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528B1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528B1
KR102392528B1 KR1020200037189A KR20200037189A KR102392528B1 KR 102392528 B1 KR102392528 B1 KR 102392528B1 KR 1020200037189 A KR1020200037189 A KR 1020200037189A KR 20200037189 A KR20200037189 A KR 20200037189A KR 102392528 B1 KR102392528 B1 KR 10239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sealing member
wall
mo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331A (ko
Inventor
슘페이 야마카게
유스케 기노시타
준야 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278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1375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0011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8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for other than working fluid, i.e. the sealing arrangements are not between working chambers of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04C2240/403Electric motor with inverter for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7Compressor control units, e.g. terminal boxes, mounted on the compressor casing wall containing for example starter, protection switches or connector cont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과제) 과혹한 조건하에서도, 인버터와 모터 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부재의 열화나 상간 단락을 보다 높은 내구성하에서 보다 확실하게 방지 가능한 전동 압축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인버터 케이스(4)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어 인버터(14)를 둘러싸는 제1 주벽(5a)과, 제1 주벽(5a)에 있어서의 모터 하우징(3)측의 일단을 폐색함과 함께, 모터 저벽(3a)과 대향하는 인버터 저벽(5b)과, 인버터 저벽(5b)으로부터 제1 주벽(5a)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통 형상을 이루어 단부(50)를 덮는 제2 주벽(5c)을 갖는다.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케이스(4)의 사이에는, 도전 부재(49)가 배치되는 공간을 밀봉하는 환 형상의 시일 부재(55)가, 단부(50)와 제2 주벽(5c)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협지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단부(50)의 제1 주면(51)에는, 시일 부재(55)를 수용하는 수용홈(71)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종래의 전동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동 압축기는, 압축 기구와, 모터 기구와, 인버터와,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와, 회전축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 기구는 유체로서의 냉매의 압축을 행한다. 모터 기구는 압축 기구를 구동시킨다. 인버터는 모터 기구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모터 하우징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이고, 내부에 모터 기구를 수용하고 있다. 인버터 케이스는, 내부에 인버터를 수용하고 있음과 함께 모터 하우징의 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은, 압축 기구와 체결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에 체결되는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제2 하우징은 모터 주벽(周壁)과 모터 저벽(底壁)을 갖고 있다. 모터 주벽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을 이루어 제1 하우징과 함께 내측에 모터 기구를 수용한다. 모터 저벽은, 모터 주벽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일단측에서 모터 주벽으로부터 지름 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인버터 케이스와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모터 저벽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 모터 기구와 인버터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개의 도전 부재로서의 터미널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는, 제2 하우징의 일단과 맞닿는 인버터 박스와, 인버터 박스와 체결되는 인버터 커버를 갖고 있다. 인버터 박스는, 박스 주벽과 인버터 저벽을 갖고 있다. 박스 주벽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어 인버터를 둘러싼다. 인버터 저벽은, 박스 주벽에 있어서의 모터 하우징측에서 박스 주벽의 지름 내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모터 저벽과 대향하여 모터 저벽 및 모터 주벽과 맞닿는다. 인버터 커버는, 커버 주벽과 인버터 상벽(上壁)을 갖고 있다. 커버 주벽은, 박스 주벽에 맞닿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인버터 상벽은,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고, 커버 주벽과 접속함과 함께 인버터와 대향하고 있다.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외부의 전력을 인버터 케이스 내의 인버터에 공급하고, 그 전력을 터미널을 통하여 모터 기구에 공급하여 모터 기구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압축 기구가 작동하여, 차량 등의 공조 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0129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의 사이를 봉지하는 시일 부재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외부의 수분이 터미널과 접촉하여, 터미널이 열화하거나, 상간(相間) 단락을 일으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모터 주벽이나 모터 저벽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환 형상의 제1 단면을 형성함과 함께, 인버터 케이스의 박스 주벽이나 인버터 저벽에도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환 형상의 제2 단면을 형성하고, 제1 단면과 제2 단면의 사이에 환 형상을 이루는 시일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한 전동 압축기에서도, 물이나 소금물 등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우려가 잔존한다. 특히,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를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축방향에서 체결하는 경우, 적합한 봉지성을 추구하면, 체결구의 체결력에 의해 시일 부재가 축방향으로 과잉으로 눌려찌부러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의 내구성이 손상되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시일 부재에 대해서,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에 의해, 모터 하우징의 지름 방향으로 협지(挾持)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인버터 케이스를 모터 하우징에 부착할 때에, 시일 부재가 모터 하우징의 축방향, 즉, 인버터 케이스와 모터 하우징의 체결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그에 수반하여 시일 부재가 변형하거나 함으로써, 내구성이나 시일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과혹한 조건하에서도, 인버터와 모터 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부재의 열화나 상간 단락을 보다 높은 내구성하에서 보다 확실하게 방지 가능한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는, 유체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 기구와,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시키는 모터 기구와,
상기 모터 기구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인버터와,
내부에 상기 모터 기구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모터 하우징과,
내부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에 접합되는 인버터 케이스와,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인버터 케이스를 상기 모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축방향에서 체결하는 체결구와,
상기 인버터와 상기 모터 기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케이스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인버터 및 상기 단부를 둘러싸는 케이스 주벽을 갖고,
상기 단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전 부재가 형성되는 단면과, 상기 단면과 접속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면(周面)을 갖고,
상기 주면과 상기 케이스 주벽의 사이에는, 환 형상을 이루는 시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주면에는, 상기 시일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주면과 상기 케이스 주벽으로 지름 방향으로 협지됨으로써, 상기 도전 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봉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환 형상의 시일 부재가 모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단부와, 인버터 케이스의 케이스 주벽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부의 주면에 형성된 수용홈과, 케이스 주벽의 내주면의 사이를 봉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 전동 압축기는, 체결구가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를 모터 하우징의 축방향에서 체결하고 있지만, 시일 부재는, 수용홈과 케이스 주벽의 사이, 즉, 단부의 주면과 케이스 주벽의 내주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는, 수용홈과 인버터 주벽의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협지된다. 이들 때문에, 시일 부재는, 체결구의 체결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눌려찌부러지는 일이 없다.
