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120A -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120A
KR20200128120A KR1020207028265A KR20207028265A KR20200128120A KR 20200128120 A KR20200128120 A KR 20200128120A KR 1020207028265 A KR1020207028265 A KR 1020207028265A KR 20207028265 A KR20207028265 A KR 20207028265A KR 20200128120 A KR20200128120 A KR 20200128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rubber molded
emergency pest
silicone rubber
rep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111B1 (ko
Inventor
료코 우키타
도모미 이와모토
다이지 오노
유미 가와지리
고지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4Oxygen or sulfur attached to an aliphatic side-chain of a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 cycloaliph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keto or thioketo groups as part of a ring, e.g. cyclohexanone, quinone; Derivatives thereof, e.g. k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0Aromatic or araliphatic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실리콘 고무의 성형 작업성이나 기계적 특성 등을 개량하는 동시에, 비상(飛翔)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 성능과 비상 해충 기피 효과가 우수한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제공한다. 경도(硬度) 50도 이하의 실리콘 고무 성형체에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이 보지(保持)되어 있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으로서,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이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a)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 (b) 에스테르 화합물, 및 (c)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을 함유하고, (a)의 배합량 X와 (b)의 배합량 Y의 합계와, (c)의 배합량 Z의 배합 비율 {(X+Y)/Z}가 0.2∼4.0으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
본 발명은, 경도(硬度) 50도 이하의 실리콘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 비상(飛翔)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이,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구성하는 고무의 분자 구조의 극간(隙間)에 들어간 상태로 보지(保持)되어 있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상기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사용한 비상 해충 기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기, 먹파리, 깔따구, 파리류 등의 비상 해충에 대하여, 디트(DEET)(N,N-디에틸톨루아미드)를 포함하는 기피제를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이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트는 통상의 향료 성분과 비교하면 휘산성이 조금 낮으므로, 공간적인 기피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상온(常溫) 휘산성의 살충 성분, 예를 들면, 피레트로이드계의 엠펜트린 등을 공간에 휘산시켜 비상 해충에 대한 기피 효과를 실현할 수는 있지만, 상온 휘산성의 살충 성분의 사용이 경원되는 장면이 적지 않게 존재한다.
이에, 기피 성분으로서 휘산성의 천연 정유(精油)나, 그 조성 성분을 사용하는 시도가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트로넬라 오일이나 그 주성분인 시트로넬랄이 모기에 대하여 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잘 알려져 있고, 미국에서는 시트로넬라 오일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양초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양초의 열을 이용하여 시트로넬랄을 방산(放散)시키는 방법은, 시트로넬랄의 휘산 효율이 좋지 못하여, 실용적인 기피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 2002-173407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시트로넬라 오일 외에, 오렌지 오일, 카시아 오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천연 정유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비상 해충 기피제가 기재되어 있고, 액제에 사용하기 위한 용제로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프탈산 디에틸,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등의 에스테르류, 헥산, 케로신, 파라핀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테르류 등, 다양한 종류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3-201203호 공보(특허문헌 2)는, 해충 기피 성분으로서, 시트로넬랄과, 테르피네올, 멘톨, 리모넨(limonene), 게라니올, 시트로넬롤, 캄펜(camphene)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고, 해충 기피 성분 중에서의 시트로넬랄의 함유량이 2∼10 질량%인 해충 기피제 휘산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피제는, 천연산 지향과 안전성에 대한 배려를 강조하고 있지만, 그 기피 효과는 지속성이 뒤떨어지며, 반드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소61-289002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글리콜에테르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절족동물류, 연체동물류 및 파충류용 기피제」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글리콜에테르류가 바퀴벌레나 진드기류에 우수한 기피 효과를 나타낸 취지가 기재되어 있지만, 그 효과는 도저히 충분하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또한 비상 해충에게 대한 기피 효과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비상 해충 기피 효과, 나아가서는 이에 부가하여 방향(芳香)의 지속성 향상을 목표로 한 유용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아직도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실리콘 고무는, 흡착성 및 기체 투과성이 우수하고, 또한 물성적으로 안정되고, 향료의 발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향료를 실리콘 고무에 함유시킨 방향제가 시판되고 있다. 향료를 실리콘 고무에 함유시키는 데 있어서는, 통상, (I) 실리콘 콤파운드를 포함하는 밀러블(millable)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 또는 (II) 액상(液狀) 실리콘 폴리머를 포함하는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과 향료를 혼합하고, 황 등의 반응조제, 첨가제 등을 사용하여 가류(加硫)(가교)를 행한다. 그런데, 혼련 시에 향료와 실리콘 고무 폴리머 또는 첨가제의 분리가 발생하기 쉽고, 나아가서는 성형 시의 열과 반응조제에 의한 향료의 분해, 변성 등의 화학적 변화를 일으킨 결과, 방향성을 가지면서 또한 물성이 안정된 성형체가 얻어지기 곤란했다.
이에,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일본공개특허 평8-311216호 공보(특허문헌 4)나 일본공개특허 제2011-26462호 공보(특허문헌 5)에서는, 실리콘 고무 성형 전에 향료를 혼련하는 것이 아닌, 실리콘 고무 성형 후에 향료를 첨가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은, 향료 조성물의 성상(性狀)과 실리콘 고무와의 적합성에 대하여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기능적으로 상이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 적합하다고는 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I) 실리콘 콤파운드를 포함하는 밀러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 또는 (II)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 성형하여 조제된다. 또한, (II)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는 부가형과 축합형의 2종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자들은,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유용한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I) 밀러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 또는 (II)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사용하고, 이것과 각종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과의 적합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 기피 조성물로서 (m) 특정한 아세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n) 모노테르펜계 알코올 및/또는 탄소수 10의 방향족 알코올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채용함으로써,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이 실리콘 고무 성형체로부터 양호하게 휘산하고, 소정 기간에 걸쳐 우수한 비상 해충 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지견(知見)하였다(특허문헌 6).
