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612A -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612A
KR20210002612A KR1020207033644A KR20207033644A KR20210002612A KR 20210002612 A KR20210002612 A KR 20210002612A KR 1020207033644 A KR1020207033644 A KR 1020207033644A KR 20207033644 A KR20207033644 A KR 20207033644A KR 20210002612 A KR20210002612 A KR 20210002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guide member
transfer
rotation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471B1 (ko
Inventor
토오루 사쿠마
미츠루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2021000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4Feed-dog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이송톱니 구동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하여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미싱을 제공한다. 횡방향 이송 구동부(8)와 상하 구동부(9)는 구동축(7)의 회전을 이송톱니(3)로 전달한다. 이송톱니(3)는 요동 가능한 이송 토대(5)에 지지된다. 상하 구동부(9)의 승강 링크(15)의 하단에 각 다이(18)를 설치한다. 각 다이(18)를 안내하는 안내홈(20)을 구비하는 안내 부재(19)를 이송 토대(5)의 바로 아래에 배설한다. 승강 링크(15)의 상단을 이송 토대(5)에 있어서의 요동축(6)과 이송톱니(3)의 사이에 연결한다.

Description

미싱
본 발명은 천을 재료로 하는 제품의 봉제에 이용하는 미싱에 관한 것이다.
미싱은 봉제 작업을 할 때, 천을 바늘판과 노루발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위에서부터 재봉 바늘이 박히고, 다음에, 재봉 바늘이 올라가 천으로부터 멀어지면, 이송톱니가 바늘판 위로 돌출하여 천을 보낸다.
이송톱니는 이송톱니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이런 종류의 이송톱니 구동장치는, 이송톱니를 선단에 지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송 로드와, 이송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토대와, 이송 토대의 기단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송 로드 선단의 이송톱니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요동축과,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회전을 횡방향 이송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로 전달하는 횡방향 이송 구동부와, 구동축의 회전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로 전달하는 상하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재봉 바늘이 바늘판보다 위에 있을 때, 상하 구동부가 이송톱니를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킴과 함께 횡방향 이송 구동부가 이송톱니를 천의 이송 방향으로 전진시켜, 재봉바늘이 바늘판보다 아래에 있을 때, 상하 구동부가 이송톱니를 바늘판의 하부에 몰입시킴과 함께 횡방향 이송 구동부가 이송톱니를 후퇴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러나, 봉제 작업에 앞서 바늘판 위에 천을 세팅할 때, 먼저, 재봉 바늘을 바늘판보다 위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 노루발에 의한 천 누름을 해제한다. 노루발에 의한 천 누름의 해제는 누름 조작 레버를 상동(上動)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천을 미끄러지게 하여 해당 천의 봉제 개시 위치를 재봉 바늘의 바로 아래까지 이동시킨다.
그러나, 재봉 바늘이 바늘판보다 위에서 정지하고 있을 때는, 이송톱니가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정지하고 있다. 때문에,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이송톱니에 천이 걸려, 봉제 준비를 원활히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하여, 종래, 상하 구동부와 이송톱니의 사이에, 누름 조작 레버를 상동조작에 연동하여 이송톱니로 전달되는 상하 운동을 차단하고, 이송톱니를 바늘판의 상면보다 아래 위치로 대피시키고, 누름 조작 레버의 하동(下動)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을 이송톱니로 전달시키는 이송톱니 작동 클러치를 설치한 미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에 의하면, 누름 조작 레버 상동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이송톱니 작동 클러치에 의해 이송톱니의 상하 이동이 차단되고, 재봉 바늘이 바늘판보다 위에 있어도 이송톱니가 바늘판의 하부에 몰입 퇴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천의 봉제 개시 위치를 재봉 바늘의 바로 아래까지 이동시킬 때, 이송톱니에 천이 걸리지 않고, 봉제 준비 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일본특허공개 2001-347087호 공보
