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250A - 시일 링 및 이를 이용한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시일 링 및 이를 이용한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250A
KR20210003250A KR1020207034539A KR20207034539A KR20210003250A KR 20210003250 A KR20210003250 A KR 20210003250A KR 1020207034539 A KR1020207034539 A KR 1020207034539A KR 20207034539 A KR20207034539 A KR 20207034539A KR 20210003250 A KR20210003250 A KR 20210003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ring
groove
passage
spring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200B1 (ko
Inventor
노리유키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21000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 F16J15/321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16J15/3272Mounting of sealing rings the rings having a break or opening, e.g. to enable mounting on a shaft otherwise than from a shaft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1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유체가 흐르는 통로(13)를 개폐하는 밸브장치(10)에 이용되고, 통로(13) 내에 수용되어, 회동에 의해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20)의 외주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수지제의 시일 링(30)은, 시일 링(30)의 한쪽의 측면(31)에 시일 링(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된 홈(330)과, 홈 내에 배치된 금속제의 링형상의 스프링(40)을 구비한다. 한쪽의 측면(31)과는 반대의 측면(32) 중, 실링면(34)으로 되는 영역보다도 내주측의 영역의 일부에는, 반대의 측면(32)으로부터 한쪽의 측면을 향하여 시일 링(3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홈(330)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340)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측면(31)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관통 구멍(340)에 대응하는 한쪽의 측면(31)측의 영역에는, 홈(330)에 배치되는 스프링(40)의 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 고정부(350)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시일 링 및 이를 이용한 밸브장치
본원은, 그 모든 개시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편입된다. 2018년 7월 18일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2018―134704호의 일본국 특허출원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유체가 흐르는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장치의 시일 링(seal ring)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체가 흐르는 통로의 개폐를, 통로 내에 수용된 밸브체의 회동에 의해 개폐하는 밸브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2016―211678호 공보에는, 밸브체의 전부 차폐 시에 있어서, 밸브체의 외주 가장자리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홈(이하, “둘레홈”이라고도 부른다)에 끼워넣어진 수지성의 시일 링에 의하여 통로의 내주면과 밸브체의 외주 가장자리의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구조를 가지는 밸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밸브장치에서는, 밸브체를 전부 차폐한 상태에서 열었을 때에, 둘레홈으로 흘러드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둘레홈에 끼워넣어진 시일 링이 외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시일 링이 둘레홈으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지성의 시일 링은, 고온 시에 강성(剛性)이 낮아지기 때문에, 통로를 흐르는 고온의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하기 쉬워서, 탈락의 가능성은 금속제의 시일 링에 비하여 더욱 높아진다.
여기에서, 시일 링의 강성을 확보하는 점에 착안한 경우, 금속제의 링(“스프링”이라고도 부른다)으로 보강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 방법으로서, 시일 링의 측면에 홈을 설치하여 금속제의 링을 그 홈에 조립함으로써, 보강한 시일 링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링이 일체 성형된 시일 링을 형성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홈에 스프링을 조립한 시일 링의 경우, 홈의 구조에 따라서는, 밸브체에 시일 링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이 시일 링으로부터 탈락해 버리는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홈의 구조로서, 예를 들어, 언더컷 형상과 같은 걸림 고정 구조를 이용하면, 탈락을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시일 링의 경우, 성형에 이용한 형(型)으로부터 시일 링을 이형할 때에 시일 링에 변형이 발생하여, 밀봉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금속제의 스프링과 일체 성형된 시일 링의 경우, 내부의 금속의 스프링과 외측의 수지제의 시일 링의 선형 팽창의 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이나, 이용한 밸브장치의 밸브체의 개폐에 동반하는 시일 링의 확대 축소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여, 시일 링의 파손이나 밸브장치의 파손 등, 내구성의 점에서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는,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르면, 유체가 흐르는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장치에 이용되고,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의 외주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수지제의 시일 링(seal ring)이 제공된다. 이 시일 링은, 상기 시일 링의 한쪽의 측면에 상기 시일 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된 홈과, 상기 홈 내에 배치된 금속제의 링형상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한쪽의 측면과는 반대의 측면 중, 실링면으로 되는 영역보다도 내주측의 영역의 일부에는, 상기 반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한쪽의 측면을 향하여 상기 시일 링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홈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측면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상기 한쪽의 측면측의 영역에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시일 링에 따르면, 걸림 고정부에 의해 스프링을 용이하게 지지하여 스프링의 탈락을 억제하면서, 강성을 높인 수지제의 시일 링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수지제의 시일 링을 형성하기 위한 형을 단순한 형분할로 실현 가능하여, 시일 링의 이형(離型) 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시일 링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체 성형된 시일 링에 비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잇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밸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밸브체 및 시일 링의 단면도,
도 3은 시일 링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시일 링의 이면도,
도 5는 도 3의 시일 링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시일 링 제조용의 형의 단면도,
도 7은 시일 링의 걸림 고정부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시일 링의 걸림 고정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의 시일 링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시일 링의 이면도,
도 11은 별도의 다른 실시형태의 시일 링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시일 링의 이면도,
도 13은 별도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시일 링의 단면도이다.