특허문헌 6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비상 해충을 기피하는 성능적으로 우수한 것이었지만, (I) 밀러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원료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복잡한 형상에 기인하여 성형 시에 버(burr)가 발생하거나 이형성(離型性)이 좋지 못한 등, 성형 작업성이나 기계적 특성에 대하여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실리콘 고무 성형체의 원료로서 (II)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 중 부가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검토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일본특허 제5053114호 명세서(특허문헌 7)에는, 축합형의 일종인 옥심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 아크리나트린을 배합한 기피성 실리콘 고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축합형은 부생물의 생성을 회피할 수 없고, 또한 아크리나트린은 비휘산성이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과는 성상이 전혀 다르므로 참고가 되기에는 미흡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17340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3-20120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소61-28900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8-311216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1-26462호 공보 일본특허 제5832649호 명세서 일본특허 제5053114호 명세서
이와 같이,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사용하여, 그 성형 작업성이나 기계적 특성을 개량하는 동시에, 이것과의 적합성이 높은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발견한 후, 더 한층 우수한 비상 해충 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종 시험의 실시를 불가결로 하며, 시행 착오를 되풀이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실리콘 고무의 특성을 살리면서, 그 성형 작업성이나 기계적 특성 등을 개량하는 동시에,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 성능과 비상 해충에 대한 기피 효과가 우수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1) 경도(硬度) 50도 이하의 실리콘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이,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구성하는 고무의 분자 구조의 극간에 들어간 상태로 보지되어 있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으로서,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 (B) 가교 실리콘 폴리머로서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C) 반응 촉매로서의 백금 화합물, (D) 보강성 충전제, 및 (E) 반응 억제제를 포함하는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이며,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이하의 (a), (b), 및 (c):
(a) 리모넨, 피넨(pinene), 캄펜, 및 테르피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카르본, 풀레곤(pulegone), 멘톤(menthone), 캠퍼, 및 피페리톤(piperito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
(b) 벤질아세테이트, p-ter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멘틸아세테이트, 리날릴아세테이트, 벤질벤조에이트, 알릴헥사노에이트, 알릴헵타노에이트, 및 알릴옥타노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에스테르 화합물,
(c) 리날로올(linalool), 테르피네올, 멘톨, 디하이드로미르세놀, 시트로넬롤, 및 게라니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
을 함유하고,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서의 (a)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의 배합량 X와 (b) 에스테르 화합물의 배합량 Y의 합계와, (c)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의 배합량 Z의 배합 비율 {(X+Y)/Z}가, 0.2∼4.0으로 설정되어 있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
(2)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저분자 실록산을 저감시킨 2차 가류물인 (1)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3) 상기 보강성 충전제는, 실록산 개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4)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d) 스티랄릴아세테이트, o-ter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페네틸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신나밀아세테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아세테이트, 아니실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알릴이소부틸옥시아세테이트, 알릴n-아밀옥시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옥시아세테이트, 알릴페녹시아세테이트, 페네틸알코올, 보르네올, 유제놀, 네롤, 에틸리날로올, 티몰, p-멘탄-3,8-디올, 1,8-시네올, 디페닐옥사이드, 시트로넬랄, 다마스콘, 시스-자스몬, 및 디하이드로자스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향료를 더욱 함유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5)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시트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6)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의 표면에서의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평균 휘산량은, 0.04∼0.9 mg/cm2·h인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7)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環部)를 구비한 환형(環形) 고무 성형체, 혹은 단부(端部)끼리를 결합 혹은 근접시켜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를 형성할 수 있는 띠형 고무 성형체인 (6)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8) 상기 환부에 상기 인체의 일부 혹은 상기 물체를 삽입 또는 장착한 상태로,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이 5∼15 시간에 걸쳐 휘산하는 (7)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9) 상기 환부는, 도형 또는 캐릭터의 윤곽을 구비하는 (7) 또는 (8)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
(10)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사용한 비상 해충 기피 방법으로서,
상기 고무 성형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휘산시키는 비상 해충 기피 방법.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에 의하면,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실리콘 고무 성형체에, 특정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보지시키므로,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의 성형 작업성이나 기계적 특성 등이 개량되는 동시에,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 성능과 비상 해충에 대한 기피 효과가 종래품에 비교하여 더 한층 우수하므로, 그 유용성은 극히 높다.
도 1은, 환형 고무 성형체의 모식도이며, (a) 미장착 시의 환형 고무 성형체, (b) 손목에 장착한 환형 고무 성형체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띠형 고무 성형체의 외관도이며, (a) 미장착 시의 띠형 고무 성형체, (b) 손목에 장착한 띠형 고무 성형체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방법에 대해서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설명 중에서 함께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기재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로서 경도 50도 이하의 실리콘 고무 성형체(이하, 「고무 성형체」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음)에,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보지시킨 것이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은, 고무 성형체에 적합한 특정한 종류의 것이 사용된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 (B) 가교 실리콘 폴리머로서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C) 반응 촉매로서의 백금 화합물, (D) 보강성 충전제, 및 (E) 반응 억제제를 포함한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는 1액성인 것과, 실리콘 고무 경화·성형 시에 2제를 혼합하는 2액성인 것이 있지만, 모두 사용할 수 있다.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으로서는, 분자쇄 양 말단 및/또는 분자쇄 측쇄에 가교 반응에 관여하는 비닐기를 가지는 하기의 (A-1)∼(A-3) 타입의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A-1) 타입: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디메틸폴리실록산,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메틸알킬폴리실록산,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및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알킬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분자쇄 양 말단에 비닐기를 가지는 것.
(A-2) 타입: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비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및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비닐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분자쇄 측쇄에 비닐기를 가지고 분자쇄 양 말단에 비닐기를 가지지 않는 것.
(A-3) 타입: 분자쇄 양 말단 및 분자쇄 측쇄의 양쪽에 비닐기를 가지는 것.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에는, (A-1) 타입, 또는 (A-3) 타입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금형 이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A-1) 타입과 (A-2) 타입을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서의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은, 50∼8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B)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의 가교제로서 작용한다. 즉, (B)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가,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 중의 비닐기와 하이드로실릴화 반응하고, 가교에 의해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이와 같은 (B)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페닐실록산·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로 봉쇄된 디메틸폴리실록산,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및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로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 공중합체 등이 있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서의 (B)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배합량은,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 중의 규소 원자 결합 비닐기 1몰에 대하여 (B)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가 0.5∼3 몰의 범위 내로 되는 양인 것이 필요하며, 5∼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C) 백금 화합물은,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촉매로서 작용하여, (B)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의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 중의 비닐기로의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을 촉진한다. 