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508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508A
KR20200128508A KR1020207005908A KR20207005908A KR20200128508A KR 20200128508 A KR20200128508 A KR 20200128508A KR 1020207005908 A KR1020207005908 A KR 1020207005908A KR 20207005908 A KR20207005908 A KR 20207005908A KR 20200128508 A KR20200128508 A KR 20200128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frame
driver
combin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모리카와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52749A external-priority patent/JP68982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52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7122134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05Arrangements of coup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운전 좌석(6a)의 전방에서 조향 핸들(6b)을 지지하는 프런트 칼럼(6c)과, 운전 좌석(6a)의 후방에서 섀시 프레임(10)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부(65)를 구비하고, 프런트 칼럼(6c)은 캐빈(7)을 부착 가능한 프런트 칼럼 프레임(61)을 갖고, 후방 프레임부(65)는 섀시 프레임(10)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복수의 종 프레임(66L, 66R)과, 종 프레임(66L, 66R)에 부착됨과 아울러, 캐빈(7)을 부착 가능한 상부 지지 프레임(69)을 갖는다.

Description

콤바인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며, 특별히는 콤바인의 캐빈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캐빈을 구비하지 않는 사양과,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캐빈을 구비하는 사양이 존재한다. 그런데 유저는 구입 시에 캐빈 없는 사양인지, 캐빈 사양인지를 선택할 필요가 있으며, 구입 시에 캐빈 없는 사양을 선택한 경우 캐빈 사양을 새롭게 구입하지 않으면 캐빈 사양의 콤바인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일본 특허공개 2013-7827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8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 6-1543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캐빈 없는 사양을 사후적으로 캐빈 사양으로 변경 가능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운전석의 전방에서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프런트 칼럼과,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서 섀시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런트 칼럼은 캐빈을 부착 가능한 제 1 부착부를 갖고,
상기 후방 프레임부는 상기 섀시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복수의 종 프레임과, 상기 종 프레임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캐빈을 부착 가능한 제 2 부착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부착부는 상기 탈곡부에 연결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의 하방에 엔진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부는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종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종 프레임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자세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부착부를 갖고,
상기 캐빈은 상기 제 2 부착부의 상부에 재치된 상태로 상기 제 2 부착부에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부 및 상기 캐빈에는 상기 후방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캐빈의 위치를 규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착부에는 머플러의 전방측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가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빈 없는 사양의 콤바인을 사후적으로 캐빈 사양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프런트 칼럼과 복수의 종 프레임에 의해 캐빈의 전후좌우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캐빈을 사후적으로 부착한 경우에도 캐빈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캐빈 없는 사양의 콤바인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캐빈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캐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운전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캐빈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좌측 전방부의 부착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우측 전방부의 부착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c는 좌측 후방부의 부착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d는 우측 후방부의 부착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e는 우측 저부의 부착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운전부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운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콤바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콤바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캐빈을 분리한 상태의 콤바인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캐빈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캐빈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캐빈 내의 정면도이다.
도 14b는 캐빈 내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운전부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6은 캐빈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좌측 창의 내장측의 하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우측 창의 외장측의 상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루프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아우터 루프를 분리한 상태의 캐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에어컨용 외기 도입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콘덴서용 외기 도입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조]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100)의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및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는 콤바인(10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콤바인(100)은 주로 주행 장치(1)와, 예취 장치(2)와, 탈곡 장치(3)와, 선별 장치(4)와, 저류 장치(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행 장치(1)는 섀시 프레임(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 장치(1)는 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과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된 크롤러 장치(11)를 구비한다. 트랜스미션은 엔진(90)(도 8을 참조)의 동력을 크롤러 장치(11)에 전달한다. 크롤러 장치(11)는 콤바인(100)을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거나, 콤바인(100)을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키거나 한다.
예취 장치(2)는 주행 장치(1)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예취 장치(2)는 릴(21)과, 커터(예취날)(22)와, 오거(횡 이송 스크루)(23)와, 피더(24)를 구비한다. 릴(21)은 회전함으로써 포장의 곡간(穀桿)을 커터(22)로 안내한다. 커터(22)는 릴(21)에 의해 안내된 곡간을 절단한다. 오거(23)는 커터(22)에 의해 절단된 곡간을 소정 위치에 집합시킨다. 피더(24)는 예취 장치(2)에서 예취한 곡간을 피더 하우스(25)를 통해 탈곡 장치(3)에 공급한다. 피더 하우스(25)에는 오거(23)에 의해 집합시킨 곡간을 로터까지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가 내장되어 있다.
탈곡 장치(3)는 예취 장치(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3)는 급동(扱胴)과, 수망(受網)과, 프런트 로터를 구비한다. 급동은 회전함으로써 곡간을 탈곡한다. 또한, 급동은 회전함으로써 곡간을 반송한다. 수망은 급동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을 지지함과 아울러, 탈곡물을 선별 장치(4)로 낙하시킨다. 프런트 로터는 피더(24)가 반송해 온 곡간을 탈곡 장치(3)로 송출한다. 또한, 프런트 로터는 곡간을 반송할 뿐만 아니라 예비적인 탈곡(프리 탈곡)을 행하는 기능도 갖는다.
