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236A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236A
KR20200115236A KR1020200035316A KR20200035316A KR20200115236A KR 20200115236 A KR20200115236 A KR 20200115236A KR 1020200035316 A KR1020200035316 A KR 1020200035316A KR 20200035316 A KR20200035316 A KR 20200035316A KR 20200115236 A KR20200115236 A KR 2020011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cover
additional
ribs
mo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898B1 (ko
Inventor
아키오 후지이
마사카타 나토리
카즈야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가부시키가이샤 멕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가부시키가이샤 멕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0011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8Silencing the silencing means being arranged inside the pump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04C2240/403Electric motor with inverter for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전동 압축기는, 압축 기구, 모터 기구, 인버터, 모터 하우징, 인버터 케이스 및, 복수의 체결구를 구비한다. 인버터 케이스는, 통 형상을 이루는 둘레벽과, 당해 둘레벽의 일단을 폐색하는 저벽을 갖는다. 저벽은, 인버터를 수용하는 공간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덮개 내면을 갖는다. 체결구는, 둘레벽을 관통하면서 모터 하우징의 일단에 삽입 통과된다. 덮개 내면에는, 둘레벽으로부터 각각 이간하여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복수의 리브가 나열됨으로써 격자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MOTOR-DRIVEN COMPRESSOR}
본 개시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177826호에 종래의 전동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동 압축기는, 압축 기구와, 모터 기구와, 인버터와,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 기구는 유체로서의 냉매를 압축한다. 모터 기구는 압축 기구를 구동시킨다. 인버터는 모터 기구를 구동하여 제어한다. 모터 하우징은, 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모터 기구를 수용하고 있다. 인버터 케이스는, 내부에 인버터를 수용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는 복수의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는, 모터 하우징의 일단과 맞닿는 인버터 박스와, 인버터 박스와 함께 인버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인버터 커버를 갖고 있다.
인버터 박스는, 모터 하우징의 주연(周緣)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통 형상의 제1 둘레벽을 갖고 있다. 인버터 커버는, 제1 둘레벽의 단면에 맞닿는 통 형상의 제2 둘레벽과, 제2 둘레벽으로부터 지름 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제2 저벽(底壁)을 갖고 있다. 제2 저벽은, 공간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덮개 내면과, 덮개 내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덮개 외면을 갖고 있다. 인버터 커버의 덮개 내면에는, 인버터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는, 제2 둘레벽에 형성되는 보스에 이어져 있다.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각 리브에 의해 인버터 커버의 저벽의 강성을 올려, 인버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저벽의 진동을 억제하고 있다. 특히, 각 리브는, 제2 둘레벽의 보스에 이어짐으로써 저벽의 높은 강성을 확보한다. 이에 따라 저벽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인버터 커버를 주조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실현하면서, 소음의 억제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각 리브가 제2 둘레벽의 보스에 이어져 있음으로써, 각 리브가 인버터 커버와 인버터 박스를 체결하는 볼트와도 이어져 있다. 이 때문에, 모터 하우징에 인접하는 압축 기구나 모터 기구의 진동이 그들 볼트를 통해 인버터 커버에 전달되기 쉽다.
또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인버터 커버에 있어서, 어느 볼트를 통해 리브에 전달한 진동이 다른 볼트로부터 그 리브에 전달한 진동과 공진하여, 진동이 증폭될 우려도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177826호
본 개시의 목적은, 소음 억제 효과가 높은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태양의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기구와,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모터 기구와,
상기 모터 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인버터와,
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상기 모터 기구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과,
내부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인버터 케이스와,
상기 인버터 케이스를 상기 모터 하우징에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케이스는, 통 형상을 이루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일단을 폐색하는 저벽을 갖고,
상기 저벽은,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공간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덮개 내면을 갖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둘레벽을 관통하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단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덮개 내면에는, 상기 둘레벽으로부터 각각 이간하여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복수의 리브가 나열됨으로써 격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 압축기에서는, 인버터 케이스는, 둘레벽을 관통하는 각 체결구에 의해 하우징에 체결되기 때문에, 인버터 케이스에는, 작동 시에 각 체결구를 통해 모터 하우징의 진동이 저벽으로 전달되기 쉽다. 여기에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저벽의 덮개 내면에, 둘레벽으로부터 각각 이간한 복수의 리브가 나열됨으로써 격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격자는 저벽의 중앙 부위에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작동 시에 모터 하우징의 진동에 의해, 인버터 케이스에서는, 리브가 존재하지 않는 둘레벽 부근이 진동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모터 하우징의 진동을 둘레벽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 하우징의 진동이 저벽의 중앙 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동 시에 저벽의 중앙 부위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벽에 있어서,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기 쉬운 것은 둘레벽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중앙 부위이다. 그 때문에, 둘레벽 부근을 적극적으로 진동시키는 한편, 격자를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높게 하여 중앙 부위에서의 진동을 억제하면, 작동 시에 모터 하우징의 진동이 인버터 케이스에 전달되어도 소음은 발생하기 어렵다.
