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461A -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 Google Patents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461A
KR20200109461A KR1020190028502A KR20190028502A KR20200109461A KR 20200109461 A KR20200109461 A KR 20200109461A KR 1020190028502 A KR1020190028502 A KR 1020190028502A KR 20190028502 A KR20190028502 A KR 20190028502A KR 20200109461 A KR20200109461 A KR 2020010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l hopper
protrusion
packaging
wrapping paper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372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9002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372B1/ko
Priority to PCT/KR2020/003343 priority patent/WO2020184961A2/ko
Publication of KR2020010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서의 포장작업시 포장지에 약제를 최종적으로 전달해주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가 개시된다.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10)는, 약제를 수집하여 포장지(8)에 전달하는 최종 호퍼 유닛(20)과,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포장지를 안내하는 포장지 안내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장지 안내 유닛(40)은, 이송되고 있는 포장지가 반으로 접혀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42)와,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의 배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LAST HOPPER STRUCTURE FOR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의사 또는 약사의 처방에 따라 복수의 약제 카세트로부터 필요한 약제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1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포장작업시 포장지에 약제를 최종적으로 전달해주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tablet)나 캡슐(capsule) 등의 약제를 종류별로 수용하고 있는 복수개의 약제 카세트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 일회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약제 자동 포장기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약제 카세트와, 약제 카세트의 하부에 배열되어 약제 카세트들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장치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호퍼장치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포함한다.
호퍼장치는 통상 복수개의 호퍼들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호퍼들을 통해 수집된 약제를 최종적으로 포장지 내에 수용시키기 위해 호퍼장치의 말단에는 최종 호퍼 조립체가 위치된다. 약제 자동 포장기에 설치되는 최종 호퍼 조립체의 다양한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74572호(1997.12.10. 공개) 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591519호(2006.06.20.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들을 들 수 있다.
종래의 약제 자동 포장기에 따르면, 롤에 감겨 있는 포장지를 풀어낸 후, 포장지를 반으로 접어 수용홈을 형성하고, 최종 호퍼 조립체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이 수용홈 내로 낙하시키고, 포장지의 약제가 수용된 부분을 밀봉함으로써 포장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그런데, 기다란 타원 형상의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는 약제의 경우, 이 약제가 포장지 내에서 어느 방향으로 안착되는지에 따라, 포장지 내의 수용공간이 측방향으로 부풀어 오르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장지의 밀봉시 접합부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밀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포장지를 밀봉하는 과정에서 약제의 말단에 의해 포장지가 훼손되거나 밀봉용 가열 롤러에 의해 약제가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고, 포장된 약포를 절단하는 작업도 완벽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는 약제가 포장지 내에 안착될 때, 약제의 길이방향이 포장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지가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서의 포장작업시 포장지에 약제를 최종적으로 전달해주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로서, 약제를 수집하여 포장지에 전달하는 최종 호퍼 유닛과;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포장지를 안내하는 포장지 안내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지 안내 유닛은, 이송되고 있는 포장지가 반으로 접혀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와,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의 배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이송되면서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에 상기 포장지에 의해 형성되는 약제의 수용공간을 상기 돌출부가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하단을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의 상기 포장지와 상기 돌출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돌출부는,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의 상기 포장지와 상기 돌출부가 서로 밀착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지 안내 유닛은, 포장지가 반으로 접힐 때 절첩부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플레이트와 협력하는 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플레이트에는 상기 핀 부재가 배치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종 호퍼 유닛은, 상하부가 개방된 최종 호퍼 몸체와, 약제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최종 호퍼 몸체에 설치되는 체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류 부재는, 상기 최종 호퍼 몸체의 하부 개구를 개방시키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류 부재는 약제가 집중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류 부재의 개방시 낙하하는 약제가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의 위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종 호퍼의 하부 개구의 폭은, 상기 하부 개구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폭보다 작고, 상기 하부 개구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시작점으로부터 정상까지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의 정상으로부터 끝점까지의 거리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서,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장치와; 상기 호퍼장치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최종적으로 전달해주는 최종 호퍼 조립체와; 포장지의 표면에 투약정보를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상기 호퍼장치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 내에 밀봉시켜 포장하는 