선별 장치(4)는 탈곡 장치(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선별 장치(4)는 요동 장치와, 송풍 장치(당기)를 구비한다. 요동 장치는 탈곡물을 체로 쳐서 곡립을 선별한다. 요동 장치에서 선별된 곡립은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고, 투입구를 통해 그레인 탱크(51)에 투입된다. 송풍 장치는 탈곡물에 포함되는 지푸라기 등의 협잡물을 날려보냄으로써 곡립의 선별을 보조한다. 지푸라기 등의 협잡물은 선별 장치(4)의 후방에 형성된 배간구(排稈口)(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저류 장치(5)는 탈곡 장치(3) 및 선별 장치(4)의 우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3) 및 선별 장치(4)와 저류 장치(5)는 섀시 프레임(10)의 상방에서 좌우로 병렬 배치된다. 저류 장치(5)는 그레인 탱크(51)를 구비한다. 그레인 탱크(51)는 선별 장치(4)로부터 반송되어 온 곡립을 저류한다. 배출 오거(52)는 그레인 탱크(51) 내의 곡립을 배출할 때에 사용된다. 배출 오거(52)는 곡립의 배출 작업을 행할 때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어 곡립을 임의의 장소에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6)는 그레인 탱크(51)의 전방에서 기체의 우측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6)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6a), 그 운전 좌석(6a)의 전방에 배치된 조향 핸들(6b), 조향 핸들(6b)의 스티어링축을 지지하는 핸들 칼럼의 전방에 배치된 프런트 칼럼(6c) 등을 구비하고, 그들의 주위에 변속 레버나 클러치 레버, 스위치류 등 여러 가지의 조작구가 배치되어 있다. 운전부(6)의 운전 좌석(6a), 조향 핸들(6b), 프런트 칼럼(6c) 등(도 3 참조)은 캐빈(7)으로 덮인다.
운전부(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운전부 프레임(60)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 프레임(60)은 섀시 프레임(10) 상에 재치된다. 운전부 프레임(60)은 프런트 칼럼 프레임(61)과, 프런트 칼럼 프레임(6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스텝 프레임(62L, 62R)과, 스텝 프레임(62L, 62R)의 후단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플로어 프레임(63)과, 플로어 프레임(63)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배면 플레이트(64)와, 배면 플레이트(64)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부(65)를 구비한다.
프런트 칼럼 프레임(61)은 프런트 칼럼(6c)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며, 정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을 하고 있다. 프런트 칼럼 프레임(61)은 상부 프런트 칼럼 프레임(611), 하부 프런트 칼럼 프레임(612), 좌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L), 우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R)으로 구성된다. 상부 프런트 칼럼 프레임(611) 및 하부 프런트 칼럼 프레임(61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L) 및 우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R)은 상부 프런트 칼럼 프레임(611)과 하부 프런트 칼럼 프레임(612)의 양단을 각각 연결한다. 좌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L) 및 우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R)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판부재이다. 프런트 칼럼 프레임(61)은 캐빈(7)을 부착 가능한 제 1 부착부에 상당한다.
좌우의 스텝 프레임(62L, 62R)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스텝 프레임(62L, 62R)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플로어 패널이 횡으로 걸쳐진다. 우측 스텝 프레임(62R)에는 승강용 스텝(621)이 부착되어 있다.
플로어 프레임(63)은 좌우의 스텝 프레임(62L, 62R) 및 플로어 패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기립면(63a)과, 제 1 기립면(63a)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면(63b)과, 제 1 수평면(63b)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기립면(63c)과, 제 2 기립면(63c)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수평면(63d)을 구비한다. 플로어 프레임(63)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수평면(63b)의 상부에는 운전 좌석(6a)이 재치된다. 또한, 플로어 프레임(63)의 하방에는 엔진(90)(도 8을 참조)이 배치된다.
배면 플레이트(64)는 플로어 프레임(63)의 제 2 기립면(63c)의 상단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된다. 배면 플레이트(64)는 상방으로 감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져서 후단이 후방 프레임부(65)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배면 플레이트(64)와 플로어 프레임(63)의 제 2 수평면(63d)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엔진(90)용의 에어 클리너(91)가 수용된다(도 8을 참조).
후방 프레임부(65)는 도 8도 참조하여 엔진(90)의 후방에 배치되는 좌우의 종 프레임(66L, 66R)과, 좌우의 종 프레임(66L, 66R)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67)(연결부에 상당)과, 연결 프레임(67)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자세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프레임(68, 68)(경사부에 상당)과, 경사 프레임(68)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지지 프레임(69)(제 2 부착부에 상당)을 구비한다. 좌우의 종 프레임(66L, 66R), 연결 프레임(67), 한 쌍의 경사 프레임(68, 68), 및 상부 지지 프레임(69)은 용접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좌우의 종 프레임(66L, 66R)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섀시 프레임(10)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67)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 판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단이 종 프레임(66L, 66R)으로 지지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67)의 전단은 플로어 프레임(63)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경사 프레임(68)은 연결 프레임(67)의 후방부로부터 배면 플레이트(64)의 후단을 향해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상부 지지 프레임(69)은 한 쌍의 경사 프레임(68, 68)의 상부에 횡으로 걸쳐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부 지지 프레임(69)은 좌우의 종 프레임(66L, 66R)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상부 지지 프레임(69)은 배면 플레이트(64)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지지 프레임(69)의 좌측 단부에는 머플러(92)의 전방측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69a)가 설치되어 있다(도 8을 참조). 또한, 보호 커버(69a)는 탈곡 장치(3)에 연결되어 있다. 보호 커버(69a)를 탈곡 장치(3)에 연결함으로써 운전부 프레임(60)이 보강된다.
운전부 프레임(60)을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운전부(6)의 하방에 엔진(90)을 배치하면서 캐빈(7)을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레인 탱크(51)를 대형화할 수 있다.
캐빈(7)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캐빈 프레임(7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70)은 좌우의 저부 캐빈 프레임(71, 72)과, 좌우의 전방부 캐빈 프레임(73, 74)과, 좌우의 후방부 캐빈 프레임(75, 75)과, 도어 지지 프레임(76)과, 루프 프레임(77)을 구비한다.
캐빈 프레임(70)의 앞면에는 프런트 유리(7a)(도 4a를 참조)가 설치된다. 또한, 캐빈 프레임(70)의 좌측면에는 좌측 창을 포함하는 측면 패널(7b)(도 4b를 참조)이 설치된다. 또한, 캐빈 프레임(70)의 우측면에는 우측 창을 포함하는 캐빈 도어(7c)(도 4a를 참조)가 설치된다. 또한, 캐빈 프레임(70)의 상면에는 루프(7d)(도 4a를 참조)가 설치된다.