격자는 연이어 형성된 복수의 격자 중 하나이고, 복수의 격자의 형상은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앙 부위에서의 강성이 일률적으로 높아져, 진동이 전달되어도 특정의 개소가 크게 변형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중앙 부위에서의 진동을 억제하기 쉽다.
저벽은, 덮개 내면을 기준으로 하여, 인버터를 수용하는 공간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덮개 외면을 가질 수 있다. 덮개 외면에는, 복수의 추가 리브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복수의 추가 리브가 나열됨으로써 연이어 나열되는 복수의 추가 격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격자 및 복수의 추가 격자는, 각각 동일한 정사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격자와 복수의 추가 격자는, 격자 및 추가 격자의 한쪽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중심에, 격자 및 추가 격자의 다른 한쪽의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앙 부위에서의 강성이 더욱 높아지고, 또한 일률적으로 되기 때문에, 진동이 전달되어도 특정의 개소가 크게 변형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중앙 부위에서의 진동을 억제하기 쉽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인버터 커버의 덮개 내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인버터 커버의 덮개 외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인버터 커버의 덮개 외면으로부터 덮개 내면을 투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인버터 커버의 제2 저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인버터 커버의 덮개 내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인버터 커버의 덮개 내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세한 설명)
이하, 제1∼제3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모터 기구(9)와, 스크롤식의 압축 기구(11)와, 인버터(13)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프론트 하우징(1)과,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박스(5)와, 인버터 커버(7)를 갖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좌측을 전동 압축기의 전측이라고 규정하고, 도 1의 우측을 전동 압축기의 후측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도 1의 상측을 전동 압축기의 상측이라고 규정하고, 도 1의 하측을 전동 압축기의 하측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도 2 이후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은 모두, 도 1에 대응시켜 표시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은 일 예이다. 전동 압축기는, 탑재되는 차량에 대응하여, 그의 전후 방향이 적절히 변경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1)과 모터 하우징(3)은 서로 맞대어지고, 복수개의 볼트(18)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3)은, 프론트 하우징(1)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3) 내에는, 축지지 부재(15)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축지지 부재(15)의 전방에 고정 스크롤(17)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1)과 모터 하우징(3)은, 고정 스크롤(17) 및 축지지 부재(15)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로 수납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3)의 후방측의 저벽(3a)의 내면 중앙에는 원통 형상의 축지지부(3b)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지지 부재(15)는, 통 형상의 본체부(15a)와, 본체부(15a)의 전단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플랜지부(15b)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5a)의 중앙에는 축 구멍(15c)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5b)는 모터 하우징(3)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15b)의 전측에는, 후술하는 가동 스크롤(19)의 자전을 규제하여, 공전만 가능하게 하는 자전 저지핀(21a)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15c)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3)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축지지 부재(15)와 축지지부(3b)에는, 회전축(23)의 각 단부가 레이디얼 베어링(25, 27)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이디얼 베어링(25)의 후방에는 시일재(29)가 형성되고, 시일재(29)는 축지지 부재(15)와 회전축(23)의 사이를 봉지하고 있다.
