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287A -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287A
KR20110129287A KR1020100048840A KR20100048840A KR20110129287A KR 20110129287 A KR20110129287 A KR 20110129287A KR 1020100048840 A KR1020100048840 A KR 1020100048840A KR 20100048840 A KR20100048840 A KR 20100048840A KR 20110129287 A KR20110129287 A KR 20110129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rommet
crash pad
elastic press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831B1 (ko
Inventor
전덕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83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크래쉬패드 체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크래쉬패드에 구비되며,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그로멧부와; 차체 패널에 구비되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그로멧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및 그로멧부에 구비되어 관통홀부에 삽입된 브라켓부를 가압하여 그로멧부에 고정시키며, 브라켓부에 지지되어 크래쉬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가압부를 구비하여 크래쉬패드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크래쉬패드의 처짐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의 충격 상해치를 감소시켜 보행자 충격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크래쉬패드 체결장치{APPARATUS FOR FIXING CRASH PAD}
본 발명은 크래쉬패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크래쉬패드를 차체 패널에 체결하기 위한 크래쉬패드 체결장치이다.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크래쉬패드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연료계기판, 속도판 및 스티어링축 등을 일체로 구비하여 차체 패널에 체결된다. 차체 패널과 크래쉬패드의 체결은 브라켓과 그로멧(Grommet)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즉, 차체 패널에는 브라켓이 다수 구비되고, 크래쉬패드에는 브라켓의 수에 대응되는 수만큼의 그로멧이 장착되어 브라켓과 결합하게 되며, 이러한 결합에 의해 차체 패널과 크래쉬패드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크래쉬패드에 구비된 그로멧의 강성이 높은 경우 조립 과정에서 그로멧의 강성으로 인해 브라켓이 변형되는 등 조립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보행자 충격 보호성능이 저하되며, 크래쉬패드에 구비된 그로멧의 강성이 낮은 경우 크래쉬패드 처짐이 발생되어 외관 품질 및 진동 내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외관 품질 및 진동 내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조립성과 보행자 충격 보호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크래쉬패드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 체결장치는: 크래쉬패드에 구비되며,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그로멧부와; 차체 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그로멧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그로멧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부를 가압하여 상기 그로멧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브라켓부에 지지되어 상기 크래쉬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그로멧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브라켓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U"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로멧부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래쉬패드 체결장치에 따르면, 탄성가압부를 구비하여 크래쉬패드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크래쉬패드의 처짐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의 충격 상해치를 감소시켜 보행자 충격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가압부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브라켓부를 그로멧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시 브라켓부를 파손 또는 변형시키지 않는 등 조립성이 향상되며, 브라켓부와 그로멧부의 결합 부분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그로멧부, 브라켓부 등과 같은 부품의 진동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쉬패드 체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와 탄성가압부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와 탄성가압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 체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쉬패드 체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쉬패드 체결장치(100)는 그로멧부(110)와, 브라켓부(120) 및 탄성가압부(130)를 포함한다.
그로멧부(110)는 크래쉬패드(1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크래쉬패드(10)는 차체 패널(20)의 운전석에 인접한 측에 배치된다. 그로멧부(110)는 크래쉬패드(10)에 복수가 구비되어 크래쉬패드(1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그로멧부(110)는 크래쉬패드(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크래쉬패드(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크래쉬패드(10)와 일체로 성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로멧부(110)는 차체 패널(10)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이러한 그로멧부(110)의 내측에는 관통홀부(111)가 형성된다.
브라켓부(120)는 차체 패널(2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부(120)는 차체 패널(20)에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의 브라켓부(120)는 그로멧부(110)의 관통홀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브라켓부(120)는 차체 패널(20)과 크래쉬패드(10) 사이에 배치되어 관통홀부(111)를 향해 돌출된다. 일례로서, 브라켓부(120)는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통홀부(111)를 향해 돌출된 브라켓부(120)의 단부는 그로멧부(110)의 내측면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브라켓부(120)는 관통홀부(111)에 삽입되어 크래쉬패드(10)와 차체 패널(2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한다.
탄성가압부(130)는 그로멧부(1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탄성가압부(130)는 관통홀부(111)가 형성된 그로멧부(1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가압부(130)는 관통홀부(122)에 삽입된 브라켓부(120)를 가압하여 그로멧부(110)에 고정시킨다. 또한, 탄성가압부(130)는 관통홀부(122)에 삽입된 브라켓부(120)를 가압한 상태에서 브라켓부(120)에 지지되어 크래쉬패드(10)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가압부(1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결합부(131,133)와 접촉부(135)를 포함한다.
결합부(131,133)는 탄성가압부(130)의 양단부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31,133)는 그로멧부(110)에 결합되며, 그로멧부(110)의 내측에는 결합부(131,133)가 끼움 결합되는 리브부(113,115)가 구비된다. 즉, 탄성가압부(130)는 결합부(131,133)가 리브부(113,115)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그로멧부(110)의 내측에 결합된다.
접촉부(135)는 결합부(131,135)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되어 브라켓부(120)와 접촉된다. 접촉부(135)는 관통홀부(111)에 삽입된 브라켓부(120)와 접촉되어 브라켓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브라켓부(120)를 그로멧부(110) 상에 고정시킨다.
일례로서, 상기와 같은 결합부(131,133)와 접촉부(135)를 포함하는 탄성가압부(130)는, 접촉부(135)가 브라켓부(120)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U"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접촉부(135)는 관통홀부(111)에 삽입된 브라켓부(120)와 일정 부분 중첩되도록 브라켓부(120)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가압부(130)는 관통홀부(111)에 삽입된 브라켓부(120)를 가압하여 그로멧부(110) 상에 고정시키며, 브라켓부(120)의 상측에 얹혀져 브라켓부(12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그로멧부(110)를 매개로 탄성가압부(130)와 결합된 크래쉬패드(10)는 탄성가압부(13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와 탄성가압부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와 탄성가압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래쉬패드 결합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로멧부(110)는 크래쉬패드(10)에 구비된다. 그리고, 탄성가압부(130)는 관통홀부(111)가 형성된 그로멧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결합부(131,133)가 리브부(113,115)에 끼움 결합됨에 의해 그로멧부(110)의 내측에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부(120)는 차체 패널(20)에 구비되어 관통홀부(111)를 향해 돌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120)가 관통홀부(111)에 삽입되도록 하면, 관통홀부(111)에 삽입된 브라켓부(120)는 탄성가압부(130)의 접촉부(135)와 접촉되며, 탄성가압부(130)는 탄성가압부(130)와 브라켓부(120)의 조립 과정에서 브라켓부(120)에 의해 수축된다. 이와 같이 수축된 탄성가압부(130)에는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가압부(130)의 탄성복원력은 브라켓부(120)를 가압하여 그로멧부(110)에 고정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즉, 탄성가압부(13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용하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브라켓부(120)를 그로멧부(110)에 고정시키며, 탄성가압부(130)의 가압력에 의해 브라켓부(120)와 탄성가압부(130)는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부(120)를 그로멧부(110)에 고정시키는 탄성가압부(130)는, 브라켓부(120)와의 조립시 탄성 변형되어 브라켓부(120)를 파손 또는 변형시키지 않으며, 브라켓부(120)와 밀착되어 브라켓부(120)와 그로멧부(110)의 결합부분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한다.
또한, 탄성가압부(130)는 브라켓부(120)를 가압하는 동안 브라켓부(120)에 지지되며, 이러한 탄성가압부(130)는 브라켓부(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로멧부(110)를 매개로 탄성가압부(130)와 결합된 크래쉬패드(10)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가압부(130)는 크래쉬패드(1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구비되어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보행자 충돌시 탄성 변형되어 보행자의 충격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크래쉬패드 결합장치(100)는 탄성가압부(130)를 구비하여 크래쉬패드(1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크래쉬패드(10)의 처짐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의 충격 상해치를 감소시켜 보행자 충격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크래쉬패드 결합장치(1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가압부(130)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브라켓부(120)를 그로멧부(110)에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시 브라켓부(120)를 파손 또는 변형시키지 않는 등 조립성이 향상되며, 브라켓부(120)와 그로멧부(110)의 결합 부분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그로멧부(110), 브라켓부(120) 등과 같은 부품의 진동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110 : 그로멧부
111 : 관통홀부 113,115 : 리브부
120 : 브라켓부 130 : 탄성가압부
131,133 : 결합부 135 : 접촉부

