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324A - 심 어긋남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심 어긋남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324A
KR20200131324A KR1020207030221A KR20207030221A KR20200131324A KR 20200131324 A KR20200131324 A KR 20200131324A KR 1020207030221 A KR1020207030221 A KR 1020207030221A KR 20207030221 A KR20207030221 A KR 20207030221A KR 20200131324 A KR20200131324 A KR 2020013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swinging
swing
slide member
le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686B1 (ko
Inventor
나오키 마에가와
Original Assignee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빅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빅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91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for adjusting the workpiece relative to the holder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16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for adjusting the tool into its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28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2017/001Measurement or correction of run-out or eccen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 Turning (AREA)

Abstract

축심 방향의 치수를 짧게 구성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는 케이스(2)와, 다이얼 게이지(3)와, 유지부(4)와, 지지부 (5)와, 요동부(6)와, 레버 부재(7)와, 슬라이드 부재(8)를 구비하고, 슬라이드 부재(8)는 다이얼 게이지(3)의 측정자(32)와 접촉하고 있으며, 유지부(4)의 회전에 동기해서 요동부(6) 및 레버 부재(7)가 회전하면서 요동부(6)의 요동량이 레버 부재(7)를 통해 슬라이드 부재(8)에 전달되고, 슬라이드 부재(8)의 축심(MX) 방향을 따르는 이동량에 의거하여 다이얼 게이지(3)가 요동량을 측정한다.

Description

심 어긋남 측정 장치
본 개시는 선반 등의 공구 홀더 부착부의 심 어긋남을 측정하기 위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반 등에 있어서, 워크의 기단부를 회전 기반의 척에 의해 파지하면서 심압대의 센터에 의해 워크를 축심 방향으로 압박한 상태로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킨 워크를 날붙이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정밀도 좋게 선삭하기 위해서 척의 중심과 센터의 중심이 축심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치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척의 중심에 대한 센터의 중심의 축심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을 측정하는 심 어긋남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심 어긋남 측정 장치는 통 형상의 케이스와, 다이얼 게이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부착된 통 형상의 유지체와, 유지체의 기단측에 부착된 지지체와, 유지체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체와, 유지체에 유지되어 슬라이딩체에 요동량을 전달하는 요동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심 어긋남 측정 장치를 척에 파지된 회전 기반에 부착하고, 심압대의 센터 대신에 컵 형상의 안내체를 부착하고, 요동체를 안내체의 내주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회전 기반을 회전시킴으로써 유지체와 함께 요동체가 회전한다. 이 때, 안내체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요동체의 요동량이 전달된 슬라이딩체가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딩체의 기단측에 설치된 직경 방향 연장부가 다이얼 게이지의 측정자에 접촉함으로써 요동체의 요동량을 측정한다. 이 측정의 결과, 요동체의 요동량이 일정하면 척의 중심에 대하여 센터의 중심은 축심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없기 때문에 요동체의 요동량이 일정해질 때까지 센터를 위치 조정 한다.
국제공개 제2018/020646호
특허문헌 1에 기재의 심 어긋남 측정 장치는 슬라이딩체를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요동체의 요동량을 측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축심 방향의 치수가 길어져버린다. 이 때문에 공구 홀더 부착부와 척의 간격이 작은 선반 등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심 어긋남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간편한 구성이며 축심 방향의 치수를 짧게 구성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특징 구성은 축심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눈금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거리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축심과 동축심으로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기단측에서 상기 유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선단측에 유지된 상태로 요동가능한 요동부와, 상기 선단측 또한 상기 요동부보다 상기 기단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축심 방향 및 상기 교차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요동축심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고, 상기 요동부의 요동량이 전달되는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부재보다 상기 기단측의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레버 부재와 접촉해서 상기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다이얼 게이지의 측정자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부의 회전에 동기해서 상기 요동부 및 상기 레버 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요동부의 요동량이 상기 레버 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전달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축심 방향을 따르는 이동량에 의거하여 상기 다이얼 게이지가 상기 요동량을 측정하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서는 측정 대상에 심 어긋남이 있으면 요동부의 요동량이 일정해지지 않고, 그 요동량이 유지부와 동기해서 회전하는 레버 부재를 통해 슬라이드 부재에 전달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따르는 다이얼 게이지가 요동량을 검출한다. 즉, 축심과 동축심으로 회전하는 유지부의 선단측에 유지된 요동부가 요동하고,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부재에 전달된 요동량이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량으로서 검출되는 구성이다. 이렇게 요동부의 요동량이 전달되는 레버 부재의 연장 방향이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요동량이 전달되는 슬라이딩체의 부착 방향을 축심 방향을 따르게 하는 경우에 비해 축심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요동부와 상기 레버 부재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요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요동부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단위 이동량을 변화시키는 단위량 변환 부재를 더 구비한 점에 있다.