회전축(23)의 전단에는, 회전축(23)의 중심축선 O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원기둥 형상의 편심핀(23a)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편심핀(23a)에는, 부시(31)가 끼워맞춤되어 지지되어 있다. 부시(31)의 외주면의 대략 반둘레 부분에는, 외측으로 부채 형상으로 퍼지는 밸런스 웨이트(3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7)은,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고정 기판(17a)과, 고정 기판(17a)의 외주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쉘(17b)과, 쉘(17b)의 내측에서 고정 기판(17a)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소용돌이형벽(17c)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부시(31)와 고정 스크롤(17)의 사이에는 레이디얼 베어링(33)을 통하여 가동 스크롤(19)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스크롤(19)은,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가동 기판(19a)과, 가동 기판(19a)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동 소용돌이형벽(19b)으로 이루어진다. 가동 소용돌이형벽(19b)은 고정 소용돌이형벽(17c)에 맞물려져 있다.
가동 기판(19a)의 후면에는, 자전 저지핀(21a)의 선단부를 유격을 갖게 하여 끼워진 상태로 수용하는 자전 저지 구멍(21b)이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자전 저지 구멍(21b)에는 원통 형상의 링(21c)이 유격을 갖게 하여 끼워져 있다. 자전 저지핀(21a)이 링(21c)의 내주면을 슬라이딩 및 전동함으로써, 가동 스크롤(19)은 자전을 규제받아 중심축선 O 주위에서 공전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기판(17a), 고정 소용돌이형벽(17c), 가동 기판(19a) 및 가동 소용돌이형벽(19b)에 의해 압축실(35)이 구획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3) 내에는, 축지지 부재(15)보다 후방에 모터실(37)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실(37)은 흡입실을 겸하고 있다. 모터실(37) 내에는, 스테이터(39)가 모터 하우징(3)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39)의 내측에는, 회전축(23)에 고정된 로터(41)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39)로의 통전에 의해 로터(41) 및 회전축(23)이 일체로 회전하면, 그 구동력이 편심핀(23a) 및 부시(31)를 통하여 가동 스크롤(19)에 전달되어, 가동 스크롤(19)이 공전하도록 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3)의 둘레벽(3c)에는, 외부와 모터실(37)을 연통시키는 흡입구(3d)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3d)는, 배관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증발기와 접속되어 있다. 증발기는, 배관에 의해 팽창 밸브 및 응축기와 접속되어 있다. 증발기에 있어서의 저압 또한 저온의 냉매는, 흡입구(3d)로부터 모터실(37) 내에 도입되어, 축지지 부재(15)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흡입 통로를 거쳐 압축실(35)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 기판(17a)과 프론트 하우징(1)의 사이에는 토출실(4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기판(17a)의 중앙에는 토출 포트(17d)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토출 포트(17d)는 압축실(35)과 토출실(43)을 연통하고 있다. 고정 기판(17a)에는, 토출실(43) 내에 있어서, 토출 포트(17d)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토출 밸브와, 이 토출 밸브의 개도를 규제하는 리테이너(45)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1)에는, 외부와 토출실(43)을 연통시키는 토출구(1a)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a)는, 도시하지 않는 응축기에 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토출실(43)에 도입된 냉매는, 토출구(1a)를 통하여 응축기에 배출된다.
모터실(37), 회전축(23), 부시(31), 레이디얼 베어링(33), 가동 스크롤(19), 고정 스크롤(17), 토출실(43), 토출 밸브 및, 리테이너(45) 등의 부품에 의해 냉매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 기구(11)가 구성되어 있다. 압축 기구(11)는 토출실(43)에 형성되는 오일 세퍼레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로터(41), 스테이터(39) 및 회전축(23)에 의해 압축 기구(11)를 구동시키는 모터 기구(9)가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1), 모터 하우징(3), 압축 기구(11), 모터 기구(9) 및 볼트(18)에 의해 압축기 본체(20)가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 박스(5)는 압축기 본체(20)의 모터 하우징(3)에 인버터 커버(7)와 함께 개스킷(47)을 통하여 복수개의 볼트(49a∼49d)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인버터 박스(5) 및 인버터 커버(7)는, 내부의 공간(30a) 내에 인버터(13)를 수용하는 인버터 케이스(30)를 구성하고 있다. 인버터 박스(5)와 인버터 커버(7)의 접합면에 있어서도 도시하지 않는 개스킷이 형성되어 있다.