그러나, 이송톱니 작동 클러치를 구비하는 상하 구동부는 그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바늘판의 하부에 상하 구동부를 수용하는 넓은 공간이 필요해진다. 상기 종래의 이송톱니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이송톱니의 선단측의 외측 하부에 확보한 공간에 상하 구동부의 구동 암 및 이송톱니 작동 클러치를 수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송톱니 작동 클러치를 구비하는 상하 구동부는, 이송톱니 구동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미싱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송톱니 구동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하여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미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몰입하는 이송톱니와, 상기 이송톱니의 상방에 대향하는 노루발과, 올림·내림 조작에 의해 상기 노루발을 상기 이송톱니에 대해서 이반·압접시키는 누름 조작 레버와, 상기 이송톱니를 구동하는 이송톱니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톱니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톱니를 선단에 지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송 로드와, 상기 이송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토대와, 상기 이송 토대의 기단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이송 로드 선단의 상기 이송톱니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요동축과,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횡방향 이송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톱니로 전달하는 횡방향 이송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톱니로 전달하는 상하 구동부를 구비하는 미싱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이송 토대의 하부에 배설되고,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퇴하는 진퇴 암과, 상기 진퇴 암에 하부 연결축을 통해 하단이 연결됨과 함께 상단이 상부 연결축을 통해 상기 이송 토대에 연결된 승강 링크와, 상기 승강 링크의 상기 하부 연결축과 동축으로 설치된 각 다이와, 상기 각 다이를 직선적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안내홈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송톱니의 상기 바늘판으로부터의 돌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를 변경하는 안내 부재 회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구동축의 일측으로서 상기 이송 토대의 바로 아래에 배설되고, 상기 승강 링크는, 상기 이송 토대에 있어서의 상기 요동축과 상기 이송톱니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상하 구동부에 의하면, 구동축의 회전이 편심 캠을 통해 진퇴 암의 횡방향으로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된다. 진퇴 암의 진퇴 동작은, 각 다이를 안내 부재의 안내홈을 따라 왕복이동시킨다. 승강 링크의 하단은 하부 연결축을 통해 각 다이에 연결되고, 승강 링크의 상단은 상부 연결축을 통해 이송 토대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다이가 안내홈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 승강 링크가 요동하고, 승강 링크의 요동에 의해 이송 토대가 승강한다.
이송 토대의 승강운동에 따라 이송톱니도 바늘판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몰입한다. 이송 토대의 승강량은 안내홈의 경사 각도에 의해 변화한다. 안내홈의 경사 각도는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안내홈의 경사와 이송톱니의 상하운동의 관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안내홈이 수평일 때 이송톱니가 가장 크게 상하운동한다. 안내홈이 진퇴 암의 진출 방향을 향해 점차 하강하도록 경사하면, 이송톱니의 횡방향의 이동거리는 변하지 않고 상하운동이 작아진다.
즉,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안내홈을 진퇴 암의 진출 방향을 향해 하강하도록 경사를 부여하면, 구동축이 회전해도 이송톱니를 상하운동시키지 않고, 이송톱니를 바늘판의 하부에 몰입 퇴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상하 구동부를 설치함으로써, 이송톱니 작동 클러치를 구비하는 종래의 상하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천의 봉제 개시 위치를 바늘의 바로 아래까지 이동시킬 때, 이송톱니에 천이 걸리는 일이 없고 봉제 준비 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하 구동부는, 진퇴 암과 승강 링크와의 연결 부분에 안내 부재를 설치한 구성인 것에 의해, 종래의 상하 구동부에 있어서의 이송톱니 작동 클러치에 비해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부재를 이송 토대의 바로 아래의 비교적 작은 공간에 수용할 수 있고, 요동축과 이송톱니 사이의 위치에서 승강 링크와 이송 토대를 연결하여 승강 링크의 작은 승강운동으로 이송톱니에 큰 상하운동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상하 구동부의 수용 공간을 작게 억제하여 미싱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 회동 기구는, 상기 누름 조작 레버와 상기 안내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누름 조작 레버의 조작에 상기 안내 부재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회동 링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 링크는, 상기 누름 조작 레버를 조작했을 때의 상기 누름 조작 레버의 위치에 따른 각도에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 링크의 작동의 일례로서 상기 회동 링크는, 상기 누름 조작 레버를 그 조작 범위의 제 1 위치에 이동시켰을 때, 상기 안내홈이 제 1 소정 각도로 경사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누름 조작 레버를 그 조작 범위의 제 