요동부의 축심 방향의 치수가 길어지면 요동부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의 단위 이동량이 작아지고, 요동부의 요동량에 대한 다이얼 게이지의 측정자의 변화량이 작아진다. 레버 부재의 직경 방향 치수를 길게 해서 요동부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의 단위 이동량을 크게 하면 심 어긋남 측정 장치가 직경 방향으로 커질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구성과 같이 요동부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의 단위 이동량을 변화시키는 단위량 변환 부재를 요동부에 고정하도록 구성하면 요동부의 축심 방향의 치수가 변경된 것에 의해 레버 부재를 통해 슬라이드 부재에 전달되는 요동량이 변경되었을 경우이어도 단위량 변환 부재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요동부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의 단위 이동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요동부의 축심 방향의 치수가 길어졌을 경우이어도 레버 부재의 직경 방향의 치수를 길게 하는 일 없이 요동부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의 단위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축 방향의 치수에 추가하여 직경 방향의 치수도 콤팩트하게 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요동부의 축심 방향의 치수가 길어졌을 경우이어도 같은 크기로 작성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측정자의 외면이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 중 상기 측정자와 접촉하는 부위는 상기 기단측일수록 상기 축심에 접근하는 경사부를 갖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슬라이드 부재의 측정자와 접촉하는 부위에 경사부를 설치하면 슬라이드 부재의 축심 방향의 이동량을 축심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이동량으로서 다이얼 게이지가 검출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스트로크식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했을 경우, 케이스의 외면 중 축심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이얼 게이지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다이얼 게이지에 의해 축심 방향의 치수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측정자의 외면이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자와 경사부의 접촉이 스무스해져 측정자 및 슬라이드 부재의 장수명화가 도모된다.
도 1은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화살시 단면도이다.
도 5는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 1에 의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 1에 의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 2에 의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개시에 의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 어긋남 측정 장치(1)의 일례로서, 공작 기계로서의 선반에 사용했을 경우로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기본 구성)
도 1에서는 주축심(CX) 주위로 척(91)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90)에 대하여 주축심(CX)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공구 유지기(96)가 부착된 날붙이대(9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구동 장치(90)와 날붙이대(94)는 기대(97)에 의해 주축심(CX)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선반에 있어서는 선삭 대상의 워크(도시 생략)의 기단부를 심 어긋남 측정 장치(1)가 분리된 상태의 척(91)에 의해 파지하여 워크를 주축심(CX) 방향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회전 구동 장치(90)를 작동시킴으로써 워크를 주축심(CX) 주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하는 워크를 공구 유지기(96)에 부착된 날붙이(도시 생략)에 의해 순서대로 선삭하는 것이다. 날붙이는 공구 유지기(96)의 표면에 개구된 구멍인 공구 홀더 부착부(95)에 고정된 공구 홀더(도시 생략)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워크를 정확하게 선삭하기 위해는 척(91)의 주축심(CX)과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중심(95X)을 주축심(CX)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는 워크를 선삭하기 전에 주축심(CX)에 대한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중심(95X)의 심 어긋남을 측정한다.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는 척(91)에 파지된 원반 형상의 회전 기반(93)에 부착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주축심(CX)은 회전 구동 장치(90)에 의해 척(9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심으로서의 주축심(CX)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심 어긋남 측정 장치(1)의 회전축심(MX)(축심의 일례)은 주축심(CX)과 일치한 회전축심(MX) 또는 주축심(CX)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하는 회전축심(MX)이다. 이 회전축심(MX)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제 1 둘레 방향(C1)으로 하고, 주축심(CX)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제 2 둘레 방향(C2)으로 한다. 또한, 직경 방향(R)이란, 회전축심(MX)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직경 방향(R)을 따라 회전축심(M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직경 외방향(R1)으로 하고, 회전축심(MX)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직경 내방향(R2)으로 한다.
도 2~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는 케이스(2)와, 다이얼 게이지(3)와, 유지부(4)와, 지지부(5)와, 요동부(6)와, 레버 부재(7)와, 슬라이드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는 요동부(6)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8)의 단위 이동량을 변화시키는 단위량 변환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는 회전축심(MX)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 구멍(23)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에는 다이얼 게이지(3)의 스템(3a)이 비스(20a)에 의해 직경 외방향(R1)으로 돌출된 고정 부위(2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면이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측정자(32)의 돌출량 및 인퇴(引退)량에 의해 지침이 흔들리는 스트로크식의 다이얼 게이지(3)가 사용되어 있다. 다이얼 게이지(3)는 주지의 구조이며, 측정자(32)의 미소한 이동량을 기어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확대하고, 이것을 본체(31)에 설치된 인디케이터(33)(눈금부의 일례)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다이얼 게이지(3)는 케이스(2)로부터 인디케이터(33)가 노출되도록 케이스(2)에 고정되고, 미소한 거리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케이스(2)에는 일방의 개구(지지부(5)측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직경 내방향(R2)으로 원환 형상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2a)에, 원통 형상의 베어링 지지체(21)에 있어서 직경 외방향(R1)으로 원환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1a)가 복수의 비스(24)로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지지체(21)의 일방의 단부(지지부(5)측의 단부)에는 유지부(4)의 기단측(지지부(5)측) 및 지지부(5)와의 사이에 제 1 베어링(B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지지체(21)의 타방의 단부(요동부(6)측의 단부)에는 유지부(4)와의 사이에 제 2 베어링(B2)이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부재(8)와의 사이에 제 3 베어링(B3)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어링(B1, B2, B3)은 복수의 볼을 유지기에 의해 유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베어링(B1) 및 제 2 베어링(B2)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3 베어링(B3)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베어링(B1) 및 제 2 베어링(B2)을 통해 유지부(4) 및 지지부(5)가 케이스(2)에 고정된 베어링 지지체(21)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상대 회전 시에는 제 1 베어링(B1) 및 제 2 베어링(B2)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베어링(B1) 및 제 2 베어링(B2)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제 3 베어링(B3)을 통해 슬라이드 부재(8)가 베어링 지지체(21)에 대하여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베어링(B1, B2, B3)은 간극이 없는 상태가 바람직하다.
