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317A -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 Google Patents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317A
KR20200138317A KR1020207030939A KR20207030939A KR20200138317A KR 20200138317 A KR20200138317 A KR 20200138317A KR 1020207030939 A KR1020207030939 A KR 1020207030939A KR 20207030939 A KR20207030939 A KR 20207030939A KR 20200138317 A KR20200138317 A KR 20200138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ontainer
sealing material
injection needl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455B1 (ko
Inventor
슈지 모리모토
히로시 야마우치
죠타로 키쉬모토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씨엠씨 이야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씨엠씨 이야쿠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씨엠씨 이야쿠
Publication of KR2020013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4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1Connecting means having tap means, e.g. tap means activated by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5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abet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사통 내의 약제 성분과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액을 조제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있어서, 주사액의 조제 후에 용기 출구의 실링재에 꽂힌 주사 바늘을 뽑아낼 때에 용기 내의 잔존 액체의 외부로의 누출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일단에 주사 바늘을 장착하고, 타단 개구로부터 플런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며, 주사액을 구성하는 고체 또는 액체 성분이 충전된 주사통과,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실링재로 출구를 밀폐하고, 주사액을 구성하는 액체 성분이 충전된 용기와, 주사 바늘의 선단이 용기의 출구와 대향하는 상태로 주사통을 통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홀딩하는 홀딩체와, 실링재의 표면이 면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에 형성하는 공간 형성체를 구비하고, 공간 형성체는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주사 바늘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분이, 주사 바늘을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본 발명은 주사액을 구성하는 한쪽 성분을 충전한 주사통과, 주사를 구성하는 다른 쪽 성분을 충전한 용기를 대향 배치하고, 주사통 내의 성분과 용기 내의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액을 조제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prefilled) 시린지 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관한 특허문헌 1에 의해, 주사통의 내부에 액체 성분이 충전되고, 주사통의 선단에 장착한 주사 바늘이 약제를 충전한 용기의 출구의 고무제 실링재에 이격 상태로 대향 배치되며, 주사통과 약제 용기가 중첩 기구에 의해 주사통의 통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사용시에 주사통을 약제 용기측으로 밀어넣어 주사 바늘의 선단을 실링재에 꽂아 통과시킴으로써, 주사통의 내부와 약제 용기 내를 연통시킨 후, 주사통의 후단 개구에 삽입된 플런저를 눌러 주사통 내부의 액체 성분을 약제 용기에 주입하여 약제와 액체를 혼합하고, 제조한 주사액을 주사통 내로 되돌리고 있다.
또한, 또 다른 특허문헌 2에 의해, 주사통 내부에 분말 약제를 충전하고, 주사통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의 선단이 액체 성분을 충전한 용기의 출구의 실링재에 꽂힌 상태(단, 비관통)로 대향 배치되어, 주사기와 액체 용기를 연결통에 의해 주사통의 통축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서는, 사용시에 주사통의 후단 개구에 삽입된 플런저를 밀어넣어 주사 바늘의 선단을 실링재에 관통시켜, 주사통 내부와 약제 용기를 연통시키는 동시에 용기 내로 가압된 공기를 보내고, 가압 공기에 의해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을 주사통측으로 이행시켜 약제와 액체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액을 제조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소59-11816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5-3118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서는 주사통, 플런저, 약제 용기 등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서는, 주사통과 플런저는 연결통의 후단부에 장착된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데, 액체 용기, 연결통과 액체 용기의 연결 부분 등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서는, 보관시 및 주사액의 조제시에,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약제 성분이나 액체 성분 등이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특히 주사 바늘을 액체 용기의 실링재에 관통시켜 용기 내부의 액체를 주사통측에 이행시키고, 주사통 내의 성분과 혼합하여 주사액을 제조할 경우에, 주사액의 제조 후, 주사 바늘을 용기로부터 빼낼 때, 용기 내에 남아있는 액체 성분이 실링재의 바늘 찔러뚫힌 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주사통 내의 약제 성분과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액을 조제할 경우에, 용기 내에 잔존하는 액체 성분의 외부로의 누출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일단에 주사 바늘이 장착되고, 타단 개구로부터 플런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주사액을 구성하는 고체 성분 또는 액체 성분이 충전된 주사통과,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뚫을 수 있는 실링재로 출구가 밀폐되며, 내부에 상기 주사액을 구성하는 액체 성분이 충전된 용기와, 상기 주사 바늘의 선단이 상기 용기의 출구와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주사통 또는 상기 용기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홀딩하는 홀딩체를 구비한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로서, 상기 실링재의 표면이 면(面)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하는 공간 형성체가 상기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간 형성체는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상기 주사 바늘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사 바늘의 선단이 용기의 출구와 대향하는 상태로 홀딩체에 홀딩된 주사통 또는 용기 중 적어도 일방이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용기와 주사통이 접근하고, 주사통의 일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의 선단이 통축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공간 형성체의 부분 및 용기 출구의 실링재를 찔러 뚫어 용기 내부와 주사통 안이 연통된 후, 주사통의 타단 개구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플런저를 조작하여 주사통 내의 공기를 용기 내로 밀어넣고, 용기 내의 가압된 공기에 의해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을 주사통 내로 이행시키며, 주사통 내의 고체 성분 또는 액체 성분과 혼합하여 주사액을 조제한다. 조제된 주사액이 수용된 주사통을 용기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용기의 실링재에 찔러 뚫은 주사 바늘을 실링재로부터 뽑아낸다. 이 때, 용기 내에 남아있는 액체 성분이 주사 바늘이 빠진 실링재의 바늘 찔러뚫힌 부위로부터 실링재의 표면으로 누출되는 경우가 있는데, 실링재의 표면은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에 면하고 있으므로, 액체 성분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상기 실링재의 표면과 상기 공간 형성체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용적이 0.001ml ~ 0.03ml의 범위에 있다.
0.001ml보다 적으면, 실링재의 표면에서 누출되는 액량이 0.001ml를 오버할 가능성이 있고, 한편, 0.03ml보다 많으면, 공간 형성체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선단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상기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을 구비하며, 상기 바늘 캡은 상기 실링재와 대향하는 앞부분에 상기 주사 바늘에 의한 찔러뚫기 예정부위를 내측에 위치시켜 통축 방향이 상기 실링재로 향하는 방향에 따른 통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 형성체가 상기 바늘 캡의 앞부분 및 상기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한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와 주사통을 접근시켜 용기의 실링재와 대향하는 바늘 캡의 앞부분이 갖는 통형상부를 실링재에 대고 누르면, 바늘 캡의 앞부분과 통형상부에 의해 실링재의 표면이 면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주사 바늘의 선단을 바늘 캡의 앞부분의 찔러뚫기 예정부위로부터 통형상부의 내부를 통과시켜 용기 출구의 실링재에 찔러 뚫으면 용기 내부와 주사통 안이 연통되므로,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을 주사통 내로 이동시켜 주사액을 조제한다. 조제된 주사액이 수용된 주사통을 용기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용기의 실링재에 찔러 뚫은 주사 바늘을 실링재로부터 뽑아낼 때,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이 실링재의 표면으로 누출되는 경우가 있는데, 실링재의 표면이 면하는 공간은 바늘 캡의 앞부분과 실링재에 대고 눌러진 통형상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으므로, 액체 성분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바늘 캡은 앞부분의 외측면에,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collar)부를 가지며, 상기 홀딩체는, 상기 주사통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르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를 홀딩하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부에 주사통이 장착된 홀딩체를 통축 방향을 따라 용기측으로 이동시켜, 주사 바늘의 선단이 바늘 캡의 앞부분 및 용기의 실링재를 찔러 뚫는 동시에, 바늘 캡의 앞부분의 외측면이 갖는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홀딩체에 구비한 가압부에 의해 용기에 대고 누르면, 가압부가 칼라부를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가 홀딩체에 구비한 록킹부에 의해 홀딩된다. 그 결과, 주사 바늘의 선단이 바늘 캡의 앞부분 및 용기의 실링재를 찔러 뚫고, 바늘 캡의 앞부분과, 실링재에 대고 눌러진 통형상부에 의해 실링재의 표면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에 면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홀딩된다.
또한, 조제한 주사액이 수용된 주사통을 통축 방향을 따라 외부로 꺼낼 때에, 바늘 캡의 칼라부가 홀딩체의 가압부에 의해 용기측에 꽉 눌러 사이에 끼여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은 강제적으로 주사통으로부터 분리하여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내부에 남고, 바늘 캡이 벗겨진 주사기를 외부로 꺼낼 수 있다. 그 결과, 주사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바늘 캡을 벗기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통형상부의 통축 방향에 따른 길이가 4mm 미만이다.