2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안내홈이 제 2 소정 각도로 경사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누름 조작 레버가 그 조작 범위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제 3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안내홈이 상기 제 1 소정 각도와 상기 제 2 소정 각도 사이의 제 3 소정 각도로 경사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누름 조작 레버를 조작 범위의 예를 들어 상단(제 1 위치)까지 조작하여, 안내홈이 수평에 대해서 제 1 소정 각도로 경사한 경우, 이송톱니를 바늘판의 하부에 몰입 퇴피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고, 누름 조작 레버를 예를 들어 하단(제 2 위치)까지 조작하여, 안내홈이 수평에 대해서 제 1 소정 각도보다 각도가 작은 제 2 소정 각도가 된 경우 이송톱니에 의한 천 이송을 실시하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누름 조작 레버의 조작과 연동시켜 사용자에 의식시키지 않고 이송톱니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더욱이, 누름 조작 레버의 조작 범위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제 3 위치)에서는, 안내홈이 예를 들어 제 1 소정 각도보다 작고 제 2 소정 각도보다 큰 제 3 소정 각도로 하여, 이송톱니에 의한 천 이송의 이송 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 다이는, 상기 안내홈에 있어서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이 상기 안내 부재의 회동 축심에 대해, 경사 시의 안내홈의 하강 측으로 어긋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안내홈을 경사시켰을 때, 이송톱니의 바늘판의 하부로의 퇴피 상태를 한층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싱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상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안내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안내 부재 회동 기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누름 조작 레버의 위치와 이송톱니의 동작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안내홈이 제 1 소정 각도로 경사했을 때의 누름 조작 레버의 위치와 이송톱니의 동작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안내홈이 제 2 소정 각도로 경사했을 때의 누름 조작 레버의 위치와 이송톱니의 동작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미싱은, 전체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에 따른 구성으로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재봉 바늘(미도시)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류 등의 천을 재치하는 바늘판(1)과, 바늘판(1) 위의 천을 누르는 노루발(2)과, 바늘판(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몰입하면서 천을 이송하는 이송톱니(3)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톱니(3)는 이송톱니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이송톱니 구동장치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송 로드(4)와, 이송 로드(4)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토대(5)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 로드(4)의 선단에는 이송톱니(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송 토대(5)는, 그 기단이 요동축(6)을 통해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되어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송 토대(5)의 요동에 따라, 이송 로드(4)의 선단 이송톱니(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더욱이, 이송톱니 구동장치는, 구동원(미도시)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7)과, 횡방향 이송 구동부(8)와, 상하 구동부(9)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7)은 이송 토대(5)의 하부에 배설되어 있다. 구동원은 재봉 바늘의 동작도 구동한다.
횡방향 이송 구동부(8)는, 구동축(7)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편심 캠(10)과, 제 1 편심 캠(10)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1 진퇴 암(11)과, 제 1 진퇴 암(11)의 진퇴 동작을 이송 로드(4)로 전달하는 진퇴 링크(1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횡방향 이송 구동부(8)에 의해 구동축(7)의 회전은 횡방향 이송 운동으로 변환되어 이송톱니(3)로 전달된다.
상하 구동부(9)는, 구동축(7)의 회전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3)로 전달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7)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편심 캠(13)과, 제 2 편심 캠(13)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퇴되는 제 2 진퇴 암(14)과, 제 2 진퇴 암(14)에 연결된 승강 링크(15)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편심 캠(13)은 본 발명의 편심 캠에 해당하고, 제 2 진퇴 암(14)은 본 발명의 진퇴 암에 해당한다.