A. 실시형태: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형태의 밸브장치(10)는, 기체가 흐르는 통로(12)를 밸브체(20)의 회동 변위에 의해 개폐하는 것이다. 밸브장치(10)는, 예를 들면,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배기계에 편입되고, 엔진에 환류되는 배기 가스(이하, "EGR가스"라고도 부른다)의 통과량을 조작하는 EGR장치에 적용되어 있다. 즉, 밸브장치(10)는, 차량에 탑재된 엔진의 배기 통로로부터 흡기 통로로 EGR가스를 되돌리는 것이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밸브장치(10)는, 하우징(11), 센서 케이스(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은, 금속제,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제이고, 내부에 엔진의 배기 통로로부터 흡기 통로로 EGR가스가 흐르는 통로(12)를 가진다. 통로(12)의 내벽에는 내열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부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에 의해 설치된 노즐(13)이 고정 배치되어 있다. 즉, 노즐(13)의 내주는, 통로(12)의 일부의 내벽으로 되어 있고, 통로(1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1)은, 통로(12)의 개도를 조정하는 밸브체(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이 밸브체(20)를 회동시키는 모터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모터는, 배치 위치의 형편상, 도시되어 있지 않았다.
밸브체(20)는, 샤프트(15)를 통하여 노즐(13) 내에 수용되어, 노즐(13) 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샤프트(15)의 회동 변위에 따라 통로(12)의 노즐(13)의 개구 면적을 변경할 수 있는 원판 형상의 버터플라이 밸브이다. 즉, 밸브체(20)는 샤프트(15)와 일체로 회동함으로써 통로(12)의 노즐(13)의 개도를 조정하고 있다. 밸브체(20)는 알루미늄 합금, SUS 등의 여러 가지 금속이나 PPS, PTFE, PEEK 등의 여러 가지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밸브체(20)는, 복수의 기어의 조합에 의해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즉, 감속에 의해 증폭된 회전 토크를 전달받아 회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모터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이 모터 기어에 의하여 회동 구동되는 중간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이 중간 기어에 의하여 회동 구동되는 최종 기어(16)의 조합에 의해 모터의 회전은 감속된다. 그리고 최종 기어(16)와 일체로 샤프트(15)가 회동한다.
또한, 밸브장치(10)에는 밸브체(20)를 밸브 차폐 방향만을 향하여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턴 스프링(17)은, 일방향만으로 감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싱글 스프링이고, 샤프트(15)의 주위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리턴 스프링(17)은 하우징(11)과 최종 기어(16)의 사이에 조립됨으로써, 밸브 차폐 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력을 발생시킨다. 즉, 최종 기어(16) 등은 리턴 스프링(1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회동하게 된다.
센서 케이스(14)는 수지제이고, 밸브체(20)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센서(18)를 수용한다. 또한, 센서(18)는, 샤프트(15)의 회전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밸브체(20)의 개도를 검출하는 비접촉 포지션 센서이다. 그리고 하우징(11)의 플랜지와 센서 케이스(14)의 플랜지를 맞대어서 나사 체결함으로써 하우징(11)과 센서 케이스(14)는 일체로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20)의 외주 가장자리(25)의 면(“외주면”이라고도 부른다)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사각형상단면의 홈(26)(이하, “둘레홈(26)”이라고도 부른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둘레홈(26)에는 밸브체(20)의 전부 차폐 시에, 노즐(13)의 내주면과 밸브체(20)의 외주 가장자리(25)의 외주면의 사이를 밀봉하는 시일 링(30)이 끼워넣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일 링(30)은, 그 외주 가장자리(35)가 둘레홈(26)의 외측에 있고, 그 내주 가장자리(33)가 둘레홈(26)의 내측에 끼워넣어져서, 둘레홈(26)에 수용되어 있다.
