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857A -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857A
KR19980055857A KR1019960075093A KR19960075093A KR19980055857A KR 19980055857 A KR19980055857 A KR 19980055857A KR 1019960075093 A KR1019960075093 A KR 1019960075093A KR 19960075093 A KR19960075093 A KR 19960075093A KR 19980055857 A KR19980055857 A KR 1998005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structure
door trim
impact
shock absorb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범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5857A/ko
Publication of KR1998005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857A/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이 테이퍼진 윗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2개 이상의 파단판을 갖는 돌출부가 성형된 흡수구몸체를 아웃터 패널의 안쪽면에 신체의 측면과 유사한 형태로 설치하여, 이 고정구몸체가 측면 충격을 받아 인너 패널의 작동구멍에 끼워짐에 따라 파단판이 순차적으로 부서지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단판을 부수는 충격량 만큼 측면충격을 감소시켜, 탑승자가 입는 부상 정도를 줄이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주면이 테이퍼진 흡수구몸체의 일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2개 이상의 파단판이 나란하게 형성된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흡수구몸체가 충격을 받아 인너 패널의 작동구멍에 끼워지면서 파단판이 순차적으로 부서지게 함으로써, 측면 충격에 대한 흡수율을 높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량의 추돌/충돌 사고 발생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충격흡수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도어는,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를 구성하는 아웃터 패널(100a)과 인너 패널(100b) 사이에 임펙트 바(20)를 설치하여, 측면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도어를 구성하는 트림이 실내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줄여 주게 된다.
이러한 임펙트 바(20)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자체 강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게 되여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며, 이 임펙트 바(20)는 도어 트림의 내부에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양측면에 융착고정된다.
그러나, 기존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는 실내에 착좌하 탑승자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충돌시 그 위치가 탑승자가 착좌한 곳에서 이루어지게 되면 탑승자는 큰 부상을 입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주면이 테이퍼진 윗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2개 이상의 파단판을 갖는 돌출부가 성형된 흡수구몸체를 아웃터 패널의 안쪽면에 신체의 측면과 유사한 형태로 설치하여, 이 고정구몸체가 측면 충격을 받아 인너 패널의 작동구멍에 끼워짐에 따라 파단판이 순차적으로 부서지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단판을 부수는 충격량 만큼 측면충격을 감소시켜, 탑승자가 입는 부상 정도를 줄이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격 흡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구의 설치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구가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구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흡수구몸체11:테이퍼면
12:돌출부13:파단면
20:임펙트 바100a:아웃터 패널
100b:인너 패널110:작동구멍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웃터 패널(100a)의 안쪽에 신체의 측면과 유사한 형태로 여러개의 흡입구몸체(10)를 설치하여 그 연장선과 접하는 인너 패널(100b)의 작동구멍(110)에 끼움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흡입구몸체(10)는 외주면이 테이퍼면(11)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윗면에는 2개 이상의 파단판(13)이 일체로 성형된 돌출부(12)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파단면(13)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하여, 안쪽으로 갈수록 자체 강성이 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는 인너 패널(100b)의 작동구멍(110)보다 그 직경이 같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첨부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구의 설치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면부호 100a는 도어의 아웃터 패널을, 100b는 도어의 인너 패널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흡수구몸체를 나타낸다.
상기 흡수구몸체(10)는 외주면이 테이퍼면(11)을 갖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윗면은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수구몸체(10)는 그 윗면에 절개된 구간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12)가 소정의 크기만큼 돌출성형되어 있다.