4mm 이상이면, 바늘을 바늘 캡의 앞부분으로부터 통형상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용기의 실링재에 찔러 뚫을 때까지 필요로 하는 이동 거리가 길어져서, 조작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선단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상기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과,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일치하는 통축을 가지며, 통축 방향의 일단이 상기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하게 고정된 통형상의 용기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캡은, 상기 실링재와 대향하는 앞부분에, 상기 용기 어댑터의 통축 방향을 따라 통축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용기 어댑터의 내면에 밀접하도록 삽입된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 형성체가 상기 용기 어댑터와 상기 바늘 캡의 삽입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축 방향의 일단이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 고정된 통형상의 용기 어댑터에 대해 통축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통축 방향을 따라 바늘 캡의 앞부분에 구비한 삽입부를 삽입하여 용기 어댑터의 내면에 밀접시킴으로써, 실링재의 표면이 면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에 형성된다. 용기와 주사통이 접근하여 주사 바늘의 선단이 바늘 캡의 삽입부의 찔러뚫기 예정부위 및 용기의 출구의 실링재를 찔러 뚫어 용기 내부와 주사통 안이 연통되고,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을 주사통 내로 이동시켜 주사액을 조제한다. 조제된 주사액이 수용된 주사통을 용기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용기의 실링재에 찔러 뚫은 주사 바늘을 실링재로부터 뽑아낼 때, 용기 내에 남아있는 액체 성분이 실링재의 표면으로 누출되는 경우가 있는데, 실링재의 표면이 면하는 공간은 용기 어댑터와 바늘 캡의 삽입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으므로, 액체 성분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통형상의 용기 어댑터는, 상기 실링재측의 외측면에,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가지며, 상기 홀딩체는, 상기 주사통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르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를 홀딩하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부에 주사통이 장착된 홀딩체를 통축 방향을 따라 용기측으로 이동시켜, 주사 바늘의 선단이 바늘 캡의 앞부분측의 삽입부 및 용기 출구의 실링재를 찔러 뚫는 동시에, 바늘 캡의 앞부분의 외측면이 갖는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홀딩체에 구비한 가압부에 의해 용기에 대고 누르면, 가압부가 칼라부를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가 홀딩체에 구비한 록킹부에 의해 홀딩된다. 그 결과, 주사 바늘의 선단이 바늘 캡의 삽입부와 용기의 실링재를 찔러 뚫고,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고정된 통형상의 용기 어댑터와 용기 어댑터의 내면에 밀접하도록 삽입된 바늘 캡의 삽입부에 의해 실링재의 표면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에 면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홀딩된다.
또한, 조제한 주사액이 수용된 주사통을 통축 방향을 따라 외부로 꺼낼 때에, 바늘 캡의 칼라부가 홀딩체의 가압부에 의해 용기측에 꼭 눌러 사이에 끼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은 강제적으로 주사통으로부터 분리되어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내부에 남고, 바늘 캡이 벗겨진 주사기를 외부로 꺼낼 수 있다. 그 결과, 주사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바늘 캡을 벗기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선단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상기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과, 상기 실링재의 표면에 통축 방향의 일단이 밀접하게 고정된 통형상부 및 상기 통형상부의 통축 방향의 타단측의 개구를 덮는 평판형상의 본체부를 갖는 용기 어댑터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어댑터의 본체부는, 상기 실링재와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 형성체가 상기 용기 어댑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어댑터의 통형상부의 통축 방향의 일단을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하게 고정시키면, 통형상부의 통축 방향의 타단측의 개구가 평판형상의 본체부로 덮여 있기 때문에, 실링재의 표면이 면하는 통형상부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용기와 주사통이 접근하여 바늘 캡의 앞부분이 용기 어댑터의 평판형상의 본체부에 접촉하며, 또한 주사 바늘의 선단이 바늘 캡의 앞부분의 찔러뚫기 예정부위 및 용기 어댑터의 본체부의 실링재와 대향하는 부분을 찔러 뚫고, 용기 어댑터의 통형상부의 내부를 통과하고 나서 용기 출구의 실링재를 찔러 뚫어 용기 내부와 주사통 안이 연통된 후,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을 주사통 안으로 이동시켜 주사액을 조제한다. 조제된 주사액이 수용된 주사통을 용기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용기의 실링재에 찔러 뚫은 주사 바늘을 실링재로부터 뽑아낼 때, 용기 내에 남아있는 액체 성분이 실링재의 표면으로 누출되는 경우가 있는데, 실링재의 표면이 면하는 공간은 용기 어댑터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으므로, 액체 성분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용기 어댑터는 상기 실링재측의 외측면에,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가지며, 상기 바늘 캡은 앞부분측의 외측면에,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가지고, 상기 홀딩체는, 상기 주사통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바늘 캡 및 상기 용기 어댑터의 2개의 칼라부를 포갠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르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2개의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를 홀딩하는 홀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부에 주사통이 장착된 홀딩체를 통축 방향을 따라 용기측으로 이동시키면, 주사 바늘의 선단이 바늘 캡의 앞부분과 용기 어댑터의 본체부와 용기의 실링재를 찔러 뚫는 동시에, 바늘 캡 앞부분의 외측면의 칼라부와 용기 어댑터 외측면의 칼라부 등 2개의 칼라부가 홀딩체에 구비한 가압부에 의해 용기에 대고 눌러지며, 가압부가 2개의 칼라부를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가 홀딩체에 구비한 록킹부에 의해 홀딩된다. 그 결과, 주사 바늘의 선단이 바늘 캡의 앞부분과 용기 어댑터의 본체부와 용기의 실링재를 찔러 뚫고,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고정된 용기 어댑터에 의해 실링재의 표면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에 면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홀딩된다.
또한, 조제한 주사액이 수용된 주사통을 통축 방향을 따라 외부로 꺼낼 때에, 바늘 캡의 칼라부 및 용기 어댑터의 칼라부가 홀딩체의 가압부에 의해 용기측에 꼭 눌러 사이에 끼여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은 강제적으로 주사통으로부터 분리되어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내부에 남고, 바늘 캡이 벗겨진 주사기를 외부로 꺼낼 수 있다. 그 결과, 주사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바늘 캡을 벗기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통형상부의 통축 방향에 따른 길이가 4mm 미만이다.
4mm 이상이면, 바늘을 바늘 캡으로부터 용기 어댑터의 통형상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용기의 실링재에 찔러 뚫을 때까지 필요로 하는 이동 거리가 길어져서, 조작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록킹부는 상기 용기의 외면의 오목부 또는 단차부에 결합가능한 갈고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록킹부인 갈고리체가 용기의 외면의 오목부 또는 단차부에 결합하기 때문에, 간단한 기계적 기구로 홀딩체의 가압부가 바늘 캡의 칼라부를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가 홀딩된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주사통, 상기 바늘 캡, 상기 용기 및 상기 홀딩체의 전체를 외부에 대해 밀폐상태로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주사통, 상기 바늘 캡, 상기 용기 어댑터, 상기 용기 및 상기 홀딩체의 전체를 외부에 대해 밀폐상태로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내의 잔류 액체의 누출을 포함하여, 용기 및 주사통에 충전된 주사액의 구성 성분의 외부로의 누출을 수납 케이스에 의해 더욱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상기 주사 바늘의 선단이 상기 바늘 캡에 비관통의 찔러 뚫는 상태로 홀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사 바늘의 선단을 바늘 캡에 비관통의 찔러 뚫는 상태로 홀딩하고 있으므로, 주사 바늘의 선단은 바늘 캡 소재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에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사통 안에 충전된 주사액의 구성 성분의 외부로의 유출을 피하면서, 주사 바늘 및 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통을 안정된 자세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따르면, 주사통 내의 약제 성분과 용기 내의 액체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액을 제작할 경우에, 주사액의 제작 후에 용기 내에 잔존하는 액체 성분의 외부로의 누출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종단면도.
도 3은 바늘 캡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홀딩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수납 케이스의 내면측 사시도 및 조작용 리브의 치수 설명도.
도 6은 수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부재의 종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부분 조립도.
도 7은 도 1의 VII-VII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8은 주사통에 대해 수납 케이스가 회전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홀딩체에 대한 주사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의 조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2은 도 11(c)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 및 바늘 캡 선단의 통형상부의 치수 설명도.
도 13은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의 조제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의 조제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로부터의 주사기의 제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사용을 마친 주사기의 폐기준비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는 폐기준비공정 완료 후의 수납 케이스의 일부를 확대한 개략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9는 홀딩체에 대한 주사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는 도 18에 나타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는 도 18에 나타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종단면도이다. 단, 도 1과 도 2는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횡단면에서 서로 90도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는, 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원통형상의 수납 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수납 케이스(1)는 외경이 작은 소직경 원통부(1a)와 외경이 큰 대직경 원통부(1b)를 서로의 축심을 일치시킨 상태로 소직경 원통부(1a)의 일단부의 외주부분과 대직경 원통부(1b)의 일단부의 내주부분 사이를 원형고리형상의 박판부(1c)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각 원통부(1a, 1b)의 타단부는 각각 벽(1d, 1e)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 결과, 수납 케이스(1)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1)는 투명한 경질 염화비닐 수지 등으로 제작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1)의 내부에, 주사기(2)와 홀딩체(4)와 용기(3)가 수납 케이스(1)의 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홀딩체(4)는 주사기(2)를 홀딩하여 주사기(2)를 용기(3)에 대해 위치결정하고 있다. 소직경 원통부(1a)의 내부에 용기(3)와, 홀딩체(4)의 대부분과, 주사기(2)의 앞쪽 부분이 위치하며, 대직경 원통부(1b)의 내부에 홀딩체(4)의 일부와 주사기(2)의 뒤쪽 부분이 위치하고 있다.
