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869Y1 -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 Google Patents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869Y1
KR200233869Y1 KR2019950055119U KR19950055119U KR200233869Y1 KR 200233869 Y1 KR200233869 Y1 KR 200233869Y1 KR 2019950055119 U KR2019950055119 U KR 2019950055119U KR 19950055119 U KR19950055119 U KR 19950055119U KR 200233869 Y1 KR200233869 Y1 KR 200233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present
vehicle
side member
s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5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286U (ko
Inventor
권대원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50055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869Y1/ko
Publication of KR970038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2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869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충돌시 사이드 멤버의 중간부위가 꺽이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룸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방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이드 멤버를 두개로 나누고, 각각 플랜지를 형성하며, 플랜지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되, 두개의 사이드 멤버 중 한개를 약간 크게 하여 다른 한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색인어]
차량 충돌, 사이드 멤버, 전방 탑승자

Description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본 고안은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시 엔진룸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생산되는 차량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하부에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엔진룸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이드 멤버(10)를 설치하여 충격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방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종래 사이드 멤버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종래의 사이드 멤버(10)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차량 충돌시 전방의 엔진룸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전방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사이드 멤버의 구조는 그 형태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차량 충돌시 중간부위에 균열이 생겨 중간부위가 꺽이게 되므로, 엔진룸의 실내침입을 막지 못하는 등 사이드 멤버의 제역할을 하지 못함에 따라 전방 탑승자를 보호하는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 충돌시 사이드 멤버의 중간부위가 꺽이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룸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방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이드 멤버를 두개로 나누고, 각각 플랜지를 형성하며, 플랜지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되, 두개의 사이드 멤버 중 한개를 약간 크게 하여 다른 한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차량용 차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사이드 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멤버 11 : A 멤버
12 : B멤버 13a,13b,14a,14b : 플랜지
15a,15b : 단턱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10)를 A 멤버(11)와 B 멤버(12)로 나누되, 각각의 선단과 후단에 플랜지(13a),(13b),(14a),(14b)를 형성하며, 상기 B 멤버(12)의 단면적을 A 멤버(11)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A 멤버(11)의 중앙부에 단턱(15a),(15b)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13a),(13b),(14a),(14b)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되, 차량 충돌시 A 멤버(11)의 단턱(15a),(15b)부위가 꺽이면서 A 멤버(11)가 B 멤버(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 정면충돌시 A 멤버(11)의 단턱(15a),(15b)부위가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내측으로 꺽이고, A 멤버(11)와 B 멤버(12)의 플랜지(13a),(13b),(14a),(14b)부위가 파열되면서 A 멤버(11)가 B 멤버(12)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1차 충격을 받은 A 멤버(11)의 단턱(15a),(15b)부위가 꺽이면서 1차 충격을 흡수하고, A 멤버(11)와 B 멤버(12)의 플랜지(13a),(13b),(14a),(14b)부위가 발휘하는 강성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하며, B 멤버(1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차체 가속도를 감소시키므로, 엔진룸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이드 멤버의 구조를 이중으로 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력 흡수효율을 상승시키므로, 엔진룸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방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사이드 멤버를 A 멤버와 B 멤버로 나누되, 각각의 선단과 후단에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B 멤버의 단면적을 A 멤버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A 멤버의 중앙부에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되, 차량 충돌시 A 멤버의 단턱부위가 꺽이면서 A 멤버가 B 멤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KR2019950055119U 1995-12-30 1995-12-30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KR200233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119U KR200233869Y1 (ko) 1995-12-30 1995-12-30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119U KR200233869Y1 (ko) 1995-12-30 1995-12-30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286U KR970038286U (ko) 1997-07-29
KR200233869Y1 true KR200233869Y1 (ko) 2001-10-25

Family

ID=6088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5119U KR200233869Y1 (ko) 1995-12-30 1995-12-30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286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8772A (ko) 차량의 전면 보강구조
KR200233869Y1 (ko) 프론트 보강용 사이드 멤버의 구조
KR0133981Y1 (ko) 자동차용 임팩트 바
KR200219635Y1 (ko) 지프형 차량의 프레임
KR200163511Y1 (ko) 자동차의 카울 탑 패널
KR100199771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00265965B1 (ko) 차량용 프론트 필라 트림의 충격흡수장치
KR0153188B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 프레임
KR0143644B1 (ko) 자동차의 차체 전방부 보강브라켓
KR200160226Y1 (ko) 자동차의 센터 필러 구조
KR19990021293A (ko) 자동차의 휀더 에이프런 어퍼부 충격흡수구조
KR0160042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의 결합구조
KR200141656Y1 (ko) 차량용 도어의 강도보강구조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0124057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200152676Y1 (ko) 프론트 범퍼페시아 변형방지용 브라켓
KR100412787B1 (ko)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패널구조
KR100192840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부 보강구조
KR100211576B1 (ko) 이중구조의 도어 임펙트 빔
KR200197181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970002212Y1 (ko) 3 도어식 승용차의 측면바디 보강구조
KR19980036164A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19980012175U (ko) 에어백을 장착한 범퍼
KR19980021944U (ko) 도어의 임팩트 바 보강구조
KR20050032370A (ko) 자동차용 범퍼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