여기에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수용홈이 시일 부재를 수용한다. 이 때문에, 체결구에 의해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를 축방향에서 체결할 때, 이에 수반하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시일 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시일 부재는 수용홈의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인버터 케이스를 모터 하우징에 장착할 때에 시일 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시일 부재는, 적합한 위치에 있어서 단부와 케이스 주벽의 사이를 봉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축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시일 부재의 불필요한 변형도 억제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의 내구성이나 시일성이 손상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전동 압축기는, 물이나 소금물 등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외부의 수분이 도전 부재와 접촉하기 어려워, 도전 부재가 열화하거나, 상간 단락을 일으키거나 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과혹한 조건하에서도, 도전 부재의 열화나 상간 단락을 보다 높은 내구성하에서 보다 확실하게 방지 가능하다.
시일 부재는, 외주면 및 내주면에 복수조(a plurality of sets)의 환 형상의 볼록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일 부재는, 각 볼록부에 있어서 단부 및 케이스 주벽에 맞닿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수분은, 예를 들어 시일 부재에 있어서의 외부로부터 1조째의 볼록부를 타고넘었다고 해도, 외부로부터 2조째의 볼록부에서 진입이 저지되어, 보다 높은 봉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 반면, 각 볼록부 이외에서는, 시일 부재가 수용홈이나 케이스 주벽의 내주면에 맞닿지 않게 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의 외주면 및 내주면이 각각 수용홈이나 케이스 주벽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는 구성에 비하여, 수용홈 및 케이스 주벽과 시일 부재의 접촉 면적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케이스를 축방향에서 체결할 때, 시일 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변형함으로써, 각 볼록부 중의 일부가 수용홈이나 케이스 주벽으로부터 이간하거나, 수용홈이나 케이스 주벽에 충분히 맞닿지 않거나 하는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수용홈에 의해 시일 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그에 의한 시일 부재의 변형도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각 볼록부 중의 일부가 수용홈이나 케이스 주벽으로부터 이간하거나, 충분히 맞닿지 않거나 하는 것을 확실성 높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일 부재는, 지름 방향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시일 부재는, 외주면 및 내주면에 있어서, 수용홈 및 케이스 주벽에 각각 면접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는 보다 높은 봉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케이스 주벽은 수용홈의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용홈 내의 시일 부재가 자외선에 의해 열화하기 어려워,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의 전체가 케이스 주벽에 덮임으로써, 전동 압축기의 외부의 수분이 시일 부재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시일 부재가 보다 높은 시일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인버터 케이스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스 주벽과 접속함과 함께 단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인버터 저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주벽은, 인버터를 둘러싸는 제1 주벽과, 단부를 둘러싸면서 주면과의 사이에서 시일 부재를 협지하는 제2 주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벽은, 인버터 저벽을 사이에 두고 제1 주벽과는 축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버터 케이스는, 제1 주벽과 제2 주벽과 인버터 저벽이 이루는 형상에 의해, 높은 체결력이 작용해도 변형하지 않는 충분한 강성을 발휘한다. 이에 따라,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시일 부재가 우수한 내구성하에서 적합한 봉지성을 발휘한다. 또한, 인버터 케이스도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한다.
주면 및 제2 주벽은 원통 형상이고, 시일 부재 및 수용홈은 원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축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전동 압축기를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시일 부재의 외측에서 단부와 제2 주벽의 간극에 진입한 수분이 자중(自重)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 시일 부재, 모터 하우징 및 인버터 케이스의 열화를 방지하여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제1 주벽과 제2 주벽은 동(同)지름 또한 동(同)축의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주벽과 제2 주벽은 연속한 하나의 주벽으로서의 구조를 갖고 있어, 인버터 케이스가 경량화를 위해 박육화되어도 강도를 발휘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과혹한 조건하에서도, 도전 부재의 열화나 상간 단락을 보다 높은 내구성하에서 보다 확실하게 방지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에 따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2의 전동 압축기에 따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참고예의 전동 압축기에 따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 2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롤식의 압축 기구(10)와, 모터 기구(12)와, 인버터(14)와, 하우징(16)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프론트 하우징(1)과,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케이스(4)와, 회전축(19)을 갖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지면 좌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하우징(1)측을 전동 압축기의 전측으로 규정하고, 도 1의 지면 우측에 위치하는 인버터 케이스(4)측을 전동 압축기의 후측으로 규정한다. 또한, 도 1의 지면 상측을 전동 압축기의 상측으로 규정하고, 도 1의 지면 하측을 전동 압축기의 하측으로 규정한다. 전후 방향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전축(19)의 「축방향」에 대응하고 있고, 상하 방향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전축(19)의 「지름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도 2 이후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은 모두, 도 1에 대응시켜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은 일 예이다. 전동 압축기는, 탑재되는 차량 등에 대응하여, 그 전후 방향이 적절히 변경된다. 또한, 회전축(19)의 축방향 및 지름 방향은, 모터 하우징(3), 인버터 케이스(4) 및, 후술의 시일 부재(55)의 지름 방향 및 축방향과 동일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1)과 모터 하우징(3)은 서로 맞대어지고, 복수개의 볼트(9)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3)은, 전후에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모터 주벽(3d)과, 모터 주벽(3d)의 후단에서 원판 형상을 이루는 모터 저벽(3a)을 갖고, 프론트 하우징(1)측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3) 내에는, 축지지 부재(11)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축지지 부재(11)의 전방에 고정 스크롤(13)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1)과 모터 하우징(3)은, 고정 스크롤(13) 및 축지지 부재(11)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로 수납하고 있다.
