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797A -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797A
KR20040026797A KR1020020058377A KR20020058377A KR20040026797A KR 20040026797 A KR20040026797 A KR 20040026797A KR 1020020058377 A KR1020020058377 A KR 1020020058377A KR 20020058377 A KR20020058377 A KR 20020058377A KR 20040026797 A KR20040026797 A KR 20040026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guide
grommet
body pan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2663B1 (ko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6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를 차체 패널에 체결시키기 위한 가이드 기구는, 가이드 기구와 체결되기 위한 차체 패널의 부분을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연직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가이드 기구가 (1) 차체 패널의 부분에 천공된 홈을 통하여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차체 패널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2) 소정 형상의 날개부, 날개부의 후단에서 소정 각도 경사져서 상향 연장되며, 크러쉬 패드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관통홈을 구비한 경사판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그로매트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간편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래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조립 공차 관리 및 부착 작업 관리에 우월한 가이드 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Guide structure for mounting Crush pad module in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특히 소음방지와 조립성 및 원가 절감면에서 우수한 신규한 구조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내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크러쉬 패드는 일체형으로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연료계기판, 속도판 및 스티어링축등이 구비되어 차체 패널(카울패널)에 체결되는데, 육안으로 직접 인지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고품격화의 추구가 가능한 구조물이기도 하다.
이러한 크러쉬 패드는 통상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차량의 차체패널에 결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 크러쉬 패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기구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가이드기구에 의하여 크러쉬 패드가 카울패널에 체결된 상태에서 도1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카울패널(20')의 측면에 경사지게 설치한 차체 브라켓트(300')는 소정 크기의 체결공(310')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캡(100')은 상기 체결공(310')에 삽입되는 캡걸림턱(110'), 반원호형의 상부 및 상부 아래에 단면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확장 형성되며 중심에는 삽입홈(130')을 구비한 베이스(120')로 이루어져 있다. 또, 가이드핀(200')은 차량 전방으로 돌출 연장된 상부의 핀걸림턱(220')과 하부의 지지편(230') 및 본체에서 후방으로 이중 굴곡되어 형성된 대향측면부(210',21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가이드캡(100') 및 가이드핀(200')을 이용한 크러쉬 패드의 체결태양을 보면, 먼저 차체브라켓트(300')의 체결공(310')을 통하여 가이드캡(100')의 캡걸림턱(110')이 내부로 삽입 체결된다. 그리고,가이드핀(200')의 핀걸림턱(220')은 상기 가이드캡(100')의 삽입홈(130')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공(310')내부에 안착되고 그 선단 부분이 상기 캡걸림턱(110') 및 체결공(310') 주변부와 맞닿아 걸림하여 가이드핀(200')이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기능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편(230')은 차체브라켓트(3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삽입된다. 이러한 가이드캡(100')과 가이드핀(200')의 가이드식 체결 구조가 완성되면, 가이드핀(200')의 두 측면부(210'210')사이에 형성된 체결공(도1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크러쉬 패드(C)의 보스부(10',10') 사이에 관통볼트들이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크러쉬 패드(C)의 차체 패널로의 결합 공정이 완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첫째, 크러쉬 패드의 유지 보수시 크러쉬 패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에 의하여 가이드캡에 맞물린 가이드핀, 특히 핀걸림턱(220')부분이 파손 내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도 2에 도시한 개소에서의 공간부 이격 현상으로 인하여 주행시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발생한다.
셋째, 차체패널의 경사면에 가이드 구조를 결합시키는 공정에 의존하는 결과 브라켓트 및 가이드 기구들의 제작 및 조립 공차 관리가 어렵고 부착 공정 또한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간편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래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조립 공차 관리및 부착 작업 관리에 우월한 가이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 크러쉬 패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기구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이드기구에 의하여 크러쉬 패드가 카울패널에 체결된 상태에서 도1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채용하는 가이드 그로메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채용하는 가이드 그로메트의 측면 절단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그로메트가 용접볼트에 결합되는 모양을 차량 내부에서 바라 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 기구를 이용하여 차체 패널에 크러쉬 패드를 체결한 후의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를 차체 패널에 체결시키기 위한 가이드 기구는, 가이드 기구와 체결되기 위한 상기 차체 패널의 부분이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연직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기구가 (1) 차체 패널의 상기 부분에 천공된 홈을 통하여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차체 패널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재 (2) (a)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체결공의 조임 결합이 완성될 때 상기 차체 패널의 상기 부분과 맞닿아 가압되는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와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날개부 및 (b) 날개부의 후단에서 상기 체결공의 중심축과 소정 각도 경사져서 상향 연장되며, 상기 크러쉬 패드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관통홈을 구비한 경사판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그로매트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는 용접볼트 혹은 용접로드로서 이 결합부재가 차체 패널의 후면에 용접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그로매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기 외주부는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테두리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받침부는 외주부의 후면에서 각각 하방향 및 상방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는 받침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가 형성하는 공간은 상기 체결공을 제공하며, 상기 받침부가 형성하는 외면에는 소정 형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상기 받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천공되어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의 가이드 그로매트는 상기 외주부의 상부 중앙 부근에서 상기 경사판부의 중앙선 전체에 이르기까지 연속 연장된 판 형상의 수직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채용하는 가이드 그로메트(grommet;10)의 정면도 및 측면 절단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로메트(10)는 크게 날개부(12), 경사판부(14) 및 수직지지부(16)로 구성된다.