승강 링크(1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이 하부 연결축(16)을 통해 제 2 진퇴 암(14)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부 연결축(17)을 통해 이송 토대(5)에 연결되고 있다. 승강 링크(15)의 하단부에는 하부 연결축(16)과 동축으로 각 다이(18)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다이(18)는, 안내 부재(19)에 형성된 안내홈(20)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안내 부재(19)는, 구동축(7)의 일측(도 2에서 우측)으로서 이송 토대(5)의 바로 아래에 배설되어 있다. 안내 부재(19)의 상기 배설 위치에 의해 승강 링크(15)가 이송 토대(5)에 있어서의 요동축(6)과 이송톱니(3)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이송톱니(3)의 선단측을 승강시키는 경우에 비해, 승강 링크(15)의 상하운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안내 부재(19)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미도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축(21)을 구비하는 원형의 본체 블록(2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안내홈(20)은, 본체 블록(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블록(22)은 그 일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 부재(23)에는 복원 스프링(24)이 연결되어 있다. 복원 스프링(24)은 연장 부재(23)와 프레임(미도시)의 사이에 걸쳐져 있다.
또, 본체 블록(22)은 연장 부재(23)에 당접하는 스토퍼 핀(25)에 의해, 안내홈(20)이 수평 자세가 된 위치로부터 도 3에서 시계반대방향 회전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복원 스프링(24)은 본체 블록(22)이 도 3에 있어서 시계방향 회전으로 회전했을 때, 본체 블록(22)을 복원 방향(시계반대방향 회전 방향)으로 부세한다.
안내 부재(19)는, 그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이송 토대(5)의 바로 아래와 같은 비교적 좁은 공간이어도 지장 없이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하 구동부(9)가 컴팩트한 구성이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안내홈(20)에 있어서의 각 다이(18)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을 회동축(21)의 축심보다 도면에서 우측으로 치우치게 하는(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부재(19)의 회동축(21)을 편심시킨다)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안내홈(20)을 경사시켰을 때, 바늘판(1)의 하부에 충분한 거리를 가지고 이송톱니(3)를 퇴피시킬 수 있다.
안내 부재(1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조작 레버(26)의 조작에 의해 회동한다. 누름 조작 레버(26)는 그 올림·내림 조작에 의해, 노루발(2)(도 1 참조)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누름 조작 레버(26)와 노루발(2)은, 누름 조작 레버(26)의 올림·내림 조작에 노루발(2)의 상하운동을 추종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누름 조작 레버(26)을 내린 상태일 때, 노루발(2)이 이송톱니(3) 위의 천에 압접한 상태가 되고, 누름 조작 레버(26)을 올린 상태일 때, 노루발(2)이 이송톱니(3) 위의 천으로부터 이반한 상태가 된다.
더욱이, 누름 조작 레버(26)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링크(27)를 통해 안내 부재(19)가 연결되어 있다. 회동 링크(27)는 누름 조작 레버(26)의 상하운동에 추종하는 제 1 링크부(28)와, 제 1 링크부(28)의 상하운동을 회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전달축(29)과, 전달축(29)의 회동을 안내 부재(19)의 연장 부재(23)로 전달하는 제 2 링크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 링크(27)는 본 발명의 안내 부재 가동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누름 조작 레버(26)를 그 조작 범위의 하단에 위치시키면, 제 1 링크부(28), 전달축(29) 및 제 2 링크부(30)에 의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수평(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소정 각도에 해당한다)이 된다.
누름 조작 레버(26)를 올림 조작하면, 제 1 링크부(28)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전달축(29)의 회전에 따라 제 2 링크부(30)가 복원 스프링(24)의 부세에 저항하여 안내 부재(19)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경사한다.
안내홈(20)의 경사 각도는 누름 조작 레버(26)의 올림 조작 각도에 대응한다. 즉, 누름 조작 레버(26)를 그 조작 범위의 하단에 위치시켰을 때에는,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수평이 되지만, 누름 조작 레버(26)를 그 조작 범위의 상단에 위치시키면 안내홈(20)이 수평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장 큰 각도(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소정 각도에 해당한다)로 경사한다. 또, 누름 조작 레버(26)를 그 조작 범위의 상단과 하단의 중간에 위치시키면, 누름 조작 레버(26)의 각도에 따라 제 1 소정 각도보다 작은 각도(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소정 각도에 해당한다)로 경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누름 조작 레버(26)의 조작 범위의 상단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위치에 해당하고, 누름 조작 레버(26)의 조작 범위의 하단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위치에 해당하고, 누름 조작 레버(26)의 조작 범위의 상단과 하단의 중간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위치에 상당한다.