시일 링(30)은, 도 3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링형상을 가지고 있다. 시일 링(30)은, 예를 들면, PPS, PTFE, PEEK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 3은, 노즐(13)의 상류측(도 2의 IN측)으로부터 시일 링(30)을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에서의 시일 링(30)을 밸브체(20)의 외주 가장자리(25)측의 부분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좌측은 노즐(13)의 상류측(“IN측”으로 기재)을, 우측은 노즐(13)의 하류측(“OUT측”으로 기재)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중의 화살표(DR)는 단면에서 밸브체(20) 및 시일 링(30)의 반경을 따른 방향(이하, “반경 방향”이라고도 부른다)을 도시하고, 화살표(DA)는 중심축(AX)을 따른 방향(이하, “중심축 방향”이라고도 부른다)을 도시하고 있고, 이하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시일 링(30)에는, 도 3의 평면도 및 도 4의 이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반경을 확대 축소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일 링(30)은 조인트(36)를 이격시켜서 일단 직경을 확대시키서, 둘레홈(26)에 배치한 후에 직경을 축소함으로써 둘레홈(26)에 끼워넣을 수 있다.
조인트(36)를 형성하는 2개의 시일 링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시일 링단으로부터 다른쪽의 시일 링단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편(361)과, 이 돌출편(361)이 수납되는 결락 공간(缺落空間)(362)이 2개의 시일 링단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일 링(30)은, 둘레홈(26)에 끼워넣어진 상태 및 밸브체(20)의 전부 차폐 시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6)에, 시일 링(30)의 반경 방향 및 중심축 방향으로 중첩이 발생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36)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반경 방향 및 중심축 방향으로 중첩이 발생하고 있는 구성이면, 이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양태로 실현 가능하다.
밸브체(20)의 전부 차폐 시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발생하는 차압에 의하여 시일 링(30)은 하류측으로 눌리고, 하류측을 향하는 측면(32)의 일부(34)(이하, “실링면(34)”이라고도 부른다)가 둘레홈(26)의 하류측의 측면(263)에 맞닿아서 밀착한다. 이에 따라, 시일 링(30)의 내주 가장자리(33)측을 통하는 기체의 흐름이 차단되고, 내주 가장자리(33)측의 압력이 상승한다. 또한, 시일 링(30)의 외주 가장자리(35)측의 간극(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기체가 흐르기 때문에 시일 링(30)의 외주 가장자리(35)측의 압력은 낮아진다. 이 때문에, 시일 링(30)은, 내주 가장자리(33)측과 외주 가장자리(35)측에서 발생하는 차압에 의하여 직경이 확대되고, 시일 링(30)의 외주 가장자리(35)의 외주면이 실링면(이하, “실링면(35)”이라고도 부른다)으로서 노즐(13)의 내주면에 맞닿아서 밀착한다. 이에 따라, 밸브체(20)의 전부 차폐 시에 있어서, 시일 링(30)은, 측면(32)의 실링면(34)에서 밸브체(20)의 둘레홈(26)의 측면(263)으로 밀착하고, 또한 실링면(35)이 노즐(13)의 내주면과 밀착하여, 밸브체(20)와 노즐(13)의 간극을 실링한다. 또한, 조인트(36)는, 직경을 확대함으로써 이격되지만, 밸브체(20)의 전부 차폐 시에 반경 방향 및 중심축 방향으로 발생하는 차압에 의하여 중첩 부분이 서로 밀착한다. 이에 따라, 조인트(36)를 통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3의 평면도, 도 5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링(30)의 상류측의 측면(31)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홈(330)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홈(330)은, 조인트(36)의 영역을 제외하고, 조인트(36)보다도 원주 방향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홈(330)에는 금속제의 링형상의 스프링(40)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40)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로서는, 수지로 구성된 시일 링(30)의 강성을 사전 결정값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알루미늄 합금, SUS 등의 여러 가지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홈(330)을 “스프링 홈(330)”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류측의 측면(31)을 “한쪽의 측면(31)”, 하류측의 측면(32)을 “반대의 측면(32)”이라고도 부른다.
