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950A - 하이브리드 범퍼빔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범퍼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950A
KR20120029950A KR1020100092095A KR20100092095A KR20120029950A KR 20120029950 A KR20120029950 A KR 20120029950A KR 1020100092095 A KR1020100092095 A KR 1020100092095A KR 20100092095 A KR20100092095 A KR 20100092095A KR 20120029950 A KR20120029950 A KR 2012002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am
vertical
hybrid bumper
hybri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6985B1 (ko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9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범퍼빔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는 수직부와, 수직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와,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지지부와, 상지지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플랜지부와,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지지부 및 하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은 플라스틱재질과 금속재질이 포함되어 하중을 줄이면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범퍼빔{HYBRID BUMPER BEA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범퍼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에 금속성 보강재가 인서트 성형되어 강성을 유지하면서 성형이 자유로운 하이브리드 범퍼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는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한다.
자동차의 범퍼는 이러한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의 프레임 또는 엔진 등의 각종 기기들을 보호하고 자동차에 탑승한 운전자 및 승객에 대한 충격을 감소시킨다.
자동차용 범퍼는 통상 차체에 고정되는 범퍼빔, 범퍼빔과 결합되며 차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범퍼빔과 커버 사이에 위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범퍼빔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성형이 어렵고, 충격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강성을 유지하면서 충격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범퍼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금속재질의 보강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지지부; 상기 상지지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플랜지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지지부 및 상기 하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범퍼빔을 제공한다.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윙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에 결합되는 스테이는 상기 수직부와 상기 보강부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플랜지부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타 차량과의 오버랩량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에는 상기 하플랜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연장부; 및 상기 하연장부에 결합되는 하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은 플라스틱재질에 금속재질이 인서트 성형되어 자체 하중을 줄이면서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은 상플랜지부의 길이에 따른 오버랩량 증대로 차체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은 하보강부가 직접 결합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의 센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의 인서트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스테이와의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에 하보강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의 센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의 인서트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스테이와의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에 하보강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1)에는 수직부(10), 보강부(20), 상지지부(30), 상플랜지부(40), 하지지부(50) 및 하플랜지부(50)가 구비된다.
수직부(10)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량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보강부(2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직부(10)에 인서트 성형된다. 이를 위해 보강부(20)에는 플라스틱 사출물이 통과하도록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상지지부(30)는 수직부(10)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상지지부(3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직부(10)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플랜지부(40)는 상지지부(30)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상플랜지부(4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지지부(30)와 일체로 성형된다.
하지지부(50)는 수직부(10)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지지부(5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직부(10)와 일체로 성형된다.
하플랜지부(60)는 하지지부(50)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플랜지부(6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지지부(50)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플랜지부(40)와 하플랜지부(60)에는 완충재(70)가 결합된다. 이러한 완충재(70)의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범퍼커버(미도시)는 완충재(70)와 범퍼빔(1)을 커버한다.
보강윙(80)은 수직부(10)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윙(80)은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직부(10)와 일체로 성형된다.
보강윙(80)은 수직부(10)의 수평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지지부(30)와 수직부(10)간의 굽힘 강성을 보강한다.
한편, 수직부(10)에는 수직홀(11)이 형성되고, 보강부(20)에는 수직홀(11)의 대응되는 위치에 보강홀(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홀(11)과 보강홀(22)은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차체(미도시)에 결합되는 스테이(90)에는 수직부(10)에 형성되는 수직홀(11)과 보강홀(22)을 관통하는 관통체(91)가 구비되고, 고정체(92)가 관통체(91)와 볼트 결합되어 스테이(90)를 하이브리드 범퍼빔(1)에 고정시킨다.
상플랜지부(40)는 타 차량과의 충돌시 오버랩량과 관련된다. 따라서, 상플랜지부(40)는 완충재(70)와의 결합면 외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타 차량과의 충돌시 오버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플랜지부(40)의 길이는 차고에 따라 달리 설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1)에는 하연장부(110)와 하보강부(120)가 더 구비된다.
하연장부(110)는 하플랜지부(60)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연장부(11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플랜지부(60)와 일체로 성형된다. 하연장부(110)는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하보강부(120)는 하연장부(110)에 결합되며 차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하보강부(120)는 보행자와의 충돌과정에서 보행자의 관절상해를 억제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라스틱 재질의 상플랜지부(40), 상지지부(30), 수직부(10), 하지지부(50) 및 하플랜지부(60)가 일체로 성형되는 공정에서 금속재질의 보강부(20)가 수직부(10)에 인서트 성형된다.
이때, 보강부(20)에 형성되는 관통홀(21)에 플라스틱 재질의 수직부(10)가 통과하여 보강부(20)와 수직부(10)는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수직부(10)에는 굽힘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윙(80)이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타 차량과의 충돌로 인해 상지지부(30)와 수직부(10)가 변형되더라도 상지지부(30)와 수직부(10)와의 연결상태가 유지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범퍼빔(1)의 상플랜지부(40)는 차고에 따라 길이를 달리 설계하여, 타 차량과의 충돌시 오버랩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상플랜지부(40)는 사출 성형되므로 금형에 의해 길이 변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하플랜지부(60)에는 하연장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연장부(110)에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하보강부(120)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범퍼빔(1)은 플라스틱재질에 금속재질이 인서트 성형되어 자체 하중을 줄이면서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상플랜지부(40)의 길이에 따른 오버랩량 증대로 차체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으며, 하보강부(120)가 직접 결합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수직부 20 : 보강부
30 : 상지지부 40 : 상플랜지부
50 : 하지지부 60 : 하플랜지부
70 : 완충재 80 : 보강윙