특히, 상기 돌출부(12)는 그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의 파단판(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파단판(13)은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흡수구몸체(10)는 그 바닥면을 아웃터 패널(100a)의 안쪽면에 설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돌출부(1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상에 상기 인너 패널(100b)에 형성된 작동구멍(110)에 끼움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인너 패널(100b)은 내부에 탑승자의 신체가 도어에 투영된 형태와 유사하게 일정한 형태로 작동구멍(110)이 첨부도면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동구멍(110)과 나란하게 상기 흡수구몸체(10)가 아웃터 패널(100a)의 안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파단판(13)은 돌출부의 끝단으로부터 안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성형하게 되며, 이는 충격에 의하여 아웃터 패널(100a)이 안쪽으로 함몰되면서 돌출부(12)가 작동구멍(110)에 끼워짐에 따라 서로 다른 강성을 갖는 파단면(13)이 순차적으로 파단을 일으키도록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수구몸체(10)는 측면 충도로 아웃터 패널(100a)의 안쪽으로 유입됨에 따라 돌출부(12)가 작동구멍(110)에 끼워지면서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테이퍼면(11)이 작동구멍(110)을 넓히면서 잔여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4a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구가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첨부도면 4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구가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흡수구몸체(10)는 첨부도면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12)가 작동구멍(110)의 앞쪽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아웃터 패널(100a)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측면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아웃터 패널(100a)이 안쪽으로 밀리게 되며, 이때 상기 흡수구몸체(10)도 일체로 밀리게 된다.
동시에, 상기 돌출부(12)는 작동구멍(110)에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12)는 가장 앞쪽에 위치한 파단판(13)이 인너 패널(100b)과 밀착되어 작동제한을 받게 된다.
이때, 차량 도어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이 강한 경우 상기 파단판(13)은 파괴되는 동시에 돌출부(12)는 다시 앞쪽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며, 이와 같이 각 파단판(13)은 연속적으로 파괴되면서 측면 충격을 순차적으로 줄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파단판(13)은 전부 파괴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남은 충격은 상기 테이퍼면(11)이 작동구멍(110)의 안쪽으로 밀려 가면서 그 내경을 넓히면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너 패널(100b)은 측면 충격이 아웃터 패널(100a)에 전달되면 급격하게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각 파단면(13)이 파손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약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안쪽으로 유입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윗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파단면이 2개 이상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흡수구몸체를 일체로 성형하고, 이 흡수구몸체를 돌출부가 인너 패널에 탑승자의 체형이 투영된 형상으로 도어에 형성된 작동구멍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아웃터 패널에 고정설치함으로써, 충격을 받은 아웃터 패널이 안쪽으로 유입됨에 따라 파단면이 단계적으로 파단되면서 충격을 순차적으로 감소시켜 주게 되어, 도어 패널이 급격하게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아웃터 패널(100a)의 안쪽에 신체의 측면과 유사한 형태로 여러개의 흡입구몸체(10)를 설치하여 그 연장선과 접하는 인너 패널(100b)의 작동구멍(110)에 끼움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흡입구몸체(10)는 외주면이 테이퍼면(11)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서 그 윗면에는 2개 이상의 파단판(13)이 일체로 성형된 돌출부(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면(13)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하여, 안쪽으로 갈수록 자체 강성이 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는 인너 패널(100b)는 작동구멍(110)보다 그 직경이 같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KR1019960075093A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KR19980055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093A KR19980055857A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093A KR19980055857A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857A true KR19980055857A (ko) 1998-09-25

Family

ID=6639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093A KR19980055857A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58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245B1 (ko) 커튼에어백 장치
EP1072483B1 (en) Energy absorbing air bag module
KR100263127B1 (ko) 자동차의 필러 패널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
JP2008114734A (ja) 衝撃吸収部材を備えた車両の室内構造
KR19980055857A (ko)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사이드 충격 흡수구조
KR100461067B1 (ko) 커튼에어백의 쿠션전개구조
KR100264601B1 (ko) 루프 사이드 어셈블리의 충격 흡수구조
KR100269484B1 (ko) 차량의 루프패널 충격흡수구조
KR100292253B1 (ko) 에어백하우징의충격흡수구조
KR20030096501A (ko) 자동차용 필러 트림의 충격 흡수구조
JP4585145B2 (ja) エアバッグドアの跳返り防止構造
KR200141882Y1 (ko) 자동차용 시트 에어백 장착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0132549Y1 (ko) 도어 임팩트빔의 고정구조
KR19980038285U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빔구조
KR200141885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KR0139408Y1 (ko) 자동차 벤트노즐의 공기토출부 균열방지 구조
JPH0490942A (ja) ガスバッグのカバー体
KR0120537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200233869Y1 (ko)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KR19980030536U (ko) 자동차의 에어백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42053U (ko) 자동차의 무릎 보호 장치
KR19980052987U (ko) 자동차의 실내 충격 흡수구조
KR20000015270A (ko) 충격 흡수형 필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