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923A -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923A
KR20200115923A KR1020190036700A KR20190036700A KR20200115923A KR 20200115923 A KR20200115923 A KR 20200115923A KR 1020190036700 A KR1020190036700 A KR 1020190036700A KR 20190036700 A KR20190036700 A KR 20190036700A KR 20200115923 A KR20200115923 A KR 2020011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earview mirror
image
vehicle
tur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805B1 (ko
Inventor
조승우
조형민
Original Assignee
조승우
조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우, 조형민 filed Critical 조승우
Priority to KR102019003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Othe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2Turn sign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lane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66Overtaking, changing 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20)가 백미러(200)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작동단계; 작동하는 카메라(300)가 영상(10)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작동중인 카메라(300)의 영상(10)을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 로 이루어지는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200)는 좌측 백미러(201)와 우측 백미러(202)로 구분되고, 상기 카메라(300)는 좌측 카메라(301)와 우측 카메라(302)로 구분되는 것으로, 상기 좌측 카메라(301)는 좌측 백미러(20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우측 카메라(302)는 우측 백미러(202)의 전면에 설치되어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작동여부에 따라 해당방향 카메라(300)가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카메라작동단계에서는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면, 방향지시등이 제어부(2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20)는 신호에 해당되는 위치의 카메라(30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은 백미러 전면에 설치된 양측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 차선변경 시 사용자가 방향지시등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방향의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며, 또한 비탈진길을 오를시 좌우측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좌우측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여, 초보운전자가 간단히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운전의 안정성을 높이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Method for ensure the field of view of the car with camera}
본발명은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미러 전면에 설치된 양측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 차선변경 시 사용자가 방향지시등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방향의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며, 또한 비탈진길을 오를시 좌우측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좌우측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여, 초보운전자가 간단히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운전의 안정성을 높이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7411호의 자동차용 카메라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후방 또는 상기 후방을 포함하는 후방쪽 좌우 측방을 선택적으로 촬영하는 초광각 카메라와, 상기 초광각 카메라의 시야각을 선택적으로 반전시키는 토글 스위치와, 상기 초광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방감시용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자동차의 후진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자동차의 후진 신호 입력시 상기 초광각 카메라를 작동하여 상기 자동차의 후방과 후방쪽 좌우 측방을 동시에 촬영하는 단계; 및 (c) 상기 초광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방감시용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59347호의 자동차의 좌우후방 시야확보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좌우 사이드 및 후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모니터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 모니터 및 제어부를 내장하며 자동차의 좌측 및 우측 프런트 도어 전방부에 각각 설치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우후방 시야확보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방향지시등 조작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자동으로 좌우측으로 변경되지 못하여 좌우측 전방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비탈진길을 오를시의 좌우측 전방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미러 전면에 설치된 양측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 차선변경 시 사용자가 방향지시등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방향의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며, 또한 비탈진길을 오를시 좌우측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좌우측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여, 초보운전자가 간단히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운전의 안정성을 높이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20)가 백미러(200)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작동단계; 작동하는 카메라(300)가 영상(10)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작동중인 카메라(300)의 영상(10)을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 로 이루어지는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200)는 좌측 백미러(201)와 우측 백미러(202)로 구분되고, 상기 카메라(300)는 좌측 카메라(301)와 우측 카메라(302)로 구분되는 것으로, 상기 좌측 카메라(301)는 좌측 백미러(20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우측 카메라(302)는 우측 백미러(202)의 전면에 설치되어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작동여부에 따라 해당방향 카메라(300)가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카메라작동단계에서는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면, 방향지시등이 제어부(2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20)는 신호에 해당되는 위치의 카메라(3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미러 전면에 설치된 양측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 차선변경 시 사용자가 방향지시등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방향의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며, 또한 비탈진길을 오를시 좌우측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좌우측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여, 초보운전자가 간단히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운전의 안정성을 높이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의 순서도