포장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호퍼 조립체는, 약제를 수집하여 포장지에 전달하는 최종 호퍼 유닛과,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포장지를 안내하는 포장지 안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지 안내 유닛은, 이송되고 있는 포장지가 반으로 접혀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와,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의 배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는 약제가 포장지 내에 안착될 때, 약제의 길이방향이 포장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도록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의하면, 약제의 배향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포장지가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포장지의 밀봉시 접합부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밀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지를 밀봉하는 과정에서 포장지가 훼손되거나 밀봉용 가열 롤러에 의해 약제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고, 포장된 약포를 절단하는 작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가 설치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본체 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정면에서 본 일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포함된 최종 호퍼 유닛의 평면도로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취해진 최종 호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포함된 포장지 안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포함된 안내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포함된 안내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의 평면도로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선을 따라 취해진 최종 호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가 설치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본체 일부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자동 포장기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카세트(도시생략)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장치(도시생략)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장치(4)와, 호퍼장치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장치(6)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약제 카세트 및 호퍼장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어떤 종류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 카세트 및 호퍼장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최종 호퍼 조립체는 약제 카세트에서 자동으로 배출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투입되는 약제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약제 자동 포장기는 약제 카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호퍼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최종 호퍼 조립체(10)를 포함한다. 최종 호퍼 조립체는 호퍼장치의 가장 마지막을 구성하도록 배치되고, 호퍼장치의 말단에서 약제를 최종적으로 포장지 쪽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최종 호퍼 조립체(10)는, 예를 들어 약제 카세트에서 배출된 약제를 수집하여 포장지에 전달하는 최종 호퍼 유닛(20)과, 최종 호퍼 유닛(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포장지가 반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포장지 안내 유닛(40)을 포함한다.
최종 호퍼 유닛(20)은, 청소 작업을 위해 약제 자동 포장기의 본체(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최종 호퍼 유닛(20)의 착탈시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종 호퍼 유닛(20)은 파지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24)는 최종 호퍼 유닛(20)의 외형을 이루는 대략 깔때기 형상의 최종 호퍼 몸체(22)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포장지 안내 유닛(40)은 대략 삼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안내 플레이트(42)를 포함하며, 이송되고 있는 포장지가 반으로 접혀 오목한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최종 호퍼 유닛(20)으로부터의 약제가 포장지 쪽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포장지 안내 유닛(40)은 최종 호퍼 유닛(20)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최종 호퍼 유닛(20)으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포장지 안내 유닛(40)과 접촉한 후 포장지의 수용부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최종 호퍼 유닛(20)으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포장지 안내 유닛(40)의 안내 플레이트(42) 표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44)와 접촉할 수 있다.
롤에 감겨있는 포장지(8)가 풀려 나오면서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인쇄장치(4)는 최종 호퍼 조립체(1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약제가 포장되기 전에 포장지의 표면에 투약정보 등을 인쇄한다.
포장장치(6)는, 포장지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최종 호퍼 조립체(10)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포장지를 밀봉하여 일회 복용분의 약제가 수용된 약포를 형성한다. 포장장치(6)는, 예를 들어, 반으로 접힌 포장지를 간헐적으로 접합하여 약포와 약포를 구분하는 구획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1 가열 롤러(도시생략)와, 반으로 접힌 포장지의 절첩부의 반대쪽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약포를 밀봉하는 제2 가열 롤러(도시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 롤러는 약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기능할 수 있고, 제2 가열 롤러는 약제가 수용된 수용공간을 밀봉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포장장치(6)의 제1 가열 롤러 및 제2 가열 롤러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된 복수의 약포는 필요에 따라 절단 유닛(도시생략)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절단 유닛은 가위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 가열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 접합부를 따라 약포와 약포 사이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단 유닛은, 예를 들어, 각각의 약포를 절단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고, 한 명의 환자에게 처방된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포를 다른 환자를 위한 복수의 약포와 구별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위에서는 포장장치(6)가 제1 가열 롤러, 제2 가열 롤러, 및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전술한 포장장치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를 정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최종 호퍼 유닛(20)의 최종 호퍼 몸체(22)를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내부가 