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056B1 -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056B1
KR100448056B1 KR10-2002-0024510A KR20020024510A KR100448056B1 KR 100448056 B1 KR100448056 B1 KR 100448056B1 KR 20020024510 A KR20020024510 A KR 20020024510A KR 100448056 B1 KR100448056 B1 KR 10044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pad module
outer panel
side out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131A (ko
Inventor
안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0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로워유니트와 카울크로스멤버 및 크래쉬패드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크래쉬패드 모듈을 차량 실내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로워유니트와 카울크로스멤버 및 크래쉬패드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크래쉬패드 모듈이 차량 실내의 전방에 있는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도록 하는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패드 모듈의 카울크로스멤버 일측 끝단에 형성된 마운팅브래킷에는 도어힌지가 장착되는 부근의 사이드아웃터패널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에는 그 가이드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이 가이드홈에 안착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의 바깥쪽에서 사이드아웃터패널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 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crash pad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로워유니트와 카울크로스멤버 및 크래쉬패드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크래쉬패드 모듈을 차량 실내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및 계기류(instrument) 등이 위치되는 차 실내의 전방에는 크래쉬패드가 장착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깔끔한 느낌을 받도록 하는데, 이러한 크래쉬패드는 장착되기 전에 차 실내로 히터나 에어컨의 온/냉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유니트가 바디에 먼저 설치되고 그 다음으로 스티어링 휠을 지지하고 그 스티어링 휠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카울크로스멤버(cowl cross member)가 설치된 후, 마지막으로 이들을 커버하기 위한 크래쉬패드가 바디에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으로 크래쉬패드를 장착하게 되면 조립라인에 많은 인원의 작업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또한 지연되므로 최근에는 상기의 블로워유니트, 카울크로스멤버 및 크래쉬패드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켜 크래쉬패드 모듈로 만든 후 이를 바디에 마운팅함으로써 작업인원 및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키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크래쉬패드 모듈이 바디에 장착되는 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유니트(11)와 카울크로스멤버(12) 및 크래쉬패드(13)가 일체로 된 크래쉬패드 모듈(10)이 프론트필라 로워(1) 부분에 설치된 브래킷(2)에 가이드핀(14)을 통해 마운팅된다.
상기 가이드핀(14)은 크래쉬패드 모듈(10)의 카울크로스멤버(12) 끝단에서 상기 브래킷(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핀(14)을 상기 브래킷의 가이드홀(2a)에 끼우고 공구를 사용하여 조임으로써 크래쉬패드 모듈(10)이 장착되는 것이다.
도2는 종래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따른 단면도로서, 여기서 보면 프론트필라 로워(1)의 내측으로 가이드홀(2a)을 갖는 브래킷(2)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의 가이드홀(2a)에는 크래쉬패드 모듈(10)의 가이드핀(14)이 끼워져 체결된다.
또한, 프론트필라 로워부(1)의 측면과 상기 크래쉬패드 모듈(10) 사이에는 그 공간을 커버하는 크래쉬패드 커버(15)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는 카울크로스멤버로 전달되는 진동에 취약한 구조여서 크래쉬패드가 진동에 의해 떨리는 문제점과 심하게는 크래쉬패드 모듈을 지지하는 가이드핀의 장착부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블로워유니트 및 카울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를 개선시킴으로써 카울크로스멤버에 전달되는 진동에 대한 크래쉬패드 모듈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크래쉬패드의 진동(떨림)에 의한 잡음을 제거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장착부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필라 로워부 2 : 종래 마운팅브래킷
3 : 사이드아웃터패널 3a : 가이드홈
4 : 도어힌지 20 : 크래쉬패드 모듈
21 : 블로워유니트 22 : 카울크로스멤버
22a : 마운팅브래킷 22b : 가이드부
23 : 크래쉬패드 24 : 체결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로워유니트와 카울크로스멤버 및크래쉬패드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크래쉬패드 모듈이 차량 실내의 전방에 있는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도록 하는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패드 모듈의 카울크로스멤버 일측 끝단에 형성된 마운팅브래킷에는 도어힌지가 장착되는 부근의 사이드아웃터패널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에는 그 가이드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이 가이드홈에 안착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의 바깥쪽에서 사이드아웃터패널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장착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착구조를 설명하면, 블로워유니트(21)와 카울크로스멤버(22) 및 크래쉬패드(23)를 하나로 일체화시킨 크래쉬패드 모듈(20)이 차량 실내의 전방에 있는 바디 일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크래쉬패드 모듈(20)의 카울크로스멤버(22)의 일측 끝단에는 마운팅브래킷(22a)이 형성되고, 그 마운팅브래킷(22a)에는 소정의 가이드부(22b)가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부(22b)는 프론트필라 로워(1)의 도어힌지(4)가 장착되는 사이드아웃터패널(3)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운팅브래킷(22a)의 선단에는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3)과 접면되는 지지패널(22c)이 설치되고 그 지지패널(22c)의 중앙부에는 완충형 결합구인 가이드부(22b)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3)에는 상기 가이드부(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부(22b)를 수용하는 가이드홈(3a)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22b)가 이 가이드홈(3a)에 끼워져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2b)는 중앙이 빈 중공의 사다리꼴이며, 상기 가이드홈(3a) 또한 상기 가이드부(22b)에 대응되는 사다리꼴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렇게 사이드아웃터패널(3)에 가이드부(22b)와 가이드홈(3a)을 매개로 가체결된 마운팅브래킷(22a)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아웃터패널(3)의 바깥쪽에서 상기 마운팅브래킷(22a)을 향하는 체결부재(24)가 그 사이드아웃터패널(3)을 관통하여 공구에 의해 체결된다.