모터 저벽(3a)은, 전방측에 면하는 전면(30a)과, 후방측에 면하는 후면(30b)을 갖고 있다. 후면(30b)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면」의 일 예이다. 후면(30b)은, 모터 저벽(3a)을 포함하고, 모터 하우징(3)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전면(30a)의 내면 중앙에는 원통 형상의 축지지부(3b)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축지지 부재(11)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11a)와, 본체부(11a)의 전단의 개구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플랜지부(11b)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1a)의 중앙에는 축구멍(11c)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1b)는 모터 하우징(3)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11b)의 전면측에는, 후술하는 가동 스크롤(15)의 자전을 규제하고, 공전만 가능하게 하는 자전 저지 핀(17a)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축구멍(11c)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9)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축지지 부재(11)와 축지지부(3b)에는, 회전축(19)의 각 단부가 래디얼 베어링(21, 2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래디얼 베어링(23)의 후방에는 시일재(25)가 형성되고, 시일재(25)는 축지지 부재(11)와 회전축(19)의 사이를 봉지하고 있다.
회전축(19)의 전단에는, 회전축(19)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O)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원주(圓柱) 형상의 편심 핀(19a)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편심 핀(19a)에는, 부시(27)가 끼워 맞춤되어 지지되어 있다. 부시(27)의 외주면의 대략 반둘레 부분에는, 외측으로 부채 형상으로 퍼지는 밸런스 웨이트(2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3)은,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고정 기판(13a)과, 고정 기판(13a)의 외주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쉘(13b)과, 쉘(13b)의 내측에서 고정 기판(13a)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소용돌이형벽(13c)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부시(27)와 고정 스크롤(13)의 사이에는 래디얼 베어링(29)을 통하여 가동 스크롤(15)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스크롤(15)은,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가동 기판(15a)과, 가동 기판(15a)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동 소용돌이형벽(15b)으로 이루어진다. 가동 소용돌이형벽(15b)은 고정 소용돌이형벽(13c)에 맞물려 끼워져 있다.
가동 기판(15a)의 후면에는, 자전 저지 핀(17a)의 선단부를 헐겁게 끼운 상태로 받는 자전 저지 구멍(17b)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자전 저지 구멍(17b)에는 원통 형상의 링(17c)이 헐겁게 끼워져 있다. 자전 저지 핀(17a)이 링(17c)의 내주면을 슬라이딩 및 전동함으로써, 가동 스크롤(15)은 자전이 규제되어 축심(O) 둘레에서 공전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기판(13a), 고정 소용돌이형벽(13c), 가동 기판(15a) 및 가동 소용돌이형벽(15b)에 의해 압축실(31)이 구획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3) 내에는, 축지지 부재(11)보다 후방에 모터실(3c)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실(3c)은 흡입실을 겸하고 있다. 모터실(3c) 내에는, 스테이터(33)가 모터 주벽(3d)의 내주면에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33)의 내측에는, 회전축(19)에 고정된 로터(35)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33)로의 통전에 의해 로터(35) 및 회전축(19)이 일체로 회전하면, 그 구동력이 편심 핀(19a) 및 부시(27)를 통하여 가동 스크롤(15)에 전달되어, 가동 스크롤(15)이 공전하도록 되어 있다.
모터 주벽(3d)에는, 외부와 모터실(3c)을 연통시키는 흡입구(3e)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3e)는, 배관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증발기와 접속되어 있다. 증발기는, 배관에 의해 팽창 밸브 및 응축기와 접속되어 있다. 증발기에 있어서의 저압 또한 저온의 냉매는, 흡입구(3e)로부터 모터실(3c) 내에 도입되어, 축지지 부재(1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흡입 통로를 거쳐 압축실(3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 기판(13a)과 프론트 하우징(1)의 사이에는 토출실(37)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기판(13a)의 중앙에는 토출 포트(13d)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토출 포트(13d)는 압축실(31)과 토출실(37)을 연통(communication)하고 있다. 고정 기판(13a)에는, 토출실(37) 내에 있어서, 토출 포트(13d)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 밸브(39)와, 이 토출 밸브(39)의 개도를 규제하는 리테이너(41)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1)에는, 외부와 토출실(37)을 연통시키는 토출구(1a)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a)는, 도시하지 않는 응축기에 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토출실(37)에 도입된 냉매는, 토출구(1a)를 통하여 응축기에 배출된다.