이와 같은 (C) 백금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백금 흑, 백금 담지(擔持)의 알루미나 분말, 백금 담지의 실리카 분말, 백금 담지의 카본 분말,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과 올레핀의 착체, 염화백금산과 디케톤의 착체, 및 염화백금산과 1,3-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의 착체 등의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촉매로서 주지의 화합물이 있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서의 (C) 백금 화합물의 배합량은, 촉매량으로 충분하며,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0.01∼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D) 보강성 충전제는,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점조(粘稠)하게 하여 성형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실리콘 고무 성형체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D) 보강성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면, 흄드 실리카(건식법 실리카), 침전 실리카(습식법 실리카), 경질 탄산 칼슘, 흄드 산화티탄, 카본 블랙 등이 있고, 특히, 건식법 실리카, 또는 습식법 실리카의 표면에, 헥사메틸디실라잔(HMDS),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디메틸디클로로실란(DDS) 등의 표면 처리제를 사용하여 소수성(疏水性)을 부여한 실록산 개질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서의 (D) 보강성 충전제의 배합량은,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점도와 실리콘 고무 성형체의 기계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10∼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E) 반응 억제제는,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상온(常溫)에서의 경화를 방지하고, 가열 시에 경화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E) 반응 억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3-메틸-1-부틴-3-올, 3,5-디메틸-1-헥신-3-올, 1-에티닐시클로헥산올, 프로파질알코올 등이 있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서의 (E) 반응 억제제의 배합량은, 0.001∼0.1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상기한 (A) 성분∼(E) 성분에 더하여, 증량 충전제로서, 예를 들면, 소성(燒成) 실리카 미분말(微粉末), 미규분(微珪粉), 분쇄 석영,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 분말, 산화 티탄 분말, 산화 마그네슘 분말 등을 배합하거나, 나아가서는, 안료, 내열제, 난연제, 비가교성 실리콘 오일, 항균제, 항곰팡이제 등의 주지의 첨가제를 적절하게 배합해도 된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주지의 성형 장치 및 성형법에 의해 경화시켜 성형할 수 있다. 경화 성형 장치로서는, 통상의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 성형법에서 사용되는 압축 성형기, 트랜스퍼 성형기, 및 사출 성형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경화 속도가 늦어져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한편, 경화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실리콘 고무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므로, 경화 온도로서는, 50∼2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21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의 가교 밀도를 조정하거나,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보강성 충전제나 증량 충전제, 혹은 비가교성 실리콘 오일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나중에 첨가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의 휘산량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 성형한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물성적으로 안정한 것이지만, 고무 성형체 내에 저분자 실록산 성분 등이 잔존할 경우, 이들이 물성 상 악영향을 끼치거나, 고무 성형체 자체에 황변이 생길 우려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에 의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에 대한 검토 과정에 있어서, 시트랄과 같이 고무 성형체 내의 잔존 성분의 영향을 받기 쉬운 향료가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경화 후에 오븐 등을 사용하여 160∼240 ℃의 온도에서 1∼15 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190∼220 ℃의 온도에서 2∼7 시간 정도의 포스트큐어 처리(2차 가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저분자 실록산을 저감시킨 2차 가류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큐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고무 성형체가 물성적으로 보다 안정되어 고무 성형체 자체의 황변 또는 갈변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료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길 수 있는 황변 또는 갈변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기체 투과성이 우수하고, 향료의 흡착·발산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이는, 향료의 분자 구조는 주쇄(主鎖)가 탄소로 구성되어 있고, 향료 분자가 3차원적으로 가교되어 있는 고무의 분자 구조의 극간에 들어가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고무 성형체의 경도가 50도 이하인 경우, 실리콘 고무의 분자 구조가 지나치게 밀(密)하게 되지 않으므로, 향료 분자가 고무의 분자 구조의 극간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고무 성형체의 경도가 50도를 초과하면 고무 성형체 분자 구조가 지나치게 밀하게 되어 향료 분자가 고무의 분자 구조의 극간에 들어가기 어려워져,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고무 성형체의 경도는, 일본공업규격(JIS K6253)에 준거한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규격에 적합한 듀로미터를 사용하여 고무 성형체 경도가 측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로서 경도가 50도 이하인 고무 성형체를 사용함으로써, 성형 작업성이나 기계적 특성 등을 개량하는 동시에, 상기 고무 성형체에 최적인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발견함으로써, 그 비상 해충에게 대한 기피 효과가 종래품에 비교하여 더 한층 우수한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실현한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일본특허 제5832649호(특허문헌 6)에 있어서, (I) 밀러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 및 (II)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양자의 고무 성형체를 사용한 경우, 이들과 적합성을 가지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로서, (m) 특정한 아세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n) 모노테르펜계 알코올 및/또는 탄소수 10의 방향족 알코올을 함유하는 혼합물이 양호하다는 취지를 개시했다.
그 후, 본 발명자들이, (II)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 중 부가형의 경화물인 고무 성형체를 대상으로 하여 더욱 검토를 계속한 결과, 특허문헌 6의 경우와는 달리, 특정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이,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고무 성형체와의 적합성에 있어서 최적인 것을 지견하고,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달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사용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살충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향료 성분을 비상 해충 기피 성분으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향료 성분을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이라고 칭한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하기의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함유한다.
(a) 성분으로서는, 리모넨, 피넨, 캄펜, 및 테르피넨 등의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카르본, 풀레곤, 멘톤, 캠퍼, 및 피페리톤 등의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b) 성분으로서는, 벤질아세테이트, p-ter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멘틸아세테이트, 리날릴아세테이트, 벤질벤조에이트, 알릴헥사노에이트, 알릴헵타노에이트, 및 알릴옥타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에스테르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c) 성분으로서는, 리날로올, 테르피네올, 멘톨, 디하이드로미르세놀, 시트로넬롤, 및 게라니올 등의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있어서는, (a) 성분의 배합량 X와 (b) 성분의 배합량 Y의 합계와, (c) 성분의 배합량 Z의 배합 비율 {(X+Y)/Z}를, 0.2∼4.0으로, 바람직하게는 0.78∼1.8로 설정하면,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고무 성형체와 적합하고, 우수한 휘산 성능 및 비상 해충 기피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한 예의(銳意) 연구의 결과로부터 인정되었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하기의 (d) 성분을 더욱 함유해도 된다.
(d) 성분으로서는, 스티랄릴아세테이트, o-ter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페네틸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신나밀아세테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아세테이트, 아니실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알릴이소부틸옥시아세테이트, 알릴n-아밀옥시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옥시아세테이트, 알릴페녹시아세테이트, 페네틸알코올, 보르네올, 유제놀, 네롤, 에틸리날로올, 티몰, p-멘탄-3,8-디올, 1,8-시네올, 디페닐옥사이드, 시트로넬랄, 다마스콘, 시스-자스몬, 및 디하이드로자스몬 등의 향료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향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시트랄은, 고무 성형체 내의 잔존 성분의 영향을 받아 착색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를 가지므로,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서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 시트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는, 상기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각종 정유류(精油類), 예를 들면, 자스민 오일, 네롤리 오일, 페퍼민트 오일, 라벤더 오일, 벨가모드 오일, 오렌지 오일, 제라늄 오일, 페티그레인(petit grain) 오일, 레몬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시나몬 오일, 유칼리 오일, 레몬유칼리 오일, 타임 오일 등을 적절하게 첨가해도 된다. 이와 같은 정유류에는 상기한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정유류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보충하여, 보다 강한 비상 해충 기피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 시의 기피 효과 지속 성분을 더욱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피 효과 지속 성분은, 예를 들면, 20℃에서의 증기압이 0.2∼20 Pa인 글리콜 및/또는 글리콜에테르이다.