케이스(2)의 일방의 개구는 케이스(2)에 비접촉의 지지부(5)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케이스(2)의 타방의 개구는 케이스(2)에 비접촉의 덮개부(22)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덮개부(22)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부가 유지부(4)에 복수의 비스(22a)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부(4)와 일체로 회전한다(도 4, 도 8 참조). 덮개부(22)의 저부에는 요동부(6)가 요동가능하게 관통된 구멍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4)는 케이스(2)의 관통 구멍(23)에 있어서의 베어링 지지체(21)의 직경 내방향(R2)으로 삽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부(4)는 케이스(2)의 직경 내방향(R2)에 있어서 제 1 베어링(B1) 및 제 2 베어링(B2)을 통해 케이스(2)에 고정된 베어링 지지체(21)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부(4)는 케이스(2)에 대하여 회전축심(MX) 주위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부(4)는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실 원통 형상이며, 기단측에서 지지부(5)에 고정(지지)되고, 선단측(요동부(6)측)에서 요동부(6), 레버 부재(7) 및 덮개부(22)를 유지하고 있다. 유지부(4) 중 요동부(6), 레버 부재(7) 및 덮개부(22)를 유지하는 선단부(41)는 요동부(6) 및 레버 부재(7)를 수용하는 수용부(41a)와, 수용부(41a)의 양측방에서 덮개부(22)에 비스(22a)로 고정되는 고정부(41b)가 플랜지부(41c)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도 3~도 4 참조). 수용부(41a)는 회전축심(MX)과 직교하고, 또한 길이 방향이 다이얼 게이지(3)의 부착 방향을 따르는 긴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41a)에는 고정부(41b)에 고정된 스토퍼 핀(22c)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 핀(22c)은 요동부(6)의 직경 외방향(R1)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후술하는 단위량 변환 부재(9)의 핀(9b)이 접촉하는 스토퍼로 되어 있다.
회전하는 유지부(4)에 대하여 케이스(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케이스(2)에는 고정 웨이트(25)가 직경 외방향(R1)으로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도 2, 도 5~도 9 참조). 고정 웨이트(25)는 케이스(2)의 측면 2개소에 형성된 부착 구멍(25a)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할 수 있다. 부착 구멍(25a)의 내주에는 암나사가 깎여져 있고, 고정 웨이트(25)의 부착 구멍(25a)에 대한 부착 부분에는 수나사가 깎여져 있다. 따라서, 고정 웨이트(25)와 부착 구멍(25a)이 나사 결합함으로써 고정 웨이트(25)가 케이스(2)에 대하여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웨이트(25)는 무겁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웨이트(25)가 부착된 상태로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를 작동시키면 고정 웨이트(25)의 무게에 의해 케이스(2)가 회전축심(MX) 주위로 회전하고, 고정 웨이트(25)가 수직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케이스(2)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고정 웨이트(25)가 자체 무게에 의해 수직 하방에 위치하면 인디케이터(33)는 정면 방향보다 고정 웨이트(25)측으로 조금 기운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심 어긋남 측정 장치(1)의 측방으로부터 인디케이터(33)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고정 웨이트(25)가 부착되는 부착 구멍(25a)은 주축심(CX) 방향으로 볼 때 회전축심(MX)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는 선 대칭의 위치에 1쌍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그 때문에 사용자가 서 있는 위치에 맞춰 어느 하나의 부착 구멍(25a)을 선택하고, 이것에 고정 웨이트(25)를 부착함으로써 심 어긋남 측정 장치(1)의 양측방 중 어느 것을 서 있는 위치로 하는 경우이어도 다이얼 게이지(3)의 인디케이터(33)를 사용자에게 대향시킬 수 있다.
도 2,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5)는 회전 기반(93)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51)와, 심 어긋남 측정 장치(1)의 회전축심(MX)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52)를 갖고 있다. 지지부(5)의 부착부(51)에는 복수의 자석 구멍(5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자석 구멍(57)에 압입 또는 자기력에 의해 부착된 자석(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부(5)가 회전 기반(93)에 부착되어 있다(도 9 참조). 부착부(51) 및 조정부(52)에는 지지부(5)를 유지부(4)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부착 구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조정 슬릿(53)보다 유지부(4)측에 비스(51b)의 머리부가 위치하도록 유지부(4)의 암나사 구멍에 비스(51b)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지지부(5)는 유지부(4)에 고정되어서 유지부(4)와 일체 회전한다.
조정부(52)는 회전축심(MX)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노치된 조정 슬릿(53)과, 조정 슬릿(53)의 양측의 면 중 유지부(4)에 가까운 쪽의 면인 압박면(54a)을 압박해서 조정 슬릿(53)이 열리도록 하는 조정 압박부(54)를 갖고 있다. 조정 슬릿(53)은 회전축심(MX)으로부터 직경 외방향(R1)으로 이간한 위치에 폭 넓게 형성된 확장부(53b)를 갖고 있다. 확장부(53b)는 조정 슬릿(53)의 직경 방향(R)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조정 슬릿(53)의 직경 방향(R)에 있어서의 타단부는 지지부(5)의 직경 외방향(R1)의 외부와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조정 압박부(54)는 회전축심(MX)으로부터 직경 외방향(R1)으로 이간하는 테이퍼 형상의 압박면(5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정 압박부(54)는 회전축심(MX)을 사이에 두고 조정 슬릿(53)의 확장부(53b)와 반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5)를 직경 외방향(R1)으로부터 관통함과 아울러 조정 압박부(54)에 접촉하는 볼(55a)을 선단에 갖는 조정 핸들(55)이 설치되어 있다. 조정 핸들(55)은 지지부(5)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하여 나사 결합가능한 나사를 갖고 있으며, 조정 핸들(55)을 직경 내방향(R2)을 향해 비틀어 박음으로써 테이퍼 형상의 압박면(54a)으로 구성된 조정 압박부(54)에 볼(55a)이 접촉하여 조정 슬릿(53)이 회전축심(MX) 방향으로 열려 가고, 조정 슬릿(53)의 확장부(53b)를 지점으로 지지부(5)가 유지부(4)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간다. 이것에 의해 심 어긋남 측정 장치(1)의 전체의 기울기를 조정 핸들(55)의 비틀어 박음량에 의해 미조정(微調整)할 수 있다.
