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465B1 -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 Google Patents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465B1
KR100931465B1 KR1020080080627A KR20080080627A KR100931465B1 KR 100931465 B1 KR100931465 B1 KR 100931465B1 KR 1020080080627 A KR1020080080627 A KR 1020080080627A KR 20080080627 A KR20080080627 A KR 20080080627A KR 100931465 B1 KR100931465 B1 KR 10093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neck
carrier
carrier structure
vehicle
ne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필러넥을 일체로 결착하여, 차량 충돌시험용 더미와 차량의 전방 후드 및 범퍼커버와 충돌하는 지점으로부터 차량 후드 및 범퍼커버 후방으로 위치한 상관 부품간의 간격이 증대 되도록 하여 엔진룸 내에서의 자유도 향상 및 보행자 보호 기능 향상을 도모하는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필러넥은 하부 둘레로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필러넥 본체와, 상기 필러넥 본체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필러넥 본체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호스, 및 상기 필러넥 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필러넥 캡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F.E.M CARRIER STRUCTURE}
본 발명은 에프이엠(FEM :Front End Module) 캐리어(Carrier)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프이엠 캐리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필러넥을 일체로 결착하여, 차량 전방으로부터 그 후방의 상관 부품간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하여 엔진룸 내의 레이아웃을 개선하고 보행자 보호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종래의 에프이엠 캐리어와 쿨링모듈 및 필러넥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 는 상기 도 1a 의 각 부품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는 필러넥(50)이 쿨링모듈(30)의 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냉매 주입을 위하여서는 상기 에프이엠 캐리어(10)의 상측부재(11)와 필러넥(50)간에 직경이 약 100mm 되는 정도의 간격을 확보해야 하므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11)가 필러넥(50)보다 더 전방에 위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상측 레그폼에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한다.
도 2a 와 도 2b 는 종래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서, 차량 충격 시험용 더미와 차량 전방 범퍼커버 및 후드 후방에 위치한 상관 부품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서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11)가 필러넥(50)에 비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통상 상측 레그폼(Upper legform)을 충격 시험용 더미(20)로 사용한 충격시험에서, 차량의 범퍼커버(60) 및 후드(80)상에 충격이 인가되는 지점(T1)으로부터 그 후방의 상관 부품이 가능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더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는 차량의 범퍼커버(60)상의 충격 인가지점(T1)으로부터 그 후방에 위치한 상관 부품들의 간격이 크면 클수록 충격 시험 테스트에서 보다 유리한 점수를 획득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용 더미(20)가 차량의 전방 범퍼커버(60)와 충돌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지점(T1)으로부터 후방으로의 일정영역(Z)내에서 상관 부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충격 테스트에서의 시험결과가 만점으로 나오는 영역이다.
도면상의 충격 지점(T2)는 차일드 헤드폼 더미(Child Headform Dummy)를 이용한 충격 테스트시 차량의 후드(80)에 충격이 가해지는 지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래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러넥(50)의 냉매 주입을 위한 조립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필러넥(50)이 쿨링모 듈(30)의 상부에 위치해 있고, 필러넥(50)보다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11)가 차량의 더 전방에 위치해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도 2b 에 표시된 시험 테스트 만점영역(Z) 내에 부품이 존재하게 되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구조는 결국, 차량 전방의 후드 및 범퍼커버로부터 그 후방의 상관 부품들간의 간격이 더 줄어들게 하므로 엔진룸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시 충돌에너지가 높아 보행자 보행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러넥과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상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필러넥을 일체로 결착하여, 차량의 전방 후드 및 범퍼커버상에서의 충격 인가지점으로부터 그 후방에 위치한 상관 부품들간의 간격이 증대 되도록 하여 엔진룸 내에서의 자유도 향상과 보행자 보호 기능 향상을 도모하는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는 에프이엠 캐리어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필러넥이 일체로 결착되어 차량 충돌시험용 더미와 차량의 전방 후드 및 범퍼커버와 충돌하는 지점으로부터 그 후방에 위치한 상관 부품간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필러넥은 하부 둘레로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필러넥 본체와, 상기 필러넥 본체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필러넥 본체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호스 및 상기 필러넥 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필러넥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필러넥이 결착되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와 그 하부의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상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너트는 파이프형 너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너트는 상기 에프이엠 캐리어와의 결착시 상기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 의하면,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상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필러넥이 일체로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전방의 후드 및 범퍼커버로부터 그 후방의 상관 부품들간의 간격이 증대되어 엔진룸의 레이아웃 개선 및 보행자 보호에 대한 안정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라 에프이엠 캐리어상에 필러넥이 결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조립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 는 상기 도 3a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서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210)상에 본 발명의 필러넥(100)이 일체로 결착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필러넥(100)은 필러넥의 상단 캡(115)이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러넥 상단 캡(115)은 필러넥 본체(111)와 함께 움직인다.
본 발명의 필러넥(100)은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둘레로 나사산(113)이 형성된 필러넥 본체(110)와, 상기 필러넥 본체(110)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30)와, 상기 필러넥 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호스(150) 및 상 기 필러넥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필러넥 캡(11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필러넥(100)이 결착되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210)와 그 하부의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230)상에는 상기 필러넥이 결착되는 관통공(211,231)이 각각 형성된다.
도 3c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필러넥(100)이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210)에 결합된 구조를 살펴보면, 하부에 나사산(113)이 형성된 필러넥 본체(110)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210)에 형성된 관통공(211)과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230)에 형성된 관통공(231)에 삽입되어 결착된다.
상기 너트(130)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210)의 관통공(211)을 통과하고, 그 저부의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2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필러넥(100)의 하단부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230)의 관통공(231)을 통과하여 그 하부로 돌출되어 나오고 하단의 연결호스(150)는 필러넥 하부(101)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볼 발명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 있어서, 필러넥(100)과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210)과 동일선상에서 일체로 결합되고, 이와 함께 결합된 필러넥(100)은 자체에 나선결합을 한 너트(130)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도 4 는 본 발명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서, 차량 충격 시험용 더미와 차량 전방 범퍼커버의 충돌시 충격 인가지점과 그 후방에 위치한 상관부품들간의 위 치 관계를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레그폼의 시험용 더미(20)가 차량의 전방의 범퍼커버(160)와 후드(180)가 충돌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지점(T1)으로부터 그 후방으로의 일정영역(Z) 내에서 상관 부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차량 충돌시험에서의 시험결과가 만점으로 나오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필러넥(100)과 에프이엠 캐리어(200)가 상하 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는 결합구조이므로, 상기 표시된 영역(Z) 내에는 상관 부품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는 엔진룸 내에서의 레이아웃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보행자 보호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서는, 종래의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가 쿨링모듈의 전방에 위치해 있음으로 인해 차량 전방의 후드 및 범퍼커버로부터 그 후방의 상관 부품간에 간격이 좁아져 보행자 보호에 대한 안정성을 저감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와 도 2b 는 종래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서, 차량 충격 시험시 시험용 더미와 차량 전방 범퍼커버의 그 후방의 상관부품들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에서, 차량 충격 시험시 시험용 더미와 차량 전방 범퍼커버의 충돌지점과 그 후방의 상관부품들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프이엠 캐리어 30 : 쿨링모듈
50,100 : 필러넥 60,160 : 범퍼커버
80,180 : 후드 110 : 필러넥 본체
130 : 너트 150 : 연결호스
210 :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
230 :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

