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454A -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454A
KR20200116454A KR1020207020160A KR20207020160A KR20200116454A KR 20200116454 A KR20200116454 A KR 20200116454A KR 1020207020160 A KR1020207020160 A KR 1020207020160A KR 20207020160 A KR20207020160 A KR 20207020160A KR 20200116454 A KR20200116454 A KR 2020011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plate member
guide groove
body member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886B1 (ko
Inventor
게이 아라이
마사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0011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봉형 화장료를 유지하고 또한 하부에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접시 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을 가지는 동시에, 보디 부재에 설치된 회전 제어부가 걸어맞추어지는 보디 부재용 커팅홈을 가지는 내통 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유도홈을 구비하고 또한 그 내주면에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상기 회전 제어부를 가지는 상기 보디 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동시에, 접시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선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 부재와, 상기 보디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커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은, 그 하부에 크랭크형의 굴곡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내통 부재의 하단부까지 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은, 그 하부에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나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접시 부재를 상승시키면, 상기 내통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 상기 접시 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맞닿고, 상기 접시 부재와 동조하여 상승하고 또한 상기 회전 제어부가 상기 경사부까지 이동하면,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내통 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유도홈과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이 대략 중첩되는 상태로 되고, 이로써, 상기 접시 부재만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로서,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접시 부재가 쉽게 휘어지지 않는 봉형 화장료 용수납 용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본 발명은, 립스틱 등의 봉형 화장료(bar-shaped cosmetic)를 유지하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에 있어서 내통 부재가 상승하고, 그 후에 접시 부재(dish member)가 상승하여 봉형 화장료가 노출되는 것으로서는, 「봉형 화장품을 출몰(出沒) 가능하게 수납하는 봉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봉형 화장품의 하부를 유지하는 받침 접시와, 이 받침 접시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하고, 봉형 화장품 중 적어도 상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와, 이 슬리브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하고 또한 상단(上端)에 개구부를 가지는 중통(中筒)과, 이 중통에 대하여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억지하고 또한 주위 방향으로는 회동(回動) 가능하게 외장(外裝)한 외통과, 상기 중통의 개구부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한 캡과, 상기 외통 또는 중통에 대하여 중통 또는 외통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슬리브를 봉형 화장품에 앞서 개구부로부터 송출하고, 그 선단에서 상기 캡을 개방하고 또한 최종적으로는 슬리브와 봉형 화장품을 중통의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키는 위치까지 송출하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기구가, 상기 받침 접시의 통벽외면으로 돌출한 제1 돌출부와, 상기 슬리브의 통벽 축 방향을 따라 투설(透設)한 제1 안내홈 및 통벽외면으로 돌출한 제2 돌출부와, 슬리브 측의 상기 제1 안내홈에 중첩되도록 상기 중통의 통벽 축 방향을 따라 투설한 제2 안내홈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걸어맞추기 위해 상기 중통의 통벽 축 방향을 따라 투설한 캠홈과, 상기 외통의 통벽 내면에 상기 슬리브 측의 제1 안내홈 및 중통 측의 제2 안내홈에 동시에 관통시킨 받침 접시 측의 상기 제1 돌출부의 선단을 걸어맞추도록 각설(刻設)한 나선홈(spiral groove)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캠홈은, 상기 중통의 통벽 축 방향을 따라 투설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상단측에 통벽의 주위 방향의 일측 위쪽으로 굴곡되어 연속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홈은, 하단부에 주위 방향으로 절결(切缺)하여 연장 형성된 L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형 화장품의 수납 시에는, 상기 L부 내에 상기 받침 접시의 상기 제1 돌출부를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화장품 용기.」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 발명은, 조립하기 위해 받침 접시의 하부에 대향하도록 절결을 가지고 있으므로, 받침 접시의 강성(剛性)이 낮아져 버려, 받침 접시가 쉽게 굴곡되어 버림으로써, 받침 접시의 제1 돌출부가 나선홈으로부터 벗어나버려, 봉형 화장품을 송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봉형 화장품에 받침 접시의 굴곡에 의한 영향을 주어버려, 받침 접시의 내부에서 봉형 화장품이 꺽여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특허 제3892924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접시 부재가 쉽게 휘어지지 않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항에 기재된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는, 봉형 화장료를 유지하고 또한 하부에 걸어맞춤부(engaging portion)를 구비하는 접시 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을 가지고 또한 보디 부재에 설치된 회전 제어부가 걸어맞추어지는 보디 부재용 커팅홈(body member cut-apart groove)을 가지는 내통 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유도홈을 구비하고 또한 그 내주면(內周面)에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상기 회전 제어부를 가지는 상기 보디 부재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접시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선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 부재(spiral member)와, 상기 보디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커트 부재(skirt member)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은, 그 하부에 크랭크형의 굴곡부(crank-shaped bent portion)를 가지고 또한 