모터실(3c), 회전축(19), 부시(27), 래디얼 베어링(29), 가동 스크롤(15), 고정 스크롤(13), 토출실(37), 토출 밸브(39), 리테이너(41) 등에 의해 냉매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 기구(10)가 구성되어 있다. 압축 기구(10)는 토출실(37)에 형성되는 오일 세퍼레이터(도시 생략)도 포함할 수 있다. 로터(35), 스테이터(33) 및 회전축(19)에 의해 압축 기구(10)를 구동시키는 모터 기구(12)가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1), 모터 하우징(3), 압축 기구(10), 모터 기구(12) 및 볼트(9)에 의해 압축기 본체(20)가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4)는, 인버터 박스(5)와, 인버터 커버(7)로 이루어진다. 인버터 박스(5)는, 제1 주벽(5a)과, 인버터 저벽(5b)과, 제2 주벽(5c)을 갖고 있다. 제1 주벽(5a)은, 축심(O) 방향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인버터 저벽(5b)은, 제1 주벽(5a)에 있어서의 모터 주벽(3d)측에서 제1 주벽(5a)의 지름 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인버터 저벽(5b)은, 모터 저벽(3a)의 후면(30b)과 대향하면서 후면(30b)과 맞닿아 있다. 제2 주벽(5c)은, 인버터 저벽(5b)으로부터 축방향에서 전방, 즉 제1 주벽(5a)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주벽(5a)과, 인버터 저벽(5b)과, 제2 주벽(5c)은 일체화되어 있다.
인버터 커버(7)는, 커버 주벽(7a)과 인버터 상벽(7b)을 갖고 있다. 커버 주벽(7a)은, 제1 주벽(5a)과 동지름 또한 동축의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시하지 않는 개스킷을 통하여 제1 주벽(5a)에 맞닿아 있다. 이들 제1 주벽(5a), 제2 주벽(5c) 및 커버 주벽(7a)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케이스 주벽」이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 상벽(7b)은, 커버 주벽(7a)과 접속하면서, 커버 주벽(7a)으로부터 지름 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커버 주벽(7a)은, 인버터(14),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버터(14)의 기판(14a)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인버터(14)는 수지제의 인버터 홀더(45)와 일체화되어 있다. 인버터(14)는, 인버터 홀더(45)의 인버터 커버(7)측에 형성된 기판(14a)과, 기판(14a)과 접속되고, 모터 하우징(3)측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14b), 코일(14c), 커넥터(14d) 등을 갖고 있다. 또한, 인버터(14)는, 인버터 박스(5) 및 인버터 커버(7)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개구에 의해 외부의 전원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인버터 홀더(45)는 인버터 박스(5)의 제1 주벽(5a)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모터 저벽(3a)의 후면(30b)에는 모터실(3c)과 연통하는 개구(3f)가 형성되고, 인버터 저벽(5b)에는 개구(3f)와 연통하는 개구(5d)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f, 5d)에는 절연체(47)를 통하여 도전 부재로서의 3개의 터미널(49)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각 터미널(49)은 스테이터(33)의 코일과 커넥터(14d)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3)의 후단에 위치하는 단부(50)는, 다른 부분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50)의 외주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1 주면(51)으로 되어 있다. 제1 주면(5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면」의 일 예이다. 즉, 단부(50)는, 후면(30b)을 포함하는 모터 저벽(3a)과, 제1 주면(51)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주면(51)은 모터 저벽(3a)의 외주면을 겸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주면(51)은 모터 주벽(3d)의 후단과 접속하고 있다.
제1 주면(51)에는 수용홈(71)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71)은, 제2 주벽(5c)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제1 주면(51)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홈(71)은, 제1 주면(51)을 둘레방향으로 일주하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홈(71)은 저면(71a)과 측면(71b)을 갖고 있다. 저면(71a)은, 평면 형상을 이루는 것과 함께, 제2 주벽(5c)과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측면(71b)은,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저면(71a)과 제1 주면(51)에 접속하고 있다. 한편, 제2 주벽(5c)에는, 축방향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제1 주면(51) 및 수용홈(71)과 대향하는 제2 주면(5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벽(5a)과 제2 주벽(5c)은, 동지름 또한 동축의 원통 형상으로, 각각의 외주면이 접속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주벽(5a), 제2 주벽(5c) 및 커버 주벽(7a)과, 모터 주벽(3d)은, 동지름 또한 동축이다.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케이스(4)의 사이에는, 고무제의 시일 부재(55)가 수용홈(71)과 제2 주벽(5c), 나아가서는 단부(50)와 제2 주벽(5c)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협지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55)의 지름 방향 및 축방향은, 모터 하우징(3)(주면을 포함함), 인버터 케이스(4)(케이스 주벽을 포함함), 회전축(19)의 지름 방향 및 축방향과 동일하다. 시일 부재(55)는, 터미널(49)이 배치되는 공간을 밀봉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일 부재(55)는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시일 부재(55)는, 수용홈(71)측이 되는 내주면 및 제2 주면(53)측이 되는 외주면에 복수조의 원환 형상의 볼록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55)는, 수용홈(71)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홈(71)과 제2 주면(53)의 사이, 즉 제1 주면(51)과 제2 주면(5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시일 부재(55)는, 축방향에서는 수용홈(71) 내에 전체가 수용되어 있기는 하지만, 외주면을 포함하여 외주측의 일부가 수용홈(71)의 밖으로 뻗어나간 상태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수용홈(71)은, 지름 방향으로 시일 부재(55)의 약 반만큼을 수용 가능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55)는, 수용홈(71) 내에 있어서, 저면(71a)과 제2 주벽(5c)으로 지름 방향으로 협지됨으로써, 제2 주벽(5c)에 의해 전체가 외주측으로부터 덮인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55)는, 제2 주벽(5c)에 의해 전체가 전동 압축기의 외부로부터 은폐되어 있다.