Claims (5)

  1. 크래쉬패드에 구비되며,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그로멧부;
    차체 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그로멧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그로멧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부를 가압하여 상기 그로멧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브라켓부에 지지되어 상기 크래쉬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그로멧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 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브라켓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U"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 결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부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 결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쉬패드 결합장치.
KR1020100048840A 2010-05-25 2010-05-25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KR10162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840A KR101629831B1 (ko) 2010-05-25 2010-05-25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840A KR101629831B1 (ko) 2010-05-25 2010-05-25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287A true KR20110129287A (ko) 2011-12-01
KR101629831B1 KR101629831B1 (ko) 2016-06-21

Family

ID=4549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840A KR101629831B1 (ko) 2010-05-25 2010-05-25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754B1 (ko) 2017-07-17 2019-08-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092067B1 (ko) 2017-11-06 2020-03-2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038916B1 (ko) 2017-11-08 2019-10-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방법
KR102565815B1 (ko) * 2018-11-12 2023-08-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그로멧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797A (ko) * 2002-09-26 2004-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KR20100042893A (ko) * 2008-10-17 2010-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797A (ko) * 2002-09-26 2004-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KR20100042893A (ko) * 2008-10-17 2010-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831B1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842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ユニット
KR10082647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12006537A (ja) カウルボックス
KR20110129287A (ko)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JP2012101697A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4291722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2008132862A (ja) カウルルーバ構造
JP2009051342A (ja) 自動車のカウルボックス構造
KR101818344B1 (ko) 차량의 트랜스미션 케이블을 위한 그로멧 어셈블리
JP5455553B2 (ja) エンジン支持装置
CN102069853A (zh) 使碰撞衬垫固定至车辆的装置
KR20100042893A (ko)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0705052B1 (ko) 연료탱크용 패드
JP5704511B2 (ja) 車載機器の取付構造
KR101547278B1 (ko)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보강구조
JP6680187B2 (ja) 車体前部構造
JP6782629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2019189076A (ja) フードパネル構造
JP6471708B2 (ja) フード下側構造
JP2017218072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固定構造
KR100448076B1 (ko) 차량의 윈드실드글라스용 사이드 몰딩
JP5244147B2 (ja) キャビンの防振支持装置
KR20230060693A (ko) 자동차용 필러 플레이트
KR100820138B1 (ko) 차량용 사이드 언더 미러 마운팅구조
KR101683857B1 (ko) 쿨링모듈용 파손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