날개부(12)는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테두리 형상의 외주부(120), 이 외주부의 후면에서 각각 하방향 및 상방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된 받침부(122) 및 이 받침부(122)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부(12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4)가 형성하는 공간은 후술하는 용접볼트(20)가 체결되는 체결공(130)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날개부(12)의 상기 받침부(122)가 형성하는 외면에는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대략 긴 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26)가 받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 이러한 개구부(126)는 크러쉬 패드의 유지보수 및 가이드 기구의 차체 패널로의 결합시 그로메트에 가해지는 외압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또, 경사판부(14)는 상기 지지부(124)의 후단에서 상기 체결공(130)의 중심축과 소정 각도 경사져서 상부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하고 있는데, 실시예에서의 경사판부(14)는 하부가 폭이 좁고 하부에서 점차 확개되다가 관통홈(140)을 제공하는 수직면으로 구성된, 전체적으로 나비 날개와 유사한 형상을 하고 있다. 경사판부(14)가 날개부(12)에 대하여 경사지는 이유는 크러쉬 패드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기본 구조를 유지하는 한 경사판부(14)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수직지지부(16)는 상기 외주부(120)의 상부 중앙 부근에서 상기 경사판부(14)의 중앙선 전체에 이르기까지 연속 연장된 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로매트와 체결되는 용접볼트(20)는 차체패널(40)의 후면에서 삽입되어 차체패널(40)과 용접 결합되고 그 볼트부는 차량의 후방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차체패널의 결합부 부근은 종전과 같은 경사식의 브라켓트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연직면을 이루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용접볼트(20)가 결합되면, 본 발명의 그로매트(10)의 지지부(124)사이의 체결공(130)에 상기 용접볼트(20)의 나사부를 조임 결합시킨다. 조임 결합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그로매트(10)의 외주부(120)전면이 차체 패널(40)의 연직면과 맞닿아 조임 상태를 더욱 긴밀히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기구의 체결이 완성된 후, 크러쉬 패드(30)의 보스부(32)사이 공간에 상기 경사판부(14)의 관통홈(140)을 통하여 관통볼트를 결합시킴으로써 크러쉬 패드의 장착 작업이 완료된다. 통상, 상기 가이드 기구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좌, 우측 및 중앙의 3개소에 설치되며, 이 개소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크러쉬 패드가 체결되어 전체적인 체결 공정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원발명의 가이드 기구는 간단한 구조의 그로메트를 이용하여, 차체패널과 그로메트의 전면이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연직면을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하고, 용접볼트가 그로메트에 조임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본 사상을 이용하는 한 가령, 외주부(120)를 소경으로 형성하고 받침부(122)와 지지부(124)를 외주부와 동일한 직경의 평탄면으로 형성하거나, 용접볼트(20)대신 유사 형상의 로드를 이용하여 그 돌출부가 바로 체결공(130)에 삽입되도록 하는 변경도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나아가, 제조 공정의 간소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수직지지부(16)를 생략할 수 있으며, 강성의 그로메트가 탄력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개구부(126)를 천공하지 않는 변경도 생각할 수 있으믄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본원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종전의 가이드핀과 가이드캡으로 이루어지던 가이드 기구를 그로메트라는 단일 유닛으로 축소하였으므로 작업 공수 축소 및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둘째, 그로메트의 구조 및 그로메트와 차량 패널과의 결합 구조에서 이격 공간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특히 그로메트의 날개부가 차량 패널 및 용접 볼트에 긴밀히 결합되는 결과 래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종전과 같이 차체 패널에 차체 브라켓트를 위한 큰 호울을 설치할 필요 없이 용접 볼트의 관통홈만을 제공하면 되므로, 패널 강성 증대 및 크러쉬 패드 장착 강도 증대의 면에서 유리하다.