본발명은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20)가 백미러(200)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작동단계; 작동하는 카메라(300)가 영상(10)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작동중인 카메라(300)의 영상(10)을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 로 이루어지는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200)는 좌측 백미러(201)와 우측 백미러(202)로 구분되고, 상기 카메라(300)는 좌측 카메라(301)와 우측 카메라(302)로 구분되는 것으로, 상기 좌측 카메라(301)는 좌측 백미러(20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우측 카메라(302)는 우측 백미러(202)의 전면에 설치되어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작동여부에 따라 해당방향 카메라(300)가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카메라작동단계에서는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면, 방향지시등이 제어부(2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20)는 신호에 해당되는 위치의 카메라(3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가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는 좌측, 우측 카메라(30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카메라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전기모터가 회전하고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전기모터의 축에 연결된 카메라 장착부가 회전하여 일정각도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가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는 좌측, 우측 카메라(30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되, 지면에서의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센서에서 측정한 충격값이 제어부에 전달되고 충격값이 일정수치 이상이면 제어부는 좌우카메라가 작동되는 설정값을 낮추어 낮춘 설정값 이상이면 좌우측 카메라가 작동되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가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는 좌측, 우측 카메라(30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되, 미세먼지값을 감지하여, 미세먼지센서에서 측정한 대기중 미세먼지값이 제어부에 전달되고 미세먼지값이 일정수치 이상이면 제어부는 좌우카메라가 작동되는 설정값을 낮추어 낮춘 설정값 이상이면 좌우측 카메라가 작동되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을 켜면 동시에 우측 카메라(302)를 작동시키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을 켜면 동시에 좌측 카메라(301)가 작동시키며,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통해 방향지시등이 꺼지면 양측 카메라가 모두 작동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20)가 백미러(200)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작동단계; 작동하는 카메라가 영상(10)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작동중인 카메라의 영상(10)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백미러(200)는 좌측 백미러(201)와 우측 백미러(202)로 구분되고, 상기 카메라는 좌측 카메라(301)와 우측 카메라(302)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백미러(201)의 전방에 좌측 카메라(301)가 설치되며, 상기 우측 백미러의 전방에 우측 카메라(302)가 설치되는 것으로,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작동여부에 따라 해당방향 카메라가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촬영화각이 15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촬영화각이 150˚ 미만이면, 초보자가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카메라작동단계에서는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면, 방향지시등이 제어부(2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20)는 신호에 해당되는 위치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0)는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을 켜면 동시에 우측 카메라(302)를 작동시키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을 켜면 동시에 좌측 카메라(301)가 작동시키며,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통해 방향지시등이 꺼지면 양측 카메라가 모두 작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는 우측 방향지시등과 좌측 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켤 수 없으며, 변경하기 위해서는 방향지시등을 일단 끄게 된다.
또한, 상기 영상출력단계 작동중인 카메라의 영상(10)을 제어부(2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동중인 카메라의 영상(10)을 차량 전방 유리에 출력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조작 방향에 따라 제어부는 카메라(300)를 작동시키며, 작동되는 카메라(300)의 영상(10)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을 켜면, 제어부(20)가 우측 카메라(302)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우측 카메라(302)의 영상(10)을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우측 방향지시등이 꺼지면 우측 카메라(302)도 꺼짐과 동시에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영상(10)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을 켜면, 제어부(20)가 좌측 카메라(301)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좌측 카메라(301)의 영상(10)을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좌측 방향지시등이 꺼지면 좌측 카메라(301)도 꺼짐과 동시에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영상(10)이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에서 좌우측 방향지시등 중 하나를 켜는 상태인 작동상태와, 방향지시등을 끄는 상태인 비작동상태로 구분하여 비작동상태로 전환될 경우 카메라 작동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부(110)를 작동상태에서 비작동상태로 운전자에 의해 전환될 경우, 제어부는 비작동상태로 전환된 이후 내부타이머를 통해 카메라의 작동을 10초간 지연시키고, 지연시간 이후 카메라의 작동이 중지시키며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이 꺼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작동이 지연되는 도중 방향지시등을 비작동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하면 지연시간에 상관없이 지연을 종료하고 해당방향의 카메라만 작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동차는 소리출력부가 더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리로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가 작동되는 상태, 즉 방향지시등 조작부(110)가 작동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1분 경과 시 운전자에게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음을 알려주기 위해 소리출력부를 통해 소리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의 영상(10)을 통해 근접하는 차량이 확인 될 경우, 제어부는 소리출력부를 통해 소리로 경고하거나, 또는 근접 차량을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출력할 경우 색상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본발명은 상기 자동차가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는 좌측, 우측 카메라(30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한다. 곧 오르막에서는 후방, 특히 좌우 후방이 사각에 들기 쉬우므로 설정된 일정각도 이상이 되면 제어부는 좌측, 우측 카메라(30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좌우측 카메라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전기모터가 회전하고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전기모터의 축에 연결된 카메라 장착부가 회전하여 일정각도 상승하는 것이다. 