인버터 박스(5)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모터 하우징(3)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제1 둘레벽(5a)을 갖고 있다. 인버터 커버(7)는, 제1 둘레벽(5a)의 후단면에 맞닿는 원통 형상의 제2 둘레벽(7a)과, 제2 둘레벽(7a)의 후단을 폐색하는 제2 저벽(7b)을 갖고 있다. 볼트(49a∼49d)는 인버터 박스(5)의 제1 둘레벽(5a)과 인버터 커버(7)의 제2 둘레벽(7a)을 삽입 통과하고, 모터 하우징(3)의 둘레벽(3c)에도 삽입 통과되어 있다. 볼트(49a∼49d)가 체결구에 상당한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49e∼49g)는 인버터 커버(7)와 인버터 박스(5)만을 체결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3)의 저벽(3a), 인버터 박스(5)의 제1 둘레벽(5a) 그리고 인버터 커버(7)의 제2 둘레벽(7a) 및 제2 저벽(7b)이 공간(30a)을 형성하고 있다. 인버터(13)는, 기판(51)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 등의 반도체 소자(53)를 갖는다. 기판(51)은 모터 하우징(3)의 저벽(3a)에 고정되어 있다.
인버터 커버(7)의 제2 저벽(7b)은, 공간(30a)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덮개 내면(8a)과, 덮개 내면(8a)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덮개 외면(8b)을 갖고 있다. 덮개 내면(8a)은 제2 둘레벽(7a)과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 일률적으로 평평하다. 도 1에 나타내는 인버터(13)는, 도시하지 않는 인출구에 삽입 통과되는 도시하지 않는 리드선에 의해 외부의 콘트롤러와 접속되어, 모터 기구(9)를 구동 및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내면(8a)에는, 각 볼트(49a∼49g) 및 제2 둘레벽(7a)으로부터 각각 이간하여 복수개의 리브(55)가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55)는, 전동 압축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세로 리브(55a)와, 좌우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로 리브(55b)로 이루어진다. 볼트(49a)와 볼트(49b)의 사이, 볼트(49b)와 볼트(49c)의 사이, 볼트(49c)와 볼트(49d)의 사이, 볼트(49d)와 볼트(49e)의 사이, 볼트(49e)와 볼트(49f)의 사이, 볼트(49f)와 볼트(49g)의 사이 및 볼트(49g)와 볼트(49a)의 사이에는, 2개 이상의 세로 리브(55a) 또는 가로 리브(5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내면(8a)에는, 세로 리브(55a) 및 가로 리브(55b)가 나열됨으로써, 복수의 격자(55c)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격자(55c)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각 격자(55c) 내는 덮개 내면(8a)과 면일(面一)로 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격자(55c)끼리는 세로 리브(55a) 및 가로 리브(55b)를 공통으로 하고 있고, 복수의 격자(55c)는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각 격자(55c)의 형상은 각각 동일하다. 세로 리브(55a) 및 가로 리브(55b)는 제2 둘레벽(7a)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제2 둘레벽(7a)에는 연속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각 격자(55c)는, 각 볼트(49a∼49g)로부터 각각 동일하게 떨어진 위치에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외면(8b)에는, 각 볼트(49a∼49g) 및 제2 둘레벽(7a)으로부터 각각 이간하여 복수개의 추가 리브(5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추가 리브(57)는, 전동 압축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추가 리브(57a)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추가 리브(57b)로 이루어진다. 볼트(49a)와 볼트(49b)의 사이, 볼트(49b)와 볼트(49c)의 사이, 볼트(49c)와 볼트(49d)의 사이, 볼트(49d)와 볼트(49e)의 사이, 볼트(49e)와 볼트(49f)의 사이, 볼트(49f)와 볼트(49g)의 사이 및 볼트(49g)와 볼트(49a)의 사이에는, 2개 이상의 세로 추가 리브(57a) 또는 가로 추가 리브(5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외면(8b)에는, 세로 추가 리브(57a) 및 가로 추가 리브(57b)가 나열됨으로써, 복수의 추가 격자(57c)가 형성되어 있다. 각 추가 격자(57c)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각 추가 격자(57c)는 덮개 외면(8b)과 면일로 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추가 격자(57c)끼리는 세로 추가 리브(57a) 및 가로 추가 리브(57b)를 공통으로 하고 있고, 복수의 추가 격자(57c)는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각 추가 격자(57c)의 형상은 각각 동일하다. 