넷째, 차체패널과 그로메트의 전면이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연직면을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작 및 조립 공차 관리면에서 유리하다.

Claims (3)

  1.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를 차체 패널에 체결시키기 위한 가이드 기구로서,
    상기 가이드 기구와 체결되기 위한 상기 차체 패널의 부분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연직면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차체 패널의 상기 부분에 천공된 홈을 통하여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차체 패널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체결공의 조임 결합이 완성될 때 상기 차체 패널의 상기 부분과 맞닿아 가압되는 외주부 및 상기 외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와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후단에서 상기 체결공의 중심축과 소정 각도 경사져서 상향 연장되며, 상기 크러쉬 패드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관통홈을 구비한 경사판부:
    를 포함하는 가이드 그로매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그로매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기 외주부는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테두리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받침부는 외주부의 후면에서 각각 하방향 및 상방향으로 경사지어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는 받침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상기 지지부가 형성하는 공간은 상기 체결공을 제공하며, 상기 받침부가 형성하는 외면에는 소정 형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상기 받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그로매트는 상기 외주부의 상부 중앙 부근에서 상기 경사판부의 중앙선 전체에 이르기까지 연속 연장된 판 형상의 수직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기구.
KR10-2002-0058377A 2002-09-26 2002-09-26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KR10048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377A KR100482663B1 (ko) 2002-09-26 2002-09-26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377A KR100482663B1 (ko) 2002-09-26 2002-09-26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797A true KR20040026797A (ko) 2004-04-01
KR100482663B1 KR100482663B1 (ko) 2005-04-13

Family

ID=3732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377A KR100482663B1 (ko) 2002-09-26 2002-09-26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6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9853A (zh) * 2009-11-25 2011-05-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碰撞衬垫固定至车辆的装置
KR20110129287A (ko) * 2010-05-25 2011-1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US9551916B2 (en) 2014-09-25 2017-01-24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and adjustable image projection with auto-image correction in electronic devices using an in-facing or world-facing image projector
KR20200054621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그로멧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096Y1 (ko) * 1992-10-24 1998-07-01 전성원 메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0136929Y1 (ko) * 1994-09-08 1999-03-20 전성원 크래쉬 패드 고정장치
KR200273408Y1 (ko) * 1999-06-30 2002-04-25 이계안 차량의 크래쉬 패드 조립구조
KR100381476B1 (ko) * 2000-12-15 2003-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상단 체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9853A (zh) * 2009-11-25 2011-05-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碰撞衬垫固定至车辆的装置
KR20110129287A (ko) * 2010-05-25 2011-1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US9551916B2 (en) 2014-09-25 2017-01-24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and adjustable image projection with auto-image correction in electronic devices using an in-facing or world-facing image projector
KR20200054621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그로멧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2663B1 (ko) 200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496A (en) Mounting structure of sun visor for automobile
KR100482663B1 (ko)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JP2006082643A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取付装置
US11001311B2 (en) Steering member
JP2002053065A (ja) 牽引用フックの取付構造
JPH0717156B2 (ja) タルガル−フの着脱式ル−フ取付構造
KR20080025235A (ko) 에어백 모듈의 마운팅부 구조
JP3613928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JP2004338434A (ja) ペダル支持構造
JP5061791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およびその取り付け構造
JPH1120533A (ja) 車両用フットレスト装置
JPH09123866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772433B2 (ja) 自動車用バンパの取付構造
JP3353646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KR0116029Y1 (ko) 자동차용 에어백어셈블리의 장착구조
CN117485298A (zh) 制动踏板安装结构和具有其的车辆
JP2877332B2 (ja) Tバールーフ車のハッチルーフ用バンパラバー
KR200226412Y1 (ko) 크래쉬 패널(CRASH Panel)용 고정 클립
KR100191954B1 (ko) 차량의 대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
JPH1035239A (ja) スタビライザ支持構造
KR100312446B1 (ko) 자동차의조향휠취부구조
KR950002187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밀러(Side mirror) 고정대
JPH07329606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JPH0554055U (ja) 補機部品の支持構造
KR100448056B1 (ko)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