드러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포함된 최종 호퍼 유닛(20)의 평면도로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취해진 최종 호퍼 유닛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호퍼 유닛(20)은, 상하부가 개방된 최종 호퍼 몸체(22)와, 약제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도록 최종 호퍼 몸체(22)에 설치되는 체류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단 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체류 부재(30)가 최종 호퍼 몸체(22)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체류 부재(30)를 포함하지 않고, 약제가 곧바로 최종 호퍼 몸체(22)를 통과하여 포장지 쪽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최종 호퍼 유닛(20)은, 약제 자동 포장기의 본체(2) 측에 설치된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체류 부재(30)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 수단과, 최종 호퍼 몸체(22)를 약제 자동 포장기의 본체(2)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류 부재(30)는, 일회 포장분의 약제들이 최종 호퍼 몸체(22) 내에 모두 전달되었을 때 구동되어,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류 부재(30)는 회전축(34)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체류 부재(30)가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를 폐쇄한 폐쇄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8 및 도 9에는 체류 부재(30)가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를 개방한 개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체류 부재(30)는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목부(32)의 오목한 형상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체류되는 약제들은 오목부(32) 쪽으로 집중될 수 있다. 체류 부재(30)가 선회함에 따라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단 개구가 개방되어 약제가 낙하할 때, 낙하된 약제가 안내 플레이트(42)의 돌출부(44)와 접촉할 수 있도록, 오목부(32)는 돌출부(44)의 위쪽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오목부(32)의 바닥면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체류 부재(30)의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오목부(32)의 바닥과 체류 부재(30)의 표면과의 사이는 경사지게 연결되는 동시에 약제가 충돌하였을 때 약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든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오목부(32)는 낙하하는 약제들이 돌출부(44)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오목부(32)의 크기는 후술하는 돌출부(44)의 크기에 맞춰 변화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포함된 포장지 안내 유닛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에 포함된 안내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 안내 유닛(40)은, 이송되고 있는 포장지가 반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42)와, 이 안내 플레이트(42)의 표면으로 돌출하여 최종 호퍼 유닛(20)으로부터 배출된 약제의 수납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돌출부(44)를 포함한다.
포장지 안내 유닛(40)은, 포장지가 반으로 접힐 때 절첩부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안내 플레이트(42)와 협력하는 핀 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플레이트(42)는 대략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상의 중심선(C-C)을 따라 일측 꼭지점(도 6에서 볼 때 하단) 쪽으로 연장하는 홈부(46)를 가지며, 이 홈부(46)를 따라서 핀 부재(50)가 배치된다. 핀 부재(50)는 안내 플레이트(42)의 표면과는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홈부(46)는 일측 꼭지점 쪽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되고, 꼭지점 부근에서는 안내 플레이트(4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플레이트(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이며, 꼭지점, 특히 포장지의 절첩부와 인접하는 꼭지점 부근은 포장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리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4)는 안내 플레이트(42)의 일측, 상세하게는 도 6에서 볼 때 안내 플레이트(42)의 가상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좌측 하단에 형성된다.
돌출부(44)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8)가 반으로 접힐 때,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에 포장지(8) 내에 약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돌출부(44)가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돌출부(44)는 포장지(8)의 내부공간 중 일측에 위치되므로, 최종 호퍼 유닛(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는 돌출부(44)가 형성되지 않은 쪽으로 수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4)는, 안내 플레이트(42)의 일측 말단, 즉 안내 플레이트의 하단을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4)는, 안내 플레이트(42)의 대략 중심부분으로부터 서서히 상승하고, 정상을 지난 후에는, 안내 플레이트(42)의 일측 말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하강하는 외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4)의 전체 길이(D) 중에서, 돌출부의 시작점으로부터 정상까지의 거리를 d1이라고 하고 돌출부의 정상으로부터 끝점까지의 거리를 d2라고 할 때, d1은 d2보다 큰 값을 갖는다. 즉, 돌출부(44)에 있어서, D = d1 + d2 이고, 이 때 d1 > d2 이다. d1이 d2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최종 호퍼 유닛(20)으로부터 낙하하는 약제가 돌출부(44)와 접촉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돌출부(44)와 포장지 사이에 약제가 끼거나 포장지 내에 가로방향으로 약제가 걸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포장지가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지 못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의 평면도로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B-B 선을 따라 취해진 최종 호퍼 조립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설명의 편의상, 최종 호퍼 유닛(20)과 포장지 안내 유닛(40)의 일부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최종 호퍼 유닛(20)의 체류 부재(30)가 개방되면,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를 통해 포장지 안내 유닛(40)의 안내 플레이트(42) 및 돌출부(44)를 관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체류 부재(30)의 오목부(32) 아래쪽에 돌출부(44)가 위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로부터 낙하하는 약제가 돌출부(44)와 접촉하는 동시에 돌출부(44)와 포장지 사이에 약제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의 폭(L3)은, 이 하부 개구의 아래쪽에 위치된 안내 플레이트(42)의 폭(L1)보다 작고, 하부 개구의 아래쪽에 위치된 돌출부(44)의 폭(L2)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여기서,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의 폭(L3)은, 하부 개구의 형상이 일정한 폭 치수를 가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경우, 가장 넓은 부분의 폭 치수일 수 있다.