도 4의 이면도(裏面圖), 도 5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의 측면(32)에는 실링면(34)으로 되는 영역보다도 반경 방향(DR)의 내주측의 영역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멍(340)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340)은, 하류측의 측면(32)으로부터 상류측의 측면(31)을 향하여 중심축 방향(DA)을 따라 연장되어 스프링 홈(330)의 내주측의 단부의 저면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 구멍(340)을 “관통 구멍(340)”이라고도 부른다.
도 3의 평면도, 도 5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측면(31)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면에서 볼 때, 관통 구멍(340)에 대응하는 한쪽의 측면(31)의 영역에는 스프링 홈(330)에 배치되는 스프링(40)의 내주측의 단부를 덮어서 걸어 고정하기 위한 후크 형상의 걸림 고정부(350)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350)를 가지는 영역의 시일 링(30)의 단면에서 스프링 홈(330)의 개구의 치수(WA)는, 스프링(40)의 반경 방향(DR)의 폭의 치수(WB)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홈(330)의 개구의 치수(WA)는, 걸림 고정부(350)의 선단(351)과 스프링 홈(330)의 외주단의 차이다. 또한, 스프링(40)의 반경 방향의 폭(W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0)의 내주측의 단부와 외주측의 단부의 차, 즉, 내경과 외경의 차이다.
시일 링(30)은, 상기한 스프링 홈(330)과 관통 구멍(340)과 걸림 고정부(350)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프링(40)을 탈락하지 않도록 걸어 고정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일 링(30)은, 걸림 고정된 스프링(40)에 의하여 원하는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330)의 내주측과 외주측의 차이인 폭이 스프링(40)의 폭(WA)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40)과 시일 링(30)의 선형 팽창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이나 시일 링의 확대 축소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스프링이 일체로 성형된 시일 링에서 발생하는 내구성에 비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일 링(30)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걸림 고정부(350)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걸림 고정부(350)가 없는 복수의 영역에 있어서, 스프링 홈(330)으로의 스프링(40)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복수의 걸림 고정부(350)에서 스프링(40)의 탈락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스프링(40)의 조립의 용이성과, 스프링(40)의 탈락의 억제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원주 방향에 걸쳐서 복수의 걸림 고정부(3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밸런스 좋게 탈락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일 링(30)은, 도 6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단한 형분할의 하형(下型)(400)과 상형(上型)(500)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캐비티(410, 430) 및 코어(420a, 420b)를 가지는 하형(400)과, 캐비티(510, 530) 및 코어(520)를 가지는 상형(500)으로 형성된 형에 수지 재료를 충전하여 고화시킴으로써, 시일 링(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형(500)의 중심축 방향(DA)을 따라 하형(400)측을 향하는 코어(520)와, 하형(400)의 중심축 방향(DA)을 따라 상형(500)측을 향하는 코어(420a, 420b) 중의 코어(420b)의 부분은, 도 5에 도시한 스프링 홈(330)의 영역에 대응한다. 또한, 코어(420a)의 부분은, 도 5에 도시한 관통 구멍(340)의 영역에 대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형(400) 및 상형(500)은, 중심축 방향(DA)을 따라 요철(凹凸)형상의 간단한 형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형성된 시일 링(30)을 형으로부터 이형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언더컷 구조와 같이, 이형성이 나쁘기 때문에 시일 링을 변형시켜서 실링(sealing) 성능을 저하시켜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고정부(350)의 후크의 선단(351)은, 한쪽의 측면(31)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관통 구멍(340)의 내주측의 단부와 외주측의 단부의 사이의 폭(Ah)의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통 구멍(340)에 대응하는 하형(400)의 코어(420a)에 연결되는 코어(420b)에 의하여, 형성되는 걸림 고정부(350)의 후크의 선단(351)과의 사이에 차단 영역(Ab)이 설치되기 때문에, 수지 성형 시에서의 버어(burr)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림 고정 후크의 선단(351)이 관통 구멍(340)의 단부에 일치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고정부(350)의 후크의 관통 구멍(340)측의 선단면(353)의 선단 각도(θ353)는, 한쪽의 측면(31)에 수직인 방향인 중심축 방향(DA)을 따른 방향을 도시한 기준선(Lv)에 대하여 예각, 즉, 9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단면(353)의 선단 각도(θ353)는, 단면 상에서의 선단면(353)의 접선(Lt)과 기준선(Lv)이 이루는 각도로서, 관통 구멍(340)측에서 본 각도이다. 이 경우, 걸림 고정부(350)에 의한 스프링(40)의 걸림 고정성을 높여서 보다 효과적으로 스프링(40)의 탈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고정부(350)의 후크의 한쪽의 측면(31)측의 선단면(352)은, 선단(351)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오목한 테이퍼면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스프링(40)을 스프링 홈(330)에 조립할 때에, 선단면(352)을 따라 스프링(40)의 내주측의 단부를 미끄러지게 하여 스프링 홈(330)에 스프링(40)을 조립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선단면(352)은, 직선적은 아니고, 외측으로 볼록하고 매끄러운 곡면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B. 다른 실시형태:
(1) 도 9 및 도 10의 시일 링(3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6)(도 3)에 대신하여, 돌출편(361) 및 결락 공간(362)을 가지지 않는 조인트(36b)로 해도 좋다.