인버터 커버(7)의 인버터 상벽(7b), 인버터 홀더(45), 인버터 박스(5)의 인버터 저벽(5b) 및 모터 주벽(3d)에는, 각각 복수개의 볼트 구멍(7c, 45a, 5e, 3g)이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43)는, 각 볼트 구멍(7c, 45a, 5e)에 삽입 통과되어, 볼트 구멍(3g)에서 나사 결합되어 있다. 즉, 각 볼트(43)는, 인버터 케이스(4)를 관통하면서 모터 하우징(3)의 일단에 체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동 압축기는, 증발기, 팽창 밸브 및 응축기와 함께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동 회로를 구성한다. 이 전동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용 공조 장치에 대한 조작을 행하면, 인버터(14)가 모터 기구(12)를 제어하고, 로터(35) 및 회전축(19)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편심 핀(19a)이 축심(O) 둘레로 선회된다. 이 때, 가동 스크롤(15)은, 자전 저지 핀(17a)이 링(17c)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및 전동함으로써, 그 자전이 저지되어 축심(O) 둘레에서 공전만이 허용된다. 그리고, 가동 스크롤(15)의 공전에 의해 압축실(31)이 고정 스크롤(13) 및 가동 스크롤(15)의 외주측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용적을 감소하면서 이동된다. 이 때문에, 증발기로부터 흡입구(3e)를 통하여 모터실(3c)에 공급된 냉매가 압축실(31) 내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토출 압력까지 압축된 냉매는, 토출 포트(13d)로부터 토출실(37)에 토출되어, 토출구(1a)를 통하여 응축기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가 행해진다.
이 때,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환 형상의 시일 부재(55)가 수용홈(71)의 저면(71a)과, 안버터 박스(5)에 있어서의 제2 주벽(5c)의 제2 주면(53)의 사이, 나아가서는, 단부(50)와 제2 주벽(5c)의 사이를 봉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 전동 압축기는, 복수의 볼트(43)가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케이스(4)를 축방향에서 체결하고 있지만, 시일 부재(55)는, 수용홈(71)과 제2 주벽(5c)의 사이, 즉, 단부(50)의 제1 주면(51)과 제2 주벽(5c)의 제2 주면(5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볼트(43)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체결구」의 일 예이다. 그리고, 수용홈(71)이 형성된 제1 주면(51)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제2 주면(53)도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55)는 그들의 체결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눌려찌부러 지지 않는다. 또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모터 하우징(3)의 단부(50),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50)의 제1 주면(51)에 형성된 수용홈(71)에 시일 부재(55)가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전동 압축기는,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박스(5)를 축방향으로 장착할 때나, 복수의 볼트(43)에 의해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케이스(4)를 축방향에서 체결할 때에, 이에 수반하여 시일 부재(55)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시일 부재(55)는, 수용홈(71),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홈(71)의 측면(71b)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시일 부재(55)가 수용홈(71)을 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55)는, 제1 주면(51)이나 제2 주면(5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나기 어려워, 적합한 위치에서 단부(50)와 제2 주벽(5c)의 사이를 봉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추가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인버터 케이스(4)는, 제1 주벽(5a)과 제2 주벽(5c)이 이들 사이의 인버터 저벽(5b)으로부터 서로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높은 체결력이 작용해도 변형하지 않는 충분한 강성을 발휘한다.
특히,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제1 주벽(5a)과 제2 주벽(5c)이 동지름의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연속한 하나의 주벽으로서의 구조를 갖고 있어, 인버터 케이스(4)가 경량화를 위해 박육화되어도 강도를 발휘하기 쉽다. 이 때문에, 인버터 케이스(4)가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한다.
또한, 시일 부재(55)가 외주면 및 내주면에 복수조의 환 형상의 볼록부(55a)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시일 부재(55)가 수용홈(71)의 저면(71a) 및 제2 주벽(5c)의 제2 주면(53)에 대하여 복수조로 맞닿는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수분은, 예를 들어 시일 부재(55)에 있어서의 외부로부터 1조째의 볼록부(55a)를 타고넘었다고 해도, 외부로부터 2조째의 볼록부(55a)에서 진입이 저지되어, 보다 높은 봉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55)는 우수한 내구성하에서 적합한 봉지성을 발휘한다.