그리고, 누름 조작 레버(26)를 조작하여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노루발(2)을 바늘판(1)으로부터 이반시켰을 때 이송톱니(3)를 바늘판(1)의 하부로 퇴피시킬 수 있고, 누름 조작 레버(26)의 조작 위치에 의해 이송톱니(3)에 의한 천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
누름 조작 레버(26)의 조작에 따른 노루발(2)과 이송톱니(3)의 작동을, 도 5 내지 도 7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의 일점쇄선(x)은 안내홈(20)에 있어서의 수평 기준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조작 레버(26)를 조작 범위의 하단에 위치시키면, 노루발(2)이 하강 위치에서 이송톱니(3)에 압접 상태가 된다. 이때, 도시하지 않지만, 재봉바늘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여 천의 봉제 작업이 진행되고, 노루발(2)과 이송톱니(3)로 천(미도시)이 눌러진다.
누름 조작 레버(26)가 조작 범위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은 수평이 된다. 이 상태로, 구동축(7)이 회전하여 제 2 진퇴 암(14)이 진퇴하면 안내홈(20)에 따라 각 다이(18)가 수평 방향으로 직선 동작으로 왕복한다. 그리고, 재봉바늘의 상승에 동기하여 제 2 진퇴 암(14)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면 승강 링크(15)가 이송 토대(5)를 들어 올리고, 재봉바늘의 하강에 동기하여 제 2 진퇴 암(14)이 후퇴 위치로 이동하면, 승강 링크(15)가 이송 토대(5)를 끌어내린다.
이것에 의해, 이송톱니(3)는, 바늘판(1)의 상방으로 돌출하고 천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여 봉제 중의 천을 확실하게 이송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때는 바늘판(1)의 하부로 몰입하여 천으로의 간섭이 방지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조작 레버(26)를 조작 범위의 상단에 위치시키면, 노루발(2)이 바늘판(1)으로부터 이반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봉제 작업 후에 노루발(2)과 바늘판(1) 사이에서 천을 꺼낼 때, 또는 봉제 작업 개시 전에 노루발(2)과 바늘판(1) 사이에 천을 세틸할 때의 상태이다.
누름 조작 레버(26)가 조작 범위의 상단(제 1 위치)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은 가장 큰 경사 각도(제 1 소정 각도)에 의한 경사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7)이 회전하여 제 2 진퇴 암(14)이 진퇴하면, 각 다이(18)는 경사 상태의 안내홈(20)에 따라 이동하지만, 승강 링크(15)의 상단이 상하로 이동하지 않는 것에 의해 이송톱니(3)는 바늘판(1)의 하부 위치에서 왕복 이동만 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재봉바늘이 상승해도, 이송톱니(3)는 바늘판(1)의 상부로 돌출하지 않고, 이송톱니(3)에의 천의 간섭을 방지하여 노루발(2)과 바늘판(1) 사이에서 천을 꺼낼 때나 노루발(2)과 바늘판(1) 사이에 천을 세팅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조작 레버(26)를 조작 범위의 상단과 하단의 중간(제 3 위치)에 위치시키면, 노루발(2)과 이송톱니(3)로 천을 협지한 상태를 유지하여,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수평(제 2 소정 각도)보다 크고 제 1 소정 각도보다 작은 각도(제 3 소정 각도)로 경사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안내 부재(19)의 안내홈(20)이 제 1 소정 각도인 경우에 비해, 각 다이(18)의 이동에 따른 승강 링크(15)에 의한 이송 토대(5)의 승강 동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송 토대(5)의 승강 동작이 작으면 이송톱니(3)의 바늘판(1)으로부터 돌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가 작아지고 천의 이송량도 작아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구동축(7)을 이송 토대(5)의 하부에 배설했을 뿐만 아니라, 안내 부재(19) 및 승강 링크(15)를 이송 토대(5)의 하부의 공간에 수용한 것에 의해 고성능의 미싱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누름 조작 레버(26)를 하단에 위치시켰을 때에 안내홈(20)이 수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누름 조작 레버(26)를 상단에 위치시켰을 때 안내홈(20)이 수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 봉제 작업 중에 있어서의 안내홈(20)의 각도(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소정 각도)는 수평에 한정되지 않고, 각 부의 치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1 바늘판
2 노루발
3 이송톱니
4 이송 로드
5 이송 토대
6 요동축
7 구동축
8 횡방향 이송 구동부
9 상하 구동부
13 제 2 편심 캠(편심 캠)
14 제 2 진퇴 암(진퇴 암)
15 승강 링크
16 하부 연결축
17 상부 연결축
18 각 다이
19 안내 부재
21 회동축
26 누름 조작 레버
27 회동 링크(안내 부재 회동 기구)

Claims (4)

