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893A -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893A
KR20100042893A KR1020080102099A KR20080102099A KR20100042893A KR 20100042893 A KR20100042893 A KR 20100042893A KR 1020080102099 A KR1020080102099 A KR 1020080102099A KR 20080102099 A KR20080102099 A KR 20080102099A KR 20100042893 A KR20100042893 A KR 2010004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top panel
cowl top
windshield gla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716B1 (ko
Inventor
배학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7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60R2021/216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with energy absorbing or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내측과 이격되어 운전석과 조수석에 걸쳐 배치되는 크래쉬 패드부와,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 결합되어 크래쉬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일측에 핀 형상의 결합 부재가 형성된 카울탑 패널부와, 일단은 크래쉬 패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카울탑 패널부의 결합 부재가 결합되도록 홀더부가 형성된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보행자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충돌시 결합 부재가 이탈되도록 하부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과 충돌 시 크래쉬 패드부와 카울탑 패널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의 머리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크래쉬 패드부, 카울탑 패널부, 윈드실드 글래스, 마운팅부, 홀더부

Description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MOUNTING STRUCTURE OF CRASH PAD}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과 충돌할 시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크래쉬 패드(Crash Pad)는 차량의 실내 전면 운전석 및 조수석에 걸쳐 형성되며, 이러한 크래쉬 패드는 각종 조작기구와 덕트 및 편의 장치가 장착되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종래 크래쉬 패드는 그 선단부가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크래쉬 패드의 선단부는 윈드실드 글래스 내부면과 기밀하게 밀착 결합된 카울탑 패널 사이에 마련된 고정 브라켓에 의해 결합된다.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과 충돌할 경우, 보행자의 머리 부분이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를 타격하게 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가 파단되면서 윈드실드 글래스의 내부에 고정된 카울탑 패널과 충돌하게 된다.
하지만, 카울탑 패널은 고정 브라켓에 의해 크래쉬 패드와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울탑 패널에 충돌한 보행자는 머리 부분의 상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과 충돌 시 보행자의 머리 상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내측과 이격되어 운전석과 조수석에 걸쳐 배치되는 크래쉬 패드부와,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 결합되어 크래쉬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일측에 핀 형상의 결합 부재가 형성된 카울탑 패널부와, 일단은 크래쉬 패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카울탑 패널부의 결합 부재가 결합되도록 홀더부가 형성된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보행자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충돌시 결합 부재가 이탈되도록 하부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부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의 하부에는 홀더부와 이격되도록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홀더부를 향해 형성된 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과 충돌 시 크래쉬 패드부와 카울탑 패널부를 분리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의 머리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의 동작을 나타낸 세부 동작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는 윈드실드 글래스(100)와,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0)의 내측에 이격 설치된 크래쉬 패드부(200)와, 상기 크래쉬 패드부(2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 카울탑 패널부(300)와, 일단은 크래쉬 패드(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카울탑 패널부(300)에 결합되는 마운팅부(500)를 포함한다.
윈드실드 글래스(100)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며, 탑승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윈드실드 글래스(100)의 내측에는 크래쉬 패드부(200)가 마련된다.
크래쉬 패드부(200)의 선단부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내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차량의 실내 전면 운전석 및 조수석에 걸쳐 배치된다. 이러한 크래쉬 패드부(200)에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연료계기판, 속도판 및 스티어링축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카울탑 패널부(300)는 윈드실드 글래스(100)의 내부면 예컨대, 윈드실드 글래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며, 구체적으로는 윈드실드 글래스(100)의 내측 하부에 별도의 부재에 의해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울탑 패널부(300)의 일측에는 결합 부재(400)가 마련되며, 이러한 결합 부재(400)는 카울탑 패널부(300)로부터 돌출 형성된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크래쉬 패드부(200)의 하부에는 크래쉬 패드부(200)와 카울탑 패널부(300)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카울탑 패널부(300)에 형성된 결합 부재(400)와 결합되도록 마운팅부(500)가 마련되며, 이러한 마운팅부(500)는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에 충돌하여 카울탑 패널부(300)를 타격할 경우, 보행자의 상해 정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카울탑 패널부(300)를 크래쉬 패드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부(500)의 하부에는 카울탑 패널부(300)의 결합 부재(400)와 결합되는 원형의 링 형상의 홀더부(600)가 마련되며, 홀더부(600)에 끼워져 결합된 결합 부재(400)가 이탈될 수 있도록 홀더부(600)의 하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개방부(61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홀드부(600)에 결합된 결합 부재(400)가 홀더부(60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홀더부(600)는 탄성력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결 합 부재(400)가 하부로 힘을 받을 시 홀더부(600)는 소정 간격으로 벌어져 결합 부재(400)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홀더부(600)의 형상을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울탑 패널부(300)에 형성된 결합 부재(4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홀더부(600)를 마운팅부(500)에 별도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마운팅부(5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운팅부(500)의 하부에는 홀더부(600)에 결합된 결합 부재(400)가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7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700)는 마운팅부(500)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마운팅부(500)의 하부에 형성된 홀더부(600)의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홀더부(600)와 마주보는 돌출부(700)의 일면은 소정의 경사면(7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홀더부(600)에 끼워져 결합된 결합 부재(400)가 힘을 받아 돌출부(700)를 향해 이동할 시 결합 부재(400)의 끝단이 경사면(710)에 맞닿게 되고, 경사면에 맞닿은 결합 부재(400)는 돌출부(700)의 경사면(710)을 따라 마운팅부(500)의 하방으로 유도되어 홀더부(60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마운팅부의 하부에 홀더부의 이격되도록 별도로 돌출부를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운팅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운팅부의 하부면에 내측을 향해 소정의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홀더부를 형성함으로써, 돌출부를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 패드부와 카울탑 패널부가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과 충돌하여 보행자의 머리 부분이 윈드실드 글래스(100)와 충돌하면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실드 글래스(100)가 파단되고, 윈드실드 글래스(100)와 기밀하게 결합된 카울탑 패널부(300)에 충격이 가해진다.
이어서, 카울탑 패널부(300)는 차량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고 카울탑 패널부(300)에 형성된 결합 부재(400)는 홀더부(600)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부(700)의 경사면(710)을 향해 이동한다.
결합 부재(400)의 끝단이 돌출부의 일면 예컨대, 경사면(710)에 맞닿게 되면 결합 부재(400)는 마운팅부(500)의 하방으로 유도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00)의 하방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해 탄성을 가진 홀더부(600)는 소정 간격 벌어진다.
이어서, 결합 부재(400)는 홀더부(600)를 이탈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00)는 마운팅부(500)와 분리된다. 여기서, 홀더부(600)는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과 충돌 시 크래쉬 패드부(200)와 카울탑 패널부(300)를 분리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행자의 머리 부분의 상해를 저감시켜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의 동작을 나타낸 세부 동작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윈드실드 글래스 200: 크래쉬 패드부
300: 카울탑 패널부 400: 결합 부재
500: 마운팅부 600: 홀더부
700: 돌출부 710: 경사면