Claims (3)

  1. 에프이엠 캐리어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필러넥이 일체로 결착되어 차량 충돌시험용 더미와 차량의 전방 후드 및 범퍼커버와 충돌하는 지점으로부터 그 후방에 위치한 상관 부품간의 간격이 증대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필러넥은 하부 둘레로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필러넥 본체와, 상기 필러넥 본체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필러넥 본체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호스 및 상기 필러넥 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필러넥 캡을 포함하는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필러넥이 결착되는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부재와 그 하부의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상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파이프형 너트이며, 상기 에프이엠 캐리어와의 결착시 상기 에프이엠 캐리어 상측 보강부재 상측에 위치하는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KR1020080080627A 2008-08-18 2008-08-18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KR100931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627A KR100931465B1 (ko) 2008-08-18 2008-08-18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627A KR100931465B1 (ko) 2008-08-18 2008-08-18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465B1 true KR100931465B1 (ko) 2009-12-11

Family

ID=4168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627A KR100931465B1 (ko) 2008-08-18 2008-08-18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4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353A (ja) 2001-01-18 2002-07-31 Asuka Japan:Kk オイルフリー単動往復動式流体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353A (ja) 2001-01-18 2002-07-31 Asuka Japan:Kk オイルフリー単動往復動式流体機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3469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6612644B2 (en) Fender for automobiles
EP2946989B1 (en) Car undercover
US9725121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8651558B2 (en) Stiffener for vehicle
US20140159423A1 (en) Frontal collisio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US20140021701A1 (en) Knee Airbag Module
US20090152882A1 (en) Combination bumper cover and stiffener for vehicles
US9302610B2 (en)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energy absorbing feature
KR100931465B1 (ko) 에프이엠 캐리어 구조
US6962380B2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10137354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2005138690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6558384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1855750B1 (ko) 차체 보강 유닛
KR20120029950A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JP2005271701A (ja) 樹脂製車両用部材
JP2007137141A (ja) 自動車用フェンダ構造
KR100353738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KR20120023464A (ko) 스티프너장치
KR20050117296A (ko) 차량용 범퍼 빔
JP200807426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0325751B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20094228A (ko) 자동차 프론트 휀더의 충격흡수 구조
KR10085086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