또한, 캐빈(7)을 운전부(6)에 대하여 부착 및 분리를 할 때 캐빈(7)은 상방으로부터 행잉된다. 캐빈(7)은 캐빈 프레임(70)의 좌측 후방부에 설치된 행잉 금구(7e)(도 4b를 참조) 및 캐빈 프레임(70)의 우측 전방부에 설치된 승강용의 난간(7f)(도 4a를 참조)을 사용하여 행잉된다. 행잉 금구(7e)는 캐빈 프레임(70)의 좌측 후방부 캐빈 프레임(75)의 상부에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난간(7f)은 캐빈 프레임(70)의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저부 캐빈 프레임(71)은 캐빈(7)의 좌측의 저부를 구성한다. 좌측 저부 캐빈 프레임(71)은 캐빈(7)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좌측 저부 캐빈 프레임(71)의 전단은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3)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 저부 캐빈 프레임(71)의 후단은 좌측 후방부 캐빈 프레임(75)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은 캐빈(7)의 우측의 저부를 구성한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은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을 하고 있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의 전단은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의 후단은 도어 지지 프레임(76)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은 운전부(6)에 캐빈(7)을 부착한 상태로는 우측 스텝 프레임(62R)의 상방에 위치한다.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3) 및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캐빈(7)의 전방부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3) 및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의 상단은 루프 프레임(77)에 연결되어 있다. 캐빈(7)은 우측의 저부가 좌측의 저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은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3)보다 하방으로 길다.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3)과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은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은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3)과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의 돌편부(78a, 78b)와, 좌우의 돌편부(78a, 78b)의 전단을 연결해서 전방으로 만곡하는 만곡부(78c)를 구비한다.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은 운전부(6)에 캐빈(7)을 부착한 상태로는 상부 프런트 칼럼 프레임(611)의 전방에 위치한다.
좌우의 후방부 캐빈 프레임(75, 7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캐빈(7)의 후방부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후방부 캐빈 프레임(75)의 상단은 루프 프레임(77)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부 캐빈 프레임(75)의 하단은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으로 연결되어 있다.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은 운전부(6)에 캐빈(7)을 부착한 상태로는 상부 지지 프레임(69)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어 지지 프레임(76)은 캐빈(7)의 우측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후방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고, 그 후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어 지지 프레임(76)의 상단은 루프 프레임(77)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 지지 프레임(76)에는 캐빈 도어(7c)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루프 프레임(77)은 캐빈(7)의 천장부를 구성한다. 루프 프레임(77)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을 하고 있다. 루프 프레임(77)의 전방부는 좌우의 전방부 캐빈 프레임(73, 74)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루프 프레임(77)은 루프(7d)로 덮인다.
이어서, 캐빈(7)을 운전부(6)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의 상세를 설명한다. 캐빈(7)은 좌측 전방부, 우측 전방부, 좌측 후방부, 우측 후방부, 및 우측 저부에 위치하는 5개의 부착부(81~85)로 부착된다.
좌측 전방부의 부착부(81)는 캐빈 프레임(70)의 좌측 전방부, 구체적으로는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의 좌측 단부에 위치한다. 부착부(81)는 캐빈 프레임(70)의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의 하단에 설치된 상부 브래킷(811)과, 운전부 프레임(60)의 좌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L)의 측면에 설치된 하부 브래킷(812)을 구비한다.
상부 브래킷(811)은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의 좌측 돌편부(78a)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브래킷(811)은 서로 수직인 2개의 면(측면(811a)과 하면(811b))을 구비하고, 이 2개의 면이 정면으로부터 볼 때 L자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부재이다. 상부 브래킷(811)의 측면(811a)의 상단은 좌측 돌편부(78a)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브래킷(811)의 하면(811b)에는 2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브래킷(812)은 좌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L)의 좌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브래킷(812)은 좌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L)의 좌측면에 볼트로 체결되는 제 1 브래킷 부재(812a)와, 제 1 브래킷 부재(812a)의 상부에 용접된 제 2 브래킷 부재(812b)를 구비한다. 제 1 브래킷 부재(812a)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L자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 2 브래킷 부재(812b)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제 2 브래킷 부재(812b)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L자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면에 2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브래킷 부재(812b)의 2개의 관통 구멍과 상부 브래킷(811)의 하면(811b)의 2개의 관통 구멍에 볼트(813)를 삽입해서 너트(814)로 체결함으로써 상부 브래킷(811)을 하부 브래킷(812)에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빈 프레임(70)의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을 운전부 프레임(60)의 좌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L)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브래킷(811)의 하면(811b)의 상방에는 직사각형상의 판부재(815)가 배치되어 있다. 판부재(815)와 상부 브래킷(811)의 하면(811b) 사이에는 방진용의 판형상 고무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 브래킷(812)의 진동이 볼트(813)를 따라 상부 브래킷(811)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브래킷(811)의 하면(811b)과 제 2 브래킷 부재(812b)의 상면 사이에도 방진용의 판형상 고무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 브래킷(812)의 진동이 상부 브래킷(811)에 직접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와 같은 방진 지지의 구조는 우측 전방부, 좌측 후방부, 우측 후방부, 및 우측 저부의 부착부(82~85)에도 채용되어 있다.
또한, 하부 브래킷(812)의 제 2 브래킷 부재(812b)의 좌측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816)는 피더(24)로의 도입구를 조사하는 작업등을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우측 전방부의 부착부(82)는 캐빈 프레임(70)의 우측 전방부, 구체적으로는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의 우측 단부에 위치한다. 부착부(82)는 부착 스테이(821)를 구비한다. 부착 스테이(821)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Z자형상을 한 플레이트이다. Z자형상의 부착 스테이(821)의 앞면(821a)이 2개의 볼트(822)에 의해 운전부 프레임(60)의 우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R)의 좌측면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R)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부착 플레이트(824)에 대하여 부착 스테이(821)의 앞면(821a)이 고정된다. 한편, Z자형상의 부착 스테이(821)의 뒷면(821b)이 2개의 볼트(823)에 의해 캐빈 프레임(70)의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의 좌측면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부착 플레이트(825)에 대하여 부착 스테이(821)의 뒷면(821b)이 고정된다. 부착 스테이(821)에 의해 캐빈 프레임(70)의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74)을 운전부 프레임(60)의 우측 프런트 칼럼 프레임(613R)에 부착할 수 있다.