세로 추가 리브(57a) 및 가로 추가 리브(57b)는 제2 둘레벽(7a)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제2 둘레벽(7a)에는 연속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각 추가 격자(57c) 중 일부도, 각 볼트(49a∼49g)로부터 각각 동일하게 떨어진 공통의 위치에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격자(55c)와 각 추가 격자(57c)는 어긋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리브(55a)와 세로 추가 리브(57a)는 전후에서 일치하고 있지 않고, 가로 리브(55b)와 가로 추가 리브(57b)도 전후에서 일치하고 있지 않다. 각 격자(55c)와 각 추가 격자(57c)는, 격자(55c) 및 추가 격자(57c)의 한쪽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중심에, 격자(55c) 및 추가 격자(57c)의 다른 한쪽의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동 압축기는, 증발기, 팽창 밸브 및 응축기와 함께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동 회로를 구성한다. 이 전동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용 공조 장치에 대한 조작을 행하면, 인버터(13)가 모터 기구(9)를 제어하고, 로터(41) 및 회전축(23)을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편심핀(23a)이 고정 스크롤(17)의 축심 주위로 선회된다. 이때, 가동 스크롤(19)은, 자전 저지핀(21a)이 링(21c)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및 전동함으로써, 그 자전이 저지되어 중심축선 O 주위에서 공전만이 허용된다. 그리고, 가동 스크롤(19)의 공전에 의해 압축실(35)이 양 스크롤(17, 19)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용적을 감소하면서 이동된다. 이 때문에, 증발기로부터 흡입구(3d)를 통하여 모터실(37)에 공급된 냉매가 압축실(35) 내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토출 압력까지 압축된 냉매는, 토출 포트(17d)로부터 토출실(43)에 토출되고, 토출구(1a)를 통하여 응축기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가 행해진다.
이때,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압축 기구(11)나 모터 기구(9)에 진동이 발생한다. 그리고, 인버터 케이스(30)는, 볼트(49a∼49d)가 인버터 박스(5)의 제1 둘레벽(5a) 및 인버터 커버(7)의 제2 둘레벽(7a)을 관통하고, 추가로 모터 하우징(3)에 삽입 통과되기 때문에, 인버터 케이스(30)에는, 작동 시에 각 볼트(49a∼49d)를 통해 모터 하우징(3)의 진동이 제2 저벽(7b)으로 전달되기 쉽다. 여기에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제2 저벽(7b)의 덮개 내면(8a)에, 제2 둘레벽(7a)으로부터 각각 이간한 복수의 리브(55)가 나열됨으로써 격자(5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격자(55c)의 일부는 복수의 볼트(49a∼49d)로부터 각각 동일하게 떨어진 공통의 위치에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작동 시에 모터 하우징(3)의 진동에 의해, 인버터 케이스(30)에서는, 리브(55)가 존재하지 않고 평평한 제2 둘레벽(7a) 부근이 진동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모터 하우징(3)의 진동을 제2 둘레벽(7a)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 하우징(3)의 진동이 제2 저벽(7b)의 중앙 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동 시에 제2 저벽(7b)의 중앙 부위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저벽(7b)에 있어서,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기 쉬운 것은 각각의 볼트(49a∼49d)로부터 동일하게 떨어진 공통의 위치에 있는 중앙 부위이다. 그 때문에, 제2 둘레벽(7a) 부근을 적극적으로 진동시키는 한편, 격자(55c)를 형성함으로써 중앙 부위의 강성을 높여 진동을 억제하면, 작동 시에 모터 하우징(3)의 진동이 인버터 케이스(30)에 전달되어도 소음은 발생하기 어렵다.
특히, 복수의 격자(55c)는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의 격자(55c)의 형상은 각각 동일하다. 그 때문에, 중앙 부위에서의 강성은 일률적으로 높아져, 진동이 전달되어도 특정의 개소가 크게 변형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중앙 부위에서의 진동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제2 저벽(7b)은, 덮개 내면(8a)을 기준으로 하여, 인버터(13)를 수용하는 공간(30a)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덮개 외면(8b)을 갖는다. 덮개 외면(8b)에 추가 격자(57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앙 부위에서의 강성이 더욱 높아지고, 또한 일률적으로 되기 때문에, 진동이 전달되어도 특정의 개소가 크게 변형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중앙 부위에서의 진동을 억제하기 쉽다.