돌출부(44)의 폭(L2)은,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를 수직 하방으로 투영시켰을 때, 투영된 하부 개구의 윤곽선에 의해 교차되는 돌출부(44) 부분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측정된 값을 의미(도 9 참조)할 수 있다. 즉, 돌출부(44)의 폭(L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개구를 통해 보여지는 돌출부(44)의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일 수 있다.
또한, 안내 플레이트(42)의 폭(L1)은, 최종 호퍼 몸체(22)의 하부 개구를 수직 하방으로 투영시켰을 때, 투영된 하부 개구의 윤곽선에 의해 교차되는 돌출부(44) 부분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측정된 값을 의미(도 9 참조)할 수 있다. 즉, 안내 플레이트(42)의 폭(L1)은, 하부 개구를 통해 보여지는 돌출부(44) 부분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평면(H-H)과 교차하는, 안내 플레이트(42)의 가상의 단면에 있어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돌출부(44)의 형상은 안내 플레이트(42)와 포장장치(6)(더욱 상세하게는 가열 롤러)와의 거리, 포장지(8)의 치수, 안내 플레이트(42)의 치수 등을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44)는,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의 포장지(8)와 돌출부(44)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으로 접히면서 이송되고 있는 포장지(8)와 돌출부(44)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돌출부(44)는,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의 포장지(8)와 돌출부(44)가 서로 밀착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돌출부(44)가 안내 플레이트(42)의 좌측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돌출부(44)는 안내 플레이트(42)의 우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최종 호퍼 유닛(20)을 거쳐 낙하하는 약제가 돌출부 쪽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최종 호퍼 유닛(20)의 체류 부재(30)가 반대쪽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체류 부재(30)는 일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되지만, 돌출부(44)가 안내 플레이트(42)의 우측 하단에 형성될 경우에는 체류 부재(30)는 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체류 부재(30)의 회전축(34)이 파지부(24)가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공간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러한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플레이트(42)에 형성되는 돌출부(44)로 인하여 다음과 같이 약제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약제가 최종 호퍼 유닛(20)을 거쳐 포장지(8)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낙하할 때,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의 약제의 경우, 이 약제의 길이방향이 포장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로 낙하하더라도, 약제의 일측 말단이 돌출부(44)와 접촉함에 따라 약제의 길이방향이 포장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5에는 점선으로 포장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된 약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44)에 의해 약제의 배향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포장지가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인 폭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포장지의 밀봉시 접합부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밀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본체, 4: 인쇄장치, 6: 포장장치, 8: 포장지, 10: 최종 호퍼 조립체, 20: 최종 호퍼 유닛, 22: 최종 호퍼 몸체, 24: 파지부, 30: 체류 부재, 32: 오목부, 34: 회전축, 40: 포장지 안내 유닛, 42: 안내 플레이트, 44: 돌출부, 46: 홈부, 50: 핀 부재.