좌측 후방부의 부착부(83)는 캐빈 프레임(70)의 좌측 후방부, 구체적으로는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의 좌측 단부에 위치한다. 부착부(83)는 운전부 프레임(60)의 상부 지지 프레임(69)의 좌측 단부에 설치된 좌측 브래킷(831)(도 5를 참조)을 구비한다. 좌측 브래킷(831)은 상부 지지 프레임(69)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2개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의 좌측 단부에는 2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의 2개의 관통 구멍에 볼트(832)를 삽입하고, 볼트(832)를 좌측 브래킷(831)의 볼트 구멍으로 체결함으로써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을 좌측 브래킷(831)에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빈 프레임(70)의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을 운전부 프레임(60)의 상부 지지 프레임(69)에 부착할 수 있다.
우측 후방부의 부착부(84)는 캐빈 프레임(70)의 우측 후방부, 구체적으로는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의 우측 단부에 위치한다. 부착부(84)는 운전부 프레임(60)의 상부 지지 프레임(69)의 우측 단부에 설치된 우측 브래킷(841)(도 5를 참조)을 구비한다. 우측 브래킷(841)은 상부 지지 프레임(69)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 2개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의 우측 단부에는 2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의 2개의 관통 구멍에 볼트(842)를 삽입하고, 볼트(842)를 우측 브래킷(841)의 볼트 구멍으로 체결함으로써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을 우측 브래킷(841)에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빈 프레임(70)의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을 운전부 프레임(60)의 상부 지지 프레임(69)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브래킷(841)의 상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 핀(843)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843)은 상술한 우측 브래킷(841)에 형성된 2개의 볼트 구멍의 후방이며, 배면으로부터 볼 때 2개의 볼트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의 우측 단부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843)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844)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843)과 위치 결정 구멍(844)으로 구성되는 위치 결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처음에 위치 결정을 하고 나서 각 부착부의 본 고정을 행할 수 있으며, 캐빈(7)이 운전부(6)에 대하여 어긋나는 일이 없다. 또한, 위치 결정 핀(843)을 2개의 볼트 구멍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2개의 볼트 구멍과 후방부 연결 프레임(79)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의 위치 맞춤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우측 저부의 부착부(85)는 캐빈 프레임(70)의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에 위치한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에는 전후 방향으로 2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운전부 프레임(60)의 우측 스텝 프레임(62R)에는 전후 방향으로 2개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의 2개의 관통 구멍에 볼트(851)를 삽입하고, 볼트(851)를 우측 스텝 프레임(62R)의 볼트 구멍으로 체결함으로써 캐빈 프레임(70)의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72)을 운전부 프레임(60)의 우측 스텝 프레임(62R)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81~85)에 의해 캐빈 프레임(70)을 운전부 프레임(60)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프런트 칼럼 프레임(61)과 후방 프레임부(65)에 의해 캐빈(7)의 전후좌우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캐빈(7)을 운전부(6)에 사후적으로 부착한 경우에도 캐빈(7)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7)을 운전부(6)에 부착한 상태로 운전부(6)의 프런트 칼럼(6c)과 캐빈 프레임(70)의 전방부 연결 프레임(78) 사이에는 스펀지(6d)가 개재된다. 스펀지(6d)는 프런트 칼럼(6c)의 앞면 및 양측면에 연속해서 배치된다. 스펀지(6d)의 일부는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으로 상방으로부터 뭉개져 있다. 스펀지(6d)를 배치함으로써 프런트 칼럼(6c)의 외표면과 전방부 연결 프레임(78)의 내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메울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변경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을 구비하는 콤바인 등의 작업 차량이 공지이다. 그런데 캐빈의 후벽에는 창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특허문헌 3과 같이 캐빈 내의 후방에 에어컨 유닛이 배치될 경우 창과 에어컨 유닛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후방의 시인성이 악화된다.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시인성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 캐빈의 후방부에 창과 에어컨 유닛을 배치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은 운전부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의 후벽에 설치된 후측 창과,
이너 루프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에어컨 유닛을 구비하고,
측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후측 창의 상단 위치는 상기 이너 루프의 후방부의 하단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측 창의 상단 위치가 높기 때문에 에어컨 유닛을 캐빈의 후방부에 배치하면서 시인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없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의 에어컨 팬과, 상기 에어컨 팬에 외기를 도입하는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를 상기 캐빈의 좌우 방향 일방측에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즉시 에어컨 팬 및 에어컨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의 측방에 프리 클리너를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리 클리너에서 큰 진애를 포함한 외기를 흡기하여 큰 진애를 포함하지 않는 외기를 에어컨에 도입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컨의 콘덴서 팬에 외기를 도입하는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를 상기 캐빈의 좌우 방향 타방측에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빈의 일방측으로부터 에어컨으로, 타방측으로부터 콘덴서 팬으로 충분한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조]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1100)의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및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는 콤바인(110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콤바인(1100)은 주로 주행 장치(1001)와, 예취 장치(1002)와, 탈곡 장치(1003)와, 선별 장치(1004)와, 저류 장치(100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행 장치(1001)는 섀시 프레임(10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 장치(1001)는 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과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된 크롤러 장치(1011)를 구비한다. 트랜스미션은 엔진(1090)(도 23을 참조)의 동력을 크롤러 장치(1011)에 전달한다. 크롤러 장치(1011)는 콤바인(1100)을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거나, 콤바인(1100)을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키거나 한다.
예취 장치(1002)는 주행 장치(1001)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예취 장치(1002)는 릴(1021)과, 커터(예취날)(1022)와, 오거(횡 이송 스크루)(1023)와, 피더(1024)를 구비한다. 릴(1021)은 회전함으로써 포장의 곡간을 커터(1022)로 안내한다. 커터(1022)는 릴(1021)에 의해 안내된 곡간을 절단한다. 오거(1023)는 커터(1022)에 의해 절단된 곡간을 소정 위치에 집합시킨다. 피더(1024)는 예취 장치(1002)에서 예취한 곡간을 피더 하우스(1025)를 통해 탈곡 장치(1003)에 공급한다. 피더 하우스(1025)에는 오거(1023)에 의해 집합시킨 곡간을 로터까지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가 내장되어 있다.