요동부(6)는 회전축심(MX)으로부터 편심되어 부착되어 있고, 회전축심(MX)과 평행한 편심축심(HX)을 중심에 가지고 요동하는 측정부(61)를 선단에 갖도록 회전축심(M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지부(4)의 선단부(41)에 단위량 변환 부재(9)를 통해 유지되어 있다. 요동부(6)는 측정 대상에 접촉하는 구 형상의 측정부(61)와, 측정부(61)의 요동량을 전달하는 전달부(62)를 갖고 있다. 전달부(62)의 일부가 단위량 변환 부재(9)에 감합되어 있으며, 전달부(62)로부터 전달되는 요동량이 단위량 변환 부재(9)에 직접 전달된다. 단위량 변환 부재(9)는 유지부(4)의 선단부(41)에 고정된 지점축(63)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다. 지점축(63)은 유지부(4)의 고정부(41b)를 관통함과 아울러 선단(63a)이 단위량 변환 부재(9)에 삽입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지점축(63)의 선단(63a)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63a)이 단위량 변환 부재(9)에 설치된 베어링(9a)에 지지되어 있다. 즉, 요동부(6)의 전달부(62)로부터 요동량이 전달된 단위량 변환 부재(9)는 지점축(63) 및 베어링(9a)으로 구성되는 피벗 베어링에 의해 유지부(4)에 대하여 지점축(63) 주위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단위량 변환 부재(9)는 후술하는 레버 부재(7)의 슬라이드 핀(72)에 접촉하는 핀(9b)을 갖고 있으며, 이 핀(9b)은 회전축심(M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또한 다이얼 게이지(3)의 부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3 참조). 요동부(6)의 요동에 의해 단위량 변환 부재(9)가 지점축(63) 주위로 요동하고, 핀(9b)이 후술하는 슬라이드 핀(72)에 접촉함으로써 요동부(6)의 요동량이 레버 부재(7)에 전달된다. 즉, 요동부(6)의 측정부(61)의 측정 대상에 대한 접촉점이 역점으로 됨과 아울러 핀(9b)과 슬라이드 핀(72)의 제 1 접촉점이 작용점으로 되고, 지점축(63)을 지점으로 해서 단위량 변환 부재(9)가 요동한다. 이 때문에 (제 1 접촉점과 지점축(63)의 거리)/(요동부(6)의 측정부(61)의 측정 대상에 대한 접촉점과 지점축(63)의 거리)의 비율에 비례하여 요동부(6)의 요동량이 레버 부재(7)에 전달된다.
레버 부재(7)는 요동부(6)보다 기단측(지지부(5)측)의 위치에 있어서, 회전축심(MX)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 또한 다이얼 게이지(3)의 부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수용부(41a)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부(4)에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위량 변환 부재(9)와 마찬가지로 지점축(71)(요동축심의 일례)과 베어링(도시 생략)으로 구성되는 피벗 베어링에 의해 레버 부재(7)는 유지부(4)에 대하여 지점축(71) 주위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지점축(71)은 단위량 변환 부재(9)의 지점축(63)과 평행하며, 회전축심(MX) 방향 및 레버 부재(7)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또한, 레버 부재(7)에는 지점축(71)을 따라 세워 설치하는 슬라이드 핀(72)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레버 부재(7) 중 지점축(71)과 반대측의 단부의 슬라이드 부재(8)와 대향하는 측에는 구 형상의 볼부(73)가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볼부(73)가 슬라이드 부재(8)에 접촉함으로써 요동부(6)의 요동량이 단위량 변환 부재(9) 및 레버 부재(7)를 통해 슬라이드 부재(8)에 전달된다.