Claims (14)

  1.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에서의 포장작업시 포장지에 약제를 최종적으로 전달해주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로서,
    약제를 수집하여 포장지에 전달하는 최종 호퍼 유닛과;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포장지를 안내하는 포장지 안내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지 안내 유닛은, 이송되고 있는 포장지가 반으로 접혀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와,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의 배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이송되면서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에 상기 포장지에 의해 형성되는 약제의 수용공간을 상기 돌출부가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하단을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의 상기 포장지와 상기 돌출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반으로 접히고 있는 도중의 상기 포장지와 상기 돌출부가 서로 밀착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안내 유닛은, 포장지가 반으로 접힐 때 절첩부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플레이트와 협력하는 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 플레이트에는 상기 핀 부재가 배치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호퍼 유닛은, 상하부가 개방된 최종 호퍼 몸체와, 약제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최종 호퍼 몸체에 설치되는 체류 부재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류 부재는, 상기 최종 호퍼 몸체의 하부 개구를 개방시키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류 부재는 약제가 집중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체류 부재의 개방시 낙하하는 약제가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의 위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호퍼의 하부 개구의 폭은, 상기 하부 개구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폭보다 작고, 상기 하부 개구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큰,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시작점으로부터 정상까지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의 정상으로부터 끝점까지의 거리보다 큰 값을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14. 약제를 일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로서,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장치와;
    상기 호퍼장치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최종적으로 전달해주는 최종 호퍼 조립체와;
    포장지의 표면에 투약정보를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상기 호퍼장치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 내에 밀봉시켜 포장하는 포장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호퍼 조립체는, 약제를 수집하여 포장지에 전달하는 최종 호퍼 유닛과,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포장지를 안내하는 포장지 안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지 안내 유닛은, 이송되고 있는 포장지가 반으로 접혀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와, 상기 최종 호퍼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제의 배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0190028502A 2019-03-13 2019-03-13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257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502A KR102257372B1 (ko) 2019-03-13 2019-03-13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PCT/KR2020/003343 WO2020184961A2 (ko) 2019-03-13 2020-03-11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502A KR102257372B1 (ko) 2019-03-13 2019-03-13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461A true KR20200109461A (ko) 2020-09-23
KR102257372B1 KR102257372B1 (ko) 2021-05-31

Family

ID=7242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502A KR102257372B1 (ko) 2019-03-13 2019-03-13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7372B1 (ko)
WO (1) WO2020184961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114Y1 (ko) * 2000-11-16 2001-04-16 주식회사제이브이메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KR20140020109A (ko) * 2012-08-08 2014-02-18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용 라스트 호퍼
JP2018502019A (ja) * 2015-01-16 2018-01-25 ベクトン・ディッキンソン・ロワ・ジャーマニー・ゲーエムベーハー 薬剤用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27B1 (ko) * 2003-03-19 2005-07-01 (주)제이브이엠 개별호퍼를 구비한 자동약제 포장장치
JP4469007B2 (ja) * 2008-10-02 2010-05-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114Y1 (ko) * 2000-11-16 2001-04-16 주식회사제이브이메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KR20140020109A (ko) * 2012-08-08 2014-02-18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용 라스트 호퍼
JP2018502019A (ja) * 2015-01-16 2018-01-25 ベクトン・ディッキンソン・ロワ・ジャーマニー・ゲーエムベーハー 薬剤用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961A3 (ko) 2020-10-29
WO2020184961A2 (ko) 2020-09-17
KR102257372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3196Y1 (ko) 정제자동분포기용 약제호퍼 개폐장치.
CN104066415B (zh) 药剂供给装置、以及药剂供给装置中的药剂检查方法
JP3402869B2 (ja) 固形製剤包装装置
CN100415608C (zh) 药品供给装置
ES2889781T3 (es) Aparato de embalaje de medicamentos
KR102257372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000003195U (ko) 정제자동분포기의 히터어셈블리.
KR101880924B1 (ko) 약제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1019344B1 (ko) 알약 및 환약을 동시에 조제하기 위한 포장 장치
TW200530082A (en) Packing device for medicine
TW200424089A (en) Medicine packing apparatus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CN105722492B (zh) 分包体、分包体的制造方法以及分包体的制造装置
WO2024090097A1 (ja) 薬剤供給装置
KR102051801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CN206446853U (zh) 药剂包装装置的包装模块
KR102286533B1 (ko) 약포 검사장치
KR101877248B1 (ko) 약제 자동 포장기
JP2001335002A (ja) 錠剤包装装置
KR200375565Y1 (ko) 약주걱 삽입을 위한 약포지 개방장치
JPS6330202B2 (ko)
JP3604842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3789654B2 (ja) 固形製剤包装装置
JP2018177234A (ja) 薬剤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