즉, 크래쉬패드 모듈(2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브래킷(22a)의 가이드부(22b)를 통하여 크래쉬패드 모듈(20)을 사이드아웃터패널(3)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볼트나 나사못과 같은 체결부재(24)를 통하여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3)의 바깥쪽에서 체결부재(2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크래쉬패드 모듈(20)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크래쉬패드 모듈(20)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24)를 통해 마운팅되는 부위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소이다. 이것은 크래쉬패드 모듈(20)이 장착된 후 카울크로스멤버(22)를 통해 전달되는 비틀림 진동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최소한의 마운팅점으로서 반드시 3점 마운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상이면 족하다.
이상의 장착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장착구조를 갖는 크래쉬패드 모듈(20)은 크래쉬패드 모듈(20)의 마운팅브래킷(22a)에 형성된 가이드부(22b)와, 바디에 해당되는 사이드아웃터패널(3)에 형성된 가이드홈(3a)에 의하여 작업자가 차 실내에서 용이하게 가조립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가조립상태에서 사이드아웃터패널(3)의 바깥쪽에서 볼트나 나사못과 같은 체결부재(24)를 이용하여 상기 크래쉬패드 모듈(20)을 사이드아웃터패널(3)에 아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장착작업은 차체에 도어가 장착되기 전에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장착구조에 의하면 세 개의 부품을 하나로 단일화한 크래쉬패드 모듈(20)을 차 실내의 전방에 장착할 때, 상대적으로 그 크래쉬패드 모듈(20)을 장착할 여유공간이 부족했던 종전과는 달리 장착작업이 편하고 용이해진 한편, 크래쉬패드 모듈의 3점 마운팅으로 인하여 크래쉬패드 모듈(20)로 전달된 진동에 보다 강한 구조를 갖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의하면, 크래쉬패드 모듈을 바디에 장착하기가 매우 편해져서 작업인원 및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생산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무엇보다도 크래쉬패드 모듈이 바디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마운팅됨으로써 크래쉬패드의 떨림에 의한 잡음과 진동에 대한 강성이 대폭 향상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블로워유니트(21)와 카울크로스멤버(22) 및 크래쉬패드(23)를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크래쉬패드 모듈(20)이 차량 실내의 전방에 있는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도록 하는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패드 모듈(20)의 카울크로스멤버(22) 일측 끝단에 형성된 마운팅브래킷(22a)에는 도어힌지(4)가 장착되는 부근의 사이드아웃터패널(3)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부(22b)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3)에는 그 가이드부(22b)가 결합되는 가이드홈(3a)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22b)가 이 가이드홈(3a)에 안착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22a)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3)의 바깥쪽에서 사이드아웃터패널(3)을 관통하는 체결수단(24)이 상기 마운팅브래킷(22a)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래킷(22a)의 선단에는 상기 사이드아웃터패널(3)과 접면되는 지지패널(22c)이 설치되고, 그 지지패널의 중앙부에는 완충형 결합구인 가이드부(22b)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2b)는 중앙이 빈 중공의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a)은 상기 가이드부(22b)에 대응되는 사다리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 구조.
KR10-2002-0024510A 2002-05-03 2002-05-03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KR10044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10A KR100448056B1 (ko) 2002-05-03 2002-05-03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10A KR100448056B1 (ko) 2002-05-03 2002-05-03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131A KR20030086131A (ko) 2003-11-07
KR100448056B1 true KR100448056B1 (ko) 2004-09-10

Family

ID=3238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510A KR100448056B1 (ko) 2002-05-03 2002-05-03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0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415A (ja) * 1991-09-30 1993-04-0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19980031707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차량용 대시보드 고정구조
KR19980045794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티이 바아 고정구조
JPH1199965A (ja) * 1997-09-30 1999-04-13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構造
JPH11192860A (ja) * 1998-01-08 1999-07-21 Nissan Motor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020086089A (ko) * 2001-05-11 2002-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멤버의 마운팅부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415A (ja) * 1991-09-30 1993-04-0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19980031707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차량용 대시보드 고정구조
KR19980045794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티이 바아 고정구조
JPH1199965A (ja) * 1997-09-30 1999-04-13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構造
JPH11192860A (ja) * 1998-01-08 1999-07-21 Nissan Motor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020086089A (ko) * 2001-05-11 2002-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멤버의 마운팅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131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19689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ク取付構造
KR100448056B1 (ko) 자동차용 크래쉬패드 모듈의 장착구조
KR20070060536A (ko) 크래쉬 패드 모듈의 사이드 마운팅 구조
KR100353738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KR100402117B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
JP4466317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への機器の取付構造
KR20020052376A (ko) 프론트 앤드 모듈 구조
KR100354090B1 (ko) 자동차의 후사경
KR100324693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범퍼 체결구조
KR0125830Y1 (ko) 인스트루먼트패널상의 오디오시스템의 장착구조
KR100262052B1 (ko)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 고정구조
KR100517701B1 (ko) 래치커버 일체형 캐리어구조
KR20010105041A (ko) 프레임 마운팅부 입력점 강성 증대를 위한 2단 볼트체결구조
KR100373912B1 (ko) 인스트루먼트패널 어셈블리의 취부구조
KR200161583Y1 (ko) 자동차의 범버 보강재 취부용 브라킷
KR200157593Y1 (ko) 자동차의 도아 임팩트바 취부구조
KR20090062140A (ko) 크래쉬패드모듈 지그장치
KR100232468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의 취부구조
KR20190120555A (ko) 차량용 avn 장치의 장착 구조체
JP2000025454A (ja) 車両のサンバイザー取り付け構造
KR980007537U (ko) 자동차의 백미러 취부구조
KR19980040812U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19980051099U (ko) 차량의 드라이버 에어백모듈
KR19980025674U (ko) 카울 크로스 바 고정구조
KR20040048082A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브래킷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