상술한 단위량 변환 부재(9)에 있어서의 핀(9b)이 슬라이드 핀(72)에 접촉하므로 핀(9b)과 슬라이드 핀(72)의 제 1 접촉점이 역점으로 됨과 아울러 볼부(73)와 슬라이드 부재(8)의 제 2 접촉점이 작용점으로 되고, 지점축(71)을 지점으로 해서 레버 부재(7)가 요동한다. 이 때문에 (제 2 접촉점과 지점축(71)의 거리)/(제 1 접촉점과 지점축(71)의 거리)의 비율에 비례하여 레버 부재(7)의 요동량이 슬라이드 부재(8)에 전달된다. 레버 부재(7)의 치수를 일정하게 했을 때, 즉 제 2 접촉점과 지점축(71)의 거리를 일정하게 했을 때, (제 1 접촉점과 지점축(63)의 거리)/((요동부(6)의 측정부(61)의 측정 대상에 대한 접촉점과 지점축(63)의 거리)×(제 1 접촉점과 지점축(71)의 거리))에 비례하여 요동부(6)의 요동량이 슬라이드 부재(8)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요동부(6)의 회전축심(MX) 방향의 길이가 길수록 (제 1 접촉점으로부터 지점축(71)까지의 거리)/(제 1 접촉점으로부터 지점축(63)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제 1 접촉점의 위치를 설정하면 레버 부재(7)의 치수를 길게 하지 않고 요동부(6)의 요동량을 적절한 슬라이드 부재(8)의 이동량으로 변환해서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단위량 변환 부재(9)를 설치함으로써 단위량 변환 부재(9)의 형상이나 슬라이드 핀(72)의 위치를 변경하면 레버 부재(7)의 치수를 변경하는 일 없이 요동부(6)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8)의 단위 이동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슬라이드 부재(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레버 부재(7)보다 기단측(지지부(5)측)의 위치에서 케이스(2)의 관통 구멍(23)에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베어링 지지체(21)의 직경 외방향(R1)으로 제 3 베어링(B3)을 통해 지지되어 있고,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8)의 외면에는 구 형상 부재(8a)가 매설되어 있고, 케이스(2)의 선단측(요동부(6)측)의 개구에 형성된 가이드 홈(2b)을 따라 구 형상 부재(8a)가 슬라이딩 또는 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 형상 부재(8a)가 가이드 홈(2b)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전동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8)가 케이스(2)에 대하여 회전하는 일 없이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슬라이드 부재(8)의 일방의 단부(요동부(6)측의 단부)에는 레버 부재(7)의 볼부(73)가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접촉부(8b)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8)의 타방의 단부(지지부(5)측의 단부)에는 다이얼 게이지(3)의 측정자(32)가 접촉하고, 유지부(4)의 기단측(지지부(5)측)으로 갈수록 회전축심(MX)에 접근하는 경사부(8c)가 둘레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요동부(6)의 측정부(61)에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다이얼 게이지(3)의 돌출측의 압박력에 의해 측정자(32)가 경사부(8c)를 압박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8)가 가장 요동부(6)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위량 변환 부재(9)의 핀(9b)이 스토퍼 핀(22c)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상태로부터 요동부(6)가 요동했을 때, 요동부(6)의 요동량이 전달된 슬라이드 부재(8)가 다이얼 게이지(3)의 돌출측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지지부(5)측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부재(8)의 경사부(8c)를 따라 다이얼 게이지(3)의 측정자(32)가 인퇴한다(도 10 참조).
이렇게 슬라이드 부재(8)에 경사부(8c)를 설치하면 슬라이드 부재(8)의 회전축심(MX) 방향의 이동량을 회전축심(MX)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이동량으로서 다이얼 게이지(3)가 검출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트로크식의 다이얼 게이지(3)를 사용했을 경우, 케이스(2)의 외면 중 회전축심(MX)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이얼 게이지(3)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다이얼 게이지(3)에 의해 회전축심(MX) 방향의 치수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다이얼 게이지(3)의 측정자(32)의 외면이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자(32)와 경사부(8c)의 접촉이 스무스해져 측정자(32) 및 슬라이드 부재(8)의 장수명화가 도모된다.
(측정 방법)
이어서,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를 사용한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심 어긋남의 측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내주에는 요동부(6)의 측정부(61)를 접촉하는 단면 원 형상의 안내면(95b)이 형성되어 있다.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를 회전 기반(93)에 부착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부(6)의 측정부(61)가 안내면(95b)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날붙이대(94)를 주축심(CX)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 때, 안내면(95b)과 측정부(61)가 접촉한 것을 다이얼 게이지(3)의 인디케이터(33)의 흔들림을 확인하면서 회전 기반(93)에 대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1)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고, 최종적으로는 조정 핸들(55)을 비틀어 박아 심 어긋남 측정 장치(1) 전체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미조정한다. 이어서, 안내면(95b)에 요동부(6)의 측정부(61)를 따르게 하면서 회전 구동 장치(90)를 구동시킴으로써 지지부(5), 유지부(4), 레버 부재(7), 단위량 변환 부재(9) 및 요동부(6)를 일체적으로 회전시켜서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심 어긋남을 측정한다.
