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525B1 -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525B1
KR101856525B1 KR1020160130676A KR20160130676A KR101856525B1 KR 101856525 B1 KR101856525 B1 KR 101856525B1 KR 1020160130676 A KR1020160130676 A KR 1020160130676A KR 20160130676 A KR20160130676 A KR 20160130676A KR 101856525 B1 KR101856525 B1 KR 10185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release button
locking
return spring
lock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414A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30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5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실내의 내장재에 내장되어 안전법규인 인테리어 피팅(INTERIOR FITTING) 조건을 만족함과 동시에 유사시 해머의 탈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는 내장재(20)에 구비되는 수납부(22), 상기 수납부(22)에 수용되는 해머(10), 상기 수납부(22)에 형성되어 상기 해머(10)를 구속하는 수용홈부(22a), 및 상기 수납부(22)에 구비되어 상기 해머(10)를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조절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조절부(30)는 상기 해머(10)의 고정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바디(34), 상기 해머(10)의 고정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릴리스 버튼(36), 상기 록킹바디(34)를 상기 해머(10)의 구속홈부(12a)를 향해 가압하는 제1리턴 스프링(38), 및 상기 릴리스 버튼(36)을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제2리턴 스프링(4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HAMMER LOCKING DEVICE FOR EMERGENCY ESCAPE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사시 차량의 창문을 파괴할 수 있는 비상 탈출용 해머를 차실내의 내장재에 내장하여 고정할 수 있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승객이 탑승하는 대형 차량의 경우 안전기준에 따라 유사시 탑승자의 비상 탈출을 위한 비상구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다. 또한, 창문의 경우 비상구의 규격 이상이거나 또는 비상구를 대용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를 장착한 경우 비상 탈출을 위해 강화유리를 파손할 수 있게 하는 별도의 도구가 탑재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차실내에는 강화유리로 제작된 창문을 깨트릴 수 있게 하는 손망치와 유사한 형태의 해머가 비상 탈출시 활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비상 탈출용 해머는 빈번하게 분실되기 때문에 분실 방지를 목적으로 스트랩이나 별도의 고정기구를 매개로 차실내의 내장재에 대해 장착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스트랩이나 별도의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비상 탈출용 해머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주행중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작은 충격에 의해 이탈되어 비상시 활용이라는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4-0000019호에 개시된 비상탈출용 안전장치는, 유사시 유리를 타격하여 탈출구를 마련할 수 있는 망치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상기 망치부재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거치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망치부재가 상기 거치부를 통해 본체에 고정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스위치, 및 상기 망치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이를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로 표시하는 알람수단을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갖춘 구성으로 이루어져, 망치부재의 도난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비상상황 발생시 망치부재의 부재로 인한 사고발생 대처가 미흡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로부터 망치부재를 탈거함과 동시에 승객 및 운전기사가 비상상황의 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비상탈출용 안전장치에서도 거치부가 본체에 대해 망치부재를 끼움 방식으로 고정하는 구조임에 따라 충격에 의한 이탈 문제를 완전하게 해소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망치부재를 포함한 거치부와 본체가 차실내의 내장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이므로, 새롭게 신설되는 안전법규인 인테리어 피팅(INTERIOR FITTING) 조건에 부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14-0000019호의 비상탈출용 안전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실내의 내장재에 내장되어 안전법규인 인테리어 피팅(INTERIOR FITTING) 조건을 만족함과 동시에 유사시 해머의 탈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장재에 대해 해머를 수용하는 공간을 오목하게 설정함과 더불어 해머의 이탈을 구속할 수 있는 잠금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 의한 이탈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하고 해머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실내의 내장재에 구비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는 해머,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해머를 구속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어 상기 해머를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조절부는 상기 해머의 고정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머의 구속홈부에 삽입되는 록킹바디, 상기 해머의 고정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해머의 구속홈부로부터 상기 록킹바디를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릴리스 버튼, 상기 록킹바디를 상기 해머의 구속홈부를 향해 가압하는 제1리턴 스프링, 및 상기 릴리스 버튼을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제2리턴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수납부는 상기 해머의 구속돌기부를 삽입하는 수용홈부, 및 상기 해머의 손잡이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해머는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돌기부를 형성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홈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잠금 조절부는 상기 록킹바디, 상기 릴리스 버튼, 상기 제1리턴 스프링, 및 상기 제2리턴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록킹바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트임부, 상기 릴리스 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 및 상기 트임부와 대향하는 부위에서 상기 