(2) 또한, 걸림 고정부(350) 및 이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40)이 설치되는 위치나 갯수는, 도 3 및 도 4의 시일 링(30)의 위치나 갯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 및 도 10의 시일 링(3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3군데에 걸림 고정부(350) 및 이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40)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시일 링(3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걸림 고정부(350) 및 이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4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원주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걸림 고정부(350) 및 이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40)이 설치되어 있으면, 그 위치 및 갯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상기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0)의 내주단측에 걸림 고정부(350) 및 이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40)이 설치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의 시일 링(3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0)의 외주단측에 걸림 고정부(350) 및 이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34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형태의 밸브장치는, EGR장치에 적용되었지만, 적용 대상은 EGR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유체의 통로의 개폐를 실시하는 밸브장치로서 적용 가능하다.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의 란에 기재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상기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교체나 조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의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유체가 흐르는 통로(13)를 개폐하는 밸브장치(10)에 이용되며, 상기 통로(13) 내에 수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20)의 외주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수지제의 시일 링(30, 30b, 30c, 30d)으로서,
    상기 시일 링의 한쪽의 측면(31)에, 상기 시일 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된 홈(330); 및
    상기 홈 내에 배치된 금속제의 링형상의 스프링(40)을 구비하며,
    상기 한쪽의 측면과는 반대의 측면(32) 중, 실링면(34)으로 되는 영역보다도 내주측의 영역의 일부에는, 상기 반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한쪽의 측면을 향하여 상기 시일 링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홈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3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측면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상기 한쪽의 측면측의 영역에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 고정부(350)가 설치되어 있는
    시일 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부에서의 상기 홈의 개구의 치수(WA)는, 상기 스프링의 반경 방향의 치수(WB)보다도 작은
    시일 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관통 구멍과 쌍을 이루는 상기 걸림 고정부는, 상기 시일 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시일 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부의 후크의 선단 위치는, 상기 한쪽의 측면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관통 구멍의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시일 링.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부의 후크의 상기 관통 구멍측의 선단면(353)의 선단 각도는, 상기 한쪽의 측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일 링.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부의 후크의 상기 한쪽의 측면측의 선단면(352)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 또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일 링.
  7. 유체가 흐르는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장치(10)로서,
    유체가 흐르는 통로(13) 내에 수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20); 및
    상기 밸브체의 외주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의 전부 차폐 시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통로의 간극을 밀봉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일 링(30, 30b, 30c, 30d)을 구비하는
    밸브장치.