  1. 바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몰입하는 이송톱니와, 상기 이송톱니의 상방에 대향하는 노루발과, 올림·내림 조작에 의해 상기 노루발을 상기 이송톱니에 대해서 이반·압접시키는 누름 조작 레버와, 상기 이송톱니를 구동하는 이송톱니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톱니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톱니를 선단에 지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송 로드와, 상기 이송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토대와, 상기 이송 토대의 기단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이송 로드의 선단의 상기 이송톱니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요동축과,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횡방향 이송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톱니로 전달하는 횡방향 이송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톱니로 전달하는 상하 구동부를 구비하는 미싱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이송 토대의 하부에 배설되고,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캠과, 상기 편심 캠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퇴하는 진퇴 암과, 상기 진퇴 암에 하부 연결축을 통해 하단이 연결됨과 함께 상단이 상부 연결축을 통해 상기 이송 토대에 연결된 승강 링크와, 상기 승강 링크의 상기 하부 연결축과 동축으로 설치된 각 다이와, 상기 각 다이를 직선적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안내홈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송톱니의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돌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를 변경하는 안내 부재 회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구동축의 일측으로서 상기 이송 토대의 바로 아래에 배설되고,
    상기 승강 링크는, 상기 이송 토대에 있어서의 상기 요동축과 상기 이송톱니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 회동 기구는, 상기 누름 조작 레버와 상기 안내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누름 조작 레버의 조작에 상기 안내 부재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회동 링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 링크는, 상기 누름 조작 레버를 조작했을 때의 상기 누름 조작 레버의 위치에 따른 각도로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링크는,
    상기 누름 조작 레버를 그 조작 범위의 제 1 위치에 이동시켰을 때, 상기 안내홈이 제 1 소정 각도로 경사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기고,
    상기 누름 조작 레버를 그 조작 범위의 제 2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안내홈이 제 2 소정 각도로 경사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며,
    상기 누름 조작 레버가 그 조작 범위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제 3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안내홈이 상기 제 1 소정 각도와 상기 제 2 소정 각도 사이의 제 3 소정 각도로 경사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이는, 상기 안내홈에 있어서의 왕복 이동 영역의 중앙이 상기 안내 부재의 회동 축심에 대해 경사 시의 안내홈의 하강 측에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KR1020207033644A 2018-12-25 2019-06-26 미싱 KR102383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1520 2018-12-25
JP2018241520A JP6526310B1 (ja) 2018-12-25 2018-12-25 ミシン
PCT/JP2019/025398 WO2020136950A1 (ja) 2018-12-25 2019-06-26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12A true KR20210002612A (ko) 2021-01-08
KR102383471B1 KR102383471B1 (ko) 2022-04-08

Family

ID=6673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644A KR102383471B1 (ko) 2018-12-25 2019-06-26 미싱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39515B2 (ko)
JP (1) JP6526310B1 (ko)
KR (1) KR102383471B1 (ko)
CN (1) CN112166214B (ko)
AU (1) AU2019415050B2 (ko)
CH (1) CH716346B1 (ko)
DE (1) DE112019002214B4 (ko)
TW (1) TWI784179B (ko)
WO (1) WO2020136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5629B1 (ja) * 2019-02-15 2019-08-07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