상기한 글리콜 및/또는 글리콜 에테르의 구체예(20℃에서의 증기압을 병기)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10.7Pa), 디프로필렌글리콜(1.3Pa), 트리프로필렌글리콜(0.67Pa), 디에틸렌글리콜(3Pa), 트리에틸렌글리콜(1Pa),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6.7Pa), 벤질글리콜(2.7Pa),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3Pa),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디프로필렌글리콜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한 글리콜 및/또는 글리콜에테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글리콜 및/또는 글리콜에테르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에 대한 배합 비율은, 0.2∼10 배 정도가 적당하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른 기능성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다른 기능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살충 성분, 소취 성분, 제균·항균 성분 등이 있다. 살충 성분으로서는, 상온 휘산성 피레트로이드계의 엠펜트린,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 트란스플루트린(transfluthrin),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살충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취지에 비추어 보아, 극력 미량에 그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벼과, 동백과, 은행나무과, 물푸레나무과, 뽕나무과, 귤과, 말피기과, 감나무과 중에서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이 대표적이다. 또한, 「녹색 향기」로 불리는 청엽 알코올이나 청엽 알데히드(cis-3-hexenal) 등을 첨가하여 릴렉스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들 기능성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용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pH조정제, 착색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해도 된다. 또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예를 들면, 마이크로캡슐화하거나,시클로덱스트린화함으로써,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의 안정화를 도모하거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성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조제에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케톤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노르말 파라핀이나 이소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계 용제 등이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알킬 에테르류(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라우릴아민옥사이드, 스테아릴아민옥사이드,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의 고급 알킬아민옥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로서 경도 50도 이하의 실리콘 고무 성형체에 첨가하고,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고무 성형체에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보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이 완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사용하여, 실리콘 고무 성형체의 표면에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휘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고무 성형체에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 성형체의 표면적이 큰 경우에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약액 분주(分注) 방식이나 도포 방식에 의해 담지시킨다. 고무 성형체의 표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다수 개의 고무 성형체를 밀폐 용기에 넣고, 여기에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필요에 따라 용제와 함께 가하여 분무 또는 적하하고, 교반하면서 고무 성형체에 침투시킨다. 나아가서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의 액중에 고무 성형체를 적당 시간 침지시키거나, 혹은 고농도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함유시킨 고무 성형체와 무처리의 고무 성형체를 밀폐 용기 중에 혼재시키고, 적당 시간 방치하여 고무 성형체 전체에 걸쳐 향료 조성물 농도를 평균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서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의 배합량(보지량)은, 상기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사용 용도, 사용 기간, 및 고무 성형체의 종류나 그 사양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1회 5∼15 시간 사용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경우에는, 고무 성형체 1개당 20∼200 mg 정도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30 일 사용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품 중량을 2∼10 g 정도로 하고, 고무 성형체 1개당 100∼2000 mg 정도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고무 성형체의 형상 및 사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무 성형체의 형상으로서는, 환형, 띠형, 소편(小片) 시트형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고무 성형체는,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를 구비한 환형 고무 성형체, 혹은 단부끼리를 결합 또는 근접시켜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를 형성할 수 있는 띠형 고무 성형체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보지시킨 환형 고무 성형체, 및 띠형 고무 성형체는, 환부를 손목이나 발목 등의 인체의 일부, 또는 버기(buggy), 자전거 등의 핸들 등, 백, 륙색(rucksack), 가방 등의 손잡이 등, 모자, 구두 등의 끈 등의 물체에 삽입 또는 장착하면, 환형 고무 성형체, 및 띠형 고무 성형체의 표면으로부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이 서서히 휘산한다. 예를 들면, 그 휘산 상태가 5∼15 시간에 걸쳐 지속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경우, 이러한 휘산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무 성형체의 표면으로부터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평균 휘산량(단위표면적당의 평균 휘산량)은, 0.04∼0.9 mg/cm2·h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평균 휘산량이 이 범위이면,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고무 성형체 내에서의 블리드(bleed)가 5∼15 시간, 바람직하게는 8∼12 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진행된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평균 휘산량이 0.04mg/cm2·h 미만이면, 비상 해충 기피 효과가 부족하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평균 휘산량이 1.0mg/cm2·h를 초과하면, 기피 효과의 지속 시간이 짧아지거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 또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의 실리콘 고무 성형체 내에서의 보지량이 지나치게 과대하게 되여 표면에 끈적임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휘산량이란 0.02mg/cm2·h 이상의 휘산량을 나타내는 시간구(時間區)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것으로 한다.
환형 고무 성형체로서는, 손목이나 발목 등의 인체의 일부나 상기한 물체에 삽입 또는 장착하기 쉽도록, 주위가 연결되는 1개의 끈형체(선직경: 1∼3 mm, 길이: 약 10∼20cm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도형 또는 캐릭터를 형성한 것이 사용된다. 도 1은, 환형 고무 성형체(1)의 모식도이다. 도 1의 (a)는 미장착 시의 환형 고무 성형체(1)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환형 고무 성형체(1)를 손목(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환형 고무 성형체(1)는,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를 구비한다. 환부의 윤곽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형 또는 캐릭터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도형 또는 캐릭터로서는, 동물 시리즈, 곤충 시리즈, 승용물 시리즈, 알파벳 시리즈 등 다양하게 예를 들 수 있지만, 물론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형 고무 성형체(1)의 원형(原形)은, 그 일부분을 넓혀서 손목이나 발목 등에 장착시켰을 때, 상기 부분 중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30%가 손목이나 발목 등의 피부와 이격된 장착 상태를 형성하도록 신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격 부분이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성 향상에 기여할 뿐만아니라, 향료 성분이라고는 해도, 피부와의 접촉은 될 수 있는 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1의 (b)에는, 손목(2)으로부터 고무 성형체(1)의 일부가 이격함으로써 형성된 이격부(3)가 나타나 있다.
환형 고무 성형체는, 1개의 끈형체로부터 형성되는 도형 또는 캐릭터가 주요부이지만, 이 끈형체의 1개소 또는 몇개소에서 고무 성형체를 분지시켜 분지부를 형성하여, 부속의 액세서리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함으로써, 장식성(裝飾性)이 부여되는 동시에, 고무 성형체의 중량을 크게 하여 보지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량을 업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손목이나 발목 등에 장착하는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개수를 줄이는 메리트를 가진다. 액세서리의 형상이나 크기는, 이 부분의 향료 성분 휘산성이 도형 또는 캐릭터 주요부와 비교하여 과대 또는 과소로 되지 않는 정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띠형 고무 성형체로서는, 사용 전의 형상이 띠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크기는, 폭이 0.5∼2.0 cm 정도, 길이가 약 10∼25 cm 정도, 두께가 1∼3 mm 정도의 것이 사용하기 쉽고,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中空)과 상기 중공을 에워싸는 외곽부를 포함하는 파트(part)가 이어져 있는 띠형부와, 띠형부의 단부끼리를 결합 또는 근접시켜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를 형성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형상, 혹은, 일단측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가지는 띠형부와, 돌기부가 끼워짐으로써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를 형성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띠형부는, 고무 성형체의 주재료(본체)로 되는 것이다. 띠형부는, 단지 끈형으로 성형한 고무 성형체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신축성을 보지할 수 있으며, 강도적으로도 문제없는 것이 된다. 결합부는, 띠형인 사용 전의 고무 성형체(비상 해충 기피 제품)를, 사용 시에 환형으로 변화시켜 가고정하는 것이다.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환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와의 접착 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 성형체를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에 삽입 또는 장착했을 때, 고무 성형체가 필요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에는, 약간 체결 정도가 강해지도록 결합부를 조정하면 된다. 한편, 향료 성분이라고는 해도, 피부와의 직접 접촉을 될 수 있는 한 피하고 싶을 경우에는, 고무 성형체가 손목이나 발목 등의 피부와 될 수 있는 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결합부를 느슨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부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는, 띠형부의 일단측(또는 타단측)에 복수의 받이부를 설치하고, 타단측(또는 일단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부를 설치하는 사양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받이부로서 원형(丸型)의 관통공을 길이 방향을 따라 3∼7 개 배치하고, 그 어느 하나에, 타단측에 설치한 T자형의 돌기부를 끼워서 환부를 형성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혹은, 받이부로서 원형의 관통공을 길이 방향을 따라 6∼10 개 배치하고, 상기 관통공에, 일단측에 설치한 2∼4 개의 돌기부를 끼워서 환부를 형성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띠형부에 존재하는 중공은, 확산 기류를 생기하여, 휘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띠형부의 중공의 크기나 형상은, 고무 성형체로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 성능 외에, 고무 성형체의 신축성이나 강도에도 영향을 주므로, 이들 팩터를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중공의 크기는, 예를 들면, 고무 성형체가 비신축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중공이 차지하는 총면적을 S1으로 하고, 고무 성형체의 전체 면적(S1을 포함함)을 S2로 했을 때, 0.05≤S1/S2≤0.6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S2의 값이 0.05 미만(즉, 고무 성형체에 대한 중공의 면적 비율이 5% 미만)이면, 고무 성형체의 단위중량당의 휘산 성능이 끈형으로 성형한 고무 성형체에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S1/S2의 값이 0.6 초과(즉, 고무 성형체에 대한 중공의 면적 비율이 60% 초과)이면, 고무 성형체로서의 강도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중공의 형상으로서는, 그 윤곽이, 도형 또는 캐릭터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형 또는 캐릭터 형상으로서는, 동물 시리즈, 곤충 시리즈, 승용물 시리즈, 알파벳 시리즈 등 다양하게 예로 들 수 있지만, 물론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서는, 중공의 몇 개에 대하여, 이것을 메워서 오목형으로 개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중공의 디자인성을 보지하면서, 고무 성형체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충전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중공을 에워싸는 외곽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분지부를 형성하여, 캐릭터성이나 디자인성을 부여하도록 해도 물론 상관없다.