따라서, 이 전동 압축기는, 높은 소음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리브(55)가 나열되어 형성된 격자(55c)나 각 추가 리브(57)가 나열되어 형성된 추가 격자(57c)는, 전체를 리브로 하는 것보다도 전동 압축기의 경량화에 기여한다. 추가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각 리브(55) 및 각 추가 리브(57)에 의해 인버터 커버(7)를 주조할 때의 이형성(離型性)이 향상하고, 금형의 내구성의 향상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버터 커버(12)가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이 인버터 커버(12)는, 복수개의 볼트(61a∼61f)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인버터 박스와 함께 모터 하우징에 체결되어 있다. 인버터 커버(12)에 형성된 리브(59)는, 굴곡하고 있고, 리브(59) 사이에 복수의 격자(59c)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격자(59c)는, 정육각 형상을 갖는다. 각 리브(59)는 제2 둘레벽(12a)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제2 둘레벽(12a)에는 연속하고 있지 않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전동 압축기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버터 커버(14)가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이 인버터 커버(14)도, 복수개의 볼트(63a∼63f)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인버터 박스와 함께 모터 하우징에 체결되어 있다. 인버터 커버(14)에 형성된 리브(65)는,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로 리브(65a)와, 도면 중에서 오른쪽으로 경사져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우경사 리브(65b)와, 도면 중에서 왼쪽으로 경사져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좌경사 리브(65c)로 이루어진다. 가로 리브(65a)와 우경사 리브(65b)와 좌경사 리브(65c)의 사이에 복수의 격자(65d)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격자(65d)는, 이등변 삼각 형상을 갖는다. 각 리브(65)는 제2 둘레벽(14a)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제2 둘레벽(14a)에는 연속하고 있지 않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제1∼제3 실시 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제 1∼제3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제3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 기구(11)가 스크롤식이지만,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사판식, 베인식 등, 다른 형식의 압축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인버터 케이스(30)를 인버터 박스(5)와 인버터 커버(7)의 2부품으로 구성했지만,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단일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인버터 케이스에서 공간(30a)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인버터(13)의 기판(51)을 모터 하우징(3)의 후방측의 저벽(3a)에 고정했지만,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일단이 폐색되면서 저벽(3a)에 접합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인버터 박스(5)의 저벽에 고정해도 좋다.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인버터 박스(5)에는 인버터 커버(7)가 접합됨으로써, 모터 하우징(3)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된 케이스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버터 박스(5) 및 인버터 커버(7)는 모터 하우징(3)과 동(同) 지름의 원통 형상이라도 좋다. 이 경우, 인버터 박스(5)와 인버터 커버(7)를 삽입 통과하는 볼트는 모두 모터 하우징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격자(55c)(59c, 65d)의 일부는, 회전축(23)의 축선상에 위치한다.
11 : 압축 기구
9 : 모터 기구
13 : 인버터
3 : 모터 하우징
30 : 인버터 케이스
49a∼49d : 체결구(볼트)
7a : 둘레벽(제2 둘레벽)
7b : 저벽(제2 저벽)
30a : 공간
8a : 덮개 내면
55, 59, 65 : 리브
55c, 59c, 65d : 격자
8b : 덮개 외면
57 : 추가 리브
57c : 추가 격자

Claims (3)

  1. 유체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기구와,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모터 기구와,
    상기 모터 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인버터와,
    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상기 모터 기구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과,
    내부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인버터 케이스와,
    상기 인버터 케이스를 상기 모터 하우징에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케이스는, 통 형상을 이루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일단을 폐색하는 저벽을 갖고,
    상기 저벽은,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공간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덮개 내면을 갖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둘레벽을 관통하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단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덮개 내면에는, 상기 둘레벽으로부터 각각 이간하여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복수의 리브가 나열됨으로써 격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는 연이어 형성된 복수의 격자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격자의 형상은 각각 동일한 전동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은, 상기 덮개 내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공간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덮개 외면을 갖고,
    상기 덮개 외면에는, 복수의 추가 리브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복수의 추가 리브가 나열됨으로써 연이어 나열되는 복수의 추가 격자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격자 및 상기 복수의 추가 격자는, 각각 동일한 정사각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격자와 상기 복수의 추가 격자는, 상기 격자 및 상기 추가 격자의 한쪽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중심에, 상기 격자 및 상기 추가 격자의 다른 한쪽의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동 압축기.