상기 내통 부재의 하단부까지 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은, 그 하부에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나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접시 부재를 상승시키면, 상기 내통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 상기 접시 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맞닿고, 상기 접시 부재와 동조하여 상승하고 또한 상기 회전 제어부가 상기 경사부까지 이동하면,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내통 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유도홈과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이 대략 중첩되는 상태로 되고, 이로써, 상기 접시 부재만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항에 기재된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의 상기 보디 부재의 상단부에는, 개폐 가능한 커버체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체는 가압(付勢) 수단에 의해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항에 기재된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의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보디 부재의 상부 및 상기 커버체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편과, 상기 한 쌍의 걸림편에 걸린 환형(環形)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항에 기재된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의 상기 나선 부재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 기구(機構)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항에 기재된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의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에는,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로부터 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접시 부재를 상승시켰을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에 회전 제어부가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1)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내통 부재에는, 그 하단부가 내통 부재의 하단부까지 도달하는 크랭크형의 굴곡부를 가지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시 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용이하게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에 걸어맞출(삽입)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2)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의 하단부로부터 접시 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접시 부재에 절결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접시 부재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접시 부재를 잘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봉형 화장료에 접시 부재의 굴곡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3) 제2항 및 제3항에 기재된 각 발명도 상기 (1), (2)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4) 제4항에 기재된 각 발명도 상기 (1), (2)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용이하게 나선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5) 제5항에 기재된 발명도 상기 (1) 내지 (4)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보디 부재용 커팅홈의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접시 부재를 상사점 부근까지 이동시킨 후,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하중(荷重; load)이 가해져도 걸림부에 회전 제어부가 맞닿고, 경사부에 회전 제어부가 이동하여 내통 부재가 회전하고, 작동핀이 협지되어 작동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접시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내통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내통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보디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보디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접시 부재, 내통 부재 및 보디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가압 수단의 설명도면이다.
도 9는 내통 부재를 상사점까지 상승시킨 상태의 설명도면이다.
도 10은 접시 부재를 상사점까지 상승시킨 상태의 설명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가압 수단의 설명도면이다.
도 13는 제3 실시형태의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형태의 수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내통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내통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접시 부재, 내통 부재 및 보디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내통 부재를 상사점까지 상승시킨 상태의 설명도면이다.
도 20은 접시 부재를 상사점까지 상승시킨 상태의 설명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에 있어서, (1)는 본 발명의 립스틱 등의 봉형 화장료(2)를 수납하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이하, 「수납 용기」라고 함)이다.
이 수납 용기(1)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 화장료(2)를 유지하고 또한 하부에 걸어맞춤부(3)(예를 들면, 걸어맞춤핀)를 가지는 접시 부재(4)와, 상기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걸어맞추어(삽입)지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을 가지고 또한 보디 부재(6)의 회전 제어부(10)(예를 들면, 회전 제어핀)가 걸어맞추어(삽입)지는 보디 부재용 커팅홈(7)을 가지는 내통 부재(8)와, 상기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걸어맞추어(삽입)지는 유도홈(9)을 가지고 또한 그 내주면에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7)에 걸어맞추어(삽입)지는 회전 제어부(10)를 가지는 보디 부재(6)와, 상기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삽입되고, 접시 부재(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선홈(11)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 부재(12)와, 보디 부재(6)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커트 부재(13)와, 상기 보디 부재(6)의 상단부에 설치된 커버체(14)로 구성되어 있다.
접시 부재(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상단부 보다의 부위에 대략 수평의 격벽(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15)의 상부 공간이 봉형 화장료(2)를 유지하는 봉형 화장료 유지부(16)로 되어 있다.
접시 부재(4)의 외주벽의 하단부 부근에는, 상기 걸어맞춤부(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원기둥형의 돌기로 되어 있다.