록킹바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요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하우징은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임부와 상기 요홈부는 상기 상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 사이의 조립부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상부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하부몸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록킹바디는 상기 구속홈부에 삽입 가능한 경사면, 상기 릴리스 버튼을 교차방향으로 수용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상기 릴리스 버튼의 하강시 상기 록킹바디를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경사 접촉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록킹바디는 상기 하우징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제1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리턴 스프링은 상기 제1로드부에 끼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릴리스 버튼은 상기 경사 접촉면과 대향하는 대응 접촉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릴리스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제2관통부에 삽입되는 제2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리턴 스프링은 상기 제2로드부에 끼워진다.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해머를 차실내의 내장재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태의 수납부에 내장될 수 있게 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안전법규인 인테리어 피팅(INTERIOR FITTING) 조건을 만족할 수 있고, 유사시 릴리스 버튼에 대한 간편한 조작에 의해 내장재의 수납부로부터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자동적인 이탈을 유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실내의 내장재에 해머를 수용하는 공간을 오목하게 설정함과 동시에 잠금 조절부를 매개로 해머의 이탈을 구속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작은 충격에 의해 해머가 수납위치로부터 이탈되어 벗어나는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 조절부에 의한 구속 및 이탈 기능을 매개로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가 차실내의 내장재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 탈출용 해머의 수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상 탈출용 해머를 수납하기 위한 내장재를 잠금 조절부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잠금 조절부에 의한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잠금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잠금 조절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상 탈출용 해머(10)는 차실내의 내장재(20)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태의 수납부(22)에 대해 잠금 조절부(30)를 매개로 탈/부착이 용이하게 설치된다.
상기 비상 탈출용 해머(10)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2), 상기 손잡이부(12)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헤드부(14), 및 상기 헤드부(14)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강화유리의 국소부위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타격부(16)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는 자유단부에 오목한 형태의 구속홈부(12a)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14)는 자유단부에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구속돌기부(14a)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내장재(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의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에 해당하는 것이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위는 패키지 트레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크러쉬 패드(CRASH PAD), 필러(PILLAR), 헤드 라이닝(HAEAD LINING) 등 차실내의 다양한 인테리어 트림부(INTERIOR TRIM)에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수납부(22)는 내장재(20)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비상 탈출용 해머(10)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납부(22)는 일측에 상기 해머(10)의 구속돌기부(14a)를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는 수용홈부(22a)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상기 해머(10)의 손잡이부(12)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발 지지부(22b)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부(22a)는 헤드부(14)의 구속돌기부(14a)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탄발 지지부(22b)는 손잡이부(12)의 저면에 대해 이탈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이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부(22a)는 수납부(22)로부터 해머(10)의 이탈시 헤드부(14)를 중심으로 손잡이부(12)가 선회 방식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회동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탄발 지지부(22b)는 수납부(22)로부터 해머(10)의 이탈시 손잡이부(12)의 외부 이탈에 필요로 하는 작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잠금 조절부(30)는 내장재(20)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분할되어 조립되는 하우징(32),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서 해머(10)의 고정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머(10)의 구속홈부(12a)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록킹바디(34), 상기 해머(10)의 고정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속홈부(12a)로부터 상기 록킹바디(34)를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릴리스 버튼(36), 상기 록킹바디(34)를 상기 해머(10)의 구속홈부(12a)를 향해 잠금상태로 가압하는 제1리턴 스프링(38), 및 상기 릴리스 버튼(36)을 해제상태로 가압하여 록킹바디(34)가 상기 제1리턴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해 구속홈부(12a)의 내부로 삽입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제2리턴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해머(10)의 고정축선은 손잡이부(12)로부터 헤드부(14)를 연장하는 가상의 연결선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속홈부(12a)로부터 구속돌기부(14a)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에 해당한다.
