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397A -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397A
KR20200130397A KR1020207028909A KR20207028909A KR20200130397A KR 20200130397 A KR20200130397 A KR 20200130397A KR 1020207028909 A KR1020207028909 A KR 1020207028909A KR 20207028909 A KR20207028909 A KR 20207028909A KR 20200130397 A KR20200130397 A KR 20200130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dye
conductive
thermoplastic resin
conduct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670B1 (ko
Inventor
신고 츠카구치
다이요 아오야기
Original Assignee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02Methods
    • B29B7/007Methods for continuous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7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B7/726Measuring properties of mixture, e.g. temperature or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3Solid polymers with solid and/or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08K5/08Qui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 C08K5/235Diazo and polyaz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7Six-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08K5/344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1/00Use of polymers hav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29K2081/04Polysulfides, e.g. PPS, i.e. polyphenylene sulfide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2Agents changing electric characteristics
    • B29K2105/0023Agents changing electric characteristics improving electric con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32Pigments, colouring agents or opacifiy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 B29K2105/12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microfibres or nanofi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29K2995/0005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Polysulf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1/04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Abstract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특성이 유지되기 쉽고, 도전성 필러의 배합량이 적어도, 보다 우수한 도전성을 나타내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나 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카본 나노튜브 등의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이다.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인 페리논계 염료나 디스아조계 염료 등의 염료를 추가로 함유하고, 열가소성 수지, 도전성 필러 및 염료를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절연성의 열가소성 수지에 도전성 필러를 배합하고, 열가소성 수지에 도전성을 부여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성 필러로서는, 금속 섬유나 금속 분말 등의 금속 재료 외, 카본 나노튜브나 카본 블랙 등의 탄소계 재료 등이 있다. 이들 도전성 필러를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하여 얻어지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전자ㆍ전기 부품 등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하는 도전성 필러의 양은, 소정의 도전성이 부여되는 범위 내이면,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필러의 배합량을 적게 하면,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특성이 유지되기 쉬워짐과 함께, 비용면에서도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근년, 얻어지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도전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도전성 필러의 형상이나 비표면적 등의 물성을 제어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을 더 배합한다고 한 시도도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직경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탄소 섬유를, 그의 파단율을 20% 이하로 억제하여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하여 얻어지는 도전성의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탄소계의 도전성 필러 및 알킬술폰산 금속염을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한 도전성의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도전성이 성형 방법에 의해 변동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사출 성형인 경우, 고속으로 사출할수록 도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성형 방법에 의거하지 않고 도전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전성 재료의 증량이나, 수지와의 상용성이 낮은 제3 성분의 첨가 등의 재료면에서의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6-0970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77313호 공보 일본 특허 제607654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서 제안된 수지 조성물이어도, 반드시 도전성이 충분히 향상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수지 조성물은, 도전성 필러인 탄소 섬유의 형상 등을 엄밀하게 제어하여 제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범용성에 약간 부족한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된 수지 조성물은, 알킬술폰산 금속염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특성이 손상되기 쉬워진다고 한 우려도 있다.
또한, 도전성 재료의 증량이나 제3 성분의 첨가 등의 고안에 의해, 어느 정도 도전성이 양호한 수지 조성물을 얻는 것은 가능하였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 이외의 성분의 함유 비율이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특성이 손상되기 쉽다고 한 과제가 있었다. 또한, 성형 방법에 구애되지 않고, 도전성이 우수한 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안정되게 제조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과제로 하는 바는,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특성이 유지되기 쉽고, 도전성 필러의 배합량이 적어도, 보다 우수한 도전성을 나타내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로 하는 바는, 상기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간편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도전성을 향상시킨다」라고 한 기능을 갖는 것이 종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염료를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1] 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이며,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인 염료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상기 도전성 필러 및 상기 염료를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여 얻어지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
[2] 상기 원료 혼합물을, 상기 염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여 얻어지는 상기 [1]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
[3]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술피드의 적어도 어느 것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
[4] 상기 염료가, 페리논계 염료, 페릴렌계 염료, 퀴놀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디스아조계 염료 및 티오크산텐계 염료의 적어도 어느 것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
[5] 상기 도전성 필러가, 카본 블랙, 멀티월 카본 나노튜브, 싱글 월 카본 나노튜브, 그래파이트 및 그래핀의 적어도 어느 것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