내통 부재(8)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이며, 접시 부재(4)의 외주 부분을 덮는 파이프형의 부재이다. 이 내통 부재(8)는, 상부가 경사지게 절결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그 측면에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 및 보디 부재용 커팅홈(7)이 형성되어 있다.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는, 내통 부재(8)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그 수직부(5a)의 상단부가 위치하고, 내통 부재(8)의 하단부 부근에 수평부(17a)를 가지는 크랭크형의 굴곡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의 하단부는 내통 부재(8)의 하단부까지 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을 형성함으로써, 이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에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를 걸어맞출 때,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의 하단부[내통 부재(8)의 절취선]로부터 걸어맞춤부(3)를 걸어맞출 수 있어, 접시 부재(4)나 내통 부재(8)를 휘게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접시 부재(4)에 절결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접시 부재(4)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는, 그 하단부가 내통 부재(8)의 하단부[하단면(下端面)]까지 도달하고 있고, 내통 부재(8)의 외주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으므로, 내통 부재(8)를 보디 부재(6)에 삽입할 때, 내통 부재(8)의 하부가 휘어져 축경(縮徑)으로 되어 회전 제어부(10)를 보디 부재용 커팅홈(7)에 삽입할 수 있다.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에는, 예를 들면, 크랭크형의 굴곡부(17)를 구비하고 있고, 굴곡부(17)는, 통상 시[봉형 화장료(2)나 접시 부재(4)가 하한의 위치에 위치할 때]에 있어서, 걸어맞춤부(3)가 굴곡부(17)의 수평부(17a)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디 부재용 커팅홈(7)은,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과 대향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내통 부재(8)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서,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의 상단부보다 위쪽으로 상단부가 위치하고, 대략 연직(沿直)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굴곡부(17)의 수평부(17a) 부근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보디 부재용 커팅홈(7)에는,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회전 제어부(10)가 삽입되고,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이 회전 제어부(10)가 보디 부재용 커팅홈(7)의 대략 상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보디 부재(6)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이며, 내통 부재(8)의 외주를 덮는 부재이다.
이 보디 부재(6)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약간 대경(大徑)으로 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는 보디 부재(6)의 하단부까지 도달하는 유도홈(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홈(9)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하부에 크랭크형으로 굴곡된 크랭크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도홈(9)[크랭크부(19)]의 하단부는 보디 부재(6)의 하단면까지 도달하고 있고, 이 절취선으로부터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를 삽입할 수 있다.
유도홈(9)의 하단면이 보디 부재(6)의 하단부까지 도달하고 있고, 또한 전술한 내통 부재(8)의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의 하단부도 내통 부재(8)의 하단부까지 도달하고 있으므로, 보디 부재(6)가 약간 내경(內徑)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휘는 동시에, 내통 부재(8)가 약간 외경(外徑)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휨으로써, 용이하게 보디 부재용 커팅홈(7)에 회전 제어부(10)가 삽입된다.
또한, 보디 부재(6)의 상부의 직경이 큰 부분에는, 커버체(14)를 장착하기 위한 커버체 장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디 부재(6)의 상부의 커버체 장착부(20) 부근에 한쪽의 걸림편(21)이 설치되어 있다.
나선 부재(12)는,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하부의 외경이 소경(小徑)으로 되는 단차(step)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나선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선 부재(12)는, 보디 부재(6)의 직경이 큰 부분 이외의 외주를 덮는 부재이다.
상기 나선홈(11)에는,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삽입되고, 나선 부재(12)를 회전시킴으로써 걸어맞춤부(3)가 나선홈(11)에 의해 밀어올려져, 접시 부재(4)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진다.
스커트 부재(13)는,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디 부재(6)의 하단부가 스커트 부재(1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한다. 그리고, 나선 부재(12)의 하부의 소경 부분의 외주는, 이 스커트 부재(13)의 상부 부위에 의해 덮힌다.
이 스커트 부재(13)를 설치함으로써, 보디 부재(6)의 하부가 유도홈(9)에 의해 절결되어 있어도, 보디 부재(6)의 굴곡을 억제할 수 있다.
커버체(14)는, 수지제이며 커버체 장착부(20)에 장착되는 장착편(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편(22)은 상기 커버체 장착부(20)에 축(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커버체(14)가 회전함으로써, 보디 부재(6)의 상부의 개구를 개폐한다.