회전 구동 장치(90)를 회전 구동시키면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는 회전 기반(93)의 회전과 함께 제 2 둘레 방향(C2)을 따라 주축심(CX) 주위로 공전함과 아울러 제 1 둘레 방향(C1)을 따라 회전축심(MX) 주위로 자전한다. 이 때, 고정 웨이트(25)의 무게에 의해 케이스(2) 및 다이얼 게이지(3)는 회전하지 않고 지지부(5),유지부(4), 레버 부재(7), 단위량 변환 부재(9) 및 요동부(6)는 회전축심(MX) 주위로 회전 기반(9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요동부(6)는 회전축심(MX)의 공전 궤적보다 직경 외방향(R1)에 있는 편심축심(HX)의 공전 궤적이 된다.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중심(95X)과 주축심(CX)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1에 있어서, 1점 쇄선은 회전축심(MX)의 공전 궤적을 나타내고, 2점 쇄선은 편심축심(HX)의 공전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파선 원은 공구 홀더 부착부(95) 중 안내면(95b)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자유 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요동부(6)의 측정부(61)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선 원은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안내면(95b)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의 요동부(6)의 측정부(61)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중심(95X)과 주축심(CX)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측정부(61)의 선회가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안내면(95b)에 의해 방해되는 양이 둘레 방향의 장소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즉, 요동부(6)의 요동량은 파선으로 나타내는 측정부(61)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측정부(61)로 이동하는 이동량과 일치하고, 도면 상방에 나타내는 요동량은 도면 하방에 나타내는 요동량에 비해 커져 있다. 이 요동량의 변화는 측정부(61)의 선회에 따라 측정부(61)에 전달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부(61)의 요동에 따라 요동량이 전달부(62)를 통해 단위량 변환 부재(9)에 전달되고, 지점축(63)을 지점으로 해서 단위량 변환 부재(9)가 요동하고, 핀(9b)이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단위량 변환 부재(9)의 요동량이 핀(9b)에 접촉하는 레버 부재(7)의 슬라이드 핀(72)에 전달되고, 레버 부재(7)가 지점축(71)을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고, 볼부(73)가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레버 부재(7)의 요동량이 볼부(73)에 접촉하는 슬라이드 부재(8)의 접촉부(8b)에 전달되고, 슬라이드 부재(8)가 회전축심(MX)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8)의 경사부(8c)에 접촉하고 있는 다이얼 게이지(3)의 측정자(32)가 슬라이드 부재(8)의 회전축심(MX) 방향의 이동량에 의거하는 회전축심(MX)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이동량을 측정부(61)의 요동량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요동부(6)의 직경 외방향(R1)으로의 요동은 스토퍼 핀(22c)에 핀(9b)이 접촉함으로써 규제되고, 요동부(6)의 직경 내방향(R2)으로의 요동은 레버 부재(7)가 플랜지부(41c)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측정부(61)의 요동량을 다이얼 게이지(3)가 검출하기 때문에 요동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다이얼 게이지(3)의 검출값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다이얼 게이지(3)의 검출값(측정부(61)의 요동량)이 일정 또는 소정의 범위내가 될 때까지 날붙이대(94)를 회전축심(M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중심(95X)과 주축심(4CX)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는 다이얼 게이지(3)의 검출값이 일정하게 되지 않는 경우에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중심(95X)과 주축심(CX)의 심 어긋남을 측정할 수 있고, 다이얼 게이지(3)의 검출값이 일정하게 되는 경우에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중심(95X)과 주축심(CX)의 심 어긋남이 없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구 홀더 부착부(95)의 중심(95X)의 기준점(심잡기)이 정확한 것이 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대상에 심 어긋남이 있으면 요동부(6)의 측정부(61)의 요동량이 일정하기 되지 않고 그 요동량이 유지부(4)와 동기해서 회전하는 레버 부재(7)를 통해 슬라이드 부재(8)에 전달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8)의 이동에 따르는 다이얼 게이지(3)가 요동량을 검출한다. 즉, 회전축심(MX)으로 회전하는 유지부(4)의 선단측에 유지된 요동부(6)가 요동하고, 회전축심(M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부재(7)에 전달된 요동량이 슬라이드 부재(8)의 이동량으로서 검출되는 구성이다. 이렇게 요동부(6)의 요동량이 전달되는 레버 부재(7)의 연장 방향이 회전축심(M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회전축심(MX)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 유지기(96)(공구 홀더 부착부(95))와 척(91)의 간격이 작은 선반이어도 심 어긋남 측정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8)와 다이얼 게이지(3)의 측정자(32)를 접촉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8)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스트로크식의 다이얼 게이지(3)에도 측정자(32)의 요동량에 의해 지침이 흔들리는 지렛대식의 다이얼 게이지에도 대응시킬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 부재에는 동일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 1)
도 12~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위량 변환 부재(9)를 생략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부(6)의 전달부(62)의 일부를 레버 부재(7)에 직접 감합하고 있다. 이 경우, 요동부(6)의 측정부(61)의 측정 대상에 대한 접촉점이 역점으로 됨과 아울러 볼부(73)와 슬라이드 부재(8)의 접촉점이 작용점으로 되고, 지점축(71)을 지점으로 해서 레버 부재(7)가 요동한다. 이 때문에 (볼부(73)와 슬라이드 부재(8)의 접촉점과 지점축(71)의 거리)/(요동부(6)의 측정부(61)의 측정 대상에 대한 접촉점과 지점축(71)의 거리)의 비율에 비례하여 요동부(6)의 요동량이 레버 부재(7)에 전달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부(6)의 회전축심(MX) 방향의 치수가 길어졌을 경우, 볼부(73)와 슬라이드 부재(8)의 접촉점과 지점축(71)의 거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직경 치수의 콤팩트화에는 불리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비해 단위량 변환 부재(9)를 생략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심(MX) 방향의 치수를 더 짧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도 12에 나타내는 정면도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정면도에 비해 덮개부(22)의 회전축심(MX) 방향의 치수가 더 짧아져 있다.
(다른 실시형태 2)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부재(8)의 경사부(8c)를 없애고, 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8A)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드 부재(8)에 있어서의 회전축심(MX) 방향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는 지렛대식의 다이얼 게이지(3A)가 사용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1) 상술한 제 1 베어링(B1), 제 2 베어링(B2) 및 베어링 지지체(21) 대신에 유지부(4)와 케이스(2) 사이에 자유 회전하는 내륜을 유지부(4)에 압입함과 아울러 외륜을 케이스(2)에 압입한 구름 베어링을 설치해도 좋다.