[6] 상기 염료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질량부이며,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질량부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열가소성 수지, 도전성 필러 및 염료를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는 공정을 갖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상기 원료 혼합물을, 상기 염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는 상기 [7]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상기 원료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는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도전성 필러의 배합량이 적어도, 보다 우수한 도전성을 나타내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간편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전성 수지 조성물>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것이며,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인 염료를 더 함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도전성 필러 및 염료를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 바람직하게는 염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페닐렌술피드, 액정 폴리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술피드,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탈(POM)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술피드가 바람직하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수지 조성물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7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70질량% 미만이면,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도전성 필러)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도전성 필러를 함유한다. 도전성 필러로서는,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퍼니스 블랙 등의 카본 블랙 외, 멀티월 카본 나노튜브, 싱글 월 카본 나노튜브, 컵 스택형 카본 나노튜브, 그래파이트, 그래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본 블랙, 멀티월 카본 나노튜브, 싱글 월 카본 나노튜브, 컵 스택형 카본 나노튜브가 바람직하고, 카본 블랙, 멀티월 카본 나노튜브, 싱글 월 카본 나노튜브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도전성 필러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수지 조성물 중의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와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5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수지와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미만이면,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물의 도전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한편,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수지와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 초과이면,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특성이 손상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염료)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인 염료를 함유한다. 염료와 도전성 필러를 비교하면, 염료의 쪽이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다. 이 때문에, 염료를 함유시킴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도전성 필러가 수지 조성물의 표면에 배향되기 쉬워져,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표면 저항값이 낮아진다(도전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즉, 염료는, 수지 중에 있어서의 도전성 필러의 분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기능을 갖는 성분이며, 염료가 분산재로서 기능함으로써 도전성 필러가 수지 중에 양호한 상태에서 분산되고,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도전성이 저하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도전성 필러의 배합량이 적은 경우에도, 보다 우수한 도전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전성 필러의 배합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특성이 유지되기 쉽다고 한 이점도 있다.
염료로서는, 수지를 착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염료(수지 착색용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염료로서는, 페리논계 염료, 디스아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복소환계 염료, 페릴렌계 염료, 아조계 염료, 메틴계 염료, 나프탈이미드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쿠마린계 염료, 안트라피리돈계 염료, 아진계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티오인디고계 염료, 퀴놀린계 염료, 티오크산텐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적은 양으로 도전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페리논계 염료, 페릴렌계 염료, 퀴놀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디스아조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및 티오크산텐계 염료가 바람직하고, 페리논계 염료, 페릴렌계 염료, 퀴놀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및 티오크산텐계 염료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염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수지 조성물 중의 염료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와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3 내지 1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염료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수지와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미만이면, 도전성의 향상 효과가 약간 부족한 경우가 있다. 한편, 염료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수지와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초과이면, 블리드 아웃이나, 기계 물성의 저하 등의 우려가 있다.
(그 밖의 성분)
도전성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 도전성 필러 및 염료 이외의 성분(그 밖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난연제, 활제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도전성 필러 및 염료를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원료 혼합물을,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는 공정(혼련ㆍ성형 공정)을 갖는다.
혼련ㆍ성형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도전성 필러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그 밖의 성분을 용융 혼련한 후,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을 조립한다. 용융 혼련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용융 혼련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텀블러나 헨쉘 믹서를 비롯한 고속 믹서 등의 각종 혼합기를 사용하여 각 성분을 미리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롤, 플라스토 그래프,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니더 등의 혼련 장치로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2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에, 조립한 펠릿과 염료를 혼합하여 원료 혼합물을 얻음과 함께, 얻어진 원료 혼합물을,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한다. 이에 의해, 도전성 수지 조성물(도전성 수지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원료 혼합물을 혼련 또는 성형할 때의 온도가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미만이면, 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원료 혼합물을, 염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원료 혼합물을 혼련 또는 성형하면, 염료를 열가소성 수지 중에 보다 양호한 상태에서 용융시킬 수 있고, 얻어지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도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성형 방법으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하기 위한 공지된 성형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성형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사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압출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원료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는 것이, 보다 생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법으로서는, 공지된 사출 성형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얻어지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도전성은 성형 방법에 의해 변동한다. 특히, 사출 성형인 경우, 고속으로 사출할수록 얻어지는 제품의 도전성이 저하되기 쉽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임과 함께, 도전성 필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분산제로서의 기능도 갖는 것이 기대되는 염료를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상술한 특정의 조건에서 혼련 또는 성형한다. 이 때문에, 사출 성형에 의해, 그 중에서도 고속으로 사출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원료 혼합물을 성형한 경우에도, 얻어지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도전성이 저하되기 어렵고, 도전성이 우수한 도전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사출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도 도전성이 우수한 도전성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기 때문에, 단시간에 대량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도전성 수지 조성물(사출 성형물)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카르보네이트(상품명 「L1225WP」, 데이진사제, 융점: 약 250℃) 95부 및 멀티월 카본 나노튜브(MWNT, 상품명 「NC7000」, Nanocyl사제) 5부를 믹서(상품명 「슈퍼 믹서 형식 SMB-20」, 가와다 세이사쿠쇼사제)에 투입하고, 1분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설정 온도 280℃의 2축 압출기(상품명 「TEX30」, 닛폰 세코쇼사제)에 얻어진 혼합물을 투입하고, 용융 혼련 및 조립하여 조립물(造粒物)을 얻었다. 얻어진 조립물, 및 Solvent Red 179(상품명 「MACROLEX RED E2GGRAN」, 랑세스사제) 0.5부를 폴리에틸렌 봉지에 넣어서 혼합하고, 원료 혼합물 1을 얻었다.