또한, 커버체(14)의 장착편(22) 부근의 바닥면에는, 상기 한쪽의 걸림편(21)과 쌍으로 되는 다른 쪽의 걸림편(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1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25)은, 이들 한 쌍의 걸림편(21), (24)과, 이 한 쌍의 걸림편(21), (24)에 걸린 환형의 탄성체(26)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체(26)는, 커버체(14)가 개방되었을 때는 탄성체(26)가 신장되어, 커버체에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수납 용기(1)를 사용하는 경우의 접시 부재(4), 내통 부재(8) 및 보디 부재(6)의 동작을 설명한다. 걸어맞춤부(3)가 하사점의 위치에 있어서는,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의 굴곡부(17)의 수평부(17a)에 위치하고 또한 보디 부재용 커팅홈(7)에는 회전 제어부(1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내통 부재(8)는 보디 부재(6)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는 상기 수평부(17a)로부터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나선 부재(12)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나선홈(11)에 따라 들어올려져 접시 부재(4)가 상승한다. 이 때,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는 보디 부재(6)의 유도홈(9)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고 위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내통 부재(8)는, 굴곡부(17)의 수평부(17a)에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맞닿아 있으므로, 접시 부재(4)가 내통 부재(8)를 밀어올리고, 접시 부재(4)와 내통 부재(8)가 동조하여 상승한다. 내통 부재(8)는 단지 걸어맞춤부(3)에 의해 밀어올려져 있을뿐이며, 또한 보디 부재(6)의 회전 제어부(10)가 보디 부재용 커팅홈(7)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고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내통 부재(8)가 커버체(14)를 밀어올려 보디 부재(6)의 상단부를 개구시킨다.
그대로 나선 부재(12)를 계속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 제어부(10)가 보디 부재용 커팅홈(7)의 경사부(18)까지 이동하면, 회전 제어부(10)가 내통 부재(8)의 경사부(18)에 침입하고, 이로써, 내통 부재(8)가 약간 회전하여 상사점에 도달한다.
그러면, 내통 부재(8)의 상승이 정지하고 또한 상기 유도홈(9)의 수직부(9a)와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의 수직부(5a)가 대략 중첩된다. 이에 따라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는, 굴곡부(17)의 수평부(17a)로부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의 수직부(5a)의 하단부(하사점)로 이동한다.
커버체(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통 부재(8)와 접시 부재(4)가 동조하여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 내통 부재(8)의 상단부에 압압(押壓)되는 것에 의해, 가압 수단(2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하여 개방 상태로 되고, 내통 부재(8)가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체(14)는 내통 부재(8)의 외주면(外周面)에 맞닿아 있고, 봉형 화장료(2)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나선 부재(12)를 회전시킴으로써, 내통 부재(8)는 그 위치에 머물고, 접시 부재(4)만이 상승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 화장료(2)가 노출된다.
사용 후에는, 봉형 화장료(2)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나선 부재(1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시 부재(4)를 하강시킨다.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의 수직부(5a)의 하단부[굴곡부(17)]까지 도달하면, 내통 부재(8)가 걸어맞춤부(3)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압되고, 내통 부재(8)가 접시 부재(4)와 동조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내통 부재(8)는 보디 부재용 커팅홈(7)의 경사부(18)에 의해 회전하고, 그 후 회전하지 않고 하한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통상 상태로 복귀한다.