이 때문에, 이 전동 압축기는, 물이나 소금물 등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외부의 수분이 터미널(49)과 접촉하기 어려워, 터미널(49)이 열화하거나, 단락을 일으키거나 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시일 부재(55)는, 각 볼록부(55a) 이외에서는 저면(71a) 및 제2 주면(53)에 맞닿지 않게 된다. 즉, 시일 부재(55)는, 저면(71a) 및 제2 주면(53)에 대하여, 각 볼록부(55a)를 통하여 점접촉하는 것만으로 된다. 이 때문에, 저면(71a) 및 제2 주면(53)과 시일 부재(55)의 접촉 면적이 적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수용홈(71)에 의해 시일 부재(55)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저면(71a) 및 제2 주면(53)과 시일 부재(55)의 접촉 면적이 적어도, 시일 부재(55)에는, 축방향의 이동에 의한 변형이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박스(5)를 축방향으로 장착할 때나, 복수의 볼트(43)에 의해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케이스(4)를 축방향에서 체결할 때에, 각 볼록부(55a) 중의 일부가 저면(71a) 제2 주면(53)으로부터 이간하거나, 저면(71a) 제2 주면(53)에 충분히 맞닿지 않거나 하는 것을 확실성 높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과혹한 조건하에서도, 터미널(49)의 열화나 단락을 보다 높은 내구성하에서 보다 확실하게 방지 가능하다.
또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제1 주면(51) 및 제2 주면(53)이 원통 형상이고, 시일 부재(55) 및 수용홈(71)이 원환 형상이다. 이 때문에, 축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전동 압축기를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시일 부재(55)의 외측에서 제1 주면(51)이나 제2 주면(53)에 진입한 수분이 자중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 시일 부재(55), 모터 하우징(3) 및 인버터 케이스(4)의 열화를 방지하여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추가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케이스(4)가 체결됨으로써, 제2 주벽(5c)은, 수용홈(71)의 전체를 외주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주벽(5c)은, 수용홈(71)에 수용된 시일 부재(55)의 전체도 외주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시일 부재(55)가 자외선에 의해 열화하기 어렵게 되어 있어, 시일 부재(55)가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수용홈(71) 및 시일 부재(55)의 전체가 제2 주벽(5c)에 덮임으로써, 전동 압축기의 외부의 수분이 시일 부재(55)까지 도달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특히, 시일 부재(55)는, 저면(71a) 및 제2 주면(53)에 대하여 복수조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설령 외부로부터의 수분이 시일 부재(55)까지 도달하고, 또한, 시일 부재(55)에 있어서의 외부로부터 1조째의 부분을 타고넘었다고 해도, 외부로부터 2조째의 부분에서 진입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55)는, 보다 높은 봉지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내부에 흡입실을 겸하는 모터실(3c)을 갖는 모터 하우징(3)의 모터 저벽(3a)의 후면(30b)과 인버터 저벽(5b)이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인버터(14)를 냉각하기 쉽게 되어 있다. 특히, 스위칭 소자(14b)나 코일(14c)을 냉각하고 싶은 경우에는, 이들을 인버터 저벽(5b)에 맞닿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모터 하우징(3)의 단면에 컵 형상의 부재를 접합하여 인버터 수용실을 형성하는 전동 압축기와는 달리, 인버터 케이스(4)가 모터 하우징(3)과는 완전하게 독립한 수용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필터 소자를 포함하는 인버터(14)가 대형화해도, 수용 공간을 용이하게 대형화할 수 있다. 그 배반으로서, 인버터 케이스(4) 및 인버터(14)의 중량이 커지고, 높은 체결력이 요구되는데, 그럼에도 시일 부재(55)가 열화하는 일은 없다.
(실시예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의 인버터 케이스(4) 및 시일 부재(55)를 대신하여, 인버터 케이스(8) 및 시일 부재(5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인버터 박스(5)와 인버터 커버(7)의 2개의 부재에 의해, 인버터 케이스(4)가 구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실시예 2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1개의 부재에 의해 인버터 케이스(8)가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 케이스(8)는, 케이스 주벽(8a)과, 케이스 저벽(8b)을 갖고 있다. 케이스 주벽(8a)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주벽(8a)은, 모터 하우징(3)의 모터 주벽(3d)과 동지름 또한 동축을 이루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 주벽(8a)은, 모터 하우징(3)의 단부(50)보다도 대경이다. 또한, 케이스 주벽(8a)에는, 단부(50)의 제1 주면(51) 및 수용홈(71)과 대향하는 제3 주면(81)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저벽(8b)은, 케이스 주벽(8a)과 접속하면서, 케이스 주벽(8a)으로부터 지름 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케이스 저벽(8b)에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8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인버터 케이스(8)에는, 인버터 저벽(5b)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인버터 케이스(8)는, 케이스 주벽(8a) 및 케이스 저벽(8b)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 형상, 즉 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도, 인버터 케이스(8)는, 내부에 인버터(14) 및 인버터 홀더(45)를 수용하면서, 복수의 볼트(43)에 의해, 모터 하우징(3)의 단부(50)에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 케이스(8)에서는, 케이스 주벽(8a)이 인버터(14) 및 인버터 홀더(45)를 둘러싸고 있음과 함께, 단부(50)를 둘러싸고 있다. 또한, 케이스 저벽(8b)이 인버터(14)의 기판(14a)과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여기에서, 인버터 케이스(8)에는, 인버터 저벽(5b)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버터 홀더(45)는, 모터 하우징(3)의 모터 저벽(3a)의 후면(30b)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시일 부재(56)는, 시일 부재(55)와 마찬가지로, 고무제이며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서, 시일 부재(55)와는 달리, 시일 부재(56)에는 볼록부(55a)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56)는, 지름 방향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일 부재(56)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축방향의 변이 지름 방향의 변에 비하여 긴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 부재(56)는, 수용홈(71)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홈(71)의 저면(71a)과 제3 주면(81)의 사이, 즉 제1 주면(51)과 제3 주면(8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시일 부재(56)에 대해서도, 축방향으로는 수용홈(71) 내에 전체가 수용되어 있기는 하지만, 외주면을 포함하여 외주측의 일부가 수용홈(71)의 밖으로 뻗어나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56)는, 수용홈(71) 내에 있어서, 저면(71a)과 케이스 주벽(8a)으로 지름 방향으로 협지됨으로써, 터미널(49)이 배치되는 공간을 밀봉하고 있다. 시일 부재(56)의 지름 방향 및 축방향은, 모터 하우징(3)(주면을 포함함), 인버터 케이스(8)(케이스 주벽을 포함함), 회전축(19)의 지름 방향 및 축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시일 부재(56)는, 케이스 주벽(8a)에 의해 전체가 외주측으로부터 덮인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56)는, 케이스 주벽(8a)에 의해 전체가 전동 압축기의 외부로부터 은폐되어 있다. 