주사기(2)는 주사통(2b), 주사통(2b)의 전단부(2b2)에 장착한 주사 바늘(2a), 주사통(2b)의 후단 개구에 삽입된 플런저(가스켓이라고도 함)(2c1), 및 플런저(2c1)의 뒷부분에 연결된 구동용 로드(2c2)를 구비하고 있다. 주사 바늘(2a)은 근원측의 플랜지부(2a1)를 주사통(2b)의 전단부(2b2)의 선단측에 밀어넣어 고정되어 있다. 주사통(2b)은 붕규산 유리 등의 유리제이다. 플런저(2c1)는 일반적으로 부틸 고무제이며, 주사통(2b)의 내면을 원활하게 미끄러지기 위하여 실리콘 오일 코팅이 되어 있다. 그 결과, 플런저(2c1)에 접촉하는 주사통(2b)의 내면도 실리콘 오일이 코팅된다. 또한, 실리콘 오일 코팅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실리콘 오일을 분산시킨 수중에 가스켓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방법이다.
주사 바늘(2a)을 선단측으로부터 덮는 바늘 캡(2d)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바늘 캡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늘 캡(2d)은 기단측의 원통부(2d1), 외경이 원통부(2d1)보다도 큰 직경의 주름부(2d2), 및 원통부(2d1)의 외경과 주름부(2d2)의 외경의 중간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앞부분(2d3)이, 원통부(2d1)의 축심 방향을 따라 동축상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앞부분(2d3)은 선단부의 측면에 원반형상의 칼라부(2d4)를 구비하는 동시에, 선단부의 앞면에 앞부분(2d3)의 외경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형 통형상부(2d5)를 구비하고 있다. 통형상부(2d5)의 선단 부위는 주사통(2b)의 통축 방향과 직교하는 하나의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앞부분(2d3)에는 주름부(2d2)측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의 도중 부위까지 원기둥 형상의 공동(空洞)(2d6)이 형성되고, 공동(2d6)은 원통부(2d1) 및 주름부(2d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바늘 캡(2d)은 예를 들면 부틸 고무제이다. 그리고, 주사 바늘(2a)의 선단이 공동(2d6)을 통과하여 앞부분(2d3)의 선단측 부분에 미관통 상태로 꽂혀 있다. 또한, 원통부(2d1)의 개구단이 주사 바늘(2a)의 플랜지부(2a1)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용기(3)는 수납 케이스(1)의 소직경 원통부(1a)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의 원통형 용기이며, 붕규산 유리 등의 유리제이다. 용기(3)는 구체적으로는 바이알병이다. 용기(3)는 출구가 실링재(3a)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실링재(3a)는 고정구(3b)에 의해 용기(3)의 출구 개구를 막도록 고정되어 있다. 고정구(3b)는 중앙 부분이 개구된 원판부와, 원판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이어져 용기(3)의 바닥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구(3b)의 원판부는 실링재(3a)를 용기(3)의 출구에 꽉 누르고 있다. 고정구(3b)의 원통형상의 베이스부는 선단측이 용기(3)의 출구측의 플랜지부(3d)를 둘러싸도록 내측으로 조여 들어, 단차부(3b1)를 형성하고 있다. 실링재(3a)는 부틸 고무 또는 염소화부틸 고무로 제작되며, 고정구(3b)는 금속제 또는 경질 플라스틱제이다.
주사통(2b)의 내부에 주사액을 구성하는 제 1 성분으로서 분말 약제(10)가 충전되어 있다. 분말 약제는 결정 분말, 동결 건조 분말 등이다. 한편, 용기(3)의 내부에 주사액을 구성하는 제 2 성분으로서, 분말 약제(10)를 용해시키는 용해액(11) 또는 분말 약제(10)를 분산시키는 분산액(11)이 충전되어 있다. 또한,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은 모두, 한 종류의 물질인 경우 외에, 복수 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 홀딩체(4)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홀딩체(4)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홀딩체(4)는 외경이 수납 케이스(1)의 소직경 원통부(1a)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원통형상 부재이며, 축심을 통과하는 평면에 의해 수직 분할한 2개의 반원통부재(4-1, 4-2)(도 4(a)(b))로 구성된다. 홀딩체(4)의 내부에 주사기(2)가 통축심을 일치시킨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홀딩체(4)는 투명한 경질 염화비닐 수지 등으로 제작되어 있다.
홀딩체(4)에는, 주사 바늘(2a) 근원측의 플랜지부(2a1)의 후단의 칼라형상 원형고리부분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원형고리형상 리브(4a)와, 원형고리형상 리브(4a)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주사통(2b)의 앞측의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에 접촉하여 위치를 규제하는 원형고리형상 단차부(4b)와, 원형고리형상 단차부(4b)보다 더 후방측에서, 주사통(2b)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며, 주사통(2b)의 지름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는 원통형상 가이드(4c)가 마련되어 있다. 즉, 원형고리형상 리브(4a), 원형고리형상 단차부(4b) 및 원통형상 가이드(4c)가 홀딩체(4)에 구비한 장착부(50)를 구성한다. 홀딩체(4)의 후단부에는, 사용을 마친 주사기(2)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후단측을 향해 지름이 확대된 원통형상 가이드(4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반원통부재(4-2)(도 4(b))에는 단면이 초승달 형상인 회전멈춤부(4h)가 원통형상 가이드(4f)의 단부로부터 통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회전멈춤부(4h)는 통축 방향에 평행한 평면인 내주면(4h1)을 갖는다.
홀딩체(4)의 전단부에 가동편(4d)이 마련되고, 가동편(4d)의 근원측 부위에, 안쪽으로 돌출된 원형고리판 형상의 가압부(4e)가 마련되어 있다. 가동편(4d)은 선단의 후크부(4d1)와, 후크부(4d1)를 지지하며 지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절곡가능한 지지부(4d2)로 구성되고, 통축심과 직교하는 횡단면에 있어서 180도 회전 대칭 위치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4d1)에는 통축심 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며, 면방향이 통축심측을 향한 경사면(t3)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 반원통부재(4-1)에서는 가압부(4e)가 둘레 절반만큼 형성되는 동시에, 가압부(4e)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축 방향으로 인접하고 또한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의해, 한 쌍의 단차부(4e2, 4e2)가 180도 회전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 반원통부재(4-2)에서는, 가압부(4e)가 둘레 절반만큼 형성되며, 양단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볼록부(4e1, 4e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 반원통부재(4-1)에는 원형고리형상 리브(4a)의 축 방향의 후방측 부분이 둘레 절반보다도 짧게 형성되고, 높이가 낮은 한 쌍의 단차부(4a2, 4a2)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 반원통부재(4-2)에는 원형고리형상 리브(4a)의 축 방향의 후방측 절반이 둘레 절반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높이가 높은 한 쌍의 단차부(4a1, 4a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에 나타낸 반원통부재(4-1)를 상하로 반전시켜(뒤집어), 도 4(b)에 나타낸 반원통부재(4-2)에 포개고, 가압부(4e)의 부위에서는 한 쌍의 단차부(4e2, 4e2) 각각에 한 쌍의 볼록부(4e1, 4e1) 각각을 끼워 넣으며, 또한, 원형고리형상 리브(4a) 부위에서는 한 쌍의 단차부(4a2, 4a2) 각각에 한 쌍의 단차부(4a1, 4a1)의 각각을 부딪치게 하여 끼워맞춤으로써, 양쪽의 반원통부재(4-1, 4-2)가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형의 홀딩체(4)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3)의 실링재(3a)와는 반대측의 바닥부(3c)가 수납 케이스(1)의 벽(1d)에 접촉되어, 용기(3)의 축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또한, 홀딩체(4)의 가동편(4d) 선단의 후크부(4d1)의 경사면(t3)이 용기(3)의 고정구(3b)의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에 접촉되어 있다. 이로써, 바늘 캡(2d)에 미관통 상태로 꽂힌 주사 바늘(2a)의 선단이 바늘 캡(2d)을 통해 용기(3)의 실링재(3a)와 대향하는 상태로 주사기(2)가 용기(3)에 대해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수납 케이스(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수납 케이스의 내면측 사시도 및 조작 리브의 치수 설명도, 도 6은 수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부재의 종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일부 조립도이다. 도 5(a)는 대직경 원통부(1b)를 가상적으로 축 방향을 따라 수직 분할하여, 벽(1e)을 제외하고 원통의 절반을 절결한 수납 케이스(1)의 내면측을 나타내고, 도 5(b)는 둘레 방향으로 전개한 리브의 치수를 나타낸다.