커버체(14)는 내통 부재(8)가 보디 부재(6)의 내부에 들어갈 때 가압 수단(25)에 의해 회전하고, 보디 부재(6)의 상부 개구를 막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이한 형태]
다음에, 도 11 내지 도 20에 나타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이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이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와 주로 상위한 점은, 커버체(14)와 보디 부재(6)에 형성된 한 쌍의 암 삽입공(27)과, 이 한 쌍의 암 삽입공(27)에 암이 각각 삽입되고 또한 축(23)에 축지지된 토션 스프링(28)과 커버체(14)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25A)을 구성한 점에서, 이와 같은 가압 수단(25A)을 사용한 수납 용기(1a)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의 수납 용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와 주로 상위한 점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의 길이를 길게 한 스커트 부재(13A)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이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미끄럼 방지 기구(29)를 설치한 나선 부재(12A)를 사용한 점에서, 이와 같은 수납 용기(1B)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의 수납 용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스커트 부재(13A)를 손바닥에 넣고 손가락으로 나선 부재(12A)를 돌릴 수 있어, 한 손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기구(29)를 설치함으로써,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나선 부재(12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한 손으로 송출하고, 개폐의 조작(원클릭)이 가능해져, 보다 사용하기 쉽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미끄럼 방지 기구(29)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널링(knurling) 보통 형의 것을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널링 붓꽃형, 장식(裝飾), 조각, 쉽게 미끄러지지 않기 도장 등을 행하여, 미끄럼 방지 기구(29)로 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 기구(29)는,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의 수납 용기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0에 나타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4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와 주로 상위한 점은, 경사부(18)에 연속되도록, 경사부(18)의 하단부로부터 보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30)를 가지는 보디 부재용 커팅홈(7A)을 형성하고, 수평부(17a)에 연속되도록 접시 부재용 경사부(31)를 형성한 굴곡부(17A)를 가지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A)을 형성한 내통 부재(8A)로 한 점에서, 이와 같은 수납 용기(1C)로 해도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형태의 수납 용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유도홈(9)은, 그 하단부가 내통 부재(8A)나 보디 부재(6)의 하단부까지 달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걸어맞춤부(3)를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A)이나 유도홈(9)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보디 부재용 커팅홈(7A)의 경사부(18)의 하단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부(30)를 형성함으로써, 접시 부재(4)를 상승시켰을 때 접시 부재용 경사부(31)의 작용에 의해 돌기형의 회전 제어부(10)가 들어가므로, 걸림부(30)에 회전 제어부(10)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내통 부재(8A) 등에 위쪽으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걸림부(30)가 그 하중을 받을 수 있어 회전 제어부(10)가 경사부(18)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통 부재(8A)가 경사부(18)를 따라 회전하고,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A)과 유도홈(9)에 회전 제어부(10)가 협지되고, 회전 제어부(10)의 상하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가압 수단(25A)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납 용기(1C)를 사용하는 경우의 접시 부재(4), 내통 부재(8A) 및 보디 부재(6) 등의 동작을 설명한다. 걸어맞춤부(3)가 하사점의 위치에 있어서는,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A)의 굴곡부(17)의 수평부(17a)에 위치하고 또한 보디 부재용 커팅홈(7A)에는 회전 제어부(1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내통 부재(8A)는 보디 부재(6)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는 상기 수평부(17a)로부터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나선 부재(12)를 회전시킴으로써,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나선홈(11)을 따라 들어올려져 접시 부재(4)가 상승한다. 이 때,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는 보디 부재(6)의 유도홈(9)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고 위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내통 부재(8A)는, 굴곡부(17)의 수평부(17a)에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맞닿아 있으므로, 접시 부재(4)가 내통 부재(8A)를 밀어올려, 접시 부재(4)와 내통 부재(8A)가 동조하여 상승한다. 내통 부재(8A)는 단지 걸어맞춤부(3)에 의해 밀어올려져 있을뿐이며, 또한 보디 부재(6)의 회전 제어부(10)가 보디 부재용 커팅홈(7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고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내통 부재(8A)가 커버체(14)를 밀어올려 보디 부재(6)의 상단부를 개구시킨다.
그대로 나선 부재(12)를 계속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 제어부(10)가 보디 부재용 커팅홈(7A)의 경사부(18)까지 이동하면, 회전 제어부(10)가 내통 부재(8A)의 경사부(18)에 침입하고, 이로써, 내통 부재(8A)가 약간 회전하여 내통 부재(8A)의 상사점에 도달한다.
그러면, 내통 부재(8A)의 상승이 정지하고 또한 상기 유도홈(9)의 수직부(9a)와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A)의 수직부(5a)가 대략 중첩된다. 이에 따라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는, 굴곡부(17A)의 수평부(17a)로부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A)의 수직부(5a)의 하단부(하사점)로 이동한다.
커버체(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통 부재(8A)와 접시 부재(4)가 동조하여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 내통 부재(8A)의 상단부에 압압되는 것에 의해, 가압 수단(25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하여 개방 상태로 되고, 내통 부재(8A)가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체(14)는 내통 부재(8A)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고, 봉형 화장료(2)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나선 부재(12)를 회전시킴으로써, 내통 부재(8A)는 그 위치에 머물고, 접시 부재(4)만이 상승하여,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 화장료(2)가 노출된다.