탈곡 장치(1003)는 예취 장치(100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03)는 급동과, 수망과, 프런트 로터를 구비한다. 급동은 회전함으로써 곡간을 탈곡한다. 또한, 급동은 회전함으로써 곡간을 반송한다. 수망은 급동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을 지지함과 아울러, 탈곡물을 선별 장치(1004)로 낙하시킨다. 프런트 로터는 피더(1024)가 반송해 온 곡간을 탈곡 장치(1003)로 송출한다. 또한, 프런트 로터는 곡간을 반송할 뿐만 아니라 예비적인 탈곡(프리 탈곡)을 행하는 기능도 갖는다.
선별 장치(1004)는 탈곡 장치(100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선별 장치(1004)는 요동 장치와, 송풍 장치(당기)를 구비한다. 요동 장치는 탈곡물을 체로 쳐서 곡립을 선별한다. 요동 장치에서 선별된 곡립은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어 투입구를 통해 그레인 탱크(1051)에 투입된다. 송풍 장치는 탈곡물에 포함되는 지푸라기 등의 협잡물을 날려보냄으로써 곡립의 선별을 보조한다. 지푸라기 등의 협잡물은 선별 장치(1004)의 후방에 형성된 배간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저류 장치(1005)는 탈곡 장치(1003) 및 선별 장치(1004)의 우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1003) 및 선별 장치(1004)와 저류 장치(1005)는 섀시 프레임(1010)의 상방에서 좌우로 병렬 배치된다. 저류 장치(1005)는 그레인 탱크(1051)를 구비한다. 그레인 탱크(1051)는 선별 장치(1004)로부터 반송되어 온 곡립을 저류한다. 배출 오거(1052)는 그레인 탱크(1051) 내의 곡립을 배출할 때에 사용된다. 배출 오거(1052)는 곡립의 배출 작업을 행할 때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어 곡립을 임의의 장소에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1006)는 그레인 탱크(1051)의 전방에서 기체의 우측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1006)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061), 그 운전 좌석(1061)의 전방에 배치된 조향 핸들(1062), 조향 핸들(1062)의 스티어링축을 지지하는 핸들 칼럼의 전방에 배치된 프런트 칼럼(1063), 운전 좌석(1061)의 후방에 배치된 랙(1064) 등을 구비하고, 그들의 주위에 변속 레버나 클러치 레버, 스위치류등 여러 가지의 조작구가 배치되어 있다. 운전부(1006)의 운전 좌석(1061), 조향 핸들(1062), 프런트 칼럼(1063), 랙(1064) 등(도 12 참조)은 캐빈(1007)으로 덮여 있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1064)은 운전부(1006)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랙(1064)은 짐 두는 곳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랙(1064)의 우측 단부에는 그레인 클러치 레버(1065a)와 크로스 레버(1065b)를 구비하는 조작 박스(1065)가 배치되어 있다. 그레인 클러치 레버(1065a)는 배출 오거(1052)의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을 하는 조작 부재이다. 크로스 레버(1065b)는 배출 오거(1052)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는 조작 부재이다. 크로스 레버(1065b)는 그레인 클러치 레버(1065a)와 비교해서 운전 좌석(106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전부(1006)의 우측 후방부에 배출 오거용의 조작 박스(1065)를 설치함으로써 콤바인(1100)의 우측 후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배출 오거(1052)의 조작을 하기 쉽다. 또한, 운전 좌석(1061)의 좌측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1002)와 탈곡 장치(1003)의 조작용의 클러치 레버(1066)가 배치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1006)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운전 좌석(1061)의 하방에는 엔진(1090)이 배치된다. 또한, 운전 좌석(1061)의 후방에는 엔진(1090)에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 클리너(1091)가 배치된다. 또한, 운전 좌석(1061)의 후측 상방에는 엔진(1090)에 공급하는 공기를 예비적으로 정화하는 프리 클리너(1092)가 설치되어 있다.
캐빈(1007)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캐빈 프레임(107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1070)은 좌우의 저부 캐빈 프레임(1070a, 1070b)과, 좌우의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c, 1070d)과, 좌우의 후방부 캐빈 프레임(1070e, 1070e)과, 도어 지지 프레임(1070f)과, 루프 프레임(1070g)을 구비한다.
캐빈 프레임(1070)의 앞면에는 프런트 유리(1071)(도 13a를 참조)가 설치된다. 또한, 캐빈 프레임(1070)의 좌측면에는 좌측 창(1076)을 포함하는 측면 패널(1072)(도 13b를 참조)이 설치된다. 또한, 캐빈 프레임(1070)의 우측면에는 우측 창(1077)을 포함하는 캐빈 도어(1073)(도 13a를 참조)가 설치된다. 또한, 캐빈 프레임(1070)의 상면에는 루프(1074)(도 13a를 참조)가 설치된다. 또한, 캐빈 프레임(1070)의 뒷면에는 후측 창(1078)을 포함하는 배면 패널(1075)(도 13b를 참조)이 설치된다. 배면 패널(1075)은 캐빈(1007)의 후벽을 구성한다.
좌측 저부 캐빈 프레임(1070a)은 캐빈(1007)의 좌측의 저부를 구성한다. 좌측 저부 캐빈 프레임(1070a)은 캐빈(1007)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좌측 저부 캐빈 프레임(1070a)의 전단은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c)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 저부 캐빈 프레임(1070a)의 후단은 좌측 후방부 캐빈 프레임(1070e)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1070b)은 캐빈(1007)의 우측의 저부를 구성한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1070b)은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을 하고 있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1070b)의 전단은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d)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저부 캐빈 프레임(1070b)의 후단은 도어 지지 프레임(1070f)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c) 및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d)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캐빈(1007)의 전방부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c) 및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d)의 상단은 루프 프레임(1070g)에 연결되어 있다. 캐빈(1007)은 우측의 저부가 좌측의 저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d)은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c)보다 하방으로 길다. 좌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c)과 우측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d)은 전방부 연결 프레임(1070h)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방부 연결 프레임(1070h)은 운전부(1006)에 캐빈(1007)을 부착한 상태로는 프런트 칼럼(1063)의 상방에 위치한다.