대직경 원통부(1b)의 내면측에는, 내주벽으로부터 균일한 높이(h)에서 돌출된 리브(1b1)와 제 2 리브(1b2)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1b1)는 벽(1e)으로부터의 길이(x1), 둘레 방향 폭(y1)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높이(h)를 갖는 단차부이다. 제 2 리브(1b2)는 리브(1b1)에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며, 벽(1e)으로부터의 길이가 리브(1b1)의 길이(x1)보다 짧은(x2)(x1>x2), 둘레 방향 폭(y2)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높이(h)의 단차부이다. 리브(1b1)는 벽(1e)과는 반대측에 통축 방향에 수직인 측면(t1)을 갖는다. 제 2 리브(1b2)는 벽(1e)과는 반대측에 통축 방향에 수직인 측면(t2)을 갖는다. 리브(1b1)의 측면(t1)의 둘레 방향 양단에, 축 방향의 길이(x3), 둘레 방향 폭(y3), 높이(h)를 갖는 한 쌍의 제 3 리브(1b3)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리브(1b3)는 통축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통축 방향의 길이(x3)는 주사통(2b)의 후단의 플랜지부(2b1)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리브(1b1)와 제 2 리브(1b2)와 제 3 리브(1b3)는 각각, 수납 케이스(1)의 횡단면에서 180도 회전 대칭의 위치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도 6(a)는 소직경 원통부(1a)와, 박판부(1c)에 의해 소직경 원통부(1a)에 연결된 대직경 원통부(1b)의 일부를 갖는 케이스 부품(1-1)을 나타낸다. 케이스 부품(1-1)은 대직경 원통부(1b)측의 단부가 개구되며, 소직경 원통부(1a)측의 단부는 벽(1d)이 된다. 도 6(b)는 대직경 원통부(1b)의 나머지 부분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부품(1-2)을 나타낸다. 케이스 부품(1-2)은 축 방향의 한쪽 단부가 개구되며, 다른 쪽 단부가 벽(1e)이 된다.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부에,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단면 반원형의 요홈(1f)이 형성되고, 이 요홈(1f)에 오링(O-ring)(5)이 끼워져 있다. 오링(5)의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W1)은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면과 대직경 원통부(1b)의 내주면과의 지름 방향에서의 위치 차(즉, 원형고리형상 박판부(1c)의 폭)(W2)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W1>W2).
케이스 부품(1-1)의 개구측 단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대직경 원통부(1b)의 벽두께의 외측부분이 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단차부(1b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부품(1-2)의 개구측 단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대직경 원통부(1b)의 벽두께의 내측 부분이 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단차부(1b5)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 도 1 및 도 7에 따라, 수납 케이스(1)에 의한 주사기(2)의 후부측의 위치결정 홀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VII-V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주사통(2b)의 후단의 플랜지부(2b1)는 축 방향에서 볼 때 원형부(cp)의 180도 회전 대칭의 양측에, 바깥쪽으로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부(dp)가 연결된 외형을 가지고 있다. 원형부(cp)는 2개의 사다리꼴부(dp)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측에 직선 외주부(cp1)를 갖는다. 플랜지부(2b1)의 각 사다리꼴부(dp)의 선단부분이 한 쌍의 제 3 리브(1b3) 사이에서 리브(1b1)의 측면(t1)에 접촉되어 있다. 이로써, 주사통(2b)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주사통(2b)이 축심 주위로 회전했을 때에, 플랜지부(2b1)의 각 사다리꼴부(dp)가 양측의 제 3 리브(1b3)에 의해 제 3 리브(1b3)보다도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이 규제되며, 플랜지부(2b1)가 리브(1b1)의 측면(t1)과 접촉한 상태로 홀딩된다. 또한, 플랜지부(2b1)의 직선 외주부(cp1)에 홀딩체(4)의 회전멈춤부(4h)의 내주면(4h1)이 접촉되어 있으며, 이로써, 주사통(2b)과 홀딩체(4)는 축심 주위로 일체로 회전한다.
벽(1e)의 내면측 중앙에는 일정 깊이의 원형상의 오목부(1e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e1)의 직경은 구동용 로드(2c2)의 후단의 플랜지 외형보다도 크며, 오목부(1e1)의 깊이는 구동용 로드(2c2)의 후단의 플랜지 두께와 같은 정도이다. 구동용 로드(2c2)의 후단의 플랜지가 오목부(1e1)의 바닥부에 접촉되어, 구동용 로드(2c2), 나아가 플런저(2c1)의 축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어,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홀딩체에 대한 주사기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홀딩체(4)에 대한 주사기(2)의 조립 공정에서는 먼저, 미리 분말 약제(10)가 충전되고, 바늘 캡(2d)을 장착한 주사기(2)를, 안쪽을 위로 한 반원통부재(4-2)에 대해 위로부터 세팅한다(도 9(a)(b)). 이 때, 홀딩체(4)의 회전멈춤부(4h)에 플랜지부(2b1)의 직선 외주부(cp1)가 접촉하도록 위치설정한다(도 7 참조). 이어, 내측을 아래로 한 반원통부재(4-1)를 주사기(2) 위로부터 씌워, 반원통부재(4-2)와 일체로 결합한다(도 9(b)(c)). 이로써, 일체로 결합한 반원통부재(4-1, 4-2)에 의해 홀딩체(4)가 형성되고, 주사통(2b)이 홀딩체(4)에 고정지지된 상태로 주사기(2)가 홀딩체(4)에 조립된다.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 공정에서는 우선, 케이스 부품(1-1)의 대직경 원통부(1b)측의 단부 개구에 용기(3)를 바닥부측으로부터 삽입한다(도 10(a)). 계속해서, 바늘 캡(2d)을 구비한 주사기(2)가 세팅된 홀딩체(4)를 가동편(4d)이 앞쪽의 방향으로 케이스 부품(1-1)의 내부에 삽입한다(도 10(a)(b)(c)). 이어, 케이스 부품(1-1)의 단부 개구로부터 튀어나온 주사기(2)의 후부측을 덮도록 케이스 부품(1-2)을 씌우고, 양쪽 케이스 부품(1-1, 1-2)의 개방 단부끼리를 양쪽의 단차부(1b4, 1b5)가 끼워맞춰지도록 하여 결합시킨다(도 10(c)(d) 및 도 6(c)). 이 때, 바늘 캡(2d)의 선단의 원통형의 통형상부(2d5)가 용기(3)의 실링재(3a)에 근접하게 대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통(2b)의 플랜지부(2b1)가 리브(1b1)에 접촉한 상태로, 양측의 2개의 사다리꼴부(dp)가 한 쌍의 제 3 리브(1b3) 사이에 홀딩되어 회전 위치가 규제된 상태로 한다.
마지막으로, 결합한 양쪽 케이스 부품(1-1, 1-2)의 단차부(1b4, 1b5)를 열에 의해 접합하여 접합부(hs)를 형성하고(도 10(d)), 밀폐된 케이스(1)를 구성한다. 열접합은 예를 들면 전기 인두 방식이며, 고온으로 가열한 인두를 케이스 부품(1-1, 1-2)의 결합부에 대고 누르면서, 고정한 인두에 대해 수납 케이스(1)를 회전시켜(혹은, 고정한 수납 케이스(1)에 대해 인두를 회전시켜) 수납 케이스(1)의 재료(염화비닐 수지)를 용착(溶着)하는 방법이다. 또한, 케이스 부품(1-1, 1-2)의 결합부에 고온의 열풍을 내뿜어 용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c)의 일부 확대 단면도, 및 바늘 캡 선단의 통형상부의 치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2(도 13 내지 도 15, 도 18, 도 21 내지 도 2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수납 케이스(1)를 가상적으로 축 방향을 따라 수직 분할하여 원통부의 절반을 제거하고,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하고 있다.
주사통(2b)이 용기(3)측으로 밀어넣어지면, 바늘 캡(2d)의 주름부(2d2)가 수축하고, 바늘 캡(2d)의 앞부분(2d3)의 도중 부위까지 꽂힌 주사 바늘(2a)의 선단이 앞부분(2d3)의 찔러뚫기 예정부위(sty) 및 실링재(3a)를 관통하여 용기(3)의 내부로 돌출되고, 바늘 캡(2d)의 앞부분(2d3)의 통형상부(2d5)가 실링재(3a)에 밀어붙여진다(도 11(a)(b)). 이 때, 홀딩체(4)도 주사통(2b)에 밀려 용기(3)측으로 이동하며, 경사면(t3)에서 용기(3)의 고정구(3b)의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에 접촉하고 있는 가동편(4d)의 후크부(4d1)가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지지부(4d2)가 바깥쪽으로 구부려지고, 외측으로 이동한 후크부(4d1)가 고정구(3b)의 측면을 미끄러지면서 통과한다. 동시에 홀딩체(4)의 가압부(4e)가 바늘 캡(2d)의 칼라부(2d4)를 용기(3)의 고정구(3b)의 앞면에 밀어붙인다. 그리고,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있던 후크부(4d1)가 내측으로 되돌아가 고정구(3b)의 베이스부측의 단차부(3b1)에 걸리고, 이 위치에서 홀딩체(4)가 용기(3)에 기계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주사 바늘(2a)의 선단이 용기(3) 내로 돌출된 상태 및 바늘 캡(2d)의 앞부분(2d3)의 통형상부(2d5)가 실링재(3a)에 밀어붙여진 상태가 유지(록킹)된다. 즉, 가동편(4d)에 구비한 후크부(4d1)가, 가압부(4e)를 용기(3)에 부딪치게 한 상태를 록킹하는 록킹부 및 용기(3)의 외면의 단차부(3b1)에 결합가능한 갈고리체에 대응한다.