접시 부재(4)가 상사점 부근까지 상승하면, 걸어맞춤부(3)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A)에 형성된 접시 부재용 경사부(31)에 들어가고, 이에 따라 접시 부재(4) 및 내통 부재(8A)가 주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내통 부재(8A)는, 회전 제어부(10)에 의해 더 이상 위쪽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위쪽으로의 이동을 따르지 않고 주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회전 제어부(10)가 경사부(18)의 하단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30)에 들어가고, 회전 제어부(10)와 걸림부(30)가 걸어맞춘 상태로 된다.
한편, 걸어맞춤부(3)도 굴곡부(17A)의 수평부(17a)에 들어가고, 접시 부재(4)도 상사점에 도달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내통 부재(8A) 등에 위쪽으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걸림부(30)와 회전 제어부(10)가 상하 방향으로 맞닿아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걸림부(30)가 위쪽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을 수 있고 회전 제어부(10)가 경사부(18)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통 부재(8A)가 경사부(18)를 따라 회전하고,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과 유도홈(9)에 회전 제어부(10)가 협지되고, 회전 제어부(10)의 상하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 후, 봉형 화장료(2)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나선 부재(1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시 부재(4)를 하강시킨다. 접시 부재(4)의 걸어맞춤부(3)가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5A)의 수직부(5a)의 하단부[수평부(17a)]까지 도달하면, 내통 부재(8A)가 걸어맞춤부(3)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압되고, 내통 부재(8A)가 접시 부재(4)와 동조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내통 부재(8A)는 보디 부재용 커팅홈(7A)의 경사부(18)에 의해 회전하고, 그 후 회전하지 않고 하한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통상 상태로 복귀한다.
커버체(14)는 내통 부재(8A)가 보디 부재(6)의 내부에 들어갈 때 가압 수단(25A)에 의해 회전하여, 보디 부재(6)의 상부 개구를 막는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는, 립스틱, 립크림, 스틱 아이새도우, 스틱 치크(stick cheek), 스틱 화운데이션숀, 컨실러(concealer), 자외선 차단 화장료, 아이크림, 정발료(整髮料) 등의 고형화(固形化)된 봉형 화장료를 수납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분야나 화장품 분야의 산업으로 이용된다.
1, 1a, 1B, 1C: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2: 봉형 화장료, 3: 걸어맞춤부,
4: 접시 부재, 5, 5A: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 6: 보디 부재, 7, 7A: 보디 부재용 커팅홈, 8, 8A: 내통 부재, 9: 유도홈, 10: 회전 제어부, 11: 나선홈, 12, 12A: 나선 부재, 13, 13A: 스커트 부재, 14: 커버체, 15: 격벽(隔壁), 16: 봉형 화장료 유지부, 17, 17A: 굴곡부, 18: 경사부, 19: 크랭크부, 20: 커버체 장착부, 21: 한쪽의 걸림편, 22: 장착편, 23: 축, 24: 다른 쪽의 걸림편, 25, 25A: 가압 수단, 26: 탄성체, 27: 암 삽입공, 28: 토션 스프링, 29: 미끄럼 방지 기구, 30: 걸림부, 31: 접시 부재용 경사부.

