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325B1 -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325B1
KR100461325B1 KR10-2002-0073988A KR20020073988A KR100461325B1 KR 100461325 B1 KR100461325 B1 KR 100461325B1 KR 20020073988 A KR20020073988 A KR 20020073988A KR 100461325 B1 KR100461325 B1 KR 100461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screw
passenger airbag
impact
airba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155A (ko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32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객용 에어백 도어 부위에 헤드 임팩트 시험 시, 머리모형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슈트와, 이것에 고정되는 스크류의 형상을 달리하고, 충격완화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헤드 임팩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Impact absorption device of passenger airbag door}
본 발명은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부위에 헤드 임팩트 시험 시, 머리모형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슈트와, 이것에 고정되는 스크류의 형상을 달리하고, 충격완화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헤드 임팩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용 에어백은 운전석 옆의 앞좌석에 탑승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한 에어백을 말한다.
이러한 승객용 에어백 구조의 장착 구성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쉬 패드(500)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 하우징(20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00)을 크래쉬 패드(500)에 진동 융착방식으로 고정하는 슈트(300)와, 상기 슈트(300)에 스크류(310) 고정되는 도어 플레이트(400)와, 상기 크래쉬 패드(500) 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는 사각판 형상의 도어 커버(10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객용 에어백의 장착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도어 커버(100)가 열리면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객용 에어백에 있어서, 도 4는 에어백 도어 부위의 헤드 임팩트 시험을 보여주는 것이다.
내부설치 법규에 의하면, 6.8kg의 머리모형(head form)(600)이 24.2km/h로 크래쉬 패드(500)의 일정 영역에 충돌 시, 3ms이상 연속적으로 머리모형(600)이 받는 감가속도가 중력 가속도의 80배를 초과해서는 안되며(국내법 88조)시험 후, 날카로운 틈(sharp edge)이 없어야 한다.(EEC 78/632법규)
일정 감가속도 이하의 충격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머리모형(600)의 충격을 크래쉬 패드(500)에서 잘 흡수해 줄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며, 시험 후, 찢어지지 않아야 한다.
특히, 승객용 에어백 타입인 경우에는 에어백 하우징(200)의 구조가 충격을 흡수하기 힘든 구조이며, 에어백 전개 시, 잘 찢어져야 하는 도어 커버(100)에 형성된 티어라인(tear line)이 헤드 임팩트 시험에는 찢어지면 안되므로 에어백 전개 성능과 헤드 임팩트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설계 변수들을 정하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승객용 에어백의 도어 커버(100) 부위에 헤드 임팩시 시험 시, 머리모형(6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승객용 에어백 도어 부위에 헤드 임팩트 시험 시, 머리모형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슈트와, 이것에 고정되는 스크류의 형상을 달리하고, 충격완화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헤드 임팩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를 나타내는 다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의 헤드 임팩트 시험 시, 작동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머리모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에어백 도어 부위의 헤드 임팩트 시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슈트 11 : 나사구멍
12 : 나사산 13 : 가스채널
20 : 스크류 21 : 나사산
22 : 중공부 30 : 스프링 클립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500)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 하우징(20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00)을 크래쉬 패드(500)에 진동 융착방식으로 고정하는 슈트(300)와, 상기 슈트(300)에 스크류(310) 고정되는 도어 플레이트(400)와, 상기 크래쉬 패드(500) 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는 사각판 형상의 도어 커버(100)로 구성된 승객용 에어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
나사구멍(11)이 관통된 홀 형상을 갖고 있는 슈트(10)와;
상기 슈트(10)에 체결되며, 안쪽 일부구간에만 나사산(21)이 형성된 중공타입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져 충격에 의해 이탈되면서 충격을 2차 흡수하는 스크류(20)와,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고, 그 중간부분은 충격에 의해 납작해질 수 있도록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그 후단은 상기 슈트(10)의 나사구멍(11)에 맞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1차 충격완충수단인 스프링 클립(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슈트(10)는 나사구멍(11) 바깥쪽 둘레에 스크류(20)의 이탈을 위해 수축 가능한 가스채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를 나타내는 다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의 헤드 임팩트 시험 시, 작동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며, 도 3은 종래의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머리모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의 장착 구성을 살펴보면, 크래쉬 패드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을 크래쉬 패드에 진동 융착방식으로 고정하는 슈트와, 상기 슈트에 스크류 고정되는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크래쉬 패드 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는 사각판 형상의 도어 커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며, 여기서 상기 슈트(10)는 원래 에어백 하우징(200)을 크래쉬 패드(500)에 고정시키는 구성부품인데, 부수적으로는 상기 크래쉬 패드(500)에 진동 융착되어 크래쉬 패드(500)의 후면의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크류(20)도 슈트(10)의 강성을 높이는 것으로서, 헤드 임팩트 시험 시, 머리모형(head form)(600)이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을 제대로 흡수할만큼 변형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슈트(10)와 스크류(20)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헤드 임팩트 시험 시, 머리모형(head form)(6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20)는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21)이 안쪽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어 