이어, 구동용 로드(2c2)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플런저(2c1)을 밀어넣고, 주사통(2b) 내의 공기를 용기(3)에 보내어 용기(3)의 압력을 높인 후, 구동용 로드(2c2)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플런저(2c1)를 자유롭게 하면, 용기(3) 내의 액체(11)가 내부 압력에 의해 주사 바늘(2a)을 통과하여 주사통(2b)의 내부에 흡입되는 동시에, 플런저(2c1)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주사통(2b) 내에 흡입된 액체(11)는 주사통(2b)의 내부에서 분말 약제(10)와 혼합하여 주사액이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주사통(2b)을 손가락으로 잡고 주사 바늘(2a)을 용기(3)로부터 빼내어, 바늘 캡(2d)의 내부까지 되돌린다(도 11(c), 도 12(a)). 이때, 용기(3) 내에 남은 액체(11) 중 일부 액체(11a)가 실링재(3a)의 바늘 찔러뚫힌 부위(st)를 통해 실링재(3a)의 표면으로 흘러넘치는 경우가 있는데, 실링재(3a)에 밀어붙여진 바늘 캡(2d)의 앞부분(2d3) 및 통형상부(2d5)와 실링재(3a)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3)로부터 흘러 넘친 액체(11a)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즉, 바늘 캡(2d)의 앞부분(2d3)과 통형상부(2d5)로 인해 공간 형성체(100)가 구성된다.
이어, 도 12(b)에 의해, 실링재(3a)의 표면과 바늘 캡(2d)의 앞부분(2d3) 및 통형상부(2d5)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V)(밀폐 공간)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통형상부(2d5)는 원통형상으로 한다. D는 통형상부(2d5)의 내경, H는 통형상부(2d5)의 높이(통축 방향에 따른 길이)이다. 또한, 실링재(3a)에 밀어붙여진 통형상부(2d5)는 가압 방향으로 압축되어 약간 변형되는데, 설명상, 이 변형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바이알(3)의 실링재(3a)는 상방에서 볼 때 원형을 이루며, 실링재(3a)의 바늘삽입부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크기(직경)는 7mm 정도이다. 그 바늘삽입부의 영역 내에 통형상부(2d5)를 대고 누른 경우, 통형상부(2d5)의 둘레벽의 두께를 1mm로 하면, 통형상부(2d5)의 내경(D)은 최대 4mm 정도가 된다. 통형상부(2d5)의 높이(H)는 기기의 콤팩트화 및 제조 측면을 고려하면, 그다지 높게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높이(H)를 1mm로 하면, 내경(D)이 4mm인 경우로 공간(V)의 용적은 0.0125ml가 되고, 내경(D)이 2mm인 경우로 공간(V)의 용적은 0.00314ml가 된다. 또한, 높이(H)를 3mm로 높게 하고, 내경(D)을 3mm로 작게 한 경우, 공간(V)의 용적은 0.0212ml가 된다. 공간(V)의 용적은 식 V=π(D/2)2 H 로 산출된다.
내부 공간이 4ml인 바이알(3)에 정제수(이하, 액이라 한다)를 2ml 봉입한 후, 실링재(3a)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바이알(3)을 거꾸로 하고 나서, 바늘 끝(27G)의 시린지(2)를 실링재(3a)에 꽂아 바이알(3) 내로 2ml의 공기를 주입한 경우, 실링재(3a)로부터 액체 누출이 확인된다. 그래서, 바늘 캡(2d)의 선단의 통형상부(2d5)를 실링재(3a)의 표면에 대고 눌러 세팅한 상태로, 바늘 끝(27G)의 시린지(2)를 바늘 캡(2d)의 앞부분(2d3)에 찔러 통형상부(2d5)의 내부를 거쳐 실링재(3a)에 꽂고, 액을 2ml 봉입한 바이알(3) 내로 2ml의 공기를 주입한 경우의 외부로의 액 누출, 바늘이동거리(조작성), 콤팩트성, 종합평가의 실험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험 조건으로서, 통형상부(2d5)의 높이 H=1.0mm에 대해 내경(D)을 1.0, 2.0mm로 변화시키고, 통형상부(2d5)의 높이 H=2.0mm에 대해 내경(D)을 2.0, 3.0mm로 변화시키며, 통형상부(2d5)의 높이 H=3.0mm, 4.0mm의 각각에 대해 내경(D)을 1.0, 2.0, 3.0, 4.0mm로 변화시켰다.
Figure pct00001
액 누출에 관해, 공간(V)의 용적이 0.0094ml보다 큰 경우에 액 누출이 없다. 바늘이동거리는 바늘을 바늘 캡으로부터 바이알에 찔러 뚫을 때까지 필요로 하는 거리이며, 통형상부(2d5)의 높이(H)가 4mm 이상이 되면 조작성이 저하되므로 허용 범위는 4mm 미만이다. 콤팩트성은 통형상부(2d5)의 크기가 커지면 저하된다. 액 누출 없이 바늘이동거리(조작성)와 콤팩트성을 균형 있게 만족시키는 것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통형상부(2d5)의 높이(H) 2.0mm에서 내경(D) 3.0mm, 통형상부(2d5)의 높이(H) 3.0mm에서 내경(D) 2.0, 및 통형상부(2d5)의 높이(H) 3.0에서 내경(D) 3.0mm의 3가지 조건을 바람직한 조건으로 하였다. 또한, 내경(D)에 대한 높이(H)의 비가 크면 통형상부(2d5)를 실링재(3a)의 표면에 대고 눌렀을 때의 자세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다(예를 들면, 통형상부(2d5)의 높이(H) 3.0에서 내경(D) 1.0mm의 경우). 공간(V)의 용적은 0.001ml ~ 0.03ml의 범위가 허용 범위이며, 보다 바람하게는 0.005ml ~ 0.025ml의 범위이다. 내경(D)은 1.0 ~ 5.0mm가 허용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0mm ~ 4.0mm이다.
또한, 통형상부(2d5)는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통형, 각통형이어도 좋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사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4은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로부터 주사기를 꺼내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초기 상태(도 13(a))에서, 수납 케이스(1)의 대직경 원통부(1b)를 소직경 원통부(1a)에 대해 축 방향을 따라 밀어넣으면, 원형고리형상의 박판부(1c)가 파단되고, 대직경 원통부(1b)가 축 방향을 따라 소직경 원통부(1a)에 씌워지도록 이동한다(도 13(b)). 이 때, 대직경 원통부(1b)의 리브(1b1)의 측면(t1)이 주사통(2b)의 플랜지부(2b1)의 후단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주사통(2b)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주사 바늘(2a)의 선단이 바늘 캡(2d) 및 실링재(3a)를 찔러 관통하여 용기(3)의 내부에 도달한다.
동시에, 주사통(2b)을 고정지지하고 있는 홀딩체(4)가 용기(3)를 향해 밀어 넣어지고,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딩체(4)의 가압부(4e)가 바늘 캡(2d)의 칼라부(2d4)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용기(3)의 끝면에 부딪치는 동시에, 바늘 캡(2d)의 앞부분(2d3)의 통형상부(2d5)가 실링재(3a)에 밀어붙여지고,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 대직경 원통부(1b)를 소직경 원통부(1a)에 대해 축 방향으로 약간 되돌리고 나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 원통부(1b)를 주사통(2b)에 대해 축심 주위로 오른쪽 방향으로(도 8에서는 왼쪽 방향으로) 60도 정도 회전시켜, 플랜지(2b1)의 2개의 사다리꼴부(dp)가 축 방향에서 볼 때 제 2 리브(1b2)와 겹치도록 위치시킨다(도 13(c)). 도 8은 주사통(2b)에 대해 회전한 수납 케이스(1)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회전 위치에서, 대직경 원통부(1b)를 소직경 원통부(1a)에 대해 축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제 2 리브(1b2)의 측면(t2)이 플랜지부(2b1)의 사다리꼴부(dp)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이동이 정지한다(도 14(d)). 이 때, 대직경 원통부(1b)의 벽(1e)의 오목부(1e1)와 접촉한 구동용 로드(2c2)가 밀려, 구동용 로드(2c2)에 연결한 플런저(2c1)가 주사통(2b)에 밀어넣어지고, 주사통(2b) 내의 공기가 용기(3)에 주입되어, 용기(3) 안이 가압 상태가 된다.