띠형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는,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를 형성했을 때에, 환부 중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30%가 손목이나 발목 등의 피부와 이격된 장착 상태를 형성하도록 신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으로서 사용되는 띠형부(10)와 결합부(20)를 구비한 띠형 고무 성형체(100)의 예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는, 띠형 고무 성형체(100)의 외관도이다. 도 2의 (a)은 미장착 시의 띠형 고무 성형체(100)이며, 도 2의 (b)는 띠형 고무 성형체(100)의 양단을 결합하여 손목 H에 장착한 띠형 고무 성형체(100)이다. 띠형 고무 성형체(100)에서는, 중공의 윤곽으로서 스타를 모방한 파트(1A)가 복수 개 이어져 있다.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예로서, 상기한 환형 고무 성형체, 및 띠형 고무 성형체를 사용한 리스트 링, 리스트 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시계 밴드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그 일부에 소편형(小片形)의 고무 성형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고무 성형체의 교체를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고무 성형체가 팔의 피부에 직접 접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고무 성형체와 수납체의 조합은,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 성능이 확보되는 한, 인체용뿐만 아니라, 차내 등의 공간용에 사용되는 탑재 타입, 매다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현관, 주방, 화장실, 거실(living room), 침실 등의 실내, 창고, 차내 등의 공간이나, 마당, 옥외에서, 손목이나 발목 등의 각각의 부위에 필요에 따라 1∼5 개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빨간집모기, 지하집모기, 외줄모기 등의 모기류, 먹파리, 깔따구류, 파리류, 날파리류(초파리류, 벼룩파리류 등), 나방파리류, 옷좀나방류 등의 비상 해충에 대하여, 소정 기간에 걸쳐 우수한 비상 해충 기피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방향성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사용한 경우에는 초기의 향조가 변질하지 않고 소정 기간 지속하며, 또한, 본 제품은 실질적으로는 살충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살충제의 사용을 꺼리는 사람이라도 거부감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실용성은 극히 높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2액성의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하기의 처방으로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액, 및 2액을 조제하고, 조제한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액, 및 2액을 실온에서 혼합하고,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140℃에서 경화시키고, 동물의 캐릭터를 모방한 끈링형(선직경: 약 2mm, 중량: 1.6g, 경도: 32도)으로 성형했다. 성형 후에 오븐에 넣어, 210℃로 5시간 포스트큐어 처리를 행하여,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얻었다.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액
(A) 성분: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63질량%
(C) 성분: 염화백금산과 1,3-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의 착체 0.05질량%
(D) 성분: 실록산 개질 실리카(표면 처리제로서 HMDS를 사용) 20질량%
증량 충전제: 미규분 16.95질량%
·실리콘 고무 조성물 2액
(A) 성분: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63질량%
(B) 성분: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7.6질량%
(D) 성분: 실록산 개질 실리카(표면 처리제로서 HMDS를 사용) 20질량%
(E) 성분: 1-에티닐시클로헥산올 0.05질량%
증량 충전제: 미규분 9.35질량%
하기의 처방으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시트랄을 함유하지 않고, (a) 성분의 배합량 X와 (b) 성분의 배합량 Y의 합계와, (c) 성분의 배합량 Z의 배합 비율 {(X+Y)/Z}가 1.1이었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고무 성형체 1개당 30mg)
(a) 성분: l-카르본 14.3질량%(4.3mg)
(b) 성분: 벤질아세테이트 7.0질량%(2.1mg)
p-ter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4.0질량%(1.2mg)
벤질벤조에이트 6.7질량%(2.0mg)
알릴헵타노에이트 5.7질량%(1.7mg)
(c) 성분: 리날로올 10.3질량%(3.1mg)
테르피네올 9.7질량%(2.9mg)
디하이드로미르세놀 8.3질량%(2.5mg)
게라니올4.7질량%(1.4mg)
(d) 성분: 스티랄릴아세테이트, 티몰, p-멘탄-3,8-디올 합계 12.6질량%(3.8mg)
기피 효과 지속 성분: 디프로필렌글리콜 16.7질량%(5.0mg)
끈링형의 실리콘 고무 성형체 100개를 분무 장치가 부설된 밀폐 용기에 넣고, 상기한 분무 장치를 사용하여, 조제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고무 성형체 1개당의 흡착량이 30mg(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25.0mg)이 되도록 분무하였다. 충분히 교반한 후, 1일간 방치하여 고무 성형체 전체에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균일하게 침투시켜, 리스트 링 형태로서 유효 지속 시간이 약 10시간인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실시예 1)을 얻었다. 그리고, 별도로, 경도가 80도인 실리콘 고무 성형체에 대하여 동일하게 시험해 보았지만,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약간밖에 흡착하지 않아,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1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서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전체 표면적당의 평균 휘산량은, 0.35mg/cm2·h(사용 시작 시로부터 사용 개시 2시간 후까지)이며, 손목에 장착했을 때, 리스트 링의 약 44%가 손목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였다. 실시예 1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좌우의 손목에 2개씩 감고 외출한 바, 약 10시간에 걸쳐, 모기나 날파리 등의 비상 해충에 괴롭힘을 당하지 않고, 실용적인 기피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동물의 캐릭터를 몸에 착용함으로써 가벼운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동시에, 신체의 주위 공간에는 초기 향조 그 상태로의 방향이 풍겨서, 쾌적한 상쾌함도 만끽할 수 있었다.