이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시일 부재(56)의 지름 방향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시일 부재(56)의 외주면이 제3 주면(81)에 면접촉함과 함께, 시일 부재(56)의 내주면이 저면(71a)에 면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3 주면(81) 및 저면(71a)과 시일 부재(56)의 접촉 면적이 크게 확보되어 있다. 특히, 시일 부재(56)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축방향의 변이 지름 방향의 변에 비하여 긴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56)의 지름 방향의 단면이 정방형인 경우에 비해도,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제3 주면(81) 및 저면(71a)과 시일 부재(56)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들 때문에,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시일 부재(56)에 의해, 저면(71a)과 제3 주면(81)의 사이, 나아가서는, 단부(50)와 케이스 주벽(8a)의 사이를 적합하게 봉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56)에 대하여, 시일 부재(55)와 같이 볼록부(55a)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일 부재(55)에 비하여 시일 부재(56)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시일 부재(56)의 형성도 용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인버터 케이스(8)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인버터 케이스(8)가 케이스 주벽(8a)과 케이스 저벽(8b)을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에 비하여 부품 점수를 적게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저렴화하고 있다. 이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작용은,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와 동일하다.
(참고예)
참고예의 전동 압축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3)의 모터 저벽(3a)의 후단에 원통 형상의 통부(3j)가 형성되고, 통부(3j)의 내주면으로서 축방향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1 주면(61)이 형성되어 있다. 통부(3j)는 모터 주벽(3d)과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인버터 박스(5)에는, 소경의 제1 주벽(5g)과, 제1 주벽(5g)과 연속하는 대경의 제1 주벽(5h)이 형성되고, 실시예 1과 같은 제2 주벽(5c)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1 주벽(5g)에는, 제1 주면(61)과 대향하는 제2 주면(62)이 외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면(61)과 제2 주면(62)의 사이에 시일 부재(5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제1 주면(61)이나 제2 주면(62)에 대하여, 시일 부재(55)를 수용하는 수용홈(7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의 전동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전동 압축기는, 인버터 박스(5)가 제2 주벽(5c)을 갖지 않는 점에서, 강도에 우려가 있다. 또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모터 하우징(3)에 통부(3j)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모터 하우징(3)의 제조가 복잡화하여,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 또한, 이 전동 압축기에서는, 제1 주면(61)이나 제2 주면(62)에 수용홈(71)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박스(5)를 축방향으로 장착할 때나, 복수의 볼트(43)에 의해 모터 하우징(3)과 인버터 케이스(4)를 축방향에서 체결할 때에, 시일 부재(55)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55)가 적합한 위치에서 제1 주면(61)과 제2 주면(62)의 사이를 봉지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1, 2에 입각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2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압축 기구(10)가 스크롤식이지만,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서는, 사판식, 베인식 등, 다른 형식의 압축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의 구성과 실시예 2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전동 압축기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차량 등의 공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3 : 모터 하우징
3a : 모터 저벽
4 : 인버터 케이스(5 : 인버터 박스, 7 : 인버터 커버)
5a : 제1 주벽(케이스 주벽)
5b : 인버터 저벽
5c : 제2 주벽(케이스 주벽)
7a : 커버 주벽(케이스 주벽)
8 : 인버터 케이스
8a : 케이스 주벽
10 : 압축 기구
12 : 모터 기구
14 : 인버터
30b : 후면(단면)
43 : 체결구(볼트)
49 : 도전 부재(터미널)
50 : 단부
51 : 제1 주면(주면)
55 : 시일 부재
55a : 볼록부
56 : 시일 부재
71 : 수용홈

Claims (7)

  1. 유체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 기구와,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시키는 모터 기구와,
    상기 모터 기구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인버터와,
    내부에 상기 모터 기구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모터 하우징과,
    내부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에 접합되는 인버터 케이스와,
    상기 모터 하우징과 상기 인버터 케이스를 상기 모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축방향에서 체결하는 체결구와,
    상기 인버터와 상기 모터 기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케이스는, 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인버터 및 상기 단부를 둘러싸는 케이스 주벽(周壁)을 갖고,
    상기 단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전 부재가 형성되는 단면(端面)과, 상기 단면과 접속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면(周面)을 갖고,
    상기 주면과 상기 케이스 주벽의 사이에는, 환 형상을 이루는 시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주면에는, 상기 시일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주면과 상기 케이스 주벽으로 지름 방향으로 협지(挾持)됨으로써, 상기 도전 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밀봉하고 있고,
    상기 인버터 케이스는, 상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주벽과 접속함과 함께 상기 단면과 상기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인버터 저벽을 갖고,
    상기 케이스 주벽은, 상기 인버터를 둘러싸는 제1 주벽과, 상기 단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주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시일 부재를 협지하는 제2 주벽을 갖고,
    상기 제2 주벽은, 상기 인버터 저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주벽과는 상기 축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인버터 저벽과 상기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모터 저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외주면 및 내주면에 복수조의 환 형상의 볼록부를 갖고 있는 전동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지름 방향의 단면(斷面)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전동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주벽은 상기 수용홈의 전체를 덮고 있는 전동 압축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 및 상기 제2 주벽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시일 부재 및 상기 수용홈은 원환 형상인 전동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벽과 상기 제2 주벽은 동지름 또한 동축의 원통 형상인 전동 압축기.