KR1020207034539A 2018-07-18 2019-05-13 시일 링 및 이를 이용한 밸브장치 KR102416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4704A JP7095445B2 (ja) 2018-07-18 2018-07-18 シールリ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弁装置
JPJP-P-2018-134704 2018-07-18
PCT/JP2019/018940 WO2020017131A1 (ja) 2018-07-18 2019-05-13 シールリ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250A true KR20210003250A (ko) 2021-01-11
KR102416200B1 KR102416200B1 (ko) 2022-07-05

Family

ID=6916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539A KR102416200B1 (ko) 2018-07-18 2019-05-13 시일 링 및 이를 이용한 밸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31560A1 (ko)
JP (1) JP7095445B2 (ko)
KR (1) KR102416200B1 (ko)
DE (1) DE112019003596T5 (ko)
WO (1) WO20200171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8178B2 (ja) * 2018-03-22 2022-11-25 Ntn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JP7354961B2 (ja) 2020-08-20 2023-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複合シールリン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4956U (ko) * 1981-06-06 1982-12-10
KR20080097195A (ko) * 2006-02-06 2008-11-04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오일 시일
WO2014129505A1 (ja) * 2013-02-20 2014-08-28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16211678A (ja) * 2015-05-11 2016-12-15 株式会社デンソー 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6475A (en) * 1968-05-22 1971-01-19 Borg Warner Shutoff valve
DE2828238C2 (de) * 1978-06-28 1982-12-16 Bopp & Reuther Gmbh, 6800 Mannheim Dichteinrichtung
LU81706A1 (fr) * 1978-09-22 1980-01-24 Ass Eng Ltd Joints d'etancheite interfaciaux a jeu positif
CA2076912C (en) * 1991-08-28 1999-05-04 Jerry F. Carlin Hydraulic cylinder and improved wear ring assembly for use therein
US5236202A (en) * 1991-09-23 1993-08-17 Rosemount Inc. Spring loaded resin seal
DE69310245T2 (de) * 1992-02-28 1997-08-14 Sealol Zentrierfeder für zwei ringförmige Körper
US5984316A (en) * 1997-12-12 1999-11-16 Bal Seal Engineering Company, Inc. Rotary reciprocating seals with internal metal band
JP3953899B2 (ja) * 2002-04-02 2007-08-08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ピストンリング
US20060022414A1 (en) * 2004-07-30 2006-02-02 Balsells Peter J Rotary cartridge seals with composite retainer
JP2012057726A (ja) * 2010-09-09 2012-03-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ール構造及び遠心圧縮機
US10948014B2 (en) * 2013-04-15 2021-03-16 Stein Seal Company Intershaft seal assembly with multi-axis stepped grooves
JP2015034592A (ja) 2013-08-08 2015-02-19 Nok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FR3014992B1 (fr) * 2013-12-13 2017-09-22 O S C Offshore Systems Concepts Joint d'etancheite a levres elastiques
US11536373B2 (en) * 2016-03-07 2022-12-27 Bal Seal Engineering, Llc Seal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JP6650810B2 (ja) 2016-03-31 2020-02-19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US10738921B2 (en) * 2016-08-25 2020-08-11 Marc Rowley Non-metallic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high chemical compatibility flange isolation gasket
US10520092B2 (en) * 2016-10-24 2019-12-31 Bal Seal Engineering, Inc. Seal assemblies for extreme temperatures and related methods
US11680642B2 (en) * 2018-05-08 2023-06-20 Bal Seal Engineering, Llc Seal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4956U (ko) * 1981-06-06 1982-12-10
KR20080097195A (ko) * 2006-02-06 2008-11-04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오일 시일
WO2014129505A1 (ja) * 2013-02-20 2014-08-28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16211678A (ja) * 2015-05-11 2016-12-15 株式会社デンソー 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9003596T5 (de) 2021-04-08
WO2020017131A1 (ja) 2020-01-23
JP7095445B2 (ja) 2022-07-05
JP2020012507A (ja) 2020-01-23
US20210131560A1 (en) 2021-05-06
KR102416200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2868B2 (en) Regulating device for a turbocharger
US10443745B2 (en) Valve device
JPH04252829A (ja) 絞り弁組立体
US11149627B2 (en) Cooling-water control valve device
JP2008175064A (ja) バタフライ式弁装置
KR20210003250A (ko) 시일 링 및 이를 이용한 밸브장치
KR20080079983A (ko) 가변 쓰로틀 배기 터보차저에 있어서의 가변 노즐 기구용설치 구조
EP371567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 ring, and seal ring
US20120247440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US11085543B2 (en) Butterfly valve including a valve body, shaft, groove portion and seal ring
JP2019039441A (ja) 複合シールリング
EP2715196B1 (en) Low torque, high flow and tight sealing tube butterfly valve
JP3908846B2 (ja) 樹脂製部材の接続構造
WO2021024697A1 (ja) シールリング、バルブ装置、およびシールリングの製造方法
JP5199298B2 (ja) 吸気用バルブ装置
US11300220B2 (en) Valve device
JP2022166529A5 (ko)
JP2012524229A (ja) スロットル弁及び製作方法
US20170306904A1 (e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JP3686656B2 (ja) バタフライ弁、バタフライ弁用シートリング及びシートリングの製造方法
JP7107237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JP7115070B2 (ja) 弁装置
US11732806B2 (en) Seal ring and valve device
CN213775558U (zh) 排气阀、排气管线和车辆
JP6656473B2 (ja) 排気ガス再循環バルブ、および排気ガス再循環バルブ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