[실시예 2∼10, 비교예 1∼5]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A) 성분과 (D) 성분을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변경하였고, 그 외는 실시예 1에 준하여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끈링형의 고무 성형체를 성형하고, 여기에 표 2에 조성을 나타내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흡착시켜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실시예 2∼10)을 얻었다. 그리고, 표 1에 있어서, 「A-1」은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디메틸폴리실록산이며, 「A-2」는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이며, 「A-3」는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이다. 또한, 「실록산 개질 실리카 P」는 HMDS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한 실록산 개질 실리카이며, 「실록산 개질 실리카 Q」는 PDMS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한 실록산 개질 실리카이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밀러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끈링형의 고무 성형체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표 3에 조성을 나타내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흡착시켜 본 발명의 범위 외가 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비교예 1)을 얻었다. 또한,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A) 성분과 (D) 성분을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변경하고, 그 외는 실시예 1에 준하여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끈링형의 고무 성형체를 성형하고, 여기에 표 3에 조성을 나타내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흡착시켜 본 발명의 범위 외가 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비교예 2∼5)을 얻었다.
[표 3]
Figure pct00003
얻어진 실시예 2∼10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교예 1∼5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대하여, [1] 고무 성형체의 성형 작업성의 평가, [2] 고무 성형체의 이형성의 평가, [3] 고무 성형체 표면에서의 착색의 평가, [4] 비상 해충 기피 효과 시험, 및 [5]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량 측정 시험을 실시했다.
[1] 고무 성형체의 성형 작업성의 평가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사용한 고무 성형체의 성형 작업성을, ◎(매우 양호), ○ (양호), △(뒤떨어짐), 및 ×(매우 뒤떨어짐)의 4단계로 평가했다.
[2] 고무 성형체의 이형성의 평가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사용한 고무 성형체의 이형성을, ◎(매우 양호), ○(양호), △(뒤떨어짐), 및 ×(매우 뒤떨어짐)의 4단계로 평가했다.
[3] 고무 성형체 표면에서의 착색의 평가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고무 성형체 표면에서의 착색의 유무를, ◎(착색 없음), ○(약간 착색 있음), △(착색 있음: 황변), 및 ×(착색 있음: 갈색 얼룩)의 4단계로 평가했다.
[4] 비상 해충 기피 효과 시험
시험실 내(약 6m3)에, 뚜껑을 하지 않고 있는 오픈 상태의 플라스틱 컵(약 1L)을 2개 병설했다. 한쪽 플라스틱 컵 내에 빨간집모기 성충 유인원(誘引源)과 공시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넣고(처리군), 다른 쪽 플라스틱 컵 내에는 빨간집모기 성충 유인원만을 넣었다(무처리군). 사용 개시 2시간 후, 및 사용 개시 7시간 후에, 실내에 빨간집모기 성충(암컷) 약 50마리를 풀어놓고, 양쪽 구 플라스틱 컵 내로의 침입 벌레를 계수하고, 다음 식에 따라 비상 해충 기피율을 산출했다.
비상 해충 기피율(%)=[(무처리군의 침입 벌레수-처리군의 침입 벌레수)/무처리군의 침입 벌레수]×100
[5]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량 측정 시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중량을, 사용 개시시, 사용 개시 2시간 후, 및 사용 개시 7시간 후에 측정하고, 중량 감소량에 기초하여, 사용 개시 시로부터 사용 개시 2시간 후까지와, 사용 개시 2시간 후로부터 사용 개시 7시간 후까지의 단위표면적·단위시간당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평균 휘산량을 산출했다.
평가 및 시험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04
시험의 결과, 실시예 2∼10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실리콘 고무 성형체에, 특정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보지시킨 것)은, 사용 개시 시로부터 사용 개시 2시간 후까지와 사용 개시 2시간 후로부터 사용 개시 7시간 후까지의 평균 휘산량, 및 사용 개시 2시간 후와 사용 개시 7시간 후의 비상 해충 기피율을 검증하면,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 성능이 우수하고, 만족할만한 비상 해충 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이란 (a)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과, (b) 에스테르 화합물과, (c)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a)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의 배합량 X와 (b) 에스테르 화합물의 배합량 Y의 합계량의 (c)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의 배합량 Z에 대한 배합 비율 {(X+Y)/Z}가, 0.2∼4.0으로 조정된 것이다. 이에 대하여, 특정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인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지 않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비교예 2∼4), 및 이들의 배합 비율이 본 발명의 규정 범위를 벗어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비교예 5)은,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 성능, 및 기피 효과가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실리콘 고무 성형체가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실시예 2∼10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실리콘 고무 성형체가 밀러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인 비교예 1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과 비교하여, 성형 작업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기피 효과 지속 성분을 배합한 실시예 2∼4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서는, 사용 개시 7시간 후에도 기피 효과를 안정하여 지속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A) 성분으로서, (A-1)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디메틸폴리실록산과 (A-2)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을 병용한 실시예 3에서는, 이형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2, 4∼6은, 성형 작업성이 우수하고,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D) 성분으로서 실록산 개질 실리카의 사용은, 성형 작업성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8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과 실시예 9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모두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시트랄을 배합했지만,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포스트큐어 처리한 실시예 8에서는, 실시예 9보다 착색의 정도가 억제되어 있었다. 이로부터,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포스트큐어 처리함으로써,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물성적으로 안정화시켜, 착색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16]
실시예 5에 준하여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시켜, 끈링형으로 성형했다. 성형 후에 오븐에 넣고, 표 5에 나타낸 각종 조건으로 포스트큐어 처리를 행하여,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얻었다. 얻어진 고무 성형체에, 실시예 5에 준하여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흡착시켜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실시예 11∼16)을 얻었다. 실시예 11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실시예 5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과 동일한 것이다. 얻어진 실시예 11∼16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대하여, 전술한 [4] 비상 해충 기피 효과 시험, 및 [5]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휘산량 측정 시험을 실시한 바, 시험 결과의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모두 실시예 5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과 동일 정도의 우수한 휘산 성능, 및 비상 해충 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1∼16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대하여, 전술한 [1] 고무 성형체의 성형 작업성(포스트큐어 처리 작업성을 포함함)의 평가, 및 [3] 고무 성형체 표면에서의 착색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05