상기 하우징(32)은 상하로 분할되어 상호 조립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몸체부(32a)와 하부몸체부(32b)로 구성되고, 일측에 상기 록킹바디(34)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트임부(32c), 및 대략 중앙부위에 상기 릴리스 버튼(36)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관통부(32d)와 제2관통부(32e)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록킹바디(34)의 수평방향 이동은 상기 수납부(22)에 대한 상기 비상 탈출용 해머(10)의 잠금 및 해제를 결정하는 것이고, 상기 릴리스 버튼(36)의 수직방향 이동은 상기 록킹바디(34)의 잠금 및 해제를 결정하는 것으로, 각각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32)은 트임부(32c)와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록킹바디(34)의 타측부위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1리턴 스프링(38)의 지지를 위한 요홈부(32f)를 형성한다. 즉, 상기 트임부(32c)와 요홈부(32f)는 상기 상부몸체부(32a)와 하부몸체부(32b) 사이의 조립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1관통부(32d)는 상부몸체부(32a)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2관통부(32e)는 하부몸체부(32b)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바디(34)는 일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34a)을 형성하는 바, 상기 경사면(34a)은 상기 수납부(22)에 상기 손잡이부(12)가 수용될 때, 상기 수납부(22)에 대한 상기 손잡이부(12)의 구속홈부(12a)의 수용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반면에 상기 수납부(22)로부터 상기 손잡이부(12)의 구속홈부(12a)의 이탈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록킹바디(34)는 대략 중앙부위에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릴리스 버튼(36)을 교차방향으로 수용하는 형태의 개구부(34b)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34b)는 일측에 상기 릴리스 버튼(36)의 하강시 상기 록킹바디(34)를 해제상태로 가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사 접촉면(34c)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록킹바디(34)는 타단부에 상기 하우징(32)의 요홈부(32f)에 삽입되어 상기 해머(10)의 고정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로드부(34d)를 구비하고, 상기 제1리턴 스프링(38)은 상기 제1로드부(34d)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요홈부(32f)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릴리스 버튼(36)은 상기 경사 접촉면(34c)과 마주보는 부위에 경사진 형태의 대응 접촉면(36a)을 형성하는 바, 상기 대응 접촉면(36a)은 상기 릴리스 버튼(36)의 하강시 상기 록킹바디(34)의 경사 접촉면(34c)과의 접촉을 통해 록킹바디(34)를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릴리스 버튼(36)은 하단부에 상기 하우징(32)의 제2관통부(32e)에 삽입되어 상기 해머(10)의 고정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로드부(36b)를 구비하고, 상기 제2리턴 스프링(40)은 상기 제2로드부(36b)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2관통부(32e)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내장재(20)의 수납부(22)에 상기 비상 탈출용 해머(10)를 보관할 때, 상기 헤드부(14)의 구속돌기부(14a)를 상기 수납부(22)의 수용홈부(22a)에 먼저 끼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12)를 수납부(22)의 내부공간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잠금 조절부(30)의 록킹바디(34)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34a)은 상기 손잡이부(12)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구속홈부(12a)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상기 수납부(22)로부터 상기 비상 탈출용 해머(10)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록킹바디(34)는 제1리턴 스프링(38)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34a)이 상기 손잡이부(12)의 구속홈부(12a)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비상 탈출용 해머(10)는 내장재(20)의 수납부(22) 내에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해머(10)가 이탈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사시 상기 비상 탈출용 해머(1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릴리스 버튼(36)을 눌러 상기 잠금 조절부(30)에 의해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면 된다. 즉, 상기 릴리스 버튼(36)의 하강에 의해 대응 접촉면(36a)과 상기 록킹바디(34)의 경사 접촉면(34c)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해머(10)의 고정축선을 따라 상기 록킹바디(34)는 해제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록킹바디(3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12)의 구속홈부(12a)로부터 경사면(34a)이 이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수납부(22)의 탄발 지지부(22b)는 상기 해머(10)의 손잡이부(12)를 외부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상기 수납부(22)로부터 상기 비상 탈출용 해머(10)는 원활하게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비상 탈출용 해머 12-손잡이부
14-헤드부 16-타격부
20-내장재 22-수납부
30-잠금 조절부 32-하우징
34-록킹바디 36-릴리스 버튼
38-제1리턴 스프링 40-제2리턴 스프링

Claims (10)

  1. 차실내의 내장재(20)에 구비되는 수납부(22);
    상기 수납부(22)에 수용되는 해머(10); 및