Claims (3)

  1. 윈드실드 글래스의 내측과 이격되어 운전석과 조수석에 걸쳐 배치되는 크래쉬 패드부;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 결합되어 크래쉬 패드와 이격 배치되며 일측에 핀 형상의 결합 부재가 형성된 카울탑 패널부; 및
    일단은 크래쉬 패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카울탑 패널부의 결합 부재가 결합되도록 홀더부가 형성된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보행자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충돌시 결합 부재가 이탈되도록 하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탄성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의 하부에는 홀더부와 이격되도록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홀더부를 향해 형성된 일면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20080102099A 2008-10-17 2008-10-17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098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99A KR100980716B1 (ko) 2008-10-17 2008-10-17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99A KR100980716B1 (ko) 2008-10-17 2008-10-17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893A true KR20100042893A (ko) 2010-04-27
KR100980716B1 KR100980716B1 (ko) 2010-09-07

Family

ID=4221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099A KR100980716B1 (ko) 2008-10-17 2008-10-17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7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287A (ko) * 2010-05-25 2011-1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CN104326027A (zh) * 2014-09-29 2015-02-04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度高、性能好的前隔板总成
KR20200054621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그로멧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4425B2 (ja) * 2001-08-09 2011-01-05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JP3855867B2 (ja) * 2002-07-10 2006-1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287A (ko) * 2010-05-25 2011-1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CN104326027A (zh) * 2014-09-29 2015-02-04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度高、性能好的前隔板总成
CN104326027B (zh) * 2014-09-29 2017-07-07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度高、性能好的前隔板总成
KR20200054621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그로멧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716B1 (ko) 201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4608B2 (en) Headlight unit for a vehicle
KR100980716B1 (ko)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0775180B1 (ko) 차량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후드구조
KR101629831B1 (ko)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KR101021119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KR101427923B1 (ko) 차량용 카울 톱 아웃터패널
KR200345786Y1 (ko) 안전탈락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100622731B1 (ko) 충격 완충용 와이퍼 피봇 구조
KR20090050306A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설치용 브래킷
KR100489259B1 (ko) 자동차의 펜더 패널의 구조
KR100281625B1 (ko) 자동차 임팩트 바의 장착구조
KR20030000337A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의카울판넬구조
KR101575417B1 (ko) 차량용 후드 오버슬램범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1183A (ko)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20030041626A (ko) 차량 와이퍼
KR100461325B1 (ko)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KR100931465B1 (ko)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KR10098653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KR100427765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카울판넬구조
KR19980065683U (ko) 차량의 전면유리 분리장치
KR20110003143A (ko)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KR20010034945A (ko)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용 피봇축의 충격흡수장치
KR20040083280A (ko) 자동차 범퍼용 커버
KR19980036946U (ko) 프론트 필러 트림의 마운팅부 충격흡수구조
KR19980013688U (ko) 보강판넬이 구비된 자동차용 루프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