사출 성형기(형식 「J110AD-180H」, 니혼 세코쇼제)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120℃의 조건에서 얻어진 원료 혼합물 1을 저속(20㎜/s) 및 고속(300㎜/s)의 2 패턴으로 사출 성형하여 플레이트(150㎜×80㎜×2㎜t)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20, 비교예 1 내지 7)
표 1-1 및 1-2에 나타내는 배합(단위: 부)으로 한 것 이외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원료 혼합물 2 내지 24를 조제하였다. 또한, 원료 혼합물 1대신에, 조제된 원료 혼합물 2 내지 24를 각각 사용한 것 및 실린더 온도를 표 3에 나타내는 온도(성형 온도)로 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염료의 상세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융점은 약 220℃이고, 폴리페닐렌술피드의 융점은 약 280℃이고, 폴리아미드 6의 융점은 약 225℃이다. 또한, 표 1-1 및 1-2 중의 「카본 블랙」은, 덴카사제의 아세틸렌 블랙(상품명 「덴카 블랙 입상」)이다.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평가(1)>
(표면 저항값의 측정(1))
저항률계(상품명 「로레스타 GP」, 형식 「MCP-HT450」, 미츠비시 케미컬 애널리테크사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플레이트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브에는 ASP 프로브(형번 「MCP-TP03P」, 미츠비시 케미컬 애널리테크사제)를 사용하여, 인가 전압 90V의 조건에서 플레이트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4
<도전성 수지 조성물(프레스 성형물)의 제조>
(실시예 21)
폴리카르보네이트(상품명 「L1225WP」, 데이진사제, 융점: 약 250℃) 100부, 싱글 월 카본 나노튜브(SWNT, 상품명 「TUBALL」, OCSiAl사제) 0.03부 및 Solvent Red 179(상품명 「MACROLEX RED E2GGRAN」, 페리논계 염료, 융점 255℃, 랑세스사제) 0.05부를 설정 온도 280℃의 라보 플라스토밀(도요 세이키사제)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설정 온도 280℃의 프레스 성형기(신도 긴조쿠 고교쇼사제)를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하고, 1㎜t의 프레스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Solvent Red 179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전술한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프레스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평가(2)>
(표면 저항값의 측정(2))
전술한 「표면 저항값의 측정(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한 프레스 성형물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1에서 얻은 프레스 성형물의 표면 저항값은 8.60E+06(Ω/□)이며, 비교예 8에서 얻은 프레스 성형물의 표면 저항값은 1.00E+08≤(Ω/□)이었다.