이어, 플런저(2c1)를 주사통(2b)에 밀어넣은 대직경 원통부(1b)를 자유롭게 하면, 용기(3) 내에 주입된 가압 공기가 용기(3) 내의 용해액(11)과 함께 주사통(2b) 내로 되돌려져, 플런저(2c1)가 되밀린다. 동시에, 대직경 원통부(1b)도 구동용 로드(2c2)에 의해 되밀린다(도 14(e)). 그리고, 주사통(2b) 내에 유입된 용해액(11)이 분말 약제(10)와 혼합하여 용해되며, 주사액이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대직경 원통부(1b)를 소직경 원통부(1a)에 대해 축 방향으로 약간 밀어넣어 플런저(2c1)를 이동시키고, 주사통(2b) 내에 남아있는 기포를 주사 바늘(2a)의 선단으로부터 용기(3)의 내부로 배출시켜, 주사액의 조제가 종료한다(도 14(f)). 그 다음은 대직경 원통부(1b)를 축 방향의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소직경 원통부(1a)로부터 분리하고(도 15(g)), 주사기(2)를 축 방향으로 당겨 빼서 홀딩체(4)로부터 꺼낸다(도 15 (h)). 이때, 홀딩체(4)의 가압부(4e)가 바늘 캡(2d)의 칼라부(2d4)를 용기(3)의 끝면에 밀어붙이고 있으므로(도 12 참조), 주사 바늘(2a)의 플랜지부(2a1)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던 바늘 캡(2d)은 벗겨져 홀딩체(4)측에 남고, 주사 바늘(2a)이 노출된 주사기(2)가 꺼내어진다.
이어, 사용을 마친 주사기의 폐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사용을 마친 주사기의 폐기준비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폐기준비공정 완료 후의 수납 케이스(1)의 일부를 확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을 마친 주사기(2)를 주사 바늘(2a)쪽으로부터 소직경 원통부(1a)의 단부 개구에 축 방향을 따라 삽입한다(도 16(a)). 이어, 대직경 원통부(1b)를 소직경 원통부(1a)의 단부 개구로부터 튀어나온 주사기(2)의 후부측을 완전히 덮는 위치까지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도 16(b)(c)). 이 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 원통부(1b)의 내주벽이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마련한 오링(5)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링(5)의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W1)은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면과 대직경 원통부(1b)의 내주면과의 지름 방향에서의 위치 차(W2)보다도 크기 때문에, 오링(5)은 전체 둘레에 걸쳐 평균적으로 눌러 찌부러뜨려져서, 수납 케이스(1)의 내부는 오링(5)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그 결과, 주사기(2) 내부에 잔류한 주사액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링재(3a)의 표면에 원통형상의 고무제 어댑터(7)를 장착하고, 바늘 캡(2d)의 앞부분(2d7)에 어댑터(7)의 내면부에 끼워넣어 결합가능한 삽입부(2d8)를 구비하고, 어댑터(7)와 삽입부(2d8)에 의해 실링재(3a)의 표면측에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점이 다르다. 즉, 어댑터(7)와 바늘 캡(2d)의 삽입부(2d8)에 의해 공간 형성체(100)가 구성된다.
어댑터(7)는 바늘 캡(2d)측의 단부에 내향으로 돌출된 원형고리형상의 돌기부(7a)와, 실링재(3a)의 표면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원통형상의 다리부(7c)를 구비하고 있다. 바늘 캡(2d)의 삽입부(2d8)는 선단을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근원측에 돌기부(7a)보다 작은 직경의 홈부(2d9)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어댑터(7)의 내면에 삽입부(2d8)가 밀어넣어져 밀접하고, 또한, 어댑터(7)의 돌기부(7a)가 삽입부(2d8)의 홈부(2d9)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삽입부(2d8)가 어댑터(7)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어, 제 1 다른 실시예의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홀딩체에 대한 주사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는 도 18에 나타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홀딩체(4)에 대한 주사기(2)의 조립에서는 먼저, 용기(3)의 실링재(3a)의 보호막을 벗기고, 실링재(3a)의 표면에 어댑터(7)를 접착제로 임시 고정한다(도 19(a)). 이 때, 어댑터(7)의 다리부(7c)의 외측면이 용기(3)의 실링재(3a)의 표면에 근접하게 대향한다. 이어, 미리 분말 약제(10)가 주사통(2b)에 충전된 주사기(2)의 바늘 캡(2d) 선단의 삽입부(2d8)를 어댑터(7)에 꽂아 용기(3)와 주사기(2)를 일체로 결합한다(도 19(b)). 이어, 내측을 위로 한 반원통부재(4-2)에 대해, 용기(3)가 결합된 주사기(2)를 위로부터 세팅한다. 이 때, 홀딩체(4)의 회전멈춤부(4h)에 플랜지부(2b1)의 직선 외주부(cp1)가 접촉하도록 위치설정한다(도 7 참조). 또한, 내측을 아래로 한 반원통부재(4-1)를 용기(3)가 결합된 주사기(2)의 위로부터 씌워, 반원통부재(4-2)와 일체로 결합한다(도 9(c)(d)). 이로써, 일체로 결합한 반원통부재(4-1, 4-2)에 의해 홀딩체(4)가 형성되고, 용기(3)와 결합한 주사기(2)가 홀딩체(4)에 조립된다.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에서는, 홀딩체(4)에 조립한 주사기(2)를 케이스 부품(1-1)의 대직경 원통부(1b)측의 단부 개구에 용기(3)측을 앞쪽으로 해서 삽입한다(도 20(a)). 이어, 케이스 부품(1-1)의 개구로부터 튀어나온 주사기(2)의 후부측을 덮도록 케이스 부품(1-2)을 씌우고, 양쪽 케이스 부품(1-1, 1-2)의 개구 단부끼리를 양쪽 단차부(1b4, 1b5)가 끼워맞춰지도록 하여 결합시킨다(도 20(b)(c)). 마지막으로, 결합한 양쪽 케이스 부품(1-1, 1-2)의 단차부(1b4, 1b5)를 열에 의해 접합하여 접합부(hs)를 형성하고, 케이스(1)의 내부를 밀폐한다.
이어, 제 1 다른 실시예의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도 18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주사통(2b)이 용기(3)측에 밀어넣어지면, 바늘 캡(2d)의 주름부(2d2)가 수축하고, 바늘 캡(2d)의 삽입부(2d8)의 도중 부위까지 꽂힌 주사 바늘(2a)이 삽입부(2d8)의 나머지 부분 및 실링재(3a)를 관통하여 용기(3)의 내부로 돌출된다(도 18, 도 21(a)). 이 때, 주사통(2b)을 홀딩하는 홀딩체(4)도 용기(3) 측으로 밀리고, 경사면(t3)에서 용기(3)의 고정구(3b)의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에 접촉하고 있는 가동편(4d)의 후크부(4d1)가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지지부(4d2)가 바깥쪽으로 구부려지고, 외측으로 이동한 후크부(4d1)가 고정구(3b)의 측면을 미끄러지면서 통과한다. 동시에 홀딩체(4)의 가압부(4e)가 어댑터(7)의 칼라부(7b)를 용기(3)의 고정구(3b)의 앞면에 밀어붙인다. 그리고, 외측으로 밀려나와 있던 후크부(4d1)가 내측으로 되돌아가 고정구(3b)의 베이스부측의 단차부(3b1)에 걸리고, 이 위치에서 홀딩체(4)가 용기(3)에 기계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주사 바늘(2a)이 용기(3) 내에 돌출된 상태 및 어댑터(7)의 칼라부(7b)가 용기(3)의 고정구(3b)의 앞면에 밀어붙여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 플런저(2c1)를 손가락으로 밀어넣어 주사통(2b) 내의 공기를 용기(3)에 보내고, 용기(3)의 압력을 높인 후, 플런저(2c1)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자유롭게 하면, 용기(3) 내의 액체(11)가 내부 압력에 의해 주사 바늘(2a)을 통과하여 주사통(2b)의 내부에 흡입되며, 주사통(2b) 내부의 분말 약제(10)와 혼합하여 주사액이 제작되는 동시에, 플런저(2c1)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마지막으로, 주사통(2b)을 손가락으로 잡고 주사 바늘(2a)을 용기(3)로부터 빼내어, 바늘 캡(2d)의 내부까지 되돌린다(도 21(b)). 이때, 용기(3) 내에 남은 액체(11)의 일부가 실링재(3a)의 바늘 찔러뚫힌 부위(st)를 통해 실링재(3a)의 표면으로 흘러넘치는 경우가 있는데(도 12 참조), 실링재(3a)와 어댑터(7)와 바늘 캡(2d)의 삽입부(2d8)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3)로부터 흘러넘친 액체(11a)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어, 본 발명의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제 2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 제 2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링재(3a)의 표면에 장착되는 원반형상의 고무제 어댑터(8)가 실링재(3a)측으로만 개구된 공동(8b)을 가지며, 어댑터(8)를 실링재(3a)의 표면에 장착함으로써, 실링재(3a)의 표면측에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점이 다르다. 즉, 어댑터(8)에 의해 공간 형성체(100)가 구성된다.