KR1020200035316A 2019-03-28 2020-03-24 전동 압축기 KR102416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3111A JP7195541B2 (ja) 2019-03-28 2019-03-28 電動圧縮機
JPJP-P-2019-063111 2019-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236A true KR20200115236A (ko) 2020-10-07
KR102416898B1 KR102416898B1 (ko) 2022-07-04

Family

ID=7261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316A KR102416898B1 (ko) 2019-03-28 2020-03-24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95541B2 (ko)
KR (1) KR102416898B1 (ko)
CN (1) CN111765087B (ko)
DE (1) DE102020108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8196B1 (ja) * 2020-12-23 2021-08-11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ケース及びケースの製造方法
DE102021202069A1 (de) 2021-03-03 2022-09-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Gehäuse einer elektrischen Maschine
FR3121395B1 (fr) * 2021-04-01 2023-09-15 Valeo Embrayages Enveloppe nervurée pour un groupe motopropulseur, groupe motopropulseur comprenant une enveloppe nervurée et procédé de dimensionnement d’une enveloppe nervurée.
EP4138275A1 (en) * 2021-08-19 2023-02-22 Valeo Japan Co., Ltd A cover for a housing of an electric machine
KR20230057143A (ko) * 2021-10-21 2023-04-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324U (ko) * 1997-05-26 1998-12-05 김민박, 안드레스 위거트 차량용 모터의 후렌지 커버구조
KR20130094652A (ko) * 2012-02-16 2013-08-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JP2013177826A (ja) 2012-02-28 2013-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圧縮機
KR20160123894A (ko) * 2015-04-17 2016-10-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6087A (ja) * 1986-07-29 1988-02-16 Matsushita Refrig Co 回転型圧縮機
JPH109172A (ja) * 1996-06-19 1998-01-13 Hitachi Ltd 密閉形圧縮機
JP5653695B2 (ja) 2010-09-10 2015-0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及び電動圧縮機
JP5510490B2 (ja) * 2012-03-30 2014-06-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2017180217A (ja) 2016-03-29 2017-10-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及び車両
JP6454369B2 (ja) 2017-03-31 2019-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変速機の制御装置ユニット取り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324U (ko) * 1997-05-26 1998-12-05 김민박, 안드레스 위거트 차량용 모터의 후렌지 커버구조
KR20130094652A (ko) * 2012-02-16 2013-08-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JP2013177826A (ja) 2012-02-28 2013-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圧縮機
KR20160123894A (ko) * 2015-04-17 2016-10-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5541B2 (ja) 2022-12-26
KR102416898B1 (ko) 2022-07-04
JP2020159350A (ja) 2020-10-01
DE102020108200A1 (de) 2020-10-01
CN111765087B (zh) 2022-08-26
CN111765087A (zh)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898B1 (ko) 전동 압축기
JP5109642B2 (ja) 電動圧縮機
US9366254B2 (en) Vehicular scroll compressor having housing arrangements for improved vibration isolation
KR102318707B1 (ko) 전동 압축기
JP7413753B2 (ja) 電動圧縮機
KR101800512B1 (ko) 모터-구동식 압축기
KR102392528B1 (ko) 전동 압축기
CN111120327B (zh) 电动压缩机
JP2006144635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2379078B1 (ko) 전동식 압축기
JP6808845B2 (ja) 熱源ユニットおよび防振体
JP2011196212A (ja) 圧縮機
WO2018221282A1 (ja) 圧縮機
CN104481882A (zh) 用于旋转式压缩机的压缩机构及具有其的旋转式压缩机
JP2003056463A (ja) 電動コンプレッサ
JP6098265B2 (ja) 圧縮機
JP4350603B2 (ja) 気体圧縮機
JP2020165309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13177827A (ja) 電動圧縮機
US20160327039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mpressor
CN117795202A (zh) 电动压缩机
KR100498379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진동저감구조
JP202212737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230049366A (ko) 스크롤 압축기
JP2007327436A (ja) 圧縮機および圧縮機用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