KR1020200037189A 2019-03-28 2020-03-27 전동 압축기 KR102392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3153 2019-03-28
JP2019063153 2019-03-28
JPJP-P-2019-227824 2019-12-18
JP2019227824A JP7413753B2 (ja) 2019-03-28 2019-12-18 電動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31A KR20200115331A (ko) 2020-10-07
KR102392528B1 true KR102392528B1 (ko) 2022-04-28

Family

ID=7260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89A KR102392528B1 (ko) 2019-03-28 2020-03-27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46624B2 (ko)
KR (1) KR102392528B1 (ko)
CN (1) CN111749895A (ko)
DE (1) DE102020203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0406B2 (ja) * 2018-10-31 2022-03-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22138248A (ja) * 2021-03-10 2022-09-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2899A (ja) * 2011-09-12 2013-04-04 Panasonic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3060816A (ja) * 2011-09-12 2013-04-04 Panasonic Corp 電動圧縮機
JP2015201490A (ja) * 2014-04-04 2015-11-12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561B1 (ko) 2001-07-1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커 커버의 가스켓 구조
JP2006291925A (ja) 2005-04-14 2006-10-26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US7878775B2 (en) 2008-01-17 2011-02-01 Bitzer Kuhlmaschinenbau Gmbh Scroll compressor with housing shell location
JP5479139B2 (ja) 2010-02-10 2014-04-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5382036B2 (ja) 2011-03-16 2014-01-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FR2975447B1 (fr) 2011-05-19 2013-05-31 Valeo Thermal Sys Japan Co Compresseur electrique modulaire avec dispositif d'assemblage
FR2975448B1 (fr) 2011-05-19 2017-07-14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Compresseur electrique modulaire avec dispositif de fixation integre
JP5915384B2 (ja) * 2012-05-30 2016-05-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176211B2 (ja) * 2014-08-29 2017-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JP6160585B2 (ja) * 2014-09-26 2017-07-12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EP3026303B1 (de) 2014-11-28 2021-01-06 Pfeiffer Vacuum Gmbh Vakuumpumpe, vakuumzubehör und dichtung zu dessen abdichtung
JP6425085B2 (ja) * 2015-01-26 2018-11-21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286834B (zh) 2015-05-29 2019-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底法兰密封安装结构
JP2017078334A (ja) * 2015-10-19 2017-04-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17172444A (ja) * 2016-03-23 2017-09-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及び、冷却システム
JP6387997B2 (ja) * 2016-03-28 2018-09-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流体機械
CN107366624B (zh) 2016-05-11 2020-09-01 刘刚 一种电子水泵
WO2018047342A1 (ja) * 2016-09-12 2018-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WO2018139497A1 (ja) * 2017-01-25 2018-08-02 株式会社Ihi 電動コンプレッサ
KR101927071B1 (ko) 2018-10-22 2018-12-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2899A (ja) * 2011-09-12 2013-04-04 Panasonic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3060816A (ja) * 2011-09-12 2013-04-04 Panasonic Corp 電動圧縮機
JP2015201490A (ja) * 2014-04-04 2015-11-12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203260A1 (de) 2020-10-01
US20200313495A1 (en) 2020-10-01
KR20200115331A (ko) 2020-10-07
US11646624B2 (en) 2023-05-09
CN111749895A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3753B2 (ja) 電動圧縮機
KR102392528B1 (ko) 전동 압축기
EP1188927B1 (en) Scroll compressors
CN111765087B (zh) 电动压缩机
KR100908376B1 (ko) 로터리 컴프레서
JP5109642B2 (ja) 電動圧縮機
EP1555437B1 (en) Compressor
EP3875761A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lectrically driven compressor
JP7151470B2 (ja) 電動圧縮機
KR101861005B1 (ko) 베인형 압축기
KR101800512B1 (ko) 모터-구동식 압축기
EP1867874B1 (en) Electric motor-driven compressor
KR20080091831A (ko) 압축기용 제어 밸브
US20010014293A1 (en) Compressor with scroll compression mechanism
WO2018221282A1 (ja) 圧縮機
WO2024095529A1 (ja) 両回転式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112443485B (zh) 电动压缩机
JP2014118923A (ja) 圧縮機
JP2024065292A (ja) 両回転式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1182677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627557B2 (ja) 軸受ハウジング、および、回転機械
US20240060494A1 (en) Scroll compressor
KR20230049366A (ko) 스크롤 압축기
KR20220133800A (ko) 전동 압축기
JP2006177315A (ja) 往復動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