CN114197118B (zh) * 2021-11-19 2023-02-28 黄山世龙寝具股份有限公司 一种可脱卸一体式床上用品布料的生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671A (ja) * 1999-03-30 2000-10-10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001347087A (ja) 2000-06-09 2001-12-18 Suzuki Seisakusho:Kk ミシンの送り歯待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4059U (ko) * 1977-03-08 1978-10-03
JPS5620490A (en) * 1979-07-28 1981-02-26 Brother Ind Ltd Sewing machine
JPH0710702Y2 (ja) * 1988-01-29 1995-03-15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装置
DE4342682C1 (de) * 1993-12-15 1995-01-12 Union Special Gmbh Nähmaschine mit einer Untertransport-Nähgutvorschubeinrichtung
JP3867012B2 (ja) 2002-05-14 2007-01-10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装置
US7461606B2 (en) * 2004-10-28 2008-12-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eed genera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US7568441B2 (en) * 2005-07-21 2009-08-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Embroidery unit attachable to sewing machine bed
JP4753159B2 (ja) * 2006-03-17 2011-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TW200809036A (en) * 2006-08-10 2008-02-16 Kaulin Mfg Co Ltd Transmission structure of feed dog of cylinder bed sewing machine
JP2008104718A (ja) * 2006-10-26 2008-05-08 Juki Corp ミシンの送り機構
JP2008259752A (ja) * 2007-04-13 2008-10-30 Juki Corp ミシンの送り装置
JP2010194159A (ja) * 2009-02-26 2010-09-09 Brother Ind Ltd ミシン
JP3202791U (ja) 2015-10-27 2016-02-25 星鋭縫▲じん▼機股▲ふん▼有限公司 ミシンのダイレクトドライブ布送り機構
JP6679158B2 (ja) * 2015-10-30 2020-04-15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送り歯調節機構および該調節機構を備えたミ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671A (ja) * 1999-03-30 2000-10-10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001347087A (ja) 2000-06-09 2001-12-18 Suzuki Seisakusho:Kk ミシンの送り歯待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6950A1 (ja) 2020-07-02
US11339515B2 (en) 2022-05-24
JP2020099606A (ja) 2020-07-02
JP6526310B1 (ja) 2019-06-05
CH716346B1 (de) 2023-04-14
US20210363679A1 (en) 2021-11-25
DE112019002214B4 (de) 2022-09-01
KR102383471B1 (ko) 2022-04-08
AU2019415050A1 (en) 2020-12-17
DE112019002214T5 (de) 2021-01-07
AU2019415050B2 (en) 2021-10-14
TW202024424A (zh) 2020-07-01
CN112166214A (zh) 2021-01-01
TWI784179B (zh) 2022-11-21
CN112166214B (zh)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2612A (ko) 미싱
CN113195820B (zh) 缝纫机
US393582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eeding a workpiece along a surface of a sewing machine
JP2009160029A (ja) ミシンの上送り装置
KR20040048358A (ko) 미싱용 점프 바느질 기구부
JP4020692B2 (ja) 針送りミシン
CN105624938B (zh) 用于缝纫机的驱动组件和包括这种驱动组件的缝纫机
JP3301863B2 (ja) 上送り機構を備えた偏平縫いミシン
JP6009386B2 (ja) ミシンの上送り台上下駆動機構
JP2005287554A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JP4373582B2 (ja) ミシンの送り歯待避装置
CN204530138U (zh) 一种极厚料多线包缝机的送布与压脚升降装置
JP3798051B2 (ja) ミシンの自動糸切り装置
JP4599870B2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JPH0652772U (ja) ミシンの残り糸短縮装置
JPH10180677A (ja) 原点位置決め装置
JP2005287556A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JPH0337959B2 (ko)
JP2939842B2 (ja) ミシンにおける針棒の駆動機構
JP2001252489A (ja) 刺繍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