어댑터(8)는 바늘 캡(2d)측의 단부가 평면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실링재(3a)측의 단부에 실링재(3a)의 표면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진 원통형상의 다리부(8a)를 구비하고 있다. 바늘 캡(2d)은 어댑터(8)에 면하는 측이 평면으로 형성된 앞부분(2d3)을 가지며, 앞부분(2d3)에 원형고리판형상의 칼라부(2d4)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 또 다른 실시예의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도 22의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에 의한 주사액 조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주사통(2b)이 용기(3)측에 밀어넣어지면, 바늘 캡(2d)의 주름부(2d2)가 수축하고, 바늘 캡(2d)의 앞부분(2d3)의 도중 부위까지 꽂힌 주사 바늘(2a)이 앞부분(2d3)의 나머지 부분, 어댑터(8) 및 실링재(3a)를 관통하여 용기(3)의 내부로 돌출된다(도 22, 도 23(a)). 이 때, 주사통(2b)을 홀딩하는 홀딩체(4)도 용기(3)측으로 밀리고, 경사면(t3)에서 용기(3)의 고정구(3b)의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에 접촉하고 있는 가동편(4d)의 후크부(4d1)가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지지부(4d2)가 바깥쪽으로 구부려지고, 외측으로 이동한 후크부(4d1)가 고정구(3b)의 측면을 미끄러지면서 통과한다. 이 때, 홀딩체(4)의 가압부(4e)가 바늘 캡(2d)의 칼라부(2d4)와 원반형상의 어댑터(8)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포개어 용기(3)의 고정구(3b)의 앞면에 밀어붙인다. 그리고, 외측으로 밀려나와 있던 후크부(4d1)가 내측으로 되돌아가 고정구(3b)의 베이스부측의 단차부(3b1)에 걸리고, 이 위치에서 홀딩체(4)가 용기(3)에 기계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주사 바늘(2a)이 용기(3) 내에 돌출된 상태 및 홀딩체(4)의 가압부(4e)가 바늘 캡(2d)의 칼라부(2d4)와 원반형상의 어댑터(8)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포개어 용기(3)의 고정구(3b)의 앞면에 밀어붙인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 플런저(2c1)를 손가락으로 밀어넣어 주사통(2b) 안의 공기를 용기(3)에 보내고, 용기(3) 내의 압력을 높인 후, 플런저(2c1)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자유롭게 하면, 용기(3) 내의 액체(11)가 내부 압력에 의해 주사 바늘(2a)을 통과하여 주사통(2b)의 내부로 흡입되고, 주사통(2b) 내부의 분말 약제(10)와 혼합하여 주사액이 제조되는 동시에, 플런저(2c1)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마지막으로, 주사통(2b)을 손가락으로 잡고 주사 바늘(2a)을 용기(3)로부터 빼내어, 바늘 캡(2d)의 내부까지 되돌린다(도 23(b)). 이때, 용기(3) 내에 남은 액체(11) 중 일부 액체(11a)가 실링재(3a)의 바늘 찔러뚫힌 부위(st)를 통해 실링재(3a)의 표면에 흘러넘치는 경우가 있는데(도 12 참조), 실링재(3a)의 표면에 연통된 어댑터(8)의 공동(8b)은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으므로, 용기(3)로부터 흘러넘친 액체(11a)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제 3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3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납 케이스(1A)의 구조가 상술한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와 다를 뿐으로, 다른 구조는 동일하다.
수납 케이스(1A)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소직경 원통부(1a)와 대직경 원통부(1b)를 박판부(1c)에 의해 연결한 구조가 아니라, 소직경 원통부(1a)와 대직경 원통부(1b)를 서로의 축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소직경 원통부(1a)의 일단의 외주부와 대직경 원통부(1b)의 일단의 내주부와의 사이에 오링(6)을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부에,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단면 반원형의 요홈(1g)이 형성되고, 이 요홈(1g)에 오링(6)이 끼워져 있다. 오링(6)의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W3)은 대직경 원통부(1b)의 내경과 소직경 원통부(1a)의 외경과의 차의 절반(W4)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W3>W4). 그 때문에, 오링(6)은 전체 둘레에 걸쳐 평균적으로 눌러 찌부려뜨려져서, 수납 케이스(1A)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또한, 상기 요홈(1g)은, 상기 실시예의 요홈(1f)에 비해, 소직경 원통부(1a)의 일단의 단부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제 3 다른 실시예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조립 공정에서는 먼저, 소직경 원통부(1a)의 단부 개구에 용기(3)를 바닥부측으로부터 삽입한다(도 25(a)). 계속해서, 주사기(2)가 세팅된 홀딩체(4)를 가동편(4d)이 앞쪽의 방향으로 소직경 원통부(1a)의 내부에 삽입한다(도 25(b)). 이어, 소직경 원통부(1a)의 단부 개구로부터 튀어나온 주사기(2)의 후부측을 덮도록 대직경 원통부(1b)를 씌우고(도 25(c)), 대직경 원통부(1b)의 내주면이 오링(6)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밀폐된 수납 케이스(1A)를 구성한다(도 25(d)).
제 3 다른 실시예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사용에서는, 소직경 원통부(1a)와 대직경 원통부(1b)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최초에 소직경 원통부(1a)와 대직경 원통부(1b)를 파단시켜 분리하는 공정이 사용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3 다른 실시예의 프리필드 시린지에 의한 사용을 마친 주사기의 폐기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도 14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을 마친 주사기(2)를 수납 케이스(1A)에 수납하는 경우, 대직경 원통부(1b)의 내주벽이 소직경 원통부(1a)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설치한 오링(6)에 접촉함으로써, 수납 케이스(1A)의 내부가 오링(6)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기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사통(2b)의 내부에 주사액을 구성하는 한쪽 성분으로서 분말 약제(10)를 충전하고, 용기(3)의 내부에 주사액을 구성하는 다른쪽 성분으로서 액체(11)(용해액 또는 분산액)을 충전하였느데, 주사통(2b)에는 분말 약제에 한정하지 않고, 과립 등의 고형 약제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주사통(2b) 및 용기(3)에 함께 액체 성분을 충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기(3)에 예를 들어 백신 등 미리 혼합하면 안정성이 나쁜 액체 약제를 충전하고, 주사통(2b)에 용해액을 충전한다. 혹은, 주사통(2b)에 액상 약제를 충전하고, 용기(3)에 용해액을 충전한다. 그 결과, 안정성이 나쁜 액상 약제를 용해액과 나눠 충전하고, 주사액의 조제시에 혼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사 바늘(2a)의 선단이 바늘 캡(2d)에 꽂힌 상태(단, 비관통상태)로 홀딩되어 있었는데, 주사 바늘(2a)의 선단이 바늘 캡(2d)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홀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홀딩체(4)가 주사통(2b)을 주사통(2b)의 통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홀딩하도록 하였는데, 홀딩체가 용기(3)를 주사통(2b)의 통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홀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3)을 바이알병으로 구성하였는데, 바이알병 이외의 용기일 수도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수납 케이스 1A : 수납 케이스
1a : 소직경 원통부 1b : 대직경 원통부
1b1 : 리브 1b2 : 제 2 리브
1b3 : 제 3 리브 1b4 : 단차부
1b5 : 단차부 1c : 박판부
1d : 벽 1e : 벽
1e1 : 오목부 1f : 요홈
1g : 요홈 1-1 : 케이스 부품
1-2 : 케이스 부품 2 : 주사기
2a : 주사 바늘 2a1 : 플랜지부
2b : 주사통 2b1 : 플랜지부
2c1 : 플런저 2c2 : 구동용 로드
2d : 바늘 캡 2d1 : 원통부
2d2 : 주름부 2d3 : 앞부분
2d4 : 칼라부 2d5 : 통형상부
2d6 : 공동 2d7 : 앞부분
2d8 : 삽입부 2d9 : 홈부
D : 내경 H : 높이
V : 공간(밀폐 공간) 3 : 용기
3a : 실링재 3b : 고정구
3b1 : 단차부 3c : 바닥부
3d : 플랜지부 4 : 홀딩체
4a : 원형고리형상 리브 4b : 원형고리형상 단차부
4c : 원통형상 가이드 4d : 가동편
4d1 : 후크부(록킹부, 갈고리체) 4d2 : 지지부
4e : 가압부 4a1 : 단차부
4a2 : 단차부 4e1 : 볼록부
4e2 : 단차부 4f : 원통형상 가이드
4-1 : 반원통부재 4-2 : 반원통부재
5 : 오링 6 : 오링
7 : 어댑터 7a : 돌기부
7b : 칼라부 7c : 다리부
8 : 어댑터 8a : 다리부
8b : 공동 10 : 분말 약제
11 : 액체(용해액, 분산액) 50 : 장착부
100 : 공간 형성체 hs : 접합부
st : 바늘 찔러뚫힌 부위 sty : 찔러뚫기 예정부위
t1 : 측면 t2 : 측면
t3 : 경사면

Claims (14)

  1. 일단에 주사 바늘이 장착되고, 타단 개구로부터 플런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주사액을 구성하는 고체 성분 또는 액체 성분이 충전된 주사통과,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실링재로 출구가 밀폐되며, 내부에 상기 주사액을 구성하는 액체 성분이 충전된 용기와,
    상기 주사 바늘의 선단이 상기 용기의 출구와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주사통 또는 상기 용기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홀딩하는 홀딩체
    를 구비한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로서,
    상기 실링재의 표면이 면(面)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하는 공간 형성체가 상기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간 형성체는,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상기 주사 바늘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의 표면과 상기 공간 형성체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용적이 0.001ml ~ 0.03ml의 범위에 있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선단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상기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을 구비하며,
    상기 바늘 캡은 상기 실링재와 대향하는 앞부분에 상기 주사 바늘에 의한 찔러 뚫기 예정부위를 내측에 위치시켜 통축 방향이 상기 실링재로 향하는 방향에 따른 통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 형성체가 상기 바늘 캡의 앞부분 및 상기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한 상기 통형상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캡은 앞부분의 외측면에,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가지며,
    상기 홀딩체는, 상기 주사통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르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를 홀딩하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통축 방향에 따른 길이가 4mm 미만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선단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상기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과,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일치하는 통축을 가지며, 통축 방향의 일단이 상기 실링재의 표면에 밀접하게 고정된 통형상의 용기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캡은, 상기 실링재와 대향하는 앞부분에, 상기 용기 어댑터의 통축 방향을 따라 통축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용기 어댑터의 내면에 밀접하도록 삽입된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 형성체가 상기 용기 어댑터와 상기 바늘 캡의 삽입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어댑터는 상기 실링재측의 외측면에,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가지며,