평가의 결과, 특히, 실시예 11∼14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모두 고무 성형체의 성형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고무 성형체 표면에서의 착색도 일정 이상 억제된 것이었다. 즉, 실리콘 고무 성형체가, 포스트큐어 처리에 의해 저분자 실록산을 저감시킨 2차 가류물이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포스트큐어 처리의 처리 온도가 190∼210 ℃이며, 처리 시간이 4∼5 시간인 실시예 11 및 12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고무 성형체의 성형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면서, 고무 성형체 표면에 착색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포스트큐어 처리의 처리 온도가 160℃ 미만인 실시예 15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고무 성형체 표면에 착색이 관찰되므로, 포스트큐어 처리에 의한 저분자 실록산의 저감이 불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 포스트큐어 처리의 처리 온도가 240℃를 초과하는 실시예 16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고무 성형체 자체에 황변이 생겼다. 단, 이들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있어서도, 고무 성형체의 성형 작업성은 우수하며, 실용 상 큰 문제는 없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에 대하여 포스트큐어 처리를 행하는 경우, 그 처리 조건은, 전술한 평가 결과와 함께 현실적인 처리 조건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처리 온도는 160∼240 ℃이며, 보다 바람직한 온도는 190∼220 ℃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바람직한 처리 시간은 1∼15 시간 정도이며, 보다 바람직한 처리 시간은 2∼7 시간 정도인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17]
하기의 처방으로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130℃에서 경화시켜, 중공의 윤곽으로서 스타를 모방한 파트를 7개 서로 연결시켜 띠형부를 구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띠형부의 양단에 결합부(일단측이 6개의 원형의 관통공(받이부), 타단측이 T자형의 돌기부)를 가지는 띠형 고무 성형체(길이: 20cm, 중량: 3.6g, 경도: 34도, 고무 성형체 전체 면적(S2)에 대하여 중공이 차지하는 총면적(S1)의 비율(S1/S2): 0.35)를 성형했다. 성형 후에, 이 고무 성형체를 오븐에 넣고, 220℃로 7시간 포스트큐어 처리를 행하였다.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
(A) 성분: 분자쇄 양 말단이 디메틸비닐실록산기로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67질량%
(B) 성분: 분자쇄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 공중합체 8.3질량%
(C) 성분: 염화백금산과 올레핀의 착체 0.04질량%
(D) 성분: 실록산 개질 실리카(표면 처리제로서 DDS를 사용) 15질량%
(E) 성분: 3-메틸-1-부틴-3-올 0.08질량%
증량 충전제: 미규분 9.58질량%
하기의 처방으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시트랄을 함유하지 않고, (a) 성분의 배합량 X와 (b) 성분의 배합량 Y의 합계량의 (c) 성분의 배합량 Z에 대한 배합 비율 {(X+Y)/Z}가 1.2였다.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고무 성형체 1개당 90mg)
(a) 성분: 멘톤 6.4질량%(5.8mg)
β-다마스콘 4.1질량%(3.7mg)
(b) 성분: 멘틸아세테이트 9.2질량%(8.3mg)
벤질벤조에이트 7.8질량%(7.0mg)
알릴옥타노에이트 8.5질량%(7.7mg)
(c) 성분: 리날로올 9.0질량%(8.1mg)
l-멘톨 11.4질량%(10.3mg)
시트로넬롤 3.7질량%(3.3mg)
게라니올 5.4질량%(4.9mg)
(d) 성분: 알릴시클로헥실옥시아세테이트, 에틸리날로올, 1,8-시네올 합계 14.5질량%(13.1mg)
기피 효과 지속 성분: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0.0질량%(18.0mg)
띠형 고무 성형체의 외표면의 1개소에, 상기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 90mg(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72mg)을 주입하여 가하였다. 밀폐 하에 2일간 방치하여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고무 성형체 전체에 균일하게 침투시켜, 유효 지속 시간이 약 12시간인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실시예 17)을 얻었다.
실시예 17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손목에 감고, 띠형부의 일단측에 설치한 원형의 관통공의 하나에 타단측에 설치한 T자형의 돌기부를 끼워 넣어 환부를 형성했다. 이 때, 실시예 17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신축성이 우수하므로, 조작하기 쉽고, 또한, 환부의 크기를 조정하여 띠형 고무 성형체가 손목 상에서 그다지 이동하지 않는 접착 상태로 할 수 있었다. 실시예 17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의 휘산 성능은, 끈형 타입의 제품 3개분에 상당하므로, 본 제품 1개를 손목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본 제품은 매우 실용적인 것이며, 또한 약 12시간에 걸친 사용 기간 중에 있어서, 모기나 날파리 등의 비상 해충에 괴롭힘을 당하지 않았다.
[실시예 18]
실시예 17에서 사용한 1액성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시켜, 소편 시트형의 고무 성형체(직경: 3cm, 두께: 1.2mm, 한쪽 면의 표면적: 7.1cm2)를 성형했다. 얻어진 고무 성형체의 표면의 1개소에, 실시예 17에서 사용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 50mg(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40mg)을 주입하여 가하고, 밀폐 하에 2일간 방치하여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을 고무 성형체 전체에 균일하게 침투시켰다. 이것을, 환형(직경: 3.5cm)이며, 중앙에 원형구멍(직경: 2.7cm)을 각각 구비하는 전면부와 후면부를 힌지부를 통하여 일체 성형한 플라스틱제 수납체에 수납하고, 유효 지속 시간이 약 10시간의 차내용(車內用)의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실시예 18)을 얻었다.
실시예 18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차내에 매달아 사용한 바, 사용 개시시로부터 사용 개시 5시간 후까지에서의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평균 휘산량은 0.32mg/cm2·h이며, 나아가서는, 약 10시간에 걸쳐 모기나 날파리 등의 비상 해충이 차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은, 비상 해충용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해충 구제를 목적으로 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환형 고무 성형체
100: 띠형 고무 성형체

Claims (10)

  1. 경도(硬度) 50도 이하의 실리콘 고무 성형체에 있어서, 비상(飛翔)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이,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를 구성하는 고무의 분자 구조의 극간(隙間)에 들어간 상태로 보지(保持)되어 있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으로서,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A) 메틸비닐폴리실록산, (B) 가교 실리콘 폴리머로서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C) 반응 촉매로서의 백금 화합물, (D) 보강성 충전제, 및 (E) 반응 억제제를 포함하는 부가형 액상(液狀)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이며,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이하의 (a), (b), 및 (c):
    (a) 리모넨(limonene), 피넨(pinene), 캄펜(camphene), 및 테르피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카르본, 풀레곤(pulegone), 멘톤(menthone), 캠퍼, 및 피페리톤(piperito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
    (b) 벤질아세테이트, p-ter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멘틸아세테이트, 리날릴아세테이트, 벤질벤조에이트, 알릴헥사노에이트, 알릴헵타노에이트, 및 알릴옥타노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에스테르 화합물,
    (c) 리날로올(linalool), 테르피네올, 멘톨, 디하이드로미르세놀, 시트로넬롤, 및 게라니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
    를 함유하고,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에서의 (a) 테르펜계 탄화수소 화합물 및/또는 테르펜계 케톤 화합물의 배합량 X와 (b) 에스테르 화합물의 배합량 Y의 합계와, (c) 테르펜계 알코올 화합물의 배합량 Z의 배합 비율 {(X+Y)/Z}가, 0.2∼4.0으로 설정되어 있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저분자 실록산을 저감시킨 2차 가류물(加硫物)인, 비상 해충 기피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성 충전제는, 실록산 개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으로서, (d) 스티랄릴아세테이트, o-ter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페네틸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신나밀아세테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아세테이트, 아니실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알릴이소부틸옥시아세테이트, 알릴n-아밀옥시아세테이트, 알릴시클로헥실옥시아세테이트, 알릴페녹시아세테이트, 페네틸알코올, 보르네올, 유제놀, 네롤, 에틸리날로올, 티몰, p-멘탄-3,8-디올, 1,8-시네올, 디페닐옥사이드, 시트로넬랄, 다마스콘, 시스-자스몬, 및 디하이드로자스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향료를 더욱 함유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조성물은, 시트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의 표면에서의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의 평균 휘산량은, 0.04∼0.9 mg/cm2·h인, 비상 해충 기피 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성형체는,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環部)를 구비한 환형 고무 성형체, 혹은 단부(端部)끼리를 결합 혹은 근접시켜 인체의 일부 혹은 물체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환부를 형성할 수 있는 띠형 고무 성형체인, 비상 해충 기피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에 상기 인체의 일부 혹은 상기 물체를 삽입 또는 장착한 상태로,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이 5∼15 시간에 걸쳐 휘산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는, 도형 또는 캐릭터의 윤곽을 구비하는, 비상 해충 기피 제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상 해충 기피 제품을 사용한 비상 해충 기피 방법으로서,
    상기 고무 성형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비상 해충 기피 향료 성분을 휘산시키는, 비상 해충 기피 방법.