있는 중공타입으로서, 그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20)가 고정되는 슈트(10)의 나사구멍(11)은 관통된 홀 형상으로서, 스크류(20)가 삽입되는 선단은 나사산(12)이 삭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20)와의 고정력을 약화시킴으로써, 헤드 임팩트 시험 시, 스크류(20)의 밀림에 의한 이탈이 이루어지고, 접촉면의 마찰로 인한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스크류(20)가 고정되는 슈트(10)의 나사구멍(11) 바깥쪽 둘레에 가스 사출방식을 이용한 가스채널(13)이 형성되어 스크류(20) 주위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래쉬 패드(500)와 접촉되고, 관통된 나사구멍(11)에 끼워져 헤드 임팩트 시험 시, 충격을 상기 스크류(20)에 전달하는 동시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격완화수단인 스프링 클립(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클립(30)은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부분은 충격에 의해 납작해질 수 있도록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그 후단은 상기 슈트(10)의 나사구멍(11)에 맞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충돌 흡수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모형(600)이 크래쉬 패드(500)에 충격을 가할 시에 스프링 클립(30)이 1차적인 충격을 흡수하는데, 이때 충격이 스프링 클립(30)의 탄성력을 이기기 전까지는 스크류(20)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충돌 흡수 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충격력이 상기 스프링 클립(30)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2차적인 충격 흡수 과정이 진행하게 되는데, 스프링 클립(30)이 후방으로 밀리고, 그로인해 스크류(20)는 슈트(10)의 나사구멍(11) 밖으로 이탈되면서 그 중공부(22)가 함몰되게 되며, 슈트(10)의 나사구멍(11)은 벌어지면서 가스채널(13)을 오므러들게 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20)가 이탈되는 동안, 소모되는 마찰력으로 충돌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는 이러한 1,2차 충격 흡수 과정을 통해 머리모형(6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는 머리모형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슈트와, 이것에 고정되는 스크류의 형상을 달리하고, 충격완화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헤드 임팩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크래쉬 패드(500)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 하우징(20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00)을 크래쉬 패드(500)에 진동 융착방식으로 고정하는 슈트(300)와, 상기 슈트(300)에 스크류(310) 고정되는 도어 플레이트(400)와, 상기 크래쉬 패드(500) 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는 사각판 형상의 도어 커버(100)로 구성된 승객용 에어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
    나사구멍(11)이 관통된 홀 형상을 갖고 있는 슈트(10)와;
    상기 슈트(10)에 체결되며, 안쪽 일부구간에만 나사산(21)이 형성된 중공타입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져 충격에 의해 이탈되면서 충격을 2차 흡수하는 스크류(20)와,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고, 그 중간부분은 충격에 의해 납작해질 수 있도록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그 후단은 상기 슈트(10)의 나사구멍(11)에 맞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1차 충격완충수단인 스프링 클립(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10)는 나사구멍(11) 바깥쪽 둘레에 스크류(20)의 이탈을 위해 수축 가능한 가스채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KR10-2002-0073988A 2002-11-26 2002-11-26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KR100461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988A KR100461325B1 (ko) 2002-11-26 2002-11-26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988A KR100461325B1 (ko) 2002-11-26 2002-11-26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155A KR20040046155A (ko) 2004-06-05
KR100461325B1 true KR100461325B1 (ko) 2004-12-17

Family

ID=3734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988A KR100461325B1 (ko) 2002-11-26 2002-11-26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3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93A (ja) * 1992-07-13 1994-02-08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H06107101A (ja) * 1992-09-22 1994-04-19 Mazda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
KR19990029198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에어백 장치
JP2001239858A (ja) * 2000-02-29 2001-09-04 Suzuki Motor Corp 車両用構造部材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93A (ja) * 1992-07-13 1994-02-08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H06107101A (ja) * 1992-09-22 1994-04-19 Mazda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
KR19990029198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에어백 장치
JP2001239858A (ja) * 2000-02-29 2001-09-04 Suzuki Motor Corp 車両用構造部材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155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109145A3 (en) Resilient and deformable member for absorbing kinetic energy
KR100461325B1 (ko)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충격흡수 장치
KR100980716B1 (ko)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970020864A (ko) 자동차의 오버슬램 범퍼
KR20080054895A (ko) 차량의 루프 완충장치
KR1003803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펜더패널 및 후드패널의충격흡수구조
KR100256540B1 (ko) 리어범퍼의 보강재 결합장치
KR101593404B1 (ko) 에어백 조립장치
KR200143958Y1 (ko) 충격흡수기능을 가진 조향휠의 동흡진기
KR100380362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1070524B1 (ko) 커튼 에어백용 고정 브래킷
KR200193453Y1 (ko) 조수석용 에어 백 하우징
KR19990006671U (ko) 자동차의 무릎보호용 충격흡수구조
KR0138778Y1 (ko)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101179415B1 (ko) 가드레일구조물
CN111152749A (zh) 一种汽车副驾驶安全气囊爆破弱化结构
JP2004196199A (ja) 自動車のドアトリム
KR19980045810U (ko) 자동차 좌석 등받이의 에너지 흡수장치
KR20070050539A (ko) 가드레일 이음부 완충장치
KR20020048755A (ko) 자동차의 충돌 대책 구조물
KR20050102192A (ko) 자동차의 무릎 보호 장치
KR19980013356U (ko) 범퍼 체결용 클립
KR980007661U (ko) 자동차의 전방충격 흡수구조
KR19980055857A (ko)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