Claims (5)

  1. 봉형 화장료(bar-shaped cosmetic)를 유지하고 또한 하부에 걸어맞춤부(engaging portion)를 구비하는 접시 부재(dish member);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또한 보디 부재에 설치된 회전 제어부가 걸어맞추어지는 보디 부재용 커팅홈(body member cut-apart groove)을 구비하는 내통 부재;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유도홈을 구비하고 또한 그 내주면(內周面)에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상기 회전 제어부를 구비하는 상기 보디 부재;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접시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선홈(spiral groove)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 부재(spiral member); 및
    상기 보디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커트 부재(skirt member);
    를 포함하고,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은, 그 하부에 크랭크형의 굴곡부(crank-shaped bent portion)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내통 부재의 하단부까지 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은, 그 하부에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접시 부재를 상승시키면, 상기 내통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 상기 접시 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맞닿고, 상기 접시 부재와 동조하여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제어부가 상기 경사부까지 이동하면,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내통 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유도홈과 상기 접시 부재용 가이드홈이 대략 중첩되는 상태로 되고, 이로써, 상기 접시 부재만이 상승하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부재의 상단부에는, 개폐 가능한 커버체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체는 가압(付勢) 수단에 의해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보디 부재의 상부 및 상기 커버체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편과, 상기 한 쌍의 걸림편에 걸린 환형(環形)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부재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 기구(機構)가 설치되어 있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부재용 커팅홈에는,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로부터 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접시 부재를 상승시켰을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에 회전 제어부가 들어가는,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KR1020207020160A 2018-01-19 2019-01-17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KR102593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7491 2018-01-19
JPJP-P-2018-007491 2018-01-19
PCT/JP2019/001189 WO2019142847A1 (ja) 2018-01-19 2019-01-17 棒状化粧料収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454A true KR20200116454A (ko) 2020-10-12
KR102593886B1 KR102593886B1 (ko) 2023-10-24

Family

ID=6730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160A KR102593886B1 (ko) 2018-01-19 2019-01-17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72748B2 (ko)
EP (1) EP3741250B1 (ko)
JP (1) JP7205831B2 (ko)
KR (1) KR102593886B1 (ko)
CN (1) CN111629627B (ko)
TW (1) TW201936082A (ko)
WO (1) WO2019142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1741B2 (ja) * 2019-12-23 2023-09-2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繰出容器
USD984053S1 (en) * 2020-05-06 2023-04-18 Frederick Bethel Lipstick extracting device
US11641924B2 (en) * 2020-10-27 2023-05-09 Elc Management Llc Dual-ended stick mechanis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950A (ja) * 2000-10-04 2002-04-09 Takeuchi Kogyo Kk 口紅等の収納容器
KR200338764Y1 (ko) * 2003-08-27 2004-01-16 주식회사 하나 립스틱 용기
JP3892924B2 (ja) * 1996-12-17 2007-03-14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棒状化粧品容器
JP2007289244A (ja) * 2006-04-21 2007-11-08 Takeuchi Kogyo Kk 口紅などの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5853A (en) * 1965-05-19 1967-08-15 Int Silver Co Cosmetic container
US3493308A (en) * 1969-04-02 1970-02-03 Sperry C R Container with cover
US4108558A (en) * 1977-02-16 1978-08-22 Revlon, Inc. Lipstick dispenser
US4380402A (en) * 1981-07-31 1983-04-19 Lake Eyelet Manufacturing Company, Inc. Lipstick-type cosmetic case with display position
JPS60173221U (ja) * 1984-04-24 1985-1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棒状化粧品押出容器
US4973178A (en) * 1987-07-31 1990-11-27 Yoshino Kogyosyo Co., Ltd. Cosmetic casing capable of protruding cosmetic material
JPH0614674Y2 (ja) * 1988-03-29 1994-04-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棒状化粧品繰出容器
JP2764134B2 (ja) * 1990-07-04 1998-06-11 鐘紡株式会社 棒状化粧料容器
JP3843347B2 (ja) * 1995-09-08 2006-11-08 株式会社資生堂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970032543A (ko) * 1995-12-05 1997-07-22 김경숙 자동립스틱 케이스
JP3932147B2 (ja) * 1997-05-02 2007-06-2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棒状化粧品容器
JP3932148B2 (ja) * 1997-05-14 2007-06-2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棒状化粧品容器
JPH1118830A (ja) * 1997-07-08 1999-01-26 Key Tranding Co Ltd 棒状化粧料容器
JPH1146853A (ja) * 1997-07-31 1999-02-23 Yoshino Kogyosho Co Ltd 棒状化粧品繰出し容器
JP4045385B2 (ja) * 1998-02-23 2008-02-13 竹内工業株式会社 口紅などの収納容器
JP2000023739A (ja) * 1998-07-16 2000-01-25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4427678B2 (ja) * 2000-08-31 2010-03-10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化粧品収納容器
US6412999B1 (en) * 2001-03-02 2002-07-02 Rexam Cosmetic Packaging Cosmetic container with push-back prevention feature
US7004656B2 (en) * 2001-09-28 2006-02-28 Kose Corporation Stick-like paint container
EP1535532B1 (en) * 2002-07-29 2013-10-09 KOSÉ Corporatio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JP4780987B2 (ja) * 2005-03-25 2011-09-28 竹内工業株式会社 化粧品収納容器
KR200408898Y1 (ko) * 2005-12-05 2006-02-14 강성일 립스틱 용기
JP5932420B2 (ja) * 2012-03-21 2016-06-08 株式会社ヒダン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料収容容器
US9004793B2 (en) * 2013-02-03 2015-04-14 Chin-Ming Huang Lipstick case lipstick body lift seat anti-slipped structure
WO2015012440A1 (ko) * 2013-07-24 2015-01-29 Kim Yoon Hoi 슬라이드형 립스틱 용기
FR3012023B1 (fr) * 2013-10-18 2016-01-01 Dior Christian Parfums Dispositif applicateur de produit en baton et son utilisation.