좌우의 후방부 캐빈 프레임(1070e, 1070e)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캐빈(1007)의 후방부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후방부 캐빈 프레임(1070e)의 상단은 루프 프레임(1070g)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부 캐빈 프레임(1070e)의 하단은 후방부 연결 프레임(1070i)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어 지지 프레임(1070f)은 캐빈(1007)의 우측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후방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고, 그 후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어 지지 프레임(1070f)의 상단은 루프 프레임(1070g)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 지지 프레임(1070f)에는 캐빈 도어(1073)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루프 프레임(1070g)은 캐빈(1007)의 천장부를 구성한다. 루프 프레임(1070g)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을 하고 있다. 루프 프레임(1070g)의 전방부는 좌우의 전방부 캐빈 프레임(1070c, 1070d)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루프 프레임(1070g)은 루프(1074)로 덮인다. 루프 프레임(1070g)의 후방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캐빈(1007)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부(1070j, 1070k)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경사부(1070j)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경사형상이 된다. 또한, 우측 경사부(1070k)는 후술하는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경사형상이 된다. 또한,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량은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량보다 많고, 보다 큰 개구 면적을 요하는 점에서 우측 경사부(1070k)의 전단은 좌측 경사부(1070j)의 전단에 비해 캐빈(1007)의 전방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좌측 창(107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좌측 창(1076)의 내장측의 하부를 나타내고 있다. 좌측 창(1076)은 힌지(1076a)(도 13b를 참조)와, 로크 레버(1076b)와, 결합 수용편(1076c)을 구비한다.
힌지(1076a)는 좌측 창(1076)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1076a)는 기단(基端)측이 좌측 창(1076)보다 상방의 측면 패널(1072)에 고정되고, 선단측이 좌측 창(1076)에 고정되어 있다. 힌지(1076a)는 좌측 창(1076)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 창(1076)은 측면 패널(1072)에 대하여 상단측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하단측이 회동하는 상측 개방으로 되어 있다. 좌측 창(1076)은 좌측 창(1076)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가스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로크 레버(1076b)는 좌측 창(1076)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로크 레버(1076b)의 회동축은 좌우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로크 레버(1076b)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로크 레버(1076b)에는 결합 수용편(1076c)에 결합하는 결합 클로(1076d)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수용편(1076c)은 좌측 창(1076)보다 하방의 측면 패널(1072)에 부착되어 있다. 결합 수용편(1076c)은 로크 레버(1076b)의 결합 클로(1076d)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1076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레버(1076b)를 하방(캐빈(1007) 내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결합 클로(1076d)가 결합 수용편(1076c)의 결합 오목부(1076e)에 결합하는 로크 상태(도 17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로크 레버(1076b)를 상방(캐빈(1007) 내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결합 클로(1076d)가 결합 수용편(1076c)의 결합 오목부(1076e)로부터 분리되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된다.
우측 창(1077)은 좌측 창(1076)과 마찬가지로 힌지(1077a)(도 13a를 참조)와, 로크 레버와, 결합 수용편을 구비한다. 힌지(1077a)는 우측 창(1077)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1077a)는 기단측이 우측 창(1077)보다 상방의 캐빈 도어(1073)에 고정되고, 선단측이 우측 창(1077)에 고정되어 있다. 힌지(1077a)는 우측 창(1077)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측 창(1077)은 캐빈 도어(1073)에 대하여 상단측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하단측이 회동하는 상측 개방으로 되어 있다.
우측 창(1077)의 로크 레버 및 결합 수용편은 도 17에 나타내는 좌측 창(1076)의 로크 레버(1076b) 및 결합 수용편(1076c)과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 우측 창(1077)의 로크 레버의 형상을 좌측 창(1076)의 로크 레버(1076b)의 형상과 면대칭으로 해도 좋다. 이때 우측 창(1077)은 로크 레버를 하방(캐빈(1007) 내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로크 상태가 되고, 로크 레버를 상방(캐빈(1007) 내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로크 해제 상태가 된다.
도 18은 우측 창(1077)의 외장측의 상부를 나타내고 있다. 우측 창(1077)은 상단에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을 구비한다.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우측 창(1077)의 전체를 덮고 있다.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의 판을 단면이 대략 L자형상이 되도록 굴곡시킨 부재이다.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의 하면은 대략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고,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의 측면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은 캐빈 도어(1073)에 고정되고, 힌지(1077a)는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창(1076)은 상단에 물 흐름 방지 차양(1076f)을 구비한다. 물 흐름 방지 차양(1076f)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측 창(1076)의 전체를 덮고 있다(도 19를 참조). 단, 물 흐름 방지 차양(1076f)은 도 19와 같이 좌측 창(1076)의 후단을 넘어 측면 패널(1072)의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물 흐름 방지 차양(1076f)은 우측 창(1077)의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보다 길다. 물 흐름 방지 차양(1076f)의 단면형상과 부착 방법은 우측 창(1077)의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캐빈 도어(1073)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빈 도어(1073)는 도어 힌지(1073a)를 구비한다(도 13a를 참조). 도어 힌지(1073a)는 캐빈 도어(107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어 힌지(1073a)는 기단측이 캐빈 프레임(1070)에 고정되고, 선단측이 캐빈 도어(1073)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 힌지(1073a)는 캐빈 프레임(1070)의 도어 지지 프레임(1070f)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빈 도어(1073)는 캐빈(1007)에 대하여 후단측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전단측이 회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빈 도어(1073)를 개방하여 오퍼레이터가 타고 내릴 때에 캐빈 도어(1073)가 후방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개구를 넓게 할 수 있어 타고 내리기 쉽다.