본 발명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전자ㆍ전기 부품 등의 구성 재료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열가소성 수지 및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로서,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인 염료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상기 도전성 필러 및 상기 염료를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여 얻어지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을, 상기 염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여 얻어지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술피드의 적어도 어느 것인, 도전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가, 페리논계 염료, 페릴렌계 염료, 퀴놀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디스아조계 염료 및 티오크산텐계 염료의 적어도 어느 것인, 도전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가, 카본 블랙, 멀티월 카본 나노튜브, 싱글 월 카본 나노튜브, 그래파이트 및 그래핀의 적어도 어느 것인, 도전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질량부이며,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질량부인, 도전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도전성 필러 및 염료를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는 공정을 갖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을, 상기 염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혼련 또는 성형하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07028909A 2018-03-20 2019-03-18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34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2474 2018-03-20
JP2018052474 2018-03-20
PCT/JP2019/011089 WO2019181828A1 (ja) 2018-03-20 2019-03-18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397A true KR20200130397A (ko) 2020-11-18
KR102334670B1 KR102334670B1 (ko) 2021-12-06

Family

ID=6798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909A KR102334670B1 (ko) 2018-03-20 2019-03-18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49421B2 (ko)
EP (1) EP3770220A4 (ko)
JP (1) JP6852223B2 (ko)
KR (1) KR102334670B1 (ko)
CN (1) CN111902488A (ko)
MX (1) MX2020008297A (ko)
TW (1) TW201941222A (ko)
WO (1) WO2019181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5017A (zh) * 2020-06-30 2023-03-31 宝理塑料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部件及其制造方法以及热塑性树脂组合物的导电性表达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542A (ja) 1983-10-03 1985-05-01 Mitsubishi Metal Corp 導電性樹脂
JPS60144367A (ja) * 1984-01-05 1985-07-30 Dainichi Seika Kogyo Kk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097006A (ja) 2004-08-31 2006-04-13 Showa Denko Kk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2007277313A (ja) 2006-04-03 2007-10-25 Asahi Kasei Chemicals Corp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09518463A (ja) * 2005-11-30 2009-05-07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導電性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2010006998A (ja) * 2008-06-28 2010-01-14 Mitsubishi Materials Corp 導電性樹脂組成物とその用途
JP2014098849A (ja) * 2012-11-15 2014-05-29 Konica Minolta Inc 液体現像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7608A (en) 1982-08-20 1984-10-16 Ciba-Geigy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graphite
US6207344B1 (en) 1999-09-29 2001-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for laser marking
US20040217332A1 (en) * 2001-07-04 2004-11-04 Reinhard Wagener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8999200B2 (en) * 2002-07-23 2015-04-0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DE10259498A1 (de) * 2002-12-19 2004-07-01 Bayer Ag Leitfähige Thermoplaste mit Ruß und Kohlenstoff-Nanofibrillen
JP4938315B2 (ja) 2006-01-17 2012-05-23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40141145A (ko) 2013-05-31 2014-12-10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6261957B2 (ja) 2013-11-11 2018-01-17 旭化成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漆黒部品及び自動車内装部品
JP6568524B2 (ja) * 2013-12-18 2019-08-28 ティコナ・エルエルシー 管状用途において用いるための伝導性熱可塑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542A (ja) 1983-10-03 1985-05-01 Mitsubishi Metal Corp 導電性樹脂
JPS60144367A (ja) * 1984-01-05 1985-07-30 Dainichi Seika Kogyo Kk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097006A (ja) 2004-08-31 2006-04-13 Showa Denko Kk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2009518463A (ja) * 2005-11-30 2009-05-07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導電性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2007277313A (ja) 2006-04-03 2007-10-25 Asahi Kasei Chemicals Corp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10006998A (ja) * 2008-06-28 2010-01-14 Mitsubishi Materials Corp 導電性樹脂組成物とその用途
JP2014098849A (ja) * 2012-11-15 2014-05-29 Konica Minolta Inc 液体現像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81828A1 (ja) 2020-07-02
EP3770220A1 (en) 2021-01-27
TW201941222A (zh) 2019-10-16
US20210043336A1 (en) 2021-02-11
WO2019181828A1 (ja) 2019-09-26
JP6852223B2 (ja) 2021-03-31
US11749421B2 (en) 2023-09-05
CN111902488A (zh) 2020-11-06
EP3770220A4 (en) 2021-12-15
KR102334670B1 (ko) 2021-12-06
MX2020008297A (es)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738B1 (ko) 고분자/필러의 전기전도성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530443C (zh) 导电热塑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30957B1 (ko) 전도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US5958303A (e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KR100793396B1 (ko) 전기 전도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2532839A (zh) 一种高性能导电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643528A (zh) 一种高温防静电聚苯醚复合工程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80075953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s with Resin and Vgcf, Production Process, and Use Thereof
KR102334670B1 (ko)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499973B (zh) 一种导电碳纤维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3450897B2 (ja) 導電性樹脂マスターバッチペレット及び導電性熱可塑性樹脂製品
KR20170112929A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전기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277442A (ja)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755161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889B2 (ja) ポリフエニレンサルフアイド樹脂組成物
KR101363596B1 (ko) 고분자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4429706B2 (ja)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KR101593752B1 (ko)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5171198A (ja)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298988B2 (ja) 導電性樹脂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
TH2001005192A (th) องค์ประกอบเรซินนำไฟฟ้า และ วิธีการสำหรับการผลิตสิ่งเดียวกันนี้
JPH0873655A (ja)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法
JP2003342474A (ja) 導電性樹脂材料
JP2001329179A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40147296A (ko)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과 제조 방법,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