    상기 수납부(22)에 구비되어 상기 해머(10)를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조절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조절부(30)는 상기 해머(10)의 고정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머(10)의 구속홈부(12a)에 삽입되는 록킹바디(34);
    상기 해머(10)의 고정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해머(10)의 구속홈부(12a)로부터 상기 록킹바디(34)를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릴리스 버튼(36);
    상기 록킹바디(34)를 상기 해머(10)의 구속홈부(12a)를 향해 가압하는 제1리턴 스프링(38);
    상기 릴리스 버튼(36)을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제2리턴 스프링(40); 및
    상기 록킹바디(34), 상기 릴리스 버튼(36), 상기 제1리턴 스프링(38), 및 상기 제2리턴 스프링(40)을 수용하는 하우징(32)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록킹바디(3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트임부(32c);
    상기 릴리스 버튼(3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관통부(32d)와 제2관통부(32e); 및
    상기 트임부(32c)와 대향하는 부위에서 상기 록킹바디(3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요홈부(32f)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2)는 상기 해머(10)의 구속돌기부(14a)를 삽입하는 수용홈부(22a), 및 상기 해머(10)의 손잡이부(1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발 지지부(2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머(10)는 상기 손잡이부(12)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돌기부(14a)를 형성하는 헤드부(14), 및 상기 헤드부(14)에 구비되는 타격부(16)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홈부(12a)는 상기 손잡이부(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2)은 상부몸체부(32a)와 하부몸체부(32b)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임부(32c)와 상기 요홈부(32f)는 상기 상부몸체부(32a)와 상기 하부몸체부(32b) 사이의 조립부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부(32d)는 상기 상부몸체부(32a)에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부(32e)는 상기 하부몸체부(32b)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디(34)는 상기 구속홈부(12a)에 삽입 가능한 경사면(34a);
    상기 릴리스 버튼(36)을 교차방향으로 수용하는 개구부(34b); 및
    상기 개구부(34b)의 일측에 상기 릴리스 버튼(36)의 하강시 상기 록킹바디(34)를 해제상태로 가압하는 경사 접촉면(34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디(34)는 상기 하우징(32)의 요홈부(32f)에 삽입되는 제1로드부(34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리턴 스프링(38)은 상기 제1로드부(34d)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버튼(36)은 상기 경사 접촉면(34c)과 대향하는 대응 접촉면(36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버튼(36)은 상기 하우징(32)의 제2관통부(32e)에 삽입되는 제2로드부(36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리턴 스프링(40)은 상기 제2로드부(36b)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KR1020160130676A 2016-10-10 2016-10-10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KR10185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76A KR101856525B1 (ko) 2016-10-10 2016-10-10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76A KR101856525B1 (ko) 2016-10-10 2016-10-10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414A KR20180039414A (ko) 2018-04-18
KR101856525B1 true KR101856525B1 (ko) 2018-05-11

Family

ID=6208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676A KR101856525B1 (ko) 2016-10-10 2016-10-10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5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414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4929A1 (en) Motor-vehicle headrest
JP2004297067A (ja) 携帯端末機のバッテリカバーロッキング装置
US20150069739A1 (en)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US20120061162A1 (en) Handle for a door leaf of an automobile
JPH09187344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2002362273A (ja) 衝撃吸収装置
KR101856525B1 (ko) 차량의 비상 탈출용 해머의 잠금장치
US8047611B2 (en) Headrest bushing and vehicle seat using the same
JP2011126454A (ja) タクシー防犯用仕切り装置
KR101891661B1 (ko) 망치 겸용 헤드레스트
JP2008143416A (ja) ドアトリム用アームレスト構造
KR101991450B1 (ko) 비상용 망치
KR102070001B1 (ko) 망치로 변형 가능한 차량용 내부 손잡이
JP6264243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200029673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車両への固着装置
KR100870826B1 (ko) 차량용 풀 핸들
CN111319535B (zh) 应急装置和公共交通工具
JP6191880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4470545B2 (ja) 車両用ドア構造
US20190344729A1 (en) Door trim
KR20100042893A (ko)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190554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714236B1 (ko) 시트벨트의 로어앵커 커버
JPH11188660A (ja) 窓ガラス破壊装置
JP200729572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