    상기 홀딩체는, 상기 주사통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한 상기 주사통을 통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르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를 홀딩하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선단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주사 바늘의 근원부 또는 상기 주사통의 외면에 기단측이 고정된 바늘 캡과,
    상기 실링재의 표면에 통축 방향의 일단이 밀접하게 고정된 통형상부 및 상기 통형상부의 타단측의 개구를 덮는 평판형상의 본체부를 갖는 용기 어댑터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어댑터의 본체부는 상기 실링재와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주사 바늘로 찔러 뚫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 형성체가 상기 용기 어댑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어댑터는, 상기 실링재측의 외측면에,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가지며,
    상기 바늘 캡은, 앞부분측의 외측면에,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칼라부를 가지며,
    상기 홀딩체는, 상기 주사통을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주사통의 통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바늘 캡 및 상기 용기 어댑터의 2개의 칼라부를 포갠 상태로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르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2개의 칼라부를 상기 용기에 대고 누른 상태를 홀딩하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통축 방향에 따른 길이가 4mm 미만인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11. 제4항,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용기의 외면의 오목부 또는 단차부에 결합가능한 갈고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1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통, 상기 바늘 캡, 상기 용기 및 상기 홀딩체의 전체를 외부에 대해 밀폐상태로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13.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통, 상기 바늘 캡, 상기 용기 어댑터, 상기 용기 및 상기 홀딩체의 전체를 외부에 대해 밀폐상태로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트 시린지 키트.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바늘의 선단이 상기 바늘 캡에 비관통의 찔러 뚫는 상태로 홀딩되어 있는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KR1020207030939A 2018-03-28 2019-03-27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KR102645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62038 2018-03-28
JP2018062038 2018-03-28
PCT/JP2019/013354 WO2019189457A1 (ja) 2018-03-28 2019-03-27 2成分混合型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317A true KR20200138317A (ko) 2020-12-09
KR102645455B1 KR102645455B1 (ko) 2024-03-07

Family

ID=6805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939A KR102645455B1 (ko) 2018-03-28 2019-03-27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15708A1 (ko)
EP (1) EP3777931A4 (ko)
JP (1) JP7037709B2 (ko)
KR (1) KR102645455B1 (ko)
CN (1) CN112543655B (ko)
WO (1) WO20191894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068A (ko) 2021-07-08 2023-01-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약제 혼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05267A1 (en) * 2020-01-09 2022-08-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rug transfer devic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164A (ja) 1982-10-27 1984-07-07 デユフアル・インテルナチオナル・レセ−ルフ・ベ−・ヴエ− 皮下注射器
US5088996A (en) * 1984-04-16 1992-02-18 Kopfer Rudolph J Anti-aerosoling drug reconstitution device
US5125908A (en) * 1990-10-19 1992-06-30 Cohen Milton J Hypodermic syringe with protective holder
JPH0531189A (ja) 1991-01-16 1993-02-09 Takeda Chem Ind Ltd 2室型注射器
CN1081360C (zh) * 1996-11-18 2002-03-20 日本电气株式会社 虚拟通道存储系统
CN1133003C (zh) * 1999-07-02 2003-12-31 罗伯特·博希有限责任公司 用于供给内燃机燃料的带有一个开关阀的高压泵
JP2004049668A (ja) * 2002-07-23 2004-02-19 Nipro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キット
KR20090023493A (ko) * 2006-06-19 2009-03-04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약액 조제용 키트
JP2009534056A (ja) * 2006-04-18 2009-09-24 チョンシャン ボータイ ファーマシューティック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無菌混合薬剤注射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345Y2 (ja) * 1992-05-01 2000-07-1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剤容器
CN1106189C (zh) * 1993-09-07 2003-04-23 生物技术公司 用于混合两种成份的注射器装置
FR2708469A1 (fr) * 1993-09-07 1995-02-10 Debiotech Dispositif de seringue pour le mélange de deux composés.
US5785682A (en) * 1995-03-22 1998-07-28 Abbott Laboratories Pre-filled syringe drug delivery system
JPH1189934A (ja) * 1997-09-17 1999-04-06 Takeda Chem Ind Ltd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2002177392A (ja) 2000-11-08 2002-06-25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注射器安全装置
WO2004037329A1 (ja) * 2002-10-24 2004-05-06 Terumo Kabushiki Kaisha シリンジ、キャップ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の製造方法
CA2505104A1 (en) * 2002-11-08 2004-05-21 Duoject Medical Systems Inc. Pharmaceutical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040206416A1 (en) * 2003-04-21 2004-10-21 Paradis Joseph R. Safety shield needle protector
DE102004036051A1 (de) * 2004-07-24 2006-02-16 Arzneimittel Gmbh Apotheker Vetter & Co. Ravensburg Spritze
JP2012010930A (ja) * 2010-06-30 2012-01-19 Terumo Corp 薬剤投与具
AU2015326073B2 (en) * 2014-10-01 2019-11-14 Terumo Kabushiki Kaisha Syringe assembly, cap, and puncture needle
EP3275418B1 (en) * 2015-04-30 2020-06-17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Lid cover for drug container
JP6701504B2 (ja) * 2016-03-31 2020-05-27 東亜ディーケーケー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のコントローラ
JP6995277B2 (ja) * 2017-09-26 2022-01-14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用時混合型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164A (ja) 1982-10-27 1984-07-07 デユフアル・インテルナチオナル・レセ−ルフ・ベ−・ヴエ− 皮下注射器
US4568346A (en) * 1982-10-27 1986-02-04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Hypodermic syringe having a telescopic assembly between cartridge and medicament holder
US5088996A (en) * 1984-04-16 1992-02-18 Kopfer Rudolph J Anti-aerosoling drug reconstitution device
US5125908A (en) * 1990-10-19 1992-06-30 Cohen Milton J Hypodermic syringe with protective holder
JPH0531189A (ja) 1991-01-16 1993-02-09 Takeda Chem Ind Ltd 2室型注射器
CN1081360C (zh) * 1996-11-18 2002-03-20 日本电气株式会社 虚拟通道存储系统
CN1133003C (zh) * 1999-07-02 2003-12-31 罗伯特·博希有限责任公司 用于供给内燃机燃料的带有一个开关阀的高压泵
JP2004049668A (ja) * 2002-07-23 2004-02-19 Nipro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キット
JP2009534056A (ja) * 2006-04-18 2009-09-24 チョンシャン ボータイ ファーマシューティック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無菌混合薬剤注射器
KR20090023493A (ko) * 2006-06-19 2009-03-04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약액 조제용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068A (ko) 2021-07-08 2023-01-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약제 혼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7931A4 (en) 2021-12-22
JP7037709B2 (ja) 2022-03-17
EP3777931A1 (en) 2021-02-17
KR102645455B1 (ko) 2024-03-07
CN112543655A (zh) 2021-03-23
JPWO2019189457A1 (ja) 2021-04-22
CN112543655B (zh) 2023-05-16
US20210015708A1 (en) 2021-01-21
WO2019189457A1 (ja)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2347B2 (ja) 注射器装置、並びに医薬を混合及び投与する方法
JP5536305B2 (ja) 注入ポートを通って治療剤を送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200138317A (ko) 2성분 혼합형 프리필드 시린지 키트
EP2754430B1 (en) Medical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medical container
EP0638324A1 (en) Luer needle unit and injector
US20080300536A1 (en) Drug Mixing and Delivery Device
US4401432A (en) Storage, mixing and filtering receptacle for syringe
JPWO2009133755A1 (ja) コネクタ組立体
JPH06506841A (ja) 薬剤、特に、2成分系薬剤投与器
JP2003164508A (ja) 輸液容器
US20150126925A1 (en) Liquid administration device
JP2011167230A (ja) 混合器具
CN108404261B (zh) 药品混合装置以及混合药品的方法
JP7174953B2 (ja) シリンジ用の調製補助具
JP6995277B2 (ja) 用時混合型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WO2012043161A1 (ja) 針付医療器具
US11484661B2 (en) Self-righting device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vertical positioning
JPH10323389A (ja) 2成分混合用溶解液充填注射器
AU2018204678A1 (en) Syringe devices, components of syringe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components and syringe devices
JP5390276B2 (ja) 医療用具セット
JP3303285B2 (ja) 2成分混合用溶解液充填注射器
JP2019024563A (ja) 薬液調製装置
WO2013146049A1 (ja) 液体投与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