(2) 상술한 지지부(5)의 조정부(52)를 생략하고 회전 기반(93)에 대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1)의 부착 위치만을 조정하여 요동부(6)의 측정부(61)가 안내면(95b)에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3) 상술한 유지부(4)와 지지부(5)를 일체로 성형해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선반이나 원통 연삭반 등의 센터의 심 어긋남을 측정하기 위한 심 어긋남 측정 장치에 이용가능하다.
1 심 어긋남 측정 장치 2 케이스
3 다이얼 게이지 4 유지부
5 지지부 6 요동부
7 레버 부재 8 슬라이드 부재
8c 경사부 9 단위량 변환 부재
32 측정자 71 지점축(요동축심)
MX 회전축심(축심)

Claims (2)

  1. 축심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눈금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거리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축심과 동축심으로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기단측에서 상기 유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선단측에 유지된 상태로 요동가능한 요동부와,
    상기 선단측 또한 상기 요동부보다 상기 기단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축심 방향 및 상기 교차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요동축심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고, 상기 요동부의 요동량이 전달되는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부재보다 상기 기단측의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레버 부재와 접촉해서 상기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요동부와 상기 레버 부재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요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요동부의 단위 요동량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단위 이동량을 변화시키는 단위량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다이얼 게이지의 측정자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부의 회전에 동기해서 상기 요동부 및 상기 레버 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요동부의 요동량이 상기 레버 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전달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축심 방향을 따르는 이동량에 의거하여 상기 다이얼 게이지가 상기 요동량을 측정하는 심 어긋남 측정 장치.
  2. 축심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눈금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거리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축심과 동축심으로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기단측에서 상기 유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선단측에 유지된 상태로 요동가능한 요동부와,
    상기 선단측 또한 상기 요동부보다 상기 기단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축심 방향 및 상기 교차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요동축심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고, 상기 요동부의 요동량이 전달되는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부재보다 상기 기단측의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레버 부재와 접촉해서 상기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다이얼 게이지의 측정자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부의 회전에 동기해서 상기 요동부 및 상기 레버 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요동부의 요동량이 상기 레버 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전달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축심 방향을 따르는 이동량에 의거하여 상기 다이얼 게이지가 상기 요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자의 외면이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 중 상기 측정자와 접촉하는 부위는 상기 기단측일수록 상기 축심에 접근하는 경사부를 갖고 있는 심 어긋남 측정 장치.
KR1020207030221A 2018-08-23 2018-08-23 심 어긋남 측정 장치 KR102409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1137 WO2020039539A1 (ja) 2018-08-23 2018-08-23 芯ずれ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324A true KR20200131324A (ko) 2020-11-23
KR102409686B1 KR102409686B1 (ko) 2022-06-16

Family

ID=6959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221A KR102409686B1 (ko) 2018-08-23 2018-08-23 심 어긋남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55654B2 (ko)
EP (1) EP3842731B1 (ko)
JP (1) JP7116963B2 (ko)
KR (1) KR102409686B1 (ko)
CN (1) CN112119279B (ko)
TW (1) TWI808240B (ko)
WO (1) WO2020039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9539A1 (ja) * 2018-08-23 2020-02-27 Big Daishowa株式会社 芯ずれ測定装置
JP6614626B1 (ja) * 2019-06-04 2019-12-04 株式会社精工技研 偏心測定装置
CN113739702B (zh) * 2020-05-27 2024-07-12 台达电子(东莞)有限公司 Oa轴芯尺寸量测装置及方法
JP6868147B1 (ja) * 2020-08-04 2021-05-12 Dmg森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検知方法、および、検知プログラム
ES2961960T3 (es) * 2021-06-07 2024-03-14 Heidenhain Gmbh Dr Johannes Método para posicionar un cuerpo con una escala de ángulo
CN114193232B (zh) * 2021-11-26 2023-09-19 齐齐哈尔二机床(集团)有限责任公司 重型落地镗铣床五轴刀尖跟随功能精度测量装置及方法
CN115289947B (zh) * 2022-09-28 2023-01-31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同轴度检测装置
CN116117599B (zh) * 2022-11-25 2024-05-14 重庆大学 齿轮加工机床刀架倾转轴中心位置测量方法
US11988507B1 (en) * 2023-01-04 2024-05-21 China National Chemical Engineering Third Construction Co., Ltd Calcul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chanism for compressor unit single meter alignment pad iron adjust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8882U (ko) * 1971-04-05 1972-11-02
JPH05269520A (ja) * 1992-03-25 1993-10-19 Sumitomo Metal Ind Ltd 横型押出プレスの偏芯測定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芯測定用治具
