2021-01-21 서순석 유리 타격용 스마트 망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876B1 (ko) 자동 타격 장치
NO323453B1 (no) Festemiddeldrivanordning, og apningslokaliseringsmekanisme for bruk med festemiddeldrivanordning.
CA2301379C (en) Successive screw driving attachment
WO2006008546A2 (en) Nailer device
WO2006079260A1 (fr) Tete de coupe rotative d’agrafeuse chirurgicale automatique
JP2009056566A (ja) 打込機
KR20150143047A (ko) 비상탈출용 타격장치
US20070057010A1 (en) Kinetic hammer with self-feeding mechanism
US8893594B2 (en) Fastener extraction device
JP2014108468A (ja) 打込機
TWI706836B (zh) 扣件敲擊工具
US6553670B2 (en) Plastic pipe cutter
US20090114891A1 (en) Nail Pulling Device
JP6452333B2 (ja) ノックピン抜き工具
KR101394864B1 (ko) 못 타격 장치
JP3489371B2 (ja) 動力工具の安全装置
JP2006150477A (ja) ネジ、釘等の打込機における打込ガイド機構
US4314593A (en) Hammer with selectively actuated auxiliary head
KR100914641B1 (ko) 못 파지 및 타격장치
US11338423B2 (en) Slap hammer with cap dispenser
KR20160124506A (ko) 자동 타격장치
KR200405811Y1 (ko) 자동식 작살
KR101565118B1 (ko) 절골장치
JP3825866B2 (ja) 固着具打込機のトリガ装置
JP2007075957A (ja) 釘打機の単発打ち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