다시 지면이 수평인 곳에 도달하면, 모터는 복원하여 반대로 회전하여 원치로 가고 카메라 장착부도 본래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가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는 좌측, 우측 카메라(30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되, 지면에서의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센서에서 측정한 충격값이 제어부에 전달되고 충격값이 일정수치 이상이면 제어부는 좌우카메라가 작동되는 설정값을 낮추어 낮춘 설정값 이상이면 좌우측 카메라가 작동되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는 것이다. 곧 시골길 등 비포장도로 등에서의 지면과의 충격이 발생하면 운전자는 전방만 신경을 쓰기 쉬우며 또한 좌우측이 사각이 되기 쉬우므로 자동으로 충격값 이상이면 좌우측 카메라가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포장도로에서는 자동차 주행에 의하여 먼지가 많이 발생하므로 상기 자동차가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는 좌측, 우측 카메라(30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되, 미세먼지값을 감지하여, 미세먼지센서에서 측정한 대기중 미세먼지값이 제어부에 전달되고 미세먼지값이 일정수치 이상이면 제어부는 좌우카메라가 작동되는 설정값을 낮추어 낮춘 설정값 이상이면 좌우측 카메라가 작동되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노면의 충격값도 충격센서에서 읽어들여 충격값을 작을수록 0.8, 0.9. 1, 1.2...등으로 미리 계수를 설정하고, 대기중 미세먼지농도도 작을수록 0.8, 0.9. 1, 1.2...로 미리 설정하여, 자동차가 오르막길을 오를시, 충격값과 미센먼지농도값을 곱하여 경사값에 의한 설정치에 위 충격값지수와 미세먼지지수를 곱하여 좌우측 카메라가 작동하는 설정기준치를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미러 전면에 설치된 양측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 차선변경 시 사용자가 방향지시등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방향의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며, 또한 비탈진길을 오를시 좌우측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좌우측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각을 제거하여, 초보운전자가 간단히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운전의 안정성을 높이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영상
20 : 제어부
110 : 방향지시등 조작부
200 : 백미러
201 : 좌측 백미러 202 : 우측 백미러
300 : 카메라
301 : 좌측 카메라 302 : 우측 카메라
4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2)

  1.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20)가 백미러(200)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작동단계; 작동하는 카메라(300)가 영상(10)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작동중인 카메라(300)의 영상(10)을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 로 이루어지는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200)는 좌측 백미러(201)와 우측 백미러(202)로 구분되고, 상기 카메라(300)는 좌측 카메라(301)와 우측 카메라(302)로 구분되는 것으로, 상기 좌측 카메라(301)는 좌측 백미러(20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우측 카메라(302)는 우측 백미러(202)의 전면에 설치되어 방향지시등 조작부(110)의 작동여부에 따라 해당방향 카메라(300)가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카메라작동단계에서는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면, 방향지시등이 제어부(2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20)는 신호에 해당되는 위치의 카메라(3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가 오르막을 오를 경우, 각도센서에서는 측정된 경사값을 제어부에 전송하고, 경사값이 일정각도 이상의 경우,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는 좌측, 우측 카메라(302)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좌우측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KR1020190036700A 2019-03-29 2019-03-29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KR102230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00A KR102230805B1 (ko) 2019-03-29 2019-03-29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00A KR102230805B1 (ko) 2019-03-29 2019-03-29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923A true KR20200115923A (ko) 2020-10-08
KR102230805B1 KR102230805B1 (ko) 2021-03-26

Family

ID=7289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00A KR102230805B1 (ko) 2019-03-29 2019-03-29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321A (ko) * 2014-11-03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능동 사이드 뷰 시스템
JP2016084089A (ja) * 2014-10-28 2016-05-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周辺監視装置
KR20170106113A (ko) * 2016-03-11 2017-09-20 홍순철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KR20180063917A (ko) * 2016-12-02 2018-06-14 안재홍 자동차용 후방 관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4089A (ja) * 2014-10-28 2016-05-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周辺監視装置
KR20160051321A (ko) * 2014-11-03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능동 사이드 뷰 시스템
KR20170106113A (ko) * 2016-03-11 2017-09-20 홍순철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KR20180063917A (ko) * 2016-12-02 2018-06-14 안재홍 자동차용 후방 관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805B1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105B1 (ko) 자동차 안전운전을 위한 전방 시선확보용 외부 모니터링시스템
JP4766841B2 (ja) 車両に搭載される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US8125325B2 (en) Integrated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US7889230B2 (en) Vehicle rear side video monitoring system
JP2005110202A (ja) 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JP2004058828A (ja) 車両前方表示システム
JP5036891B2 (ja) 車両に搭載される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WO2017075984A1 (zh) 控制车辆上全景摄像头俯角的方法和车载设备
JP3877116B2 (ja) 車両の表示装置
JP2007091186A (ja) 車両周囲状況の撮影表示方法および撮影表示システム
KR102230805B1 (ko)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KR20210100431A (ko) 차량용 카메라 시스템
JP2004001718A (ja) 車両用モニタ駆動装置及び方法
JP3033390B2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
KR100866774B1 (ko) 운전자 보조용 카메라 장치
JP2003154894A (ja) 車両用監視装置
KR20170106113A (ko) 방향지시등의 동작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야확보방법
TWI386329B (zh) 一種具投射模組之交通載具
US20200406819A1 (en) Driver-assisting system for an industrial vehicle
KR200474940Y1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JPH1044863A (ja) サイドセーフミラー装置
JP3574299B2 (ja) 車両用監視装置
TWM560413U (zh) 車輛後視的即時影像系統
KR100787353B1 (ko) 차량의 보조 사이드 미러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70123198A (ko) 자동차의 시야확보를 위한 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