WO2015114801A1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ヒダン 棒状化粧料容器
US9277797B2 (en) * 2014-08-08 2016-03-08 Sin-Hsiung Chen Cosmetic container
JP6706021B2 (ja) * 2015-08-07 2020-06-03 竹内工業株式会社 棒状化粧品収納容器
JP6783526B2 (ja) * 2016-02-18 2020-11-11 株式会社コーセー 棒状化粧料収納容器用皿部材及び棒状化粧料収納容器
DE102016116134A1 (de) * 2016-08-30 2018-03-01 Rpc Bramlage Gmbh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r abtragbaren Masse
FR3058031B1 (fr) * 2016-10-27 2019-08-23 Qualipac Dispositif pour la distribution d'un produit
CN107510217B (zh) * 2017-10-24 2020-06-16 杨金英 一种唇膏容器
JP7302810B2 (ja) * 2019-03-27 2023-07-04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用品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2924B2 (ja) * 1996-12-17 2007-03-14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棒状化粧品容器
JP2002101950A (ja) * 2000-10-04 2002-04-09 Takeuchi Kogyo Kk 口紅等の収納容器
KR200338764Y1 (ko) * 2003-08-27 2004-01-16 주식회사 하나 립스틱 용기
JP2007289244A (ja) * 2006-04-21 2007-11-08 Takeuchi Kogyo Kk 口紅などの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72748B2 (en) 2021-11-16
EP3741250A4 (en) 2021-09-29
EP3741250B1 (en) 2022-09-14
US20210085057A1 (en) 2021-03-25
CN111629627A (zh) 2020-09-04
JPWO2019142847A1 (ja) 2021-01-07
CN111629627B (zh) 2023-02-24
KR102593886B1 (ko) 2023-10-24
WO2019142847A1 (ja) 2019-07-25
EP3741250A1 (en) 2020-11-25
JP7205831B2 (ja) 2023-01-17
TW201936082A (zh)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6454A (ko) 봉형 화장료 수납 용기
EP3289914B1 (en) Compact container
JP6203283B2 (ja) 格納可能カバー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システムが搭載された製品包装適用組立体
US6331084B1 (en) Container for feeding stick type cosmetic material
JP7302810B2 (ja) 化粧用品収納容器
US20170042310A1 (en) Case for a stick of material to be applied by friction rubbing and product comprising the stick in such a case
US6190074B1 (en) Mechanism for rotating case
JP2000041733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102646439B1 (ko) 탄성 걸림 구조를 갖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JP7028431B2 (ja) 棒状化粧料収納容器
FR2955469A1 (fr) Mecanisme de deplacement d'un raisin de rouge a levres
EP3766801A1 (en) Dispensing device
KR20200005141A (ko) 수평회전 틸트 개방형 화장품 수납 용기
CN114867382B (zh) 化妆料送出容器
KR200459360Y1 (ko) 출몰식 마스카라 도포 용기
JPH10174614A (ja) 棒状化粧品容器
EP3539408B1 (en) Cosmetic packaging
MXPA06010627A (es) Piston para aplicador cosmetico, aplicador de producto cosmetico y procedimiento para ensamblar dicho aplicador.
JP3932148B2 (ja) 棒状化粧品容器
US20050105955A1 (en) Longitudinal "one-hand" stick product distributor
JPH0327535Y2 (ko)
EP3910424A1 (fr) Dispositif de commande a verrou et poussoir pour piece d'horlogerie
FR3005558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cosmetique
JP2018175464A (ja) 棒状化粧料容器
FR2715037A1 (fr) Mécanisme d'étui tournant de rouge à lèv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