이어서, 루프(107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상방으로부터 본 루프(1074)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루프(1074)의 후방부의 단면도이다. 루프(1074)는 이너 루프(1741)와 아우터 루프(1742)를 구비한다. 이너 루프(1741)는 캐빈 프레임(1070)의 상방을 덮고, 아우터 루프(1742)는 그 이너 루프(1741)를 덮는 것이다. 이너 루프(1741)와 아우터 루프(1742) 사이에는 후술하는 에어컨 유닛(1008), 에어컨 유닛(1008)으로부터의 송풍용의 송풍 덕트가 배치되어 있으며, 송풍 덕트에서 송풍되어 온 에어를 캐빈(1007) 내에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가 이너 루프(1741)에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루프(1742)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물 빠짐 구멍(1074a)을 구비한다. 물 빠짐 구멍(1074a)은 아우터 루프(1742)를 캐빈 프레임(107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볼트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물 빠짐 구멍(1074a)은 전방부의 좌우에 1개씩, 전후 방향 중앙부보다 약간 후방의 좌우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 및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로부터 물이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후방부에는 물 빠짐 구멍(1074c)을 형성하고 있지 않다.
후측의 물 빠짐 구멍(1074a)은 좌측 창(1076)의 물 흐름 방지 차양(1076f) 및 우측 창(1077)의 물 흐름 방지 차양(1077f)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천 시에 물 빠짐 구멍(1074a)을 통과한 물이 물 흐름 방지 차양(1076f, 1077f)에 의해 좌측 창(1076) 및 우측 창(1077)에 직접 흐르는 일이 없기 때문에 좌측 창(1076) 및 우측 창(1077)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루프(1741)의 상방에는 에어컨 유닛(1008)이 배치되고, 이너 루프(1741)의 후방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루프(1741)에 의해 후방의 시인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루프(1741)의 후방부를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시킴으로써 이너 루프(1741)의 후단을 후측 창(1078)의 상단 위치(1078a)와 대략 동일 높이로 하고 있다. 즉, 측면으로부터 볼 때 후측 창(1078)의 상단 위치(1078a)는 이너 루프(1741)의 후방부의 하단 위치(1741a)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빈(1007)의 후방부에 에어컨 유닛(1008)을 레이 아웃하면서 캐빈(1007) 내로부터 곡립의 배출 작업을 행할 때의 배출 오거(1052)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21은 아우터 루프(1742)를 분리한 상태의 캐빈(1007)을 후측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운전 좌석(1061)의 후방부의 상방에는 에어컨 유닛(1008)이 배치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1008)은 에어컨 본체(1081)와 에어컨 팬(1082)을 구비한다. 또한, 에어컨 유닛(1008)의 하방, 구체적으로는 캐빈(1007)의 배면 패널(1075)의 하방에는 콘덴서(도시하지 않음)와 콘덴서 팬(1083)이 배치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1081)와 에어컨 팬(1082)은 캐빈 프레임(1070)의 좌우의 후방부 캐빈 프레임(1070e, 1070e) 사이에 횡으로 걸쳐진 에어컨 부착판(1081a) 상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1081)는 캐빈(1007)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에어컨 팬(1082)은 에어컨 본체(1081)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1081)에는 루프(1074) 내를 전방으로 연장하는 송풍 덕트(1081b)가 접속되어 있다.
배면 패널(1075)의 좌측의 좌측 경사면(1075a)에는 에어컨용 외기 도입부(1084)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경사면(1075a)은 배면 패널(1075)과 측면 패널(1072) 사이에 배치되고, 배면 패널(1075)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 좌측 경사면(1075a)의 상부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상의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를 좌측 경사면(1075a)에 형성함으로써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를 에어컨 팬(1082)과 함께 캐빈(1007)의 좌측에 형성함으로써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즉시 에어컨 팬(1082) 및 에어컨 본체(1081)에 공급할 수 있다.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는 진애 제거망(1841a)으로 덮여 있다. 진애 제거망(1841a)은 펀칭 메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도입량 제어판(1842)으로 덮여 있다. 도입량 제어판(1842)은 좌측 경사면(1075a)에 부착했을 때 좌측 경사면(1075a)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기는 도입량 제어판(1842)과 좌측 경사면(1075a) 사이의 상하의 간극(1842a)(도 21을 참조)으로부터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로 도입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의 면적을 크게 해서 진애 제거망(1841a)의 눈 막힘을 방지하면서 에어컨 유닛(1008)으로의 외기의 도입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에어컨용 외기 도입부(1084)의 측방에는 에어컨용 외기 도입부(1084)에 대향하도록 프리 클리너(1092)가 배치되어 있다(도 15 및 도 21을 참조). 이에 따라 큰 진애는 프리 클리너(1092)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큰 진애가 제거된 공기가 에어컨용 외기 도입부(1084)로부터 도입된다. 프리 클리너(1092)는 지지 스테이를 통해 좌측 경사면(1075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리 클리너(1092)는 좌측 창(107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창(1076)을 개방하여 캐빈(1007) 내로부터 프리 클리너(1092)의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콘덴서 팬(1083)은 콘덴서 팬(1083)에 인접하는 콘덴서에 열교환용의 공기를 공급한다. 콘덴서 팬(1083)의 우측에는 리시버(1086)가 배치되어 있다(도 15 및 도 23을 참조). 또한, 리시버(1086)의 상방에는 측방 및 후방으로부터 내부가 시인 가능해지도록 사이트 글라스(1087)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레인 탱크(1051)를 오픈했을 때 사이트 글라스(1087)를 측방 및 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콘덴서용의 공기는 배면 패널(1075)의 우측의 우측 경사면(1075b)에 형성된 콘덴서용 외기 도입부(1085)로부터 도입된다. 우측 경사면(1075b)은 배면 패널(1075)과 캐빈 도어(1073) 사이에 배치되고, 배면 패널(1075)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 우측 경사면(1075b)의 대략 전체 면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상의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가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를 우측 경사면(1075b)에 형성함으로써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우측 경사면(1075b)은 좌측 경사면(1075a)보다 전방에 크게 경사져 있으며, 우측 경사면(1075b)에 형성되는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는 좌측 경사면(1075a)에 형성되는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보다 커져 있다.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진애 제거판(1852)으로 덮여 있다. 진애 제거판(1852)의 중앙부는 펀칭 메탈로 구성되어 있다.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의 상부의 내측에는 제 1 내장 패널(1006a)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측 창(1078)의 하방에는 배면 패널(1075)보다 전방을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는 제 2 내장 패널(1006b)에 의해 형성되며, 오목부에는 콘덴서가 수용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내장 패널(1006b)의 상면은 랙(1064)을 구성하고 있다.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는 우측 경사면(1075b)의 대략 전체 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콘덴서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로는 제 1 내장 패널(1006a)의 외표면과 제 2 내장 패널(1006b)의 외표면에 의해 획정되는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의 좌측 하방 부분만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1851)의 면적을 크게 해서 진애 제거판(1852)의 눈 막힘을 방지하거나 또는 진애 제거판(1852)의 하부가 눈이 막혀도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한편, 콘덴서로의 외기의 도입량을 줄일 수 있다.