Claims (5)

  1.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금속재질의 보강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지지부;
    상기 상지지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플랜지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지지부 및
    상기 하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범퍼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윙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범퍼빔.
  3. 제 2항에 있어서,
    차체에 결합되는 스테이는 상기 수직부와 상기 보강부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범퍼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플랜지부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타 차량과의 오버랩량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범퍼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플랜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연장부; 및
    상기 하연장부에 결합되는 하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범퍼빔.
KR1020100092095A 2010-09-17 2010-09-17 하이브리드 범퍼빔 KR10166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95A KR101666985B1 (ko) 2010-09-17 2010-09-17 하이브리드 범퍼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95A KR101666985B1 (ko) 2010-09-17 2010-09-17 하이브리드 범퍼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50A true KR20120029950A (ko) 2012-03-27
KR101666985B1 KR101666985B1 (ko) 2016-10-17

Family

ID=4613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95A KR101666985B1 (ko) 2010-09-17 2010-09-17 하이브리드 범퍼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9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27B1 (ko) * 2013-07-09 2015-01-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빔 유닛
US9902351B2 (en) 2014-03-31 2018-02-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ybrid bumper bea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220314914A1 (en) * 2021-04-05 2022-10-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ront bum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1060A1 (en) * 1996-11-15 1998-05-22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Composite laminate automotive structures
KR20030030064A (ko) * 2001-10-06 2003-04-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빔
KR20050001258A (ko) * 2003-06-27 2005-01-06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범퍼 시스템
KR20100049303A (ko) * 2008-11-03 2010-05-12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범퍼 빔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1060A1 (en) * 1996-11-15 1998-05-22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Composite laminate automotive structures
KR20030030064A (ko) * 2001-10-06 2003-04-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빔
KR20050001258A (ko) * 2003-06-27 2005-01-06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범퍼 시스템
KR20100049303A (ko) * 2008-11-03 2010-05-12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범퍼 빔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27B1 (ko) * 2013-07-09 2015-01-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빔 유닛
US9902351B2 (en) 2014-03-31 2018-02-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ybrid bumper bea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220314914A1 (en) * 2021-04-05 2022-10-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ront bumper
US11926274B2 (en) * 2021-04-05 2024-03-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ront bu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985B1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48290A (zh) 车辆的前部构造
KR101448745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US20110049913A1 (en) Front part for a motor vehicle body
US8167362B2 (en) Vehicular hood hinge arrangement structure
US10173731B2 (en) Side chassis structure of vehicle
US20140159423A1 (en) Frontal collisio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KR20090119645A (ko) 자동차의 범퍼 백빔 구조
KR20120061072A (ko) 차량용 범퍼 백빔
KR20120029950A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KR102009795B1 (ko) 스티프너 일체형 프론트 범퍼
KR100984401B1 (ko) 보호 기능이 극대화된 전면 하부 보강재 및 그것을구비하는 자동차
KR101689874B1 (ko) 차량용 완충장치
KR101345168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CN208842361U (zh) 一种汽车的吸能装置
JP2012224275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CN201520263U (zh) 一种新型的车身前部结构
KR101836515B1 (ko) 차량의 카울 어셈블리
JP6304279B2 (ja) 車両のバンパ支持構造
KR20120023464A (ko) 스티프너장치
CN109229039A (zh) 一种汽车的吸能装置
KR101439439B1 (ko) 차량용 리어범퍼의 결합구조
KR100747284B1 (ko) 승용차의 프론트사이드멤버
JP2024041243A (ja) 車両用樹脂フェンダ
CN205344815U (zh) 一种汽车行人保护缓冲泡沫安装结构
KR101827002B1 (ko) 자동차용 카울 패널내의 충격 흡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