JP2011209063A (ja) * 2010-03-29 2011-10-20 Aisin Seiki Co Ltd 歯車形状測定装置
WO2018020646A1 (ja) 2016-07-28 2018-02-01 Big Daishowa株式会社 芯ずれ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7316A (en) * 1956-06-06 1959-01-14 William Edward Fi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ttachments for use with dial indicators
GB813075A (en) 1956-02-10 1959-05-06 Standard Gage Co Inc Improvements in dial indicator gage
GB892172A (en) 1958-12-23 1962-03-21 Deckel Friedrich W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canning lever measuring appliances
US3102343A (en) 1958-12-23 1963-09-03 Deckel Friedrich W Measur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s
US3115710A (en) * 1960-03-28 1963-12-31 John L Blake Indicator device
CH516372A (de) 1969-04-21 1971-12-15 Deckel Ag Friedrich Zentriergerät
DE2340744C3 (de) 1973-08-11 1978-09-14 Feinmechanik Michael Deckel, 8120 Weilheim Zentriergerät
GB1416776A (en) 1973-08-15 1975-12-10 Atomic Energy Authority Uk Devices for aligning a point on a workpiece relative to a central axis of a tool holder
CH584088A5 (ko) 1974-10-24 1977-01-31 Tesa Sa
SU663491A1 (ru) 1977-04-26 1979-05-2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921 Устройство дл центрировани издели по оси
US4439925A (en) 1982-03-03 1984-04-03 Rca Corporation Concentricity measuring instrument
JPS5989202U (ja) 1982-12-07 1984-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雌螺子真円度ゲ−ジ
JPH0533921Y2 (ko) 1987-06-04 1993-08-27
JP3406044B2 (ja) 1994-02-17 2003-05-12 大昭和精機株式会社 ダイヤルゲージ式芯出し装置
EP0759148A1 (en) * 1994-03-18 1997-02-26 Taylor Hobson Limited Metrological stylus assembly
JP3633733B2 (ja) 1996-09-19 2005-03-30 株式会社ミツトヨ 揺動量の倍率変換機構
JP3335550B2 (ja) * 1997-04-30 2002-10-2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機械側の軸とモータシャフト間の心出し構造
JP3742991B2 (ja) * 2003-09-25 2006-02-08 京都精密工業株式会社 同芯度測定ゲージ
JP5639453B2 (ja) * 2010-01-07 2014-12-10 株式会社ミツトヨ てこ式検出器、スタイラス、及びスタイラス自動交換装置
CN102468941B (zh) 2010-11-18 2014-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丢包处理方法及装置
JP5782863B2 (ja) * 2011-06-24 2015-09-24 株式会社アルバック 表面形状測定用触針式段差計の性能改善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した表面形状測定用触針式段差計
CN202393334U (zh) * 2011-12-09 2012-08-22 昆山恒源机械制造有限公司 同轴度垂直度检具
CN203405165U (zh) 2013-09-03 2014-01-22 山东精良海纬机械有限公司 箱体孔形位误差检测装置
JP6525737B2 (ja) * 2015-05-29 2019-06-05 東芝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
KR102166061B1 (ko) * 2016-09-06 2020-10-15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공구용 척 및 공구 유지 방법 및 공구 분리 방법
CN106482619A (zh) 2017-01-05 2017-03-08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强制对中测量标志同轴性精度检测装置
WO2018158920A1 (ja) * 2017-03-02 2018-09-07 Big Daishowa株式会社 工具ホルダの工具締付方法及び工具ホルダ
CN107631674A (zh) 2017-10-31 2018-01-26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气缸盖气门座孔对导管底孔的同轴度检具
WO2020039539A1 (ja) * 2018-08-23 2020-02-27 Big Daishowa株式会社 芯ずれ測定装置
JP2020153720A (ja) * 2019-03-18 2020-09-24 均 松田 軸芯ずれ測定具およびバランス調整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8882U (ko) * 1971-04-05 1972-11-02
JPH05269520A (ja) * 1992-03-25 1993-10-19 Sumitomo Metal Ind Ltd 横型押出プレスの偏芯測定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芯測定用治具
JP2011209063A (ja) * 2010-03-29 2011-10-20 Aisin Seiki Co Ltd 歯車形状測定装置
WO2018020646A1 (ja) 2016-07-28 2018-02-01 Big Daishowa株式会社 芯ずれ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19279B (zh) 2022-07-19
JPWO2020039539A1 (ja) 2021-09-24
TW202014662A (zh) 2020-04-16
CN112119279A (zh) 2020-12-22
WO2020039539A1 (ja) 2020-02-27
JP7116963B2 (ja) 2022-08-12
EP3842731B1 (en) 2024-03-06
TWI808240B (zh) 2023-07-11
US11255654B2 (en) 2022-02-22
EP3842731A1 (en) 2021-06-30
KR102409686B1 (ko) 2022-06-16
EP3842731A4 (en) 2022-04-06
US20210254956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1324A (ko) 심 어긋남 측정 장치
CN108778619B (zh) 偏心测量装置
US6053678A (en) Rotary tool holder with a balance device
US3000240A (en) Eccentrically adjustable tool holder
CN107208995B (zh) 用于测量以一片式形成的阀座的装置和方法
CN207439332U (zh) 单向传动齿圈同轴度检测工装
RU12884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режущей кромки резца в высокоточных токарных станках с чпу перед обработкой
JPS6318881Y2 (ko)
JP2509166Y2 (ja) デファレンシャルケ―スの球心位置測定装置
EP0648565A1 (en) A device for connecting an instrument with a calibrated scale for measuring micrometric lengths to the head of a machine tool
JPH0752565Y2 (ja) 測定装置
US2849799A (en) Feeler-device
JPS5953107A (ja) チヤツク
JP3918737B2 (ja) 内径測定具
JPH0632562Y2 (ja) 同心度測定装置
JP2546928Y2 (ja) 芯出しゲ−ジ
US3343269A (en) Bore-inserted surface perpendicularity gauge
JPS6343010Y2 (ko)
JP2023012178A (ja) 加工位置決め方法及び位置決め用器具
JPH0419446Y2 (ko)
JPH0441283Y2 (ko)
JPS637253A (ja) 位置決めインジケ−タ
JP2000329508A (ja) タッチプローブ
JPH0511564B2 (ko)
JPH0538899A (ja) 製図機及び製図用スケ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