에어컨 본체(1081)로부터 연장되는 드레인 호스(도시하지 않음)는 에어컨 본체(1081)로부터 에어컨 팬(1082)의 전방 및 좌측방을 통과해서 후방에서 하방으로 방향을 바꾸고,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1841)의 내측을 통과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최종적으로 기체 후방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변경이 가능하다.
3: 탈곡 장치 6: 운전부
6b: 조향 핸들 6c: 프런트 칼럼
7: 캐빈 10: 섀시 프레임
60: 운전부 프레임 65: 후방 프레임부
66L: 좌측 종 프레임 66R: 우측 종 프레임
67: 연결 프레임 68: 경사 프레임
69: 상부 지지 프레임 69a: 보호 커버
70: 캐빈 프레임 90: 엔진
92: 머플러 100: 콤바인
843: 위치 결정 핀 844: 위치 결정 구멍
1006: 운전부 1007: 캐빈
1070: 캐빈 프레임 1074: 루프
1741: 이너 루프 1741a: 이너 루프의 후방부의 하단 위치
1078: 후측 창 1078a: 후측 창의 상단 위치
1008: 에어컨 유닛 1841: 에어컨용 외기 도입구
1851: 콘덴서용 외기 도입구 1100: 콤바인

Claims (5)

  1. 운전석의 전방에서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프런트 칼럼과,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서 섀시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런트 칼럼은 캐빈을 부착 가능한 제 1 부착부를 갖고,
    상기 후방 프레임부는 상기 섀시 프레임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복수의 종 프레임과, 상기 종 프레임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캐빈을 부착 가능한 제 2 부착부를 갖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부착부는 상기 탈곡부에 연결되는 콤바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의 하방에 엔진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부는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종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종 프레임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자세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부착부를 갖고,
    상기 캐빈은 상기 제 2 부착부의 상부에 재치된 상태로 상기 제 2 부착부에 부착되는 콤바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부 및 상기 캐빈에는 상기 후방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캐빈의 위치를 규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는 콤바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착부에는 머플러의 전방측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가 설치되는 콤바인.
KR1020207005908A 2018-03-20 2019-02-19 콤바인 KR202001285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2749A JP6898269B2 (ja) 2018-03-20 2018-03-20 コンバイン
JP2018052743A JP7122134B2 (ja) 2018-03-20 2018-03-20 コンバイン
JPJP-P-2018-052749 2018-03-20
JPJP-P-2018-052743 2018-03-20
PCT/JP2019/005964 WO2019181324A1 (ja) 2018-03-20 2019-02-19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508A true KR20200128508A (ko) 2020-11-13

Family

ID=6798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908A KR20200128508A (ko) 2018-03-20 2019-02-19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00128508A (ko)
CN (1) CN111867358A (ko)
WO (1) WO201918132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30A (ja) 1992-04-27 1994-01-25 Outboard Marine Corp 真空ダイカスト用密封ショットスリーブ装置
JP2008000028A (ja)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3078275A (ja) 2011-10-03 2013-05-0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742U (ko) * 1975-07-07 1977-02-08
JPH0454756Y2 (ko) * 1986-11-10 1992-12-22
JP2002084863A (ja) * 2000-09-07 2002-03-26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運転キャビン
JP2004097039A (ja) * 2002-09-06 2004-04-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5739251B2 (ja) * 2011-06-30 2015-06-2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搭乗運転部構造
US10064333B2 (en) * 2016-02-11 2018-09-04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or cage with actuated cage vanes in a harve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30A (ja) 1992-04-27 1994-01-25 Outboard Marine Corp 真空ダイカスト用密封ショットスリーブ装置
JP2008000028A (ja)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3078275A (ja) 2011-10-03 2013-05-0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67358A (zh) 2020-10-30
WO2019181324A1 (ja)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1499B2 (ja) 収穫機
JP4404875B2 (ja) 作業車の外気導入構造
US8230959B2 (en) Folding air intake scoop
JP2007062573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7458447B2 (ja) コンバイン
JP2012100610A (ja) コンバイン
KR20200128508A (ko) 콤바인
JP4681502B2 (ja) トラクタの空調構造
CN108377752B (zh) 收割机
JP4814742B2 (ja) トラクタ
JP4404874B2 (ja) 作業車の空調構造
JP5722611B2 (ja) コンバイン
JP7161580B2 (ja) コンバイン
JP4681501B2 (ja) 作業車
JP4908689B2 (ja) 移動用車両のキャビン
JP5351876B2 (ja) 作業車
KR20120050893A (ko) 콤바인
WO2019208541A1 (ja) コンバイン
JP2021023114A (ja) 作業車
CN107529723B (zh) 作业机、作业车及作业机用天篷
JP2019004786A (ja) 収穫機
JPH11266648A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カバー構造
JP2013177142A (ja) 作業車
CN110508067A (zh) 作业机
JP2019004815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