KR1020207028265A 2018-04-09 2019-04-04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 KR102458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4937 2018-04-09
JPJP-P-2018-074937 2018-04-09
PCT/JP2019/014929 WO2019198608A1 (ja) 2018-04-09 2019-04-04 飛翔害虫忌避製品、及び飛翔害虫忌避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120A true KR20200128120A (ko) 2020-11-11
KR102458111B1 KR102458111B1 (ko) 2022-10-21

Family

ID=6816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265A KR102458111B1 (ko) 2018-04-09 2019-04-04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823225B2 (ko)
KR (1) KR102458111B1 (ko)
CN (1) CN111757670B (ko)
AU (1) AU2019250325B2 (ko)
TW (1) TWI698177B (ko)
WO (1) WO2019198608A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649B2 (ja) 1978-06-30 1983-07-14 オ−バル機器工業株式会社 容積型流量計
JPS61289002A (ja) 1985-06-14 1986-12-19 Shoko Kagaku Kenkyusho:Kk 節足動物類,軟体動物類並びに爬虫類用忌避剤
JPS63209659A (ja) * 1987-02-27 1988-08-31 東芝シリコ−ン株式会社 揮散物封入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11216A (ja) 1995-05-22 1996-11-26 Mochida Shoko Kk 薬剤含浸ゴム成型品
JP2002173407A (ja) 2000-12-05 2002-06-21 Fumakilla Ltd 飛翔昆虫忌避剤
JP2003201203A (ja) 2001-12-28 2003-07-18 Johnson Co Ltd 害虫忌避剤揮散組成物
JP2011026462A (ja) 2009-07-27 2011-02-10 Tokyo Polymer:Kk 芳香性ゴムシートとその製造法
JP5053114B2 (ja) 2008-02-05 2012-10-17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忌避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2013230990A (ja) * 2012-04-27 2013-11-14 Dainippon Jochugiku Co Ltd 飛翔害虫忌避香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飛翔害虫忌避製品
WO2013187463A1 (ja) * 2012-06-15 2013-12-19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飛翔害虫忌避製品、及び飛翔害虫忌避方法
WO2017170362A1 (ja) * 2016-03-31 2017-10-05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飛翔害虫忌避製品、及び飛翔害虫忌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43081A (zh) * 2004-04-14 2007-04-04 Jsr株式会社 各向异性导电膜制造用模具及各向异性导电膜的制造方法
CN100497450C (zh) * 2006-06-11 2009-06-10 上海三泰橡胶制品有限公司 硅橡胶开孔海绵
KR101711522B1 (ko) * 2009-08-05 2017-03-02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롤러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3064090A (ja) * 2011-09-20 2013-04-11 Shin-Etsu Chemical Co Ltd 付加硬化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6254371B2 (ja) * 2012-06-29 2017-12-27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水性ゲルビーズタイプの飛翔害虫忌避剤
JP5983566B2 (ja) * 2013-09-05 2016-08-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付加硬化性液状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ゴム硬化物
WO2015093000A1 (ja) * 2013-12-17 2015-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部材、定着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83551B2 (ja) * 2014-05-19 2017-08-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付加硬化性液状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6130986B2 (ja) * 2014-06-05 2017-05-17 理研香料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昆虫忌避剤および昆虫忌避方法
JP6572634B2 (ja) * 2015-06-09 2019-09-1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付加硬化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硬化物
CN105153708B (zh) * 2015-08-11 2017-12-01 华南理工大学 一种有机硅‑硼陶瓷前驱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649B2 (ja) 1978-06-30 1983-07-14 オ−バル機器工業株式会社 容積型流量計
JPS61289002A (ja) 1985-06-14 1986-12-19 Shoko Kagaku Kenkyusho:Kk 節足動物類,軟体動物類並びに爬虫類用忌避剤
JPS63209659A (ja) * 1987-02-27 1988-08-31 東芝シリコ−ン株式会社 揮散物封入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11216A (ja) 1995-05-22 1996-11-26 Mochida Shoko Kk 薬剤含浸ゴム成型品
JP2002173407A (ja) 2000-12-05 2002-06-21 Fumakilla Ltd 飛翔昆虫忌避剤
JP2003201203A (ja) 2001-12-28 2003-07-18 Johnson Co Ltd 害虫忌避剤揮散組成物
JP5053114B2 (ja) 2008-02-05 2012-10-17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忌避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2011026462A (ja) 2009-07-27 2011-02-10 Tokyo Polymer:Kk 芳香性ゴムシートとその製造法
JP2013230990A (ja) * 2012-04-27 2013-11-14 Dainippon Jochugiku Co Ltd 飛翔害虫忌避香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飛翔害虫忌避製品
WO2013187463A1 (ja) * 2012-06-15 2013-12-19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飛翔害虫忌避製品、及び飛翔害虫忌避方法
WO2017170362A1 (ja) * 2016-03-31 2017-10-05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飛翔害虫忌避製品、及び飛翔害虫忌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23225B2 (ja) 2021-01-27
CN111757670A (zh) 2020-10-09
TW201946532A (zh) 2019-12-16
JPWO2019198608A1 (ja) 2020-09-17
AU2019250325B2 (en) 2021-07-29
WO2019198608A1 (ja) 2019-10-17
CN111757670B (zh) 2022-10-14
TWI698177B (zh) 2020-07-11
AU2019250325A1 (en) 2020-10-22
KR102458111B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896B1 (ko)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
JP6617194B2 (ja) 飛翔害虫忌避製品、及び飛翔害虫忌避方法
JP6466551B2 (ja) 水性ゲルビーズタイプの飛翔害虫忌避剤
US20220152571A1 (en) Poly(amide-ester) microcapsules
JP2015038058A (ja) 香り付き防虫剤、香り付き防虫器、及び香り付き防虫剤の製造方法
CN111867379B (zh) 害虫驱避剂及害虫驱避制品
KR102607746B1 (ko) 흡수 촉진제, 비상 해충 기피 향료 함유 조성물, 및 비상 해충 기피 제품
KR102458111B1 (ko)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
JP6527498B2 (ja) シリコーンゴム成形体の劣化抑制方法、劣化抑制剤および害虫忌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